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14622A - 밸브개폐장치 - Google Patents

밸브개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14622A
KR19990014622A KR1019980051210A KR19980051210A KR19990014622A KR 19990014622 A KR19990014622 A KR 19990014622A KR 1019980051210 A KR1019980051210 A KR 1019980051210A KR 19980051210 A KR19980051210 A KR 19980051210A KR 19990014622 A KR19990014622 A KR 199900146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shaft
bonnet
rotating body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512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병철
Original Assignee
이병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병철 filed Critical 이병철
Priority to KR10199800512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14622A/ko
Publication of KR199900146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14622A/ko

Links

Abstract

본 발명은 핸들의 회전력이 동일축상을 통하여 전달되도록 구성하여 부피를 최소화 할 수 있음은 물론 적은 힘으로도 용이하게 밸브의 유로를 개방 및 폐쇄할 수 있는 밸브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유로(70)와 연통된 보닛공(72)이 수직방향으로 형성되고, 이 유로(70)에 이송공급관이 각각 결합된 동체(74)와, 상기 유로(70)의 내측에 회전가능하게 삽입되어 유로(70)를 선택적으로 차단 및 개폐하는 통로(82)를 갖는 볼(78)이 하단에 일체로 결합되고, 상단에 키이홈(81)이 형성된 작동축(80)과, 내측에 암나사(90)가 형성된 제 1축공(86) 및 이 제 1축공(86)보다 작은 내경을 갖는 제 2축공(88)이 중심부에 순차적으로 형성되고, 하단이 상기 동체(74)에 형성된 보닛공(72)에 삽입고정되는 보닛(84)과, 상기 보닛(84)의 제 1축공(86)과 작동축(80)의 외주면 사이에 개재되어 외부의 이 물질이 보닛(84)의 내측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패킹소자(92)와, 하단 외주면에 상기 보닛(84)의 제 1축공(86)에 형성된 암나사(90)에 치합되는 숫나사(94)사 형성되고, 중심부분에 보닛(84)의 제 2축공(88)과 동일한 내경을 갖는 축공(98)이 형성된 패킹 글랜드(96)와, 내측에 내륜기어(110)가 형성된 제 1관통공(104) 및 이 제 1관통공(104)보다 작은 내경을 제 2관통공(106)이 중심부에 순차적으로 형성되고, 외주면 일측에 내측으로 관통된 제 1나사공(112) 및 제 2나사공(113)이 형성되며, 하단이 체결볼트(102)에 의하여 상기 보닛(84)의 상단에 고정되는 하우징(108)과, 상단은 상기 하우징(108)의 제 1관통공(104) 내경과 하단은 하우징(108)의 제 2관통(106) 내경과 동일한 외경을 갖도록 형성되고, 상단과 하단 사이의 외주면에 서로 맞닿지 않도록 가이드홈(118)이 형성되며, 중심부분에 수직방향으로 키이홈(120)을 갖는 체결공(122)이 형성되고, 상단면에 중심점을 기준으로 형성된 원호상에 등간격으로 배열된 제 1지지돌기(124a), 제 2지지돌기(124b), 제 3지지돌기(124c), 제 4지지돌기(124d)가 상부로 돌출구성된 회동체(116)와, 상기 작동축(80)의 키이홈(81)과 회동체(116)의 체결공(122)에 형성된 키이홈(120)에 삽입되어 회동체(116)의 회전력을 작동축(80)으로 전달하는 키이(126)와, 상기 하우징(108)의 나사공(112),(113)를 통하여 회동체(116)의 가이드홈(118)에 삽입되어 회동체(116)의 회전을 일정범위 이상으로 회전하는 것을 선택적으로 제한하는 제 1볼트(114) 및 제 2볼트(115)와, 중심부분에 상기 회동체(116)의 체결공(122)보다 큰 내경을 갖는 편심공(130)이 일측으로 편심되게 형성되고, 회동체(116)의 지지돌기(124a),(124b),(124c),(124d)가 삽입되는 안내공(132)이 지지돌기(124a),(124b),(124c),(124d)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되며, 하우징(108)에 형성된 내륜기어(110)에 선택적으로 치합되는 평기어(128)와, 하단이 상기 회동체(116)의 체결공(122)에 삽입고정되고, 