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92319B1 - 편평형 진동 모터 - Google Patents

편평형 진동 모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92319B1
KR100892319B1 KR1020060083423A KR20060083423A KR100892319B1 KR 100892319 B1 KR100892319 B1 KR 100892319B1 KR 1020060083423 A KR1020060083423 A KR 1020060083423A KR 20060083423 A KR20060083423 A KR 20060083423A KR 100892319 B1 KR100892319 B1 KR 1008923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plate
rotor
vibration motor
st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834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21231A (ko
Inventor
박영일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834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92319B1/ko
Priority to CN2007800007386A priority patent/CN101331666B/zh
Priority to US11/997,716 priority patent/US7911097B2/en
Priority to PCT/KR2007/004179 priority patent/WO2008026886A1/en
Priority to JP2009526538A priority patent/JP2010503366A/ja
Publication of KR200800212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212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923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923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dynamo-electric machines, e.g. 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or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6Means for converting reciprocating motion into rotary motion or vice versa
    • H02K7/065Electromechanical oscillators; Vibrating magnetic dr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6GENERATING OR TRANSMITTING MECHANICAL VIBRATIONS IN GENERAL
    • B06B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OR TRANSMIT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e.g. FOR PERFORMING MECHANICAL WORK IN GENERAL
    • B06B1/00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 B06B1/02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making use of electrical energy
    • B06B1/04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making use of electrical energy operating with electromagnetism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23/00DC commutator motors or generators having mechanical commutator; Universal AC/DC commutator motors
    • H02K23/54Disc armature motors or generato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3/00Details of windings
    • H02K3/04Winding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or shape, form or construction, e.g. with bar conductors
    • H02K3/26Winding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or shape, form or construction, e.g. with bar conductors consisting of printed conducto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5/00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02K5/24Casings; Enclosures; Supports specially adapted for suppression or reduction of noise or vibr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dynamo-electric machines, e.g. 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or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6Means for converting reciprocating motion into rotary motion or vice versa
    • H02K7/075Means for converting reciprocating motion into rotary motion or vice versa using crankshafts or eccentric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pparatuses For Generation Of Mechanical Vibrations (AREA)
  • Connection Of Motors, Electrical Generators, Mechanical Devices, And The Like (AREA)
  • Motor Or Generator Frames (AREA)

Abstract

편평형 진동 모터가 개시된다. 상기 편평형 진동 모터는 케이스의 상판 하면 테두리부측이 상측으로 함몰된 형태로 단(段)이져 형성되므로, 회전자가 기울어진 상태로 회전하여도 회전자가 케이스의 상판에 부딪히지 않는다. 그러므로, 소음이 발생되지 않는다.

