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73053A - 농후 물질, 특히 액체 콘크리트용 원형 분배기 - Google Patents

농후 물질, 특히 액체 콘크리트용 원형 분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73053A
KR20090073053A KR1020087023148A KR20087023148A KR20090073053A KR 20090073053 A KR20090073053 A KR 20090073053A KR 1020087023148 A KR1020087023148 A KR 1020087023148A KR 20087023148 A KR20087023148 A KR 20087023148A KR 20090073053 A KR20090073053 A KR 200900730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band
opening
distributor
coup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231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레이먼드 마클
칼-헤인즈 정한스
Original Assignee
푸츠마이스터 콘크리트 펌프스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푸츠마이스터 콘크리트 펌프스 게엠베하 filed Critical 푸츠마이스터 콘크리트 펌프스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0900730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7305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02Conveying or working-up concrete or similar masses able to be heaped or cast
    • E04G21/04Devices for both conveying and distributing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02Conveying or working-up concrete or similar masses able to be heaped or cast
    • E04G21/04Devices for both conveying and distributing
    • E04G21/0418Devices for both conveying and distributing with distribution hose
    • E04G21/0427Devices for both conveying and distributing with distribution hose on a static support, e.g. cran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43/00Bends; Siph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43/00Bends; Siphons
    • F16L43/001Bends; Siphons made of meta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37/00Fluid handling
    • Y10T137/8593Systems
    • Y10T137/8807Articulated or swinging flow condui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On-Site Construction Work That Accompanies The Preparation And Application Of Concrete (AREA)
  • Coating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저부(16) 상에 설치될 수 있는 지지 프레임(10), 농후 물질이 유입부-측부 단부(26)에서 압력 하에서 공급될 수 있는 프레임 상에의 제 위치에 고정된 컨베이어 파이프(24), 프레임 상의 제 위치에 고정된 컨베이어 파이프(24)의 배출부-측부 단부에 연결된 제 1 파이프 밴드(30), 지지 프레임(10)의 수직 축(36) 주위에서 제 1 관절 커플링(32)에서 제 1 파이프 밴드(30)에 대해 피벗 회전할 수 있는 제 2 파이프 밴드(34) 및 제 2 파이프 밴드(34)와 연결된 분배기 파이프(44)를 포함하고, 상기 분배기 파이프의 배출부-측부 단부는 농후 물질을 위한 배출구(48)를 가지는 농후 물질, 특히 액체 콘크리트용 원형 분배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라서, 제 3 파이프 밴드(40)는 제 2 파이프 밴드(34)와 분배기 파이프(44) 사이에 배열되고, 상기 제 3 파이프 밴드는 수직 축(36)에 대해 수직한 수평 축(46)을 가진 제 2 관절 커플링(38)에 의해 제 2 파이프 밴드(34) 상에서 피벗 회전할 수 있고, 연결 커플링(42)에 의해 분배기 파이프(44)로 결합된다.

Description

농후 물질, 특히 액체 콘크리트용 원형 분배기{CIRCULAR DISTRIBUTOR FOR THICK SUBSTANCES, PARTICULARLY FOR LIQUID CONCRETE}
본 발명은 기저부 상에 설치될 수 있는 지지 프레임, 농후 물질이 유입부-측부 단부에서 압력 하에서 공급될 수 있는 프레임 상의 제 위치에 고정된 컨베이어 파이프, 프레임 상의 제 위치에 고정된 컨베이어 파이프의 배출부-측부 단부에 연결된 제 1 파이프 밴드, 지지 프레임의 수직 축 주위에서 제 1 관절 커플링에서 제 1 파이프 밴드에 대해 피벗 회전할 수 있는 제 2 파이프 밴드 및 제 2 파이프 밴드와 연결된 분배기 파이프를 포함하고, 이의 배출부-측부 단부는 농후 물질을 위한 배출구를 가지는 농후 물질, 특히 액체 콘크리트용 원형 분배기에 관한 것이다.