이 회동체(116)의 체결공(122)에 삽입되는 부분의 상단에 평기어(128)에 형성된 편심공(130)에 삽입고정되는 캠(136)이 일체로 형성된 회동축(134)과, 하단 양측에 회동체(116)의 제 1지지돌기(124a) 및 제 3지지돌기(124c)가 삽입되는 제 1절개부(138) 및 제 2절개부(140)가 형성되고, 중심부분에 회동축(134)과 대응되는 내경을 갖는 결합공(144)이 형성된 지지체(142)와, 중심부분에 상기 지지체(142)의 상단이 삽입되는 관통공(148)이 형성되고, 하우징(108)의 상단에 체결볼트(102)에 의하여 체결되어 외부의 이 물질이 하우징(108)의 내측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커버(146)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밸브개폐장치
본 발명은 밸브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핸들의 회전력이 동일축상을 통하여 전달되도록 구성하여 부피를 최소화 할 수 있음은 물론 적은 힘으로도 용이하게 밸브의 유로를 개방 및 폐쇄할 수 있는 밸브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스나 유체 등을 이송공급하는 방식으로는 이송공급관을 지면에 매몰하여 가스나 유체 등을 이송하는 방식을 취하고 있으며, 이 이송공급관은 별도의 체결구에 의하여 서로 연결되어진다. 이송공급관에는 이송공급관을 통하여 공급되는 가스나 유체의 양을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밸브가 장착되어 있으며, 이 밸브가 이송공급관에 장착되어진 부분은 외부로 노출되어진다. 이송공급관은 부식의 진행이 느린 재질로 이루어지며, 최근에는 이송공급관을 도금처리하여 부식이 진행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밸브의 구성을 보인 분해 단면도이고,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밸브의 유로를 선택적으로 개방 및 폐쇄하는 개폐장치의 구성을 보인 요부 확대 평단면도이며, 도 3은 종래기술에 따른 피니언기어에 작동축과 핸들이 결합된 상태를 보인 요부 확대 단면도이다. 도면을 설명하면, 유로(2)와 연통된 보닛공(4)이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단일 동체(6)가 구비되어지고, 이 유로(2)에는 이송공급관(미도시)이 각각 결합되어진다. 하단에 동체(6)의 유로(2)를 선택적으로 차단 및 개폐하는 볼(10)이 일체로 결합된 작동축(12)이 구비되어지고, 이 작동축(12)의 상단은 장방형의 형상을 갖는다. 작동축(12)의 하단에 일체로 결합된 볼(10)의 내측에는 통로(14)가 형성되어진다. 하단이 동체(6)에 형성된 보닛공(4)에 삽입고정되는 보닛(16)이 구비되어지고, 이 보닛(16)의 중심부에는 수직방향으로 제 1축공(18) 및 제 2축공(20)이 순차적으로 형성되어진다. 제 1축공(18)은 제 2축공(20)보다 큰 내경을 갖는다. 제 1축공(18)의 내측 상단에는 암나사(22)가 형성되어진다. 보닛(16)의 제 1축공(18)과 작동축(12)의 외주면 사이에 개재되어 외부의 이 물질이 보닛(16)의 내측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패킹소자(24)가 구비되어진다. 하단 외주면에 보닛(16)의 제 1축공(18)에 형성된 암나사(22)에 치합되는 숫나사(26)를 갖는 패킹 글랜드(28)가 구비되어지고, 이 패킹 글랜드(28)의 중심부분에는 보닛(16)의 제 2축공(30)과 동일한 내경을 갖는 축공(30)이 형성되어진다.
내측에 소정의 수용공간(34)을 갖는 하우징(36)이 구비되어지고, 이 하우징(36)은 체결볼트(미도시)에 의하여 보닛(16)의 상단에 밀착고정되어진다. 하우징(36)의 내측에 작동축(12)의 상단과 결합되는 장방형의 형상을 갖는 결합홈(42)이 하단에 형성된 피니언기어(44)가 구비되어지고, 이 피니언기어(44)의 상단에는 장방형의 형상을 갖는 체결축(46)이 하우징(36)의 외측으로 돌출구성되어진다. 피니언기어(44)에서 전달되는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하는 랙기어(48)가 하우징(36)의 내측에 구비되어지고, 이 랙기어(48)의 일측에는 하우징(36)의 내측벽을 따라 선택적으로 왕복운동하는 피스톤(50)이 결합되어진다. 하우징(36)의 일측에 랙기어(48)가 피니언기어(44)에 밀착되도록 일정한 압력으로 가압하는 가압축(52)이 회전가능하게 구비되어지며, 이 가압축(52)의 자유단에는 가압패드(54)가 밀착고정되어진다. 하단에 피니언기어(44)에서 하우징(36)의 외측으로 돌출구성된 체결축(46)에 삽입고정되는 체결홈(56)이 형성된 핸들(58)이 구비되어진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밸브의 유로가 개폐장치에 의하여 개방 및 폐쇄되는 상태를 설명한다.
