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73894A - 컨넥터 하우징의 단자위치 확인 지그 - Google Patents

컨넥터 하우징의 단자위치 확인 지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73894A
KR20090073894A KR1020070141964A KR20070141964A KR20090073894A KR 20090073894 A KR20090073894 A KR 20090073894A KR 1020070141964 A KR1020070141964 A KR 1020070141964A KR 20070141964 A KR20070141964 A KR 20070141964A KR 20090073894 A KR20090073894 A KR 200900738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housing
contact
lance
ji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419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자민
Original Assignee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1419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73894A/ko
Publication of KR200900738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7389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Means for preventing incorrect coupling
    • H01R13/641Means for preventing incorrect coupling by indicating incorrect coupling; by indicating correct or full engage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 H01R13/42Securing in a demountable manner
    • H01R13/422Securing in resilient one-piece base or case, e.g. by friction; One-piece base or case formed with resilient locking means
    • H01R13/4223Securing in resilient one-piece base or case, e.g. by friction; One-piece base or case formed with resilient locking means comprising integral flexible contact retaining fing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665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electronic circuit
    • H01R13/6691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electronic circuit with built-in signalling mea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39/00Electrical connectors
    • Y10S439/93Coupling part wherein contact is comprised of a wire or brus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컨넥터의 하우징 내부에 단자가 정확하게 위치하는가를 검사 또는 확인하는 지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하우징의 내부에 형성된 단자수납부에 수납되고, 단자수납부의 하방에 형성된 랜스에 의하여 후방으로의 이탈이 방지되는 단자의 정확한 위치를 확인하기 위한 지그로써; 베이스(22)와; 상기 베이스에서 후방으로 연장되고, 상기 하우징의 전면에 형성된 개구부를 통하여 하우징의 내부로 삽입되어 상기 단자와 접촉하는 전도성 재질의 감지부(24)와; 상기 감지부의 하부에 해당하는 베이스에서 후방으로 연장되고, 상기 하우징의 전면에 형성된 개구부를 통하여 하우징의 내부로 삽입될 때, 상기 단자의 하부를 통하여 삽입되어 단자수납부의 저면에 형성된 랜스와 접촉하며, 상기 감지부보다 상대적으로 길게 성형되는 접촉부(26)를 포함한다. 단자가 정확한 위치에 설치되면 상기 감지부가 단자와 접촉하는 것에 의하여 통전상태가 되어, 용이한 확인이 가능하게 된다.
전기컨넥터, 컨넥터하우징, 단자, 지그

Description

컨넥터 하우징의 단자위치 확인 지그{Jig for confirming the location of terminal in connector housing}
본 발명은 전기 컨넥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컨넥터의 내부에 장착되는 전기 터미날이 정위치에 삽입되었는가를 확인하기 위한 지그에 관한 것이다.
전기컨넥터(이하 컨넥터라고도 칭함)는, 합성수지재와 같은 절연재로 형성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삽입되어 정확한 위치를 유지하는 복수개의 단자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하우징의 내부에는 단자가 위치할 수 있는 복수개의 단자 수납부가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단자는 하우징의 내부로 삽입되어 설정된 위치를 유지하는 것에 의하여, 상대 컨넥터와 결합시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도 1에는 상하에서 두 개의 단자가 수납될 수 있는 일반적인 컨넥터의 하우징이 도시되어 있는 바, 도 1에서 상부는 단자가 정확한 위치에 수납된 상태를 보이고 있고, 하부는 단자가 정확하게 수납되지 않은 상태 즉, 오삽입된 상태를 예시하고 있다.
도시한 바와 같이, 합성수지재와 같은 절연체로 형성되는 하우징(10)의 내부에는 다수개의 단자수납부(12)가 마련되어 있다. 도 1에 도시한 하우징(10)은 세로방향인 상하방향으로는 2개의 단자가 수납될 수 있는 2단 형식의 하우징이 예시되어 있고, 통상 이와 같은 하우징에 있어서 좌우방향, 즉 가로방향으로는 다수개의 단자가 수납된다.
