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77929A - 루미네어들 및 전자 안정기들에서 rf 흡수에 의한 emc 개선 - Google Patents

루미네어들 및 전자 안정기들에서 rf 흡수에 의한 emc 개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77929A
KR20090077929A KR1020097008600A KR20097008600A KR20090077929A KR 20090077929 A KR20090077929 A KR 20090077929A KR 1020097008600 A KR1020097008600 A KR 1020097008600A KR 20097008600 A KR20097008600 A KR 20097008600A KR 20090077929 A KR20090077929 A KR 200900779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uminaire
control gear
electronic control
damping element
light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086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라인하르트 레히엘어
지그프리트 마이어
Original Assignee
오스람 게젤샤프트 미트 베쉬랭크터 하프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스람 게젤샤프트 미트 베쉬랭크터 하프퉁 filed Critical 오스람 게젤샤프트 미트 베쉬랭크터 하프퉁
Publication of KR200900779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7792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1/00Circuit 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igniting or operating discharge lamps
    • H05B41/14Circuit arrangements
    • H05B41/26Circuit arrangements in which the lamp is fed by power derived from dc by means of a converter, e.g. by high-voltage dc
    • H05B41/28Circuit arrangements in which the lamp is fed by power derived from dc by means of a converter, e.g. by high-voltage dc using static converters
    • H05B41/282Circuit arrangements in which the lamp is fed by power derived from dc by means of a converter, e.g. by high-voltage dc using static converters with semiconductor devices
    • H05B41/285Arrangements for protecting lamps or circuits against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H05B41/2851Arrangements for protecting lamps or circuits against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for protecting the circuit against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Landscapes

  • Arrangement Of Elements, Cooling, Sealing, Or The Like Of Lighting Devices (AREA)
  • Circuit Arrangements For Discharge Lamps (AREA)
  • Vessels And Coating Films For Discharge Lamps (AREA)
  • Inorganic Insulating Materials (AREA)
  • Magnetic Ceramics (AREA)
  • Gears, Ca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주파수-흡수 댐핑 엘리먼트(F), 특히 페라이트 비드를 도입함으로써 전자 안정기 또는 통합된 전자 안정기를 가진 루미네어의 EMC를 개선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루미네어들 및 전자 안정기들에서 RF 흡수에 의한 EMC 개선{EMC IMPROVEMENT BY MEANS OF RF ABSORPTION IN LUMINAIRES AND ELECTRONIC BALLASTS}
본 발명은 통합된 전자 제어 기어(ECG)를 가진 루미네어(luminaire) 및 예를들어 ECG에 관한 것이고, 여기서 전자환경적합성(EMC)(electromagnetic compatibility)은 개선된다.
전자 제어 기어를 가진 루미네어들 및 또한 예를들어 전자 제어 기어에서, 무선주파수 범위, 특히 20 및 30 MHz 사이에서 간섭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런 간섭은 루미네어의 접지된 금속 부품들 및 상기 전자 제어 기어에 근접한 주위 환경 사이의 공진 현상에 의해 발생되고, 접지 도전체 공급 라인(PE)의 인덕턴스 및 루미네어 하우징의 금속 부품들, 제어 기어 하우징 및 주변 환경 사이의 캐패시티브 결합은 특정 역할을 한다. 이들 결함들은 EMC 품질을 손상시키고 EMC 요구조건들을 고수하는데 어려움들을 유발한다.
특정 양의 복잡성을 수반하는 상기 간섭을 감소시키기 위한 ECG의 회로 조치들은 공지되었다.
본 발명은 무선주파수 범위에서 상기 공진 현상에 관련하여 개선된 전자환경적합성을 나타내는 통합된 ECG를 가진 루미네어 및 ECG 자체를 제공하는 기술적 문제를 바탕으로 한다.
