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68096A - 대구경 기둥의 상하 적층식 시공방법 및 이를 적용한구조물의 골조시공방법 - Google Patents

대구경 기둥의 상하 적층식 시공방법 및 이를 적용한구조물의 골조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68096A
KR20090068096A KR1020080022874A KR20080022874A KR20090068096A KR 20090068096 A KR20090068096 A KR 20090068096A KR 1020080022874 A KR1020080022874 A KR 1020080022874A KR 20080022874 A KR20080022874 A KR 20080022874A KR 20090068096 A KR20090068096 A KR 200900680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llar
construction
large diameter
constructing
unit b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228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04747B1 (ko
Inventor
송기용
Original Assignee
송기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기용 filed Critical 송기용
Priority to EA201070784A priority Critical patent/EA017909B1/ru
Priority to PCT/KR2008/006277 priority patent/WO2009082087A1/en
Publication of KR200900680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680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047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047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22Piles
    • E02D5/54Piles with prefabricated supports or anchoring parts; Anchoring pil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3/00Structural elongated elements designed for load-supporting
    • E04C3/30Columns; Pillars; Stru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50/00Production methods
    • E02D2250/0061Production methods for working underwater
    • E02D2250/0076Drilling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26Metals
    • E02D2300/0029Steel; Ir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 Rod-Shaped Construction Members (AREA)
  • Piles And Underground Anch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위길이의 프리캐스트콘크리트로 제작된 단위블록 다수개를 상하 적층하면서 하나의 대구경 교각기둥(pier), 파일기둥(pile), 건물기둥(column) 등으로 시공하는 방법과, 이러한 기둥 시공방법을 적용한 구조물의 골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즉, 시공하고자 할 대구경 기둥에 상응하는 횡단면을 가지면서 소정의 단위길이를 가지는 단위블록을 프리캐스트콘크리트로 제작하여 준비하고, 이렇게 준비된 단위블록을 현장에 반입한 후 하나씩 적층하면서 단위블록 상호간을 결합함으로써 하나의 대구경 기둥으로 시공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단위블록의 적층시공은, 시공위치(파일기둥으로 시공하는 경우라면 천공된 천공홀, 교각기둥 내지 건물기둥으로 시공하는 경우라면 기둥위치)에서 직접 하나씩 적층하면서 시공하는 방법으로 진행하는 것은 물론, 시공현장에서 여럿의 단위블록을 하나의 시공단위로 구성한 후 시공단위별로 시공위치에 적층하면서 시공하는 방법으로 진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로써, 본 발명에 따르면 대구경 기둥도 건식공정으로 시공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그 결과 건식화에 따른 다양한 효과(작업성 향상, 공사비 감축, 공사기간 단축 등)를 기대할 수 있게 된다.
대구경, 기둥, 파일, 교각, 적층, 단위블록, 프리캐스트콘크리트

Description

대구경 기둥의 상하 적층식 시공방법 및 이를 적용한 구조물의 골조시공방법{Pillar construction method by layer-built and frame construction method adapting the same}
본 발명은 대구경 기둥을 시공하는 방법과 이 방법을 적용하여 구조물의 골조를 시공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단위길이의 프리캐스트콘크리트로 제작된 단위블록 다수개를 상하 적층하면서 하나의 대구경 교각기둥(pier), 파일기둥(pile), 건물기둥(column) 등으로 시공하는 방법과, 이러한 기둥 시공방법을 적용한 구조물의 골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구조물에서 수직부재인 기둥은 하중을 전달하면서 최종적으로 지지하는 부재가 되는데, 기둥으로는 기초 아래의 파일기둥, 교량에서의 교각기둥, 일반 건축물에서의 건물기둥 등이 있다.
기둥의 시공방법은 크게 2가지로 구분할 수 있는데, 1절 단위(보통 1~3개층 높이)로 제작된 형강재, 강관, PC 등의 건식부재를 현장에 반입하여 조립식으로 시 공하는 건식시공방법과 현장에서 철근을 배근하여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완성하는 습식시공방법이 그것이다. 건식시공방법과 습식시공방법은 다양한 여건(시공현장상황, 공사규모, 공사기간, 공사비 등)을 고려하여 적절하게 선택된다.