밸브(32)의 유로(2)를 개방할 경우, 피니언기어(44)의 상단에서 하우징(36)의 외측으로 돌출구성된 체결축(46)과 핸들(58)의 하단에 형성된 체결홈(56)을 결합시킨 상태에서 핸들(58)을 일측으로 회전시킨다. 피니언기어(44)와 핸들(58)이 체결축(46)과 체결홈(56)의 결합으로 인하여 결합되어 있음으로 핸들(58)을 일측으로 회전시키면, 하우징(36)의 내측에 구비된 피니언기어(44)가 핸들(58)의 회전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회전하게된다. 피니언기어(44)가 핸들(58)의 회전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회전하게되면, 피니언기어(44)의 치합된 랙기어(48)가 피니언기어(44)의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하여 일측으로 이동하게된다. 피니언기어(44)의 회전에 의하여 랙기어(48)가 일측으로 이동하게되면, 랙기어(48)의 일측에 결합된 피스톤(50)이 하우징(36)의 내측벽을 따라 일측으로 슬라이딩되어진다. 피니언기어(44)가 핸들(58)의 회전방향으로 회전하게되면, 피니언기어(44)의 하단에 형성된 결합홈(42)에 삽입고정된 작동축(12)이 회전하게된다. 작동축(12)이 회전하게되면, 동체(6)의 내측에 구비된 볼(10)이 일측으로 회전하게된다. 이때, 볼(10)의 내측에 형성된 통로(14)가 유로(2)와 동일선상을 갖는다. 핸들(58)의 회전에 따라 동체(6)의 내측에 구비된 볼(10)의 통로(14)가 유로(2)와 동일선상을 가짐으로 밸브(32)의 유로(2)가 개방된 상태를 갖는 것이다.
밸브(32)의 유로(2)를 폐쇄할 경우, 핸들(58)을 타측으로 회전시킨다. 핸들(58)이 타측으로 회전되면, 하우징(36)의 내측에 구비된 피니언기어(44)와 이 피니언기어(44)와 치합된 랙기어(48)가 최초의 위치로 이동되어진다. 피니언기어(44)와 핸들(58)이 체결축(46)과 체결홈(56)의 결합으로 인하여 결합되어 있음으로 핸들(58)이 타측으로 회전하게되면, 피니언기어(44)와 이 피니언기어(44)와 치합된 랙기어(48)가 최초의 위치로 이동하게된다. 핸들(58)에 의하여 피니언기어(44)가 타측으로 회전하게되면, 피니언기어(44)의 하단에 삽입고정된 작동축(12)이 회전하게된다. 작동축(12)이 회전하게되면, 동체(6)의 내측에 구비된 볼(10)이 타측으로 회전하게된다. 이때, 유로(2)가 볼(10)에 의하여 차단된 상태를 갖는다.
핸들(58)의 하단을 피니언기어(44)의 상단에서 하우징(36)의 외측으로 돌출구성된 체결축(46)에 고정한 상태에서 핸들(58)을 선택적으로 회전시키면, 밸브(32)의 유로(2)를 선택적으로 개방 및 폐쇄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밸브개폐장치를 이용하여 밸브의 유로를 선택적으로 개방 및 폐쇄할 수 있었지만, 이러한 경우 작업자가 많은 힘을 이용하여 핸들을 회전시켜야만 밸브의 볼이 회전됨으로 작업자가 밸브의 유로를 개방 및 폐쇄하기가 매우 불편하였다. 또한, 핸들의 회전에 따라 피니언기어 및 랙기어가 왕복운동할 수 있도록 수용공간이 필요로 함으로 하우징의 부피가 상대적으로 커지게 되는 문제가 있으며, 밸브와 개폐장치를 지면에 매몰시 하우징의 부피가 크기 때문에 작업자가 작업하기가 매우 불편하였다.
