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79536A - 높이 조절이 가능한 학생용 책상 - Google Patents

높이 조절이 가능한 학생용 책상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79536A
KR20090079536A KR1020080005593A KR20080005593A KR20090079536A KR 20090079536 A KR20090079536 A KR 20090079536A KR 1020080005593 A KR1020080005593 A KR 1020080005593A KR 20080005593 A KR20080005593 A KR 20080005593A KR 20090079536 A KR20090079536 A KR 200900795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sk
plate
height
hole
adjust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055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78283B1 (ko
Inventor
박상범
박종영
김외정
김희복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관리부서 :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장)
성원목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관리부서 :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장), 성원목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한민국(관리부서 :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장)
Priority to KR10200800055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78283B1/ko
Publication of KR200900795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795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782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782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00Tables with tops of variable height
    • A47B9/14Tables with tops of variable height with pins coacting with ho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00/00General construction of tables or desks
    • A47B2200/0035Tables or desks with features relating to adjustability or folding
    • A47B2200/004Top adjustment
    • A47B2200/0043Inclination adjustable work top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00/00General construction of tables or desks
    • A47B2200/0035Tables or desks with features relating to adjustability or folding
    • A47B2200/005Leg adjustmen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00/00General construction of tables or desks
    • A47B2200/0084Accessories for tables or desk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41/00School desks or tables
    • A47B41/02Adjustable, inclinable, sliding or foldable desks top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00Tables with tops of variable height
    • A47B9/04Tables with tops of variable height with vertical spind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2/00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 F16B12/10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using pegs, bolts, tenons, clamps, clips, or the like

Landscapes

  • Tables And Desks Characterized By Structural Shap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각급 학교의 교실에 일률적으로 동일한 크기의 책상이 배치되어 있는 학생용 책상을, 동일한 크기와 구조의 책상일지라도 자신의 체격에 맞게 사용자가 직접 손쉽게 높이와 경사를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는 높이 조절이 가능한 학생용 책상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높이 조절이 가능한 학생용 책상은, 2개의 수평지지대와, 각 수평지지대에 수직으로 결합 설치되는 높이조절판으로 구성되는 본체 지지부; 책상 상판; 책상 상판의 하부에 결합되는 양 측판과 후판 및 하판으로 수납부를 형성하며, 상기 측판에 결합 고정되고 상기 각 높이조절판의 앞뒤로 결합되는 수직지지대로 구성되는 책상 본체부로 구성되며, 높이조절판에는 앞뒤방향으로 높이를 달리하여 다수의 높이조절구멍이 관통 형성되고, 높이조절판에 결합되는 각 수직지지대의 단부(端部) 부근에는 앞뒤방향으로 관통홀을 뚫어, 일측 수직지지대의 관통홀로부터 높이조절구멍과 타측 수직지지대의 관통홀까지 높이조절볼트를 관통시키고 너트를 체결함으로써 책상의 높이를 조절하여 고정시키도록 된 것을 구성적 특징으로 한다.
책상, 높이조절구멍, 높이조절볼트, 높이조절판, 경사조절

Description

높이 조절이 가능한 학생용 책상{A desk equipped with adjustable height structure for classroom}
본 발명은 높이 조절이 가능한 학생용 책상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학교 교실에 일률적으로 동일한 크기로 배치되어 있는 학생용 책상을, 동일한 크기와 구조의 책상일지라도 자신의 체격에 맞게 사용자가 직접 쉽게 높이와 책상 상판의 경사를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는 높이 조절이 가능한 학생용 책상에 관한 것이다.
지금까지 일반적으로 학교 교실에서 사용되고 있는 학생용 책상은, 학생들의 평균적인 체형을 몇 가지로 구분하고, 구분된 체형에 맞추어 제작한 규격화된 제품이 각 학교에 공급되어 사용되고 있다. 다시 말하면 각 개인의 신체적 특성에 맞는 책상이 제공되는 것이 아니라 저학년의 경우는 높이가 낮은 책상, 고학년의 경우는 높이가 높은 책상이 제공되고 있다. 같은 학년의 학생이라도 개인별로 신장의 차이가 있을 뿐만 아니라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신장이 크고, 과거보다는 현재의 학생들 의 신장이 훨씬 커졌는데도, 각급 학교 교실에는 이러한 개인별 성별 시대별 특성을 전혀 고려하지 않고 책상과 의자가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하는 학생들의 불편함은 물론 유소년과 청소년 학생들의 정상적인 신체 발달 및 올바른 자세를 갖는데도 큰 장애가 되고 있다.