상기 하우징(10)의 단자수납부(12)에는 단자(14,16)가 각각 수납되어 정위치를 유지하여야 한다. 상기 단자수납부(12)에 수납되는 단자(14,16)는, 하우징(10)의 후방에서 전방으로 삽입되는 것에 의하여 하우징(10)의 내부에 안착된다. 그리고 단자(14,16)가 삽입된 상태에서 후방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구조가 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되어 있다. 즉, 하우징(10)이 상대물과 결합할 때의 반력에 의하여 상기 단자수납부(12)에 수납된 단자(14,16)가 후방으로 이탈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하우징(10)의 단자수납부(12)의 내부에는 랜스(18)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랜스(18)는 하우징(10)과 일체로 형성되는 부분으로 단자수납부(12)의 저면에서 상방을 향하여 탄성적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있고, 더욱이 하우징(10)의 후방에서 전방을 향하여 약간 경사지도록 성형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랜스(18)는 후방에서 삽입되는 단자(14,16)의 하면과 접촉하면서 단자에 의하여 하방으로 탄성변형되었다가, 단자가 완전히 정확한 위치까지 전방으로 삽입되면 원래의 탄성에 의하여 상방으로 복원된다. 그리고 상기 랜스(18)가 상방으로 복원되면, 상기 랜스(18)의 선단부는 단자(14,16)의 저면의 일측 후단부에 걸리게 된다.
이와 같이 랜스(18)가 단자의 저면 일측 후단부에 걸리게 되면 실질적으로 상기 단자(14,16)는 후방으로 이동하지 못하는 상태가 되고, 이러한 상태에서 하우징(10)은 상대물과 결합하여 상기 단자(14,16)는 상대물의 단자와 접촉하여 전기적으로 통전상태가 되고, 이러한 상태가 도 1의 상부에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단자를 하우징(10)의 내부에 삽입하는 과정에서 오류가 발생할 수 있다. 도 1의 하부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자(16)가 하우징(10)의 단자수납부(12)의 내부에 정확하게 삽입되지 않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는 실질적으로 단자(16)가 단자수납부(12)의 내부에서 완전히 전방까지 삽입되지 않는 경우를 말한다.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단자(16)가 완전히 전방까지 삽입되지 않기 때문에, 상기 랜스(18)가 단자(16)의 저면에 눌려서 하방으로 탄성변형된 상태이고 따라서 상기 랜스(18)가 단자(16)의 저면 일측단부와 결합되지 못한 상태이다. 이러한 상태에서는 상기 단자(16)는 하우징(10)의 단자수납부(12)의 내부에서 후방으로 밀릴 수 있는 상태이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상대물과 결합하였을 때 단자끼리의 통전이 불가능하게 되거나 전기적 접촉이 원활하지 않게 되는 단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10)의 전면의 일부는 열린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즉 상기 단자(14,16)가 위치한 부분의 전면은 열린 상태로 형성되어, 상대물이 삽입될 수 있는 상태이다. 즉, 상기 단자(14,16)가 위치하는 바로 전면에는 개구부(Op)가 형성되어 있어서, 상대물이 삽입될 수 있는 상태이다. 그리고 상기 개구부(Op)는 실질적으로 그 바로 하부까지 연장되어 있다. 즉 상기 개구부(Op)는 단자(14,16)의 하부에 해당하는 전면까지 연장 성형되어 있다.