이 문제는 무선주파수 방사선을 흡수하는 재료로 만들어지고, 무선주파수 방사선 흡수에 의해 루미네어의 PE 접속 단자와 루미네어의 접지 단자 사이의 루미네어 라인의 무선주파수 전류들을 댐핑하도록 설계된 댐핑 엘리먼트를 특징으로 하는 통합된 전자 제어 기어를 가진 루미네어, 및
전자 제어 기어의 PE 접속 단자와 상기 전자 제어 기어의 접지 단자 사이의 제어 기어 라인의 무선주파수 전류들을 댐핑하도록 설계된 대응하는 댐핑 엘리먼트를 특징으로 하는 램프용 전자 제어 기어에 의해 해결된다.
바람직한 구성들은 종속항들에 기재된다.
이 경우 용어 "루미네어"는 말하자면 용어 "램프"와 대조하여 예를들어 발광 수단, 즉 광의 실제 생성에 적당한 용도의 물품이 아닌, 발광 수단, 즉 램프를 가진 조명 장치, 또는 상기 램프를 수용하기 위한 조명 장치에 관한 것이다. 그러므로 루미네어는 하우징 및 종종 차폐부, 반사기, 반투명 유리 커버 시트들 또는 등등을 가진다.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은 댐핑 엘리먼트가 재료-특정 무선주파수-댐핑 특성들로 인해 관심있는 주파수 영역에서 무선주파수 방사선 손실들을 형성하고, 그러므로 파괴적인 공진 현상을 댐핑하고 상기 공진 현상의 크기를 감소시키는 루미네어 또는 전자 제어 기어에 댐핑 엘리먼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특히 자기 RF 손실들에 의해 댐핑할 수 있는 적당한 자기 특성들을 가진 재료들이 여기에 적당하다. 이것은 특히 강자성 세라믹 재료들, 특히 댐핑 페라이트들로서 공지된 철 산화물 재료들에 적용한다.
상기 댐핑 엘리먼트는 이 경우 바람직하게 도전체 자체에 통합되는 것이 아니고 - 페라이트들은 이것과 관련하여 도전성이 부족함 -, 도전체 근처에 설치되어야 한다. 바람직하게, 댐핑 엘리먼트는 관통 개구를 가진 바디이기 때문에, 상기 댐핑 엘리먼트는 도전체를 둘러싼다. 소위 비드들(bead), 즉 보어(bore), 링들 또는 작은 튜브들을 가진 작은 구형 바디들은, 특히 적당하다.
자체로서 청구된 전자 제어 기어의 경우, 댐핑될 라인은 전자 제어 기어의 PE 접속 단자와, 전자 제어 기어 하우징 또는 상기 전자 제어 기어 하우징의 대응 부분상 접지 접촉부 사이에 제공된다. 그러므로 공진 현상에서 수반되는 선전류들은 이 라인을 통과할 필요가 있다.
루미네어의 경우, 루미네어 전체의 PE 접속 단자는 종종 루미네어에 통합된 전자 제어 기어의 PE 접속 단자와 다르거나, 전자 제어 기어는 가능하면 전용 PE 접속 단자를 가지지 않는다. 바람직하게, 댐핑 엘리먼트에 의해 댐핑될 라인은 이 경우 루미네어의 PE 접속 단자와, 전체적으로 루미네어 하우징 또는 공진 현상에 책임있는 루미네어 하우징 부분의 접지 접촉부 사이에 배치된다. 루미네어 하우징 (부분)에 링크되고, 공진 현상에 기여하는 캐패시턴스는 전류들이 이 라인을 통하여 댐핑되게 한다.
둘째, 통합된 전자 제어 기어의 도전성 하우징은 상당한 캐패시턴스에 영향을 받을 수 있고, 그 결과 마찬가지로 상기 라인은 루미네어의 PE 접속 단자와, 전자 제어 기어 하우징의 접지 접촉부 사이에 배치되는 것은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 양쪽 경우들은 진실이다. 특히, 전자 제어 기어 접지 접촉부는 루미네어 하우징 (부분)과 관련하여 발생할 수 있고, 그 결과 전자 제어 기어 하우징에 대한 전류들은 루미네어의 PE 접속 단자와, 루미네어 하우징 (부분)상 접지 접촉부 사이 라인의 댐핑에 의해 미리 검출된다.
