KR20090084335A - 혈관신생 억제용 약제학적 조성물 - Google Patents

혈관신생 억제용 약제학적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84335A
KR20090084335A KR1020080010441A KR20080010441A KR20090084335A KR 20090084335 A KR20090084335 A KR 20090084335A KR 1020080010441 A KR1020080010441 A KR 1020080010441A KR 20080010441 A KR20080010441 A KR 20080010441A KR 20090084335 A KR20090084335 A KR 200900843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ydrogen
pharmaceutical composition
alkyl
hydroxy
alkox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104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61891B1 (ko
Inventor
권호정
정혜진
Original Assignee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800104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61891B1/ko
Priority to US12/865,356 priority patent/US8450502B2/en
Priority to CN2009800000051A priority patent/CN101677990B/zh
Priority to JP2010500853A priority patent/JP4991005B2/ja
Priority to PCT/KR2009/000457 priority patent/WO2009107933A2/en
Publication of KR200900843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843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618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618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8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sulfur as a ring hetero atom
    • A61K31/381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sulfur as a ring hetero atom having five-membered r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8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sulfur as a ring hetero ato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A61P1/04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for ulcers, gastritis or reflux esophagitis, e.g. antacids, inhibitors of acid secretion, mucosal protect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A61P1/16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for liver or gallbladder disorders, e.g. hepatoprotective agents, cholagogues, litholy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respiratory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respiratory system
    • A61P11/06Antiasthma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urinary system
    • A61P13/12Drugs for disorders of the urinary system of the kidney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5/00Drugs for genital or sexual disorders; Contracep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61P17/02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for treating wounds, ulcers, burns, scars, keloid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61P17/06Antipsoria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9/00Drugs for skeletal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9/00Drugs for skeletal disorders
    • A61P19/02Drugs for skeletal disorders for joint disorders, e.g. arthritis, arthro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uscular or neuromuscular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61P25/28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for treating neurodegenerative disorders of the central nervous system, e.g. nootropic agents, cognition enhancers, drugs for treating Alzheimer's disease or other forms of dement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7/00Drugs for disorders of the senses
    • A61P27/02Ophthalmic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9/00Non-central analgesic, antipyretic or antiinflammatory agents, e.g. antirheumatic agents;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NSA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8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for glucose homeostasis
    • A61P3/1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for glucose homeostasis for hyperglycaemia, e.g. antidiabe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61P31/04Antibacterial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61P31/12Antivir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5/00Antineoplastic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7/00Drugs for immunological or allergic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7/00Drugs for immunological or allergic disorders
    • A61P37/02Immunomodulators
    • A61P37/06Immunosuppressants, e.g. drugs for graft reje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7/00Drugs for immunological or allergic disorders
    • A61P37/08Antiallergic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endocrine system
    • A61P5/14Drugs for disorders of the endocrine system of the thyroid hormones, e.g. T3, T4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7/00Drugs for disorders of the blood or the extracellular flu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7/00Drugs for disorders of the blood or the extracellular fluid
    • A61P7/06Antianaem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9/0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9/0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 A61P9/1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eating ischaemic or atherosclerotic diseases, e.g. antianginal drugs, coronary vasodilators, drugs for myocardial infarction, retinopathy, cerebrovascula insufficiency, renal arteriosclero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9/0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 A61P9/14Vasoprotectives; Antihaemorrhoidals; Drugs for varicose therapy; Capillary stabilis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iabetes (AREA)
  • Immunology (AREA)
  • Neur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Cardi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Endocrinology (AREA)
  • Hemat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Neuro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Communicable Diseases (AREA)
  • Onc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Rheumatology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Hospice & Palliative Care (AREA)
  • Psychiatry (AREA)
  • Transplantation (AREA)
  • Virolog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의 약제학적 유효량을 포함하는 약제학적 혈관신생 억제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화학식 1
Figure 112008008428329-PAT00001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에서 유효성분으로 이용되는 화합물은 QP-C에 결합하여 혈관신생을 효과적으로 억제하며, 혈관신생-관련 질병 또는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에 효과적으로 이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에서 유효성분으로 이용되는 화합물은 QP-C의 생물학적 기능을 억제하기 때문에, 세포사멸을 유도하지 않으면서 혈관신생 반응(angiogenic responses)을 억제하며, 이는 약물의 안전성을 크게 개선한다.
혈관신생, 억제, QP-C, 미토콘드리아

Description

혈관신생 억제용 약제학적 조성물{Pharmaceutical Compositions for Inhibiting Angiogenesis}
본 발명은 혈관신생 억제용 약제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고형암의 발전은 혈관신생을 요구한다. 미토콘드리아 기능은 혈관신생과 연결이 되어 있으며, 이는 미토콘드리아가 산소 소비의 주요한 위치이고 혈관신생은 산소 농도-민감성 과정이기 때문이다(Andreyev, A.Y., Kushnareva, Y.E., and Starkov, A.A. (2005). Mitochondrial metabolism of reactive oxygen species. Biochemistry (Mosc.) 70, 200-214; Maulik, N., and Das, D.K. (2002). Redox signaling in vascular angiogenesis. Free Radic. Biol. Med. 33, 1047-1060). 또한, 미토콘드리아 산화환원 상태의 변화는 저산소상태(hypoxia) 동안 활성산소종(ROS)의 생성을 자극하며, 이는 친-혈관신생 단백질의 전사를 활성화 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Chandel, N.S., Maltepe, E., Goldwasser, E., Mathieu, C.E., Simon, M.C., and Schumacker, P.T. (1998). Mitochondrial reactive oxygen species trigger hypoxia-induced transcription. Proc. Natl. Acad. Sci. USA 95, 11715-11720). 논문들에 따르면, 미토콘드리아 복합체 Ⅲ에서의 ROS 생성은, 저산소상태 동안 HIF-1α 안정화를 촉발하는 데 필요충분 조건이며(Brunelle, J.K., Bell, E.L., Quesada, N.M., Vercauteren, K., Tiranti, V., Zeviani, M., Scarpulla, R.C., and Chandel, N.S.(2005). Oxygen sensing requires mitochondrial ROS but not oxidative phosphorylation. Cell Metab. 1, 409-414; Chandel, N.S., McClintock, D.S., Feliciano, C.E., Wood, T.M., Melendez, J.A., Rodriguez, A.M., andSchumacker, P.T. (2000).Reactive oxygen species generated at mitochondrial Complex III stabilize hypoxia-inducible factor-1 during hypoxia. J. Biol. Chem. 275, 25130-25138; Guzy, R.D., Hoyos, B., Robin, E., Chen, H., Liu, L., Mansfield, K.D., Simon, M.C., Hammerling, U., and Schumacker, P.T. (2005). Mitochondrial Complex III is required for hypoxia-induced ROS production and cellular oxygen sensing. Cell Metab. 1, 401-408; Mansfield, K.D., Guzy, R.D., Pan, Y., Young, R.M., Cash, T.P., Schumacker, P.T., and Simon, M.C. (2005). Mitochondrial dysfunction resulting from loss of cytochrome c impairs cellular oxygen sensing and hypoxic HIF-alpha activation. Cell Metab. 1, 393-399), 미토콘드리아 DNA 및 전자운반 활성(ρo 세포)이 결여된 세포의 경우 저산소상태 동안 ROS의 증가 또는 HIF-1α 타깃 유전자의 상향조절이 되지 않는다. 복합체 Ⅲ의 억제제는 저산소 상태 동안 미토콘드리 아 ROS 생성을 억제하며 HIF-1α의 안정화 및 전사 활성을 억제한다. 이러한 발견들은, 미토콘드리아 복합체 Ⅲ에서부터의 ROS 생성은 세포 저산소증의 시그널링에서 주요한 이벤트라는 것을 보여준다. 미토콘드리아 복합체 Ⅲ에서의 구성성분들이 세포 산소 감지에 관여한다는 사실로부터, 이러한 과정을 억제하는 저분자 화합물들은 저산소증-유도 혈관신생을 억제하는 유용한 수단일 것으로 판단된다.