Description

편평형 진동 모터 {FLAT TYPE VIBRATION MOTOR}
도 1은 종래의 편평형 진동 모터의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편평형 진동 모터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부케이스가 DC모터에 적용된 것을 보인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0 : 케이스 120 : 지지축
130 : 베어링 140 : 회전자
150 : PCB 160 : 고정자
본 발명은 편평형 진동 모터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편평형 진동 모터의 단면도로서, 이를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소정 공간이 형성된 케이스(11)가 마련되고, 케이스(11)의 상판 및 하판에는 지지축(13)의 상단부 및 하단부가 각각 지지된다.
케이스(11)의 하판 상면에는 PCB(Printed Circuit Board)(15)가 결합되고, PCB(15)에는 코일(17)이 고정된다. 그리고, 코일(17) 상측의 지지축(13)의 외주면에는 베어링(19)이 설치되고, 베어링(19)의 외주면에는 회전하는 회전자(21)가 고정된다.
회전자(21)는 편심된 원판형상의 로터요크(21a), 로터요크(21a)의 하면에 고정된 마그네트(21b) 및 웨이트(21c)를 가진다. 그리하여, 코일(17)에 전류가 공급되면, 코일(17)과 마그네트(21b)의 상호 작용에 의하여 회전자(21)가 회전하면서 진동을 발생한다.
이때, 지지축(13)과 베어링(19) 사이에 존재하는 공극으로 인하여 회전자(21)가 회전하면, 가상의 수평선에 대하여 회전자(21)가 소정 각도로 기울어져서 회전하게 된다.
그런데, 종래의 편평형 진동 모터는 케이스(11)의 상판 하면이 편평하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기울어진 상태로 회전하는 회전자(21)의 상면 모서리부측이, 도 1에 점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11)의 상판 하면에 접촉되어 소음이 많이 발생하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소음을 저감할 수 있는 편평형 진동 모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편평형 진동 모터는, 상판과 측판과 하판을 가지며, 상기 상판의 하면 테두리부측은 상측으로 함몰된 형태로 단 (段)이진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상판 및 하판에 상단부 및 하단부가 각각 지지된 지지축; 상기 하판의 상면에 설치된 PCB(Printed Circuit Board); 상기 PCB 또는 상기 케이스의 하판에 설치된 고정자; 상기 고정자 상측의 상기 지지축의 외주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고정자와의 작용에 의하여 회전하면서 진동을 발생하는 편심된 회전자를 포함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편평형 진동 모터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편평형 진동 모터의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호 결합되어 내부에 소정 공간을 형성하는 상부케이스(111)와 하부케이스(115)를 가지는 케이스(110)가 마련된다. 상부케이스(111)는 상판과 측판을 가지고, 하부케이스(115)는 하판과 측판을 가진다. 즉, 상부케이스(111)의 측판 하단부측과 하부케이스(115)의 측판 상단부측이 상호 결합되며, 상부케이스(111)의 상판 및 하부케이스(115)의 하판이 케이스(110)의 상판 및 하판을 각각 이룬다.
케이스(110)의 상판 및 하판에는 지지축(120)의 상단부측 및 하단부측이 각각 지지된다.
지지축(120)의 외주면에는 베어링(130)이 설치되고, 베어링(130)의 외주면에는 편심된 회전자(140)가 회전가능하게 고정된다.
회전자(140)는 베어링(130)의 외주면에 고정된 편심된 로터요크(141), 로터요크(141)의 하면에 고정되어 자기장을 발생하는 마그네트(143) 및 로터요크(141) 의 하면에 고정되어 회전자(140)가 큰 진동을 발생하도록 하는 웨이트(145)를 가진다.
케이스(110)의 하판 상면에는 IC(Integrated Circuit)(미도시) 및 홀소자(Hall Element)(미도시) 등이 설치된 PCB(Printed Circuit Board)(150)가 고정되고, PCB(150)의 상면 또는 케이스(110)의 하판의 상면에는 코일인 고정자(160)가 고정된다. 이때, 고정자(160)는 마그네트(143)의 하측에 위치되어 마그네트(143)와 대향한다.
그리하여, 외부의 전원이 PCB(150)를 통하여 고정자(160)로 공급되면, 고정자(160)에서 발생되는 전기장과 마그네트(143)에서 발생되는 자기장의 작용에 의하여 회전자(140)가 회전하면서 진동을 발생하는 것이다.
케이스(110)의 하판 상면에는 코깅플레이트(Cogging Plate)(170)가 마련된다. 코깅플레이트(170)는 마그네트(143)와 코일인 고정자(160)에 의하여 발생되는 전자기력에 의한 토크가 제로인 지점에 회전자(140)가 정지하는 것을 방지하여 모터가 안정적으로 구동되게 한다.
지지축(120)과 베어링(130) 사이에는 공극이 존재하므로, 회전자(140)가 회전하면, 회전자(140)는 가상의 수평선에 대하여 소정 각도로 기울어져서 회전한다. 그러면, 회전자(140)의 상면 모서리부측이 케이스(110)의 상판 하면에 부딪히게 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편평형 진동 모터는 회전자(140)의 상면 모서리부측이 케이스(110)의 상판 하면에 부딪히지 않도록, 회전자(140)의 상면 모서리부측과 대향 하는 케이스(110)의 상판의 하면 테두리부측을 상측으로 함몰된 형태로 단(段)(110a)이지게 형성한다. 그러면, 회전자(140)가, 도 2에 점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기울어진 상태로 회전하여도 회전자(140)의 상면 모서리부측이 케이스(110)의 상판 하면에 부딪히지 않는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부케이스가 DC모터에 적용된 것을 보인 단면도로서, 이를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호 결합되어 내부에 소정 공간을 형성하는 상부케이스(211)와 하부케이스(215)를 가지는 케이스(210)가 마련된다. 상부케이스(211)는 상판과 측판을 가지고, 하부케이스(215)와 측판과 하판을 가진다. 즉, 상부케이스(211)의 측판 하단부측과 하부케이스(215)의 측판 상단부측이 상호 결합되며, 상부케이스(211)의 상판 및 하부케이스(215)의 하판이 케이스(210)의 상판 및 하판을 각각 이룬다.
케이스(210)의 상판 및 하판에는 지지축(220)의 상단부측 및 하단부측이 각각 지지된다.
지지축(220)의 외주면에는 베어링(230)이 설치되고, 베어링(130)의 외주면에는 편심된 회전자(240)가 회전가능하게 고정된다.
회전자(240)는 베어링(230)의 외주면에 고정된 편심된 로터요크(241), 로터요크(241)의 내부에 일체로 형성되어 전기장을 발생하는 코일(243), 로터요크(241) 및 코일(243)의 하면에 고정된 기판(245), 기판(245)의 하면에 설치된 정류자(247)를 가진다.
케이스(210)의 하판 상면에는 PCB(Printed Circuit Board)(250)가 고정되고, PCB(250)의 상면에는 자기장을 발생하는 마그네트인 고정자(260)가 고정된다. 이때, 고정자(260)는 코일(243)의 하측에 위치되어 코일(243)과 대향한다. 그리고, PCB(250)에는 브러쉬(270)가 설치되는데, 브러쉬(270)는 정류자(247)와 접촉된다.
그리하여, 외부의 전원이 PCB(250)→브러쉬(270)→정류자(247)→기판(245)을 통하여 코일(243)로 공급되면, 코일(243)에서 발생되는 전기장과 고정자(260)인 마그네트에서 발생되는 자기장의 작용에 의하여 회전자(240)가 회전하면서 진동을 발생하는 것이다.
그리고, 회전자(240)가 회전할 때, 회전자(240)의 상면 모서리부측이 케이스(210)의 상판 하면에 부딪히지 않도록, 회전자(240)의 상면 모서리부측과 대향하는 케이스(210)의 상판의 하면 테두리부측은 상측으로 함몰된 형태로 단(段)(210a)이지게 형성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편평형 진동 모터는 케이스의 상판 하면 테두리부측이 상측으로 함몰된 형태로 단(段)이져 형성되므로, 회전자가 기울어진 상태로 회전하여도 회전자가 케이스의 상판에 부딪히지 않는다. 그러므로, 소음이 발생되지 않는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변경 및 변형한 것도 본 발명에 속함은 당연하다.

