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73674A - 전원 박스 고정용 브라켓 - Google Patents

전원 박스 고정용 브라켓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73674A
KR20090073674A KR1020070141687A KR20070141687A KR20090073674A KR 20090073674 A KR20090073674 A KR 20090073674A KR 1020070141687 A KR1020070141687 A KR 1020070141687A KR 20070141687 A KR20070141687 A KR 20070141687A KR 20090073674 A KR20090073674 A KR 200900736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astic piece
power box
bracket
elastic
no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416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지숙
Original Assignee
정지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지숙 filed Critical 정지숙
Priority to KR10200701416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73674A/ko
Publication of KR200900736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7367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081Bases, casings or cove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388Separate connecting elemen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12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for flush mounting
    • H02G3/121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for flush mounting in plain walls

Abstract

본 발명은 건물 신축시 벽체에 매입설치되는 전원박스를 콘크리트 타설 전에 철근에 고정하기 위한 브라켓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전원박스 고정용 브라켓은, 판형으로 이루어지며 전원 박스의 배면에 조립되는 몸체, 상기 몸체의 양쪽에서 연장되며, 건물의 철근에 고정되는 다수의 탄성편 및 상기 탄성편의 일부를 잘라 그 길이를 조정할 수 있도록 상기 탄성편에 형성된 다수의 노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Figure P1020070141687
전원박스, 고정, 브라켓, 탄성편, 노치, 절단