한편, 생물학적 스크리닝 도구는 어떤 특정 표현형질의 변화를 유도할 수 있는 천연화합물을 동정하는 데 유용하다(Kwon, H.J. (2003). Chemical genomics-based target identification and validation of anti-angiogenic agents. Curr. Med. Chem. 10, 717-726; Liu, J., Farmer, J.D.Jr., Lane, W.S., Friedman, J., Weissman, I., and Schreiber, S.L. (1991). Calcineurin is a common target of cyclophilin-cyclosporin A and FKBP-FK506 complexes. Cell 66, 807-815). 본 발명자들은 내피세포에서 저산소증과 같은 친-혈관신생 자극에 대한 혈관신생성 반응을 억제할 수 있는 화합물을 발굴하기 위하여, 미생물 추출물의 대규모 스크리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본 발명자들은 바이사이클로 세스터테르펜, 즉 터페스타신을 동정하였고, 이는 독성 역치 값 이하의 농도에서 혈관신생 반응을 억제할 수 있는 후보물질임을 규명하였다(Jung, H.J., Lee, H.B., Kim, C.J., Rho, J.R., Shin, J., and Kwon, H.J. (2003). Anti-angiogenic activity of terpestacin, a bicyclo sesterterpene from Embellisia chlamydospora. J. Antibiotics 56, 492-496).
터페스타신은 인 비트로에서 HUVEC(human umbilical vein endothelial cell)의 혈 관신생 반응을 강하게 억제하였고, 인 비보에서 배아 CAM(chick chorioallantoic membrane)의 혈관신생을 강하게 억제하였다. 또한, 터페스타신은 HIV 감염 동안 다핵세포질체(syncytium) 형성을 억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화학적으로 합성이 가능하다(Chan, J., and Jamison, T.F. (2004). Enantioselective synthesis of (-)-terpestacin and structural revision of siccanol using catalytic stereoselective fragment couplings and macrocyclizations. J. Am. Chem. Soc. 126, 10682-10691; Myers, A.G., Siu, M., and Ren, F. (2002). Enantioselective synthesis of (-)-terpestacin and (-)-fusaproliferin: clarification of optical rotational measurements and absolute configurational assignments establishes a homochiral structural series. J. Am. Chem. Soc. 124, 4230-4232; Oka, M., Iimura, S., Tenmyo, O., Sawada, Y., Sugawara, M., Ohkusa, N., Yamamoto, H., Kawano, K., Hu, S.L., Fukagawa, Y., and Oki, T. (1993). Terpestacin, a new syncytium formation inhibitor from Arthrinium sp. J. Antibiotics 46, 367-373).
미토콘드리아 복합체 Ⅲ는 11개 단백질 서브유니트로 구성되어 있다. 복합체의 필수적인 성분들, 예컨대, 사이토크롬 b, 사이토크롬 c1, Rieske 철-황 단백질 및 유비퀴논은 기능적으로 잘 연구되어 있다(Crofts, A.R., and Berry, E.A. (1998). Structure and function of the cytochrome bc1 complex of mitochondria and photosynthetic bacteria. Curr. Opin. Struct. Biol. 8, 501-509; Smith, J.L., Zhang, H., Yan, J., Kurisu, G., and Cramer, W.A. (2004). Cytochrome bc complexes: a common core of structure and function surrounded by diversity in the outlying provinces. Curr. Opin. Struct. Biol. 14, 432-439). 또한, 특이적 억제제, 예컨대, 안티마이신 A, 스티그마텔린 및 믹소티아졸은 복합체 Ⅲ의 기능 연구에 널리 이용되고 있다(Xia, D., Yu, C.A., Kim, H., Xia, J.Z., Kachurin, A.M., Zhang, L., Yu, L., and Deisenhofer, J. (1997). Crystal structure of the cytochrome bc1 complex from bovine heart mitochondria. Science 277,60-66; Zhang, Z., Huang, L., Shulmeister, V.M., Chi, Y.I., Kim, K.K., Hung, L.W., Crofts, A.R., Berry, E.A., and Kim, S.H. (1998). Electron transfer by domain movement in cytochrome bc1. Nature 392, 677-684). 그러나, 상기 화합물들은, 전자 운반을 억제하고, 산화성 인산화를 없애며, 세포사멸을 유도하기 때문에 종양 혈관신생의 억제제로 적합하지 않다. 따라서, ATP 생성을 파쇄하지 않으면서도 복합체 Ⅲ의 산소 감지 기능을 없애는 신규한 화합물에 대한 요구가 대두되며, 이는 저산소증에 대한 적응성 반응(예컨대, 혈관 성장인자의 발현)을 억제하는데 관심을 두고 있는 암 생물학자들에게 특히 관심이 있는 것이다.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다수의 논문 및 특허문헌이 참조되고 그 인용이 표시되어 있다. 인용된 논문 및 특허문헌의 개시 내용은 그 전체로서 본 명세서에 참조로 삽입되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수준 및 본 발명의 내용이 보다 명확하게 설명된다.
본 발명자들은 효과적인 항혈관신생제를 개발하고자 노력하였다. 그 결과, 혈관신생에 대한 새로운 분자 타겟인 미토콘드리아 복합체 Ⅲ의 유비퀴논-결합 단백질(QP-C)를 타겟으로 하는 신규한 항혈관신생제 발굴하였으며, 이 항혈관신생제는 QP-C에 결합하여, 혈관신생을 효과적으로 차단함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약제학적 혈관신생 억제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이점은 하기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 청구범위 및 도면에 의해 보다 명확하게 된다.
본 발명의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a) 하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의 약제학적 유효량; 및 (b)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포함하는 약제학적 혈관신생 억제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화학식 1
Figure 112008008428329-PAT00002
상기 화학식에서, R1-R12는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 할로, 히드록시, 시아노, 아미노, 니트로, 니트로소, 카르복실, C1-C12 알킬, C2-C6 알케닐기, C3-C8 사이클로알킬, C5-C7 사이클로알케닐, C1-C6 알킬아미노, C1-C6 알콕시, 아릴, 헤테로아릴, 아릴알킬, 아릴알케닐 또는 알킬아릴이고; R13은 수소, 히드록시, C1-C12 알킬 또는 C1-C6 알콕시이며; X는 산소 또는 황이다.
