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81128A - 편평형 진동 모터 - Google Patents

편평형 진동 모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81128A
KR20090081128A KR1020080007036A KR20080007036A KR20090081128A KR 20090081128 A KR20090081128 A KR 20090081128A KR 1020080007036 A KR1020080007036 A KR 1020080007036A KR 20080007036 A KR20080007036 A KR 20080007036A KR 20090081128 A KR20090081128 A KR 200900811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rotating magnetic
magnetic substrate
rotor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070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병희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070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81128A/ko
Publication of KR200900811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8112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33/00Motors with 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magnet, armature or coil system
    • H02K33/16Motors with 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magnet, armature or coil system with polarised armatures moving in alternate directions by reversal or energisation of a single coil system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5/00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02K5/04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thereof
    • H02K5/14Means for supporting or protecting brushes or brush holders
    • H02K5/143Means for supporting or protecting brushes or brush holders for cooperation with commutato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dynamo-electric machines, e.g. 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or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6Means for converting reciprocating motion into rotary motion or vice versa
    • H02K7/061Means for converting reciprocating motion into rotary motion or vice versa using rotary unbalanced masses
    • H02K7/063Means for converting reciprocating motion into rotary motion or vice versa using rotary unbalanced masses integrally combined with motor parts, e.g. motors with eccentric ro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Apparatuses For Generation Of Mechanical Vibrations (AREA)
  • Connection Of Motors, Electrical Generators, Mechanical Devices, And The Like (AREA)

