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84116A - 연료충전 커플러의 실린더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연료충전 커플러의 실린더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84116A
KR20090084116A KR1020080010106A KR20080010106A KR20090084116A KR 20090084116 A KR20090084116 A KR 20090084116A KR 1020080010106 A KR1020080010106 A KR 1020080010106A KR 20080010106 A KR20080010106 A KR 20080010106A KR 20090084116 A KR20090084116 A KR 200900841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ylinder
fuel
coupler
assembly
inlet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101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남대우
이종태
이재하
Original Assignee
(주)덕양에너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덕양에너젠 filed Critical (주)덕양에너젠
Priority to KR10200800101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84116A/ko
Publication of KR200900841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8411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5/00Methods or apparatus for filling containers with liquefied, solidified, or compressed gases under pressures
    • F17C5/02Methods or apparatus for filling containers with liquefied, solidified, or compressed gases under pressures for filling with liquefied ga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13/00Details of vessels or of the filling or discharging of vessels
    • F17C13/04Arrangement or mounting of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13/00Details of vessels or of the filling or discharging of vessels
    • F17C13/06Closures, e.g. cap, breakable memb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13/00Details of vessels or of the filling or discharging of vessels
    • F17C13/12Arrangements or mounting of devices for preventing or minimising the effect of explosion ; Other safety meas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05/00Vessel construction, in particular mounting arrangements, attachments or identifications means
    • F17C2205/03Fluid connections, filters, valves, closure means or other attachments
    • F17C2205/0302Fittings, valves, filters, or components in connection with the gas storage device
    • F17C2205/0311Closure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05/00Vessel construction, in particular mounting arrangements, attachments or identifications means
    • F17C2205/03Fluid connections, filters, valves, closure means or other attachments
    • F17C2205/0302Fittings, valves, filters, or components in connection with the gas storage device
    • F17C2205/0323Valves
    • F17C2205/0332Safety valves or pressure relief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05/00Vessel construction, in particular mounting arrangements, attachments or identifications means
    • F17C2205/03Fluid connections, filters, valves, closure means or other attachments
    • F17C2205/0302Fittings, valves, filters, or components in connection with the gas storage device
    • F17C2205/037Quick connecting means, e.g. coupl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60/00Purposes of gas storage and gas handling
    • F17C2260/04Reducing risks and environmental impact
    • F17C2260/042Reducing risk of explos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oling, Air Intake And Gas Exhaust, And Fuel Tank Arrangements In Propulsion Un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커플러에 적용되는 실린더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고압의 가스를 사용하는 차량에 가스충전시 가스누출의 위험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되는 커플러의 내부에 연료의 공급 및 차단을 제어할 수 있는 실린더를 제공하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관형상으로 형성되어 일단에 실린더유입관이 돌출되고 타단에 실린더유출관이 돌출형성되되, 외측으로 보다 큰 직경을 갖는 스커트가 연장형성되는 실린더, 상기 실린더유입관에 연통되도록 연결되고 실린더가 전·후로 슬라이딩됨에 따라 연료의 공급이 제어되는 밸브조립체가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충전 커플러의 실린더어셈블리를 제공한다.
커플러, 실린더, 리셉터클

Description

연료충전 커플러의 실린더 어셈블리{Cylinder assembly of the coupler for fuel inflation}
본 발명은 커플러에 적용되는 실린더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고압의 가스를 사용하는 차량에 가스충전시 가스누출의 위험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되는 커플러의 내부에 연료의 공급 및 차단을 제어할 수 있는 실린더를 제공하도록 한 것이다.
최근에는 공기의 오염도를 감소시키기 위하여 청정연료의 사용이 증대되고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청정연료중의 하나인 가스를 연료로 사용하는 자동차가 증가됨에 따라 상기 가스를 자동차에 충전하기 위한 가스충전소가 증가됨으로써 가스의 취급에 따른 안전사고의 발생과 취급에 따른 안전사고의 발생이 증가되고 있는 실정이다.
위와 같은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커플러(COUPLER) 가 사용된다.
이는 고압의 가스를 사용하는 각종 차량에서 가스를 주입하는 주입구에서 가스누출의 위험을 방지함과 동시에 분리장착을 용이하도록 하기 위해 사용되는 부품을 칭한다.