그러므로, 학생 개개인의 체격에 맞춰 높낮이를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는 책상이 절실히 요구되는바, 이러한 요구에 부응하기 위하여 출현된 기술의 하나로 실용신안 공고 제1992-2135호 "책상 높이 조절장치"를 들 수 있다. 상기 등록실용신안에 기재된 기술에 대하여 도 1,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여 간략히 설명하면, 책상 상판(1)을 지지하는 좌우측판(2)의 하방부를 약간 좁게 형성하고 높이를 달리하여 다수의 구멍(7a)을 뚫고, 구멍(7b)을 형성한 고정지지판(3)에 고정한 안내판(6) 사이로 좌우측판의 하방부를 삽입하여 좌우측판(2)과 고정지지판(3)을 볼트(4)와 나비너트(5)를 체결하여 높이를 고정시키며, 좌우측판(2)의 측면에는 다수의 구멍(7a)과 같은 높이에 각각 반구형 홈(9b)을 형성하고, 안내판(6)의 측면에는 스프링(8)을 수용하는 홈을 형성하여 스프링(8)을 삽입시키고 스프링(8)의 단부에 볼(9a)을 탄지시켜, 책상의 높이 조절시 좌우측판(2)이 안내판(6) 사이에 안내되어 상기 볼(9a)이 좌우측판(2)의 측면에 형성한 반구형 홈(9b)에 삽입되도록 구성된 책상 높이 조절 장치이다.
학교에서 학생들이 사용하는 책상은 구조가 간단하여 취급이나 조작이 간단 하고 고장이 적어야 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책상은, 부품의 개수도 많을 뿐만 아니라 책상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구조가 복잡하고, 안내판이 좌우측판에서 분리되었을 경우에는 혼자서는 책상의 높이를 조절하기가 곤란하며, 책상 높이를 조절하는 작업 도중에 안내판에 설치한 스프링에 탄지된 볼을 분실할 염려가 많고, 책상의 높이를 고정시킬 때 체결해야 할 볼트와 너트의 수가 많아서 고정작업이 수월하지가 않고 고장이 많다는 문제점이 있으며, 또한 책상 상판의 각도가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학생들이 수업시간에 책상 상판에 있는 책을 보는 척하면서 고개 숙이고 졸고 있어도, 학생이 고개를 숙이고 있으므로 교사들이 이를 알아차릴 수가 없어 학생들을 효과적으로 학습지도를 할 수 없다는 문제도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각급 학교의 교실에 일률적으로 동일한 크기의 책상이 배치되어 있는 학생용 책상을, 동일한 크기와 구조의 책상일지라도 자신의 체격에 맞게 사용자가 직접 손쉽게 높이를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구조가 간단하여 조작이 간편하고 고장이 적은 높이 조절이 가능한 학생용 책상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수업시간은 물론 자습을 할 때도 바른 자세로 앉아 책을 볼 수 있도록 책상 상판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수업시간에 책상 상판에 있는 책을 보는 척하면서 고개 숙이고 조는 학생이 없도록 함으로써, 교사들이 수업시간에 효과적인 학습지도를 할 수 있음은 물론 책상을 사용하는 학생들도 올바른 자세를 갖도록 하는 높이 조절이 가능한 학생용 책상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달성을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높이 조절이 가능한 학생용 책상은, 2개의 수평지지대와, 각 수평지지대에 수직으로 결합 설치되는 높이조절판으로 구성되는 본체 지지부; 책상 상판; 책상 상판의 하부에 위치하는 양 측판과 후판 및 하판으로 수납부를 형성하며, 상기 측판의 내측에 결합 고정되고 상기 각 높이조절판의 앞뒤로 결합되는 수직지지대로 구성되는 책상 본체부로 구성되며, 상기 높이조절판에는 앞뒤방향으로 높이를 달리하여 다수의 높이조절구멍이 관통 형성되고, 상기 높이조절판에 결합되는 각 수직지지대의 단부(端部) 부근에는 앞뒤방향으로 관통홀을 뚫어, 일측 수직지지대의 관통홀로부터 상기 높이조절구멍과 타측 수직지지대의 관통홀까지 높이조절볼트를 관통시켜 너트를 체결함으로써 책상의 높이를 조절하여 고정시키도록 된 것을 구성적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책상 상판과 측판은 수납부 입구측에서 경첩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책상 상판의 하단에 힌지(hinge)와 힌지축을 구비하고 측판에 상기 힌지축이 안내되어 이동할 수 있도록 원호 형상의 장공(長孔)을 형성하며, 상기 책상 상판의 후판측으로는 경사조절수단이 더 구비되어 있어서, 상기 책상 상판의 경사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바람직하게는, 사용자가 높이조절구멍 또는 관통홀이 뚫린 높이를 책상의 외측에서 알아 볼 수 있도록 높이조절구멍이 뚫린 높이조절판과, 관통홀이 뚫린 수직지지대의 외측으로는 높이조절구멍 및 관통홀과 같은 높이에 마크를 한다.
