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75422B1 - 연료충전 커플러 - Google Patents

연료충전 커플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75422B1
KR100975422B1 KR1020080007434A KR20080007434A KR100975422B1 KR 100975422 B1 KR100975422 B1 KR 100975422B1 KR 1020080007434 A KR1020080007434 A KR 1020080007434A KR 20080007434 A KR20080007434 A KR 20080007434A KR 100975422 B1 KR100975422 B1 KR 1009754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
coupler
fuel
cylinder
diame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074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81526A (ko
Inventor
남대우
이종태
이재하
Original Assignee
(주)덕양에너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덕양에너젠 filed Critical (주)덕양에너젠
Priority to KR10200800074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75422B1/ko
Publication of KR200900815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815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754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754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5/00Methods or apparatus for filling containers with liquefied, solidified, or compressed gases under pressures
    • F17C5/02Methods or apparatus for filling containers with liquefied, solidified, or compressed gases under pressures for filling with liquefied ga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13/00Details of vessels or of the filling or discharging of vessels
    • F17C13/04Arrangement or mounting of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05/00Vessel construction, in particular mounting arrangements, attachments or identifications means
    • F17C2205/03Fluid connections, filters, valves, closure means or other attachments
    • F17C2205/0302Fittings, valves, filters, or components in connection with the gas storage device
    • F17C2205/0323Valves
    • F17C2205/0335Check-valves or non-return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05/00Vessel construction, in particular mounting arrangements, attachments or identifications means
    • F17C2205/03Fluid connections, filters, valves, closure means or other attachments
    • F17C2205/0302Fittings, valves, filters, or components in connection with the gas storage device
    • F17C2205/037Quick connecting means, e.g. coupl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Quick-Acting Or Multi-Walled Pipe Joi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연료충전 커플러에 관한 것으로, 특히 차량의 연료주입시 연결되어 사용되는 커플러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작동레버가 연결된 회전축에 동심원상으로 작동캠 및 볼밸브가 구비된 레버조립체, 작동캠과 볼밸브가 내부에 안치될 수 있도록 공간이 형성된 커플러몸체, 상기 커플러몸체의 전단에 나사결합되고 그 내부에서 연료의 공급 및 주입을 제어하는 리셉터클 결합부, 상기 작동캠의 회전에 의해 연동되어 전·후로 슬라이딩됨으로써 연료의 공급을 제어하는 실린더가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충전 커플러를 제공한다.
커플러몸체, 레버조립체, 공급부, 리셉터클 결합부

Description

연료충전 커플러{Coupler for fuel inflation}
본 발명은 연료충전 커플러에 관한 것으로, 특히 차량의 연료주입시 연결되어 사용되는 커플러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공기의 오염도를 감소시키기 위하여 청정연료의 사용이 증대되고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연료중의 하나인 가스를 연료로 사용하는 자동차가 증가됨에 따라 상기 가스를 자동차에 충전하기 위한 가스충전소가 증가됨으로써 가스의 취급에 따른 안전사고의 발생과 취급에 따른 안전사고의 발생이 증가되고 있는 실정이다.
위와 같은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커플러(COUPLER)가 사용된다.
이는 고압의 가스를 사용하는 각종 차량에서 가스를 주입하는 주입구에서 가스누출의 위험을 방지함과 동시에 분리장착을 용이하도록 하기 위해 사용되는 부품을 칭한다.
흔히 발생되는 가스사고는 가스의 충전이 진행되고 있는 상태에서 충전중인 자동차가 출발하여 가스의 충전을 위한 충전기나 상기 충전기와 가스 저장탱크를 연결하는 공급관, 그리고 상기 공급관과 가스 저장탱크를 연결하는 커플러 중 한곳의 파손에 의한 가스의 누출 사고가 가장 빈번하며 누출된 가스의 폭발로 인한 대형사고의 발생까지 일으키게 되는 원인으로 대두된다.
또한, 음속의 가스가 통과되기 때문에 그 결합구조가 견고해야 하는바, 상기 공급관과 가스 저장탱크를 연결하는 커플러의 취약부가 파손되어 상기 가스 저장탱크로 충전된 가스가 역으로 누출되는 현상이 발생되어 가스의 폭발 등과 같은 대형사고의 발생과 그에 따른 금전상의 인명을 위협하게 되는 매우 심각한 문제가 초래된다.
