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83153A - 모터,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가전 제품 - Google Patents

모터,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가전 제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83153A
KR20090083153A KR1020080009145A KR20080009145A KR20090083153A KR 20090083153 A KR20090083153 A KR 20090083153A KR 1020080009145 A KR1020080009145 A KR 1020080009145A KR 20080009145 A KR20080009145 A KR 20080009145A KR 20090083153 A KR20090083153 A KR 200900831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il
magmate
tab terminal
motor
st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091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97040B1 (ko
Inventor
신성용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091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97040B1/ko
Priority to US12/320,534 priority patent/US20090189475A1/en
Priority to CNA2009100051426A priority patent/CN101499687A/zh
Publication of KR200900831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831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70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70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3/00Details of windings
    • H02K3/46Fastening of windings on the stator or rotor structure
    • H02K3/50Fastening of winding heads, equalising connectors, or connections thereto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00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02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00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04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used for insulating the magnetic circuit or parts thereof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5/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5/0056Manufacturing winding connections
    • H02K15/0062Manufacturing the terminal arrangement per se; Connecting the terminals to an external circui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5/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5/04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dynamo-electric machines of windings, prior to mounting into machin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5/00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02K5/04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thereof
    • H02K5/22Auxiliary parts of casings not covered by groups H02K5/06-H02K5/20, e.g. shaped to form connection boxes or terminal boxes
    • H02K5/225Terminal boxes or connection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Insulation, Fastening Of Motor, Generator Wind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터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제조 원가를 절감시키고, 제조 및 신뢰성이 증진된 모터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모터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상기 모터를 포함하는 가전 제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스테이터 코어, 그리고 상기 스테이터 코어에 권선되는 알루미늄 재질의 코일을 갖는 스테이터; 상기 스테이터에 대해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로터; 상기 코일의 말단이 위치되는 탭 터미널; 상기 탭 터미널에 삽입되어 상기 코일의 심선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코일을 상기 탭 터미널에 고정시키는 마그메이트; 그리고 상기 마그메이트에 구비되며, 가열시 용융되어 상기 심선의 노출 부분에 절연 피막을 형성하는 절연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모터가 제공된다.
모터, 알루미늄, 심선, 탭터미널, 절연

Description

모터,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가전 제품{Motor, a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and a home appliance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모터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제조 원가를 절감시키고, 제조 및 신뢰성이 증진된 모터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모터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상기 모터를 포함하는 가전 제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모터는 세탁기, 건조기 또는 식기세척기 등 비교적 부피가 크고 사용 환경이 다습하고 상온 보다 높은 가전 제품에 적용되는 모터일 수 있으나, 반드시 적용 예가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일반적으로 모터는 로터의 회전력을 회전축으로 전달하여, 상기 회전축이 부하를 구동하게 된다. 예를 들어, 상기 회전축이 세탁기의 드럼에 연결되어 드럼을 구동시킬 수 있으며, 냉장고의 팬과 연결되어 필요한 공간으로 냉기가 공급되도록 팬을 구동시킬 수 있다.
한편, 이러한 모터에 있어서, 로터는 스테이터와의 전자기적인 상호 작용에 의해서 회전하게 된다. 이를 위해서 상기 스테이터에는 코일이 권선 되며, 상기 코 일에 전류가 인가됨에 따라 로터가 스테이터에 대해서 회전하게 된다.
상기 코일은 일반적으로 구리 재질로 형성된다. 왜냐하면, 구리 재질이 전기 전도도가 매우 우수하며, 아울러 연성이 우수하여 권선 시 손상이 적기 때문이다.
그러나, 구리 재질은 일반적으로 원가가 매우 높으며 이에 따라 모터의 제조 원가가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국제적으로 구리 수용가 폭등하여 안정적인 원자재 수급이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구리 재질의 코일이 아닌 다른 재질의 코일을 사용하여 모터의 제조 원가를 절감시키고 안정적으로 원자재의 수급이 이루어지도록 할 필요가 있다. 아울러 다른 재질의 코일을 사용하더라도 기존 구리 재질의 코일을 사용하는 경우보다 최소한 동등 품질 이상의 모터를 제조할 필요가 있다.
한편, 구리 재질의 코일을 다른 재질의 코일로 대체하는 경우 종래의 구성을 크게 변경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설령 코일 자체의 원가는 절감시킨다고 하더라도 다른 필수 구성을 새로 설계하고 제작하여야 한다면 초기 설비 투자비가 지나치게 상승 될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은 기본적으로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코일의 원가를 절감시켜 전체적으로 모터의 제조 원가를 절감시키기 위한 것이며, 아울러 이러한 모터 적용하여 전체적으로 가전 제품의 원가를 절감시키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모터의 제조 원가를 절감시키되, 제조가 용이하고 신뢰성 및 제품 내구성이 증진된 모터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의 필수 구성들을 크게 변경시키지 않고도 종래의 모터의 품질에 대해 동등 이상의 품질을 갖는 모터 및 이를 포함하는 가전 제품을 제공하는 데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스테이터 코어, 그리고 상기 스테이터 코어에 권선되는 알루미늄 재질의 코일을 갖는 스테이터; 상기 스테이터에 대해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로터; 상기 코일의 말단이 위치되는 탭 터미널; 상기 탭 터미널에 삽입되어 상기 코일의 심선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코일을 상기 탭 터미널에 고정시키는 마그메이트; 그리고 상기 마그메이트에 구비되며, 가열시 용융되어 상기 심선의 노출 부분에 절연 피막을 형성하는 절연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모터를 제공한다.