이에 본 발명의 상술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그 목적은 핸들의 회전력이 동일축상을 통하여 전달되도록 구성하여 부피를 최소화 할 수 있음은 물론 적은 힘으로도 용이하게 밸브의 유로를 개방 및 폐쇄할 수 있는 밸브개폐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밸브의 구성을 보인 분해 단면도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밸브의 유로를 선택적으로 개방 및 폐쇄하는 개폐장치의 구성을 보인 요부 확대 평단면도
도 3은 종래기술에 따른 피니언기어에 작동축과 핸들이 결합된 상태를 보인 요부 확대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밸브개폐장치의 구성을 보인 분해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밸브개폐장치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평기어가 하우징의 내륜기어에 치합된 상태를 보인 요부 확대 평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회동체의 가이드홈에 제 1볼트 및 제 2볼트가 삽입된 상태를 보인 요부 확대 평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70 : 유로 72 : 보닛공
78 : 볼 80 : 작동축
82 : 통로 84 : 보닛
86 : 제 1축공 88 : 제 2축공
90: 암나사 92 : 패킹소자
94 : 숫나사 96 : 패킹 글랜드
98 : 축공 100 : 밸브
102 : 체결볼트 104 : 제 1관통공
106 : 제 2관통공 108 : 하우징
110 : 내륜기어 112 : 제 1나사공
113 : 제 2나사공 116 : 회동체
118 : 가이드홈 122 : 체결공
128 : 평기어 130 : 편심공
132 : 안내공 134 : 회동축
136 : 캠 138 : 제 1절개부
140 : 제 2절개부 142 : 지지체
144 : 결합공 146 : 커버
148 : 관통공 160 : 밸브개폐장치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은, 유로와 연통된 보닛공이 수직방향으로 형성되고, 이 유로에 이송공급관이 각각 결합된 동체와, 상기 유로의 내측에 회전가능하게 삽입되어 유로를 선택적으로 차단 및 개폐하는 통로를 갖는 볼이 하단에 일체로 결합되고, 상단에 키이홈이 형성된 작동축과, 내측에 암나사가 형성된 제 1축공 및 이 제 1축공보다 작은 내경을 갖는 제 2축공이 중심부에 순차적으로 형성되고, 하단이 상기 동체에 형성된 보닛공에 삽입고정되는 보닛과, 상기 보닛의 제 1축공과 작동축의 외주면 사이에 개재되어 외부의 이 물질이 보닛의 내측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패킹소자와, 하단 외주면에 상기 보닛의 제 1축공에 형성된 암나사에 치합되는 숫나사사 형성되고, 중심부분에 보닛의 제 2축공과 동일한 내경을 갖는 축공이 형성된 패킹 글랜드와, 내측에 내륜기어가 형성된 제 1관통공 및 이 제 1관통공보다 작은 내경을 제 2관통공이 중심부에 순차적으로 형성되고, 외주면 일측에 내측으로 관통된 제 1나사공 및 제 2나사공이 형성되며, 하단이 체결볼트에 의하여 상기 보닛의 상단에 고정되는 하우징과, 상단은 상기 하우징의 제 1관통공 내경과 하단은 하우징의 제 2관통 내경과 동일한 외경을 갖도록 형성되고, 상단과 하단 사이의 외주면에 서로 맞닿지 않도록 가이드홈이 형성되며, 중심부분에 수직방향으로 키이홈을 갖는 체결공이 형성되고, 상단면에 중심점을 기준으로 형성된 원호상에 등간격으로 배열된 제 1지지돌기, 제 2지지돌기, 제 3지지돌기, 제 4지지돌기가 상부로 돌출구성된 회동체와, 상기 작동축의 키이홈과 회동체의 체결공에 형성된 키이홈에 삽입되어 회동체의 회전력을 작동축으로 전달하는 키이와, 상기 하우징의 나사공을 통하여 회동체의 가이드홈에 삽입되어 회동체의 회전을 일정범위 이상으로 회전하는 것을 선택적으로 제한하는 제 1볼트 및 제 2볼트와, 중심부분에 상기 회동체의 체결공보다 큰 내경을 갖는 편심공이 일측으로 편심되게 형성되고, 회동체의 지지돌기가 삽입되는 안내공이 지지돌기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되며, 하우징에 형성된 내륜기어에 선택적으로 치합되는 평기어와, 