본 발명자들은 효과적인 항혈관신생제를 개발하고자 노력하였다. 그 결과, 혈관신생에 대한 새로운 분자 타겟인 미토콘드리아 복합체 Ⅲ의 유비퀴논-결합 단백질(QP-C)를 타겟으로 하는 신규한 항혈관신생제 발굴하였으며, 이 항혈관신생제는 QP-C에 결합하여, 혈관신생을 효과적으로 차단함을 확인 하였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약제학적 혈관신생 억제용 조성물”로 표현되며, 이는 “혈관신생-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또는 “비조절 혈관신생-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로 표현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에서 유효성분으로 이용되는 화합물은 화학식 1로 표시된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기본적으로 나프탈렌 및 나프토티오펜 구조를 가지며, 다이옥시설폰기를 갖는다.
본 발명의 화합물을 정의하는 화학식 1에서, 용어 “할로”는 할로겐족 원소를 나타내며, 예컨대, 플루오로, 클로로, 브로모 및 요오도를 포함한다. 용어 “ C1-C12 알킬”은 탄소수 1-12의 직쇄 또는 분쇄 포화 탄화수소기를 의미하며, 바람직하게는 “C1-C4 직쇄 또는 가지쇄 알킬”이며, 이는 저가 알킬로서 메틸, 에틸, n-프로필, 이소프로필, 이소부틸, n-부틸 및 t-부틸을 포함한다. 용어, “알케닐기”는 지정된 탄소수를 갖는 직쇄 또는 분쇄 불포화 탄화수소기를 나타내며, 바람직하게는 C2-C6 직쇄 또는 가지쇄 알케닐이고, 이는 최소 하나의 이중 결합을 갖는 탄소수 2-6의 탄화수소기로서, 예컨대, 에테닐, 프로페닐, 이소프로페닐, 부테닐, 이소부테닐, t-부테닐, n-펜테닐 및 n-헥세닐을 포함한다.
용어 “사이클로알킬”은 지정된 탄소수를 갖는 사이클릭 탄화수소 라디칼을 의미하며, 바람직하게는 ”C3-C8 사이클로알킬“이고, 이는 사이클로프로필, 사이클로부틸 및 사이클로펜틸을 포함한다. 용어 “사이클로알케닐”은 지정된 탄소수를 갖 으며 최소 하나의 이중 결합을 갖는 사이클릭 탄화수소기를 의미하며, 바람직하게는 "C5-C7 사이클로알케닐"이고, 이는 사이클로펜텐, 사이클로헥센 및 사이클로헥사디엔을 포함한다. 용어 “알킬아미노”는 아미노 치환체를 갖는 알킬기를 의미한다. 용어, “알콕시”는 -O알킬기를 의미한다.
용어 “아릴”은 전체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 불포화된 치환 또는 비치환된 모노사이클릭 또는 폴리사이클릭 탄소 고리를 의미하며, 바람직하게는 모노아릴 또는 비아릴이다. 모노아릴은 탄소수 5-6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며, 비아릴은 탄소수 9-10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상기 아릴은 치환 또는 비치환된 페닐이다. 모노아릴, 예컨대, 페닐이 치환되는 경우에는, 다양한 위치에서 다양한 치환체에 의해 치환이 이루어질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할로, 히드록시, 니트로, 시아노, C1-C4 치환 또는 비치환된 직쇄 또는 가지쇄 알킬, C1-C4 직쇄 또는 가지쇄 알콕시, 알킬 치환 설파닐, 페녹시, C3-C6 사이클로헤테로알킬 또는 치환 또는 비치환 아미노기에 의해 치환될 수 있다.
용어, “헤테로아릴”은 헤테로사이클릭 방향족기로서, 헤테로원자로서 N, O 또는 S를 포함하는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헤테로아릴은 헤테로원자로서 N을 포함하는 헤테로비아릴이다.
용어, “아릴알킬 (아랄킬)”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알킬기에 의한 구조에 결합된 아릴기를 의미하며, 바람직하게는 벤질기이다. 용어, “알킬아릴“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아릴기로 이루어진 구조에 결합된 알킬기를 의미한다. 용어, “아릴알 케닐”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알킬기에 의한 구조에 결합된 아릴기를 의미하며, 바람직하게는 페닐 에테닐기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화합물에 따르면, 상기 R1은 수소, 히드록시, C1-C12 알킬 또는 C1-C6 알콕시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히드록시 또는 또는 C1-C6 알콕시이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히드록시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R2-R12는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 히드록시, C1-C12 알킬, 또는 C1-C6 알콕시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 히드록시 또는 C1-C12 알킬이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수소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R13은 수소 또는 히드록시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수소이다.
상기 화학식 1에서, X 위치에는 산소 또는 황 원자가 위치할 수 있으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산소 원자가 위치한다.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화학식 1의 화합물에서 R1은 히드록시이고, R2-R12는 수소이며, R13은 수소이고, X는 산소이다. 상기 정의된 화합물은 HDNT[6-((1-hydroxynaphthalen-4-ylamino)dioxysulfone)-2H-naphtho[1,8-bc] thiophen-2-one]이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에 의해 예방 또는 치료될 수 있는 질병, 질환 또는 상태는 혈관신생과 관련된 다양한 질환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조성 물에 의해 예방 또는 치료될 수 있는 질환은, 암, 당뇨병성 망막증, 미숙아 망막증, 각막 이식 거부, 신생혈관 녹내장, 홍색증, 증식성 망막증, 건선, 혈우병성 관절, 아테롬성 동맥경화 플라크 내에서의 모세혈관 증식, 켈로이드, 상처 과립화, 혈관 접착, 류마티스 관절염, 골관절염, 자가면역 질환, 크론씨병, 재발협착증, 아테롬성 동맥경화, 장관 접착, 캣 스크래치 질환, 궤양, 간경병증, 사구체신염, 당뇨병성 신장병증, 악성 신경화증, 혈전성 미소혈관증, 기관 이식 거부, 신사구체병증, 당뇨병, 염증 또는 신경퇴행성 질환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의해 예방 또는 치료될 수 있는 자가면역질환은 알로페시아 그레아타(alopecia greata), 강직성 척추염, 항인지질 증후군, 자가면역 아디슨 질환, 부신의 자가면역 질환, 자가면역 용혈성 빈혈, 자가면역 간염, 자가면역 난소염 및 고환염, 자가면역 혈소판감소증, 베체트병, 수포성 유천포창, 심근병증, 복강 스프루우-피부염(celiac sprue-dermatitis), 만성 피로 면역이상 증후군, 만성염증성 탈수초 다발성 신경병증, Churg-Strauss 증후군, 반흔성유천포창, CREST 증후군, 한냉 응집소 질환, 크론씨병, 원판성 낭창, 복태성복합한냉글로불린혈증, 섬유근통-섬유근염, 사구체신염, 그레이브스 질환, 귈레인 바레 증후군, 하시모토 갑상선염, 특발성 폐섬유화증, 특발성 혈소판 감소성 자반증, IgA 신경염, 연소자성 관절염, 편평태선, 홍반성 루푸스, 메니에르병, 혼합성 연결 조직 질환, 다발성 경화증, 타입 I 또는 면역-매개 당뇨병, 중증근무력증, 심상성 천포창, 악성 빈혈, 결정성 다발동맥염, 다발연골염, 자가면역성 다선 증후군, 류마티스 다발성근통, 다발성 근염과 피부근염, 일차성 무감마글로불린혈증, 일차성 담증성 간경변, 건 선, 건선성 관절염, 레이노 현상, 라이터 증후군, 류마티스 관절염, 사르코이드증, 공피증, 강직인간 증후군, 전신성 홍반성 루푸스, 홍반성 루푸스, 다가야스 