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73906A - 커넥터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커넥터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73906A
KR20090073906A KR1020070141976A KR20070141976A KR20090073906A KR 20090073906 A KR20090073906 A KR 20090073906A KR 1020070141976 A KR1020070141976 A KR 1020070141976A KR 20070141976 A KR20070141976 A KR 20070141976A KR 20090073906 A KR20090073906 A KR 200900739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gear
rotary gear
coupling
connector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419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용수
우승우
Original Assignee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1419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73906A/ko
Publication of KR200900739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7390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2905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comprising a camming member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커넥터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내부에 터미널이 설치되고, 외면에는 제1기어치(17)가 구비되는 제1커넥터(10)와, 상기 제1커넥터(10)의 외면에 형성된 결합채널(13)에 회전가능하도록 장착되고, 외주면에는 상기 제1기어치(17)와 맞물리는 회전기어치(27)가 구비되는 회전기어(20)와, 내부에 터미널이 설치되고 상기 제1커넥터(10)와 결합되며 상기 회전기어치(27)와 맞물리는 제2기어치(37)가 내면에 구비되어 상기 회전기어(20)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제1커넥터(10) 방향으로 이동되는 제2커넥터(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회전기어(20)가 제1커넥터(10)의 외면에 밀착된 상태로 회전하여 커넥터 사이를 결합시키게 되므로, 결합/분리장치의 회전을 위한 회전공간이 필요치 않게 되어 커넥터가 설치되는 장소의 공간활용률이 좋아지고, 작업성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커넥터 어셈블리, 회전기어

Description

커넥터 어셈블리{Connector assembly}
본 발명은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많은 수의 터미널을 사용하여 결합과 분리력이 많이 드는 커넥터의 결합과 분리를 위한 커넥터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커넥터는 일반적으로 와이어와 와이어사이의 전기적 연결을 수행하는 것이다. 최근에 하나의 커넥터에 사용되는 터미널의 수가 많아지면서 커넥터 사이의 결합과 분리를 위한 힘이 많이 들게 되었다. 이와 같이 많은 수의 터미널이 사용되는 커넥터의 결합과 분리를 쉽게 하기 위해 레버를 사용하기도 한다.
도 1에는 종래의 기술에 의한 레버타입 커넥터의 구성이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커넥터(1)의 외관 및 골격은 하우징(2)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하우징(2)은 대략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어 그 내부에는 터미널(도시되지 않음)이 설치되는 터미널공(2')이 다수개 형성된다.
상기 하우징(2)의 일측면에는 상기 터미널공(2')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스페이서홀(3)이 관통되게 형성된다. 상기 스페이서홀(3)에는 상기 터미널공(2')에 설치된 터미널을 고정시키는 스페이서(5)가 결합된다.
상기 하우징(2)의 양측면에는 소정량 돌출되게 형성되는 회전축(7)이 구비된다. 상기 회전축(7)에는 상기 커넥터(1)와 상기 커넥터(1)에 결합되는 상대 커넥터(도시되지 않음)를 고정시키는 레버(9)가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된다.
하지만,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종래의 기술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상기 레버(7)는 상기 커넥터(1)의 하우징(2)에 회전가능하도록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레버(7)는 회전을 통해 상대 커넥터와 상기 커넥터(1)를 서로 결합시키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커넥터(1)가 설치되는 장소에는 상기 레버(7)의 회전경로가 확보되어야 하므로, 공간활용률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레버(7)는 일반적으로 커넥터(1)와 대응되는 정도의 크기를 갖고, 커넥터(1)와 상대 커넥터를 결합 시킨 후에도 상기 커넥터(1)에 그대로 부착되어 있어 커넥터(1)가 차지하는 공간이 많이 필요하게 한다. 즉, 커넥터(1)가 사용되는 제품의 소형화나 공간활용에 많은 걸림돌이 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별도의 레버 없이 회전기어를 회전시켜 커넥터를 분리/결합시킬 수 있는 커넥터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내부에 터미널이 설치되고, 외면에는 제1기어치가 구비되는 제1커넥터와, 상기 제1커넥터의 외면에 형성된 결합채널에 회전가능하도록 장착되고, 외주면에는 상기 제1기어치와 맞물리는 회전기어치가 구비되는 회전기어와, 내부에 터미널이 설치되고 상기 제1커넥터와 결합되며 상기 회전기어치와 맞물리는 제2기어치가 내면에 구비되어 상기 회전기어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제1커넥터 방향으로 이동되는 제2커넥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1기어치와 상기 제2기어치는 상기 제1 및 제2커넥터의 결합방향을 따라 각각 상기 제1 및 제2커넥터에 구비된다.
