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71127A - 광정보 기록장치와 재생장치 및 광정보 기록방법 - Google Patents

광정보 기록장치와 재생장치 및 광정보 기록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71127A
KR20090071127A KR1020070139336A KR20070139336A KR20090071127A KR 20090071127 A KR20090071127 A KR 20090071127A KR 1020070139336 A KR1020070139336 A KR 1020070139336A KR 20070139336 A KR20070139336 A KR 20070139336A KR 20090071127 A KR20090071127 A KR 200900711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optical information
reference light
recording medium
recor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393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근율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Priority to KR10200701393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71127A/ko
Publication of KR200900711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7112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04Recording, reproducing or erasing methods; Read, write or erase circuits therefor
    • G11B7/0065Recording, reproducing or erasing by using optical interference patterns, e.g. hologram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12Heads, e.g. forming of the optical beam spot or modulation of the optical beam
    • G11B7/125Optical beam sources therefor, e.g. laser control circuitry specially adapted for optical storage devices; Modulators, e.g. means for controlling the size or intensity of optical spots or optical traces
    • G11B7/128Modulator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12Heads, e.g. forming of the optical beam spot or modulation of the optical beam
    • G11B7/13Optical detectors therefor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12Heads, e.g. forming of the optical beam spot or modulation of the optical beam
    • G11B7/135Means for guiding the beam from the source to the record carrier or from the record carrier to the detector
    • G11B7/1362Mirror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12Heads, e.g. forming of the optical beam spot or modulation of the optical beam
    • G11B7/135Means for guiding the beam from the source to the record carrier or from the record carrier to the detector
    • G11B7/1365Separate or integrated refractive elements, e.g. wave plate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12Heads, e.g. forming of the optical beam spot or modulation of the optical beam
    • G11B7/135Means for guiding the beam from the source to the record carrier or from the record carrier to the detector
    • G11B7/1372Lenses
    • G11B7/1374Objective lens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Optical Head (AREA)
  • Optical Recording Or Reproduction (AREA)

Abstract

광정보 기록장치는 광원, 상기 광원에서 제공되는 제 1편광성분의 광을 신호광으로 변조시키며 제 2편광성분으로 바꾸는 공간 광변조기, 상기 광원에서 제공되는 제 2편광성분의 광인 기준광을 반사시키는 회전미러, 상기 공간 광변조기와 상기 회전미러에서 반사되는 상기 신호광과 상기 기준광을 동축으로 안내하는 렌즈, 상기 렌즈를 거친 광중 상기 신호광은 통과시키고, 상기 기준광은 제 1편광성분으로 편광을 바꾸어 기록매체로 진행시키는 부분 파장판을 구비하여 각도 다중화로 제공되는 기준광과 이 기준광과 기록매체에서 간섭하는 신호광이 동축으로 진행하도록 하고, 또한 이 기준광이 대물렌즈 이전에 미리 각도 다중화되어 입사되도록 함으로써 각도 다중화 효율을 보다 향상시키고, 광정보 처리장치의 제조비용과 제조효율을 보다 향상시키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광정보 기록장치와 재생장치 및 광정보 기록방법{OPTICAL INFORMATION RECORDING APPARATUS AND REPRODUCING APPARATUS, OPTICAL INFORMATION RECORDING METHOD}
본 발명은 광정보 기록장치와 재생장치 및 광정보 기록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기준광과 신호광의 간섭으로 신호광의 광정보가 저장매체에 기록되도록 하는 홀로그래픽 광정보 기록장치와 재생장치 및 광정보 기록방법에 관한 것이다.
광학적인 데이터를 처리하는 광정보 처리장치 중에는 홀로그래픽 광정보 처리장치가 있다. 홀로그래픽 광정보 처리장치는 신호광과 기준광의 간섭으로 이차원의 데이터 페이지가 기록매체에 간섭패턴(interference pattern)으로 기록되도록 하는 것이다. 그리고 기록된 광정보를 재생하기 위해서 기준광을 광정보 기록매체의 홀로그램이 형성된 위치에 입사하면 이곳에서 기준광이 회절되어 재생광을 발생시킨다. 이 재생광을 CMOS(complementary metal-oxide semiconductor) 또는 CCD(charge coupled device)와 같은 수광배열소자로 검출한 후 디코딩함으로써 원본 데이터를 복원할 수 있다.