Description

전원 박스 고정용 브라켓{Bracket for fixing power box}
본 발명은 건물 신축시 벽체에 매입설치되는 전원박스를 콘크리트 타설 전에 철근에 고정하기 위한 브라켓에 관한 것이다.
건물의 벽을 축조하기 위해서는 일반적으로 기초 바닥 위에 철근을 격자 모양으로 조립하여 철근 골조를 구성하고, 철근 골조 양측으로 거푸집을 구성한 뒤 거푸집 내측으로 콘크리트를 타설하게 된다. 그런데, 이와 같은 공정으로 벽체를 축조하기 전에는 반드시 실내에서 소요되는 각종 전기 배선 및 전원 박스 등을 먼저 적정 위치에 설치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이에 따라 종래에는 전원 박스를 매입 설치하기 위해 일정 간격으로 절단한 철근을 전원 박스 후면에 용접하고, 이러한 전원 박스를 철근 골조에 다시 용접하여 고정시켰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전원 박스 고정 방법은 작업자가 용접 작업을 해야 하기 때문에 전기 사용에 따른 감전 사고의 위험이 뒤따르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그리고, 작업자가 용접 장비를 들고다니며 여러 장소에서 용접을 해야 하기 때문에 작업이 매우 번잡하였을 뿐 아니라 작업 시간이 많이 소요되었다. 뿐만 아니라, 철근 골조 사이 등 장소가 좁은 곳에서는 작업자가 고정 작업을 하기에 많은 어려움이 있었다. 나아가, 종래의 기술은 용접 부위가 부식될 우려가 있어서 부실 공사를 초래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일 형태에서는, 판형으로 이루어지며 전원 박스의 배면에 조립되는 몸체, 상기 몸체의 양쪽에서 연장되며, 건물의 철근에 고정되는 다수의 탄성편 및 상기 탄성편의 일부를 잘라 그 길이를 조정할 수 있도록 상기 탄성편에 형성된 다수의 노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전원 박스 고정용 브라켓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원 박스 고정용 브라켓에서, 상기 탄성편은, 상기 몸체의 양쪽 상부 및 하부에서 측방으로 연장된 한 쌍의 제1 탄성편 및 상기 몸체의 양쪽 중앙에서 뒤쪽으로 절곡된 후 측방으로 연장된 제2 탄성편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원 박스 고정용 브라켓에서, 상기 노치는, 상기 제1 탄성편에 형성된 다수의 제1 노치 및 상기 제2 탄성편에 형성되되 상기 몸 체의 측단에 인접하게 배치된 제2 노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원 박스 고정용 브라켓에 의하면 나사 또는 철사에 의해 전원 박스를 철근 등에 쉽고 안전하게 고정 설치할 수 있어 작업 능률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원 박스 고정용 브라켓에 의하면 또한 철근이 끼워져 고정되는 탄성편의 길이를 절단용 노치를 이용하여 쉽게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철근의 간격이 넓거나 좁은 경우에 탄성편의 길이를 알맞게 조정하여 설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원 박스 고정용 브라켓에 의하면 탄성편의 일부가 후측으로 약간 절곡된 후 측방으로 연장되어 있는데, 전원 박스가 설치되는 환경에 따라서 이것이 필요없는 경우 절단용 노치를 이용하여 잘라낼 수 있으므로, 설치 자유도가 우수한 효과가 있다.
이하 상기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본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하기에서 생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원 박스 고정용 브라켓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전원 박스 고정용 브라켓의 평면도이다. 그리고, 도 3은 도 1의 전원 박스 고정용 브라켓에서 탄성편의 일부가 노치를 경계로 절단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의 전원 박스 고정용 브라켓의 사용 상태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브라켓(100)은 건물 신축시 벽체에 매입 설치되는 전원 박스(20)를 콘크리트 타설 전에 철근(40)에 고정하기 위해 사용된다.
건물의 벽체를 형성하기 위해서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철근(40)을 수직과 수평으로 교차하게 엮어 철근 골조를 만든다. 철근 골조가 만들어진 후에는 철근 골조를 둘러싸도록 거푸집(10)을 배치한다. 물론, 상기 거푸집(10)을 배치하기 전에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브라켓(100)을 이용하여 상기 전원 박스(20)를 상기 철근 골조에 고정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브라켓(100)은 상기 전원 박스(20)가 고정되는 몸체(110)와 상기 몸체(110)의 양측에서 연장되어 상기 철근(40)에 고정되는 탄성편(1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몸체(11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형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몸체(110)의 중앙에는 다수의 체결홀(115)이 형성되는데, 상기 체결홀(115)은 상기 전원 박스(20)의 배면에 형성된 다수의 체결구(21)에 상응하도록 배치된다. 따라서, 작업자는 나사나 볼트 등의 체결 부재(30)를 상기 전원 박스(20)의 체결구(21)와 상기 브라켓(100)의 체결홀(115)에 끼워 고정함으로써 상기 전원 박스(20)를 상기 브라켓(100)에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탄성편(120)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몸체(110)의 양측에서 다수가 측방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각 탄성편(120)은 상기 몸체(110)에서 측방으로 길게 연장되는데, 그 상하단에는 V자형의 홈이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탄성편(12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집게 형태로 벌어지게 구부져지고, 벌어진 사이로 상기 철근(40)이 끼워짐으로써 상기 철근(40)에 임시로 고정될 수 있다. 상기 탄성편(120)이 철근(40)에 임시로 고정된 다음에는 철사 등에 의해 견고하게 다시 고정된다.
이러한 탄성편(120)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제1 탄성편(121)과 상기 제1 탄성편(121) 사이에 배치된 제2 탄성편(122)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한 한 쌍의 제1 탄성편(121)은 상기 몸체(110)의 측단 상부와 하부에서 측방으로 각각 평행하게 연장된다. 그리고, 상기 제1 탄성편(121)은 상기 몸체(110)의 측단 중앙에서 뒤쪽으로 약간 절곡된 후 측방으로 연장된다.