바람직하게는, 높이조절판의 앞뒤 측면에는 볼록부(凸部)를 형성하고, 수직지지대의 측면에는 상기 볼록부와 대응되도록 오목부(凹部)를 형성함으로써, 책상의 높이 조절을 위하여 책상 본체부의 이동을 쉽도록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높이 조절이 가능한 학생용 책상은, 각급 학교의 교실에 일률적으로 동일한 크기의 책상이 배치되어 있는 학생용 책상을, 동일한 크기와 구조의 책상일지라도 자신의 체격에 맞게 사용자가 직접 책상의 높이와 책상 상판의 경사를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게 함으로써, 특히 유소년과 청소년기에 있는 초중고등학교 학생들의 정상적인 신체 발달과 올바른 자세를 갖게 하는데 크게 기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학생용 책상은 구조가 간단하여 조작이 간편하고 고장이 적어 교실에서 학생들이 사용하기에는 가장 적합한 책상을 제공할 수 있으며, 책상 상판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수업시간은 물론 자습을 할 때도 바른 자세로 앉아 책을 볼 수 있으므로 바른 자세를 가질 수 있고, 수업시간에 책상 상판에 놓인 책을 보는 척하면서 고개 숙이고 조는 학생이 없도록 함으로써, 교사들이 수업시간에 효과적인 학습지도를 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높이 조절이 가능한 학생용 책상에 대하여 설명하면, 2개의 수평지지대(11)와, 각 수평지지대(11)에 수직으로 결합 설치되는 높이조절판(12)으로 구성되는 본체 지지부(10); 책상 상판(30); 책상 상 판(30)의 하부에 위치하는 양 측판(24)과 후판(26) 및 하판(25)으로 수납부를 형성하며, 상기 측판(24)의 내측에 결합 고정되고 각 높이조절판(12)의 앞뒤로 결합되는 수직지지대(21)로 구성되는 책상 본체부(20)로 구성된다. 수납부는 학생들이 책이나 비품을 넣어서 이용하는 공간으로, 책상 상판의 하부에 형성된 공간이다.
높이조절판(12)에는 책상의 앞뒤방향으로 높이를 달리하여 다수의 높이조절구멍(13)이 관통 형성되고, 상기 높이조절판(12)의 앞뒤로 결합되는 각 수직지지대(21)의 단부(端部) 부근에는 앞뒤방향으로 관통홀(23)을 뚫어, 일측 수직지지대의 관통홀(23)로부터 상기 높이조절구멍(13)과 타측 수직지지대의 관통홀까지 높이조절볼트(16)를 관통시키고 너트(17)를 체결함으로써 그 높이에서 책상의 높이를 고정시키게 된다.
높이조절판(12)에 형성되는 높이조절구멍(13)은 높이방향에 일정한 간격으로 3∼7개 정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관통홀(23)은 책상의 앞뒤방향으로 수직지지대(21)의 단부(端部) 부근에 높이를 같이 하여 각 수직지지대(21)에 하나씩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책상의 높이를 고정시키기 위하여 체결하는 높이조절볼트(16)는, 반드시 볼트 형태일 필요는 없으며, 서로 다른 부품을 결합시키기 위한 것이라는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로 변경이 가능할 것이다. 예를 들면, 일단(一端)에는 머리부분을 형성하고 타단(他端)에 직경방향으로 구멍을 형성한 봉 형태로 하여 구멍에 핀을 꽂아 고정시킬 수도 있을 것이다.
책상 상판(30)은 수납부 입구측(책상의 후방, 즉 사용자가 앉는 쪽)에서 측판(24)과 연결부(27)를 통해 연결되고, 책상 상판(30)의 후판(26)측(책상의 전방, 즉 사용자가 앉는 쪽과 반대편)으로는 경사조절수단(28)이 더 구비되어 있어서, 책상 상판(30)의 경사를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다. 책상 상판(30)은 각도를 30°정도까지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수업시간은 물론 자습을 할 때도 학생들이 바른 자세로 앉아 책을 볼 수 있으며, 수업시간에 책상 상판에 있는 책을 보는 척하면서 고개 숙이고 조는 학생이 없도록 할 수 있어, 교사들이 수업시간에 효과적인 학습지도를 할 수 있음은 물론 책상을 사용하는 학생들도 어깨가 굽지 않고 올바른 자세를 갖게 할 수 있다.