상기 회전기어는 횡단면이 다각형상으로 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에 연결되고 외주면에는 기어치가 형성되는 기어부와, 상기 기어부에 연결되고 상기 제1커넥터의 외면에 형성된 결합채널에 대응되는 결합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몸체부에는 공구홈이 요입되게 형성된다.
상기 제1커넥터의 결합채널은 도입부와 상기 도입부에 직교하게 연장되는 안 착부로 구성되고, 상기 도입부 및 안착부가 형성되는 제1커넥터의 외면에는 단차면이 형성되어 상기 회전기어의 결합부가 걸어진다.
상기 결합/분리장치와 상기 제2커넥터에는 서로 대응되는 체결돌기와 체결홈이 서로 대응되게 형성된다.
상기 제2커넥터에는 일측이 상기 제1커넥터 방향으로 개구되고, 상기 회전기어의 몸체부의 폭에 대응되는 폭을 갖는 이동채널이 형성된다.
상기 제1 및 제2커넥터에는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가이드채널 및 가이드리브가 형성되어 제1 및 제2커넥터의 결합을 안내한다.
본 발명에 의한 커넥터 어셈블리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먼저, 본 발명에서 커넥터 어셈블리에는 별도의 결합/분리장치가 장착되지 않고, 회전기어가 제1커넥터의 외면에 밀착된 상태로 회전하여 커넥터 사이를 결합시키게 되므로, 결합/분리장치의 회전을 위한 회전공간이 필요치 않게 되어 커넥터가 설치되는 장소의 공간활용률이 좋아지고, 작업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커넥터 어셈블리에서 커넥터용 결합/분리장치가 생략되므로 구조가 매우 단순해져 커넥터 어셈블리의 제조비용이 감소하는 효과도 있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커넥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에는 본 발명에 의한 커넥터 어셈블리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이 분해사시도로 도시되어 있고, 도 3에는 본 발명 실시예에 의한 커넥터 어셈블리의 구성이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으며, 도 4에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회전기어가 제1커넥터에 결합된 모습이 요부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먼저, 제1커넥터(10)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제1커넥터(10)의 외관 및 골격은 제1하우징(11)이 형성한다. 상기 제1하우징(11)은 절연체인 합성수지와 같은 절연성 재질로 만들어지고, 그 내부에는 터미널(미도시)가 삽입되는 장착공간(11')이 형성된다.
상기 제1하우징(11)에는 결합채널(13)이 형성된다. 상기 결합채널(13)은 상기 제1하우징(11)의 외면을 관통하고 제2커넥터(30)를 향해 개구되게 형성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결합채널(13)은 도입부(13a)와 상기 도입부(13a)에 직교하게 연장되는 안착부(13b)로 구성된다. 상기 도입부(13a)는 회전기어(20)가 제1커넥터(10)에 설치되는 과정에서 처음 삽입되는 부분이고, 상기 안착부(13b)는 회전기어(20)가 안착되어 회전되는 부분이다.
이때, 도 4에서 보듯이, 상기 도입부(13a) 및 안착부(13b)가 형성되는 제1커넥터(10)의 외면에는 단차면(14)이 형성되어 아래에서 설명될 회전기어(20)의 결합부(28)가 걸어진다.