홀로그래픽 광정보 처리장치는 데이터의 기록밀도를 높이기 위하여 다양한 다중화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다중화 방법으로는 각도 다중화(angular multiplexing), 위상코드 다중화(phase-code multiplexing), 파장 다중화(wavelength multiplexing), 쉬프트 다중화(shift multiplexing) 등이 있다.
각도 다중화 방법은 기준광의 입사각도를 변화시켜 다중화하는 것이고, 위상코드 다중화는 공간적으로 위상을 변조하여 다중화하는 것이고, 파장 다중화는 파장 가변 레이저를 이용하여 파장 변화에 따라 다중화하는 것이며, 쉬프트 다중화는 저장매체를 이동시키면서 기록을 다중화하는 방법이 있다.
이중에서 각도 다중화는 대물렌즈와 기록매체 사이로 기준광을 각도 다중화시켜 입사한다. 그런데 대물렌즈와 기록매체 사이의 간격은 매우 협소하기 때문에 기준광의 각도를 다중화시키는 범위가 매우 제한적이다. 반면에 대물렌즈와 기록매체 사이의 간격을 확대시키는 경우에는 대물렌즈의 개구수가 매우 커야하는데 대물렌즈는 개구수가 커지면 그 제조가 어렵고, 가격 또한 고가이기 때문에 광정보 처리장치의 제조비용을 상승시키는 원인이 된다.
본 발명은 기준광을 각도 다중화시켜 대물렌즈로 신호광과 동축으로 입사되 도록 하는 광정보 기록장치와 재생장치 및 광정보 기록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광정보 기록장치는 광원, 상기 광원에서 제공되는 제 1편광성분의 광을 신호광으로 변조시키며 제 2편광성분으로 바꾸는 공간 광변조기, 상기 광원에서 제공되는 제 2편광성분의 광인 기준광을 반사시키는 회전미러, 상기 공간 광변조기와 상기 회전미러에서 반사되는 상기 신호광과 상기 기준광을 동축으로 안내하는 렌즈, 상기 렌즈를 거친 광중 상기 신호광은 통과시키고, 상기 기준광은 제 1편광성분으로 편광을 바꾸어 기록매체로 진행시키는 부분 파장판을 구비한다.
상기 부분 파장판은 중간부분에 상기 기준광이 통과하며 편광성분이 바뀌도록 하는 기준광 통과부와 상기 기준광 통과부의 양측으로 형성되며 상기 신호광의 편광성분의 변화없이 통과하도록 하는 신호광 통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간 광변조기는 기록을 위한 데이터를 서로 구분된 복수개의 데이터 페이지 영역으로 표시할 수 있다.
상기 렌즈와 상기 기록매체 사이에는 개구를 가진 필터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부분파장판은 상기 기준광의 초점위치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기록매체와 상기 부분 파장판 사이에는 대물렌즈가 위치하여 상기 기준광이 상기 대물렌즈를 거쳐서 상기 기록매체로 입사될 수 있다.
광정보 재생장치는 광원, 상기 광원에서 제공되는 광인 기준광을 반사시키는 회전미러, 상기 회전미러에서 반사되는 상기 기준광을 안내하는 렌즈, 상기 렌즈를 거친 상기 기준광의 편광성분을 바뀌어 기록매체로 진행시키는 파장판, 상기 기록매체에서 재생되는 재생광을 검출하는 광정보 검출기를 구비한다.