상기 마그메이트는 전부, 후부 그리고 하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전부, 후부 그리고 하부의 중간 부분에 상기 코일이 삽입되는 슬롯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마그메이트는 강성 보강을 위하여, 상기 전부와 후부는 평행하고 상기 후부는 상기 전부와 후부에 각각 수직되도록 절곡되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탭 터미널은 상기 하부와 평행한 상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전체적으로 수직 단면이 'ㅁ' 자 형태로 양측이 개구된 형태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마그메이트의 전부 또는 후부는 외부와 전기적 접속을 위하여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마그메이트가 상기 탭 터미널에 삽입되었을 때 상기 돌출된 부분을 통하여 외부와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마그메이트의 상부는 상기 마그메이트의 내측으로 경사지도록 절곡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절곡 부분도 마찬가지로 외부와 전기적 접속을 위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절곡된 부분은 외부에서 전기적 연결을 위한 단자가 삽입되었을 때 탄성력에 의해 용이하게 접속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절연부는 상기 마그메이트 중 상기 전부와 후부의 슬롯 부분에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절연부는 상기 마그메이트에 부착되는 열경화 타입 필름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절연부는 상기 마그메이트의 전부와 후부의 내측벽과 외측벽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절연부는 상기 마그메이트 중 상기 심선과 접촉되는 부분을 제외한 부분에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절연부는 상기 심선과 접촉되는 부분을 제외한 마그메이트의 전 영역에 구비될 수도 있고, 상기 심선과 접촉되는 부분 둘레에만 구비될 수 있다. 전자는 마그메이트와 코일 간의 전기적 접속만을 위한 경우일 수 있고, 후자는 외부와의 전기적 접속도 동시에 하기 위한 경우일 수 있다. 또한, 전자의 경우는 절연부가 마그메이트에 코팅됨으로써 용이하게 형성될 수 있고, 후자의 경우는 열경화 타입 필름을 상기 마그메이트에 부착시킴으로서 용이하게 형성될 수 있다.
어느 경우나 상기 절연부는 가열시 용융되며, 바람직하게는 경화될 수 있는 재질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용융되어 상기 마그메이트와 심선이 접촉되는 부분에 절연 피막을 형성하고, 경화됨으로써 강도 보강 기능도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상기 모터는 상기 스테이터 코어와 상기 코일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스테이터 코어와 상기 코일을 절연시키는 인슐레이터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탭 터미널은 상기 인슐레이터에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인슐레이터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탭 터미널은 전원 접속용 탭 터미널 또는 중성점 탭 터미널일 수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또한, 스테이터 코어, 그리고 상기 스테이터 코어에 권선되는 알루미늄 재질의 코일을 갖는 스테이터; 상기 스테이터에 대해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로터; 상기 코일의 말단이 위치되는 탭 터미널; 상기 탭 터미널에 삽입되어 상기 코일의 심선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코일을 외부 전원과 연결시키기 위한 마그메이트; 그리고 상기 마그메이트에 구비되 며, 가열시 용융되어 상기 심선의 노출 부분에 절연 피막을 형성하는 절연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모터를 제공한다.
상기 마그메이트는 상기 코일이 삽입되는 슬롯과 외부 전원과 연결되는 접속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접속부는 전술한 바와 같이 마그메이트의 특정 부분일 수 있다. 즉, 상기 접속부는 상기 마그메이트 중 상기 탭 터미널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거나 내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부분일 수 있다.
상기 모터는 상기 탭 터미널과 결합되고 상기 접속부와 전기적으로 접촉되어 외부 전원을 상기 코일에 인가하는 커넥터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모터는 모터의 외형을 형성하는 브라켓 내지는 하우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탭 터미널은 상기 브라켓 내지는 하우징에 구비될 수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스테이터 코어에 알루미늄 재질의 코일을 권선하는 (가) 단계; 상기 코일의 말단을 탭 터미널에 위치시키는 (나) 단계; 마그메이트를 상기 탭 터미널에 삽입시켜 상기 코일의 심선과 상기 마그메이트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고, 상기 코일을 상기 탭 터미널에 고정시키는 (다) 단계; 그리고 상기 심선의 노출 부분에 상기 심선의 부식 방지와 강도 보강을 위하여 절연 피막을 형성하는 (라)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모터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라) 단계는 상기 마그메이트를 가열하여 상기 마그메이트에 구비된 절연부를 용융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라) 단계는 용융 후 상기 절연부가 경화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 다.
또한, 상기 (라) 단계는 상기 탭 터미널에 수지물을 도포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또한, 베이스; 스테이터 코어와 상기 스테이터 코어에 권선되는 알루미늄 재질의 코일을 갖고, 상기 베이스에 고정되는 스테이터; 상기 스테이터에 대해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로터; 상기 코일의 말단이 위치되는 탭 터미널; 상기 탭 터미널에 삽입되어 상기 코일의 심선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코일을 외부 전원과 연결시키기 위한 마그메이트; 상기 마그메이트에 구비되며, 가열시 용융되어 상기 심선의 노출 부분에 절연 피막을 형성하는 절연부; 그리고 상기 탭 터미널과 결합되고 상기 마그메이트와 전기적으로 접촉되어 외부 전원을 상기 코일에 인가하는 커넥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가전 제품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베이스는 모터의 외형을 형성하는 브라켓 또는 하우징일 수 있다. 상기 모터는 상기 스테이터가 상기 브라켓 또는 하우징에 먼저 고정되고, 상기 브라켓 또는 하우징이 가전 제품에 고정되거나 결합된다. 다시 말하면 이 경우 상기 모터는 상기 브라켓 또는 하우징을 통하여 상기 가전 제품에 결합된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여기서의 베이스는 상기 브라켓 또는 하우징이 결합되는 가전 제품의 특정 부분을 의미할 수도 있다.
한편, 가전 제품의 내부에 위치될 수 있으므로 이러한 브라켓이 필요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테이터가 세탁기의 터브 후벽에 직접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세탁기의 터브 후벽과 같이 스테이터가 결합되는 부분을 베이스라 할 수 있다.
상기 가전 제품은 상기 탭 터미널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탭 터미널의 강도와 상기 코일 말단의 강도를 보강하는 강도 보강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강도 보강부는 상기 탭 터미널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강도 보강부는 상기 코일이 삽입되는 삽입부와 상기 코일이 안착되는 안착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삽입부의 폭은 상기 코일이 삽입 시 억지 끼움이 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안착부의 폭은 상기 삽입부의 폭 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일단 코일이 안착되면 진동 등에 의해서 코일이 상기 안착부에서 빠져나오지 않고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안착부는 상기 코일과의 접촉 면적을 키우기 위하여 곡면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모터에 적용되는 코일의 원가를 절감시켜 전체적으로 모터의 제조 원가를 절감시킬 수 있고, 또한 이러한 모터가 적용된 가전 제품의 원가를 절감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모터의 제조 원가를 절감시키되, 제조가 용이하고 신뢰성 및 제품 내구성이 증진된 모터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르면 종래의 필수 구성들을 크게 변경시키지 않고도 종래의 모터의 품질에 대해 동등 이상의 품질을 갖는 모터를 제공하는 데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 환경이 다습하고 상온 보다 높은 경우에도 신뢰성 및 내구성이 증진된 모터 및 가전 제품을 제공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은 세탁기용 모터에 관한 것이 도시되었다. 그러나 본 발명은 반드시 세탁기용 모터에 한정되지 않는다. 아울러, 본 발명은 이러한 모터가 사용되는 가전 제품에 관한 것으로, 가전 제품으로서 세탁기에 한정되지 않는다.
