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1782Y1 - 책걸상의 높낮이 조절구 - Google Patents

책걸상의 높낮이 조절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1782Y1
KR200451782Y1 KR2020100006649U KR20100006649U KR200451782Y1 KR 200451782 Y1 KR200451782 Y1 KR 200451782Y1 KR 2020100006649 U KR2020100006649 U KR 2020100006649U KR 20100006649 U KR20100006649 U KR 20100006649U KR 200451782 Y1 KR200451782 Y1 KR 20045178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ight
adjustment
bookshelf
adjusting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0664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충호
Original Assignee
박충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충호 filed Critical 박충호
Priority to KR202010000664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178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178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178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00Tables with tops of variable height
    • A47B9/14Tables with tops of variable height with pins coacting with ho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00Chair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Chairs or stools with rotatable or vertically-adjustable seats
    • A47C3/20Chairs or stools with vertically-adjustable seats
    • A47C3/34Chairs or stools with vertically-adjustable seats with pins coacting with holes or bolt-and-nut adjustmen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7/00Writing-tables
    • A47B17/02Writing-tables with vertically-adjustable parts

Abstract

본 고안의 책걸상의 높낮이 조절구는,
책걸상의 하부지주(100)와 상부지주(200) 사이에 책걸상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높낮이 조절구(50)를 고정 설치하되,
상기 높낮이 조절구(50)는 하부지주(100)의 상단에 긴밀히 삽입되어 하주지주의 외주연에 고정되는 조절구본체(51)와; 상기 조절구본체의 일측에 나사구멍을 형성하고, 상기 나사구멍에는 하부지주(100)와 상부지주(200)의 높낮이조절공(201)을 관통하면서 이들을 나사결합으로 고정하는 조절고정핀(52)과; 상기 조절구본체의 하단 내측에 삽입 설치되어서 책걸상의 높낮이를 조절할 때 작동자가 상부지주(200)의 외주연에 형성된 높낮이조절공(201)으로 출몰하는 높낮이확인장치로 구성하여서 된 책걸상의 높낮이 조절구에 있어서,
상기 높낮이확인장치(53)의 조절레버(57)를 일방향으로 계속 회전시키면 브릿지(62)가 조절단부의 경사면(58)을 따라 상승하면서 걸림홈(59)에 걸려 작동자(61)와 연결된 조절레버(57)의 작동을 일시 정지시켜서 높낮이확인장치(53)의 작동자(61)가 상부지주(200)의 높낮이조절공(201)에서 빠져나와서 책걸상의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고;
책걸상의 높낮이조절 완료 후 높낮이확인장치(53)의 조절레버(57)를 회전방향으로 계속 돌리면 조절레버에 형성된 브릿지(62)가 조절단부에 형성된 걸림홈(59)을 빠져나와 원래 상태로 복귀하며, 상기 높낮이확인장치(53)의 작동자(61)가 상부지주(200)의 높낮이조절공(201)에 다시 삽입되어서 상부의 조절고정핀(52)과 함께 높낮이가 조절된 책걸상을 견고히 고정하도록 한 것이다.
본 고안의 책걸상의 높낮이 조절구에 따르면;
하부지주의 상단에 설치된 높낮이확인장치에 의해서, 책걸상의 높낮이를 조절할 때 종래와 같이 확인공을 통하여 사용자가 직접 눈으로 수평위치를 확인할 필요없이 사용자가 높낮이확인장치의 조절레버를 일방향으로 계속 회전시키면 브릿지가 조절단부의 경사면을 따라 상승하면서 걸림홈에 걸려 작동자와 연결된 조절레버의 작동을 일시 정지시켜서 높낮이확인장치의 작동자가 상부지주의 높낮이조절공에서 빠져나와서 책걸상의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고;
책걸상의 높낮이조절 완료 후 높낮이확인장치의 조절레버를 회전방향으로 계속 돌리면 조절레버에 형성된 브릿지가 조절단부에 형성된 걸림홈을 빠져나와 원래 상태로 복귀하며, 상기 높낮이확인장치의 작동자가 상부지주의 높낮이조절공에 다시 삽입되어서 상부의 조절고정핀과 함께 높낮이가 조절된 책걸상을 견고히 고정할 수 있으므로 책걸상의 높낮이 조절이 더한층 편리하며, 높낮이 조절구의 조절구본체 일측에 설치된 조절고정핀과 함께 높낮이확인장치에 의해 책걸상의 높낮이를 조절된 상태 그대로 견고히 고정할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책걸상의 높낮이 조절구{Highness control device of desk and chair's}
본 고안은 책상이나 걸상의 다리 높낮이를 조절하는 책걸상의 높낮이 조절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초등학생이나 중, 고등학생들이 사용하는 책상과 걸상의 다리 높낮이를 보다 쉽고 편리하게 조절할 수 있고, 책걸상의 다리 높낮이가 조절된 상태 그대로 견고하고 안정되게 지탱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개선된 형태의 책걸상의 높낮이 조절구에 관한 것이다.