상기 파장판은 서로 다른 각도로 진행하는 상기 기준광이 통과하면서 편광성분이 바뀌도록 상기 기준광의 진행위치에 마련된 기준과 통과부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광정보 검출기는 서로 구분된 복수개의 데이터 페이지 영역으로 상기 재생광을 검출하고, 상기 데이터 페이지들 사이로 상기 기준광이 결상될 수 있다.
상기 렌즈와 상기 기록매체 사이에는 개구를 가진 필터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기록매체와 상기 파장판 사이에는 대물렌즈가 위치하여 상기 기준광이 상기 대물렌즈를 거쳐서 상기 기록매체로 입사될 수 있다.
상기 파장판의 상기 기준광의 초점위치에 위치할 수 있다.
광정보 기록방법은 기록시마다 다른 각도로 기준광을 기록매체 측으로 안내하고, 상기 기준광과 동축이며 변조된 신호광을 상기 기록매체로 안내하고, 상기 기준광이 상기 기록매체에 입사되기 전에 상기 기준광의 편광성분을 상기 신호광과 동일한 성분으로 바꾸고, 상기 기준광과 상기 신호광이 상기 기록매체 입사되어 광정보가 기록되도록 한다.
상기 기준광은 상기 기록매체로 안내되는 경로중 초점위치에서 편광성분이 바뀔 수 있다.
홀로그래픽 광정보 처리를 위하여 공간 광변조기에 표시되는 데이터 페이지는 광정보의 기록을 위한 신호광을 변조시키기 위하여 다수의 픽셀로 이진데이터를 표시하는 제 1데이터 페이지와 상기 제 1데이터 페이지와 다른 영역에 구분되어 다수의 픽셀로 이진데이터를 표시되는 제 2데이터 페이지를 구비한다.
홀로그래픽 광정보 처리를 위한 부분파장판은 입사되는 기준광의 편광성분을 바꾸어 통과시키는 기준광 통과부와 상기 기준광 통과부의 양측에 구분 위치하며 신호광의 편광성분을 유지시켜 통과시키는 신호광 통과부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광정보 기록장치, 기록방법 그리고 재생장치는 각도 다중화로 제공되는 기준광과 이 기준광과 기록매체에서 간섭하는 신호광이 동축으로 진행하도록 하고, 또한 이 기준광이 대물렌즈 이전에 미리 각도 다중화되어 입사되도록 함으로써 각도 다중화 효율을 보다 향상시키고, 광정보 처리장치의 제조비용과 제조효율을 보다 향상시키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정보 처리장치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광정보 처리장치는 광원(100), 제 1반파장판(110), 제 1편광 광분할기(120)(first :Polarizing Beam Splitter), 광확장기(beam expander), 제 1, 2반사미러(140)(150)와 제 2반파장판(130)(half wavelength plate) 그리고 기록용 광학계(recording optical system)와 재생용 광학계(reproducing optical system)를 구비한다. 기록용 광학계는 광정보 처리장치를 재생장치로 실시할 경우 광확장기와 함께 사용되지 않을 수 있고, 재생용 광학계는 광정보 처리장치를 기록장치로 실시할 경우 사용되지 않을 수 있다.
제 1편광 광분할기(120)는 광원(100)에서 제공된 광을 편광 성분이 다른 두 광으로 분리한다. 즉 제 1편광성분(polarizing component, 이하 "P 편광"이라고 한다.)은 통과시키고, 제 2편광성분(이하 "S 편광"이라고 한다)은 반사시킨다. 그리고 광확장기(160)는 제 1편광 광분할기(120)를 통과하는 P 편광의 광을 확장시키는 기능을 한다.
제 1편광 광분할기(120)에서 반사되는 광은 이후 기준광(R)이 된다. 기준광(R)은 S 편광으로 제 2반파장판(130)을 거치면서 P 편광이 되고, 이후 반사미러(140)에서 반사된다. 그리고 기준광(R)은 회전미러(150)에서 반사되어 기록매체(280)로 향한다. 회전미러(150)는 각도 다중화로 기준광(R)을 기록용 광학계로 입사한다. 회전미러(150)는 갈바노 미러(Galvano mirror)일 수 있다.
