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83579A - 웨이퍼 홀더 - Google Patents

웨이퍼 홀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83579A
KR20090083579A KR1020080009463A KR20080009463A KR20090083579A KR 20090083579 A KR20090083579 A KR 20090083579A KR 1020080009463 A KR1020080009463 A KR 1020080009463A KR 20080009463 A KR20080009463 A KR 20080009463A KR 20090083579 A KR20090083579 A KR 200900835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fer
holder
wafer holder
circumferential
fast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094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12283B1 (ko
Inventor
윤치국
김형원
한영기
서영수
Original Assignee
(주)소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소슬 filed Critical (주)소슬
Priority to KR10200800094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12283B1/ko
Priority to CN2009801021638A priority patent/CN101919041B/zh
Priority to PCT/KR2009/000211 priority patent/WO2009091189A2/en
Priority to US12/863,388 priority patent/US20110049100A1/en
Priority to JP2010543054A priority patent/JP5548841B2/ja
Publication of KR200900835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83579A/ko
Priority to JP2013141498A priority patent/JP5617109B2/ja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122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12283B1/ko
Priority to US14/337,197 priority patent/US20140332498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83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supporting or gripping
    • H01L21/68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supporting or gripping using mechanical means, e.g. chucks, clamps or pinches
    • H01L21/68714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supporting or gripping using mechanical means, e.g. chucks, clamps or pinches the wafers being placed on a susceptor, stage or support
    • H01L21/68785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supporting or gripping using mechanical means, e.g. chucks, clamps or pinches the wafers being placed on a susceptor, stage or support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of the susceptor, stage or suppor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83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supporting or gripping
    • H01L21/68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supporting or gripping using mechanical means, e.g. chucks, clamps or pinches
    • H01L21/68714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supporting or gripping using mechanical means, e.g. chucks, clamps or pinches the wafers being placed on a susceptor, stage or support
    • H01L21/68735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supporting or gripping using mechanical means, e.g. chucks, clamps or pinches the wafers being placed on a susceptor, stage or support characterised by edge profile or support profi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hemical Vapour Deposition (AREA)
  • Drying Of Semiconductors (AREA)
  • Plasma Technology (AREA)
  • Container, Conveyance, Adherence, Positioning, Of Waf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웨이퍼 홀더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복수로 분할되는 몸체를 갖고 복수의 플라즈마 배출공을 구비한 웨이퍼 홀더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웨이퍼 홀더는, 웨이퍼가 안착되는 링 형상의 안착부와, 상기 안착부로부터 하향 연장되는 측벽부를 가지는 홀더몸체를 포함하고, 상기 홀더몸체는 소정의 개수로 분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웨이퍼 홀더에 의하면, 웨이퍼 홀더의 파손시 파손된 웨이퍼 홀더 전체를 재가공 또는 교체할 필요 없이 파손된 부분만을 교체하면 되므로 고가인 웨이퍼 홀더 전체를 재가공 또는 교체하는 비용을 절약할 수 있으며, 플라즈마 배출공을 배치함으로써 웨이퍼와 전극 사이에서 발생하는 플라즈마의 잔류 시간을 일정하게 유지시켜 웨이퍼 배면을 균일하게 가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웨이퍼, 홀더, 배출공

Description

웨이퍼 홀더{Wafer holder}
본 발명은 웨이퍼 홀더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복수로 분할되는 몸체를 갖고 복수의 플라즈마 배출공을 구비한 웨이퍼 홀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웨이퍼를 가공할 때에는 증착장치를 이용하여 웨이퍼의 전면에 박막을 증착하거나, 식각장치를 이용하여 증착된 박막의 일부를 식각하여 박막이 소정의 패턴을 갖도록 제작하였다.
특히, 도 1에서와 같이, 식각장치(1)는 가스공급부(17)를 통해서 챔버(10) 내로 가스를 투입한 후, 전원부(18)로부터 전원을 인가하면 상부전극(13) 및 하부전극(15) 사이에 투입된 가스가 플라즈마(plasma) 상태로 변하게 되는데, 이 플라즈마에 의해 웨이퍼(S)의 후면에 증착된 불필요한 박막이 제거된다.