책상과 걸상은 성장기에 있는 학생들의 체형을 유지하는데 결정적인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장시간 앉아서 수업을 받는 학생들은 자기의 체형에 알맞은 책상과 걸상이 배정되지 않아서 장기간 앉아서 생활하는 학생들의 척추가 휘어지거나 성장속도가 둔화되는 등 인체에 나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은 널리 알려진 사실이다.
서구화된 음식 문화의 발달로 인하여 학생들의 성장속도와 체형이 급격히 변화하고 있는 실정이지만 책상과 의자는 거의 대부분이 70~80 년대에 보급된 것이어서 성장속도가 빠른 학생들의 체형을 따라가지 못하므로 교육환경이 매우 열악해지고 있는 실정이다.
종래 기술의 일예로서, 국내 실용신안등록 제394803호와 같은 책걸상의 높낮이 조절구가 개발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를 지닌 책걸상의 높낮이 조절구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책걸상의 하부지주(100)와 상부지주(200) 사이에 책걸상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높낮이 조절구(1)를 고정 설치하고, 상기 높낮이 조절구의 조절구본체(2) 일측에 조절고정핀(3)을 구성하며, 상기 조절고정핀(3)이 설치된 조절구본체(2)의 하단에 암나사부(7)와 고정볼트(8)를 설치하여서 된 책걸상의 높낮이 조절구에 있어서,
상기 조절고정핀(3)이 설치된 조절구본체(2)의 하단에 암나사부(7)와 고정볼트(8)를 설치하여서 드라이브 등 공구로 상기 고정볼트(8)의 선단을 상부지주(200)의 하단 외주연에 밀착시켜서 하부지주(100)의 내주연에, 높낮이가 조절된 상부지주(200)의 하단을 한번 더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고,
상기 높낮이 조절구(1)가 설치된 하부지주(100)의 상단 외주연에는 높낮이 확인공(9)을 설치하여서 책걸상의 높낮이를 조절할 때, 상기 확인공(9)을 통해 좀더 편리하고 용이하게 책걸상의 높낮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기한 높낮이 조절구(1)가 설치된 책걸상의 높낮이를 조절할 때, 상기 하부지주(100)의 상단 확인공(9)을 통해 좀더 편리하고 용이하게 책걸상의 높낮이를 확인할 수 있고, 상기 높낮이 조절구(1)의 조절구본체(2) 일측에 설치된 조절고정핀(3)은 조절구본체(2)의 외부로 이탈되지 않으면서 책걸상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어서 높낮이 조절구의 사용상 안정성이 확보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위와 같은 구조를 지닌 책걸상의 높낮이 조절구는 사용자가 책걸상의 높낮이를 조절할 때, 상기 높낮이 조절구가 설치된 하부지주(100)의 상단 외주연에 설치된 확인공(9)을 통하여 책걸상의 높낮이를 눈으로 직접 확인한 다음, 조절구본체(2) 일측에 설치된 조절고정핀(3)을 나사결합하여서 조절구본체가 외부로 이탈되지 않으면서 책걸상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책걸상의 높낮이를 조절할 때마다 사용자가 눈으로 확인공(9)을 통하여 상부지주(200)의 외주연에 형성된 높낮이조절공이 확인공(9)과 정확히 수평위치에 이르렀는지를 사용자가 눈으로 직접 확인하면서 조절고정핀(3)을 체결하여야 하므로 책걸상의 높낮이를 조절하는데 매우 불편하였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국내 실용신안 공개번호 제20-2009-7006호(공개일자 : 2009. 7. 13)와 같은 책걸상의 높낮이 조절구가 개발되어 있다.
이러한 형태의 책걸상의 높낮이 조절구는 도 4 내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책걸상의 하부지주(100)와 상부지주(200) 사이에 책걸상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높낮이 조절구(10)를 고정 설치하되,
상기 높낮이 조절구(10)는 하부지주(100)의 상단에 긴밀히 삽입되고, 고정볼트(14)로 하주지주의 외주연에 고정되는 조절구본체(11)와;
상기 조절구본체의 일측에 나사구멍(15)을 형성하고, 상기 나사구멍에는 하부지주(100)와 상부지주(200)의 높낮이조절공(201)을 관통하면서 이들을 나사결합으로 고정하는 조절고정핀(12)과;
상기 조절구본체의 하단 내측 공간부(16)에 삽입 설치되어서 책걸상의 높낮이를 조절할 때 작동자가 상부지주(200)의 외주연에 형성된 높낮이조절공(201)으로 출몰하면서 소리를 발생하는 높낮이확인장치(13)로 구성하여서 된 것이다.