상기 제1하우징(11)의 외면에는 가이드채널(15)이 구비된다. 상기 가이드채널(15)은 아래에서 설명될 제2하우징(31)의 가이드리브(35)와 대응되는 것으로, 상기 제1하우징(11)과 제2하우징(31)의 결합을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1하우징(11)에는 제1기어치(17)가 구비된다. 상기 제1기어치(17)는 상기 제1하우징(11)의 길이방향,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제1커넥터(10)와 제2커넥터(30)의 상대이동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상기 제1기어치(17)는 회전기어(20)의 회전기어치(27)와 맞물리는 부분이다.
상기 제1커넥터(10)에는 회전기어(20)가 장착된다. 상기 회전기어(20)는 전기를 이용하여 회전력을 제공하는 전동공구와 같은 별도의 공구를 이용하여 회전되고, 이러한 회전력을 후술할 제2커넥터(30)의 제2기어치(37)에 전달하여, 제1 및 제2커넥터(10,30)가 결합 또는 분리되도록 한다.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상기 회전기어(20)는 횡단면이 다각형상으로 되고 공구홈(22)이 요입되게 형성되는 몸체부(21)가 그 골격을 형성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몸체부(21)는 육각형상의 횡단면을 갖도록 형성되나, 3각형, 4각형, 또는 8각형 등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이러한 몸체부(21)는 스패너와 같은 공구를 이용하여 상기 회전기어(20)를 용이하게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몸체부(21)에는 그 외주면에 회전기어치(27)가 형성되는 기어부(25)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기어부(25)에는 상기 제1커넥터(10)의 외면에 형성된 결합채널(13)에 대응되는 결합부(28)가 돌출되어 구성된다. 상기 회전기어치(27)는 상기 제1커넥터(10)의 제1기어치(17)와 맞물림과 동시에, 후술할 제2커넥터(30)의 제2기어치(37)에 맞물림으로써, 회전을 통해 제1 및 제2커넥터(10,30)를 서로 결합되는 방향으로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도 4에서 보듯이, 상기 결합부(28)는 상기 결합채널(13)의 단차면(14)에 걸 어져, 상기 회전기어(20)가 제1커넥터(10)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제1커넥터(10)에는 제2커넥터(30)가 결합된다. 상기 제2커넥터(30)의 외관 및 골격은 제2하우징(31)이 형성한다. 상기 제2하우징(31)은 절연체인 합성수지와 같은 절연성 재질로 만들어지고, 그 내부에는 터미널(미도시)가 삽입되는 설치공간(31')이 형성된다.
상기 제2하우징(31)의 외면에는 일측이 상기 제1커넥터(10) 방향으로 개구되는 이동채널(33)이 형성된다. 상기 이동채널(33)은 상기 회전기어(20)가 이동되는 부분으로, 회전기어(20)의 몸체부(21)의 폭에 대응되는 폭을 갖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이동채널(33)의 길이는 상기 제1커넥터(10)에 구비된 터미널과 제2커넥터(30)에 구비된 터미널 사이가 상대이동하여 서로 연결되는 거리에 대응되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도 2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하우징(31)에는 가이드리브(35)가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리브(35)는 제1하우징(11)의 가이드채널(15)과 대응되어, 제1 및 제2커넥터(10,30) 사이의 결합을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이동채널(33)과 인접한 상기 제2하우징(31)의 내면에는 제2기어치(37)가 구비된다. 상기 제2기어치(37)는 상기 회전기어(20)의 회전기어치(27)와 맞물리는 부분으로, 실질적으로 상기 제2커넥터(30)를 제1커넥터(10)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커넥터 어셈블리의 조립 및 분리작업을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5a 및 도 5b에는 본 발명 실시예에 의한 커넥터 어셈블리를 조립하는 과정이 작업상태도로 도시되어 있다.