동맥염, 일시적 동맥염, 거대세포 동맥염, 궤양성 대장염, 포도막염, 백반증 및 베게너 육아종증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의해 예방 또는 치료될 수 있는 염증성 질환의 예는, 천식, 엔세필리티스(encephilitis), 염증성 장염, 만성 폐쇄성 폐질환, 알러지, 폐혈병성 쇼크증, 폐섬유증, 미분화 척추관절증, 미분화 관절병증, 관절염, 염증성 골용해, 및 만성 바이러스 또는 박테리아 감염에 의한 만성 염증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에 의해 예방 또는 치료될 수 있는 질환은 암 또는 당뇨병성 망막증이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약제학적 유효량”은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의 효능 또는 활성을 달성하는 데 충분한 양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이 약제학적 조성물로 제조되는 경우,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에 포함되는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는 제제시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것으로서, 락토스, 덱스트로스,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인산 칼슘, 알기네이트, 젤라틴, 규산 칼슘, 미세결정성 셀룰로스, 폴리비닐피롤리돈, 셀룰로스, 물, 시럽, 메틸 셀룰로스,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활석, 스테아르산 마그네슘 및 미네랄 오일 등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 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상기 성분들 이외에 윤활제, 습윤제, 감미제, 향미제, 유화제, 현탁제, 보존제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적합한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및 제제는 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s (19th ed., 1995)에 상세히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경구 또는 비경구 투여할 수 있으며, 비경구 투여인 경우에는 정맥내 주입, 피하 주입, 근육 주입, 복강 주입, 경피 투여, 점막 투여 및 점안 투여 등으로 투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의 적합한 투여량은 제제화 방법, 투여 방식, 환자의 연령, 체중, 성, 병적 상태, 음식,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배설 속도 및 반응 감응성과 같은 요인들에 의해 다양하게 처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의 투여량은 성인 기준으로 0.0001-100 ㎎/kg(체중)이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방법에 따라,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및/또는 부형제를 이용하여 제제화함으로써 단위 용량 형태로 제조되거나 또는 다용량 용기 내에 내입시켜 제조될 수 있다. 이때 제형은 오일 또는 수성 매질중의 용액, 현탁액, 시럽제 또는 유화액 형태이거나 엑스제, 산제, 분말제, 과립제, 정제 또는 캅셀제 형태일 수도 있으며, 분산제 또는 안정화제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QP-C의 생물학적 기능을 차단함으로써 ATP 생성을 파쇄하지 않으면서도 미토콘드리아 복합체 Ⅲ의 산소 감지 기능을 억제함으로써, 효과적으로 그리고 인체에 안전한 방식으로 혈관신생을 억제함으로써, 다양한 혈관신 생-관련 질환 또는 질병의 예방 또는 치료에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ⅰ)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에서 유효성분으로 이용되는 화합물은 QP-C에 결합하여 혈관신생을 효과적으로 억제한다.
(ⅱ)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혈관신생-관련 질병 또는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에 효과적으로 이용될 수 있다.
(ⅲ)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에서 유효성분으로 이용되는 화합물은 QP-C에 특이적으로 결합하여 QP-C의 생물학적 기능을 억제하기 때문에, 세포사멸을 유도하지 않으면서 혈관신생 반응(angiogenic responses)을 억제하며, 이는 약물의 안전성을 크게 개선한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요지에 따라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실시예
실험 재료 및 실험 방법
실험 재료
터페스타신은 진균류, Embellisia chlamydospora의 추출물로부터 정제하였다(Jung, H.J., et al., Anti-angiogenic activity of terpestacin, a bicyclo sesterterpene from Embellisia chlamydospora. J. Antibiotics 56: 492-496(2003)). HDNT[6-((1-hydroxynaphthalen-4-ylamino)dioxysulfone) -2H-naphtho [1,8-bc]thiophen-2-one]은 Specs에서 구입하였다.
터페스타신에 대한 분자 프로브의 합성
(1) 바이오틴화 터페스타신. EDC (1-(3-Dimethylaminopropyl)-3-ethylcarbodiimide, 1.5 mg, 0.0078 mmol, Sigma-Aldrich) 및 DMAP (4-dimethylaminopyridine, 1.0 mg, 0.0082 mmol, Sigma-Aldrich)를 터페스타신(3.0 mg, 0.0075 mmol)의 교반 용액에 첨가하고, N-(+)-바이오티닐-6-아미노헥사노산 (2.7 mg, 0.0076 mmol, Pierce Biotechnology, Inc.) in DMSO (3 ml)를 0℃에서 첨가하였다. 실온에서 하룻밤 동안 반응시킨 다음, 반응결과물을 에탄올(15 ml)로 추출하고, 정제용 TLC (CH2Cl2:MeOH = 10:1)로 정제하여 2종의 바이오틴화 터페스타신 유도체(C-24 위치에서의 하이드록실기[BT1] 및 C-17 위치에서의 하이드록실기[BT2])를 얻었다. 수율은 75% 이었다. MALDI-MS for C41H63N3O7S m/z 764.5 [M+Na]+.
화학식 2
Figure 112008008428329-PAT00003
화학식 3
Figure 112008008428329-PAT00004
(2) 쿠마린-컨쥬게이트 터페스타신. EDC (1.0 mg, 0.0052 mmol) 및 DMAP (0.64 mg, 0.0052 mmol)를 터페스타신 (2.0 mg, 0.005 mmol) 및 Boc-6-아미노헥사노산 (1.2 mg, 0.0052 mmol) in DMF (2 ml)의 교반된 용액에 0℃에서 첨가하였다. 실온에서 하룻밤 동안 반응시킨 다음, 반응산물을 에탄올(4 ml x 3)으로 추출하고, 20% TFA in CH2Cl2 (1 ml)로 처리한 다음 실온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DIPEA (1.3 mg, 0.01 mmol) 및 6-((7-아미노-4-메틸쿠마린-3-아세틸) 아미노) 헥사노산 숙시니미딜 에스테르(2.2 mg, 0.005 mmol, Molecular Probes)를 0℃에서 첨가하였다. 실온에서 4시간 동안 교반한 다음, 반응산물을 에탄올 (20 ml)로 추출하고 정제용 TLC (CH2Cl2:MeOH = 10:1)로 정제하여 쿠마린-컨쥬게이트 터페스타신을 61% 수율로 얻었다. 합성된 쿠마린-컨쥬게이트 터페스타신은 화학식 4에 기재되어 있다. MALDI-MS for C49H71N3O9 m/z 868.5 [M+Na]+.