또한, 상기 높낮이확인장치(13)는, 상단에 통공(23)과, 내측에 수납단부(24)를 구비하는 제1브라켓(19)과;
내부에 수납홈(25)을 구비하여서 상기 제1브라켓과는 고정핀(26)과 고정구멍(27) 및 수납단부(24)와 수납홈(25)에 의해 서로 맞닿게 조립되는 제2브라켓(20)과;
상기 제1,2브라켓(19,20)의 내부 수납단부(24) 및 수납홈(25)에 스프링(22)으로 탄성적으로 삽입되어서 통공(23)으로 출몰하는 작동자(21)로 구성하여서 된 것이다.
그러므로, 이러한 형태의 책걸상의 높낮이 조절구는 초등학생이나 중,고등학생들이 각자 자신의 체형에 알맞게 책걸상의 높낮이를 언제든지 적절히 조절할 수가 있고, 책걸상의 하부지주상에서 상부지주의 높낮이가 조절된 상태에서 책상판이 건들건들하는 등 흔들림이 전혀 없이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책걸상의 높낮이 조절구는 하부지주의 상단에 설치된 높낮이확인장치에 의해서, 책걸상의 높낮이를 조절할 때 종래와 같이 확인공을 통하여 사용자가 직접 눈으로 수평위치를 확인할 필요없이 사용자가 상부지주를 승강할 때마다 상기 높낮이확인장치의 작동자가 상부지주의 높낮이조절공으로 출몰하는 소리에 의해 높낮이가 조절된 상태를 쉽게 확인할 수 있어서 책걸상의 높낮이 조절이 더한층 편리하며, 높낮이 조절구의 조절구본체 일측에 설치된 조절고정핀으로 책걸상의 높낮이를 조절된 상태 그대로 견고히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 높낮이확인장치(13)는 조절구본체의 하단 내측 공간부(16)에 삽입 설치되어서 책걸상의 높낮이를 조절할 때 작동자가 상부지주(200)의 외주연에 형성된 높낮이조절공(201)으로 출몰하면서 소리를 발생하는 구조이나,
상기 높낮이확인장치(13)의 작동자(21)를 제어하는 별도의 고정장치가 구성되어 있지 않아서 높낮이확인장치의 오작동 등 작동불량에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없는 단점이 있었고, 상기 높낮이확인장치(13)의 작동이 잠깐 불필요할 경우 이의 작동을 정지시킬 수가 없는 단점을 지니고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책걸상의 높낮이 조절구는,
높낮이 조절구의 조절구본체의 일측에 높낮이확인장치를 설치하므로서, 책걸상의 높낮이를 조절할 때 종래와 같이 확인공을 통하여 사용자가 직접 눈으로 수평위치를 확인할 필요없이 사용자가 상부지주를 승강할 때마다 상기 높낮이확인장치의 작동자가 상부지주의 높낮이조절공으로 출몰되도록 하여서 높낮이가 조절된 상태를 쉽게 확인할 수 있으므로 책걸상의 높낮이 조절이 더한층 편리하도록 하는 것이다.