먼저,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터 구조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터의 스테이터 분해 사시도이다.
상기 스테이터(100)는 크게 스테이터 코어(110), 상부 인슐레이터(120), 그리고 하부 인슐레이터(1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스테이터 코어(110)는 환형의 백요크(111)와 상기 백요크의 외주를 따라서 반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된 티스(11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1은 스테이터 코어(110)의 외측에 후술하는 로터가 구비되어 회전하는 아웃터 로터 타입 모터의 스테이터가 도시된 것이다. 따라서, 이와 반대로 상기 티스(112)가 상기 백요크의 내주를 따라 반경 방향 내측으로 돌출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스테이터는 이너 로터 타입 모터의 스테이터가 될 것이다.
한편, 상기 스테이터 코어(110)는 강판을 타발하여 적층하여 형성될 수 있 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내측에 원형으로 발생되는 강판 조각 등은 필요가 없게 되어 재료가 낭비될 여지가 많다. 따라서, 띠 형상의 백요크와 상기 백요크에서 수직으로 돌출된 티스를 나선 형상으로 굴곡시켜 가면서 적층하여 스파이럴 코어로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스파이럴 코어 형태가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적층된 환형의 백요크(111)에는 각 층이 서로 결합되어 일체로 스테이터 코어가 형성되도록 코킹부(113)가 형성된다.
상기 티스(112)에는 코일(미도시)이 권선 된다. 그러나 상기 티스는 일반적으로 도체 재질이므로, 상기 티스와 코일 사이에는 절연을 위한 인슐레이터가 일반적으로 구비된다. 따라서, 본원 발명에서는 스테이터 코어(110)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인슐레이터(120, 130)가 구비된다. 즉, 상기 상부 인슐레이터(120)와 하부 인슐레이터(130)가 상기 스테이터 코어(110)와 결합되어 상기 스테이터 코어를 감싸게 된다. 이때, 상기 티스(112)를 감싸는 권선부(121, 131)에 코일이 권선 된다.
그러나, 도 1에 도시된 바와는 달리 상기 인슐레이터(120, 130)는 상기 스테이터 코어(11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스테이터 코어가 인서트 사출되어 상기 인슐레이터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인슐레이터는 티스와 티스 사이에 삽입되는 절연 필름(미도시)일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인슐레이터(120, 130)의 내측에는 반경 방향으로 돌출된 체결 보스(125, 135)가 형성되고, 상기 체결 보스에는 상기 스테이터(100)를 드럼세탁기의 터브 후벽면(미도시)에 위치시켜 고정시키기 위한 체결홀(126, 136)이 형성된다.
즉, 상기 상부 인슐레이터의 체결홀(126)과 상기 하부 인슐레이터의 체결홀(136)은 상기 상부 인슐레이터, 스테이터 코어, 그리고 하부 인슐레이터가 결합 시 서로 대응되어 하나의 체결홀을 형성한다. 이러한 체결홀에 볼트(미도시) 등을 통하여 스테이터 전체가 전술한 터브 등에 고정된다.
아울러, 상기 상부 인슐레이터의 체결홀(126) 인근에는 위치 결정 돌기(127)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위치 결정 돌기가 먼저 터브 등에 형성되는 홈(미도시)에 삽입되어 스테이터(100)의 위치가 결정된 후, 전술한 볼트 등을 이용하여 스테이터(100)가 터브에 고정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체결 보스(125, 135)와 체결홀(126, 136)등과 같은 결합 수단들은 반드시 상기 터브에 스테이터(100)고정시키기 위한 구성이 아닐 수 있으며, 그 적용례에 따라 모터의 외형을 형성하는 브라켓(미도시) 내지는 모터 하우징(미도시)과 고정 결합되기 위한 구성일 수도 있다. 여기서, 브라켓이라 함은 모터를 가전 제품 등에 고정시키기 위한 목적 측면에서 명명한 것이며, 하우징이라 함은 모터의 구성 등을 수용하는 목적 측면에서 명명한 것이다. 그러나, 동일한 구성이 상기 목적들 동시에 만족시킬 수 있으므로, 이하에서는 이러한 구성을 브라켓이라 한다.
예를 들어, 모터에서 스테이터는 로터에 대해서 상대적으로 고정되어야 한다. 따라서, 상기 스테이터를 고정시키기 위한 구성이 필요하며, 이를 베이스라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베이스는 모터의 외형을 형성하는 브라켓일 수 있다. 상기 모 터는 상기 스테이터가 상기 브라켓에 먼저 고정되고, 상기 브라켓이 가전 제품에 고정되거나 결합된다. 다시 말하면 이 경우 상기 모터는 상기 브라켓을 통하여 상기 가전 제품에 결합된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여기서의 베이스는 상기 브라켓 이 결합되는 가전 제품의 특정 부분을 의미할 수도 있다.
한편, 모터는 가전 제품의 내부에 위치될 수 있으므로 이러한 브라켓이 필요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테이터가 세탁기의 터브 후벽에 직접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세탁기의 터브 후벽과 같이 스테이터가 결합되는 부분을 베이스라 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스테이터에는 u, v, w 각 상에 대응되는 코일이 권선될 수 있다. 하나의 티스가 하나의 자극을 갖도록 하나의 티스에 하나의 코일이 권선될 수 있다. 이를 집중권이라고 하는데, 스테이터의 자극이 많아질수록 로터의 최대 회전 속도가 작아진다. 따라서, 모터를 제어하기가 용이하며, 최대 토크도 상대적으로 커질 수 있다.
먼저, 하나의 티스에 u 상 코일의 권선이 종료되면 상기 코일은 상부 인슐레이터에 형성된 코일 감김 리브(122)에 감겨 고정된 후 이웃하는 두 개의 티스를 건너서 다음 티스에 다시 권선된다. 이러한 코일의 시작단과 말단은 각각 전원 접속용 탭 터미널(128)과 중성점 탭 터미널(129)에 위치된다. 이러한 코일의 시작단과 말단을 설명의 편의상 말단이라 한다.