우선, 작업자는 회전기어(20)를 제1커넥터(10)에 장착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작업자는 상기 회전기어(20)를 결합채널(13)의 도입부(13a)로부터 삽입하여 안착부(13b)에 이르기까지 밀어넣는다. 이때, 상기 회전기어(20)의 결합부(28)가 상기 제1커넥터(10)의 단차면(14)에 걸어지면, 상기 회전기어(20)는 제1커넥터(10)로부터 분리되지 않고, 회전가능한 상태가 된다.(도 4참조)
이러한 상태에서, 작업자는 제1커넥터(10)를 상기 제2커넥터(30)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때, 작업자는 상기 제2커넥터(30)의 설치공간(31') 내부로 상기 제1커넥터(10)의 선단이 어느 정도 삽입되도록 한다. 이렇게 되면 상기 회전기어(20)의 회전기어치(27)는 상기 제1커넥터(10)의 제1기어치(17)와 제2커넥터(30)의 제2기어치(37)에 각각 맞물린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은 모습이 도 5a에 도시되어 있다.
다음으로, 작업자는 전동공구를 이용하여 상기 회전기어(20)를 회전시킨다. 즉, 도 5a의 화살표①방향으로 상기 회전기어(20)를 회전시키는 것이다. 이때, 상기 전동공구는 상기 회전기어(20)의 몸체부(21) 외면이나 또는 몸체부(21)에 형성된 공구홈(22)을 이용하여 상기 회전기어(20)를 회전시킬 수 있다.
이렇게 되면, 상기 회전기어(20)의 회전과정에서 회전기어(20)의 회전기어치(27)는 상기 제1커넥터(10)의 제1기어치(17)와 맞물리면서 회전하여, 상기 제1커넥터(10)를 화살표②방향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이와 동시에, 상기 회전기어치(27)는 상기 제2커넥터(30)의 제2기어치(37)에 도 맞물린 상태이므로, 상기 회전기어(20)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제2커넥터(30)를 상기 화살표③방향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즉, 상기 제1 및 제2커넥터(10,30)가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모습이 도 5b에 도시되어 있다.
상기 제1 및 제2커넥터(10,30)를 분리하는 과정은 상기한 결합순서의 역순으로 이루어진다. 즉, 작업자는 전동공구를 이용하여 상기 회전기어(20)를 도 5a의 화살표①의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것이다. 이렇게 되면, 상기 회전기어치(27)와 맞물린 상기 제1기어치(17) 및 제2기어치(37)가 상기 회전기어치(27)를 따라 안내되면서 제1커넥터(10)와 제2커넥터(30)가 분리된다.
이때, 작업자는 전동공구를 사용하지 않고 스패너를 상기 회전기어(20)의 몸체부(21)에 끼워 상기 회전기어(20)를 회전시키거나, 혹은 드라이버와 같은 공구를 공구홈(22)에 삽입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물론, 작업자는 수작업으로 상기 회전기어(20)를 회전시킬 수도 있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커넥터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커넥터 어셈블리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실시예에 의한 커넥터 어셈블리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회전기어가 제1커넥터에 결합된 모습을 보인 요부사시도.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 실시예에 의한 커넥터 어셈블리가 조립되는 과정을 작업상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제1커넥터 11: 제1하우징
11': 삽입공간 13: 결합채널
15: 가이드채널 17: 제1기어치
20: 회전기어 21: 몸체부
22: 공구홈 25: 기어부
27: 회전기어치 28: 결합부
30: 제2커넥터 31: 제2하우징
31': 설치공간 32: 삽입구
33: 이동채널 37: 제2기어치

Claims (8)

  1. 터미널이 설치되고, 외면에는 제1기어치가 구비되는 제1커넥터와,
    상기 제1커넥터의 외면에 형성된 결합채널에 회전가능하도록 장착되고, 외주면에는 상기 제1기어치와 맞물리는 회전기어치가 구비되는 회전기어와,
    터미널이 설치되고 상기 제1커넥터와 결합되며 상기 회전기어치와 맞물리는 제2기어치가 내면에 구비되어 상기 회전기어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제1커넥터 방향으로 이동되는 제2커넥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커넥터 어셈블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기어치와 상기 제2기어치는 상기 제1 및 제2커넥터의 결합방향을 따라 각각 상기 제1 및 제2커넥터에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어셈블리.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기어는
    횡단면이 다각형상으로 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에 연결되고 외주면에는 기어치가 형성되는 기어부와,