언급된 타입의 원형 분배기는 콘크리트 펌프 트럭과 고정식 분배기 마스트를 이용한 직접 분배(direct distribution)가 기술적이고 경제적인 한계점에 직면하는 위치로 콘크리트를 타설하기 위해 이용된다. 예를 들어 넓은 영역과 갑판 상의 건설 위치에 콘크리트 펌프 트럭의 분배기 마스트가 완전히 커버할 수 없거나 또는 도달될 수 없다. 원형 분배기는 콘크리트가 타설되고, 액체 콘크리트가 호수 또는 파이프 연결부에 의해 유입부 측부 상에서 콘크리트 펌프로부터 제공되는 기저부 상에 직접적으로 설치되거나 또는 이의 변부에 설치된다. 분배기 파이프, 타설 시, 컨베이어 파이프는 상대적으로 넓은 콘크리트 타설 영역이 작은 물리적인 노력에 따라 간격 없이 포함될 수 있도록 지지 프레임의 기저부에 대해 분배기 파이프의 배출 개구부의 사전 정해진 높이가 유지되는 상태에서 콘크리트가 타설되는 표면 위에서 피벗 회전할 수 있다. 건설 위치에서 이용하기 위하여 컨베이어 라인은 건설 위치의 요구 사항에 부합되도록 파이프 커플링과 연결된다. 건설 크레인(construction crane)을 포함하는 원형 분배기를 이동시킴으로써 임의의 선호되는 크기의 콘크리트 타설 영역을 이용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공급 라인(feed line), 즉 공급 호수는 신장되거나 또는 짧아질 수 있다. 이송 위치에서 원형 분배기의 작은 치수로 인해 트럭 또는 트레일러 상에서 콘크리트 펌프 트럭의 적재 프레임에 대해 간단하고 공간 절약적인 이송이 허용된다.
원형 분배기는 콘크리트를 위한 타설 지점이 지지 프레임의 셋업 평면보다 높거나 또는 낮게 위치되거나 또는 높이가 가변되는 콘크리트 타설 임무에 대해 용이하게 이용될 수 없다. 이러한 경우, 이는 추가 마스트 암을 이용해 이미 수행되어져 왔으며, 상기 마스트 암에 의해 컨베이어 파이프가 분배기 마스트의 경우와 유사하게 단부 호수로 모두 안내된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물은 구조적으로 매우 복잡하고 조종하기가 어렵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배출 위치와 넓은 콘크리트 타설 영역에 따른 특정 높이를 능가하고(overcome), 조종하기에 용이하며 단순한 구조를 가진 상기 언급된 타입의 원형 분배기를 개선시키는 것에 기초한다.
이러한 목적을 수행하기 위하여, 청구항 제 1 항과 제 18 항의 특징부의 조합이 제안된다. 본 발명의 선호되는 실시예와 추가 개선점들은 종속항으로부터 명확해진다.
본 발명에 따르는 해결 방법은 추가적인 마스트 암 없이 원형 분배기의 기저부에 의해 형성되고 이에 대해 수직한 평면 위에서 배출구와 함께 분배기 파이프가 조절될 수 있는 사상에 기초하며, 이에 따라 다양한 높이의 타설 위치가 분배기 파이프의 배출구를 이용하여 도달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서, 제 3 파이프 밴드는 제 2 파이프 밴드와 분배기 파이프 사이에 배열되며, 수직 축에 대해 수직한 수평 축 주위에서 피벗 회전하도록 제 2 관절 커플링에 의해 제 2 파이프 밴드로 연결되고, 예를 들어 머프 커플링(muff coupling) 또는 용접된 연결부로 구성될 수 있는 강성의 연결 커플링에 의해 분배기 파이프의 유입부-측부 단부에 연결된다. 분배기 파이프와 프레임 상의 제 위치에 고정된 컨베이어 파이프 사이에 위치된 파이프 밴드의 영역에서 관절 커플링으로 구성된 2개의 파이프 커플링이 배열되어 서로 수직한 축들 주위에서 분배기 파이프가 피벗 회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선호되는 실시예에 따라서, 제 2 관절 커플링은 각각의 경우 커플링의 영역에서 중앙에 그리고 수직 방식으로 분배기 파이프에 대해 연결 커플링의 연결 평면 및 제 1 관절 커플링의 피벗 평면과 교차하고, 수평 축에 대해 수직한 피벗 평면(pivoting plane)에 배열된다(span). 이를 위해, 제 2 파이프 밴드의 유입구 및 제 1 파이프 밴드의 배출구와 정렬되는 직선 파이프 부분이 제 1 파이프 밴드와 제 2 파이프 밴드 사이에 배열된다면 상기 파이프 부분은 제 1 관절 커플링에 의해 2개의 파이프 밴드들 중 한 파이프 밴드와 연결되고 그 외의 다른 파이프 밴드와 고정되게 연결되는 것이 선호된다. 직선 파이프 부분은 관절 커플링에 의해 제 1 파이프 밴드와 연결되고, 고정된 연결 커플링에 의해 제 2 파이프 밴드와 연결되는 것이 선호된다.