뿐만 아니라, 선단에 작동자를 구비하는 조절레버를 일시정지할 수 있으므로 높낮이확인장치의 오작동 등 작동불량에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으며, 책걸상의 높낮이를 조절할 때 높낮이확인장치의 조절레버를 일방향으로 계속 회전시키면 조절레버에 형성된 브릿지가 조절단부의 경사면을 따라 상승하면서 조절단부의 경사면 끝단에 형성된 걸림홈에 걸려서 작동자와 연결된 조절레버의 작동을 일시적으로 정지시킬 수 있어서 책걸상의 높낮이 조절이 더한층 편리하고,
책걸상의 높낮이 조절이 완료된 후 조절레버를 회전방향으로 계속 돌리면 조절레버에 형성된 브릿지가 조절단부에 형성된 걸림홈을 빠져나와 원래 상태로 복귀하게 되며, 상기 높낮이확인장치의 작동자가 상부지주의 높낮이조절공에 삽입되어서 책걸상의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므로서, 높낮이확인장치의 작동이 불필요할 경우 이의 작동을 정지시킬 수 있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책걸상의 높낮이 조절구는,
책걸상의 하부지주와 상부지주 사이에 책걸상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높낮이 조절구를 고정 설치하되, 상기 높낮이 조절구는 하부지주의 상단에 긴밀히 삽입되어 하주지주의 외주연에 고정되는 조절구본체와; 상기 조절구본체의 일측에 나사구멍을 형성하고, 상기 나사구멍에는 하부지주와 상부지주의 높낮이조절공을 관통하면서 이들을 나사결합으로 고정하는 조절고정핀과; 상기 조절구본체의 하단 내측에 삽입 설치되어서 책걸상의 높낮이를 조절할 때 작동자가 상부지주의 외주연에 형성된 높낮이조절공으로 출몰하는 높낮이확인장치로 구성하여서 된 책걸상의 높낮이 조절구에 있어서,
상기 높낮이확인장치는,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어 스프링과 작동자가 좌우 이동자재되도록 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좌측에 2개의 삼각형으로 돌출 형성되고, 경사면을 형성하며, 경사면의 끝단에는 걸림홈을 형성하고, 경사면의 끝단을 연결하는 연결판을 구비하는 조절단부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 공간을 관통하면서 스프링에 의해 탄지되어 있고, 우측에는 작동자와 작동판이 형성되고, 좌측에는 2개의 브릿지를 구비하는 조절레버로 구성하여서 된 것이다.
아울러, 본 고안의 책걸상의 높낮이 조절구는 높낮이확인장치의 조절레버를 일방향으로 계속 회전시키면 브릿지가 조절단부의 경사면을 따라 상승하면서 걸림홈에 걸려서 작동자와 연결된 조절레버의 작동을 정지시켜 높낮이확인장치의 작동자가 상부지주의 높낮이조절공에서 빠져나와서 책걸상의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고;
책걸상의 높낮이조절 완료 후 높낮이확인장치의 조절레버를 회전방향으로 계속 돌리면 조절레버에 형성된 브릿지가 조절단부에 형성된 걸림홈을 빠져나와 원래 상태로 복귀하며, 상기 높낮이확인장치의 작동자가 상부지주의 높낮이조절공에 다시 삽입되어서 상부의 조절고정핀과 함께 높낮이가 조절된 책걸상을 견고히 고정하도록 한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책걸상의 높낮이 조절구는, 초등학생이나 중,고등학생들이 각자 자신의 체형에 알맞게 책걸상의 높낮이를 언제든지 적절히 조절할 수가 있고, 책걸상의 하부지주상에서 상부지주의 높낮이가 조절된 상태에서 책상판이 건들건들하는 등 흔들림 없이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책걸상의 높낮이 조절구는 하부지주의 상단에 설치된 높낮이확인장치에 의해서, 책걸상의 높낮이를 조절할 때 종래와 같이 확인공을 통하여 사용자가 직접 눈으로 수평위치를 확인할 필요없이 사용자가 높낮이확인장치의 조절레버를 일방향으로 계속 회전시키면 조절레버의 브릿지가 조절단부의 경사면을 따라 상승하면서 걸림홈에 걸려서 작동자와 연결된 조절레버의 작동을 일시적으로 정지시키고, 높낮이확인장치의 작동자가 상부지주의 높낮이조절공에서 빠져나와서 책걸상의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고;
책걸상의 높낮이조절 완료 후 높낮이확인장치의 조절레버를 회전방향으로 계속 돌리면 조절레버에 형성된 브릿지가 조절단부에 형성된 걸림홈을 빠져나와 원래 상태로 복귀하며, 상기 높낮이확인장치의 작동자가 상부지주의 높낮이조절공에 다시 삽입되어서 상부의 조절고정핀과 함께 높낮이가 조절된 책걸상을 견고히 고정할 수 있으므로 책걸상의 높낮이 조절이 더한층 편리하며, 높낮이 조절구의 조절구본체 일측에 설치된 조절고정핀과 함께 높낮이확인장치에 의해 책걸상의 높낮이를 조절된 상태 그대로 견고히 고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내지 도 6은 종래 기술에 의한 높낮이 조절구가 책걸상의 상,하부지주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설치상태 사시도 및 단면도
도 7은 본 고안의 높낮이 조절구가 책걸상의 상,하부 지주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8은 도 7의 높낮이 조절구에 있어서, 높낮이확인장치의 일부 절개 사시도
도 9, 10은 도 8의 높낮이확인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일부 절개 사시도
도 11, 12는 본 고안의 책걸상의 높낮이 조절구에 의해 책걸상의 높낮이가 조절되는 상태를 나타낸 설치상태 종단면도
도 13은 본 고안의 책걸상의 높낮이 조절구에 의해 책걸상의 높낮이 조절이 완료된 상태를 나타낸 설치상태 종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책걸상의 높낮이 조절구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7 내지 도 13에서, 부호 50은 본 고안의 양호한 실시예를 보인 책걸상의 높낮이 조절구를 나타낸 것으로서,
이러한 책걸상의 높낮이 조절구(50)는 책걸상의 하부지주(100) 상단에 설치되어 하부지주의 내주연에 삽입되어 승강되는 상부지주(200)의 높낮이를 승강 조정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으로서, 상기 하부지주(100) 및 상부지주(200)의 형상은 원형이나 타원형 또는 사각 이상의 다각 형상으로 된 모두 지주들에 적용할 수 있는 것이다.