하단이 상기 회동체의 체결공에 삽입고정되고, 이 회동체의 체결공에 삽입되는 부분의 상단에 평기어에 형성된 편심공에 삽입고정되는 캠이 일체로 형성된 회동축과, 하단 양측에 회동체의 제 1지지돌기 및 제 3지지돌기가 삽입되는 제 1절개부 및 제 2절개부가 형성되고, 중심부분에 회동축과 대응되는 내경을 갖는 결합공이 형성된 지지체와, 중심부분에 상기 지지체의 상단이 삽입되는 관통공이 형성되고, 하우징의 상단에 체결볼트에 의하여 체결되어 외부의 이 물질이 하우징의 내측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커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개폐장치에 의하여 달성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밸브개폐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밸브개폐장치의 구성을 보인 분해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밸브개폐장치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평기어가 하우징의 내륜기어에 치합된 상태를 보인 요부 확대 평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회동체의 가이드홈에 제 1볼트 및 제 2볼트가 삽입된 상태를 보인 요부 확대 평단면도이다. 도면을 설명하면, 유로(70)와 연통된 보닛공(72)이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단일 동체(74)가 구비되고, 이 유로(70)에는 이송공급관(미도시)이 각각 결합된다. 하단에 동체(74)의 유로(70)를 선택적으로 차단 및 개폐하는 볼(78)이 일체로 결합된 작동축(80)이 구비되고, 이 작동축(80)의 상단에는 키이홈(81)이 형성된다. 작동축(80)의 하단에 일체로 결합된 볼(78)의 내측에는 통로(82)가 형성된다. 하단이 동체(74)에 형성된 보닛공(72)에 삽입고정되는 보닛(84)이 구비되고, 이 보닛(84)의 중심부에는 수직방향으로 제 1축공(86) 및 제 2축공(88)이 순차적으로 형성된다. 제 1축공(86)은 제 2축공(88)보다 큰 내경을 갖는다. 제 1축공(86)의 내측 상단에 암나사(90)가 형성된다. 보닛(84)의 제 1축공(86)과 작동축(80)의 외주면 사이에 개재되어 외부의 이 물질이 보닛(84)의 내측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패킹소자(92)가 구비된다. 하단 외주면에 보닛(84)의 제 1축공(86)에 형성된 암나사(90)에 치합되는 숫나사(94)를 갖는 패킹 글랜드(96)가 구비되고, 이 패킹 글랜드(96)의 중심부분에는 보닛(84)의 제 2축공(88)과 동일한 내경을 갖는 축공(98)이 형성된다.
체결볼트(102)에 의하여 보닛(84)의 상단에 고정되고, 내측에 수직방향으로 제 1관통공(104) 및 제 2관통공(106)이 순차적으로 형성된 하우징(108)이 구비된다. 제 1관통공(104)은 제 2관통공(106) 보다 큰 내경을 갖도록 형성된다. 하우징(108)의 제 1관통공(104)의 상단 부분에는 내륜기어(110)가 형성된다. 하우징(108)의 외주면 일측에 내측으로 관통된 제 1나사공(112) 및 제 2나사공(113)이 형성되고, 이 나사공(112),(113)에 체결되는 제 1볼트(114) 및 제 2볼트(115)가 구비된다. 상단이 하우징(108)의 제 1관통공(104) 내경과 동일한 외경을 갖는 회동체(116)가 구비되고, 이 회동체(116)의 하단은 하우징(108)의 제 2관통(106) 내경과 동일한 외경을 갖는다. 상단과 하단 사이의 외주면에는 서로 맞닿지 않도록 가이드홈(118)이 형성된다. 회동체(116)의 중심부분에 수직방향으로 키이홈(120)을 갖는 체결공(122)이 형성되고, 회동체(116)의 상단면에는 중심점을 기준으로 형성된 원호상에 등간격으로 배열된 제 1지지돌기(124a), 제 2지지돌기(124b), 제 3지지돌기(124c), 제 4지지돌기(124d)가 상부로 돌출구성된다. 제 1지지돌기(124a)와 제 3지지돌기(124c)는 제 2지지돌기(124b)와 제 4지지돌기(124d)보다 높게 돌출구성된다. 작동축(80)의 키이홈(81)과 회동체(116)의 체결공(122)에 형성된 키이홈(120)에 삽입되어 회동체(116)의 회전력을 작동축(80)으로 전달하는 키이(126)가 구비된다.