따라서, 상기 제1 탄성편(121)과 제2 탄성편(122)의 사이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약간 벌어지게 되고, 벌어진 사이에 상기 철근(40)이 끼워지게 된다. 상기 제1 탄성편(121)과 제2 탄성편(122)은 약간의 탄성이 있으므로, 상기 브라켓(100)은 상기 탄성편(120)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철근(40)에 안정적으로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탄성편(120)에 의해 상기 브라켓(100)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철근(40)에 임시로 고정된 후에는, 철사 등에 의해 상기 탄성편(120)이 묶임으로써 상기 철근(40)에 더욱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상기 탄성편(120)에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노 치(130)가 구비된다. 상기 노치(130)는 각 탄성편(120)에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며 길이 방향을 따라 여러 개가 배치된다. 따라서, 작업자는 상기 노치(130)를 중심으로 상기 탄성편(120)을 앞뒤로 여러 번 구부려 상기 탄성편(120)의 일부를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잘라냄으로써 상기 탄성편(120)의 길이를 조정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탄성편(120)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탄성편(121)에 형성되는 다수의 제1 노치(131) 및 상기 제2 탄성편(122)에 형성되는 제2 노치(13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제1 노치(131)는 상기 제1 탄성편(121)의 길이 방향을 따라 다수가 배치된다. 따라서, 작업자는 상기 제1 노치(131)를 중심으로 상기 제1 탄성편(121)의 일부를 절단함으로써 상기 제1 탄성편(121)의 길이를 줄일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2 노치(132)는 상기 제2 탄성편(122)에 형성되되,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몸체(110)의 측단에 인접하게 배치된다. 그러면, 작업자는 상기 제2 노치(132)를 중심으로 상기 제2 탄성편(122)을 앞뒤로 여러 번 구부려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탄성편(122)을 잘라 낼 수 있게 된다. 물론, 상기 제2 노치(132)는 비록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제2 탄성편(122)의 중간 부분에 하나 이상이 더 배치되어 상기 제2 탄성편(122)의 길이를 조정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위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브라켓(100)을 이용하여 상기 전원 박스(20)를 상기 철근(40)에 고정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먼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 부재(30)를 이용하여 상기 전원 박 스(20)의 배면을 상기 브라켓(100)의 몸체(110)에 고정한다. 그런 다음, 상기 제1 탄성편(121)과 상기 제2 탄성편(122)의 사이에 수직으로 배치된 철근(40)을 끼워 상기 전원 박스(20)가 고정된 상기 브라켓(100)을 상기 철근(40)에 임시로 고정한다.
이때, 필요한 경우 상기 노치(130)를 이용하여 상기 탄성편(120)의 길이를 조정한다. 예를 들어, 상기 철근(40)이 수직 방향으로 촘촘하게 배치된 경우, 상기 제1 노치(131)를 이용하여 상기 제1 탄성편(121)의 일부를 잘라내면 된다. 그리고, 필요한 경우, 상기 제2 탄성편(122)의 일부 또는 전부를 잘라낸다. 상기 제2 탄성편(122)을 상기 제2 노치(132)를 이용하여 모두 잘라내는 경우, 상기 탄성편(120)은 한 쌍의 제1 탄성편(121) 만으로 상기 철근(40)에 임시로 고정되게 된다.
상기 탄성편(120)이 상기 철근(40)에 임시로 고정되면, 철사를 이용하여 상기 제1 탄성편(121)을 상기 철근(40)에 견고하게 고정한다. 이때, 상기 철사는 상기 제1 탄성편(121)의 상하부에 형성된 V자 형태의 홈 사이로 지나도록 배치됨으로써 상기 철사가 미끄러지지 않고 안정적으로 절곡될 수 있다.
상기 탄성편(120), 특히 제1 탄성편(121)이 상기 철근(40)에 철사에 의해 안정적으로 고정되면, 상기 제2 탄성편(122)을 상기 제2 노치(132)를 이용하여 완전히 잘라내어도 무방하다.
한편, 콘크리트 타설 시에 철근(40)과 거푸집(10) 사이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해야 할 필요가 있는 경우, 상기 제2 탄성편(122)을 뒤쪽으로 구부림으로써 간격 유지재로 활용할 수 있다. 비록 도 4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제2 탄성 편(122)을 뒤쪽으로 구부려서 도 4의 거푸집(10)과 상기 철근(40)을 사이에 두고 마주보도록 배치된 다른 거푸집에 맞닿게 배치하면, 콘크리트 타설 시 상기 철근(40)이 거푸집 내에서 이동되는 것을 상기 제2 탄성편(122)이 효과적으로 방지해 줄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제2 탄성편(122)의 길이는 상기 제2 노치(132)에 의해 적절하게 조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별도의 용접 장비 없이도 전원 박스(20)를 철근(40)에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철근(40)의 배치 간격에 맞게 노치(130)를 이용하여 탄성편(120)의 길이를 조정할 수 있으므로, 작업자가 편리하게 작업할 수 있게 된다.
위에서 몇몇의 실시예가 예시적으로 설명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본 발명이 이의 취지 및 범주에서 벗어남 없이 다른 여러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따라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닌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며, 첨부된 청구항 및 이의 동등 범위 내의 모든 실시예는 본 발명의 범주 내에 포함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원 박스 고정용 브라켓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전원 박스 고정용 브라켓의 평면도;
도 3은 도 1의 전원 박스 고정용 브라켓에서 탄성편의 일부가 노치를 경계로 절단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및
도 4는 도 1의 전원 박스 고정용 브라켓의 사용 상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브라켓 110: 몸체
115: 체결홀 120: 탄성편
121: 제1 탄성편 122: 제2 탄성편
130: 노치 131: 제1 노치
132: 제2 노치