연결부(27)는 책상 상판(30)을 기울여서 경사 각도를 조절했을 때 책상 상판(30)과 측판(24)이 분리되지 않고 결합상태를 유지하게 해주는 부분인데, 일예로 도 4a와 같이 경첩(27a)을 사용할 수도 있고, 다른 예로서 도 4b와 같이 수납부 입구측 책상 상판(30)의 하단에는 힌지(27b)와 힌지축(27c)을 구비하고, 측판(24)에 상기 힌지축(27c)이 안내되어 이동할 수 있도록 원호 형상의 장공(27d)을 형성할 수도 있으며, 두 부품을 연결시킨 상태에서 한쪽은 고정되어 있고 다른 쪽을 회동시킨다는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로 변경할 수 있을 것이다.
책상 상판(30)의 수납부 입구측 상면(上面)에는 책상 상판의 좌우방향으로 사무용품을 넣어 둘 수 있는 수납홈(31) 또는 받침수단을 설치하여 책상 상판(30)이 기울어졌을 때 사무용품이 바닥에 떨어지지 않고 걸릴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받침수단은 가장 간단하게는 책상 상판의 상면에 돌출되게 설치한 받침턱(미도시)을 예로 들 수 있다.
또한, 받침수단의 다른 예로서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책상 상판(30)을 수평으로 놓고 사용할 때에는 책상 상판(30)에 홈을 파서 형성한 수납케이스(31a) 속으로 내장시켰다가, 책상 상판(30)을 경사지게 사용할 때와 같이 필요할 때에만 돌출부재(32)가 수납케이스(31a)로부터 튀어나와 책상 상판(30)의 상면에 돌출되게 할 수도 있다. 자세히 설명하면, 돌출부재(32)를 수납케이스(31a)에 내장시킬 때에는 돌출부재(32)를 손으로 누르면서 책상 상판(30)의 수납부 입구측(책상의 후방, 즉 사용자가 앉는 쪽) 측면 모서리에 형성해 둔 통공(35)과 돌출부재(32)에 형성해 둔 구멍(35a)에 스프링이 레버에 감겨진 스톱핀(34)을 꽂으면, 돌출부재(32)의 하부에 부착시킨 스프링(33)의 인장력 때문에 스톱핀(34)이 빠지지 않고 고정되어 책상 상판의 상면이 돌출부가 없는 평면을 이루게 된다.
반대로, 돌출부재(32)를 돌출시킬 때에는 스톱핀(34)의 머리 부분을 손으로 잡아 돌출부재(32)에 형성해 둔 구멍(35a)에서 빼내면, 돌출부재(32)는 스프링(33)의 인장력에 의해 수납케이스(31a)에서 돌출되어 책상 상판(30)을 경사지게 하더라도 책상 상판(30) 위에 놓인 물건이 돌출부재(32)에 걸려 바닥에 떨어지지 않게 된 다. 스톱핀(34) 대신에, 한번 누르면 돌출부재(32)에 형성해 둔 구멍(35a)에 레버가 끼워져 쇄정되고, 다시 누르면 해정되어 돌출부재(32)가 돌출되도록 하는 리셋버튼(Reset button)(미도시)과 같은 수단을 책상 상판(30)의 측면 모서리에 설치하여 사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
경사조절수단(28)은 사용자가 고개를 숙이지 않고 책상 상판(30)에 놓인 책을 볼 수 있도록 책상 상판(30)의 후판(26)측(책상의 전방, 즉 사용자가 앉는 쪽과 반대편)을 밀어올리는 수단인데, 도 5a는 경사조절수단(28)의 제1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일정한 간격으로 높이방향으로 다수의 구멍(28b)이 뚫린 원호 형상의 스토퍼(28a)를 제작하여, 스토퍼(28a)의 상단면(上端面)과 책상 상판(30)의 하면(下面) 사이는 경첩(28d)을 부착하여 연결하고, 하판(25)에는 스토퍼(28a)가 삽입되어 움직일 수 있는 크기의 홈을 파서 스토퍼(28a)의 하단(下端)을 관통시켜 삽입하고, 책상 상판(30)을 들어올려서 경사지게 한 다음, 책상 후판(26)에 형성한 구멍(26a)에서 스토퍼(28a)에 형성한 구멍(28b)으로 핀(28c)을 끼우면, 구멍(28b)을 관통한 핀(28c)이 하판(25)의 상면에 걸리게 되어 그 경사에서 책상 상판(30)의 각도가 고정되게 된다. 물론 스토퍼(28a)의 상단면과 책상 상판(30)의 하면 사이는 경첩(28d)을 부착하지 않아도 상관없으며, 책상의 후판(26)에 형성한 구멍(26a)의 하단은 하판(25)의 상면과 일치하도록 후판(26)의 아래부분에 형성해야 할 것이다. 제1실시예는 하나만 설치해도 되겠지만, 책상 상판의 안정적인 지지를 위하여 균형되게 양쪽으로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도 5b는 경사조절수단(28)의 제2실시예를 도시한 것인데, 측판(24)의 좌우측에 설치되며, 원호 형상의 장공(28s)이 형성된 가이드부재(28p)의 상단(上端)을 책상 상판(30)의 하면(下面)에 고정시키고, 책상의 측판(24)에 형성한 구멍(미도시)과 가이드부재(28p)에 형성한 장공(28s)에 고정볼트(28r)와 고정너트(28q)를 체결시켜 임의의 각도에서 책상 상판(30)이 고정되도록 하여 경사 각도를 조절한다.