화학식 4
Figure 112008008428329-PAT00005
QP-C 발현 T7 박테리오파지의 제조
5 종류의 다른 인간조직(간암, 정상간, 치매뇌, 정상뇌 및 정상위)으로부터 얻어진 cDNA 라이브러리를 코딩하고 있는 T7 박테리오파지(Novagen)를 확보한 후, 숙주세포인 E. coli BLT5615에 감염시켜 증폭하였다. TBS 완충액(pH 7.5)으로 용해한 바이오틴화 터페스타신(5 μM)을 스트렙타비딘이 코팅된 96-웰 플레이트 (Pierce Biotechnology) 상에 고정화한 후, 상기 증폭된 T7 박테리오파지 라이브러리(6 x 109 pfu/ml)를 터페스타신 고정 웰에 첨가하였다. 실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한 후, 터페스타신과 결합하지 않은 T7 박테리오파지 입자를 TBS 완충액으로 세척하고 제거하였고, 터페스타신과 결합한 T7 박테리오파지 입자는 TBS 완충액으로 용해한 터페스타신(100 μM)을 첨가하여 1시간 동안 용출시켰다. 상기 용출된 T7 박테리오파지를 LB 한천 배지에 배양된 BLT5615에 감염시켰고, 형성된 T7 박테리오파지 플라크(plaque)를 각각 분리하여 DNA 염기서열을 분석함으로써, 미토콘드리아 복합체 Ⅲ의 유비퀴논-결합 단백질(QP-C)를 발현하는 T7 박테리오파지를 획득하였다. 인간 QP-C의 파아지 코딩 서열은 도 1에 기재되어 있다.
인간 QP-C 단백질의 클로닝, 발현 및 정제
간 조직 cDNA 라이브러리를 주형(template)으로 이용하여 QP-C 유전자 (GenBank accession no. NM_006294)를 중합효소연쇄반응(polymerase chain reaction)을 통해 증폭하였다. 사용된 프라이머의 서열은 다음과 같다: 전방향 프라이머 5'-ATGTGAATTCATGGCTGGTAAGCAGGCC-3', 역방향 프라이머 5'-ATGCCTCGAGCTTCTTTGCCCATTCTTC-3'. 상기 유전자를 pGEX-4T1 벡터 (Amersham Pharmacia)의 멀티클로닝 사이트 (EcoRI/XhoI site)에 삽입하였고, 단백질 발현을 위해 E. coli BL21에 형질전환 (transformation) 하였다. 상기 형질전환 박테리아의 LB 배양액 (OD600=0.6)에 IPTG (1 mM)를 첨가하여 37℃에서 4시간 동안 진동 배양한 후, 초음파 파쇄기를 사용하여 세포내에 유도 발현된 GST/QP-C 융합 단백질 을 용출하였고 글루타티온 아가로스 비드(Sigma)를 첨가하여 상기 융합 단백질만을 정제하였다. 융합 단백질의 GST 부분을 제거하기 위해, 트롬빈(Amersham Pharmacia)을 첨가하여 실온에서 하룻밤동안 교반한 후, 원심분리에 의해 QP-C 단백질이 존재하는 상층액만을 회수하였다(참조: 도 2).
혈관신생(angiogenesis) 저해 활성 분석
1. 혈관내피세포의 관 형성 (tube formation) 분석
48-웰 플레이트에 150 ㎕의 마트리겔(10 mg/㎖, Collaborative Biomedical Products)을 코팅하고, 37℃에서 2시간 동안 중합시켰다. 이어, 혈관내피세포 (HUVECs, 1 x 105 세포/웰)를 상기 마트리겔에 접종하고, VEGF (30 ng/㎖, Upstate Biotechnology) 및 본 발명 화합물인 HDNT (2.5, 5 μM)를 첨가하였다. 항온에서 8시간 동안 배양하면서 세포의 형태학적 변화를 현미경 하에서 관찰하였다. 관 형성 혈관내피세포의 세포 독성은 트립판 블루 염색으로 평가하였다(참조: 도 3).
2. 혈관내피세포의 침입 (invasion) 분석
혈관내피세포의 침입은 폴리카보네이트 필터 (polycarbonate filter)가 있는 트랜스웰 챔버 (Transwell chamber, Corning Costar) 시스템을 이용하여 인 비트로 에서 측정하였다. 우선, 상기 필터의 하부를 10 ㎕ 젤라틴 (10 mg/ml)으로 1시간 동안 코팅하고, 필터의 상부를 10 ㎕ 마트리겔 (3 mg/ml)로 2시간 동안 코팅하였 다. 이어, 트랜스웰에 600 ㎕ EBM-2 배지를 넣은 후, VEGF (30 ng/㎖) 및 본 발명 화합물인 HDNT (2.5, 5 μM)를 첨가하였다. 코팅된 필터를 상기 트랜스웰위에 올려 놓았고, 필터의 상부에 혈관내피세포 (HUVECs, 1 x 105 세포/웰)를 접종하여 항온에서 18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그 후, 70% 메탄올로 세포를 고정시키고 헤마톡실린/에오신으로 염색한 후, 현미경 하에서 하나의 필터 내의 전체 세포를 계수함으로써 세포 침입 정도를 결정하였다 (참조: 도 4).
미토콘드리아 기능 조절 활성 분석
1. 미토콘드리아 막전위 (mitochondrial membrane potential)의 측정
혈관내피세포 (HUVECs)를 24-웰 플레이트 (2 x 104 세포/웰) 상에 분주하고, 10% 우태아혈청 (Invitrogen)이 포함된 EBM-2 (Lonza) 배지에서 배양하였다. 이어, PBS 완충액 (pH 7.4)을 사용하여 세포를 세척한 후, 신선한 동일배지로 교환하였다. 본 발명 화합물인 HDNT (1, 5, 10 μM)를 첨가하여 4시간 동안 항온 배양한 후, 미토콘드리아 막전위의 변화를 측정하기 위해 친유성 양이온성 프로브인 5,5',6,6'-테트라클로로-1,1',3,3'-테트라에틸벤즈이미다졸-카보사이어나인 요오다이드 (JC-1, Molecular Probes) 0.25 ㎍/ml로 15분 동안 염색시켰다. 과분극 막 전위(to -140 mV)에서, 상기 염색제는 적색 형광 J-응집체를 형성하고, 탈분극 막 전위(to -100 mV)에서 상기 염색제는 녹색 형광 모노모형을 유지한다. 상기 염색된 세포를 PBS 완충액으로 2회 세척하였다. 이미지를 IX70 형광 현미경 (Olympus)으로 100 배 배율로 얻었다(참조: 도 5).