본 발명의 그 외의 다른 선호되는 실시예에 따라서, 제 2 파이프 밴드의 유입구와 제 3 파이프 밴드의 배출구는 개구부의 축에 대해 수직한 평면에 놓이고, 상기 평면은 제 2 파이프 밴드와 제 3 파이프 밴드 사이에서 제 2 관절 커플링을 통해 배열된(spanned) 평면에 대해 수직하게 방향설정된다. 따라서, 제 2 파이프 밴드와 제 3 파이프 밴드 사이에서 제 2 관절 커플링을 통해 배열된 평면은 각각 개구부의 중앙 영역에서 제 2 파이프 밴드의 배출구와 제 1 파이프 밴드의 유입구와 교차된다. 파이프 밴드에 관하여, 제 2 파이프 밴드와 제 3 파이프 밴드는 연결 개구부 및 이에 따라 수직한 관절 개구부를 가지며, 이에 따라 관절 개구부는 각각 연결 개구부의 중앙에서 연결 개구부와 교차되는 평면에 놓인다.
제 2 파이프 밴드의 경우, 파이프 엘보우는 관절 개구부와 연결 개구부 사이에 배열되고, 상기 파이프 엘보우의 중앙선은 중앙에서 연결 개구부 및 관절 개구부와 교차되고, 관절-측면 섹션과 연결-측면 섹션에서 서로 수직한 평면에 놓인다. 이에 따라, 파이프 밴드는 관절 개구부를 가진 135° 파이프 엘보우 및 상기 파이프 엘보우에 대해 90° 회전되고 연결 개구부를 가진 90° 파이프 엘보우로 구성된다.
제 3 파이프 밴드의 경우, 파이프 엘보우는 연결 개구부와 관절 개구부 사이에 배열되고, 이의 중앙선은 중앙에서 연결 개구부 및 관절 개구부와 교차되는 평면에 배열된다. 이를 위해 파이프 밴드는 관절 개구부를 가진 135° 파이프 엘보우 및 상반된 방향으로 형성되고 동일한 평면에 배열되는 연결 개구부를 가진 45° 파이프 엘보우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언급된 기하학적 요구사항을 만족시키기 위하여, 2개의 파이프 엘보우는 각각 직선 파이프 부분에 의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게다가 135° 파이프 엘보우는 예를 들어 용접(welding)에 의해 90° 파이프 엘보우와 45° 파이프 엘보우로 구성될 수 있다.
지지 프레임에 대해 배출구의 사전정해진 높이로 분배기 파이프를 조절하기 위하여, 제 1 관절 커플링의 영역에서 수직 축과 정렬되고 제 1 관절 커플링으로부터 축방향 거리에서 프레임 상에 고정되도록 배열된 베어링 저널이 제공되며, 제 2 관절 커플링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분배기 파이프 상에 배열된 홀더가 제공되는 것이 선호된다. 게다가, 브레이싱 요소는 수직 축 주위에서 피벗 회전하도록 한 단부가 홀더 상의 제 위치에 고정되고 그 외의 다른 단부가 베어링 저널 상에 장착되며, 바람직하게 배출구를 상승시키거나 하강시키며, 브레이싱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유압식 피스톤/실린더 유닛으로 구성되거나 또는 체인 또는 케이블 요소로 구성된다. 이에 따라 브레이싱 요소와 분배기 파이프는 제 2 관절 커플링의 부분 평면과 정렬된 평면에 배열된다.
원형 분배기의 피벗 회전 범위를 증가시키기 위하여, 본 발명의 선호되는 실시예에 따라서 지지 프레임은 하위구조물 상의 수직 축 주위에서 회전하도록 배열된 컨베이어 파이프가 형성된 붐을 가지며, 컨베이어 파이프의 유입부-측부 단부(entry-side end)는 중앙 회전식 패스-쓰루에 의해 하위구조물 상의 제 위치에 고정된 충진 파이프(charging pipe)와 연결된다.
게다가, 파이프 밴드가 농후 물질용 원형 분배기 내에서 이용되며, 한 단부에 배열된 연결 개구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 개구부에 대해 수직한 그 외의 다른 단부에 배열된 관절 개구부를 포함하고, 본 발명에 따라서 관절 개구부는 개구부의 중앙 영역에서 연결 개구부의 평면과 교차하는 평면에 배열된다. 바람직하게, 2개의 파이프 밴드들 중 한 파이프 밴드의 경우, 파이프 엘보우는 연결 개구부와 관절 개구부 사이에 배열되며, 상기 파이프 엘보우의 중앙선은 중앙에서 연결 개구부 및 관절 개구부와 교차되는 평면에 배열된다. 제 2 파이프 밴드의 경우, 파이프 엘보우는 연결 개구부와 관절 개구부 사이에 배열되고, 상기 파이프 엘보우의 중앙선은 중앙에서 연결 개구부 및 관절 개구부와 교차되고 제 1 섹션과 제 2 섹션에서 서로 수직한 2개의 평면 내에 배열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라 보다 상세히 기술될 것이다.
도 1a는 콘크리트를 수평 표면으로 타설할 때 작업 위치에서 상승되고 하강될 수 있는 분배기 파이프를 가진 원형 분배기를 도시하는 도면.
도 1b는 접혀진 이송 위치에서 도 1에 따르는 원형 분배기를 도시하는 도면.