도 5c는 경사조절수단(28)의 제3실시예를 도시한 것인데, 수직지지대(21)의 외측 양쪽에 설치되며, 상단이 책상 상판(30)의 하면에 고정된 상부고정브라켓(281)과, 그 하부에 상측이 힌지핀(283)에 의해 상부고정브라켓(281)과 힌지 결합되고 길이방향으로 가이드공(285)이 형성된 제1조절바(282)와, 하단(下端)이 수직지지대(21)의 외측면에 고정되고 상단(上端)이 제1조절바(282)와 결합되는 제2조절바(286)와, 상기 제1조절바(282)의 가이드공(285)을 통해 제2조절바(286)의 상단(上端)에 체결되는 고정볼트(284)로 구성되고, 원하는 경사 각도로 책상 상판(30)을 조절한 후에 고정볼트(284)를 체결하여 고정시키게 된다.
도 5d는 경사조절수단(28)의 제4실시예를 도시한 것인데, 측판(24)의 좌우측에 설치되는 부채꼴 형상의 경사조절판(241)과, 후판(26)측(책상의 전방, 즉 사용자가 앉는 쪽과 반대편)에서 좌·우측 경사조절판(241) 사이를 연결하는 차단판(245)으로 구성된다. 경사조절판(241)은 책상의 수납부 입구측(책상의 후방, 즉 사용자가 앉는 쪽)에서 측판(24)과 경사조절판(241)에 형성한 핀구멍(243)을 통해 핀(미도시)으로 연결되며, 경사조절판(241)은 부채꼴 형상으로 부채꼴의 원호 부분에 다수개의 경사조절구멍(242)이 원호를 따라 등간격으로 형성되고 측판(24)에는 하나의 구멍을 형성하여, 경사조절구멍(242)과 측판(24)에 형성된 구멍에 고정핀(244)을 끼워서 책상 상판(30)의 경사를 조절하게 된다. 차단판(245)은 책상 상판(30)을 경사지게 했을 때 책상 앞에서 수납부가 들여다보이는 것을 막아주는 역할을 하며, 경사조절구멍(242)은 여러 개 형성할수록 책상 상판(30)을 다양한 각도로 조절할 수 있으나, 3∼7개 정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모든 실시예에서 책상 상판(30)을 들어올렸을 때 책상 상판(30)의 견고하고 확실한 지지와 책상 상판(30)의 각도를 조절할 때 갑자기 닫혀서 상판이 측판(24)에 부딪히는 소리가 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책상 상판(30)의 하면(下面)과 측판(24)의 내측면 사이, 또는 책상 상판(30)의 하면과 제2연결판(19)의 상면(上面) 사이에 쇽업쇼바(Shock absorber)(29)를 설치할 수도 있으며, 이때는 책상의 하판(25)에 쇽업쇼바(29)가 관통할 수 있는 구멍을 형성해줘야 하고, 쇽업쇼바(29)는 하나 또는 책상의 좌우방향에서 2개를 설치한다.
상기 실시예 외에도, 제1실시예를 변형한 예(미도시)로, 책상 상판(30)의 하부에 힌지를 구비하고, 하판(25)에 경사조절봉이 삽입될 구멍을 형성하여, 일단(一端)이 책상 상판의 하부에 힌지핀에 의해 힌지 결합되고, 길이를 따라 일정 간격으 로 직경방향으로 구멍을 관통 형성해 둔 경사조절봉을 체결하고, 상기 경사조절봉에 형성한 구멍에 핀을 결합하여 경사각도를 고정할 수도 있을 것이다. 물론 힌지 결합되는 측의 경사조절봉 단부(端部)는 둥근 형상으로 하여야 책상 상판이 경사지더라도 원만하게 상판을 받쳐 줄 수 있을 것이며, 책상의 후판(26)에 형성한 구멍(26a)에서 경사조절봉에 형성한 구멍으로 핀을 끼워서 결합한다. 이와 같이 책상 상판을 들어올려 일정 각도에서 책상 상판을 고정시킨다는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설계변경이 가능할 것이다.