기록용 광학계는 광확장기(160)를 거친 P 편광(이하에서는 "신호광"이라고 한다)이 통과하고, 또한 신호광(S)과 대략 직각 방향으로 회전미러(150)에서 반사되는 P 편광인 기준광(R)이 통과하도록 하는 제 2편광 광분할기(200)를 구비한다.
그리고 제 2편광 광분할기(200)의 신호광(S)이 통과한 위치에는 신호광(S)을 변조하는 반사형 공간 광변조기(160)가 구비된다. 이 반사형 공간 광변조기(160)는 이후 신호광(S)이 S 편광이 되도록 편광 방향을 바꾼다.
공간 광변조기(160)는 반사형 LC(liquid crystal) 또는 DMD(Digital Micromirror Device)로 실시될 수 있다. 그리고 공간 광변조기(160)에 기록을 위하 여 표시되는 데이터는 이진 데이터를 이차원적으로 표시한 데이터 페이지일 수 있다.
계속해서 공간 광변조기(160)에서 변조된 광은 제 2편광 광분할기(200)로 반사되고, 제 2편광 광분할기(200)는 신호광(S)을 우측 방향(도 1참조)으로 직각 반사시킨다. 그리고 제 2편광 광분할기(200)의 좌측(도 1참조)으로부터는 기준광(R)이 입사된다. 이때의 기준광(R)도 P 편광이므로 제 2편광 광분할기(200)를 신호광(S)과 함께 통과한다. 회전미러(150)에서 제 2편광 광분할기(200)까지의 경로에는 제 1릴레이 렌즈(220)가 설치된다.
제 2편광 광분할기(200)의 이후에는 제 2릴레이 렌즈(230)와 제 3릴레이 렌즈(250)가 설치된다. 이 두 개의 릴레이 렌즈(230)(250) 사이의 초점 거리에는 개구(Aperture; 241)를 가지는 필터(240)가 구비된다. 필터(240)는 신호광(S)의 주변 고주파 성분을 차단한다. 필터(240)의 개구(241)의 크기는 대략 나이퀴스트 사이즈(nyquist size) 정도일 수 있다.
그리고 제 3 릴레이 렌즈(250) 이후에는 부분 파장판(260)과 기록용 대물렌즈(270)가 각각 위치하고, 기록용 대물렌즈(270) 다음에 기록매체(280)가 위치한다. 또한 기록매체(280) 이후에는 재생용 대물렌즈(300)와 광정보 검출기(310)가 차례로 위치한다.
한편, 도 2는 도 1의 광정보 처리장치에서 기준광의 진행 경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에서는 회전미러(150)에 의하여 각도 다중화된 두 개의 서로 다른 기준광의 진행경로를 나타내고 있다. 그리고 제 1릴레이 렌즈(220)와 제 2릴 레이 렌즈(230)는 4F 광학계를 구성하고, 제 3릴레이 렌즈(250)와 기록용 대물렌즈(270)는 다른 4F 광학계를 구성한다.
따라서 첫 번째 기준광(R1)과 두 번째 기준광(R2)은 제 1릴레이 렌즈(220)를 거치면서 제 2편광 광분할기(200)의 서로 다른 위치에 포커싱되고, 제 2릴레이 렌즈(230)와 제 3릴레이 렌즈(250) 사이중 이들 기준광들(R1, R2)이 동일한 위치로 모여지는 곳에 필터(240)의 개구(241)가 위치한다. 그리고 제 3릴레이 렌즈(250)의 초점위치에 부분파장판(260)이 위치한다.
그런데 이 부분파장판(260)의 기준광 통과부(262)에 제 1기준광(R1)과 제 2기준광(R2)이 서로 다른 위치에 포커싱 된다(도 3참조). 즉 회전미러(150)의 회전각도에 따라 기준광들(R1, R2 ... Rn)의 포커싱 위치는 달라진다.