더 자세히 설명하면, 챔버(10)의 개폐부(12)로부터 챔버(10) 내부로 인입된 웨이퍼(S)는 챔버(10) 내에 마련된 웨이퍼 홀더(20)에 의해 지지되어 상부전극(13)과 하부전극(15) 사이에 놓이게 된다.
여기서, 상기 웨이퍼 홀더(20)는 중앙에 중공부를 갖는 링 형상으로, 이 웨이퍼 홀더(20)의 하부 가장자리 부위에는 복수의 구동축(16a)이 연결되고 상기 구 동축(16a)은 하부에 위치한 구동부(16)와 연결되어 승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즉, 상기 웨이퍼 홀더(20)가 웨이퍼(S)를 지지한 상태에서 하부전극(15)과 웨이퍼(S) 사이에 간격을 둠으로써, 웨이퍼(S)의 전면과 배면 또는 양면의 식각 공정을 원활히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그러나 종래의 웨이퍼 홀더(20)는 웨이퍼 가공공정에서 그 일부가 파손되는 경우가 발생하면 웨이퍼 홀더 전체를 재가공 또는 교체해야 하므로 웨이퍼 가공장치의 유지비용이 높고, 부품 제작 기간이 길어 장비의 재가동 시간까지 길어질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웨이퍼 홀더는 플라즈마 배출공을 일정하게 제작해야 하기 때문에 공정 적용 범위가 한정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링 형상의 웨이퍼 홀더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웨이퍼와 전극 사이에서 발생하는 플라즈마가 머무는 시간이 일정치 않아 웨이퍼의 가공 면이 균일하지 않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여러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웨이퍼 홀더의 파손시 웨이퍼 홀더 전체를 재가공 또는 교체할 필요 없이 파손된 부분만을 재가공 또는 교체할 수 있어 가공이 용이하고, 웨이퍼 홀더 전체를 재가공 또는 교체하는 비용을 절약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부분적인 플라즈마 배출공 형상을 변경하기 용이하므로 웨이퍼와 전극 사이에서 발생하는 플라즈마의 잔류 시간을 일정하게 유지하여 웨이퍼의 가공 면을 균일하게 가공할 수 있는 웨이퍼 홀더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웨이퍼가 안착되는 링 형상의 안착부와, 상기 안착부로부터 하향 연장되는 측벽부를 가지는 홀더몸체를 포함하고, 상기 홀더몸체는 소정의 개수로 분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웨이퍼 홀더는 웨이퍼 홀더의 파손시 파손된 홀더 전체를 재가공 또는 교체할 필요 없이 체결부 만을 재가공 또는 교체할 수 있기 때문에 가공이 용이하고, 웨이퍼 홀더 전체를 재가공 또는 교체할 필요가 없어 비용을 절약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플라즈마 배출공의 모양이나 크기 변경이 용이할 뿐 아니라 홀더 몸체의 각 부분마다 플라즈마 배출공의 형상을 다르게 변경할 수 있는 것으로서, 웨이퍼와 전극 사이에서 발생하는 플라즈마의 잔류 시간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어 웨이퍼의 가공면이균일하게 가공되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한 예시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분리사시도, 도 3은 도 2에 따른 결합사시도, 도 4는 도 2에 따른 단턱부를 도시한 결합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분리사시도, 도 6은 도 5에 따른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따른 분리사시도이다.
실시예 1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웨이퍼 홀더는 웨이퍼(S)가 안착되는 링 형상의 안착부(120)와, 상기 안착부(120)로부터 하향 연장되는 측벽부(130)를 가지는 홀더몸체(100)를 포함하고, 상기 홀더몸체(100)는 소정의 개수로 분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웨이퍼 홀더는 다양한 링 형상의 홀더몸체(100)로 형성될 수 있고, 절연성을 갖는 세라믹재 뿐 아니라 다양한 재질로도 만들어질 수 있다.