2. 파지 디스플레이 ( phage display )에 의한 경쟁 결합 분석
QP-C 발현 T7 박테리오파지를 숙주세포인 E. coli BLT5615에 감염시켜 증폭하였다. 본 발명 화합물인 HDNT(200 μM) 및 QP-C와 결합하는 화합물인 터페스타신(200 μM)을 상기 증폭된 QP-C 발현 T7 박테리오파지 배양액 (6 x 109 pfu/ml)에 각각 첨가한 후, 실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TBS 완충액 (pH 7.5)으로 용해한 바이오틴과 바이오틴화 터페스타신(5 μM)을 스트렙타비딘이 코팅된 96-웰 플레이트 상에 각각 고정화한 후, 상기 QP-C 파지와 화합물의 반응 혼합 용액을 바이오틴화 터페스타신이 고정된 웰에 첨가하였다. 실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한 후, 바이오틴화 터페스타신과 결합하지 않은 QP-C 발현 T7 박테리오파지 입자를 TBS 완충액으로 3회 반복 세척하여 제거하였다. 바이오틴화 터페스타신과 결합한 QP-C 발현 T7 박테리오파지 입자는 TBS 완충액에 용해된 터페스타신(100 μM)을 첨가하여 1시간 동안 용출시켰다. 상기 용출된 QP-C 발현 T7 박테리오파지 입자를 LB 한천 배지에 배양된 BLT5615에 감염시켰고, 형성된 박테리오파지 플라크(plaque)의 수를 세어 처리구와 대조구 사이를 비교 분석하였다 (참조: 도 6).
3. 형광 염색 ( fluorescence staining )에 의한 경쟁 결합 분석
혈관내피세포(HUVECs)를 24-웰 플레이트 (2 x 104 세포/웰) 상에 분주하고, 10% 우 태아혈청 (Invitrogen)이 포함된 EBM-2 (Lonza) 배지에서 배양하였다. 이어, PBS 완충액 (pH 7.4)을 사용하여 세포를 세척한 후, 신선한 동일배지로 교환하였다. 각 웰에 본 발명 화합물인 HDNT (10 μM) 또는 QP-C와 결합하는 터페스타신(30 μM)을 첨가하여 24시간 동안 항온 배양하였고, 형광유도체인 쿠마린 (20 μM)과 쿠마린-컨쥬게이트된 터페스타신(20 μM)을 대조군 및 처리군에 첨가하여 2시간 동안 추가로 배양하였다. PBS 완충액으로 세포를 세척한 후, IX70 형광 현미경 (Olympus) 하에서 형광 세기를 관찰하였고 사진 촬영하였다 (참조: 도 7).
4. 표면 플라즈몬 공명 ( surface plasmon resonance )에 의한 경쟁 결합 분석
바이오틴 또는 바이오틴화 터페스타신(100 μM)을 스트렙타비딘이 코팅된 센서 칩(BIAcore AB)의 각 플로우 셀에 순차적으로 고정화하였다. 본 발명 화합물인 HDNT (25 μM) 또는 QP-C와 결합하는 화합물 터페스타신(25 μM)을 정제한 QP-C 단백질(25 μM)의 HBS-EP 완충액 (pH 7.4, 10 mM HEPES, 150 mM NaCl, 3 mM EDTA)에 각각 첨가한 후, 상기 센서 칩의 표면상에 1분당 30 ㎕의 유속으로 주입하였다. 결합 (association) 및 해리 (dissociation) 곡선을 포함한 결합 센서그램 (binding sensorgram)은 BIAcore 2000을 통해 얻어졌고, 센서 칩 표면은 50 mM NaOH (5 ㎕)를 주입하여 재생 (regeneration) 시켰다. 이 때, 결합 센서그램은 바이오틴화 터페스타신과 QP-C 단백질 사이의 결합 곡선으로부터 바이오틴과 QP-C 단백질 사이의 결합 곡선을 차감하여 얻었다. 표면 플라즈몬 공명 반응곡선은 BIAcore Evaluations 소프트웨어, version 3.1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참조: 도 8).
실험 결과
혈관신생 저해 활성 분석 결과
혈관신생 (angiogenesis)은 배아의 발생, 상처치료 및 조직 또는 기관의 재생과 같은 무수한 생리적 과정에서 필수적이다 (Risau, W. 1994. Angiogenesis and endothelial cell function. Arzneimittelforschung 44: 416-417). 그러나, 지속적인 비조절성 혈관신생은 류마티스 관절염, 당뇨성 망막염, 고형 종양, 혈관종 및 건선과 같은 혈관신생성 질병을 유발시킨다(Carmeliet, P. and R. K. Jain. 2000. Angiogenesis in cancer and other diseases. Nature 407: 249-257). 따라서, 새로운 항혈관신생 화합물은 혈관신생과 연관된 암 및 다른 인간 질병의 치료제로 개발될 수 있다. 그리하여, 본 발명 화합물인 HDNT가 항혈관신생 활성을 나타내는 지 확인하기 위해, 대표적인 인 비트로(in vitro) 혈관신생 측정 방법인 혈관내피세포의 관 형성 및 침입 분석을 실시하였다. 도 3과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HDNT는 VEGF에 의해 유도되는 HUVECs의 관 형성 및 침입을 농도 의존적으로 억제하였다. 더욱이, 본 발명 화합물에 의해 혈관신생이 억제된 세포들이 트립판 블루에 의해 염색되지 않는 것으로 보아, HDNT의 항혈관신생 활성이 세포 독성으로부터 초래되는 것은 아님을 보여준다. 이러한 결과는 HDNT가 새로운 항혈관신생 치료제로 개발될 수 있음을 나타낸다.
미토콘드리아 막전위의 측정 결과
최근, 미토콘드리아 기능 이상이 심혈관질환, 당뇨병 및 치매 등의 만성퇴행성 질환뿐만 아니라 암의 발병에 중요한 원인을 제공한다고 밝혀졌다 (3. Szewczyk, A. and L. Wojtczak. 2002. Mitochondria as a pharmacological target. Pharmacol . Rev . 54: 101-127). 사전 보고에 따르면, 미토콘드리아의 전자전달계로부터 발생하는 활성산소종이 암의 전이와 증식에 필수적인 혈관신생을 유도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Guzy, R. D., B. Hoyos, E. Robin, H. Chen, L. Liu, K. D. Mansfield, M. C. Simon, U. Hammerling, and P. T. Schumacker. 2005. Mitochondrial Complex III is required for hypoxia-induced ROS production and cellular oxygen sensing. Cell Metab . 1: 401-408). 그리하여, 본 발명 화합물인 HDNT의 항혈관신생 활성이 미토콘드리아 기능 조절에 의한 것인지 확인하기 위해, HDNT가 혈관내피세포인 HUVECs의 미토콘드리아 막전위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미토콘드리아 막전위의 변화는 친유성 양이온의 형광마커인 JC-1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JC-1은 미토콘드리아 막전위가 정상 (-140 mV)일 때 붉은색 형광의 복합체를 형성하는 반면, 미토콘드리아 막전위가 파괴 (-100 mV)될 때 녹색 형광의 단량체를 형성하는 성질을 가지고 있다.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 화합물인 HDNT의 처리 농도가 증가할수록 붉은색 형광 세기가 약해지는 반면 녹색 형광 세기가 강해지는 것으로 보아, HDNT가 미토콘드리아 막전위를 파괴함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HDNT가 미토콘드리아 기능을 조절할 수 있음을 나타내고 있다.