위와 같은 이유로 손상된 충전기 및 커플러를 인지하지 못하고 이를 사용함으로써 연료 주입중이나 주입완료시 누출되는 증발가스로 인해 작업환경에 악영향을 끼치게 된다.
즉, 증발가스가 작업자의 인체로 유입되거나 증발가스의 미배출로 인한 연료의 오버플로우(overflow) 및 누출된 가스로 인한 화재발생 위험의 문제가 발생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출원인은 더욱 견고하고 치밀한 구조로 이루어진 연료충전커플러를 착안하기에 이르렀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고압의 가스를 사용하는 각종 차량에서 가스를 주입하는 주입구에 발생되는 가스누출의 위험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되는 커플러의 분리장착을 용이하도록 할 뿐만 아니라, 그 구조를 견고하고 긴밀하게 하여 가스 누출에 따른 대형사고를 미연에 방지함으로써 가스 충전작업에 따른 안전성이 향상되도록 한 가스 저장탱크의 가스 주입용 커플러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작동레버가 연결된 회전축에 동심원상으로 작동캠 및 볼밸브가 구비된 레버조립체, 작동캠과 볼밸브가 내부에 안치될 수 있도록 공간이 형성된 커플러몸체, 상기 커플러몸체의 전단에 나사결합되고 그 내부에서 연료의 공급 및 주입을 제어하는 리셉터클 결합부, 상기 작동캠의 회전에 의해 연동되어 전·후로 슬라이딩됨으로써 연료의 공급을 제어하는 실린더가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충전 커플러를 제공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연료충전커플러에 의하면, 고압의 가스를 사용하는 각종 차량에서 가스를 주입하는 주입구에 발생되는 가스누출의 위험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되는 커플러의 분리장착을 용이하도록 할 뿐만 아니라, 그 구조를 견고하고 긴밀하게 하여 가스 누출에 따른 대형사고를 미연에 방지함으 로써 가스 충전작업에 따른 안전성이 향상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따른 연료충전커플러의 구성과 작용을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연료충전커플러를 도시한 결합사시도, 도 2는 도 1의 레버조립체에 대한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1의 리셉터클 결합부에 대한 분해사시도, 도 4는 도 1의 공급부에 대한 분해사시도, 도 5a는 도 1의 작동레버가 초기상태에 위치할 때의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5b는 도 5a를 도시한 A-A선 단면도, 도 6a는 도 1의 작동레버가 중립상태에 위치할 때 리셉터클을 장착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6b는 도 6a를 도시한 A-A선 단면도, 도 7a는 도 1의 작동레버가 공급상태일 때의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7b는 도 7a를 도시한 A-A선 단면도, 도 8a는 도 1의 작동레버를 중립상태로 회동시킨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8b는 도 8a를 도시한 A-A선 단면도이다.
단, 도 7b과 도 8b에 도시된 화살표는 충전가스의 진행경로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연료충전커플러에는 커플러몸체(100), 레버조립체(200), 리셉터클 결합부(300), 공급부(400)가 구비된다.
상기 커플러몸체(100)는 레버조립체(200) 및 공급부(400)가 내부에서 보호될 수 있도록 소정의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리셉터클 결합부(300)가 결합될 수 있도록 커플러몸체(100)의 전단 및 후단에 결합수단이 구비된다.
이때, 커플러몸체(100)의 양단 외주면 및 내주면상에 나사산 및 골(미도시)을 형성하여 나사결합이 가능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레버조립체(200)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3단계로 나뉘어 회전됨으로써 연료충전커플러의 작동단계를 제어하게 된다.
상기 커플러몸체(100)의 일측면에 도넛 형상으로 형성된 체결판(210)이 결합되고 체결판(210)의 중앙을 관통하도록 하여 작동캠(220)이 인입설치된다.
작동캠(220)은 바닥면 중앙으로부터 내측으로 홈파기 가공되어 축홈(230a)이 형성된다.