여기서, 상기 전원 접속용 탭 터미널에는 커넥터(140)가 결합되어, 3 상(Phase)의 전원이 u, v, w 각 상의 코일에 인가된다. 아울러, 상기 각 상의 코일 의 말단들은 모두 중성점 탭 터미널(129)에서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중성점을 형성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탭 터미널(128, 129)는 외형이 절연 재질로 형성되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인슐레이터와 일체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상기 탭 터미널은 전술한 베이스에 형성될 수도 있다.
이때, 스테이터 코어에 권선되는 코일이 단상일 경우에는 중성점 탭 터미널(129)이 생략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탭 터미널, 즉 전원 접속용 탭 터미널(128)과 상기 중성점 탭 터미널의 일측에는 홀 센서 어셈블리(141)이 고정된다. 이러한 홀 센서 어셈블리를 통해서 후술하는 로터의 위치 및/또는 속도를 감지하여 인가되는 전압의 위상과 전류의 세기를 조절하여 로터의 회전 속도 및 토크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코일 감김 리브(122)의 반경 방향 내측에는 원주 방향 따라 인슐레이터 리브(123)이 형성된다. 물론, 이러한 인슐레이터 리브(123)은 상부 인슐레이터뿐만 아니라 하부 인슐레이터에도 형성된다. 이러한 인슐레이터 리브(123)은 소정 높이 이상으로 형성되어 인슐레이터의 내측의 수분이 권선부(121, 131)로 흐르는 것을 차단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아울러, 상기 인슐레이터 리브(123)는 코일이 권선되는 높이 보다 높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상기 스테이터(100)를 취급할 때 주변의 다른 물건 등에 코일이 손상될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즉, 바닥에 내려 놓는 경우에는 바닥에 상기 인슐레이터 리브(123)만 접촉하고 코일은 바닥에 접촉되지 않으므로 코일의 손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터의 로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로터(200)는 로터 프레임(210), 영구자석(216)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로터 프레임(210) 베이스(212)와 상기 베이스의 외측에 형성되는 측벽부(211)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이들은 하나의 철판을 프레싱 가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측벽부의 내측에는 원주 방향을 따라 복수 개의 영구자석이 구비된다. 이러한 영구자석들은 원주 방향을 따라 교대로 N극과 S극으로 착자된다.
그리고, 상기 측벽부(211)는 자로를 형성하는 백요크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물론, 전술한 로터 프레임은 사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에는 환형의 자성 백요크가 별도로 구비되어야 할 것이다.
아울러, 상기 로터의 베이스(212)의 중앙부에는 상기 베이스의 강성 보강을 위해 상측으로 융기된 허브부(213)가 형성된다. 이러한 허브부(213)는 중앙에 통공(219)이 형성되는 데, 이 부분에 회전축(미도시), 예를 들어 세탁기의 회전축이 위치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축과 상기 허브부(213)는 도시되지 않은 커넥터 등을 이용하여 서로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로터가 회전됨에 따라 로터의 회전력이 회전축으로 전달되게 된다.
또한, 상기 허브부(213)에는 전술한 커넥터(140)가 결합되기 위한 결합홀(214)이나 커넥터의 위치를 먼저 결정하기 위한 위치 결정 홈(215) 등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로터(200)는 상기 스테이터(100)를 내부에 수용하게 되고, 상기 스테이터(100)의 상호 작용을 통하여 상기 스테이터(100)에 대해서 회전하게 된다. 물론, 이러한 로터의 회전력은 상기 로터 프레임(210)과 결합되어 일체로 회전하는 회전축(미도시)으로 전달되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종래의 구리 재질의 코일이 아닌 알루미늄 재질의 심선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코일을 사용함을 특징으로 한다. 알루미늄 재질은 구리 재질에 비해서 내부 저항이 크다. 따라서, 이러한 내부 저항을 줄이기 위해서 종래의 구리 재질 코일에 비해서 외경이 증가될 필요가 있다.
아울러, 알루미늄 재질은 구리 재질에 비해서 연성이 약하다. 따라서, 권선 시 외부의 충격에 의해서 쉽게 단선될 우려가 있다. 아울러, 알루미늄 재질은 물, 특히 염수에 취약하여 이러한 염수에 닿는 경우 쉽게 부식되어 단선될 우려도 크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모터에 있어서 알루미늄 재질의 코일은 강도와 연성의 보강을 위하여 상기 알루미늄 재질의 심선 외부에 형성되는 이중 코팅막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이러한 이중 코팅막을 통해서 코일의 절연에 대한 신뢰성을 더욱 키울 수 있게 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탭 터미널에는 코일의 말단이 위치된다. 이러한 코일의 말단은 전기적으로 연결되기 위하여 심선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코팅막이 제거되어야 한다. 따라서, 심선이 노출된 코일의 말단 부분은 전술한 바와 같이 강도와 연성이 약해 쉽게 단선될 우려가 있다. 아울러, 물, 특히 염수에 닿는 경우 쉽게 부식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예를 들어, 세탁기, 건조기 그리고 식기세척기와 같은 가전 제품은 냉수뿐만 아니라 온수를 사용하거나, 열풍을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다습하고 고온의 환경에서 작동된다. 그러므로 특히 이러한 가전 제품에서는 특히 심선이 노출된 코일의 말단 부분의 강도 및 절연은 더욱 중요하게 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코일의 말단 부분의 강도 보강, 부식 방지 및 절연을 위하여 절연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절연부는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이하에서는 도 3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상기 절연부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탭 터미널과 상기 탭 터미널에 삽입되는 마그메이트의 분해 사시도 이며, 도 4는 탭 터미널에 코일의 말단이 위치되어 마그메이트를 통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상기 탭 터미널은 전원 접속용 탭 터미널(128)이거나 중성점 탭 터미널(129)일 수 있다. 그러나, 설명의 편의상 중성점 탭 터미널만 설명하며, 동일한 사항이 전원 접속용 탭 터미널에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중성점 탭 터미널(129)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상의 코일, 즉 세 개의 코일 말단이 위치하나, 전원 접속용 탭 터미널(128)에는 특정 상의 코일, 즉 하나의 코일 말단만 위치하게 될 것이다. 물론, 각각의 경우 마그메이트의 형상은 달라질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도 3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탭 터미널은 내부에 마그메이트(150)가 삽 입될 수 있는 공간부(161)가 형성된다. 아울러 이러한 공간부의 전방과 후방에는 각각 슬릿(162)이 형성되어 코일의 말단이 상기 양쪽의 슬릿(162)에 걸려 위치되게 된다. 한편, 상기 슬릿의 상부에는 용이하게 코일이 삽입될 수 있도록 모따기(163) 내지는 라운드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탭 터미널의 일측은 전술한 인슐레이터 리브(123)와 연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인슐레이터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탭 터미널은 전술한 브라켓 또는 베이스에 형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탭 터미널은 상기 브라켓의 외부로 노출되어 브라켓 외부에서 용이하게 상기 탭 터미널과 커넥터(140)를 결합되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마그메이트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ㄷ'자 형태로 형성되며, 전부(152)와 후부(153), 그리고 하부에는 각각 슬롯(151)이 형성된다. 물론, 상기 슬롯은 상기 전부, 후부 그리고 하부의 중간 부분에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슬롯(151)에 상기 코일이 억지 끼워져 심선이 노출됨과 동시에 마그메이트(150)와 전기적으로 연결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마그메이트는 전도성 재질로 형성되어야 할 것이다. 물론, 미리 심선을 노출시킨 후 상기 마그메이트와 전기적으로 결합될 수도 있을 것이다.