파지 디스플레이에 의한 경쟁 결합 분석 결과
항혈관신생 활성을 갖는 천연물인 터페스타신은 QP-C와 결합하여 미토콘드리아로부터 발생하는 활성산소종을 억제한다. 본 발명 화합물인 HDNT가 QP-C와 결합하여 미토콘드리아 기능을 조절하는지 확인하기 위해, QP-C 발현 T7 박테리오파지를 이용한 파지 디스플레이 경쟁 결합 분석 실험을 수행하였다.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바이오틴은 QP-C 발현 T7 박테리오파지와 결합하지 않는 반면, QP-C와 결합하는 화합물인 바이오틴화 터페스타신은 QP-C 발현 T7 박테리오파지와 특이적으로 결합하였다. 그러나, 과량의 터페스타신을 QP-C 발현 T7 박테리오파지와 먼저 반응시켰을 경우, 경쟁 결합(competition binding)에 의해 상기 바이오틴화 터페스타신과 QP-C 발현 T7 박테리오파지 사이의 결합을 크게 저해하였다. 다음으로 본 발명 화합물인 HDNT를 QP-C 발현 T7 박테리오파지와 먼저 반응시킨 경우 역시, 터페스타신과 마찬가지로 바이오틴화 터페스타신과 QP-C 발현 T7 박테리오파지 사이의 결합을 효과적으로 저해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HDNT가 QP-C 단백질에 결합함을 나타내고 있다.
형광 염색에 의한 경쟁 결합 분석 결과
본 발명 화합물인 HDNT가 QP-C와 결합함을 검증하기 위해, QP-C와 결합하는 공지된 화합물인 터페스타신의 형광 유도체를 이용한 경쟁 결합 분석 실험을 수행하였다.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쿠마린-터페스타신을 HUVECs에 처리한 결과, 쿠마린 처리와는 달리 미토콘드리아가 존재하는 세포질 부위에서 강한 푸른색 형광을 나타내 었다. 이 때, 쿠마린-터페스타신을 세포에 처리하기 전에 터페스타신을 먼저 세포에 처리한 경우, 경쟁 결합에 의해 상기 쿠말린-터페스타신과 미토콘드리아 단백질인 QP-C 사이의 결합이 저해되어 세포질 부위의 푸른색 형광 세기가 크게 약화되었다. 다음으로, 본 발명 화합물인 HDNT를 세포에 먼저 처리한 경우, 터페스타신 처리에서와 마찬가지로 푸른색 형광 세기가 크게 감소하는 것으로 보아 HDNT가 QP-C에 결합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표면 플라즈몬 공명에 의한 경쟁 결합 분석 결과
본 발명 화합물인 HDNT가 QP-C와 결합함을 재차 검증하기 위해, 굴절률 변화 측정에 의해 생체 물질간 직접 결합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는 표면 플라즈몬 공명 기술을 이용하여 경쟁 결합 분석 실험을 수행하였다. 바이오틴과 바이오틴-터페스타신을 스트렙타비딘이 코팅된 센서 칩의 각 플로우 셀에 순차적으로 고정화한 후, 터페스타신과 QP-C 단백질의 반응 혼합액을 상기 센서 칩의 표면상에 주입한 결과, 경쟁 결합에 의해 바이오틴-터페스타신과 QP-C 단백질 사이의 결합을 60% 까지 저해하였다 (도 8). 다음으로 본 발명 화합물인 HDNT와 QP-C 단백질의 반응 혼합액을 센서 칩의 표면상에 주입한 경우, 터페스타신과 마찬가지로 바이오틴 터페스타신과 QP-C 단백질 사이의 결합을 40% 까지 저해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HDNT가 QP-C에 직접적으로 결합함을 검증하고 있다.
상술한 실험결과에 따르면, 본 발명 화합물인 HDNT는 미토콘드리아 단백질인 QP-C를 선택적으로 표적하여 미토콘드리아 기능을 조절함으로써, 암을 비롯한 혈관신생 성 질환의 치료제로 개발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 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인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구현 예일 뿐이며, 이에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과 그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도 1은 QP-C 발현 T7 박테리오파지에서 인간 QP-C의 파아지 코딩 서열을 나타낸다. 회색 박스가 인간 QP-C의 파아지 코딩 서열(82 aa)이다.
도 2는 QP-C 단백질의 발현 및 정제 결과를 보여주는 단백질 전기영동 결과 사진이다. 가장 왼쪽 레인은 사이즈 마커이고, 1-4 레인은 각각 정제한 QP-C 단백질 (1-2 레인: GST + QP-C, 3-4 레인: QP-C)을 로딩한 것이다.
도 3은 HDNT에 대한 혈관내피세포의 관 형성 (tube formation) 분석 결과를 보여주는 사진이다. 농도-의존적으로 HDNT는 HUVECs의 관 형성을 억제함을 알 수 있다.
도 4는 HDNT에 대한 혈관내피세포의 침입 (invasion) 분석 결과를 보여주는 사진이다. 농도-의존적으로 HDNT는 HUVECs의 침입을 억제함을 알 수 있다.
도 5는 HDNT에 의한 미토콘드리아 막전위 변화를 형광 현미경으로 관찰한 결과이다. HDNT가 농도-의존적으로 미토콘드리아 막전위를 파괴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6은 HDNT에 대한 파지 디스플레이에 의한 경쟁 결합 분석 결과이다. QP-C 발현 박테리오파지에 결합에 있어서 HDNT가 터페스타신과 경쟁하는지 여부를 분석하였다. HDNT는 바이오틴-터페스타신과 QP-C 발현 T7 박테리오파지 사이의 결합을 효과적으로 저해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HDNT가 QP-C 단백질에 결합함을 나타낸다.
도 7은 HDNT에 대한 형광 염색(fluorescence staining)에 의한 경쟁 결합 분 석 결과이다. HDNT는 쿠마린-터페스타신과 QP-C 사이의 결합을 효과적으로 저해하였다.
도 8은 HDNT에 대한 표면 플라즈몬 공명(surface plasmon resonance)에 의한 경쟁 결합 분석 결과이다.

Claims (7)

  1. (a) 하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의 약제학적 유효량; 및 (b)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포함하는 약제학적 혈관신생 억제용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112008008428329-PAT00006
    상기 화학식에서, R1-R12는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 할로, 히드록시, 시아노, 아미노, 니트로, 니트로소, 카르복실, C1-C12 알킬, C2-C6 알케닐기, C3-C8 사이클로알킬, C5-C7 사이클로알케닐, C1-C6 알킬아미노, C1-C6 알콕시, 아릴, 헤테로아릴, 아릴알킬, 아릴알케닐 또는 알킬아릴이고; R13은 수소, 히드록시, C1-C12 알킬 또는 C1-C6 알콕시이며; X는 산소 또는 황이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R1은 수소, 히드록시, C1-C12 알킬 또는 C1-C6 알콕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학적 조성물.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R2-R12는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 히드록시, C1-C12 알킬, 또는 C1-C6 알콕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학적 조성물.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R13은 수소 또는 히드록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학적 조성물.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X는 산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학적 조성물.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R1은 히드록시이고, R2-R12는 수소이며, R13은 수소이고, X는 산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학적 조성물.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약제학적 조성물은 암, 당뇨병성 망막증, 미숙아 망막증, 각막 이식 거부, 신생혈관 녹내장, 홍색증, 증식성 망막증, 건선, 혈우병성 관절, 아테롬성 동맥경화 플라크 내에서의 모세혈관 증식, 켈로이드, 상처 과립화, 혈관 접착, 류마티스 관절염, 골관절염, 자가면역 질환, 크론씨병, 재발협착증, 아테롬성 동맥경화, 장관 접착, 캣 스크래치 질환, 궤양, 간경병증, 사구체신염, 당뇨병성 신장병증, 악성 신경화증, 혈전성 미소혈관증, 기관 이식 거부, 신사구체병증, 당뇨병, 염증 또는 신경퇴행성 질환의 비조절성 혈관신생-관련 질병 또는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에 이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학적 조성물.