또한, 축홈(230a)에 중간끼워맞춤으로 끼워지도록 연동축(230)이 구비되고 그 하단은 후술하게 될 볼밸브(270)에 결합되어서 회전축(223)과 일체로 회전되도록 형성한다.
한편, 체결판(210)의 상면에 결합됨으로써 커플러몸체(100)의 내부를 보호할 수 있도록 체결판(210)과 동일한 직경의 원형으로 된 체결덮개(250)가 구비되되, 중심으로부터 상측으로 중공형태의 돌주(251)가 돌출형성되고, 돌주(251)의 일측연에 관통공(252)이 형성된다.
이때, 체결판(210)과 체결덮개(250)의 사이에는 연결판(240)이 결합되는데 연결판(240)은 체결볼트(240a) 및 너트부(211) 등의 수단으로 결합할 수 있으며 와셔(미도시)나 베어링(미도시) 등의 부재를 부설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작동캠(220)의 회전이 부드럽게 작동되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작동레버(260)는 손으로 파지하기 용이한 형상으로 형성된 파지 부(261)가 일측에 구비되고 타측 단부에 수나사부(262)가 형성되는데, 작동레버(260)는 수나사부(262)가 관통공(252)을 지나도록 하여 회전축(223)의 상연부에 형성된 암나사부(224)에 결합된다.
작동캠(220)은 상부캠(221) 및 하부캠(222)으로 구분되어 형성되고 회전축(223)에 의해 연결된 작동레버(260)와 일체로 회전된다.
상부캠(221)은 후술하게 될 푸쉬로드(221a)의 일단에 밀착지지되는 위치로 형성됨으로써 작동레버(260)가 초기상태로부터 90도 이상 회전시에만 푸쉬로드(221a)를 전측으로 밀어내도록 상부캠(221)이 형성된다. 도 2와 9에 나타난 바와 같이, 이 상부캠(221)에는 푸쉬로드(221a)가 지지되는 지지홈이 형성되며, 이 지지홈은 작동레버(260)가 초기상태로부터 90도 이상 회전시에만 푸쉬로드(221a)를 밀어내도록 초승달 형상을 가진다.
한편, 하부캠(222)은 후술하게 될 실린더(410)의 스커트(420)에 밀착되어 지지되되, 초기상태의 작동레버(260)를 180도 회전할 시에만 실린더(410)를 후측으로 밀어내도록 하부캠(222)이 형성된다.
도 9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부캠(221)은 횡단면의 일측 반원의 직경보다 적어도 두 배 이상의 크기가 되도록 타측 반원을 커팅가공하고, 하부캠(222)은 상부캠(221)의 하측에 위치하여 상부캠(221)보다 작은 직경을 갖고 회전중심으로부터 상부캠(221)의 커팅가공된 면을 향하여 수직편심되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작동캠(220)의 하단에 근접하여 볼하우징(280)이 형성되는데, 볼하우징(280)의 전단 및 후단에는 볼하우징공급관(281) 및 볼하우징유입관(282)이 각각 돌출형성되고, 하단에는 잔류가스를 배출할 수 있도록 배기관(290)이 형성된다.
또한, 볼하우징(280)의 내부에는 회전축(223)의 단부가 위치하는데, 단부에 볼밸브(270)가 연장형성되되, 볼밸브(270)의 중앙이 관통되는 볼밸브홀(271)이 구 비된다.
또한, 볼밸브(270)는 회전축(223)과 일체로 회전되되, 작동레버(260)가 초기상태로부터 매 90도 회전시마다 전측과 후측의 내부유로(미도시)를 연결 및 차단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한편, 상기 리셉터클 결합부는 종래와 같은 리셉터클(10)을 장착할 수 있도록 형성함과 동시에 연료주입의 제어를 담당하게 된다.
이에, 볼하우징유입관(282)과 연통되도록 제1하우징 조립체(310)가 연결됨과 동시에 제1하우징 조립체(310) 외주면에 밀착되도록 연결관체(320)가 위치한다.
연결관체(320)는 전단에 걸림환홈(321)이 구비되어 후술하게 될 클립계지구(330)의 후단을 고정할 수 있도록 형성한다.