Abstract

편평형 진동 모터가 개시된다. 상기 편평형 진동 모터는 웨이트가 베어링의 기능을 하므로, 베어링이 필요 없다. 따라서 원가가 절감된다. 또한, 웨이트의 일측 및 타측이 금형 및 회전자기판에 지지되므로, 회전자기판상에서 웨이트가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별도의 공정이 필요 없다. 따라서, 원가가 더욱 절감된다. 또한, 웨이트의 일측이 회전자기판의 회전중심측 까지 연장 형성되므로, 웨이트와 지지부재의 결합면적이 넓어 결합력이 향상된다. 그러므로, 웨이트와 지지부재의 결합면적을 넓게 하기 위한 별도의 공정이 필요 없으므로, 원가가 더욱 절감된다. 또한, 웨이트가 회전자기판의 회전충심측 까지 연장 형성되므로, 웨이트의 부피가 크다. 따라서, 큰 진동력을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편평형 진동 모터 {FLAT TYPE VIBRATION MOTOR}
도 1a 및 도 1b는 종래의 편평형 진동 모터의 회전자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편평형 진동 모터의 단면도.
도 3a 및 도 3b는 도 2에 도시된 회전자의 사시도.
도 4는 도 3a에 도시된 웨이트의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0 : 케이스 120 : 지지축
131,135 : 제 1,2 기판 140 : 고정자
150 : 회전자 155 : 웨이트
160 : 브러시
본 발명은 편평형 진동 모터에 관한 것이다.
편평형 진동 모터는 지지축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진동을 발생하는 편심된 회전자를 가진다.
종래의 편평형 진동 모터의 회전자를 도 1a 및 도 1b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a 및 도 1b는 종래의 편평형 진동 모터의 회전자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자(10)는 회전자기판(11), 회전자기판(11)의 상면에 각각 설치된 코일(13)과 웨이트(15), 회전자기판(11)과 코일(13)과 웨이트(15)를 일체로 형성하는 지지부재(17)(도 1b참조)를 가진다.
회전자(10)는 회전자기판(11)에 코일(13)과 웨이트(15)를 위치시킨 다음, 회전자기판(11)을 금형속에 넣고, 합성수지제인 지지부재(17)를 상기 금형으로 사출하여, 회전자기판(11)과 코일(13)과 웨이트(15)를 일체로 형성한다.
지지부재(17)에는 지지축(미도시)에 삽입 지지되는 베어링(20)이 결합된다. 베어링(20)은 지지부재(17)의 사출시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고, 사출 형성된 지지부재(17)에 압입 결합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편평형 진동 모터는 회전자(10)의 원활한 회전을 도와주는 베어링(20)이 별도로 마련되므로, 원가가 상승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지지부재(17)의 사출시 웨이트(15)가 회전자기판(11) 상에서 유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웨이트(15)를 회전자기판(11)에 접착 고정한다. 그리고, 웨이트(15)와 지지부재(17)의 결합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웨이트(15)의 측면에 지지부재(17)가 주입되는 주입홈(15a)을 형성한다. 이로인해, 공정이 복잡하여 더욱 원가가 상승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코일(13)과 베어링(20) 사이의 공간에 웨이트(15)가 위치되므로, 상대적으로 웨이트(15)의 부피가 작다. 따라서, 진동력이 작은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원가를 절감할 수 있음과 동시에 큰 진동력을 얻을 수 있는 편평형 진동 모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편평형 진동 모터는, 상호 결합되어 상대적으로 상측 및 하측에 위치된 상부케이스 및 하부케이스; 일단부측 및 타단부측이 상기 상부케이스 및 상기 하부케이스에 각각 지지된 지지축; 상기 지지축을 감싸는 형태로 배치된 회전자기판, 상기 회전자기판의 일면에 설치된 코일, 상기 회전자기판의 일면에 설치되며 상기 지지축에 지지된 웨이트, 상기 회전자기판의 타면에 형성되며 상기 코일로 외부의 전원을 전달하는 정류자 및 상기 회전자기판과 상기 코일과 상기 웨이트를 일체로 형성하는 지지부재를 가지며 상기 지지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진동을 발생하는 회전자; 상기 하부케이스에 설치되며 상기 회전자와 작용하여 상기 회전자를 회전시키는 고정자를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편평형 진동 모터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편평형 진동 모터의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호 결합되어 내부에 소정 공간을 형성하며 수직방향을 기준으로 상대적으로 상측에 위치된 상부케이스(111)와 하측에 위치된 하부케이스(115)를 가지는 케이스(110)가 마련된다.
상부케이스(111)와 하부케이스(115)를 포함한 다른 구성요소들의 면 및 방향 을 지칭함에 있어서, 상부케이스(111)측을 향하는 면 및 방향을 "상면 및 상측", 하부케이스(115)측을 향하는 면 및 방향을 "하면 및 하측"이라 한다.