하지만, 규모가 큰 구조물이나, 장스팬으로 설계된 구조물 또는 지반이 연약하여 충분한 보강이 필요한 구조물에서는 기둥의 직경이 1000~3000㎜에 달하는 대구경 기둥(건물기둥, 파일기둥, 교각기둥 등)이 필요한데, 지금까지는 대구경 기둥의 시공을 습식시공방법에 의존하면서 시공해왔다. 왜냐하면 종래의 건식시공방법 하에서는 건식부재의 규모가 상당히 비대해져 운반과 양중이 곤란하게 되기 때문이다. 이에, 현재의 대구경 기둥 시공은 현장에서의 습식시공에 따른 다양한 문제점 즉, 작업량 증대, 충분한 공사기간 필요, 불확실한 시공품질 등을 수반하고 있는 상황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를 개선하고자 개발된 것으로서, 대구경 기둥에 상응하는 횡단면을 가지면서 단위길이의 프리캐스트콘크리트로 제작된 단위블록 다수개를 상하 적층하면서 하나의 대구경 기둥으로 시공함으로써 현장 습식시공에 따른 다양한 문제점을 해결한 대구경 기둥 시공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데 기술적 과제가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지중에 시공되는 파일기둥을 대구경 기둥으로 시공하는 방법으로서, 단위길이의 프리캐스트콘크리트로 제작된 단위블록 다수개를 상하 적층하면서 하나의 대구경 기둥으로 시공하되, 상기 단위블록은 상·하부면에 결합홈 또는 결합돌기가 형성되도록 제작되어 단위블록 상호간을 결합홈과 결합돌기에 의해 맞춤결합하면서 적층 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구경 기둥의 상하 적층식 시공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파일기둥, 교각기둥 또는 건물기둥을 대구경 기둥으로 시공하는 방법으로서, 단위길이의 프리캐스트콘크리트로 제작된 단위블록 다수개를 상하 적층하면서 하나의 대구경 기둥으로 시공하되, 상기 단위블록은 상·하부면을 관통하는 관통홀이 형성되도록 제작되어 다수개의 단위블록의 관통홀에 동시에 끼워져 긴장 정착한 수직의 강선 또는 강봉에 의해 단위블록 상호간을 밀착 연결하면서 적층 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구경 기둥의 상하 적층식 시공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건축물의 골조를 시공하는 방법으로서, 강선 또는 강봉에 의해 단위블록 상호간을 밀착 연결하면서 적층 시공하는 상하 적층식 시공방법으로 대구경의 건물기둥을 시공하는 기둥시공단계;와, 상기 건물기둥에 보를 접합시키면서 시공하는 보시공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기둥시공단계는 건물기둥에 서 보와의 접합부 바로 아래의 단위블록을 다른 단위블록보다 크게 제작된 것으로 채택함으로써 보와의 접합부에 거치턱이 마련되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보시공단계는 상기 거치턱에 보를 거치하면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의 골조시공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건축물의 골조를 시공하는 방법으로서, 강선 또는 강봉에 의해 단위블록 상호간을 밀착 연결하면서 적층 시공하는 상하 적층식 시공방법으로 대구경의 건물기둥을 시공하는 기둥시공단계;와, 상기 건물기둥에 철골보를 접합시키면서 시공하는 보시공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기둥시공단계는 건물기둥에서 보와의 접합부에 위치한 단위블록 대신에 강재브라켓을 설치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보시공단계는 상기 건물기둥의 강재브라켓에 철골보를 용접 또는 볼트접합하면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의 골조시공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기대된다.
첫째, 현장에서 습식공정을 따르지 않고 건식공정으로 대구경 파일기둥, 교각기둥, 건물기둥 등을 시공할 수 있게 되며, 그 결과 현장작업 간소화에 따른 작업성과 경제성 향상을 꾀할 수 있게 된다.
둘째, 공장에서 생산된 일정품질의 프리캐스트콘크리트 부재를 이용하기 때문에 일정한 시공품질을 확보할 수 있게 되고, 그 결과 설계내력의 안정성을 가지 는 대구경 기둥시공이 가능해진다.