여기서, 상기 마그메이트는 반드시 슬롯(151)을 갖지 않을 수도 있다. 즉, 마그메이트의 특정 부분에 심선과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그 접속 부분에 절연부가 형성될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 마그메이트(150)는 강성 보강을 위하여, 상기 전부(152)와 후부(153)은 평행하고, 상기 하부(154)는 상기 전부와 후부에 각각 수직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마그메이트(150)은 상기 하부(154)와 평행한 상부(155)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전체적으로 'ㅁ'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마그메이트(150)는 양측이 개구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마그메이트는 절곡됨으로써 전체적인 형상이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마그메이트의 양측에는 후크(156)이 형성될 수 있다. 물론, 상기 후크(156)에 대응되어 상기 탭 터미널(129)의 공간부(161)에는 홈 내지 돌기(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마그메이트(150)이 상기 탭 터미널(129)에 삽입되면 상기 후크(156)에 의해 고정되어, 진동 등에 의해서도 쉽게 마그메이트가 빠져나오지 않게 된다.
여기서, 상기 마그메이트(150)와 상기 코일 말단의 전기적 연결은 전술한 바와 같이 코일의 말단이 탭 터미널의 슬릿(162)에 위치된 후, 상기 마그메이트(150)가 상기 탭 터미널의 공간부(161)로 삽입됨과 동시에 심선이 노출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나, 먼저 심선을 노출시킨 후 마그메이트가 삽입됨과 동시에 전기적으로 연결이 이루어질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도 4에서는 코일 말단과 마그메이트가 각각 탭 터미널에 삽입되어 중성점이 형성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도 5와 도 6은 마그메이트와 코일 말단이 어떻게 전기적으로 연결되었는지를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먼저, 상기 마그메이트와 코일(160)의 말단은 탭 터미널 내부에서 전기적으로 연결되는데, 이는 코일의 심선(162)과 전도성 재질의 마그메이트가 직접 접촉하 여 전기적인 연결이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마그메이트와 직접 접촉하고 있는 상기 코일(160)의 특정 부분은 코팅막, 특히 이중 코팅막(161)이 제거된 상태이다.
따라서, 상기 코일(160)이 흔들리거나, 외부의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 전술한 바와 같이 마그메이트와 직접 접촉하고 있는 코일의 심선(162)이 단선될 우려가 있다. 또한, 이 부분에서 부식이 발생될 우려가 있다. 왜냐하면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코일의 심선은 알루미늄 재질로 형성되기 때문이다.
이러한 문제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하여 코일의 심선(162)과 마그메이트가 접촉되는 부분에 절연부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절연부의 일례로 도 6에는 수지물(170)이 도포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수지물(170)은 절연 재질로 형성되며, 도포된 후 경화되어 상기 심선(162)에서 절연을 유지하고, 외부로부터 심선을 보호한다. 물론, 직접적으로 외력이 상기 심선(161)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여 상기 심선(161)의 강도를 보강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한편, 도 7에는 상기 수지물(170)이 탭 터미널 전체에 도포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즉, 상기 수지물(170)이 마그메이트(150)과 코일의 심선(162) 노출부분뿐만 아니라 코팅막(161)이 제거되지 않은 일부의 코일(160)까지 감싸도록 도포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이 경우 도포되는 수지물의 양이 많아질 수 있으나, 더욱 견고히 코일의 말단을 탭 터미널에 고정시키는 것이 가능하고, 보다 신뢰성이 있게 절연 확보 및 부식 방지를 이룰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경우에 상기 탭 터미널은 전원 접속용 탭 터미널(128)이 아닌 중성점 탭 터미널(129)인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상기 중성점 탭 터미널에서는 상기 코일(160) 외에 별도로 다른 부분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필요가 없기 때문이다.
한편, 상기 탭 터미널이 전원 접속용 탭 터미널(128)인 경우에는 상기 마그메이트(150)가 전원과 연결되어야 한다. 따라서, 이러한 연결을 위해서 적어도 일부분에는 수지물(170)이 도포되지 않도록 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여기서, 상기 마그메이트(150)는 외부 전원과 연결되기 위하여 다른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도 8과 도 9에는 이러한 마그메이트의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8과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마그메이트(150)는 외부 전원과 연결되기 위한 접속부(157, 158)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접속부(157)는 마그메이트의 전부(152) 또는 후부(153)의 일 부분으로서, 상기 탭 터미널(128)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접속부(157)는 커넥터(140, 도 1 참조)가 상기 탭 터미널(128)과 결합될 때 상기 커넥터 내부에 수용되어 외부 전원과 연결된다. 즉, 도 8에 도시된 마그메이트(150)는 도 3에 도시된 마그메이트와는 달리 탭 터미널(128)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외부 전원과 연결되기 위한 접속부(157)이 더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접속부(158)는 마그메이트의 상부(155)의 변형된 형태로, 내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커넥터(140)에 구비된 단자가 상기 마그메이트(150)의 내부로 삽입되어 상기 접속부(158)과 접속되어 전기적 연결이 이루어질 수 있다.