한편, 제1하우징 조립체(310)는 내부에 제1코일스프링(340)에 의해 탄지되어 후술하게 될 체크밸브관(350)이 전·후로 슬라이딩될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되어 제1하우징(311)을 형성한다.
체크밸브관(350)의 후단에 근접하도록 측면에 유입공(351)을 천공형성함으로써 체크밸브관(350)이 제1하우징조립체(310) 내부로 인입되었을 시, 유입공(351)에 의해 연통되도록 형성한다.
한편, 연결관체(320)의 외주면에 대하여 전·후로 슬라이딩되도록 이동관(360)이 위치한다.
또한, 리셉터클 결합부(300)가 내부에서 보호될 수 있도록 공간이 형성된 헤드케이스(370)의 일단이 커플러몸체(100)의 전단에 결합되되, 이동관(360)의 후단 과 헤드케이스(370) 내주면에 각각 형성되는 환턱(361,371)의 사이로 위치하는 제2코일스프링(380)에 의해 탄지된다.
상기 제2코일스프링(380)의 탄성력으로 인하여 바(bar) 형상으로 형성된 푸쉬로드(221a)의 양단이 이동관(360)의 후단과 상부캠(221) 사이에서 밀착되어 지지된다.
따라서, 상부캠(221)의 회전에 의해 이동관(360)이 전·후로 연동된다.
한편, 상기 걸림환홈(321)과 클립계지구(330)의 후단이 상호 걸림작용으로 고정되되, 클립계지구(330)의 전단 내연부를 언더컷(331)으로 형성하고, 전단 외연부에는 전측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직경이 증가하는 형상의 확경부(332)가 형성된다.
클립계지구(330)는 상기와 같은 형상의 부재가 원주를 따라 균등한 간격으로 다수 연속형성된 형태로서, 직경의 축소와 확장이 가능하도록 형성한다.
따라서, 이동관(360)이 전측으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이동관(360)의 전단 내주연이 확경부(332)를 지나게 되면 클립계지구(330)의 전단이 조여짐과 동시에 언더컷(331)에 의해 리셉터클(10)의 단부가 견고하게 고정결합된다.
또한, 이동관(360)이 후측으로 이동하여 이동관(360)의 전단 내연부가 확경부(332)로부터 벗어나면 클립계지구(330) 전단의 직경이 재차 확장되도록 형성한다.
상기 공급부(400)의 실린더(410)는 볼하우징공급관(281)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형성되어서 전측 및 후측으로 슬라이딩되도록 위치한다.
또한, 실린더(410)의 전단 테두리로부터 보다 큰 직경으로 연장형성된 스커트(430)의 일측이 전술한 바와 같이 하부캠(222)과 접촉 및 지지되어서 하부캠(222)의 회전에 의해 전·후로 연동된다.
또한, 실린더공급관(430)에 연통되도록 체크밸브부재(440)가 위치하고 체크밸브부재(440)는 제2하우징조립체(450)의 내부에서 제3코일스프링(460)에 의해 탄지된다.
상기와 같이 실린더공급관(430)과 체크밸브부재(440)가 서로 연동되므로 실린더는 제3코일스프링(460)에 의해 탄지되는 것이다.
또한, 실린더공급관(430) 후단에 근접하도록 측면에 공급공(431)이 천공형성되어서, 실린더(410)가 하부캠(222)에 의해 후측으로 밀려나게 될 때 공급공(431)이 제2하우징조립체(450)의 내부로 위치함으로써 연통되도록 한다.
또한, 제2하우징조립체(450)의 후단으로 공급호스를 연결할 수 있는 수단(미도시)이 구비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연료충전커플러의 작동관계를 각 단계별로 설명한다.
최초의 작동레버(260)는 도 5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위치하게 되고, 이 때 도 5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실린더(410)와 공급호스측(미도시)은 서로 차단되어 있으므로 연료공급은 진행되지 않고, 제2하우징(451) 내부는 고압상태가 된다.
또한, 이동관(360)은 클립계지구(330)의 확경부(332)에 접촉되지 않은 상태로 제1코일스프링(340)에 의해 탄지된다.