상기 홀더몸체(100)의 안착부(120)에는, 상기 웨이퍼(S)가 안착될 수 있도록 상부가 수평면을 이루며, 안착부(120)의 내측 주연부에는 상기 웨이퍼(S)의 가장자리가 안착될 수 있도록 안착턱(160)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안착턱(160)은 웨이퍼(S)의 가장자리가 안정적으로 안착되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측벽부(130)는 수직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그에 한정하지 않고 내측 방향 또는 외측 방향으로 경사진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고, 내측 방향 또는 외측 방향으로 라운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측벽부(130)에는 원주 방향으로 복수의 플라즈마 배출공(130a)이 형성되며, 상기 배출공(130a)을 통하여 웨이퍼(S)와 전극 사이에서 발생하는 플라즈마의 잔류 시간이 균일하게 유지될 수 있다. 때문에 웨이퍼(100) 배면이 균일하게 가 공될 수 있다.
상기 배출공(130a)은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원주분할몸체(100a)의 부분마다 각기 다른 크기와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음을 다시 한번 밝혀둔다.
상기 안치부(140)에는 가장자리에 복수의 연결공을 형성될 수 있으며, 이 연결공에 구동부(16)로부터 승하강되는 구동축(16a)을 연결되어 웨이퍼홀더(100)가 상·하로 승강 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홀더몸체(100)는 원주를 따라 복수개로 분할된 원주분할몸체(100a)가 구비되며, 이 원주분할몸체(100a)들을 체결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원주체결부(150)가 구비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원주체결부(150)는 상기 원주분할몸체(100a)의 일측 단부에 수직으로 형성된 체결홈(151)과, 이 체결홈(151)에 인접하는 타측 원주분할몸체(100a)의 단부에 상기 체결홈(151)과 대응되는 형상의 체결구(152)가 형성된다.
상기 체결홈(151)은 양측에 걸림단(151a)이 형성되어 체결구(152)의 양측 단부가 걸려 측방향으로 빠지지 않도록 하고, 체결홈(151)의 상·하로 체결구(152)가 슬라이드 시켜 분리될 수 있다. 상기 체결홈(151) 및 체결구(152)는 사각, 다각, 원형 등으로 다양하게 형성할 수 있다.
실시예 2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 2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웨이퍼 홀더는 웨이퍼(S)가 안착되는 링 형상의 안착부(120)와, 상기 안착부(120)로부터 하향 연장되는 측벽부(130)를 가지는 홀더몸체(100)를 포함하고, 상기 홀더몸체(100)는 소정의 개수로 분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웨이퍼 홀더는 다양한 링 형상의 홀더몸체(100)로 형성될 수 있고, 절연성을 갖는 세라믹재 뿐 아니라 다양한 재질로도 만들어질 수 있다.
상기 홀더몸체(100)의 안착부(120)에는, 상기 웨이퍼(S)가 안착될 수 있도록 상부가 수평면을 이루며, 안착부(120)의 내측 주연부에는 상기 웨이퍼(S)의 가장자리가 안착될 수 있도록 안착턱(160)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안착턱(160)은 웨이퍼(S)의 가장자리가 안정적으로 안착되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측벽부(130)는 수직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그에 한정하지 않고 내측 방향 또는 외측 방향으로 경사진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고, 내측 방향 또는 외측 방향으로 라운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측벽부(130)에는 원주 방향으로 복수의 플라즈마 배출공(130a)이 형성되며, 상기 배출공(130a)을 통하여 웨이퍼(S)와 전극 사이에서 발생하는 플라즈마의 잔류 시간이 균일하게 유지될 수 있다. 때문에 웨이퍼(100) 배면이 균일하게 가공될 수 있다.
상기 배출공(130a)은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원주분할몸 체(100a)의 부분마다 각기 다른 크기와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음을 다시 한번 밝혀둔다.