도 2a는 분배기 파이프의 다양한 방향에 따르는, 작업 위치에서 도 1a의 콘크리트 분배기를 도시하는 측면도.
도 2b는 분배기 파이프가 피벗 회전된 원형 분배기의 상면도를 도시하는 도면.
도 3a 및 도 3b는 도 1 및 도 2에 따르는 원형 분배기의 제 2 파이프 밴드를 도시하는 측면도.
도 4a 및 도 4b는 도 1 및 도 2에 따르는 원형 분배기의 제 3 파이프 밴드를 도시하는 측면도.
도면에 도시된 원형 분배기(circular distributor)는 콘크리트 펌프 트럭과 고정식 분배기 마스트를 이용한 직접 분배(direct distribution)가 기술적이고 경제적인 한계점에 직면하는 건설 위치에 액체 콘크리트를 타설하기 위해 제공된다. 이러한 원형 분배기는 넓은 콘크리트 타설 영역을 능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의 배출 위치에서 특정 높이를 능가할 수 있고, 그럼에도 불구하고 단순한 구조를 가지며 조작하기에 용이하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원형 분배기는 지지 프레임(10)을 가지며, 상기 지지 프레임의 하위구조물(12)은 별모양으로 배열된 4개의 피벗 레그(pivot leg, 14)를 이용하여 기저부(base, 16) 상에 설치될 수 있다.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4개의 피벗 레그(14)는 쌍을 이루어 상측 및 측면으로 접혀질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원형 분배기는 분해하지 않고 공간 절약적인 방식으로 트럭 또는 컨테이너 내에서 이동될 수 있다.
2개의 암 붐(arm boom, 18)은 수직 축(20) 주위에서 360°로 회전하도록 지지 프레임(10)의 하위구조물(12) 상에 장착된다. 붐(18)은 이의 하나의 암(22) 상에 컨베이어 파이프(24)가 형성되며, 상기 파이프는 이의 유입부-측부 상에서 회전식 패스-쓰루(pass-through, 26)에 의해 하위구조물 상에서 제 위치에 고정된 충진 파이프(charging pipe, 28)로 통과되며, 암에 의해 붐 암(22)의 팁(tip)에 배열된 제 1의 90° 파이프 밴드(30)로 안내된다. 제 2 파이프 밴드(34)에 뒤이어 제 1 관절 커플링(articulation coupling, 32)과 제 1 파이프 밴드(30)가 형성되고, 상기 제 2 파이프 밴드는 제 1 관절 커플링(32)에 의해 수직 축(36)과 같이 구성된 관절 축 주위에서 제 1 파이프 밴드(30)에 대해 피벗 회전할 수 있다.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이프 부분(76)은 제 1 파이프 밴드(30)의 배출 구와 정렬되고, 제 2 파이프 밴드(34)의 유입구(60)는 제 1 파이프 밴드(30)와 제 2 파이프 밴드(34) 사이에 배열된다. 파이프 부분(76)은 제 1 관절 커플링(32)에 의해 제 1 파이프 밴드(30)와 연결되고, 연결 커플링(78)에 의해 제 2 파이프 밴드(34)와 고정되게 연결된다. 모든 관절 및 연결 커플링들은 머프 커플링(muff coupling)과 같이 구성된다.
제 2 파이프 밴드(34)는 배출부 측부에서 제 2 관절 커플링(38)에 의해 제 3 파이프 밴드(40)와 연결되고, 머프 커플링 또는 용접된 연결부와 같이 구성된 강성의 연결 커플링(42)에 의해 분배기 파이프(44)와 정렬되도록 연결된다. 분배기 파이프(44)와 함께 제 3 파이프 밴드(40)는 분배기 파이프(44)의 배출구(48)를 상승시키고 하강시키는 제 2 관절 커플링(38)의 영역 내에서 수직 축(36)에 대해 수직한 수평 축(46) 주위에서 피벗 회전할 수 있다(도 2a). 다수의 개별 추(weight)로 구성될 수 있는 제 2 붐 암(52) 상의 평형추(counter weight, 50)로 인해 하위구조물(12) 상의 지지 영역에서 붐의 일시적인 평형상태가 보장될 수 있다.