즉, 마그메이트(150)는 외부 전원과의 연결을 위한 접속부(157, 158)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고, 이러한 접속부는 필요에 따라 마그메이트의 외측 또는 내측에 구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절연부의 다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전술한 실시예는 먼저 코일의 심선과 마그메이트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킨 후 절연 피막을 형성시키는 것으로서, 심선의 노출 부분에 수지물을 도포하는 형태이다. 즉, 절연부로서 도포된 수지물(170)이 추가되는 형태이다. 그러나, 본 실시예는 먼저 절연부가 구비된 마그메이트를 코일의 심선과 전기적으로 연결시킨 후 상기 절연부를 통하여 절연 피막을 형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마그메이트에는 절연부가 마그메이트에 구비된다. 즉, 일례로 상기 마그메이트에는 열경화 타입 필름(180)이 부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마그메이트의 형태는 전술한 마그메이트(150)와 동일할 수 있다. 그러나, 절연 피막을 형성하기 위한 절연부는 전술한 실시예와 달리 마그메이트에구비된다.
도 10에는, 마그메이트(150)의 슬롯(151) 부분에 부착된 열경화 타입 필름(180)이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필름(180)은 상기 마그메이트(150)의 전부(152)와 후부(153)의 외벽과 내벽에 부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필름(180)은 슬롯(151)의 부분을 제외하고 슬롯 주위에만 부착될 수도 있다. 물론, 마그메이트(150)의 하 부(154)에 형성된 슬롯(151) 부분은 먼저 코일이 삽입되기 때문에, 이러한 코일 삽입을 위해서 필름(180)이 구비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필름(180)은 마그메이트(150)의 전부와 후부에 형성된 슬롯(151)을 막도록 부착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코일이 삽입될 때 상기 필름(180)의 일부가 찢어지거나 구겨져 코일을 둘러쌀 수 있다.
여기서,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필름(180)은 가열 시 용융되며, 이 후 냉각되면서 경화되는 열경화 타입 필름인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필름(180)이 가열되어 용융되어 상기 코일의 심선 부분에 절연 피막을 형성하게 될 것이다. 그리고, 냉각되어 경화되어 도 6에 도시된 단면 형상을 형성할 수 있게 될 것이다. 즉, 이러한 필름(180)이 가열 시 용융되고, 이 후 냉각되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연 피막(170)을 형성하게 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는 전술한 실시예 보다 적은 양의 절연 소재를 이용하여 효과적으로 절연부 내지는 절연 피막을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전술한 실시예는 수지물을 도포하게 되는데, 사실상 코일의 심선 노출 부분에만 수지물을 도포하는 것이 어렵기 때문에 많은 양의 수지물을 도포하여야 한다. 이에 반해 본 실시예는 심선 노출 부분에 미리 구비된 절연부, 예를 들어 필름(180)을 용융시켜 심선 노출 부분에만 효과적으로 절연 피막을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아울러, 본 실시예에서 상기 필름(180)은 상기 마그메이트(150)에 구비된 수지물일 수 있다. 즉, 특히 슬롯(151) 부분을 제외하고 슬롯(151) 주위에 사출 등을 통해 구비되는 수지물일 수도 있다. 그러나, 제조의 용이 및 생산비 등을 고려하면 필름(180)을 이용하는 것이 보다 효과적일 것이다. 또한, 본 실시예에 의하면 과도하게 수지물이 도포됨으로써 발생될 수 있는 문제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실시예들은 탭 터미널의 강도를 보강하는 강도 보강부(239)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를 도 11을 통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1에는 탭 터미널로서 중성점 터미널(229)이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탭 터미널은 전원 접속용 탭 터미널(228)일 수도 있다.
이러한 강도 보강부(239)는 상기 탭 터미널의 일측에 형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이러한 강도 보강부(239)는 상기 탭 터미널의 반경 방향 내측 및/또는 외측에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코일 말단의 고정의 편의를 고려하면 상기 탭 터미널의 반경 방향 외측에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탭 터미널과 마찬가지로 상기 인슐레이터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강도 보강부(239)는 코일(160)에 인장력이 발생하는 경우 코일과 마그메이트(150)이 연결된 부분, 즉 심선 노출 부분에서 직접 인장력을 받지 않고, 상기 강도 보강부(239) 부분의 코일에서 인장력을 받게 된다. 따라서, 상기 강도 보강부(239)는 상기 코일의 말단 부분의 강도를 보강하기 위한 구성이라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강도 보강부(239)에는 상기 탭 터미널과 마찬가지로 슬릿(241)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코일의 말단은 상기 강도 보강부의 슬릿(241)과 상기 탭 터미널의 양쪽의 슬릿(162)에 고정되어 더욱 고정 강도가 보강된다.
또한, 이러한 슬릿(241, 162)의 폭은 상기 코일(160)의 외경과 대응되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즉, 도 11에 도시된 바와 달리 코팅막을 포함하는 코일(160)의 외경보다는 어느 정도 좁도록 형성하여 상기 코일이 억지 끼워져 동시에 코일이 고정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이러한 과정에서 상기 코팅막이 손상되지 않도록 지나치게 폭이 좁지 않도록 함이 더욱 바람직할 것이다.
이러한 슬릿의 폭에 대한 사항은 본 실시예에서뿐만 아니라 전술한 다른 실시예에서도 마찬가지일 것이다.
아울러, 상기 강도 보강부(239)에는 내측에 소정 공간이 형성되는 포켓(240)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포켓은 상기 슬릿(162)를 통하여 상기 탭 터미널 내부와 연통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코일(160)은 상기 포켓(239)를 가로 질러 상기 탭 터미널에 고정된다.
본 실시예에서도 절연부로서 수지물(270)이 도포될 수 있다. 이 경우 탭 터미널 상부에서 도포되는 수지물의 양이 과도하여 탭 터미널 외부로 누출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따라서, 수지물이 넘치더라도 상기 강도 보강부(239)의 포켓(240)으로 넘치도록 하기 위함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하여 정량의 수지물을 도포할 수 있으며, 따라서 수지물 도포를 수동이 아닌 자동으로 할 수 있어 생산 공정을 단순화시키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아울러, 많은 부분에 수지물이 도포되기 때문에 더욱 코일 말단의 강도 보강, 절연 확보 및 부식 방지 기능을 더욱 효과적으로 할 수 있는 장점이 있을 것이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도 전술한 절연부로서 절연 필름(180)이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상기 강도 보강부(239)는 코일(160)의 고정을 위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를 도 12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강도 보강부(339)는 도 11에 도시된 강도 보강부(239)와는 달리 높이가 탭 터미널(229) 보다 낮다.