본 발명의 모든 변형들에서, 접속 단자에 댐핑 엘리먼트를 통합하는 것은 본래 바람직하다. 댐핑 엘리먼트가 PE 접속 단자 및 특정 접지 접촉부 사이의 라인을 댐핑하고자 하는 것이 지금까지 언급되었고, 표현 "사이"는 전방으로의 외부 라인에 대한 실제 접속 접촉부로부터의 영역을 의미한다. 상기 단자의 바람직한 통합은 댐핑 엘리먼트가 접속 단자 바디 내, 즉 예를들어 외부 라인을 위한 접속 접촉부 및 내우 접속 접촉부 사이 도전성 피스(piece) 근처, 특히 보다 정확하게 이런 도전성 피스를 둘러싸는 형태로 통상적인 러스터(luster) 단자에 통합되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므로 이 경우 용어 "통합"은 댐핑 엘리먼트가 절연 홀더를 포함하는 컴포넌트 부분에 포함 또는 홀딩되는 것을 의미하고, 그 결과 상기 댐핑 엘리먼트는 루미네어 제조자 또는 전자 제어 기어 제조자에 의해 단자와 함께 및 상기 단자내에 함께 설치될 수 있고 심지어 이런 형태로 구매될 수 있다.
도 1-3은 통합된 댐핑 엘리먼트를 가진 루미네어 접속 단자를 구비한 본 발명에 따른 3 개의 회로 장치들을 도시한다.
도 4는 무선주파수 간섭의 댐핑 없는 전자 제어 기어를 가진 루미네어의 간 섭 스펙트럼을 도시한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회로 내에 통합된 댐핑 엘리먼트를 가진 본 발명에 따른 전자 제어 기어를 가진 루미네어 및 루미네어 접속 단자의 간섭 스펙트럼을 도시한다.
도 1은 전자 제어 기어(ECG)를 가진 루미네어에 대한 통합된 댐핑 엘리먼트(F)를 구비한 루미네어 접속 단자(LK)를 가진 본 발명에 따른 회로 장치를 도시한다. 댐핑 엘리먼트(F)는 무선주파수 흡수 페라이트 비드이고 루미네어 접속 단자 자체에 통합된다. 이 경우, 상기 페라이트 비드는 한편으로는 외부 PE 메인 공급 라인에 대한 단자 접속 접촉부와, 루미네어 하우징으로 유도되는 내부 라인 사이 도전성 접속부상에 배치된다. 그러므로 댐핑 엘리먼트(F)를 가진 라인 섹션은 루미네어 하우징과 접지 도전체(PE) 사이에 접속되고, 이 경우 전자 제어 기어(ECG)는 루미네어 하우징(또는 그 외에 하나의 라인)을 통하여 접지 도전체(PE)에 접속되고 최종적으로 댐핑 엘리먼트에 접속된다. 이런 회로 장치에서, 댐핑 엘리먼트(F)는 루미네어 하우징 및 전자 제어 기어 하우징의 공진 발진들, 특히 루미네어 하우징 및 주위 환경 사이의 캐패시티브 결합들로부터 발생하는 간섭 스펙트럼을 흡수하고, 이런 방식으로 무선주파수 간섭을 댐핑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회로 장치의 변형을 도시한다. 이 경우, 페라이트 비드는 마찬가지로 루미네어 접속 단자 내에 통합될 뿐 아니라, PE 접속 라인상에 배치되고, 이로 인해 전자 제어 기어(ECG)는 루미네어 접속 단자를 통하여 외부 PE 라인에 접속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루미네어의 하우징은 독립적으로 외부 PE 공급 라인에 접속되거나 이런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예를들어 플라스틱 루미네어의 경우 전체적으로 접지 접촉 없이 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이 경우, 루미네어 하우징의 캐패시티브 영향은 결정적인 역할을 수행하지 못하고 본 발명에 따른 댐핑이 고려되지 않는다.