제 1 붐 암(22)의 자유 단부 상에서 붐(18)은 제 1 관절 커플링(32)으로부터 축방향 거리에 배열된 베어링 저널(bearing journal, 54)을 가지며, 반면 홀더(56)는 제 2 관절 커플링(38)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서 분배기 파이프(44) 상에 배열된다. 체인 요소 또는 유압식 실린더/피스톤 유닛(58)으로 구성된 브레이싱 요소(bracing element)는 홀더(56)와 베어링 저널(54) 사이에서 인장되고, 분배기 파이프(44)의 작업 각도를 조절하기 위해 길어지거나 짧아질 수 있다. 브레이싱 요소(58)는 관절 커플링(32)을 통해 형성된 수직 축 주위에서 회전하도록 베어링 슬리브와 함께 베어링 저널(54) 상에 장착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배출구(48)를 포함하는 분배기 파이프(44)는 배출구(48)의 높이를 가변시키지 않고 심지어 상승된 위치에서 도 2a에 도시된 위치로부터 도 2b에 도시된 위치로 제 1 관절 커플링(32)의 수직 축(36) 주위에서 회전할 수 있다.
붐 암(22)의 팁의 영역에서 서로 수직한 2개의 관절 축(36, 46) 주위에서의 분배기 파이프(44)의 피벗 회전은 제 2 파이프 밴드와 제 3 파이프 밴드의 특정 형상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도 3a, 3b 및 도 4a, 4b).
제 2 파이프 밴드(34)는 연결 개구부(60) 및 이에 대해 수직한 관절 개구부(62)를 가지며, 이에 따라 상기 관절 개구부(62)는 연결 개구부의 중앙 영역에서 연결 개구부(60)와 교차하는 평면(64)에 놓인다(span). 파이프 엘보우 그룹(66, 68)은 관절-측면 섹션(70')과 연결-측면 섹션(70")에서 제 2 파이프 밴드(34)의 연결 개구부(60)와 관절 개구부(62) 사이에 위치되며, 상기 파이프 엘보우 그룹의 중앙선은 중앙에서 관절 개구부(62)와 연결 개구부(60)를 교차하고 서로 수직하게 배열된 평면에 놓인다. 이에 따라, 파이프 밴드(34)는 관절 개구부(62)를 가진 135° 엘보우(66) 및 연결 개구부(60)를 가진 90° 파이프 엘보우(68)로 구성되며, 상기 개구부(60)는 개구부(62)에 대해 90° 회전되고, 이에 따라 2개의 파이프 엘보우(66, 68)는 용접 심(weld seam, 73)에서 직선 파이프 부분(72)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135° 파이프 엘보우(66)는 용접 심에서 90° 파이프 엘보우(66')와 45° 파이프 엘보우(66")로 구성된다.
도 4a 및 도 4b에 따라서, 제 3 파이프 밴드(40)는 연결 개구부(80) 및 이에 대해 수직한 관절 개구부(82)를 가지며, 관절 개구부(82)는 중앙 영역에서 연결 개구부(80)와 교차되는 평면(84)에 놓인다. 파이프 엘보우 그룹(86, 88)은 제 3 파이프 밴드(40)의 연결 개구부(80)와 관절 개구부(82) 사이에 위치되고, 상기 파이프 엘보우 그룹의 중앙선은 중앙에서 연결 개구부(80)와 관절 개구부(82)를 교차하는 평면 내에 형성된다. 이에 따라, 제 3 파이프 밴드(40)는 관절 개구부(82)를 가진 135° 파이프 엘보우(86) 및 상반된 방향으로 형성되고 동일한 평면 내에 위치된 연결 개구부(80)를 가진 45° 파이프 엘보우로 구성된다. 2개의 파이프 엘보우(86, 88)는 용접 심(93)에서 직선 파이프 부분(92)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135° 파이프 엘보우(86)는 용접 심(94)에 45° 파이프 엘보우(86")와 90° 파이프 엘보우(86')를 포함한다.
요약하면, 본 발명은 농후 물질(thick substance), 특히 액체 콘크리트용 원형 분배기에 관한 것이다. 원형 분배기는 기저부(16) 상에 설치된 지지 프레임(10), 농후 물질이 유입부-측부 단부에서 압력 하에서 공급될 수 있는 프레임 상의 제 위치에 고정된 컨베이어 파이프(24), 프레임 상의 제 위치에 고정된 컨베이어 파이프(24)의 배출부-측부 단부에 연결된 제 1 파이프 밴드(30), 지지 프레임(10)의 수직 축(36) 주위에서 제 1 관절 커플링(32)에서의 제 1 파이프 밴드(30)에 대해 피벗 회전할 수 있는 제 2 파이프 밴드(34) 및 제 2 파이프 밴드(34)와 연결된 분배기 파이프(44)를 포함하고, 이의 배출부-측부 단부는 농후 물질을 위한 배출구(48)를 가진다. 본 발명에 따라서, 제 3 파이프 밴드(40)는 분배기 파이프(44)와 제 2 파이프 밴드(34) 사이에 배열되고, 수직 축(36)에 대해 수직한 수평 축(46) 주위에서 피벗 회전하도록 제 2 관절 커플링(38)에 의해 제 2 파이프 밴드(34)로 연결되고, 연결 커플링(42)에 의해 분배기 파이프(44)로 연결된다.