KR1020080010441A 2008-02-01 2008-02-01 혈관신생 억제용 약제학적 조성물 KR1009618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0441A KR100961891B1 (ko) 2008-02-01 2008-02-01 혈관신생 억제용 약제학적 조성물
US12/865,356 US8450502B2 (en) 2008-02-01 2009-01-30 Pharmaceutical compositions for inhibiting angiogenesis
CN2009800000051A CN101677990B (zh) 2008-02-01 2009-01-30 用于抑制血管发生的药物组合物
JP2010500853A JP4991005B2 (ja) 2008-02-01 2009-01-30 血管新生抑制用の薬剤学的組成物
PCT/KR2009/000457 WO2009107933A2 (en) 2008-02-01 2009-01-30 Pharmaceutical compositions for inhibiting angiogenesi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0441A KR100961891B1 (ko) 2008-02-01 2008-02-01 혈관신생 억제용 약제학적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4335A true KR20090084335A (ko) 2009-08-05
KR100961891B1 KR100961891B1 (ko) 2010-06-09

Family

ID=410165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10441A KR100961891B1 (ko) 2008-02-01 2008-02-01 혈관신생 억제용 약제학적 조성물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450502B2 (ko)
JP (1) JP4991005B2 (ko)
KR (1) KR100961891B1 (ko)
CN (1) CN101677990B (ko)
WO (1) WO2009107933A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8651B1 (ko) * 2011-03-16 2013-08-21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효능이 강화된 혈관신생 억제용 약제학적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30313199A1 (en) * 2020-09-01 2023-10-05 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Target for modulating body mass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L99500A0 (en) 1990-09-17 1992-08-18 Agouron Pharma Naphthalene compounds,processe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s containing the same
GB9225475D0 (en) * 1992-12-05 1993-01-27 Imp Cancer Res Tech Compounds to combat angiogenesis
JP2001518501A (ja) * 1997-10-06 2001-10-16 ビーエーエスエフ アクチェンゲゼルシャフト インデノ[1,2−c]−、ナフト[1,2−c]−およびベンゾ[6,7]シクロへプタ[1,2−c]ピラゾール誘導体
US20060070135A1 (en) 1998-07-24 2006-03-30 Michel Tremblay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inhibiting the enzymatic activity of PTP-1B
US20040157836A1 (en) 2002-10-08 2004-08-12 Comess Kenneth M. Sulfonamides having antiangiogenic and anticancer activity
MXPA05009103A (es) * 2003-02-28 2006-04-18 Bayer Pharmaceuticals Corp Derivados de 2-oxo-1,3,5-perhidrotriazapina utiles en el tratamiento de trastornos hiper-proliferativos, por angiogenesis, e inflamatorios.
WO2009016081A2 (en) * 2007-08-02 2009-02-05 Actar Ab Benzoind0l-2-one derivatives for use in therapy
KR101229822B1 (ko) * 2008-03-04 2013-02-05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혈관신생 억제용 약제학적 조성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8651B1 (ko) * 2011-03-16 2013-08-21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효능이 강화된 혈관신생 억제용 약제학적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0522232A (ja) 2010-07-01
CN101677990A (zh) 2010-03-24
WO2009107933A2 (en) 2009-09-03
JP4991005B2 (ja) 2012-08-01
KR100961891B1 (ko) 2010-06-09
US8450502B2 (en) 2013-05-28
CN101677990B (zh) 2012-09-26
WO2009107933A3 (en) 2009-10-29
US20110039919A1 (en) 2011-0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101162A (ko) 코르티스타틴 유사체 및 그의 합성 및 용도
JP2007084494A (ja) Pim−1活性阻害剤
US8884027B2 (en) Melampomagnolide B derivatives as antileukemic and cytotoxic agents
WO2011069039A1 (en) Hydrazone and diacyl hydrazine compounds and methods of use
Raghuvanshi et al. Preclinical and clinical studies on bryostatins, a class of marine-derived protein kinase C modulators: A mini-review
Zhang et al. Antagonizing STAT3 activation with benzo [b] thiophene 1, 1-dioxide based small molecules
KR20180014832A (ko) Nadph 옥시다제 4 억제제
Antoszczak et al. Synthesis and antiproliferative activity of new bioconjugates of Salinomycin with amino acid esters
CN101225070A (zh) 用于抗肿瘤的药物
EP2767538B1 (en) Tetrandrine derivatives with substituted 5-carbon, preparation method and use thereof
NO342001B1 (no) C-kit kinase inhibitor for anvendelse i terapeutisk behandling av gastrointestinal stromaltumor eller mastocytose.
KR100961891B1 (ko) 혈관신생 억제용 약제학적 조성물
KR101229822B1 (ko) 혈관신생 억제용 약제학적 조성물
KR20080081310A (ko) 항암 효과가 높고 항말라리아 활성이 오래 지속되는트리옥산 이량체
CA3190787A1 (en) Synthesis of novel imipridone derivatives and their evaluation for their anticancer activity
AU2004224488B2 (en) Pharmaceutical use of 1-azabicyclo[2.2.2]octanes and a method of testing compounds for the ability of activating inactive wt p53
US9399644B2 (en) [1,3] dioxolo [4,5-G] quinoline-6(5H)thione derivatives as inhibitors of the late SV40 factor (LSF) for use in treating cancer
MX2015000309A (es) Terapia combinada para tratamiento de cancer e inmunosupresion.
JP2024508426A (ja) 免疫調節物質及び免疫調節物質コンジュゲート
CN107629041B (zh) 查尔酮类衍生物、其制备方法及其在医药上的应用
CN111943947A (zh) 1H-吡咯[2,3-b]吡啶衍生物及其合成方法与应用
JP6381605B2 (ja) 脳卒中治療用のイリドイド配糖体類化合物、その医薬組成物及びその使用方法
KR20110132056A (ko) 피롤리딘 설포닐계 화합물을 포함하는 혈관신생 억제용 약제학적 조성물
WO2014093652A1 (en) Semi - synthetic mithramycin derivatives with anti-cancer activity
WO2020219819A1 (en) Β−catenin/ b-cell lymphoma 9 protein−protein interaction inhibiting peptidomimetic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1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