셋째, 상하 적층되는 단위블록 상호간을 강선 또는 강봉으로 긴장시키면서 결합시키기 때문에 압축부재인 기둥을 압축방향으로 포스트텐션을 가하면서 시공하는 것과 다름없게 되어 압축력이 보강된 대구경 기둥을 간편하게 시공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건식의 단위블록(100, 200) 다수개를 적층하면서 하나의 대구경 기둥(파일기둥, 교각기둥, 건물기둥 등)으로 시공한다는데 기술적 특징이 있다. 즉, 시공하고자 할 대구경 기둥에 상응하는 횡단면을 가지면서 소정의 단위길이를 가지는 단위블록(100, 200)을 프리캐스트콘크리트로 제작하여 준비하고, 이렇게 준비된 단위블록(100, 200)을 현장에 반입한 후 하나씩 적층하면서 단위블록(100, 200) 상호간을 결합함으로써 하나의 대구경 기둥으로 시공하는 것이다. 단위블록(100, 200)의 단위길이는 운반 및 양중을 고려하여 결정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가령 1000~3000㎜ 직경의 대구경 기둥으로 시공하는 경우라면 50~200㎜의 높이로 제작함이 적당하다. 또한, 단위블록(100, 200)은 시공할 대구경 기둥의 모양에 따라 원형, 각형 등 다양한 단면형상으로 제작할 수 있으며, 콘크리트 단독으로 프리캐스트화한 것은 물론 콘크리트와 다른 재료(플라스틱, 강재 등)를 합성하여 프리캐스트화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단위블록(100, 200)의 적층시공은, 시공위치(파일기둥으 로 시공하는 경우라면 천공된 천공홀(H), 교각기둥 내지 건물기둥으로 시공하는 경우라면 기둥위치)에서 직접 하나씩 적층하면서 시공하는 방법으로 진행하는 것은 물론, 시공현장에서 여럿의 단위블록(100, 200)을 하나의 시공단위로 구성한 후 시공단위별로 시공위치에 적층하면서 시공하는 방법으로 진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대구경 기둥도 건식공정으로 시공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그 결과 건식화에 따른 다양한 효과(작업성 향상, 공사비 감축, 공사기간 단축 등)를 기대할 수 있게 된다.
이하, 첨부한 도면 및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대구경 기둥의 적층식 시공방법의 일실시예로서, 단위블록(100) 다수개가 맞춤결합하면서 적층되어 하나의 대구경 파일기둥(P1)으로 시공되는 예를 보여준다.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단위블록(100)은 상·하부면에 결합홈(110) 또는 결합돌기(120)가 형성되도록 제작되며, 단위블록(100) 상호간은 상기 결합홈(110)과 결합돌기(120)에 의해 맞춤결합하면서 적층된다. 맞춤결합에 따라 단위블록(100) 상호간 하중전달이 이루어지게 되며, 이로써 적층된 다수개의 단위블록(100)은 지중에 시공되어 하나의 대구경 파일기둥(P1)으로 거동하면서 상부의 구조물을 지지하게 된다.
단위블록(100)을 적층 시공하여 대구경 파일기둥(P1)으로 완성한 후에 대구 경 파일기둥(P1)과 천공된 지중 사이에 추가적으로 그라우팅(G)을 하여 파일기둥(P1)의 주면마찰력을 보강할 수 있다. 이때, 도 1(c)에서와 같이 단위블록(100) 상호간 들쑥날쑥 측면요철이 형성되게 시공한다면 파일기둥(P1)의 주면마찰력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되는데, 상기 측면요철은 단면크기가 다른 단위블록(100)을 맞춤결합하여 형성시키거나 동일한 단면크기의 단위블록(100)을 어긋나게 맞춤결합함으로써 형성시킬 수 있다. 물론, 단위블록(100)이 적층 시공완료되어 파일기둥(P1)이 완성된다면 그 위로는 기초(F)가 시공된다.
맞춤결합에 의한 적층방식은 도 2에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단위블록(100)의 결합돌기(120)에 고무링(121)을 끼운 상태에서 단위블록(100) 상호간에 맞춤결합을 유도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단위블록(100) 상호간의 밀착결합과 함께 고무링(121)에 의한 완충작용을 유도하기 위함이다.