흔히 발생되는 가스사고는 가스의 충전이 진행되고 있는 상태에서 충전중인 자동차가 출발하여 가스의 충전을 위한 충전기나 상기 충전기와 가스 저장탱크를 연결하는 공급관, 그리고 상기 공급관과 가스 저장탱크를 연결하는 커플러 중 한곳의 파손에 의한 가스의 누출 사고가 가장 빈번하며 누출된 가스의 폭발로 인한 대형사고의 발생까지 일으키게 되는 원인으로 대두된다.
즉, 충전중에 증발가스가 작업자의 인체로 유입되거나 증발가스의 미배출로 인한 연료의 오버플로우(overflow) 및 누출된 가스로 인한 화재발생 위험의 문제가 발생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출원인은 더욱 견고하고 기밀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커플러에 적용하여 설치할 수 있는 실린더 어셈블리를 착안하기에 이르렀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고압의 연료를 사용하는 각종 차량에서 연료를 주입하는 주입구에서 가스누출의 위험을 방지하기 위해 수시로 착탈되어 사용되는 커플러에 대하여 연료의 누출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구성된 실린더 어셈블리가 적용되어 설치됨으로써 커플러 내부의 기밀성을 더욱 향상시킴과 동시에 연료의 공급 및 차단을 단계적으로 나눌 수 있으므로 가스 누출에 따른 대형사고를 미연에 방지하여 가스 충전작업에 따른 안전성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관형상으로 형성되어 일단에 실린더유입관이 돌출되고 타단에 실린더유출관이 돌출형성되되, 외측으로 보다 큰 직경을 갖는 스커트가 연장형성되는 실린더, 상기 실린더유입관에 연통되도록 연결되고 실린더가 전·후로 슬라이딩됨에 따라 연료의 공급이 제어되는 밸브조립체가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충전 커플러의 실린더어셈블리를 제공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연료충전 커플러의 실린더어셈블리에 의하면, 고압의 연료를 사용하는 각종 차량에서 연료를 주입하는 주입구 에서 가스누출의 위험을 방지하기 위해 수시로 착탈되어 사용되는 커플러에 대하여 연료의 누출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구성된 실린더 어셈블리가 적용되어 설치됨으로써 커플러 내부의 기밀성을 더욱 향상시킴과 동시에 연료의 공급 및 차단을 단계적으로 나눌 수 있으므로 가스 누출에 따른 대형사고를 미연에 방지하여 가스 충전작업에 따른 안전성이 향상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원통형상으로 형성되어 일단에 실린더유입관이 돌출되고 타단에 실린더유출관이 돌출형성되되, 외측으로 보다 큰 직경을 갖는 스커트가 연장형성되는 실린더, 상기 실린더유입관에 연통되도록 연결되고 실린더가 전·후로 슬라이딩됨에 따라 연료의 공급이 제어되는 밸브조립체가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충전 커플러의 실린더어셈블리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밸브조립체에는 내부에 일측이 개방된 하우징이 형성되어 있고 타측에 설치된 코일스프링에 의해 탄지되며 하우징의 내벽에 대하여 슬라이딩되도록 형성된 체크밸브부재가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실린더에는
후단에 돌출형성된 실린더유입관의 후연부에 유입공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따른 연료충전 커플러의 실린더 어셈블리의 구성과 작용을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연료충전 커플러의 실린더 어셈블리가 커플러로부터 분해된 상태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커플러에 연료충전 커플러의 실린더 어셈블리가 조립되고 연료공급이 차단된 상태를 도시한 부분단면도이다.
도 3은 커플러에 연료충전 커플러의 실린더 어셈블리가 조립되고 연료공급이 가능한 상태를 도시한 부분단면도이다.
단, 도 3에 도시된 화살표는 충전연료의 진행경로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연료충전 커플러의 실린더 어셈블리는 커플러(10), 실린더(100), 밸브조립체(200)가 구비된다.
상기 커플러(10)는 실린더(100)가 내부에 설치될 수 있도록 소정의 공간이 마련된다.
상기 실린더(100)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되되, 내측 및 외측으로 이중관을 갖도록 형성된다.
즉, 내측에 형성된 관의 일단은 실린더유입관(120)으로 돌출형성됨으로써 커플러(10) 내부로 공급되는 연료가 유입되도록 연통된다.
한편, 실린더유입관(120)의 반대측 단부는 실린더유출관(130)으로 돌출형성됨으로써, 실린더(100)로 유입된 연료가 차량의 주입구측으로 연통되어 통과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실린더유입관(120) 및 실린더유출관(130)의 외측에는 보다 큰 직경을 갖도록 스커트(110)가 형성된다.