2개의 수평지지대(11)를 서로 연결시켜 본체 지지부(10)를 일체로 만들기 위하여 높이조절판(12) 사이에 제1연결판(15)을 설치하고, 또한 수직지지대(21) 사이를 연결 결합시키기 위하여 책상의 전방측에 위치한 좌우측 수직지지대(21) 사이(즉, 후판(26)의 하부이다)에 제2연결판(19)을 설치함으로써, 책상 본체부(20)를 일체로 튼튼하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높이조절판(12)의 길이는 그 앞뒤로 결합되는 수직지지대(21) 사이의 간격과 동일하거나 약간 짧게 하여 높이조절판(12)이 수직지지대(21) 사이의 간격에 끼워 맞춰질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수의 높이조절구멍(13)이 뚫린 높이조절판(12)과, 관통홀(23)이 뚫린 수직지지대(21)의 외측(조립된 책상으로 보아 외측을 의미함)으로는, 높이조절구멍(13)과 관통홀(23)과 같은 높이에 사용자가 책상의 외측에서 높이조절구멍(13) 또는 관 통홀(23)이 뚫린 높이를 알아 볼 수 있도록 마크(mark)(14)를 해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용자가 책상의 높이를 조절하려면, 너트(17)를 풀어 높이조절볼트(16)를 빼낸 다음, 외부로 형성된 마크(14)를 보고 본체 지지부(10)로부터 책상 본체부(20)를 들어올리거나 내려서 관통홀(23)과 높이조절구멍(13)의 높이를 맞추고 높이조절볼트(16)를 다시 끼워넣고 너트(17)를 체결하여 책상의 높이를 조절하여 고정시킬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높이 조절이 가능한 책상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인데, 높이조절판(12)의 앞뒤 측면에 볼록부(凸部)(18)를 형성하고, 상기 높이조절판(12)의 앞뒤로 결합되는 수직지지대(21)의 측면에도 상기 볼록부(18)가 삽입되어 안내될 수 있도록 오목부(凹部)(22)를 형성해 둠으로써, 책상의 높이를 조절할 때 수월하게 작업할 수 있다. 물론 오목부와 볼록부는 형성하는 위치를 반대로 하더라도 아무 문제가 없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런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높이 조절이 가능한 책상을 도시한 조립사시도이다.
도 2a는 도 1의 A-A선으로 자른 단면도이다.
도 2b는 도 1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높이 조절 가능한 책상의 조립사시도이다.
도 4a와 4b는 본 발명에 따른 높이 조절 가능한 책상의 상판과 측판의 연결부의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a 내지 5d는 본 발명에 따른 높이 조절 가능한 책상의 상판의 경사조절수단의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높이 조절 가능한 책상의 책상 상판에 받침수단을 설치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높이 조절 가능한 책상의 제2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본체 지지부 11 : 수평지지대
12 : 높이조절판 13 : 높이조절구멍
14 : 마크(mark) 15 : 제1연결판
16 : 높이조절볼트 17 : 너트
18 : 볼록부 19 : 제2연결판
20 : 책상 본체부 21 : 수직지지대
22 : 오목부 23 : 관통홀
24 : 측판 25 : 하판
26 후판 27 : 연결부
28 : 경사조절수단 29 : 쇽업쇼바(Shock absorber)
30 : 책상 상판 31 : 수납홈
32 : 돌출부재 33 : 스프링
34 : 스톱핀 35 : 통공

Claims (20)

  1. 2개의 수평지지대와, 각 수평지지대에 수직으로 결합 설치되는 높이조절판으로 구성되는 본체 지지부;
    책상 상판;
    상기 책상 상판의 하부에 위치하는 양 측판과 후판 및 하판으로 수납부를 형성하며, 상기 측판의 내측에 결합 고정되고 상기 각 높이조절판의 앞뒤로 결합되는 수직지지대로 구성되는 책상 본체부;
    로 구성되며, 상기 높이조절판에는 앞뒤방향으로 높이를 달리하여 다수의 높이조절구멍이 관통 형성되고, 상기 높이조절판에 결합되는 각 수직지지대의 단부(端部) 부근에는 앞뒤방향으로 관통홀을 뚫어, 일측 수직지지대의 관통홀로부터 상기 높이조절구멍과 타측 수직지지대의 관통홀까지 높이조절볼트를 관통시켜 너트를 체결함으로써 책상의 높이를 고정시키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 조절이 가능한 학생용 책상.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책상 상판과 측판은 수납부 입구측에서 연결부로 연결되고, 상기 책상 상판의 후판측으로는 경사조절수단이 더 구비되어 있어서, 상기 책상 상판의 경사를 조절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 조절이 가능한 학생용 책상.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조절판 사이를 연결하여 결합시키는 제1연결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 조절이 가능한 학생용 책상.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책상의 전방측 수직지지대 사이를 연결하여 결합시키는 제2연결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 조절이 가능한 학생용 책상.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조절구멍이 뚫린 높이조절판과, 관통홀이 뚫린 수직지지대의 외측으로는, 높이조절구멍 및 관통홀과 같은 높이에 사용자가 높이조절구멍 또는 관통홀이 뚫린 높이를 알아 볼 수 있도록 마크(mark)를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 조절이 가능한 학생용 책상.