상기 안치부(140)에는 가장자리에 복수의 연결공을 형성될 수 있으며, 이 연결공에 구동부(16)로부터 승하강되는 구동축(16a)을 연결되어 웨이퍼홀더(100)가 상·하로 승강 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홀더몸체(100)는 상·하 방향으로 분할된 상하분할몸체(100b)로 이루어지며, 상하분할몸체(100b)들을 체결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하체결부(170)를 가진다. 상하분할몸체(100b)는 상·하방향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하체결부(170)로도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상하체결부(170)는 상하분할몸체(100b)의 상·하 단부에는 각각 상·하 단턱(171, 172)이 대응 형성된다.
상기 상·하 단턱(171, 172)은 웨이퍼 홀더의 상부 단턱(171)이 내부로 단턱을 이루도록 하거나, 하부 단턱(172)이 내부로 단턱진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는 것으로서 상·하 대응되는 단턱의 형상은 한정하지 않고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하부 단턱(171, 172)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암수로 대응 체결될 수 있도록 돌기와 홈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실시예 3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웨이퍼 홀더는 웨이퍼(S)가 안착되는 링 형상의 안착부(120)와, 상기 안착부(120)로부터 하향 연장되는 측벽부(130)를 가지는 홀더몸체(100)를 포함하고, 상기 홀더몸체(100)는 소정의 개수로 분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웨이퍼 홀더는 다양한 링 형상의 홀더몸체(100)로 형성될 수 있고, 절연성을 갖는 세라믹재 뿐 아니라 다양한 재질로도 만들어질 수 있다.
상기 홀더몸체(100)의 안착부(120)에는, 상기 웨이퍼(S)가 안착될 수 있도록 상부가 수평면을 이루며, 안착부(120)의 내측 주연부에는 상기 웨이퍼(S)의 가장자리가 안착될 수 있도록 안착턱(160)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안착턱(160)은 웨이퍼(S)의 가장자리가 안정적으로 안착되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측벽부(130)는 수직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그에 한정하지 않고 내측 방향 또는 외측 방향으로 경사진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고, 내측 방향 또는 외측 방향으로 라운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측벽부(130)에는 원주 방향으로 복수의 플라즈마 배출공(130a)이 형성되며, 상기 배출공(130a)을 통하여 웨이퍼(S)와 전극 사이에서 발생하는 플라즈마의 잔류 시간이 균일하게 유지될 수 있다. 때문에 웨이퍼(100) 배면이 균일하게 가공될 수 있다.
상기 배출공(130a)은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원주분할몸체(100a)의 부분마다 각기 다른 크기와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음을 다시 한번 밝혀둔다.
상기 안치부(140)에는 가장자리에 복수의 연결공을 형성될 수 있으며, 이 연 결공에 구동부(16)로부터 승하강되는 구동축(16a)을 연결되어 웨이퍼홀더(100)가 상·하로 승강 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홀더몸체(100)는 원주를 따라 복수개로 분할된 원주분할몸체(100a)로 이루어지며, 원주분할몸체(100a)들을 체결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원주체결부(150)가 구비된다.
상기 원주체결부(150)는 상기 원주분할몸체(100a)의 일측 단부에 수직으로 형성된 체결홈(151)과, 이 체결홈(151)에 인접하는 타측 원주분할몸체(100a)의 단부에 상기 체결홈(151)과 대응되는 형상의 체결구(152)가 형성된다.
상기 체결홈(151)은 양측에 걸림단(151a)이 형성되어 체결구(152)의 양측 단부가 걸려 측방향으로 빠지지 않도록 하고, 체결홈(151)의 상·하로 체결구(152)가 슬라이드 시켜 분리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상기 체결홈(151) 및 체결구(152)는 사각, 다각, 원형 등으로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원주분할몸체(100a)는 측벽부(130)가 상·하 수평으로 복수 분할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하체결부(170)가 구비된다.
상기 상하체결부(170)의 상·하 단부에는 각각 상·하 단턱(171, 172)이 대응 형성된다.