하지만 각각의 기준광들(R1, R2 ... Rn)의 포커싱 위치는 선형을 이루기 때문에 기준광 통과부(262) 외의 위치로 벗어나지는 않는다. 또한 기준광들(R1, R2 ... Rn)은 수십 마이크로미터 정도의 초점 크기를 가지므로 기준광 통과부(262)의 폭은 이보다 조금 더 큰 크기이면 충분하다.
한편, 부분파장판(260)의 기준광 통과부(262)를 통과하는 기준광들(R1, R2 ... Rn)은 편광 방향이 신호광(S)과 동일한 편광 방향으로 바뀌게 된다. 도 3은 부분파장판(260)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분 파장판(260)은 기준광 통과부(262)와 신호광 통과부(261)가 구분되어 형성된다. 기준광 통과부(262)는 반파장판으로 기준광(R)의 편광 방향을 S 편광으로 바꾼다. 반면에 신호광 통과부(261)는 신호광(S)의 편광성분에 영향을 주지 않는 투명한 유리 또는 석영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신호광 통과부(261)를 통과하는 신호광(S)은 편광성분에 영향을 받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광정보의 기록시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는 광정보 처리장치의 광정보 기록시 동작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5는 광정보 기록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4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정보 처리장치의 기록시의 동작은 제 1반파장판(110)을 지나면서 S 편광성분과 P 편광성분을 모두 가진 광이 제 1편광 광분할기(120)로 진행한다. 제 1편광 광분할기(120)는 P 편광은 통과시키고, S 편광은 반사시킨다.
반사된 S 편광은 기준광(R)으로 제 2반파장판(130)을 지나면서 P 편광이 되고, 이후 반사미러(140)와 회전미러(150)에서 각각 반사된다. 기준광(R)이 회전미러(150)에서 반사될 때에는 원하는 각도로 기준광(R)이 반사되도록 제2반사미러가 설정된 각도로 회전한다. 이후 기준광(R)은 제 2편광 광분할기(200)로 진행한다(S10).
한편 제1편광 광분할기(120)를 통과한 광은 이후 광확장기(160)를 거쳐 제 2편광 광분할기(200)를 통과하여 공간 광변조기(160)로 진행하고, 공간 광변조기(160)에서 변조되어 반사됨으로써 이후 진정한 신호광(S)이 된다. 이 신호광(S)은 공간 광변조기(160)에서 반사될 때 편광성분이 S 편광으로 바뀐다. 따라서 공간 광변조기(160)에서 반사된 신호광(S)은 제 2편광 광분할기(200)에서 다시 반사되어 제 2릴레이 렌즈(230) 측으로 향한다(S20).
도 5는 공간 광변조기(160)에 표시되는 데이터 페이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호광(S)을 변조할 때 공간 광변조기(160)는 두 개의 서로 다른 영역을 가지는 두 개의 데이터 페이지(211)(212)를 표시한다. 이 두 개의 데이터 페이지(211)(212)에는 기록을 위한 이진 데이터가 "ON", "OFF" 픽셀로 표시된다. 따라서 실제로 신호광(S)은 동일한 방향으로 진행하는 두 개의 광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 2편광 광분할기(200) 이후부터는 기준광(R)이 신호광(S)과 동축으로 진행한다. 그리고 제 2릴레이 렌즈(230)는 신호광(S)과 기준광(R)을 필터(240)로 안내한다. 필터(240)는 기준광을 개구(241)로 통과시키고, 신호광(S)의 경우는 주변 고주파 성분을 차단하여 통과시킨다. 그리고 필터(240)를 지난 기준광(R)과 신호광(S)은 제 3릴레이 렌즈(250)로 진행하고, 제 3릴레이 렌즈(250)를 통과하면서 다시 신호광(S)과 기준광(R)은 포커싱 된다. 이때 제 3릴레이 렌즈(250)의 초점위치에는 부분파장판(260)이 설치되어 있다.