한편, 작동레버(260)를 도 6a에 도시한 바와 같이 90도 회전시키면 도 6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작동캠(220) 및 볼밸브(270)가 연동되어 90도 회전됨에 따라, 작동캠(220) 중 상부캠(221)의 회전으로 인하여 푸쉬로드(221a)를 전측으로 밀게 되고 이에 연동되어 이동관(360)이 전측으로 슬라이딩 된다.
따라서, 이동관(360)의 전단 내주연이 클립계지구(330)의 확경부(332)를 내측으로 조이게 되므로 클립계지구(330)의 언더컷(331)과 리셉터클(10)의 단부가 견고하게 고정결합됨과 동시에 볼밸브(270)에 의해 볼하우징(280)의 내부가 차단된다.
이때, 리셉터클(10)이 장착됨과 동시에 체크밸브관(350)을 후측으로 밀게 되므로 유입공(351)이 제1하우징(311) 내부와 연통되어 연료공급이 가능한 상태로 된다.
한편, 작동레버(260)를 도 7a에 도시한 바와 같이 90도 더 회전시키면 도 7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작동캠(220) 및 볼밸브(270)가 연동되어 90도 회전된다.
이때, 하부캠(222)이 실린더(410)의 스커트(420)를 후측으로 밀어내어서 실린더(410)의 실린더공급관(430)이 연동되며 체크밸브부재(440)를 밀게되므로 공급공(431)이 제2하우징조립체(450)과 연통된다.
또한, 볼밸브(270)는 재차 내부유로를 연통시키므로 연료는 볼밸브(270)를 지나서 제1하우징(311)을 통과하여 리셉터클(10)로 배출된다.
한편, 연료주입을 끝마친 후에는 작동레버(260)를 도 8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재차 90도 회전시키면 도 8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작동레버(260)가 상기와 반대쪽으 로 90도 회전되어 하부캠(222)에 의해 실린더(410)가 전측으로 슬라이딩되므로 공급공(431)이 제2하우징조립체(450)로부터 차단된다.
따라서, 실린더(410)의 내부, 볼하우징(280) 및 제1하우징(311) 내부의 잔류가스는 볼하우징(280) 하측에 마련되어 있는 배기관(290)을 따라 배출호스(미도시)로 빠져나가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연료충전커플러를 도시한 결합사시도.
도 2는 도 1의 레버조립체에 대한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1의 리셉터클 결합부에 대한 분해사시도..
도 4는 도 1의 공급부에 대한 분해사시도.
도 5a는 도 1의 작동레버가 초기상태에 위치할 때의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5b는 도 5a를 도시한 A-A선 단면도.
도 6a는 도 1의 작동레버가 중립상태에 위치할 때 리셉터클을 장착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6b는 도 6a를 도시한 A-A선 단면도.
도 7a는 도 1의 작동레버가 공급상태일 때의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7b는 도 7a를 도시한 A-A선 단면도.
도 8a는 도 1의 작동레버를 재차 중립상태로 회동시킨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8b는 도 8a를 도시한 A-A선 단면도.
도 9는 도 1의 레버조립체중 작동캠에 대한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100 : 커플러몸체 200 : 레버조립체
210 : 체결판 211 : 너트부
220 : 작동캠 221 : 상부캠
221a : 푸쉬로드
222 : 하부캠 223 : 회전축
224 : 암나사부 230 : 연동축
230a: 축홈 240 : 연결판
240a: 체결볼트 250 : 체결덮개
251 : 돌주 252 : 관통공
260 : 작동레버 261 : 파지부
262 : 수나사부 290 : 배기관
300 : 리셉터클 결합부 310 : 제1하우징 조립체
311 : 제1하우징 320 : 연결관체
321 : 걸림환홈 330 : 클립계지구
331 : 언더컷 332 : 확경부
340 : 제1코일스프링 350 : 체크밸브관
351 : 유입공 360 : 이동관
370 : 헤드케이스 380 : 제2코일스프링
400 : 공급부 410 : 실린더
420 : 스커트 430 : 실린더공급관
431 : 공급공 440 : 체크밸브부재
450 : 제2하우징조립체 451 : 제2하우징
460 : 제3코일스프링 470 : 바디케이스

Claims (11)

  1. 작동레버가 연결된 회전축에 동심원상으로 작동캠 및 볼밸브가 구비된 레버조립체;
    상기 작동캠과 볼밸브가 내부에 안치될 수 있도록 공간이 형성된 커플러몸체;