단위블록(100)은 크레인에 의한 양중을 위해 그 상부면에 크레인의 갈고리를 걸기 위한 양중고리(130)가 고정되도록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다만 이 경우 단위블록(100) 하부면에는 상부면의 양중고리(130)가 수용되는 수용홈(140)이 형성되어야 할 것이다. 그래야만 양중고리(130)의 방해를 받지 않고 이웃하는 단위블록(100) 상·하부면을 서로 맞닿게 적층하면서 시공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3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대구경 기둥의 적층식 시공방법의 다른 실시예로서, 단위블록(200) 다수개가 긴장 정착한 강선 또는 강봉(220)에 의해 적층 연결되어 하나의 파일기둥(P1), 교각기둥(P2), 건물기둥(P3)으로 시공되는 예를 보 여준다.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단위블록(200)은 상·하부면을 관통하는 관통홀(210)이 형성되도록 제작되며, 관통홀(210)에 동시에 끼워져 긴장 정착한 강선 또는 강봉(220)에 의해 다수개의 단위블록(200)은 밀착 연결되면서 적층 시공된다. 이때, 강선 또는 강봉(220)을 정착시키고 난 후 강선 또는 강봉(220)이 끼워진 단위블록의 관통홀(210)에는 그라우팅하여 강선 또는 강봉(220)을 구속시킬 수도 있다. 강선 또는 강봉(220)에 의한 밀착 연결에 따라 단위블록(200)이 서로 긴결되어 단위블록(200) 상호간에 하중전달이 이루어지게 되며, 이로써 적층된 다수개의 단위블록(200)은 하나의 대구경 기둥으로 거동하게 된다.
특히, 밀착 연결에 의한 적층방식은 강선 또는 강봉(220)이 긴장된 후 정착되면 곧 포스트텐션을 가하면서 다수개의 단위블록(200)을 긴결시킨 것이 되기 때문에 포스트텐션에 의해 압축력이 더욱 강화된 대구경 기둥으로의 시공을 가능케 한다. 물론, 밀착 연결결합에 의한 적층방식은 앞서 살펴본 맞춤결합에 의한 적층방식을 함께 적용할 수도 있다. 즉, 관통홀(210)과 함께 상·하부면에 결합홈 또는 결합돌기가 형성되도록 단위블록(200)을 제작하고, 이러한 단위블록(200)을 결합홈과 결합돌기에 의한 맞춤결합과 함께 강선 또는 강봉(220)에 의한 밀착 연결결합을 유도하는 것이다.
강선 또는 강봉(220)을 끼우기 위해 단위블록(200)에 형성되는 관통홀(210)은 도 4(a)에서와 같이 면내에 형성되는 것은 물론 도 4(b)에서와 같이 단위블록(200) 측면에서부터 이어지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다만, 도 4(b)에서와 같이 형성된다면 강선 또는 강봉(220)이 단위블록(200) 측면에서부터 안내되어 끼워질 수 있으므로, 강선 또는 강봉(220)에 의한 단위블록 상호간의 연결작업이 훨씬 수월해진다. 또한, 단위블록(200)을 크레인으로 양중하기 위해 단위블록(200)은 크레인의 갈고리를 걸기 위한 양중고리(230)가 고정되도록 제작할 수 있는데, 도 4(a)는 양중고리(230)가 단위블록(200) 상부면에 고정된 예를 보여주며, 도 4(b)는 양중고리(230)가 중공형 단위블록(200)에서 중공부 측면에 고정된 예를 보여준다. 물론, 도 4(a)에서와 같이 단위블록(200) 상부면에 양중고리(230)가 고정된다면 단위블록(200)은 그 하부면에 양중고리(230)가 수용되는 수용홈(240)이 형성되도록 제작해야 할 것이나, 도 4(b)에서와 양중고리(230)가 단위블록(200)의 중공부 측면에 고정된다면 별도의 수용홈을 형성시킬 필요가 없게 된다. 특히 도 4(b)와 같은 중공형 단위블록(200)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단위블록의 경량화가 가능해져 운반 및 양중이 훨씬 유리할 것이며, 다만 경우에 따라 단위블록의 중공부에는 철근을 배근하거나 콘크리트를 타설하거나 그라우팅을 하는 등 추가 작업을 진행할 수 있는데 이 경우 중공형 단위블록은 현장 시공을 위한 일종의 거푸집 기능을 하게 될 것이고 아울러 중공부 측면의 양중고리(230)는 단위블록과 그라우팅재의 일체화에 기여하게 될 것이다.