부분파장판(26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준광 통과부(262)와 신호광 통과부(261)로 나누어져 있는데, 기준광 통과부(261)를 통과하는 기준광(R)을 S 편광으로 편광방향을 바꾼다. 그런데 신호광(S)은 이미 언급한 바와 같이 두 개의 광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두 신호광(S)은 각각의 부분파장판(260)의 기준광 통과부(262)의 상측과 하측에 각각 마련된 신호광 통과부(261)를 통과한다. 따라서 신호광(S)은 편광성분의 변화 없이 부분파장판(260)을 통과한다(S30).
계속해서 부분파장판(260)을 지난 신호광(S)과 기준광(R)은 이후 동축이며, 동일한 편광성분으로 기록용 대물렌즈(270)를 거치면서 퓨리에 변환되어 기록매 체(280)에 입사된다. 그리고 기록매체(280)에는 신호광(S)의 광정보가 홀로그램으로 기록된다(S40).
이하에서는 광정보의 재생시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7은 광정보 처리장치의 광정보 재생시 동작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정보 처리장치의 재생시 동작은 제 1반파장판(110)이 회전하여 광원(100)에서 제공되는 광을 모두 S 편광으로 바꾼다. 이에 따라 제 1반파장판(110)을 지나는 광은 S 편광으로 제 1편광 광분할기(120)에서 모두 반사된다.
반사된 S 편광은 기준광(R)으로 제 2반파장판(130)을 지나면서 P 편광이 되고, 이후 반사미러(140)와 회전미러(150)에서 각각 반사된다. 기준광(R)이 회전미러(150)에서 반사될 때에는 원하는 각도(기록시에 사용된 각도)로 기준광(R)이 반사되도록 회전미러(150)가 설정된 각도로 회전한다. 이후 기준광(R)은 제 1릴레이 렌즈(220)를 거쳐서 제 2편광 광분할기(200)로 진행한다.
제 2편광 광분할기(200)는 기준광(R)이 P 편광이기 때문에 기준광(R)을 제 2릴레이 렌즈(230) 측으로 통과시킨다. 그리고 제 2릴레이 렌즈(230)는 기준광(R)을 필터(240)의 개구(241)에 포커싱 시킨 후 제 3릴레이 렌즈(250) 측으로 진행시킨다. 계속해서 제 3릴레이 렌즈(250)를 거친 기준광(R)은 제 3릴레이 렌즈(250)의 초점위치에 위치한 부분파장판(260)의 기준광 통과부(262)에 입사된다.
이에 따라 기준광(R)은 S 편광으로 편광방향이 바뀐 후 기록용 대물렌즈(270)를 거쳐서 기록매체(280)에 입사된다. 그리고 기준광(R)이 기록매체(280)의 홀로그램에 입사되면 이후 홀로그램에서는 재생광(P)이 발생한다. 재생광(P)은 재생용 대물렌즈(300)를 거쳐서 광정보 검출기(310)로 진행하고 광정보 검출기(310)는 재생광(P)을 검출한다.
도 8은 광정보 검출기(310)의 재생광 검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정보 검출기(310)에서 검출하는 재생광(P)은 기록시 두 개의 서로 다른 영역에 위치하는 데이터 페이지(311)(312)를 검출한다. 즉 기록시 공간 광변조기(210)가 표시한 것과 마찬가지로 두 개의 구분된 다른 영역에 두 개의 데이터 페이지(311)(312)를 검출하고, 이 두 데이터 페이지(311)(312)의 중간부분에 기록매체(280)를 통과한 기준광(R)이 결상(313)된다.