상부케이스(111) 및 하부케이스(115)에는 상호 대향되게 지지홈(112) 및 지지관(116)이 각각 형성되고, 지지홈(112) 및 지지관(116)에는 지지축(120)의 상단부측 및 하단부측이 각각 지지된다.
하부케이스(115)의 상면 중앙부측에는 지지축(120)을 감싸는 형태로 제 1 기판(131)이 고정되고, 하면에는 제 1 기판(131)과 접속되는 제 2 기판(135)이 결합된다. 제 1 기판(131)과 제 2 기판(135)은 하부케이스(115)에 형성된 관통공(117)을 통과하여 상호 접속된다.
하부케이스(115)의 상면 테두리부측에는 지지축(120)을 감싸는 형태로 고정자(140)인 마그네트가 고정되고, 지지축(120)에는 회전하면서 진동을 발생하는 편심된 회전자(150)가 고정된다.
제 1 기판(131)에는 브러시(160)의 하단부측이 접속 설치되고, 브러시(160)의 상단부측은 회전자(150)와 접촉된다. 그리하여, 제품의 배터리 전원이 2 기판(135)→제 1 기판(131)→브러시(160)를 통하여 회전자(150)의 코일(153)로 공급되면, 고정자(140)와 회전자(150)의 작용에 의하여 회전자(150)가 회전하면서 진동을 발생한다.
회전자(150)에 대하여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a 및 도 3b는 도 2에 도시된 회전자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a에 도시된 웨이트의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자(150)는 회전자기판(151), 코일(153), 웨이트(155), 정류자(157) 및 지지부재(159)를 가진다.
회전자기판(151)은 대략 반원판형으로 형성되며 회전 중심부측에 결합공(151a)(도 2참조)이 형성된다. 결합공(151a)을 지지축(120)이 관통하므로, 회전자기판(151)은 지지축(120)을 감싸는 형태로 설치된다. 코일(153)은 상부케이스(111)와 대향하는 회전자기판(151)의 상면에 접속 설치되고, 웨이트(155)는 코일(153)과 코일(153) 사이의 회전자기판(151)의 상면 부위에 설치되어 회전자(150)가 큰 진동력을 발생하도록 한다. 정류자(157)(도 2참조)는 회전자기판(151)의 하면에 형성되어 코일(153)과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정류자(155)에는 브러시(160)(도 2참조)의 상단부측이 접촉된다.
지지부재(159)는 회전자기판(151)과 코일(153)과 웨이트(155)를 일체로 형성한다.
상세히 설명하면, 회전자기판(151)의 적소에 코일(153)과 웨이트(155)를 위치시킨 후, 회전자기판(151)을 금형(미도시)속에 넣고, 합성수지제인 지지부재(159)를 금형으로 사출하면, 회전자기판(151)과 코일(153)과 웨이트(155)가 지지부재(159)에 의하여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편평형 진동 모터는 웨이트(155)가 지지축(120)에 지지되어 베어링의 기능을 한다.
상세히 설명하면, 웨이트(155)의 일측은 회전자기판(151)의 관통공(151a)측까지 연장 형성되어 지지축(120)에 지지되는데, 웨이트(155)의 일측에는 지지 축(120)이 관통하는 지지공(155a)이 형성된다. 그리고, 지지공(155a)이 형성된 웨이트(155)의 부위 상면 및 하면은 지지부재(159)의 상측 및 회전자기판(151)의 하측으로 돌출되어 지지부재(159) 및 회전자기판(151)의 외측으로 각각 노출된다.
이때, 회전자기판(151)과 웨이트(155)의 더욱 견고한 결합을 위하여 회전자기판(151)의 외측으로 노출된 웨이트(155)의 부위 외주면은 결합공(151a)에 삽입 결합된다. 그리고, 회전자기판(151)의 외측으로 노출된 웨이트(155)의 부위 하면은 지지관(116)의 상단면(上端面)에 접촉 지지되어, 회전자(150)가 상부케이스(111)와 하부케이스(115) 사이에 위치되도록 지지된다.
웨이트(155)의 테두리부측인 타측 하면에는 하측으로 돌출된 단면(段面)(155b)이 형성된다. 단면(155b)은 회전자기판(151)의 외주면에 접촉되어 지지공(155a)과 함께 웨이트(155)가 회전자기판(151) 상에서 유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상세히 설명하면, 웨이트(155)의 단면(155b)을 회전자기판(151)의 외주면에 접촉시켜 회전자기판(151)에 위치시킨 다음, 상기 금형속에 넣으면, 지지공(155a)에는 상기 금형에 형성된 돌기(미도시)가 삽입된다. 즉, 웨이트(155)의 일측은 상기 금형의 돌기에 지지되고, 타측은 회전자기판(151)의 외주면에 지지되므로, 지지부재(159)를 사출하여도 웨이트(155)가 유동하지 않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편평형 진동 모터는 웨이트가 베어링의 기능을 하므로, 베어링이 필요 없다. 따라서 원가가 절감된다.
또한, 웨이트의 일측 및 타측이 금형 및 회전자기판에 지지되므로, 회전자기 판상에서 웨이트가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별도의 공정이 필요 없다. 따라서, 원가가 더욱 절감된다.
또한, 웨이트의 일측이 회전자기판의 회전중심측 까지 연장 형성되므로, 웨이트와 지지부재의 결합면적이 넓어 결합력이 향상된다. 그러므로, 웨이트와 지지부재의 결합면적을 넓게 하기 위한 별도의 공정이 필요 없으므로, 원가가 더욱 절감된다.
또한, 웨이트가 회전자기판의 회전충심측 까지 연장 형성되므로, 웨이트의 부피가 크다. 따라서, 큰 진동력을 얻을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변경 및 변형한 것도 본 발명에 속함은 당연하다.