도 3은 단위블록(200)을 적층 시공하여 대구경 파일기둥(P1)으로 완성한 예를 보여준다. 대구경 파일기둥(P1)으로 시공하는 경우에는 도 3(c)에서와 같이 대구경 파일기둥(P1)과 천공된 지중 사이에 추가적으로 그라우팅(G)을 하여 파일기둥(P1)의 주면마찰력을 보강할 수 있다. 이때, 단위블록(100) 상호간 들쑥날쑥 측 면요철이 형성되게 시공한다면 파일기둥(P1)의 주면마찰력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되며, 상기 측면요철은 단면크기가 다른 단위블록(100)을 맞춤결합하여 형성시키거나 동일한 단면크기의 단위블록(100)을 어긋나게 맞춤결합하여 형성시킬 수 있다. 단위블록(100)이 적층 시공완료되어 파일기둥(P1)이 완성된다면 그 위로는 기초(F)가 시공되는데, 도 3(b) 및 도 3(c)에서와 같이 단위블록(200)의 밀착 연결결합에 이용된 강선 또는 강봉(220)의 끝단을 맨 위의 단위블록(200)보다 더 돌출된 상태로 정착구에 의해 정착되도록 하면 강선 또는 강봉(220)의 정착단부는 파일기둥(P1)과 기초(F)의 일체화에 기여한다.
도 5는 단위블록(200)을 적층 시공하여 대구경 교각기둥(P2)으로 완성한 예를 보여준다. 교각기둥(P1) 위에는 교각기둥(P1)을 연결하는 보(B)와 슬래브(S)가 시공되므로, 이를 고려하여 본 발명에서는 단위블록(200)을 적층 시공하여 완성되는 교각기둥(P2)에서 보(B)와의 접합부 바로 아래에 위치하는 단위블록을 다른 단위블록보다 크게 제작된 것으로 채택할 것을 제안한다. 보(B)와의 접합부 바로 아래의 단위블록이 돌출되기 때문에 보(PC보, 철골보, 하프PC보 등)가 거치될 수 있는 거치턱(250)이 자연스럽게 마련되며, 그 결과 보(B)를 상기 거치턱(250)에 거치하는 것으로 보의 시공을 용이하게 진행할 수 있게 된다. 다만 교각기둥(P2)과 보(B)의 접합부에는 현장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일체화를 꾀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때 교각기둥(P2)을 사이에 두고 설치된 보(B) 상호간을 연결봉(R)으로 연결하면 응력전달이 원활하게 이루어져 구조적인 안정성을 확보하는데 유리할 것이다. 상기 연결봉(R)은 교각기둥(P2) 상부의 강선 또는 강봉(220)의 정착단부와 함께 교각 기둥(P2)과 보(B)의 접합부에 타설된 현장콘크리트에 매입되어 교각기둥(P2)과 보(B)의 일체화에도 기여한다. 상기 교각기둥(P2)과 보(B)의 접합부에 타설되는 현장콘크리트는 교랑의 슬래브(S) 시공과 함께 진행할 수 있다.
도 6은 단위블록(200)을 적층 시공하여 대구경 건물기둥(P3)으로 완성한 예를 보여준다. 건물기둥(P3)에는 보(B) 및 슬래브(S)가 접합 시공되므로, 이를 고려하여 본 발명에서는 도 6(a)에서와 같이 건물기둥(P3)에서 보(B)와의 접합부 바로 아래에 위치하는 단위블록을 다른 단위블록보다 크게 제작된 것으로 채택하여 거치턱(250)이 마련되도록 하거나, 도 6(b)에서와 같이 건물기둥(P3)에서 보(B)와의 접합부에 위치한 단위블록 대신에 강재브라켓(300)을 설치할 것을 제안한다. 도 6(a)는 무수축모르타르(M) 등을 이용하여 수평레벨을 조절하면서 보(B)를 단위블록의 거치턱(230)과 대면하는 단위블록의 측면에 고정한 예를 도시하며, 도 6(b)는 건물기둥의 강재브라켓(300)에 철골보(B)를 볼트접합(물론, 용접접합도 가능함)한 예를 도시한다. 특히, 도 6(b)와 같이 건물기둥과 철골보의 접합이 이루어지는 골조에서 상기 강재브라켓(300)은 철골보의 단면과 동일하게 형성된 것은 물론 철골보와 다른 단면을 가져도 철골보와 접합이 이루어질 수 있는 형상이면 무방하다. 가령 H형 철골보가 시공되는 경우라면 강재브라켓(300) 또한 H형 단면으로 준비하여 플랜지와 웨브접합이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는 것은 물론 강재브라켓을 단위블록보다 큰 크기의 플레이트로 준비한 후 H형 철골보의 상하플랜지와 일치하는 위치에 배치하여 플랜지접합만이 이루어지도록 구성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도 6에서는 보(B)와의 접합부를 포함하여 건물기둥(P3) 전체를 단위블 록(내지 강재브라켓)을 적층 시공하여 완성한 예를 보여주고 있으나, 보와의 접합부는 도 5의 교각기둥 시공과 마찬가지로 현장콘크리트로 일체화되도록 구성하는 한편 건물기둥의 층간부분만을 단위블록에 의한 적층 시공으로 완성할 수도 있다.