도 7 내지 도 13에서,
본 고안의 책걸상의 높낮이 조절구는, 책걸상의 하부지주(100)와 상부지주(200) 사이에 책걸상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높낮이 조절구(50)를 고정 설치하되,
상기 높낮이 조절구(50)는 하부지주(100)의 상단에 긴밀히 삽입되어 하주지주의 외주연에 고정되는 조절구본체(51)와;
상기 조절구본체의 일측에 나사구멍을 형성하고, 상기 나사구멍에는 하부지주(100)와 상부지주(200)의 높낮이조절공(201)을 관통하면서 이들을 나사결합으로 고정하는 조절고정핀(52)과;
상기 조절구본체의 하단 일측에 삽입 설치되어서 책걸상의 높낮이를 조절할 때 작동자가 상부지주(200)의 외주연에 형성된 높낮이조절공(201)으로 출몰하는 높낮이확인장치(53)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조절구본체(51)는 하부지주(100)의 상단 개구부에 긴밀히 삽입되고, 하주지주(100)의 상단 개구부 외주연에 고정되어서 스스로 빠져나오지 않는 상태가 된다.
상기 조절구본체(51)의 하단 일측에는 비교적 넓은 공간부(54)를 형성하여서 상기한 높낮이확인장치(53)가 긴밀하게 조립되어서 자연적으로 빠져나오지 않게 되며, 책걸상의 높낮이를 조절할 때 높낮이확인장치(53)를 구성하는 작동자(61)가 상부지주(200)의 외주연에 형성된 높낮이조절공(201)으로 출몰하게 된다.
상기 조절고정핀(12)은, 상기 조절구본체의 일측에 나사구멍을 형성하고, 상기 나사구멍에는 하부지주(100)와 상부지주(200)의 높낮이조절공(201)을 관통하면서 이들을 나사결합으로 고정하는 것으로서, 조절고정핀(12)의 일측에 손잡이가 형성되어 있고, 타측은 나사봉 형상으로 상,하부지주의 높낮이조절공(201) 내부로 출몰하는 것이다.
상기 높낮이확인장치(53)는 상기 조절구본체의 하단 내측에 형성된 공간부(54)에 삽입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높낮이확인장치(53)는 도 8, 9,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어 스프링과 작동자가 좌우 이동자재되도록 하는 케이스(55)와;
상기 케이스의 좌측에 2개의 삼각형으로 돌출 형성되고, 비스듬히 상승하는 경사면(58)을 형성하며, 경사면의 끝단에는 걸림홈(59)을 형성하고, 경사면의 끝단을 서로 연결하는 연결판(64)을 포함하는 조절단부(56)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 공간을 관통하면서 스프링(60)에 의해 탄지되어 있고, 우측에는 작동자(61)와 작동판(63)이 형성되고, 좌측에는 2개의 브릿지(62)를 구비하는 조절레버(57)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케이스(55)는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어 있어 스프링(60)과 작동자(61)가 좌우 이동자재되며, 이러한 케이스(55) 내부에 삽입된 작동자(61)는 조절레버(57)와 일체로 고정되어 있으므로 조절레버(57)의 일방향 회전에 의해 작동판(63)이 연결판(64)과의 사이에서 좌우 이동하면서 스프링(60)을 압축하거나 해제하게 된다.
상기 조절단부(56)는 상기 케이스(55)의 좌측에 2개의 삼각 형상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으며, 조절단부에는 비스듬히 상승하는 경사면(58)을 형성하며, 각각의 경사면 끝단에는 걸림홈(59)을 형성하고, 상기 경사면의 끝단을 서로 연결하는 연결판(64)을 형성하여서 조절레버(57)와 연결된 작동자(61)가 이 연결판(64)의 중앙 통공에 삽입되어 좌우로 이동자재되도록 하였다.