    상기 기어부에 연결되고 상기 제1커넥터의 외면에 형성된 결합채널에 대응되는 결합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커넥터 어셈블리.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에는 공구홈이 요입되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어셈블리.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커넥터의 결합채널은 도입부와 상기 도입부에 직교하게 연장되는 안착부로 구성되고, 상기 도입부 및 안착부가 형성되는 제1커넥터의 외면에는 단차면이 형성되어 상기 회전기어의 결합부가 걸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어셈블리.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커넥터에는 일측이 상기 제1커넥터 방향으로 개구되고, 상기 회전기어의 몸체부의 폭에 대응되는 폭을 갖는 이동채널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어셈블리.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채널의 길이는 상기 제1커넥터에 구비된 터미널과 제2커넥터에 구비된 터미널 사이가 상대이동하여 서로 연결되는 거리에 대응되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어셈블리.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커넥터에는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가이드채널 및 가이드리브가 형성되어 제1 및 제2커넥터의 결합을 안내함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어셈블리.
KR1020070141976A 2007-12-31 2007-12-31 커넥터 어셈블리 KR2009007390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41976A KR20090073906A (ko) 2007-12-31 2007-12-31 커넥터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41976A KR20090073906A (ko) 2007-12-31 2007-12-31 커넥터 어셈블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73906A true KR20090073906A (ko) 2009-07-03

Family

ID=413310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41976A KR20090073906A (ko) 2007-12-31 2007-12-31 커넥터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73906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32531A (ko) * 2017-06-02 2018-12-12 앱티브 테크놀러지스 리미티드 가변적인 축방향 보조를 갖는 커넥터 어셈블리
CN110690622A (zh) * 2018-07-06 2020-01-14 矢崎总业株式会社 连接器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32531A (ko) * 2017-06-02 2018-12-12 앱티브 테크놀러지스 리미티드 가변적인 축방향 보조를 갖는 커넥터 어셈블리
CN110690622A (zh) * 2018-07-06 2020-01-14 矢崎总业株式会社 连接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914847B1 (en) Cable connector for vehicle door
US8608498B2 (en) Connector
EP2905845B1 (en) Charging connector
JP2013016524A (ja) 電気コネクタおよびコネクタアセンブリ
CN103283093A (zh) 插塞连接器
JP2016021398A (ja) バネ接続部材と小型のアクチュエータとを備える電気的な接続デバイス、および複数の当該バネのコンタクトを備える多極プラグコネクタ
JP5414836B2 (ja) コネクタ
US10211570B2 (en) Lever-fitting type connector
AU2007349106B2 (en) Electric connector with a dust cover
KR101304942B1 (ko) 레버타입 커넥터 및 이를 사용한 커넥터 조립체
CN101529685A (zh) 用于电动工具的万用端子系统
JP2006261121A (ja) 電気プラグコネクタ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90073906A (ko) 커넥터 어셈블리
US8328568B2 (en) Plug-in connector
ITMI20080652A1 (it) Presa o spina industriale provvista di morsetti a molla con attuatori
JP5808307B2 (ja) 防塵、防触、防水対応電気コネクタ
KR20090073861A (ko) 커넥터용 결합/분리장치 및 이를 구비한 커넥터 어셈블리
JP2011181199A (ja) 嵌合構造及び該嵌合構造を用いた電気コネクタ
ITRM20130725A1 (it) Terminale di connessione a molla con leva d'azionamento
JP7386528B2 (ja) 速結端子ユニット、及び配電盤
JP4663671B2 (ja) 分電盤
CN111371230B (zh) 连接器、电机和衣物处理装置
CN111370916B (zh) 连接器、电机和衣物处理装置
KR102058896B1 (ko) 커넥터 조립체
JP2009151962A (ja) 電気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