도 7은 앞서 살펴본 도 6(a)에서와 같은 대구경 건물기둥의 시공방법이 탑다운공법에 적용되는 예를 도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탑다운공법은 통상의 탑다운공법과 거의 동일하며, 다만 흙막이벽을 시공하고 난 후 지반을 천공하여 건물기둥(P3)을 시공할 때 단위블록(200)을 적층 시공하여 완성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즉, 흙막이벽을 시공하고 기둥위치를 천공한 후에 천공홀(H)에 강선 또는 강봉(220)으로 밀착 연결하면서 단위블록(200)을 적층하는 방식으로 건물기둥시공단계를 진행하고, 이어 건물기둥(P3)과 건물기둥(P3) 사이를 굴착하는 굴착단계와 건물기둥(P3)과 건물기둥(P3) 사이의 보를 시공하는 보시공단계를 반복적으로 진행하면서 골조를 하향식으로 시공하는 것이다.
건물기둥시공단계는 보와의 접합을 고려하여 보와의 접합부에 해당하는 위치에 거치턱(250)을 형성하는 단위블록이 설치되도록 진행하거나 강재브라켓(300)이 설치되도록 진행해야 할 것이며, 아울러 건물기둥(P3)이 지반에 안정적으로 정착하도록 건물기둥(P3) 하부를 그라우팅하여 기초구근이 형성되도록 해야 할 것이다.
한편, 건물기둥(P3)에서 최하단에 설치되는 단위블록의 경우에는 단면크기가 큰 것을 채택하여 충분한 선단지지력을 발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나아가 매트기초로 마무리되는 최하층 바닥과 건물기둥과의 일체성을 강화하기 위 해 매트기초와의 접합부에 위치한 단위블록 또한 다양한 단면크기의 것을 채택하여 단위블록 자체가 쐐기로서 역할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7(f)참조).
이상에서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에서 설명된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가지 치환, 부가 및 변형이 가능할 것임은 당연한 것으로,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 형태들 역시 아래에 첨부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하여지는 본 발명의 보호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단위블록이 맞춤결합하여 대구경 파일기둥으로 적층 시공되는 예를 도시한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단위블록이 강선 또는 강봉에 의해 연결되어 대구경 파일기둥으로 적층 시공되는 예를 도시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단위블록이 강선 또는 강봉에 의해 연결되어 대구경 교각기둥으로 적층 시공되는 예를 도시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단위블록이 강선 또는 강봉에 의해 연결되어 대구경 건물기둥으로 적층 시공되는 예를 도시한다.
도 7은 도 6에 따른 대구경 건물기둥의 시공방법이 탑다운공법에 적용되는 예를 도시한 시공순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200: 단위블록
110: 결합홈 120: 결합돌기
210: 관통홀 220: 강선 또는 강봉
130, 230: 양중고리 140, 240: 수용홈
250: 거치턱 300: 강재브라켓
H: 천공홀 F: 기초
P1, P2, P3: 기둥 M: 무수축 모르타르
B: 보 S: 슬래브

Claims (12)

  1. 지중에 시공되는 파일기둥(P1)을 대구경 기둥으로 시공하는 방법으로서,
    단위길이의 프리캐스트콘크리트로 제작된 단위블록(100) 다수개를 상하 적층하면서 하나의 대구경 기둥으로 시공하되, 상기 단위블록(100)은 상·하부면에 결합홈(110) 또는 결합돌기(120)가 형성되도록 제작되어 단위블록(100) 상호간을 결합홈(110)과 결합돌기(120)에 의해 맞춤결합하면서 적층 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구경 기둥의 상하 적층식 시공방법.