반대로, 도 3의 변형에서, 루미네어 하우징의 접지 접촉부 라인에 대한 도전성 링크만이 페라이트 비드(F)에 의해 영향을 받으며, 상기 페라이트 비드는 루미네어 접속 단자 내에 통합된다. 도 1의 변형과 대조하여 전자 제어 기어(ECG)가 이 경우 공급 라인을 통하여 루미네어 접속 단자로 그리고 외부 PE 라인에 접속되고, 이런 공급 라인은 페라이트에 의해 커버되고, ECG 하우징의 캐패시티브 영향은 여기서 고려되지 않는다. 특정 경우들에서, 이것은 판단할 수 없다. 도면으로부터의 변형으로서, 도전성 및 접지된 ECG 하우징이 루미네어 하우징의 접지로 인해 필요하지 않은 것은 가능할 수 있다. 그러나, 제 2 또는 공통 페라이트 비드가 양쪽 하우징 접지 공급 라인들을 위해 제공되는 것은 가능하다.
도 4는 댐핑 엘리먼트 없이 따라서 무선주파수 간섭 억제 없는 전자 제어 기어를 가진 루미네어의 간섭 스펙트럼(50Ω에서의 dB㎶에서)을 도시한다. 게다가, 도 4에서 준 피크(QP) 및 평균 값들(AV)에 고수될 정격 값 곡선들은 도시된다. 결정된 간섭 레벨들은 10 내지 30 MHz의 주파수 범위에서 준 피크(60 dB㎶) 및 평균 값들(50 dB㎶)에 관련하여 고수될 정격 값들을 크게 초과하고, 오버슈트(overshoot) 값들은 대략 5 dB㎶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회로 장치를 가진 루미네어 접속 단자 및 통합된 댐핑 엘리먼트를 구비한 전자 제어 기어를 가진 동일한 루미네어의 간섭 스펙트럼을 도시한다. 준 피크(QP) 및 평균 값들(AV)에 관련하여 10 및 30 MHz 사이의 주파수 범위에서 규정된 정격 값들은 언더샷(undershot)이고, 언더샷 값들은 대략 5 dB㎶이다.

Claims (8)

  1. 조명 장치, 즉 통합된 전자 제어 기어(ECG)를 가진 루미네어로서,
    댐핑 엘리먼트(F)를 포함하고, 상기 댐핑 엘리먼트(F)는,
    무선주파수 방사선을 흡수하는 재료로 만들어지고, 무선주파수 흡수에 의해 루미네어의 PE 접속 단자와, 상기 루미네어의 접지 단자 사이에 있는 루미네어 라인의 무선주파수 전류들을 댐핑하도록 설계된,
    조명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루미네어의 접지 접속부는 루미네어 하우징의 적어도 일부의 접지 접촉부인,
    조명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루미네어의 접지 접속부는 전자 제어 기어 하우징의 적어도 일부의 접지 접촉부인,
    조명 장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기어(ECG)의 접지 접촉부는 루미네어 하우징에 접속되는,
    조명 장치.
  5. 조명 장치, 즉 램프용 전자 제어 기어(ECG)로서,
    댐핑 엘리먼트(F)를 포함하고, 상기 댐핑 엘리먼트(F)는,
    무선주파수 방사선을 흡수하는 재료로 만들어지고, 무선주파수 방사선 흡수에 의해 상기 전자 제어 기어(ECG)의 PE 접속 단자와, 상기 전자 제어 기어(ECG)의 접지 단자 사이에 있는 상기 전자 제어 기어(ECG) 라인의 무선주파수 전류들을 댐핑하도록 설계된,
    조명 장치.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댐핑 엘리먼트(F)는 무선주파수 흡수 페라이트를 가지는,
    조명 장치.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댐핑 엘리먼트(F)는 관통 개구 둘레에서 폐쇄된 바디를 갖고, 무선주파수 전류들이 댐핑되는 상기 라인은 상기 관통 개구를 통과하는,
    조명 장치.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댐핑 엘리먼트(F)는 접속 단자(LK)에 통합되는,
    조명 장치.