그러므로, 상기 조절단부(56)는 후술하는 조절레버(57)를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절레버(57)의 브릿지(62)가 상기 조절단부(56)의 경사면(58)을 따라 비스듬히 상승하면서 스프링(60)을 압축하게 되고, 이어서 도 10, 11,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절레버(57)의 브릿지(62)는 경사면(58)의 끝단 걸림홈(59)에 삽입되어서 조절레버(57)를 당김 상태 그대로 일시 정지시키게 된다.
그런 연후에 조절레버(57)를 회전방향으로 계속돌리면 조절레버의 브릿지(62)는 걸림홈(59)을 빠져나와서 밑으로 툭하고 떨어지면서 도 8, 13과 같이 원래 상태로 복귀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동작은 조절레버(57)를 일방향으로 계속 회전하는 동작에 의해 조절레버의 브릿지(62)가 조절단부(56)의 경사면(58)을 따라 비스듬히 상승하면서 걸림홈(59)에 삽입되어 일시 정지하고, 책걸상의 높낮이를 조절할 때 조절레버(57)를 도 10과 같이 당김 상태 그대로 고정시켜서 조절레버(57)의 우측 작동자(61)가 상부지주(200)의 외주연에 형성된 높낮이조절공(201)에서 빠져나오게 된다.
아울러, 상기 조절레버(57)를 계속 회전시켜서 2개의 브릿지(62)가 조절단부(56)의 걸림홈(59)에서 빠져나오면, 조절레버(57)는 스프링(60)의 복원력에 의해 도 8과 같이 최초 상태로 복귀하여서 조절레버(57)의 우측 작동자(61)가 상부지주(200)의 외주연에 형성된 높낮이조절공(201)에 다시 삽입하게 된다.
상기 조절레버(57)는 축 형태의 작동자(61)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작동자의 선단은 케이스(55)의 내부 공간을 관통하면서 스프링(60)에 의해 탄지되어 있으며, 케이스 내부의 작동자(61)에는 작동판(63)을 고정하여서 상기 조절레버의 당김에 의해 케이스 내부에서 스프링(60)을 압축할 수 있도록 하고, 조절레버(57)의 좌측에는 2개의 브릿지(62)를 형성하여서 조절레버의 회전에 의해 브릿지(62)가 조절단부(56)에 형성된 경사면(58)을 따라 상승하면서 걸림홈(59)에 삽입될 경우 케이스 내부의 작동판(63)이 스프링(60)을 압축하도록 하였다.
이러한 구성을 지닌 본 고안의 책걸상의 높낮이 조절구(50)는, 책걸상의 높낮이를 조절할 때 높낮이확인장치(53)의 조절레버(57)를 일방향으로 계속 회전시키면 조절레버에 형성된 2개의 브릿지(62)가 조절단부의 경사면(58)을 따라 상승하면서 조절단부의 경사면 끝단에 형성된 걸림홈(59)에 걸려서 작동자(61)와 연결된 조절레버(57)의 작동을 일시 정지시킬 수 있어서 높낮이확인장치(53)의 작동자(61)가 상부지주(200)의 높낮이조절공(201)에서 빠져나와서 도 11과 같이 책걸상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책걸상의 높낮이 조절이 완료된 후 조절레버(57)를 계속 돌리면 조절레버에 형성된 브릿지(62)가 조절단부에 형성된 걸림홈(59)을 빠져나와 원래 상태로 복귀하게 되며, 상기 높낮이확인장치(53)의 작동자(61)가 상부지주(200)의 높낮이조절공(201)에 다시 삽입되어서 도 13과 같이 높낮이가 조절된 책걸상을 견고히 고정하게 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높낮이 조절구(50)가 설치된 책걸상의 높낮이 조절구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하부지주(100)의 상단 개구부에 조절구본체(51)가 긴밀히 삽입되고, 상기 조절구본체는 하부지주(100)의 상단 개구부에 긴밀히 삽입되고, 하주지주(100)의 상단 개구부 외주연에 고정되어서 스스로 빠져나오지 않는 상태가 된다.
상기 조절구본체(51)의 하단 일측에는 비교적 넓은 공간부(54)를 형성하여서 상기한 높낮이확인장치(53)가 긴밀하게 조립되어서 자연적으로 빠져나오지 않게 되며, 책걸상의 높낮이를 조절할 때 작동자(61)가 상부지주(200)의 외주연에 형성된 높낮이조절공(201)으로 출몰하게 된다.
아울러, 하부지주(100)의 내주연에는 상부지주(200)가 삽입되어 승강되는 것으로서, 책걸상의 높낮이를 조절하기 위해 상부지주(200)를 상승 또는 하강시키면 조절구본체(51)에 설치된 높낮이확인장치(53)가 작동하게 된다.