상기 하우징(10)의 내부에 결합된 단자를 다시 해제하기 위해서는, 전면이 열린 상태인 상기 개구부(Op)의 하부[랜스(18)의 전방에 대응하는 부분]를 통하여 치공구를 밀어넣어서, 상기 랜스(18)를 하방으로 탄성변형시켜야 한다. 이렇게 하여 상기 랜스(18)가 하방으로 탄성변형하면, 실질적으로 상기 랜스(18)와 단자(14)와의 체결상태가 해제되어, 상기 단자(14)를 후방으로 밀어서 빼낼 수 있는 상태가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컨넥터 하우징에서, 도 1의 하단부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자(16)가 오삽입된 상태인 경우, 이를 확인할 수 있는 정확한 방법에 없었다. 그러한 상태에서 제품에 적용되면 당연히 불량을 일으킬 수 밖에 없음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단자의 오삽입상태를 간단하면서도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는 방법에 없었기 때문에 검사자의 육안에 의존하고 있었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실질적으로 생산의 효율이 저하됨은 물론이고 정확한 판별이 불가능하여 바람직하다고 할 수 없는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하우징의 내부에 단자가 정확하게 위치하도록 삽입되었는가의 여부를 정확하게 검사할 수 있는 간단한 구성의 지그를 제공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하우징의 내부에 형성된 단자수납부에 수납되고, 단자수납부의 하방에 형성된 랜스에 의하여 후방으로의 이탈이 방지되는 단자의 정확한 위치를 확인하기 위한 지그로써;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에서 후방으로 연장되고, 상기 하우징의 전면에 형성된 개구부를 통하여 하우징의 내부로 삽입되어 상기 단자와 접촉하는 전도성 재질의 감지부와; 상기 감지부의 하부에 해당하는 베이스에서 후방으로 연장되고, 상기 하우징의 전면에 형성된 개구부를 통하여 하우징의 내부로 삽입될 때, 상기 단자의 하부를 통하여 삽입되어 단자수납부의 저면에 형성된 랜스와 접촉하며, 상기 감지부보다 상대적으로 길게 성형되는 접촉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상기 감지부가 하우징 내부의 단자와 접촉하게 되면,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상태가 되고 이러한 상태를 감지하는 것에 의하여 단자가 하우징 내부에서 정상적으로 설치되었는가를 알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접촉부의 단부에는 경사부가 형성되어, 하우징 전면의 개구부를 통하여 삽입하는 것이 더욱 원활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단자와 연결되는 전선을 통하여, 상기 감지부와 단자와의 접촉에 의한 통전상태를 알리는 센싱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센싱수단은 통전에 의하여 시각적 또는 청각적 등으로 확인할 수 있는 것이면 어떠한 구성이라도 가능하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는 단자가 정확하게 조립되었는가를 가장 간단하면서도 정확하게 감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제품의 불량을 억제함과 동시에 생산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기대된다.
다음에는 도 2를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의한 단자위치 확인 지그에 대하여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본 발명의 설명에 있어서, 하우징과 단자의 결합구조에 대한 설명은 도 1을 같이 참조하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지그(20)는, 베이스(22)와, 상기 베이스에서 후방으로 연장된 감지부(24)와, 상기 베이스(22)에서 후방으로 연장 성형된 접촉부(2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감지부(24)는 베이스(22)에서 후방으로 연장 성형되고, 하우징(10)의 개구부(Op)를 통하여 하우징(10)의 내부로 삽입되는 부분이다. 그리고 실질적으로 상기 감지부(24)의 길이는 하우징(10)의 개구부(Op)를 통하여 상기 감지부(24)가 삽입되었을 때, 감지부(24)의 후단부가 상기 단자(14)의 전면과 접촉할 수 있는 길이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상기 감지부(24)는 실질적으로 통전 가능한 재질, 예를 들면 금속재로 형성된다.
그리고 베이스(22)에서 상기 감지부(24)의 직하부에서 후방으로 연장 성형된 상기 접촉부(26)는 하우징(10)의 전면 개구부(Op)를 통하여 하우징의 내부로 삽입되는 부분인 바, 상기 접촉부(26)는 단자수납부(12)의 내부에서 단자의 하방으로 삽입된다. 즉 상기 접촉부(26)는 하우징(10) 내부에서 랜스가 위치한 부분으로 개구부(Op)를 통하여 삽입되는 부분이다. 그리고 상기 접촉부(26)의 길이는, 본 발명의 지그(20)가 개구부(Op)를 통하여 삽입되었을 때, 랜스(18)의 선단에 접촉할 수 있는 길이를 가지게 되고, 실질적으로 상기 접촉부(26)는 감지부(24)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길게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접촉부(26)가 개구부(Op)를 통하여 하우징의 내부로 삽입될 때, 실질적으로 접촉부(26)는 단자(14,16)의 하부에서 단자와는 이격된 상태가 된다. 즉 단자(14,16)는 하우징의 단자수납부(12)의 내부에서 고정된 상태로 조립되기 때문에, 상기 접촉부(26)는 상기 단자(14,16)와 접촉하지 않은 상태로 단자의 하부를 통하여 랜스(18) 측으로 삽입될 수 있다.