상기 상·하 단턱(171, 172)은 웨이퍼 홀더의 상부 단턱(171)이 내부로 단턱을 이루도록 하거나, 하부 단턱(172)이 내부로 단턱진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는 것으로서 상·하 대응되는 단턱의 형상은 한정하지 않고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하부 단턱(171, 172)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암수로 대응 체결될 수 있도록 돌기와 홈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실시예 1, 2, 3에서 개시된 발명은, 웨이퍼 홀더의 파손시 파손된 홀더 전체를 재가공 또는 교체할 필요 없이 체결부 만을 재가공 또는 교체할 수 있기 때문에 가공이 쉽고 빠르며 웨이퍼 홀더 전체를 재가공 또는 교체하는 비용을 절약할 수 있다.
또한, 웨이퍼와 전극 사이에서 발생하는 플라즈마의 잔류 시간을 일정하게 유지함으로써 웨이퍼의 가공 면을 균일하게 가공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다.
[도면의 간단한 설명]
도 1 는 종래의 웨이퍼 홀더가 가공장치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분리사시도.
제 3은 도 2에 따른 결합사시도.
도 4는 도 2에 따른 단턱부를 도시한 결합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분리사시도.
도 6은 도 5에 따른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따른 분리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챔버 12... 개폐부
13... 상부전극 15... 하부전극
16... 구동부 16a... 구동축
17... 가스공급부 18... 전원부
100... 홀더몸체 100a... 원주분할몸체
100b... 상하분할몸체 120... 안착부
130... 측벽부 130a... 배출공
140... 안치부 150... 원주체결부
151... 체결홈 151a... 걸림단
152... 체결구 160... 안착턱
170... 상하체결부 171, 172... 상·하 단턱
S... 웨이퍼

Claims (11)

  1. 웨이퍼(S)가 안착되는 링 형상의 안착부(120)와, 상기 안착부(120)로부터 하향 연장되는 측벽부(130)를 가지는 홀더몸체(100)를 포함하고,
    상기 홀더몸체(100)는 소정의 개수로 분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이퍼 홀더.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몸체(100)는 원주방향을 따라 여러 개로 수직 분할된 원주분할몸체(100a)로 이루어지며, 원주분할몸체(100a)들을 체결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원주체결부(150)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웨이퍼 홀더.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원주체결부(150)는 상기 원주분할몸체(100a)의 일측 단부에 수직으로 형성된 체결홈(151)과, 상기 체결홈(151)과 인접하는 원주분할몸체(100a)의 타측 단부에 상기 체결홈(151)에 맞물리도록 형성된 체결구(152)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웨이퍼 홀더.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몸체(100)는 상·하 방향으로 여러 개로 분할된 상하분할몸 체(100b)로 이루어지며, 상기 상하분할몸체(100b)들을 체결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하체결부(170)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웨이퍼 홀더.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체결부(170)에는 상·하 단턱(171, 172)이 대응되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웨이퍼 홀더.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원주분할몸체(100a)는 측벽부(130)가 상·하 수평으로 복수 분할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하체결부(170)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웨이퍼 홀더.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체결부(170)에는 상·하 단턱(171, 172)이 대응되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웨이퍼 홀더.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120)의 내측 주연부에는 웨이퍼(S)의 가장자리가 안착 되는 안착턱(160)이 형성되고,
    상기 측벽부(130)는 내측 방향 또는 외측 방향으로 경사지며, 원주 방향으로 복수의 플라즈마 배출공(130a)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웨이퍼 홀더.
  9.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120)의 내측 주연부에는 웨이퍼(S)의 가장자리가 안착 되는 안착턱(160)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웨이퍼 홀더.
  10.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부(130)에는 원주 방향으로 복수의 플라즈마 배출공(130a)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웨이퍼 홀더.
  11.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부(130)는 내측 방향 또는 외측 방향으로 경사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이퍼 홀더.