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책상 상판의 수납부 입구측 상면(上面)에는 사무용품을 담을 수 있는 수납홈을, 책상의 좌우방향으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 조절이 가능한 학생용 책상.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책상 상판의 수납부 입구측 상면(上面)에는 책상의 좌우방향으로 받침수단을 형성하여, 책상 상판이 기울어졌을 때 사무용품이 떨어지지 않고 걸릴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 조절이 가능한 학생용 책상.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수단은 책상 상판의 상면에 돌출되게 고정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 조절이 가능한 학생용 책상.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수단은,
    책상의 수납부 입구측의 책상 상판 상면(上面)에 책상 좌우방향으로 형성한 수납케이스;
    상기 수납케이스에 끼워지고, 그 하부에 한 쌍의 스프링이 부착되며 중앙 측면에는 구멍이 형성된 돌출부재;
    책상의 수납부 입구측 책상 상판의 측면에서 상기 수납케이스까지 관통 형성한 통공;
    상기 돌출부재를 수납케이스에 수납시켜 고정시키거나 돌출되게 하는 스톱핀;
    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 조절이 가능한 학생용 책상.
  10.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조절판의 앞뒤 측면에는 볼록부(凸部)를 형성하고, 상기 높이조절판과 결합되는 수직지지대의 측면에는 상기 볼록부와 대응되도록 오목부(凹部)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 조절이 가능한 학생용 책상.
  11.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책상 상판은 기울기를 30°까지 기울일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 조절이 가능한 학생용 책상.
  12.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책상 상판과 측판을 연결하는 경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 조절이 가능한 학생용 책상.
  1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수납부 입구측 책상 상판의 하면(下面)에는 힌지(hinge)와 힌지축을 구비하고, 측판에 상기 힌지축이 안내되어 이동할 수 있도록 원호 형상의 장공(長孔)을 형성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 조절이 가능한 학생용 책상.
  1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조절수단은, 책상 수납부의 하부에서 끼워져서 그 상단면(上端面)이 책상 상판의 하면(下面)에 접하도록 설치되고, 높이방향으로는 등간격의 다수의 구멍이 형성된 원호 형상의 스토퍼이며, 책상의 후판에 형성한 구멍을 통해 상기 스토퍼에 형성한 구멍으로 핀을 삽입하여 책상 상판의 경사 각도를 고정시키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 조절이 가능한 학생용 책상.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의 상단면과 책상 상판의 하면 사이에는 경첩으로 연결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 조절이 가능한 학생용 책상.
  1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조절수단은, 원호 형상의 장공이 형성된 가이드부재의 일단(一端)을 책상 상판의 하면(下面)에 고정시키고, 상기 측판에 형성한 구멍과 가이드부재에 형성한 장공을 통해 고정볼트와 고정너트를 체결시켜 경사 각도를 조절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 조절이 가능한 학생용 책상.
  1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조절수단은, 상단(上端)이 책상 상판의 하면에 고정된 상부고정브라켓과, 그 하부에 상측이 힌지핀에 의해 상부고정브라켓과 힌지 결합되고 길이방향으로 가이드공이 형성된 제1조절바와, 하단(下端)이 상기 수직지지대의 외측면에 고정되고 상단(上端)이 상기 가이드공을 통해 제2조절바의 상단에 체결되는 고정볼트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 조절이 가능한 학생용 책상.
  1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조절수단은, 책상 상판의 하면에 힌지와 힌지축을 구비하고, 둥근 형상의 상단이 상기 힌지핀을 통해 힌지 결합되고 높이방향으로 등간격으로 다수의 관통 구멍을 형성한 높이조절봉으로 구성되며, 책상의 후판에 형성한 구멍을 통해 상기 높이조절봉에 형성한 관통 구멍으로 핀을 삽입하여 책상 상판의 경사 각도를 고정시키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 조절이 가능한 학생용 책상.
  1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조절수단은, 측판의 좌·우측에 설치되는 부채꼴 형상의 경사조절판과, 후판측에서 상기 좌·우측 경사조절판 사이를 연결하는 차단판으로 구성되고, 상기 경사조절판의 원호 부분에 다수개의 경사조절구멍이 원호를 따라 등간격으로 형성되며, 상기 경사조절판은 수납부 입구측에서 측판과 연결되고,상기 높이조절구멍과 측판에 형성한 구멍에 핀을 삽입하여 책상 상판의 경사 각도를 고정시키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 조절이 가능한 학생용 책상.