이때, 스커트(110)의 단부가 후술하게 될 가압부재(20)에 맞닿아 연동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와 동시에, 스커트(110) 내주면에 고정관(미도시)이 밀착되어 슬라이딩되며 내부에 통과하는 연료의 기밀성을 확보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고정관은 통상적으로 연료가 연통되어 통과하도록 형성된 유체관로를 의미한다.
한편, 상기 실린더(100)는 연료압송관(30)에 연통되도록 형성된다.
여기에서 연료압송관(30)은 전술한 바와 같이 차량의 주입구측으로 연통되도록 커플러(10) 내부에 마련되어 연료가 공급되는 유체관로를 의미한다.
한편, 스커트(110)의 일측이 가압부재(20)에 접촉되어 가압부재(20)의 가압작용에 의해 전·후로 연동된다.
이때, 가압부재(20)는 바(bar)형상으로 형성되어 가압부재(20)를 작동시킬 수 있도록 마련된 장치(미도시)에 의해 후측 및 전측으로 힘이 전달될 수 있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가압부재(20)는 커플러(10) 내부로부터 실린더(100)의 연료공급 상 태를 제어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별도로 마련된 캠(미도시)의 회전이나 슬라이딩에 의해 가압연동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밸브조립체(200)는 내부에 일측이 개방된 하우징(230)이 형성되어 있고 타측 내부에 설치된 코일스프링(220)에 의해 탄지되며 슬라이딩되도록 형성된 체크밸브부재(210)가 구비된다.
이때, 하우징(230) 내부에서 체크밸브부재(210)가 하우징(230)의 내부면에 밀착되어 슬라이딩됨으로써 하우징(230) 내부의 기밀성을 유지하도록 한다.
또한, 하우징(230)의 외부로 노출되어 있는 체크밸브부재(210)의 일단은 실린더유입관(120)에 연통되도록 위치한다.
이때, 실린더(100)의 실린더유입관(120)이 체크밸브부재(210)와 접촉되어 연동되므로 코일스프링(220)에 의해 탄지되는 것이다.
이때, 실린더유입관(120) 후단에 근접하도록 측면에 유입공(140)이 천공형성된다.
즉, 실린더(100)가 가압부재(20)에 의해 가압되어 후측으로 밀려나게 될 때 유입공(140)이 하우징(230)의 내부로 위치함으로써 후술하게 될 공급호스연결부(40)로부터 공급되는 연료가 실린더(100) 내부로 연통되는 것이다.
또한, 밸브조립체(200)의 후단으로 공급호스를 연결할 수 있는 연료공급호스 연결부(40)가 구비된다.
이때, 연료공급호스연결부(40)는 연료탱크(미도시)로부터 공급되는 연료를 커플러(10) 내부로 유입시키는 기능을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연료충전 커플러의 실린더 어셈블리의 작동관계를 자세하게 설명한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압부재(20)가 실린더(100)의 스커트(110)에 가압작용되지 않는 상태에서는 실린더(100)의 실린더유입관(120)이 하우징(230) 내부로부터 차단되어 있다.
이때, 실린더유입관(120)의 유입공(140) 역시 하우징(230) 내부와 차단되어 있게 된다.
따라서, 연료공급호스 연결부(40)로부터 공급된 고압의 연료는 체크밸브부재(210)까지만 도달하게 되며 연료의 공급이 차단된다.
한편,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압부재(20)에 의해 스커트(110)가 후측으로 가압작동되면 상기 실린더(100)는 후측으로 슬라이딩된다.
이때, 실린더유입관(120)이 후측에 위치하고 있는 체크밸브부재(210)를 밀어낸다.
이와 동시에, 실린더유입관(120)이 하우징(230) 내부로 인입된다.
이때, 실린더유입관(120)의 유입공(140)이 하우징(230)의 내부로 인입됨과 동시에 체크밸브부재(210)까지 도달해있던 고압의 연료가 유입공(140)을 통하여 커플러(10) 내부로 연통된다.
한편, 상기 가압부재(20)로부터 가압작용이 소거되면 코일스프링(220)에 의해 탄지되는 체크밸브부재(210)가 재차 실린더유입관(120)을 전측으로 밀어내므로 유입공(140)이 하우징(230)의 내부로부터 벗어남과 동시에 연료의 공급이 차단된다.
따라서, 고압의 가스를 사용하는 각종 차량에서 가스를 주입하는 주입구에서 가스누출의 위험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커플러의 내부에 실린더조립체의 기밀성을 더욱 향상시킴으로써 가스 누출에 따른 대형사고를 미연에 방지하여 가스 충전작업에 따른 안전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연료충전 커플러의 실린더 어셈블리가 분해된 상태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연료충전 커플러의 실린더 어셈블리가 커플러에 적용되어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부분단면도.