Claims (26)

  1. 기저부(16) 상에 설치될 수 있는 지지 프레임(10), 농후 물질이 유입부-측부 단부에서 압력 하에서 공급될 수 있는 프레임 상에의 제 위치에 고정된 컨베이어 파이프(24), 프레임 상의 제 위치에 고정된 컨베이어 파이프(24)의 배출부-측부 단부에 연결된 제 1 파이프 밴드(30), 지지 프레임(10)의 수직 축(36) 주위에서 제 1 관절 커플링(32)에서 제 1 파이프 밴드(30)에 대해 피벗 회전할 수 있는 제 2 파이프 밴드(34) 및 제 2 파이프 밴드(34)와 연결된 분배기 파이프(44)를 포함하고, 상기 분배기 파이프의 배출부-측부 단부는 농후 물질을 위한 배출구(48)를 가지는 농후 물질, 특히 액체 콘크리트용 원형 분배기에 있어서,
    제 3 파이프 밴드(40)는 제 2 파이프 밴드(34)와 분배기 파이프(44) 사이에 배열되고, 수직 축(36)에 대해 수직한 수평 축(46) 주위에서 피벗 회전하도록 제 2 관절 커플링(38)에 의해 제 2 파이프 밴드(34)로 연결되며 연결 커플링(42)에 의해 분배기 파이프(44)의 유입부-측부 단부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형 분배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연결 커플링(42)은 분배기 파이프(44)와 제 3 파이프 밴드(40) 사이의 용접 연결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형 분배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제 2 관절 커플링(38)은 수평 축(46)에 대 해 수직한 평면(64) 내에 놓이고, 각각 커플링의 영역에서 수직 방식과 중앙에 위치되는 방식으로 연결 커플링(42)의 평면과 제 1 관절 커플링(32)의 평면과 교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형 분배기.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직선 파이프 부분(76)은 제 1 파이프 밴드(30)의 배출구와 정렬되고, 제 2 파이프 밴드(34)의 연결 개구부(60)는 제 1 파이프 밴드(30)와 제 2 파이프 밴드(34) 사이에 배열되며, 상기 직선 파이프 부분은 제 1 관절 커플링(32)에 의해 파이프 밴드(30)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형 분배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직선 파이프 부분(76)은 고정되거나 또는 회전하도록 제 2 파이프 밴드(34)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형 분배기.
  6. 제 4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직선 파이프 부분(76)은 제 1 관절 커플링(32)에 의해 제 1 파이프 밴드(30)와 연결되고, 강성의 연결 커플링(78)에 의해 제 2 파이프 밴드(34)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형 분배기.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 2 및 제 3 파이프 밴드(34, 40)는 연결 개구부(60, 80) 및 상기 연결 개구부에 대해 수직하게 배열된 관절 개구부(62, 82)를 각각 가지며, 관절 개구부(62, 82)는 중앙 영역에서 연결 개구부(60, 80)와 교차하는 평면에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형 분배기.
  8. 제 7 항에 있어서, 파이프 엘보우 그룹(86, 88)은 제 3 파이프 밴드(40)의 연결 개구부(80)와 관절 개구부(82) 사이에 배열되고, 중앙선(90)은 중앙에서 연결 개구부(80)와 교차되고 관절 개구부(82)와 교차되는 평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형 분배기.
  9. 제 7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제 2 파이프 밴드(34)의 연결 개구부(60)와 제 3 파이프 밴드(40)의 연결 개구부(80)는 제 2 파이프 밴드(34)와 제 3 파이프 밴드(40) 사이에서 제 2 관절 커플링(38)을 통해 배열된 평면에 대해 수직하게 방향 설정된 평면에 각각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형 분배기.
  10. 제 7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 2 파이프 밴드(34)와 제 3 파이프 밴드(40) 사이에서 제 2 관절 커플링(38)을 통해 배열된 평면은 개구부의 중앙 영역에서 제 3 파이프 밴드(40)의 연결 개구부(80)와 교차하고 제 2 파이프 밴드(34)의 연결 개구부(60)와 교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형 분배기.
  11. 제 7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 3 파이프 밴드(40)는 관절 개구부(82)를 가진 135° 파이프 엘보우(86) 및 동일한 평면에 배열되고 상반된 방향으로 형성된 연결 개구부(80)를 가진 45° 파이프 엘보우(88)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형 분배기.
  12. 제 7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파이프 엘보우 그룹(66, 68)은 제 2 파이프 밴드(34)의 연결 개구부(60)와 관절 개구부(62) 사이에 배열되며, 상기 파이프 엘보우 그룹의 중앙선(70)은 관절-측면 섹션(70')과 연결-측면 섹션(70")에서 관절 개구부(62)와 연결 개구부(60)의 중앙에서 교차하고 서로 수직하게 배열된 평면에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형 분배기.