다음에는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단자위치 확인 지그의 사용상태를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지그의 기능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도 1의 상부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자(14)가 정확하게 하우징(10) 내부에 삽입된 상태인 경우의 검사(확인) 과정을 살펴본다. 상기 단자(14)가 하우징(10)의 내부에서 완전히 전방까지 삽입되어 정확한 위치를 유지하는 경우를 보면, 먼저 본 발명에 의한 지그(20)를 하우징의 전면 개구부(Op)를 통하여 하우징의 후방으로 삽입한다.
이 때 상기 감지부(24)는 개구부(Op)의 상부를 통하여 삽입되면서 실질적으로 단자(14)의 바로 앞에서 부터 후방으로 삽입된다. 그리고 상기 지그(20)의 접촉부(26)는, 상기 랜스(18)에 대응하는 부분의 개구부(Op)를 통하여 후방으로 삽입된다.
그리고 실질적으로 단자(14)가 하우징(10)의 내부에서 완전하게 삽입된 경우에는, 상기 감지부(24) 및 접촉부(26)는 후방으로 완전하게 삽입되는데, 이 때 사익 접촉부(26)는 랜스의 선단부와 접촉하게 되고, 감지부(24)는 단자(14)의 전면에 접촉하게 된다. 상기 단자(14)의 전면에 접촉한 감지부(24)는 상술한 바와 같이 도전성 재질로 형성되기 때문에 단자(14)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상태가 되는 것은 당연하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10)에 결합되는 단자(14)는 실질적으로 전선과 연결되어 있는 상태이기 때문에, 이러한 전선을 상기 베이스(22)를 통하여 상기 감지부(24)와 전기적으로 연결하게 되면 실질적으로 도통상태가 된다. 이러한 도통상태의 확인은 여러 가지 센싱방법으로 확인할 수 있음은 당연하고, 예를 들면 검사자가 인식할 수 있는 시각적 청각적 방법 등을 통하여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도 1의 하부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자(16)가 하우징(10)의 내부에서 완전하게 결합되지 않은 상태, 즉 완전하게 전방으로 삽입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지그를 개구부(Op)를 통하여 삽입한다고 하더라도, 상술한 바와 같은 통전상태로 되는 것은 불가능하다. 즉, 개구부(Op)를 통하여 지그가 삽입될 때, 상대적으로 긴 접촉부(26)가 먼저 개구부(Op)의 내부로 삽입되는 바, 일정 수준 삽입되면 랜스(18)에 걸리게 된다. 상기 단자(16)가 불완전하게 삽입된 상태에서는 상기 랜스(18)는 하방으로 탄성변형되어 있기 때문에, 완전히 삽입된 상태와 비교할 때 상기 접촉부(26)가 삽입되는 길이가 짧게 된다. 따라서 상기 감지부(24)가 단자(16)의 선단에 접촉하기 전에, 접촉부(26)가 랜스(18)에 부딪히기 때문에 더 이상 삽입하는 것이 불가능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는 실질적으로 단자(16)의 후방에 연결된 전선을 베이스(22)를 통하여 전기적으로 연결시킨다고 하더라도, 상기 감지부(24)와 단자(16)가 비접촉상태이기 때문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지 않은 상태이다. 따라서 센싱수단에 의한 통전상태의 검출은 불가능하게 되고, 검사자는 이를 이용하여 단자(16)가 비정상적으로 삽입된 것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접촉부(26)는 상대적으로 감지부(24)에 비하여 길이가 길어서, 하우징(10)의 개구부(Op)에 먼저 삽입된다. 따라서 개구부(Op)로의 삽입을 보다 원활하게 하기 위하여 상기 접촉부(26)의 후단부에 소정의 경사부(27)를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전도성 재질로 형성되어 단자와 접촉하는 감지부(24)와, 랜스와 접촉하는 접촉부(26)를 구비하는 지그를 기본적인 주제로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할 것임은 자명하다. 예를 들면 상기 단자와 접촉하는 감지부(24)의 통전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는 여러 가지 형태로 구현 가능할 것이고, 베이스(22)를 이용하여 여 러 가지 센서를 내장시키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첨부한 특허청구의 범위에 기초하여 결정되어야 할 것임도 자명한 사실이다.