회동체(116)의 상단 외경과 동일한 외경을 가지며 선택적으로 하우징(108)에 형성된 내륜기어(110)에 치합되는 평기어(128)가 구비되고, 이 평기어(128)의 중심부분에는 일측으로 편심된 편심공(130)이 수직방향으로 형성된다. 이 편심공(130)은 회동체(116)의 체결공(122)보다 큰 내경을 갖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평기어(128)에 지지돌기(124a),(124b),(124c),(124d)가 삽입되는 안내공(132)이 수직방향으로 형성되고, 이 안내공(132)은 회동체(116)의 상단에 돌출구성된 지지돌기(124a),(124b),(124c),(124d)의 외경보다 큰 내경을 갖도록 형성된다. 하단이 회동체(116)의 체결공(122)에 삽입고정되는 회동축(134)이 구비되고, 이 회동체(116)의 체결공(122)에 삽입되는 부분의 상단에는 평기어(128)에 형성된 편심공(130)에 삽입고정되는 캠(136)이 일체로 구성된다.
하단 양측에 회동체(116)의 제 1지지돌기(124a) 및 제 3지지돌기(124c)가 삽입되는 제 1절개부(138) 및 제 2절개부(140)를 갖는 지지체(142)가 구비되고, 이 지지체(142)의 중심부분에는 회동축(134)과 대응되는 내경을 갖는 결합공(144)이 형성된다. 하우징(108)의 상단에 체결볼트(102)에 의하여 체결되어 외부의 이 물질이 하우징(108)의 내측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커버(146)가 구비되고, 이 커버(146)의 중심부분에는 지지체(142)의 상단이 삽입되는 관통공(148)이 형성된다. 하단이 회동축(134)의 상단에 선택적으로 삽입고정되는 핸들(미도시)이 구비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밸브가 밸브개폐장치에 의하여 개방 및 폐쇄되는 상태 및 이에 따른 효과를 설명한다.
밸브(100)의 유로(70)를 개방할 경우, 하우징(108)의 외측으로 돌출구성된 회동축(134)의 상단에 핸들(미도시)의 하단을 삽입하여 고정시킨 상태에서 핸들을 일측으로 회전시킨다. 핸들의 의하여 회동축(135)이 회전하게되면, 평기어(128)가 하우징(108)의 내측에 형성된 내륜기어(110)와 치합된 상태로 회전하게된다. 회동축(134)의 하단에 일체로 형성된 캠(136)이 평기어(128)에 형성된 편심공(130)에 삽입되어 있음으로 회동축(134)의 회전에 따라 평기어(128)가 회전하게된다. 평기어(128)가 회전하게되면, 하우징(108)의 내측에 구비된 회동체(116)가 회전하게된다. 즉, 회동체(116)의 상단에 돌출구성된 지지돌기(124a),(124b),(124c),(124d)가 평기어(128)에 형성된 안내공(132)에 삽입되어 있음으로 평기어(128)가 회전하게되면 회동체(116)가 같이 회전하게된다. 이때, 하우징(108)의 제 1나사공(112) 및 제 2나사공(113)에 체결된 제 1볼트(114) 및 제 2볼트(115)가 회동체(116)가 일정범위 이상으로 회전되는 것을 제한한다. 회동체(116)가 회전하게되면, 동체(74)의 내측에 구비된 볼(78)이 일측으로 회전하게된다. 이때, 볼(78)의 내측에 형성된 통로(82)가 유로(70)와 동일선상을 갖는다. 키이(126)에 의하여 회동체(116)와 작동축(80)이 결합되어 있음으로 회동체(116)가 회전하게되면, 작동축(80)이 같이 회전하게된다. 핸들의 회전에 따라 동체(74)의 내측에 구비된 볼(78)의 통로(82)가 유로(70)와 동일선상을 가짐으로 밸브(100)의 유로(70)가 개방된 상태를 갖는 것이다.