Claims (5)

  1. 상호 결합되어 상대적으로 상측 및 하측에 위치된 상부케이스 및 하부케이스;
    일단부측 및 타단부측이 상기 상부케이스 및 상기 하부케이스에 각각 지지된 지지축;
    상기 지지축을 감싸는 형태로 배치된 회전자기판, 상기 회전자기판의 일면에 설치된 코일, 상기 회전자기판의 일면에 설치되며 상기 지지축에 지지된 웨이트, 상기 회전자기판의 타면에 형성되며 상기 코일로 외부의 전원을 전달하는 정류자 및 상기 회전자기판과 상기 코일과 상기 웨이트를 일체로 형성하는 지지부재를 가지며 상기 지지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진동을 발생하는 회전자;
    상기 하부케이스에 설치되며 상기 회전자와 작용하여 상기 회전자를 회전시키는 고정자를 포함하는 편평형 진동 모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웨이트의 일측은 상기 지지축 부위 까지 연장 형성되어 상기 지지축이 관통하는 지지공이 형성되고, 타측에는 상기 회전자기판의 외주면과 접촉하는 단면(段面)이 형성된 편평형 진동 모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공이 형성된 상기 웨이트의 부위 일면 및 타면은 상기 지지부재의 외측 및 상기 회전자기판의 외측으로 각각 노출된 편평형 진동 모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케이스 및 상기 하부케이스에는 상기 지지축의 일단부측 및 타단부측이 각각 지지되는 지지홈 및 지지관이 상호 대향되게 각각 형성되고,
    상기 회전자기판의 외측으로 노출된 상기 웨이트의 부위는 상기 지지관의 단면(端面)에 접촉 지지된 편평형 진동 모터.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자기판에는 결합공이 형성되고,
    상기 회전자기판의 외측으로 노출된 상기 웨이트의 부위 외주면은 상기 결합공에 결합된 편평형 진동 모터.
KR1020080007036A 2008-01-23 2008-01-23 편평형 진동 모터 KR2009008112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7036A KR20090081128A (ko) 2008-01-23 2008-01-23 편평형 진동 모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7036A KR20090081128A (ko) 2008-01-23 2008-01-23 편평형 진동 모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1128A true KR20090081128A (ko) 2009-07-28

Family

ID=412921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07036A KR20090081128A (ko) 2008-01-23 2008-01-23 편평형 진동 모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81128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26243B1 (ko) 진동모터
KR101141002B1 (ko) 편평형 진동모터
KR20120036644A (ko) Eps모터의 센싱 마그네트 결합구조
KR100986685B1 (ko) 편평형 진동 모터
JP5893947B2 (ja) ブラシレスモータおよび送風機
KR20090097382A (ko) 편평형 진동 모터
KR20040098081A (ko) 편평형 진동 모터
KR20090081128A (ko) 편평형 진동 모터
KR101360937B1 (ko) 편평형 진동 모터
KR101039760B1 (ko) 편평형 진동 모터
KR20090056330A (ko) 비엘디씨 진동모터
KR101063823B1 (ko) 편평형 진동 모터
KR101360944B1 (ko) 편평형 진동 모터
KR101090680B1 (ko) 편평형 진동 모터
JP2013115836A (ja) ブラシレスモータ及び電動ポンプ
JP2007282491A (ja) ブラシレス振動モータ
CN210074947U (zh) 一种外转子无刷电机
KR100892319B1 (ko) 편평형 진동 모터
KR20090051397A (ko) 편평형 진동 모터
KR101090679B1 (ko) 편평형 진동 모터
KR101416196B1 (ko) 편평형 진동 모터
US9006946B2 (en) Motor structure and flat type vibration motor structure using the same
KR20090060393A (ko) 편평형 진동 모터
KR200285847Y1 (ko) 코인형 진동모터의 로터용 부쉬
CN207010516U (zh) 一种弹片式振动马达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