  20. 제14항, 제16항, 제17항,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조절수단은, 책상 상판의 하면과 수직지지대의 내측면 사이에 부착되는 쇽업쇼바(Shock absorber)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 조절이 가 능한 학생용 책상.
KR1020080005593A 2008-01-18 2008-01-18 높이 조절이 가능한 학생용 책상 KR1009782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5593A KR100978283B1 (ko) 2008-01-18 2008-01-18 높이 조절이 가능한 학생용 책상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5593A KR100978283B1 (ko) 2008-01-18 2008-01-18 높이 조절이 가능한 학생용 책상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79536A true KR20090079536A (ko) 2009-07-22
KR100978283B1 KR100978283B1 (ko) 2010-08-26

Family

ID=412907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05593A KR100978283B1 (ko) 2008-01-18 2008-01-18 높이 조절이 가능한 학생용 책상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78283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315518A (zh) * 2013-05-20 2013-09-25 佛山市聚能模具有限公司 一种升降式书桌
KR200477392Y1 (ko) * 2013-12-19 2015-06-09 김동기 각도조절형 독서대가 구비된 책상
JP2018050967A (ja) * 2016-09-29 2018-04-05 第一工業株式会社 支持台、回動阻止部材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110100608A (zh) * 2019-06-13 2019-08-09 浙江大学城市学院 家庭用立体蔬菜种植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0895B1 (ko) * 2014-03-18 2014-08-18 (주)제이와이 상판의 각도조절이 가능한 책상
KR200475306Y1 (ko) * 2014-08-13 2014-11-24 주식회사 현대리바트 다기능 학습용 책상
KR101753462B1 (ko) 2015-02-17 2017-07-20 (주)청도산업 책상판 승하강 및 각조절 책상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37663B2 (ja) * 1999-03-13 2002-10-21 鹿児島県 学校用木製学習机
KR200274520Y1 (ko) * 2002-02-18 2002-05-04 김재호 학습용구 수용부가 구비된 공부상
KR200432791Y1 (ko) * 2006-09-29 2006-12-06 이기영 모니터수납형 컴퓨터책상
KR200436204Y1 (ko) * 2007-01-17 2007-07-03 이신영 높이조절부재가 구비된 책상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315518A (zh) * 2013-05-20 2013-09-25 佛山市聚能模具有限公司 一种升降式书桌
KR200477392Y1 (ko) * 2013-12-19 2015-06-09 김동기 각도조절형 독서대가 구비된 책상
JP2018050967A (ja) * 2016-09-29 2018-04-05 第一工業株式会社 支持台、回動阻止部材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110100608A (zh) * 2019-06-13 2019-08-09 浙江大学城市学院 家庭用立体蔬菜种植装置
CN110100608B (zh) * 2019-06-13 2024-02-27 浙江大学城市学院 家庭用立体蔬菜种植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78283B1 (ko) 2010-08-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78283B1 (ko) 높이 조절이 가능한 학생용 책상
CN100531621C (zh) 动态的座椅装置
US6039392A (en) Desk and group of similar desks
JP2009511160A5 (ko)
KR102092146B1 (ko) 책상 또는 걸상에 사용되는 높이조절장치
TW201108970A (en) Seat folding type chair and seat folding unit
KR101952185B1 (ko) 상판의 기울임 조절이 가능한 테이블 걸림 구조
US20050099040A1 (en) Chair and desk combination
KR200191676Y1 (ko) 책걸상 높이조절구
KR200451782Y1 (ko) 책걸상의 높낮이 조절구
KR101072586B1 (ko) 책걸상의 높낮이 조절장치
KR100913380B1 (ko) 책,걸상용 받침다리의 높낮이 조절구
KR200413852Y1 (ko) 수강용 책상
JP3143116U (ja) ベンチの連結構造、及びその連結構造による多目的ベンチ
KR200418208Y1 (ko) 책/걸상의 높낮이 조절장치
KR20090121953A (ko) 책걸상의 높이조절장치
KR200388266Y1 (ko) 책걸상의 높이 조절장치
CN215913721U (zh) 一种组合安装的教学桌椅
CN215603911U (zh) 一种阅读书架
CN214258435U (zh) 一种用于寝室的多功能课桌
CN205849067U (zh) 学习用坐姿控制装置
KR101004917B1 (ko) 탁자용 접철식 프레임
CN219762876U (zh) 一种椅背可调节的座椅
KR200416985Y1 (ko) 책,걸상 높낮이 조절장치
CN209677878U (zh) 一种音乐教学用椅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0

Year of fee payment: 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