Claims (1)

  1. 상판과 측판과 하판을 가지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상판 및 하판에 상단부 및 하단부가 각각 지지된 지지축; 상기 하판의 상면에 설치된 PCB(Printed Circuit Board); 상기 PCB 또는 상기 케이스의 하판에 설치된 고정자; 상기 고정자 상측의 상기 지지축의 외주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고정자와 작용하여 회전하면서 진동을 발생하는 편심된 회전자를 포함하는 편평형 진동 모터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상판의 하면 테두리부측은 상측으로 함몰된 형태로 단(段)이진 편평형 진동 모터.
KR1020060083423A 2006-08-31 2006-08-31 편평형 진동 모터 KR1008923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3423A KR100892319B1 (ko) 2006-08-31 2006-08-31 편평형 진동 모터
CN2007800007386A CN101331666B (zh) 2006-08-31 2007-08-30 振动电机
US11/997,716 US7911097B2 (en) 2006-08-31 2007-08-30 Vibration motor having a case comprising an upper plate and a lower plate
PCT/KR2007/004179 WO2008026886A1 (en) 2006-08-31 2007-08-30 Vibration motor
JP2009526538A JP2010503366A (ja) 2006-08-31 2007-08-30 振動モータ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3423A KR100892319B1 (ko) 2006-08-31 2006-08-31 편평형 진동 모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21231A KR20080021231A (ko) 2008-03-07
KR100892319B1 true KR100892319B1 (ko) 2009-04-08