    상기 커플러몸체의 전단에 결합되는 리셉터클 결합부; 및
    상기 작동캠에 인접하여 원통형상으로 형성되되, 내측 및 외측으로 이중관을 갖는 실린더;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연료충전 커플러에 있어서,
    상기 레버조립체에는
    도넛 형상으로 형성되고 커플러몸체의 일측면에 형성되는 체결판;
    상기 체결판의 중앙을 관통하여 인입설치되는 작동캠;
    상기 작동캠보다 작은 직경을 갖고 작동캠의 상면으로부터 연장되어 돌출형성되고 상연부 일측에 암나사부가 형성된 회전축;
    상기 작동캠의 바닥면 중앙으로부터 내측으로 홈파기 가공하여 축홈이 형성되고 축홈에 중간끼워맞춤으로 끼워지도록 형성된 연동축;
    상기 체결판에 대응하는 직경으로 형성되어 결합되는 연결판;
    상기 연결판의 상면에 위치하고 중심으로부터 상측으로 중공형태의 돌주가 돌출형성되되, 돌주의 일측연에 관통공이 형성되는 체결덮개; 및
    일단에 형성된 수나사부가 상기 관통공을 통하여 회전축의 암나사부에 나사결합되고 타단에 파지부가 형성된 작동레버가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충전커플러.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동축의 하단에 중간끼워맞춤으로 끼워져서 회전축과 일체로 회전되도록 볼밸브가 위치함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충전커플러.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캠은 상부캠 및 하부캠으로 나뉘어 형성되되,
    상부캠은 횡단면의 일측 반원의 직경보다 적어도 두 배 이상의 크기가 되도록 타측 반원을 커팅가공하고,
    하부캠은 상부캠의 하측에 위치하여 작동캠보다 작은 직경을 갖고 회전중심으로부터 상부캠의 커팅가공된 면을 향하여 수직편심되도록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충전커플러.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리셉터클 결합부에는
    전단에 근접하는 내주면에 환턱이 형성되고, 후단이 상기 커플러몸체의 전단에 결합되는 헤드케이스;
    상기 헤드케이스의 내주면에 대하여 전·후로 슬라이딩되되 그 후단에 환턱 을 구비하는 이동관;
    상기 커플러몸체의 전단에 결합되고 전연부에 걸림환홈을 구비하는 연결관체;
    상기 걸림환홈에 일단이 결착되어 상기 이동관이 전·후로 슬라이딩됨에 따라 직경이 축소 및 확대되는 클립계지구; 및
    상기 연결관체의 내주면에 대하여 슬라이딩되되 제2코일스프링에 의해 탄지되며 후연부에 유입공이 천공형성된 체크밸브관이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충전커플러.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관은
    후단에 형성된 환턱에 제1코일스프링의 일단이 위치하고 제1코일스프링의 타단은 상기 헤드케이스의 환턱에 지지됨으로써 탄지됨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충전커플러.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캠은 상부캠 및 하부캠으로 나뉘어 형성되되, 상기 상부캠과 이동관의 후단 사이를 밀착하여 지지하는 푸쉬로드가 부설됨으로써,
    상기 상부캠이 푸쉬로드의 일단에 밀착지지되도록 위치하여 작동레버가 초기상태로부터 90도 이상 회전될 시에만 푸쉬로드가 전측으로 가압되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충전커플러.
  8.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클립계지구는
    전단 내주면이 언더컷으로 형성되고 외주면에는 전측으로 갈 수록 직경이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확경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충전커플러.
  9. 제 1항에 있어서, 실린더에는
    전단 테두리로부터 보다 큰 직경의 스커트가 연장형성되고, 실린더의 후단에 돌출형성된 실린더공급관의 측면에 공급공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충전커플러.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공급관에 연통되도록 결합되고 제3코일스프링에 의해 탄지됨과 동시에 제2하우징 내부에서 전·후로 슬라이딩됨으로써 연료의 공급을 제어하는 체크밸브부재가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충전커플러.