밸브(100)의 유로(70)를 폐쇄할 경우, 핸들을 타측으로 회전시킨다. 핸들이 타측으로 회전되면, 회동축(134)에 일체로 형성된 캠(136)에 의하여 평기어(128) 및 회동체(116)가 회전하게된다. 회동축(134)에 일체로 형성된 캠(136)이 평기어(128)의 편심공(130)에 삽입되어있고, 회동체(116)의 지지돌기(124a),(124b),(124c),(124d)가 평기어(128)의 안내공(132)에 삽입된 상태로 하우징(108)의 내측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어 있음으로 핸들을 회전시키면 평기어(128) 및 회동체(116)가 핸들의 회전방향으로 회전하게된다. 회동체(116)가 회전하게되면, 키이(126)에 의하여 서로 결합된 작동축(80)이 회전하게된다. 이때, 밸브(100)의 유로(70)가 볼(78)에 의하여 차단된 상태를 갖는다.
핸들의 하단을 회동축(134)의 상단에 삽입고정한 상태에서 핸들을 회전시키면 핸들의 회전력이 회동축(134), 평기어(128), 회동체(116), 작동축(80)을 따라 볼(78)로 전달됨으로 밸브(100)의 유로(70)를 선택적으로 개방 및 폐쇄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회동축(134), 평기어(128), 회동체(116), 작동축(80)이 동일축상에 위치되도록 구성되어 있음으로 하우징(108)의 부피를 최소화 할 수 있음은 물론 적은 힘으로도 용이하게 밸브(100)의 유로(70)를 개방 및 폐쇄할 수 있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밸브개폐장치는 핸들의 회전력을 전달하는 회동축, 평기어, 회동체, 작동축이 동일축상에 위치되어 있음으로 밸브개폐장치의 부피를 최소화 할 수 있음은 물론 적은 힘으로도 용이하게 밸브의 유로를 개방 및 폐쇄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Claims (1)

  1. 유로(70)와 연통된 보닛공(72)이 수직방향으로 형성되고, 이 유로(70)에 이송공급관이 각각 결합된 동체(74)와, 상기 유로(70)의 내측에 회전가능하게 삽입되어 유로(70)를 선택적으로 차단 및 개폐하는 통로(82)를 갖는 볼(78)이 하단에 일체로 결합되고, 상단에 키이홈(81)이 형성된 작동축(80)과, 내측에 암나사(90)가 형성된 제 1축공(86) 및 이 제 1축공(86)보다 작은 내경을 갖는 제 2축공(88)이 중심부에 순차적으로 형성되고, 하단이 상기 동체(74)에 형성된 보닛공(72)에 삽입고정되는 보닛(84)과, 상기 보닛(84)의 제 1축공(86)과 작동축(80)의 외주면 사이에 개재되어 외부의 이 물질이 보닛(84)의 내측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패킹소자(92)와, 하단 외주면에 상기 보닛(84)의 제 1축공(86)에 형성된 암나사(90)에 치합되는 숫나사(94)사 형성되고, 중심부분에 보닛(84)의 제 2축공(88)과 동일한 내경을 갖는 축공(98)이 형성된 패킹 글랜드(96)와, 내측에 내륜기어(110)가 형성된 제 1관통공(104) 및 이 제 1관통공(104)보다 작은 내경을 제 2관통공(106)이 중심부에 순차적으로 형성되고, 외주면 일측에 내측으로 관통된 제 1나사공(112) 및 제 2나사공(113)이 형성되며, 하단이 체결볼트(102)에 의하여 상기 보닛(84)의 상단에 고정되는 하우징(108)과, 상단은 상기 하우징(108)의 제 1관통공(104) 내경과 하단은 하우징(108)의 제 2관통(106) 내경과 동일한 외경을 갖도록 형성되고, 상단과 하단 사이의 외주면에 서로 맞닿지 않도록 가이드홈(118)이 형성되며, 중심부분에 수직방향으로 키이홈(120)을 갖는 체결공(122)이 형성되고, 상단면에 중심점을 기준으로 형성된 원호상에 등간격으로 배열된 제 1지지돌기(124a), 제 2지지돌기(124b), 제 3지지돌기(124c), 제 4지지돌기(124d)가 상부로 돌출구성된 회동체(116)와, 상기 작동축(80)의 키이홈(81)과 회동체(116)의 체결공(122)에 형성된 키이홈(120)에 삽입되어 회동체(116)의 회전력을 작동축(80)으로 전달하는 키이(126)와, 상기 하우징(108)의 나사공(112),(113)를 통하여 회동체(116)의 가이드홈(118)에 삽입되어 회동체(116)의 회전을 일정범위 이상으로 회전하는 것을 선택적으로 제한하는 제 1볼트(114) 및 제 2볼트(115)와, 중심부분에 상기 회동체(116)의 체결공(122)보다 큰 내경을 갖는 편심공(130)이 일측으로 편심되게 형성되고, 회동체(116)의 지지돌기(124a),(124b),(124c),(124d)가 삽입되는 안내공(132)이 지지돌기(124a),(124b),(124c),(124d)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되며, 하우징(108)에 형성된 내륜기어(110)에 