Family

ID=393957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83423A KR100892319B1 (ko) 2006-08-31 2006-08-31 편평형 진동 모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892319B1 (ko)
CN (1) CN10133166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5099B1 (ko) * 2010-06-07 2011-12-16 삼성전기주식회사 편평형 진동모터
US11354986B2 (en) * 2020-01-28 2022-06-07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Haptic device with vibration motor and seat assembly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1430U (ko) * 1998-12-02 2000-07-05 김상면 무선기기의 진동모터 개선구조
KR20020061272A (ko) * 2001-01-15 2002-07-24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편평형 진동모터
KR100550921B1 (ko) 2004-06-24 2006-02-13 삼성전기주식회사 진동특성을 향상시킨 선형 진동자
KR100550904B1 (ko) 2004-06-23 2006-02-13 삼성전기주식회사 판 스프링 일체형 케이스를 구비하는 선형진동엑츄에이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1430U (ko) * 1998-12-02 2000-07-05 김상면 무선기기의 진동모터 개선구조
KR20020061272A (ko) * 2001-01-15 2002-07-24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편평형 진동모터
KR100550904B1 (ko) 2004-06-23 2006-02-13 삼성전기주식회사 판 스프링 일체형 케이스를 구비하는 선형진동엑츄에이터
KR100550921B1 (ko) 2004-06-24 2006-02-13 삼성전기주식회사 진동특성을 향상시킨 선형 진동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21231A (ko) 2008-03-07
CN101331666A (zh) 2008-12-24
CN101331666B (zh) 2012-10-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240949B2 (ja) 永久磁石式回転電機の回転子
JPWO2012011273A1 (ja) 洗濯機用ブラシレスモータ、それを備えたドラム式洗濯機および洗濯機用ブラシレスモータの製造方法
KR100892319B1 (ko) 편평형 진동 모터
JPH10201168A (ja) 水中ポンプ用制御装置内蔵形モータ
KR101416185B1 (ko) 편평형 진동 모터
KR20090007050A (ko) 단상 유도 기동형 동기전동기의 회전자 구조
JP2014003799A (ja) ブラシレスモータ
KR101360941B1 (ko) 편평형 진동 모터
KR20090056330A (ko) 비엘디씨 진동모터
JP2010503366A (ja) 振動モータ
KR100702711B1 (ko) 브러시리스 타입 편평형 진동모터
KR20080027574A (ko) 진동 모터
JP2007104740A (ja) ブラシレスモータ
KR20050102251A (ko) 모터의 영구자석 고정 구조
KR100635640B1 (ko) 평편형 bldc 모터의 로터구조
JP3196198U (ja) ブラシレス薄型モーター
JP2000050605A (ja) 軸方向空隙型ブラシレスファンモータ
WO2022188390A1 (zh) 转子组件及无刷振动电机
KR101416196B1 (ko) 편평형 진동 모터
KR101012251B1 (ko) 영구자석 회전자 모터
KR20100038641A (ko) 편평형 진동 모터
JP2007116877A (ja) 小形dc偏平モ─タ
JPH02275095A (ja) 径流ファンモータ
KR101063823B1 (ko) 편평형 진동 모터
KR100403974B1 (ko) 휴대용 통신기기의 진동모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3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0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4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