따라서 동축으로 진행한 기준광(R)에 의하여 재생광(P)의 검출시 재생된 데이터에 기준광(R)에 의한 노이즈가 발생하지 않고 원하는 재생결과를 얻을 수 있다. 그리고 홀로그램이 각도 다중화로 기록된 경우 기준광(R)의 각도를 다른 각도로 변환시키더라도 기준광(R)은 광정보 검출기(310)의 두 데이터 페이지(311)(312) 사이의 부분에 결상(313)되기 때문에 각도 다중화에 의한 광정보의 재생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정보 기록장치와 재생장치는 각도 다중화를 위하여 기준광을 대물렌즈와 기록매체 사이로 입사시키지 않고, 대물렌즈 이전에 기준광을 각도 다중화시켜 신호광과 동축으로 입사시킴으로써 기준광의 다중화 각도 범위가 매우 넓어지므로 보다 다양한 각도 및 서로 상관성이 없는 각도를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으므로 광정보의 기록과 재생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고, 낮은 개구수를 가지는 대물렌즈의 사용이 가능하므로 광정보 처리장치의 제조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다.
도 1은 광정보 처리장치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의 광정보 처리장치의 기준광 진행 경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부분파장판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광정보 처리장치의 광정보 기록시 동작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광정보 기록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6은 공간 광변조기에 표시되는 데이터 페이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광정보 처리장치의 광정보 재생시 동작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광정보 검출기의 재생광 검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Claims (16)

  1. 광원;
    상기 광원에서 제공되는 제 1편광성분의 광을 신호광으로 변조시키며 제 2편광성분으로 바꾸는 공간 광변조기;
    상기 광원에서 제공되는 제 2편광성분의 광인 기준광을 반사시키는 회전미러;
    상기 공간 광변조기와 상기 회전미러에서 반사되는 상기 신호광과 상기 기준광을 동축으로 안내하는 렌즈;
    상기 렌즈를 거친 광중 상기 신호광은 통과시키고, 상기 기준광은 제 1편광성분으로 편광을 바꾸어 기록매체로 진행시키는 부분 파장판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정보 기록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부분 파장판은 중간부분에 상기 기준광이 통과하며 편광성분이 바뀌도록 하는 기준광 통과부와 상기 기준광 통과부의 양측으로 형성되며 상기 신호광의 편광성분의 변화 없이 통과하도록 하는 신호광 통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정보 기록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공간 광변조기는 기록을 위한 데이터를 서로 구분된 복수개의 데이터 페이지 영역으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정보 기록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와 상기 기록매체 사이에는 개구를 가진 필터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정보 기록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부분파장판은 상기 기준광의 초점위치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정보 기록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매체와 상기 부분 파장판 사이에는 대물렌즈가 위치하여 상기 기준광이 상기 대물렌즈를 거쳐서 상기 기록매체로 입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정보 기록장치.
  7. 광원;
    상기 광원에서 제공되는 광인 기준광을 반사시키는 회전미러;
    상기 회전미러에서 반사되는 상기 기준광을 안내하는 렌즈;
    상기 렌즈를 거친 상기 기준광의 편광성분을 바뀌어 기록매체로 진행시키는 파장판;
    상기 기록매체에서 재생되는 재생광을 검출하는 광정보 검출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정보 재생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파장판은 서로 다른 각도로 진행하는 상기 기준광이 통과하면서 편광성분이 바뀌도록 상기 기준광의 진행위치에 마련된 기준과 통과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정보 재생장치.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광정보 검출기는 서로 구분된 복수개의 데이터 페이지 영역으로 상기 재생광을 검출하고, 상기 데이터 페이지들 사이로 상기 기준광이 결상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정보 재생장치.
  10.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와 상기 기록매체 사이에는 개구를 가진 필터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정보 재생장치.
  11.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매체와 상기 파장판 사이에는 대물렌즈가 위치하여 상기 기준광이 상기 대물렌즈를 거쳐서 상기 기록매체로 입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정보 재생장치.
  12.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파장판의 상기 기준광의 초점위치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정보 재생장치.
  13. 기록시마다 다른 각도로 기준광을 기록매체 측으로 안내하고, 상기 기준광과 동축이며 변조된 신호광을 상기 기록매체로 안내하고, 상기 기준광이 상기 기록매체에 입사되기 전에 상기 기준광의 편광성분을 상기 신호광과 동일한 성분으로 바꾸고, 상기 기준광과 상기 신호광이 상기 기록매체 입사되어 광정보가 기록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정보 기록방법.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광은 상기 기록매체로 안내되는 경로중 초점위치에서 편광성분이 바뀌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정보 기록방법.