책걸상의 높낮이를 조절할 때 높낮이확인장치(53)의 조절레버(57)를 일방향으로 계속 회전시키면 브릿지(62)가 조절단부의 경사면(58)을 따라 상승하면서 걸림홈(59)에 걸려서 작동자(61)와 연결된 조절레버(57)의 작동을 일시 정지시켜 높낮이확인장치(53)의 작동자(61)가 상부지주(200)의 높낮이조절공(201)에서 빠져나와서 도 11과 같이 책걸상의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책걸상의 높낮이 조절이 완료된 후 조절레버(57)를 계속 돌리면 조절레버에 형성된 브릿지(62)가 조절단부에 형성된 걸림홈(59)을 빠져나와 도 13과 같이 원래 상태로 복귀하게 되며, 상기 높낮이확인장치(53)의 작동자(61)가 상부지주(200)의 높낮이조절공(201)에 다시 삽입되어서 상부의 조절고정핀(52)과 함께 높낮이가 조절된 책걸상을 견고히 고정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의 책걸상의 높낮이 조절구(50)는 책상과 걸상 또는 유사한 형태의 가구 제품에 모두에 적용할 수 있는 것이다.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본 고안의 실시예는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본 고안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만 제한되고, 본 고안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다양한 형태로 개량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경우에는 본 고안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될 것이다.
100 : 하부지주 200 : 상부지주
201 : 높낮이조절공 50 : 높낮이 조절구
51 : 조절구본체 52 : 조절고정핀
53 : 높낮이확인장치 54 : 공간부
55 : 케이스 56 : 조절단부
57 : 조절레버 58 : 경사면
59 : 걸림홈 60 : 스프링
61 : 작동자 62 : 브릿지
63 : 작동판 64 : 연결판

Claims (2)

  1. 책걸상의 하부지주(100)와 상부지주(200) 사이에 책걸상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높낮이 조절구(50)를 고정 설치하되,
    상기 높낮이 조절구(50)는 하부지주(100)의 상단에 긴밀히 삽입되어 하주지주의 외주연에 고정되는 조절구본체(51)와; 상기 조절구본체의 일측에 나사구멍을 형성하고, 상기 나사구멍에는 하부지주(100)와 상부지주(200)의 높낮이조절공(201)을 관통하면서 이들을 나사결합으로 고정하는 조절고정핀(52)과; 상기 조절구본체의 하단 내측에 삽입 설치되어서 책걸상의 높낮이를 조절할 때 작동자가 상부지주(200)의 외주연에 형성된 높낮이조절공(201)으로 출몰하는 높낮이확인장치로 구성하여서 된 책걸상의 높낮이 조절구에 있어서,
    상기 높낮이확인장치(53)는,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어 스프링과 작동자가 좌우 이동자재되도록 하는 케이스(55)와;
    상기 케이스의 좌측에 2개의 삼각형으로 돌출 형성되고, 비스듬히 상승하는 경사면(58)을 형성하며, 경사면의 끝단에는 걸림홈(59)을 형성하고, 경사면의 끝단을 연결하는 연결판(64)을 포함하는 조절단부(56)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 공간을 관통하면서 스프링(60)에 의해 탄지되어 있고, 우측에는 작동자(61)와 작동판(63)이 형성되고, 좌측에는 2개의 브릿지(62)를 구비하는 조절레버(57)로 구성하여서 된 것이 특징인 책걸상의 높낮이 조절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높낮이확인장치(53)의 조절레버(57)를 일방향으로 계속 회전시키면 브릿지(62)가 조절단부의 경사면(58)을 따라 상승하면서 걸림홈(59)에 걸려 작동자(61)와 연결된 조절레버(57)의 작동을 일시 정지시켜서 높낮이확인장치(53)의 작동자(61)가 상부지주(200)의 높낮이조절공(201)에서 빠져나와서 책걸상의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고;
    책걸상의 높낮이조절 완료 후 높낮이확인장치(53)의 조절레버(57)를 회전방향으로 계속 돌리면 조절레버에 형성된 브릿지(62)가 조절단부에 형성된 걸림홈(59)을 빠져나와 원래 상태로 복귀하며, 상기 높낮이확인장치(53)의 작동자(61)가 상부지주(200)의 높낮이조절공(201)에 다시 삽입되어서 상부의 조절고정핀(52)과 함께 높낮이가 조절된 책걸상을 견고히 고정하도록 한 것이 특징인 책걸상의 높낮이 조절구.