도 11에 도시된 강도 보강부(239)는 포켓(240)에 수지물이 도포되지 않으면 코일(160)이 상하로 이동될 우려가 있다. 이에 반하여 도 12에 도시된 강도 보강부(339)에 따르면 코일이 고정되기 때문에 상하로 이동될 우려가 없게 된다. 이를 위해서, 상기 강도 보강부(339)는 상기 코일이 삽입되는 삽입부(340)와 상기 코일이 안착되는 안착부(341)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강도 보강부(339)는 전술한 강도 보강부(239)에 비해서 높이가 낮기 때문에 재료비를 절감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삽입부(340)의 폭은 상기 코일이 삽입 시 억지 끼움이 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안착부의 폭은 상기 삽입부의 폭 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일단 코일이 상기 삽입부(340)를 통해서 삽입되어 상기 안착부(341)에 안착되면 상기 코일이 상하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는 코일의 심선 노출부에서 직접 인장력을 받지 않고, 상기 안착부에 안착된 코일 부분이 직접 인장력을 받게 되어 코일 말단의 강도를 보강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상기 삽입부(340)를 통해서 삽입된 코일이 쉽게 빠지지 않기 때문에, 사후에도 안정적으로 코일 말단의 강도를 보강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강도 보강부의 안착부는 상기 코일과의 접촉 면적을 키우기 위하여, 도시된 바와 같이 곡면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본 발명에 의하면, 종래의 구리 재질이 아닌 알루미늄 재질의 심선을 포함하는 코일이 적용됨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알루미늄 재질의 심선에 대한 강도 보강, 절연 및 부식 방지를 위한 절연부를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절연부는 전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변경이 가능할 것이나 본원 발명의 기술 사상에 속하는 한 이러한 변형 실시예 또한 본 발명에 속하게 될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모터의 제조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먼저, 스테이터 코어에 알루미늄 재질의 코일을 권선하게 된다. 이 후 코일의 말단을 전기적으로 결선한다. 즉, 중성점이나 전원 접속점을 형성하게 되는데, 제조의 용이 및 안정적인 결선을 위하여 탭 터미널에 이러한 코일의 말단들을 위치시키게 된다.
이러한 탭 터미널에는 전기적 연결 및 코일의 말단 고정을 위해 마그메이트가 삽입될 수 있다. 즉 탭 터미널에 위치된 코일에 마그메이트가 접속되어 코일들 간의 중성점을 형성하거나 외부 전원과 연결되기 위한 접속점을 형성하게 된다. 여기서의 접속점이라 함은 전술한 접속부(157, 158)를 의미할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마그메이트를 통하여 탭 터미널에 코일이 고정되며, 전기적으로 결선이 이루어진다.
이 후, 마그메이트와 코일 말단이 연결되는 부분, 즉 코일의 심선이 노출된 부분에 절연 피막을 형성한다. 즉, 절연부를 형성한다. 이러한 절연부는 상기 심선 의 부식 방지와 강도 보강을 위한 것이다.
여기서, 절연부는 이러한 심선이 노출된 부분에 절연 피막을 형성하기 위하여 도포되는 수지물일 수 있다. 즉, 이러한 수지물이 절연 피막을 형성하게 된다. 또한, 이러한 절연부는 상기 마그메이트에 구비된 것일 수 있으며, 상기 절연부가 용융됨으로써 상기 심선이 노출된 부분에 절연 피막을 형성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절연부는 가열하여 용융되며, 이후 냉각되어 경화됨으로써 절연 및 강도 보강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터의 스테이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터의 로터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탭 터미널과 마그메이트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탭 터미널, 코일, 그리고 마그메이트의 결합 사시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코일과 마그메이트의 결합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략도;
도 6은 도 4에 도시된 코일과 마그메이트의 결합 부분에 절연부가 포함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략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절연부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마그메이트를 도시한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마그메이트를 도시한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절연부의 다른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략도;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절연부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강도 보강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스테이터 110 : 스테이터 코어
120 : 상부 인슐레이터 128 : 전원 접속용 탭 터미널
129 : 중성점 탭 터미널 130 : 하부 인슐레이터
150 : 마그메이트 160 : 코일
170, 270 : 절연 피막(수지물) 180 : 절연 필름

Claims (26)

  1. 스테이터 코어, 그리고 상기 스테이터 코어에 권선되는 알루미늄 재질의 코일을 갖는 스테이터;
    상기 스테이터에 대해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로터;
    상기 코일의 말단이 위치되는 탭 터미널;
    상기 탭 터미널에 삽입되어 상기 코일의 심선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코일을 상기 탭 터미널에 고정시키는 마그메이트; 그리고
    상기 마그메이트에 구비되며, 가열시 용융되어 상기 심선의 노출 부분에 절연 피막을 형성하는 절연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모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마그메이트는 전부, 후부 그리고 하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전부, 후부 그리고 하부의 중간 부분에 상기 코일이 삽입되는 슬롯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마그메이트는 강성 보강을 위하여, 상기 전부와 후부는 평행하고 상기 후부는 상기 전부와 후부에 각각 수직되도록 절곡되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부는 상기 마그메이트 중 상기 마그메이트의 전부와 후부의 슬롯 부분을 제외한 부분에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부는 상기 마그메이트에 부착되는 열경화 타입 필름임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6.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부는 상기 마그메이트의 전부와 후부의 내측벽과 외측벽에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부는 상기 마그메이트 중 상기 심선과 접촉되는 부분을 제외한 부분에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부는 상기 마그메이트에 부착되는 열경화 타입 필름임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테이터 코어와 상기 코일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스테이터 코어와 상기 코일을 절연시키는 인슐레이터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탭 터미널은 상기 인슐레이터에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탭 터미널은 상기 인슐레이터와 일체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탭 터미널은 전원 접속용 탭 터미널 또는 중성점 탭 터미널임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13. 스테이터 코어, 그리고 상기 스테이터 코어에 권선되는 알루미늄 재질의 코일을 갖는 스테이터;
    상기 스테이터에 대해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로터;
    상기 코일의 말단이 위치되는 탭 터미널;
    상기 탭 터미널에 삽입되어 상기 코일의 심선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코일을 외부 전원과 연결시키기 위한 마그메이트; 그리고
    상기 마그메이트에 구비되며, 가열시 용융되어 상기 심선의 노출 부분에 절연 피막을 형성하는 절연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모터.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마그메이트는 상기 코일이 삽입되는 슬롯과 외부 전원과 연결되는 접속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모터.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부는 상기 탭 터미널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거나 내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16. 제 14 항 또는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탭 터미널과 결합되고 상기 접속부와 전기적으로 접촉되어 외부 전원을 상기 코일에 인가하는 커넥터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17. 제 13 항 내지 제 1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외형을 형성하는 브라켓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탭 터미널은 상기 브라켓에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18. 스테이터 코어에 알루미늄 재질의 코일을 권선하는 (가) 단계;
    상기 코일의 말단을 탭 터미널에 위치시키는 (나) 단계;
    마그메이트를 상기 탭 터미널에 삽입시켜 상기 코일의 심선과 상기 마그메이트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고, 상기 코일을 상기 탭 터미널에 고정시키는 (다) 단계; 그리고
    상기 심선의 노출 부분에 상기 심선의 부식 방지와 강도 보강을 위하여 절연 피막을 형성하는 (라)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모터의 제조방법.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라) 단계는 상기 마그메이트를 가열하여 상기 마그메이트에 구비된 절연부를 용융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의 제조방법.