  15. 광정보의 기록을 위한 신호광을 변조시키기 위하여 다수의 픽셀로 이진데이터를 표시하는 제 1데이터 페이지와 상기 제 1데이터 페이지와 다른 영역에 구분되어 다수의 픽셀로 이진데이터를 표시되는 제 2데이터 페이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로그래픽 광정보 처리를 위하여 공간 광변조기에 표시되는 데이터 페이지.
  16. 입사되는 기준광의 편광성분을 바꾸어 통과시키는 기준광 통과부와 상기 기준광 통과부의 양측에 구분 위치하며 신호광의 편광성분을 유지시켜 통과시키는 신호광 통과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로그래픽 광정보 처리를 위한 부분파장판.
KR1020070139336A 2007-12-27 2007-12-27 광정보 기록장치와 재생장치 및 광정보 기록방법 KR2009007112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9336A KR20090071127A (ko) 2007-12-27 2007-12-27 광정보 기록장치와 재생장치 및 광정보 기록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9336A KR20090071127A (ko) 2007-12-27 2007-12-27 광정보 기록장치와 재생장치 및 광정보 기록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71127A true KR20090071127A (ko) 2009-07-01

Family

ID=413225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39336A KR20090071127A (ko) 2007-12-27 2007-12-27 광정보 기록장치와 재생장치 및 광정보 기록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7112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026831B2 (en) 2016-12-02 2021-06-08 Align Technology, Inc. Dental appliance features for speech enhancement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026831B2 (en) 2016-12-02 2021-06-08 Align Technology, Inc. Dental appliance features for speech enhancemen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6189597A (ja) ホログラム記録再生装置およびホログラム記録再生方法
KR100738984B1 (ko) 광정보 처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광정보 기록 및 재생방법
JP2007172806A (ja) サーボを用いるホログラフィック記憶再生システム及び方法
KR20080103149A (ko) 광정보 기록장치 및 이를 이용한 광정보 기록방법
KR20090109099A (ko) 홀로그래픽 저장 매체 상에 저장된 홀로그램의 판독을 위한 홀로그래픽 저장 시스템 및 이를 사용하여 수행되는 방법
JP4604138B2 (ja) 光情報記録装置、記録方法、再生装置および再生方法
JP2006259519A (ja) ホログラム記録装置
JP2004171611A (ja) 光情報記録装置および光情報再生装置
KR20090071125A (ko) 광정보 처리장치와 이를 위한 광학계
JP4669927B2 (ja) 光情報記録方法および光情報再生方法
KR101594374B1 (ko) 홀로그래픽 데이터 스토리지 시스템
KR20090071127A (ko) 광정보 기록장치와 재생장치 및 광정보 기록방법
JP2006317886A (ja) ホログラム記録再生装置
KR100381406B1 (ko) Cd플레이어 및 dvd플레이어와 호환이 가능한홀로그래픽 디지털 저장 시스템
JP4230292B2 (ja) 光情報記録装置、光情報記録方法、光情報再生装置、光情報再生方法及び光情報記録再生装置
US20100172003A1 (en) Hologram apparatus and recording and reproducing method of the same
KR20090071126A (ko) 광정보 기록장치와 재생장치
JP4466090B2 (ja) ホログラム記録担体、記録再生方法及び記録再生装置
KR100682257B1 (ko) 홀로그래픽 디지털 데이터 저장시스템의 기록 및 재생 장치
JP2004303410A (ja) ホログラフィック媒体から再生されたホログラフィックデータを検出する装置及び方法
JP4132715B2 (ja) ホログラフィーデジタルデータ記憶システム
JP2007280465A (ja) 光情報再生装置
US7525894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cording and reproducing optical information
JP2009211761A (ja) 光再生装置
KR100750264B1 (ko) 광정보 재생장치 및 방법, 광정보 기록재생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