  13. 제 7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 2 파이프 밴드(34)는 관절 개구부(62)를 가진 135° 파이프 엘보우(66)와 상기 파이프 엘보우(66)에 의해 90° 회전되고 연결 개구부(60)를 가진 90° 파이프 엘보우(68)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형 분배기.
  14. 제 7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2개의 파이프 엘보우(66, 68, 86, 88)는 직선 파이프 부분(72, 92)에 의해 서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형 분배기.
  15. 제 11 항 내지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135° 파이프 엘보우(86)는 90° 파이프 엘보우(86')와 45° 파이프 엘보우(86")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형 분배기.
  16. 제 1 항 내지 제 1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 1 관절 커플링(32)의 영역에서 수직 축(36)과 정렬되고 프레임 상에 고정되게 배열되며 제 1 관절 커플링(32)으로부터 이격된 축방향 위치에 배열된 베어링 저널(54)을 포함하고, 제 2 관절 커플링(38)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서 분배기 파이프(44) 상에 배열된 홀더(56)를 포함하며, 수직축(36) 주위에서 피벗 회전하도록 한 단부가 홀더(56) 상의 제 위치에 고정되고 그 외의 다른 단부가 베어링 저널(54) 상에 장착된 브레이싱 요소(58)를 포함하고, 상기 요소는 인장 길이(tensioning length)가 조절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형 분배기.
  17. 제 16 항에 있어서, 브레이싱 요소(58)는 유압식 실린더/피스톤 유닛과 같이 또는 체인 또는 케이블 요소와 같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형 분배기.
  18. 제 17 항에 있어서, 브레이싱 요소(58)와 분배기 파이프(44)는 제 2 관절 커플링(38)의 평면과 정렬된 평면에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형 분배기.
  19. 제 1 항 내지 제 1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지지 프레임(10)은 하위구조물(12) 상의 수직 축(20) 주위에서 회전하도록 배열된 컨베이어 파이프(24)에 형성된 붐(18)을 가지며, 상기 컨베이어 파이프(24)의 유입부-측부 단부는 중앙의 회전식 패스-쓰루(26)에 의해 하위구조물 상의 제 위치에 고정된 충진 파이프(28)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형 분배기.
  20. 한 단부에 배열된 연결 개구부(60, 80)를 가지며, 상기 연결 개구부에 수직한 그 외의 다른 단부에 배열된 관절 개구부(62, 82)를 가진 농후 물질용 원형 분배기 내에서 이용하기 위한 파이프 밴드에 있어서, 관절 개구부(62, 82)는 개구부의 중앙 영역에서 연결 개구부(60, 80)의 평면과 교차되는 평면에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밴드.
  21. 제 20 항에 있어서, 파이프 엘보우 그룹(86, 88)은 연결 개구부(80)와 관절 개구부(82) 사이에 배열되고, 상기 파이프 엘보우 그룹의 중앙선(90)은 중앙에서 연결 개구부(80) 및 관절 개구부(82)와 교차하는 평면(84)에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밴드.
  22. 제 20 항 또는 제 21 항에 있어서, 관절 개구부(82)를 가진 135° 파이프 엘보우(86)를 포함하고, 상반된 방향으로 형성된 연결 개구부(80)를 가진 45° 파이프 엘보우(88)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밴드.
  23. 제 20 항에 있어서, 파이프 엘보우 그룹(66, 68)은 관절 개구부(62)와 연결 개구부(60) 사이에 배열되고, 상기 파이프 엘보우 그룹의 중앙선(70)은 제 1 섹션(70")과 제 2 섹션(70')에서 관절 개구부(62)와 연결 개구부(60)의 중앙과 교차 하고 서로 수직한 2개의 평면에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밴드.
  24. 제 20 항 또는 제 23 항에 있어서, 관절 개구부(62)를 가진 135° 파이프 엘보우(66)를 포함하며, 상기 파이프 엘보우에 대해 90° 회전하고 연결 개구부(60)를 가진 90° 파이프 엘보우(68)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밴드.
  25. 제 22 항 내지 제 2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2개의 파이프 엘보우(66, 68; 86, 88)는 직선 파이프 부분(72, 92)에 의해 서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밴드.
  26. 제 22 항 내지 제 2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135° 파이프 엘보우(66, 86)는 90° 파이프 엘보우(66', 66")와 45° 파이프 엘보우(86', 86")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밴드.