선택적으로 치합되는 평기어(128)와, 하단이 상기 회동체(116)의 체결공(122)에 삽입고정되고, 이 회동체(116)의 체결공(122)에 삽입되는 부분의 상단에 평기어(128)에 형성된 편심공(130)에 삽입고정되는 캠(136)이 일체로 형성된 회동축(134)과, 하단 양측에 회동체(116)의 제 1지지돌기(124a) 및 제 3지지돌기(124c)가 삽입되는 제 1절개부(138) 및 제 2절개부(140)가 형성되고, 중심부분에 회동축(134)과 대응되는 내경을 갖는 결합공(144)이 형성된 지지체(142)와, 중심부분에 상기 지지체(142)의 상단이 삽입되는 관통공(148)이 형성되고, 하우징(108)의 상단에 체결볼트(102)에 의하여 체결되어 외부의 이 물질이 하우징(108)의 내측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커버(146)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개폐장치.
KR1019980051210A 1998-11-27 1998-11-27 밸브개폐장치 KR1999001462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51210A KR19990014622A (ko) 1998-11-27 1998-11-27 밸브개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51210A KR19990014622A (ko) 1998-11-27 1998-11-27 밸브개폐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4622A true KR19990014622A (ko) 1999-02-25

Family

ID=659487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51210A KR19990014622A (ko) 1998-11-27 1998-11-27 밸브개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14622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2556B1 (ko) * 2008-01-24 2010-02-16 (주)덕양에너젠 커플러용 레버조립체
KR100975422B1 (ko) * 2008-01-24 2010-08-12 (주)덕양에너젠 연료충전 커플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2556B1 (ko) * 2008-01-24 2010-02-16 (주)덕양에너젠 커플러용 레버조립체
KR100975422B1 (ko) * 2008-01-24 2010-08-12 (주)덕양에너젠 연료충전 커플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54088A (en) Ball valve adapted to couple with an output drive shaft of a valve control device
EP1367305A3 (en) Half ball valve
KR930006507B1 (ko) 볼 밸브 및 이 볼 밸브와 작동기 조립체
US10054246B2 (en) Valve with locking mechanism, and integrated valve
CN108662238B (zh) 一种具有气动显示功能的闸阀
KR19990014622A (ko) 밸브개폐장치
US6446667B1 (en) Ball valve structure
KR20120008000U (ko) 작동이 용이한 관붙이 앵글밸브
US7448403B2 (en) Faucet co-operating with shower head
US5090658A (en) Bellows sealed rotary valve and seal assembly
US4165858A (en) Gate valve structure
EP3803167A1 (en) A ball valve and valve operating method
KR100729178B1 (ko) 유성기어가 설치된 볼밸브
US3198210A (en) Swing-type faucet
KR20180054299A (ko) 자동 밸브 장치
US4436283A (en) Gate valve
KR101107551B1 (ko) 실링 압력 유지형 버터플라이 밸브
KR100284933B1 (ko) 유압발생장치가 부착된 밸브의 개폐 조작장치
JP2794210B2 (ja) 水道用メータの取付装置
KR200493492Y1 (ko) 미세 조절이 가능한 볼 밸브
KR200273448Y1 (ko) 볼밸브의 핸들잠금장치
GB2266549A (en) Pressure converter
CN2725660Y (zh) 流体计量转阀
US2902252A (en) Disc valve
KR200323276Y1 (ko) 액화석유가스의 개방 및 차단용 중간개폐밸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