도 1은 단자를 내장한 하우징의 일반적인 단면을 보인 것으로, 단자의 정확한 삽입상태와 오삽입 상태를 도시한 예시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단자위치 확인 지그의 예시 사시도.

Claims (3)

  1. 하우징의 내부에 형성된 단자수납부에 수납되고, 단자수납부의 하방에 형성된 랜스에 의하여 후방으로의 이탈이 방지되는 단자의 정확한 위치를 확인하기 위한 지그로써;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에서 후방으로 연장되고, 상기 하우징의 전면에 형성된 개구부를 통하여 하우징의 내부로 삽입되어 상기 단자와 접촉하는 전도성 재질의 감지부와;
    상기 감지부의 하부에 해당하는 베이스에서 후방으로 연장되고, 상기 하우징의 전면에 형성된 개구부를 통하여 하우징의 내부로 삽입될 때, 상기 단자의 하부를 통하여 삽입되어 단자수납부의 저면에 형성된 랜스와 접촉하며, 상기 감지부보다 상대적으로 길게 성형되는 접촉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자위치 확인 지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의 단부에는 경사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자위치 확인 지그.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와 연결되는 전선을 통하여, 상기 감지부와 단자와의 접촉에 의한 통전상태를 알리는 센싱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자위치 확인 지그.
KR1020070141964A 2007-12-31 2007-12-31 컨넥터 하우징의 단자위치 확인 지그 KR2009007389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41964A KR20090073894A (ko) 2007-12-31 2007-12-31 컨넥터 하우징의 단자위치 확인 지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41964A KR20090073894A (ko) 2007-12-31 2007-12-31 컨넥터 하우징의 단자위치 확인 지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73894A true KR20090073894A (ko) 2009-07-03

Family

ID=413309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41964A KR20090073894A (ko) 2007-12-31 2007-12-31 컨넥터 하우징의 단자위치 확인 지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73894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797928B2 (ja) コネクタ検査装置
US6276964B1 (en) Joint connector
US7572154B2 (en) Joint connector
EP0881712A1 (en) Locked-state detecting system and lock connector comprising such system
CN103904489B (zh) 连接器
TWI435500B (zh) Joint connector and terminal half insert inspection method
KR20080095208A (ko) 커넥터 및 커넥터 조립 방법
KR101613167B1 (ko) Usb 리셉터클
TWI580115B (zh) 電連接器及其端子
JP5012326B2 (ja) ジョイントコネクタ
JP3043568B2 (ja) コネクタ
TWI575821B (zh) Usb插座
JPH0668977B2 (ja) 圧接端子および圧接端子のハウジングへの誤挿入検出装置
JP2001159654A (ja) コネクタ導通検査具
JP6051921B2 (ja) コネクタ検査装置
KR20090073894A (ko) 컨넥터 하우징의 단자위치 확인 지그
US20100120281A1 (en) Card connector capable of detecting card insertion
JP2797934B2 (ja) 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検査装置
EP1199575A1 (en) A testing unit and a connector testing apparatus using the same
JPH08313581A (ja) 端子半挿入検知用コネクタ
JP2000243502A (ja) ジョイントコネクタ
JP2797945B2 (ja) コネクタ検査装置
JP2797920B2 (ja) コネクタ検査装置
JPH07130441A (ja) コネクタ検査装置
JP2797919B2 (ja) コネクタ検査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