도 3은 도 2에 도시한 실린더의 연료공급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10 : 커플러 20 : 가압부재
30 : 연료압송관 40 : 연료공급호스연결부
100 : 실린더 110 : 스커트
120 : 실린더유입관 130 : 실린더유출관
140 : 유입공 200 : 밸브조립체
210 : 체크밸브부재 220 : 코일스프링
230 : 하우징

Claims (3)

  1. 관형상으로 형성되어 일단에 실린더유입관이 돌출되고 타단에 실린더유출관이 돌출형성되되, 외측으로 보다 큰 직경을 갖는 스커트가 연장형성되는 실린더;
    상기 실린더유입관에 연통되도록 연결되고 실린더가 전·후로 슬라이딩됨에 따라 연료의 공급이 제어되는 밸브조립체가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충전 커플러의 실린더어셈블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조립체에는
    내부에 일측이 개방된 하우징이 형성되어 있고 타측에 설치된 코일스프링에 의해 탄지되며 하우징의 내벽에 대하여 슬라이딩되도록 형성된 체크밸브부재가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충전 커플러의 실린더어셈블리.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에는
    후단에 돌출형성된 실린더유입관의 후연부에 유입공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충전 커플러의 실린더 어셈블리.
KR1020080010106A 2008-01-31 2008-01-31 연료충전 커플러의 실린더 어셈블리 KR2009008411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0106A KR20090084116A (ko) 2008-01-31 2008-01-31 연료충전 커플러의 실린더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0106A KR20090084116A (ko) 2008-01-31 2008-01-31 연료충전 커플러의 실린더 어셈블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4116A true KR20090084116A (ko) 2009-08-05

Family

ID=412047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10106A KR20090084116A (ko) 2008-01-31 2008-01-31 연료충전 커플러의 실린더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84116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2595A (ko) * 2018-06-29 2020-01-08 주식회사 화영 브레이크 어웨이 장치
KR102277327B1 (ko) * 2020-03-10 2021-07-14 하이리움산업(주) 액화수소 저장탱크용 가스배출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2595A (ko) * 2018-06-29 2020-01-08 주식회사 화영 브레이크 어웨이 장치
KR102277327B1 (ko) * 2020-03-10 2021-07-14 하이리움산업(주) 액화수소 저장탱크용 가스배출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98131B1 (ko) 캡리스 연료 시스템
EP2657008B1 (en) Vehicle-carried air compressor device
TW202043079A (zh) 車載用空氣壓縮機之串接軟管的防噴發接頭結構
WO2016147869A1 (ja) 樹脂製給油口
KR102429166B1 (ko) 인-탱크 레귤레이터 압력 측정 시스템
KR20090084116A (ko) 연료충전 커플러의 실린더 어셈블리
KR100951058B1 (ko) 리셉터클 커넥터 조립체
JP2009056681A (ja) タイヤのパンク修理装置
EP1339607A4 (en) BREATHER VALVE ARRANGEMENT
PL205152B1 (pl) Połączenie dla dyszy wylotowej i dyszy wlotowej oraz złączka układu dolotowego sprężonego gazu
JP2010167742A (ja) シーリング・ポンプアップ装置
JP2006117193A (ja) シーリング・ポンプアップ装置
KR100975422B1 (ko) 연료충전 커플러
KR200449630Y1 (ko) Lpg용기의 밸브어셈블리용 자동차단장치
CN113816328A (zh) 兼顾车载油气回收系统和加油站二次油气回收系统的加油枪以及加油机
KR101238758B1 (ko) 외장형 연료 펌프에 장착되는 연료 이송용 밸브
JP3780365B2 (ja) 燃料フィルタ連結口の逆流防止装置
KR100928645B1 (ko) 냉매 주입용 커플러
KR100942556B1 (ko) 커플러용 레버조립체
KR102370965B1 (ko) 연료 주유 시스템의 연료 역류 방지 장치
IT201800005226A1 (it) Pistola per erogare gpl e combustibili simili
TWI837719B (zh) 具充氣及補胎的急救裝置
KR20120043431A (ko) 파이프 연결 유닛 및 이를 구비한 차량의 연료 공급 장치
JP2010234795A (ja) シーリング・ポンプアップ装置
JP2019049242A (ja) ドレン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