KR1020087023148A 2006-10-19 2007-09-20 농후 물질, 특히 액체 콘크리트용 원형 분배기 KR2009007305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06049930 2006-10-19
DE102006049930.1 2006-10-1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73053A true KR20090073053A (ko) 2009-07-02

Family

ID=387524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23148A KR20090073053A (ko) 2006-10-19 2007-09-20 농후 물질, 특히 액체 콘크리트용 원형 분배기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20100224272A1 (ko)
EP (1) EP2079889B1 (ko)
KR (1) KR20090073053A (ko)
CN (1) CN101426991A (ko)
AT (1) ATE498750T1 (ko)
DE (1) DE502007006515D1 (ko)
EA (1) EA014362B1 (ko)
WO (1) WO200804671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926542A (zh) * 2011-08-11 2013-02-13 青岛大学 可旋转伸缩式泵送混凝土浇筑装置
DE102012212916A1 (de) * 2012-07-24 2014-01-30 Putzmeister Engineering Gmbh Rundverteiler für Dickstoffe
CN202831645U (zh) * 2012-09-18 2013-03-27 三一重工股份有限公司 一种混凝土布料杆
CN103015731B (zh) * 2012-12-19 2015-05-13 中联重科股份有限公司 臂架系统及包含该臂架系统的布料机、泵送设备
EP2759641B1 (de) * 2013-01-24 2019-07-10 BAUER Maschinen GmbH Arbeitsbühne, Vorrichtung zum Erstellen eines Gründungselements und Gründungsverfahren
DE102018106758B3 (de) * 2018-03-22 2019-07-25 Putzmeister Engineering Gmbh Endschlauchhalter für Verteilermasten von Betonpumpen, Betonpumpe mit Endschlauchhalter und Verfahren zur Montage eines Endschlauchhalters
CN113503045B (zh) * 2021-08-25 2022-07-01 浙江鸿翔建设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施工中升降机装配式进出料平台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29609A (en) * 1905-09-23 1906-08-28 Frederick W Steinke Flexible-pipe system.
US3459222A (en) * 1966-09-16 1969-08-05 Philip W Mcelroy Concrete conveying apparatus
DE7605524U1 (de) * 1976-02-25 1976-06-16 Saltenberger, Walter, Dipl.-Ing., 4600 Dortmund Turmdrehkran mit betonfoerderleitung
SE392495B (sv) * 1976-03-26 1977-03-28 S O A Lindqvist Anordning for fordelning av betongmassa
US4252696A (en) * 1979-03-12 1981-02-24 Koppers Company, Inc. High-speed pultrusion polyester resins and process
JPS62268469A (ja) * 1986-05-13 1987-11-21 株式会社 浅沼組 コンクリ−ト打設方法
US5054513A (en) * 1990-08-20 1991-10-08 Trueb Steven R Protective system for P-trap
DE10022792A1 (de) * 2000-05-10 2001-11-15 Hudelmaier Joerg Vorrichtung zum gezielten Ausbringen und Verteilen von Beton
ITMI20030923A1 (it) * 2003-05-08 2004-11-09 Acme Srl Attrezzatura per la distribuzione di calcestruzz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502007006515D1 (de) 2011-03-31
CN101426991A (zh) 2009-05-06
EA014362B1 (ru) 2010-10-29
EA200970295A1 (ru) 2009-06-30
US20100224272A1 (en) 2010-09-09
ATE498750T1 (de) 2011-03-15
EP2079889A1 (de) 2009-07-22
EP2079889B1 (de) 2011-02-16
WO2008046710A1 (de) 2008-04-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90073053A (ko) 농후 물질, 특히 액체 콘크리트용 원형 분배기
US3942554A (en) Extendable crane with folding conduit
US3964512A (en) Self-supporting pipe boom
US3707990A (en) Concrete placement apparatus
RU2368746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распределения подаваемого насосом бетона к множеству заливочных зон
US6808025B2 (en) Fire-fighting system having improved flow
US3459222A (en) Concrete conveying apparatus
CN101994393B (zh) 具有可调高度的布料机
US4262696A (en) Swivel arm concrete placer
JP2002528665A (ja) コンクリート等スラリー用散布装置
US4625760A (en) Mobile concrete handling apparatus
CN103993742B (zh) 一种悬挂式混凝土布料机
US3976092A (en) Apparatus for the distribution of concrete
KR20060063773A (ko) 이동식 콘크리트 펌프를 위한 관절연결식 마스트
CN201981792U (zh) 具有可调高度的布料机
JP6134794B2 (ja) 濃厚物質用回転分配機
WO2013004508A1 (de) Verteilermast für betonpumpen
US6250485B1 (en) Boom articulation assembly for aerial boom sections
BRPI0904189A2 (pt) sistema de transporte
JP6691910B2 (ja) 作業機械
JPS6119519B2 (ko)
TW386931B (en) Apparatus for building unburned refractory
US20220136265A1 (en) Hose Management System for Large Format 3D Printing System
CA1085337A (en) Articulate conveyor system for tower crane
JPS5846191Y2 (ja) コンクリ−ト分配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4 Change of applicant [paten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nd registration of full transfer of right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