  20.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라) 단계는 상기 탭 터미널에 수지물을 도포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의 제조방법.
  21. 베이스;
    스테이터 코어와 상기 스테이터 코어에 권선되는 알루미늄 재질의 코일을 갖고, 상기 베이스에 고정되는 스테이터;
    상기 스테이터에 대해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로터;
    상기 코일의 말단이 위치되는 탭 터미널;
    상기 탭 터미널에 삽입되어 상기 코일의 심선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코일을 외부 전원과 연결시키기 위한 마그메이트;
    상기 마그메이트에 구비되며, 가열시 용융되어 상기 심선의 노출 부분에 절연 피막을 형성하는 절연부; 그리고
    상기 탭 터미널과 결합되고 상기 마그메이트와 전기적으로 접촉되어 외부 전원을 상기 코일에 인가하는 커넥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가전 제품.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탭 터미널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탭 터미널의 강도와 상기 코일 말단의 강도를 보강하는 강도 보강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 제품.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강도 보강부는 상기 탭 터미널과 일체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 제품.
  24. 제 21 항 또는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강도 보강부는 상기 코일이 삽입되는 삽입부와 상기 코일이 안착되는 안착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 제품.
  25.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의 폭은 상기 코일이 삽입 시 억지 끼움이 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안착부의 폭은 상기 삽입부의 폭 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 제품.
  26.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는 상기 코일과의 접촉 면적을 키우기 위하여 곡면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 제품.
KR1020080009145A 2008-01-29 2008-01-29 모터,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가전 제품 KR1013970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9145A KR101397040B1 (ko) 2008-01-29 2008-01-29 모터,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가전 제품
US12/320,534 US20090189475A1 (en) 2008-01-29 2009-01-28 Motor,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and home appliance with the same
CNA2009100051426A CN101499687A (zh) 2008-01-29 2009-02-01 马达、制造该马达的方法和具有该马达的家用电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9145A KR101397040B1 (ko) 2008-01-29 2008-01-29 모터,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가전 제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3153A true KR20090083153A (ko) 2009-08-03
KR101397040B1 KR101397040B1 (ko) 2014-05-21

Family

ID=409466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09145A KR101397040B1 (ko) 2008-01-29 2008-01-29 모터,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가전 제품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397040B1 (ko)
CN (1) CN10149968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91339A3 (en) * 2010-12-29 2012-10-04 Lg Electronics Inc. Motor for compressor and compressor having the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055771A1 (en) * 2010-07-21 2013-03-07 Panasonic Corporation Brushless motor for washing machine and drum-type washing machine provided with same
JP5947238B2 (ja) 2013-03-25 2016-07-06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ペースト、アルミニウム電線体、アルミニウム電線体の製造方法、モータ及びモータの製造方法
US11171536B2 (en) * 2016-11-07 2021-11-09 Lg Innotek Co., Ltd. Cover assembly and motor including same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79615A (en) * 1975-02-05 1976-09-07 Amp Incorporated Field assembly for electric motors
JPH08140302A (ja) * 1994-11-10 1996-05-31 Nippondenso Co Ltd 磁石式発電機の固定子
JP2001263238A (ja) * 2000-03-21 2001-09-26 Sanyo Electric Co Ltd 密閉型電動圧縮機
US20040182596A1 (en) * 2003-03-17 2004-09-23 Sedlak John Michael Method and apparatus for insulating magnet wir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91339A3 (en) * 2010-12-29 2012-10-04 Lg Electronics Inc. Motor for compressor and compressor hav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499687A (zh) 2009-08-05
KR101397040B1 (ko) 2014-05-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45850B1 (ko) 모터
KR100651873B1 (ko) 모터
US8063524B2 (en) Washing machine motor having insulator accommodating aluminum wire windings
US7557486B2 (en) Dual rotor type motor
KR101013781B1 (ko) 모터
US20090189475A1 (en) Motor,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and home appliance with the same
KR101241920B1 (ko) 모터
KR100883601B1 (ko) 모터
KR101397040B1 (ko) 모터,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가전 제품
KR100934661B1 (ko) 모터
KR100640803B1 (ko) 이중 로터형 모터
KR100845853B1 (ko) 모터
KR100885448B1 (ko) 모터
KR100845852B1 (ko) 모터
KR101397041B1 (ko) 모터 및 이를 포함하는 가전 제품
JP2000287403A (ja) ブラシレスモータ
KR100845851B1 (ko) 모터
KR100578191B1 (ko) 아우터 로터형 모터의 샤프트 연결 구조
KR100657660B1 (ko) 드럼 세탁기용 모터의 로터 구조
KR100937425B1 (ko) 모터
KR102068566B1 (ko) 모터
KR101295574B1 (ko) 세탁기 모터
KR101066521B1 (ko) 아우터 로터형 모터의 샤프트 연결 구조
KR100611455B1 (ko) 아우터 로터형 모터의 샤프트 연결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