KR2020100006649U 2010-06-24 2010-06-24 책걸상의 높낮이 조절구 KR20045178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6649U KR200451782Y1 (ko) 2010-06-24 2010-06-24 책걸상의 높낮이 조절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6649U KR200451782Y1 (ko) 2010-06-24 2010-06-24 책걸상의 높낮이 조절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51782Y1 true KR200451782Y1 (ko) 2011-01-12

Family

ID=442434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06649U KR200451782Y1 (ko) 2010-06-24 2010-06-24 책걸상의 높낮이 조절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1782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201900001767A1 (it) * 2019-02-07 2020-08-07 S B S S R L Poltrona girevole per la seduta di un utente e assieme di supporto per una poltrona girevole
KR102540295B1 (ko) * 2023-01-11 2023-06-08 주식회사 금강교구 조작성이 향상된 책걸상용 높낮이 조절장치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7544Y1 (ko) 2001-03-21 2001-10-08 김하나 교구용 책걸상의 높낮이 조절장치
KR20020037544A (ko) * 2000-11-14 2002-05-22 이구택 고로용 열풍변 스템 분해조립장치
KR20030088266A (ko) * 2002-05-14 2003-11-19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의료 시술 장치의 3차원 위치 측정 및 고정기구
KR20030094803A (ko) * 2002-06-07 2003-12-18 최규원 황토 + 석고 를 이용한 조성물의 제조 방법
KR20040004345A (ko) * 2003-12-23 2004-01-13 (주)영일교구 책걸상용 높이조절장치
KR200388266Y1 (ko) 2005-04-04 2005-06-29 듀오백코리아 주식회사 책걸상의 높이 조절장치
KR200394803Y1 (ko) 2005-05-31 2005-09-07 박종익 책걸상의 높낮이 조절구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37544A (ko) * 2000-11-14 2002-05-22 이구택 고로용 열풍변 스템 분해조립장치
KR200237544Y1 (ko) 2001-03-21 2001-10-08 김하나 교구용 책걸상의 높낮이 조절장치
KR20030088266A (ko) * 2002-05-14 2003-11-19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의료 시술 장치의 3차원 위치 측정 및 고정기구
KR20030094803A (ko) * 2002-06-07 2003-12-18 최규원 황토 + 석고 를 이용한 조성물의 제조 방법
KR20040004345A (ko) * 2003-12-23 2004-01-13 (주)영일교구 책걸상용 높이조절장치
KR200388266Y1 (ko) 2005-04-04 2005-06-29 듀오백코리아 주식회사 책걸상의 높이 조절장치
KR200394803Y1 (ko) 2005-05-31 2005-09-07 박종익 책걸상의 높낮이 조절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201900001767A1 (it) * 2019-02-07 2020-08-07 S B S S R L Poltrona girevole per la seduta di un utente e assieme di supporto per una poltrona girevole
KR102540295B1 (ko) * 2023-01-11 2023-06-08 주식회사 금강교구 조작성이 향상된 책걸상용 높낮이 조절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94803Y1 (ko) 책걸상의 높낮이 조절구
KR200451782Y1 (ko) 책걸상의 높낮이 조절구
KR100978283B1 (ko) 높이 조절이 가능한 학생용 책상
KR100795661B1 (ko) 독서대 및 노트북컴퓨터 재치대 겸용 스탠드
KR101358077B1 (ko) 책걸상의 높낮이 조절장치
CN111419031A (zh) 一种可拆卸沙发
KR101781619B1 (ko) 책상 각도조절 장치
KR101397074B1 (ko) 높이 및 경사 조절이 가능한 원목책상
KR101019834B1 (ko) 책·걸상의 높이 조절장치
KR100798467B1 (ko) 책·걸상의 높이 조절장치
CN207767827U (zh) 一种可升降新型茶几
CZ23615U1 (cs) Schránka obsahující sklápěcí mechanismus, zejména pro sklopnou postel
KR100745146B1 (ko) 책걸상의 높낮이 조절장치
CN209610422U (zh) 一种组合式折叠桌凳
CN213524345U (zh) 一种学生宿舍床用活动型床上电脑桌
KR101072586B1 (ko) 책걸상의 높낮이 조절장치
KR20090121953A (ko) 책걸상의 높이조절장치
CN208371258U (zh) 一种可调节课桌
KR20090007006U (ko) 책걸상의 높낮이 조절구
KR101381717B1 (ko) 의료침대 밥상 조절장치
US2594625A (en) Walking aid for small children
KR200494583Y1 (ko) 등받이 의자
KR200265908Y1 (ko) 책걸상의 높낮이 조절구
CN208550375U (zh) 一种可旋转折叠的桌子
KR101379961B1 (ko) 책걸상 높낮이 조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3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2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