KR1020080009463A 2008-01-16 2008-01-30 웨이퍼 홀더 KR1013122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9463A KR101312283B1 (ko) 2008-01-30 2008-01-30 웨이퍼 홀더
CN2009801021638A CN101919041B (zh) 2008-01-16 2009-01-15 衬底固持器,衬底支撑设备,衬底处理设备以及使用所述衬底处理设备的衬底处理方法
PCT/KR2009/000211 WO2009091189A2 (en) 2008-01-16 2009-01-15 Substrate holder, substrate supporting apparatus, substrate processing apparatus, and substrate processing method using the same
US12/863,388 US20110049100A1 (en) 2008-01-16 2009-01-15 Substrate holder, substrate supporting apparatus, substrate processing apparatus, and substrate processing method using the same
JP2010543054A JP5548841B2 (ja) 2008-01-16 2009-01-15 基板処理装置
JP2013141498A JP5617109B2 (ja) 2008-01-16 2013-07-05 基板支持装置、及びこれを利用する基板処理方法
US14/337,197 US20140332498A1 (en) 2008-01-16 2014-07-21 Substrate holder, substrate supporting apparatus, substrate processing apparatus, and substrate processing method u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9463A KR101312283B1 (ko) 2008-01-30 2008-01-30 웨이퍼 홀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3579A true KR20090083579A (ko) 2009-08-04
KR101312283B1 KR101312283B1 (ko) 2013-09-27

Family

ID=412043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09463A KR101312283B1 (ko) 2008-01-16 2008-01-30 웨이퍼 홀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1228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2074B1 (ko) * 2013-06-28 2014-02-25 (주)코리아스타텍 결합구조를 갖는 모재 및 이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기판용 대면적 정전척의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75162A (ja) * 1991-12-20 1993-07-13 Hitachi Ltd ドライエッチング装置
JP3296300B2 (ja) * 1998-08-07 2002-06-24 ウシオ電機株式会社 光照射式加熱装置
US20030092278A1 (en) * 2001-11-13 2003-05-15 Fink Steven T. Plasma baffle assembly
KR20060110555A (ko) * 2005-04-20 2006-10-25 삼성전자주식회사 에지링을 갖는 급속열처리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2074B1 (ko) * 2013-06-28 2014-02-25 (주)코리아스타텍 결합구조를 갖는 모재 및 이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기판용 대면적 정전척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12283B1 (ko) 2013-09-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427449B (zh) 具有流量等化器與下內襯之蝕刻腔室
CN110323120B (zh) 高传导处理配件
KR102424818B1 (ko) 플라즈마 처리 장치 및 포커스 링
KR100992392B1 (ko) 플라즈마 반응장치
TWM596452U (zh) 用於電漿處理腔室中之基板支撐件的邊緣環組合件
TWI490910B (zh) Cover plate fixture and induction coupling plasma processing device
JP6375163B2 (ja) プラズマ処理装置および上部電極アセンブリ
KR20180035263A (ko) 링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척 어셈블리
KR102040281B1 (ko) CVD-SiC 소재를 이용한 반도체 플라즈마 에칭 공정용 한정 링
KR101312283B1 (ko) 웨이퍼 홀더
KR101526507B1 (ko) 기판 처리 장치 및 방법
JP6298373B2 (ja) プラズマ処理装置および上部電極アセンブリ
US20160155657A1 (en) Surface profile modifications for extended life of consumable parts in semiconductor processing equipment
KR200238805Y1 (ko) 건식식각장치의 포커스링
JP2024501093A (ja) 摩耗補償閉じ込めリング
KR101209899B1 (ko) 플라즈마 가스 디스트리뷰터 및 이를 적용한 플라즈마 장치
KR20090012882A (ko) 반도체 식각 설비의 행거형 캐소드 전극
TWM617999U (zh) 用以侷限電漿處理腔室內之電漿的耗損補償侷限環
KR200181528Y1 (ko) 프로세스 챔버의 베스펠 삽입링
KR20030084369A (ko) 반도체장치 식각설비의 척 조립체
KR19980076567A (ko) 웨이퍼 리프트 링
KR20010046531A (ko) 반도체 식각 장치
KR20060120813A (ko) 반도체 웨이퍼 식각장비의 상부 클램프
KR20050090163A (ko) 반도체 설비용 포커스 링
KR20060019313A (ko) 반도체 소자 제조용 식각 장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