  11. 제 9항에 있어서,
    하부캠은 실린더의 스커트에 밀착되어 지지되되, 작동레버가 초기상태로부터 180도 회전될 시에만, 상기 작동레버와 회전축에 의해 일체로 연결된 상기 하부캠에 의해 실린더가 후측으로 가압되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충전커플러.
KR1020080007434A 2008-01-24 2008-01-24 연료충전 커플러 KR1009754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7434A KR100975422B1 (ko) 2008-01-24 2008-01-24 연료충전 커플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7434A KR100975422B1 (ko) 2008-01-24 2008-01-24 연료충전 커플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1526A KR20090081526A (ko) 2009-07-29
KR100975422B1 true KR100975422B1 (ko) 2010-08-12

Family

ID=412927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07434A KR100975422B1 (ko) 2008-01-24 2008-01-24 연료충전 커플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7542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76142A (ko) 2016-12-27 2018-07-05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탈장착이 편리한 캡을 갖는 완속 충전 커플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77327B1 (ko) * 2020-03-10 2021-07-14 하이리움산업(주) 액화수소 저장탱크용 가스배출장치
CN113983350A (zh) * 2021-11-26 2022-01-28 优捷特清洁能源有限公司 一种浮动式搬手及加氢枪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82494U (ja) * 1993-05-06 1994-11-25 小澤物産株式会社 カップリング構造
JPH07279907A (ja) * 1994-04-07 1995-10-27 Hitachi Constr Mach Co Ltd 減圧弁型パイロット弁
KR19990014622A (ko) * 1998-11-27 1999-02-25 이병철 밸브개폐장치
KR200167980Y1 (ko) 1999-08-09 2000-02-15 이경일 커플러
KR20010067980A (ko) * 2001-04-12 2001-07-13 김충지 진동 및 음향을 발생하는 스피커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82494U (ja) * 1993-05-06 1994-11-25 小澤物産株式会社 カップリング構造
JPH07279907A (ja) * 1994-04-07 1995-10-27 Hitachi Constr Mach Co Ltd 減圧弁型パイロット弁
KR19990014622A (ko) * 1998-11-27 1999-02-25 이병철 밸브개폐장치
KR200167980Y1 (ko) 1999-08-09 2000-02-15 이경일 커플러
KR20010067980A (ko) * 2001-04-12 2001-07-13 김충지 진동 및 음향을 발생하는 스피커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76142A (ko) 2016-12-27 2018-07-05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탈장착이 편리한 캡을 갖는 완속 충전 커플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1526A (ko) 2009-07-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105707B2 (ja) 自動車の緊急パンク修理キット
JP3186544U (ja) タイヤ修理機械の迅速な着脱装置
US7849882B1 (en) Double plug head for plugging pipe
CA2752997A1 (en) Pipe connector
KR100975422B1 (ko) 연료충전 커플러
KR100689081B1 (ko) Lpi 차량의 외장형 연료필터
WO2019142122A1 (en) Filter unit
KR100951058B1 (ko) 리셉터클 커넥터 조립체
KR100942556B1 (ko) 커플러용 레버조립체
KR100984330B1 (ko) Lpg 차량의 연료필터
CN110056729A (zh) 一种便于安装的高压管接头
CN107269483B (zh) 一种柱塞泵及其对应的清洗机
CN202659185U (zh) 弹性释放丢手工具
KR101414406B1 (ko) 평면 슬라이딩식 엘피지 충전기
CN201302038Y (zh) 自动充气装置
KR20130065088A (ko) 천연가스 자동차용 연료필터
CN210970568U (zh) 一种用于汽车仪表的胎压监测装置
KR101124289B1 (ko) 커플러용 체크밸브
KR20080093687A (ko) 잔류엔진오일 제거장치
KR20090084116A (ko) 연료충전 커플러의 실린더 어셈블리
WO2013175351A1 (en) A rapid coupling for threaded or profiled terminals
CN112963590B (zh) 嵌入式快速截流单向阀套及方法
CN220320544U (zh) 一种高压气瓶快接卡具
CN116293150A (zh) 一种用于氢气管束车的快速接头
CN210239711U (zh) 供煤矿综采液压支架使用的氮气安全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31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