Claims (3)

  1. 판형으로 이루어지며 전원 박스(20)의 배면에 조립되는 몸체(110);
    상기 몸체(110)의 양쪽에서 연장되며, 건물의 철근(40)에 고정되는 다수의 탄성편(120); 및
    상기 탄성편(120)의 일부를 잘라 그 길이를 조정할 수 있도록 상기 탄성편(120)에 형성된 다수의 노치(1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전원 박스 고정용 브라켓.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편(120)은,
    상기 몸체(110)의 양쪽 상부 및 하부에서 측방으로 연장된 한 쌍의 제2 탄성편(122); 및
    상기 몸체(110)의 양쪽 중앙에서 뒤쪽으로 절곡된 후 측방으로 연장된 제1 탄성편(122)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전원 박스 고정용 브라켓.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노치(130)는,
    상기 제2 탄성편(122)에 형성된 다수의 제1 노치(131); 및
    상기 제1 탄성편(122)에 형성되되 상기 몸체(110)의 측단에 인접하게 배치된 제2 노치(13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전원 박스 고정용 브라켓.
KR1020070141687A 2007-12-31 2007-12-31 전원 박스 고정용 브라켓 KR2009007367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41687A KR20090073674A (ko) 2007-12-31 2007-12-31 전원 박스 고정용 브라켓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41687A KR20090073674A (ko) 2007-12-31 2007-12-31 전원 박스 고정용 브라켓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73674A true KR20090073674A (ko) 2009-07-03

Family

ID=413307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41687A KR20090073674A (ko) 2007-12-31 2007-12-31 전원 박스 고정용 브라켓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7367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626484A3 (de) * 2012-02-10 2014-11-05 Christoph Morach Montagehilfe für Installationen in Betonwänd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626484A3 (de) * 2012-02-10 2014-11-05 Christoph Morach Montagehilfe für Installationen in Betonwänd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101731B2 (ja) 組立式鉄骨組みとこれを利用した建築工法
KR101107300B1 (ko) 강판전단벽
KR101000820B1 (ko) 지수판 및 상기 지수판을 이용한 시공방법
KR20110040493A (ko) 철근콘크리트 영구 거푸집
US20150354234A1 (en) Flat tie and method of constructing form using flat tie and nonmetallic form board
JP2014095256A (ja) リブ付き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板と、それを用いた合成床スラブと梁のコンクリート打ち分け方法
KR20090073674A (ko) 전원 박스 고정용 브라켓
CN211209220U (zh) 一种预埋线盒结构
KR100910740B1 (ko) 공동주택용 매입형 배전박스 고정장치
JP5947105B2 (ja) PCa型枠の固定構造
JP5637757B2 (ja) コンクリートクラック誘発目地装置および該装置の使用方法
KR20090009350A (ko) 슬래브-기둥 접합부용 전단보강체 및 그를 이용한전단보강구조
KR200449970Y1 (ko) 전기매립박스
JPH07292864A (ja) 鉄筋用スペーサ
KR200390661Y1 (ko) 전기박스 주변의 슬래브 균열 방지용 보강망
KR100655118B1 (ko) 구조용 용접철망을 이용한 벽체매립형 전기설비 선시공 방법
KR200155087Y1 (ko) 전원박스 고정장치
JP2004187404A (ja) アウトレットボックス取付金具
KR200409867Y1 (ko) 철근 일체형 데크플레이트
KR101128038B1 (ko) 상하근 겸용 철근조립용스페이스
KR20180101678A (ko) 합벽지지대용 앙카볼트
JP2018204386A (ja) 補強材、補強構造
JP2017089141A (ja) 鉄筋コンクリート製の基礎梁の配筋方法
KR200273400Y1 (ko) 벽체에 매설되는 전기배관용 박스고정판
JPH07292863A (ja) 鉄筋固定用金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