KR1020097008600A 2006-09-25 2006-09-25 루미네어들 및 전자 안정기들에서 rf 흡수에 의한 emc 개선 KR2009007792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EP2006/066715 WO2008037292A1 (de) 2006-09-25 2006-09-25 Emv-verbesserung durch hf-absorption in leuchten und evg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77929A true KR20090077929A (ko) 2009-07-16

Family

ID=377142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08600A KR20090077929A (ko) 2006-09-25 2006-09-25 루미네어들 및 전자 안정기들에서 rf 흡수에 의한 emc 개선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EP (1) EP2067386B1 (ko)
KR (1) KR20090077929A (ko)
CN (1) CN101513130B (ko)
AT (1) ATE489837T1 (ko)
AU (1) AU2006348910A1 (ko)
DE (1) DE502006008412D1 (ko)
ES (1) ES2356260T3 (ko)
WO (1) WO200803729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1056288A1 (de) 2011-12-12 2013-06-13 Vossloh-Schwabe Deutschland Gmbh Netzbetriebenes Gerät
AT13872U1 (de) * 2013-05-02 2014-10-15 Tridonic Gmbh & Co Kg Betriebsgerät für Leuchtmittel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4210624A1 (de) * 1992-03-31 1993-10-07 Tridonic Bauelemente Elektronisches Vorschaltgerät für eine Gasentladungslampe
US5461351A (en) * 1994-06-06 1995-10-24 Shusterman; Boris Common-mode filtering attachment for power line connectors
DE19954489A1 (de) * 1999-11-12 2001-05-17 Hella Kg Hueck & Co Schaltung zum Betreiben einer Wechselstrom-Hochdruckgasentladungslampe für ein Kraftfahrzeug
DE10116254A1 (de) * 2001-03-31 2002-10-02 Hella Kg Hueck & Co Scheinwerferanordnung für eine Hochdruckgasentladungslampe in einem Kraftfahrzeu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067386B1 (de) 2010-11-24
ATE489837T1 (de) 2010-12-15
AU2006348910A1 (en) 2008-04-03
EP2067386A1 (de) 2009-06-10
CN101513130A (zh) 2009-08-19
WO2008037292A1 (de) 2008-04-03
ES2356260T3 (es) 2011-04-06
DE502006008412D1 (de) 2011-01-05
CN101513130B (zh) 2012-09-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5507335A (ja) 回路アースへの直接接続のために構成された内部電磁シールド層を有する照明ドライバ及びハウジング
EP1606832B1 (en) Gas discharge lamp
EP1587134A3 (en) RF Induction lamp with reduced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JPH0794291A (ja) 車両用ヘッドライト
KR20120073110A (ko) 전자 기기
US20120313543A1 (en) Transformer as well as switching power supply and led fluorescent lamp applying same
KR20090077929A (ko) 루미네어들 및 전자 안정기들에서 rf 흡수에 의한 emc 개선
JP4409570B2 (ja) ガス放電ランプ、ヘッドライト又は照明装置
US5530634A (en)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suppressor and methods
JPH065375A (ja) 無電極放電灯点灯装置
JP2000287454A (ja) 電源装置
US20090289553A1 (en) Integrated ceramic metal halide high frequency ballast assembly
JPS6111849Y2 (ko)
US6513948B1 (en) U-shaped fluorescent lamp
US2004011371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hielding a component of an electronic component assembly from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JP2006222055A (ja) 電子安定器搭載形照明器具
JP4730185B2 (ja) 無電極放電灯点灯装置及びそれを用いる照明器具
KR20170001064U (ko) Led램프의 잔광 방지용 취부구조
Tiesler-Wittig Xenon with integrated starter-the powerful way for improved HID headlighting
JP2011049008A (ja) 照明器具
JP2001068285A (ja) 無電極放電灯点灯装置
JP5950707B2 (ja) 照明装置
JP2005032672A (ja) 電磁継電器
KR100806857B1 (ko) 무전극 형광램프
CN112786414A (zh) 磁控管滤波组件、磁控管以及家用电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