  2. 제1항에서,
    결합돌기(120)가 형성된 단위블록(100)은 결합돌기(120)에 고무링(121)이 끼워진 채 결합홈(110)이 형성된 단위블록(100)과 상호 맞춤결합하도록 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구경 기둥의 상하 적층식 시공방법.
  3. 파일기둥(P1), 교각기둥(P2) 또는 건물기둥(P3)을 대구경 기둥으로 시공하는 방법으로서,
    단위길이의 프리캐스트콘크리트로 제작된 단위블록(200) 다수개를 상하 적층하면서 하나의 대구경 기둥으로 시공하되, 상기 단위블록(200)은 상·하부면을 관 통하는 관통홀(210)이 형성되도록 제작되어 다수개의 단위블록의 관통홀(210)에 동시에 끼워져 긴장 정착한 수직의 강선 또는 강봉(220)에 의해 단위블록(200) 상호간을 밀착 연결하면서 적층 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구경 기둥의 상하 적층식 시공방법.
  4. 제3항에서,
    상기 단위블록(200)은 관통홀(210)이 단위블록(200) 측면에서부터 이어지도록 형성되어 강선 또는 강봉(220)이 단위블록(200) 측면에서부터 안내되어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구경 기둥의 상하 적층식 시공방법.
  5. 제3항 또는 제4항에서,
    상기 단위블록(200)은 상·하부면에 결합홈 또는 결합돌기가 형성된 것이며,
    상기 단위블록(200) 상호간을 결합홈과 결합돌기에 의해 맞춤결합하면서 적층 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구경 기둥의 상하 적층식 시공방법.
  6. 제3항 또는 제4항에서,
    상기 단위블록(200)은 중앙에 중공부가 형성된 중공형 부재로서 중공부의 측 면에 크레인의 갈고리를 걸기 위한 양중고리(230)가 고정되도록 제작된 것임을 특징으로 대구경 기둥의 상하 적층식 시공방법.
  7. 제6항에서,
    상기 단위블록(200) 다수개를 강선 또는 강봉(220)에 의해 상호 밀착 연결하면서 적층 시공하고 난 후 단위블록 중앙의 중공부에 철근을 배근하거나 콘크리트를 타설하거나 그라우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구경 기둥의 상하 적층식 시공방법.
  8.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서,
    상기 단위블록(100, 200) 다수개를 단위블록 상호간 들쑥날쑥 측면요철이 형성되도록 적층 시공하며,
    측면요철이 형성되도록 적층 시공된 단위블록 외주면에 그라우팅(G)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구경 기둥의 상하 적층식 시공방법.
  9. 상기 제3항의 대구경 기둥의 상하 적층식 시공방법을 적용하면서 구조물의 골조를 시공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제3항의 대구경 기둥의 상하 적층식 시공방법으로 대구경의 교각기둥(P2) 또는 건물기둥(P3)을 시공하는 기둥시공단계;와,
    상기 교각기둥(P2) 또는 건물기둥(P3)에 보(B)를 접합시키면서 시공하는 보시공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기둥시공단계는 교각기둥(P2) 또는 건물기둥(P3)에서 보(B)와의 접합부 바로 아래의 단위블록을 다른 단위블록보다 크게 제작된 것으로 채택함으로써 보와의 접합부에 거치턱(250)이 마련되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보시공단계는 상기 거치턱(250)에 보(B)를 거치하면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의 골조시공방법.
  10. 상기 제3항의 대구경 기둥의 상하 적층식 시공방법을 적용하면서 구조물의 골조를 시공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제3항의 대구경 기둥의 상하 적층식 시공방법으로 대구경의 교각기둥(P2) 또는 건물기둥(P3)을 시공하는 기둥시공단계;와,
    상기 교각기둥(P2) 또는 건물기둥(P3)에 철골보(B)를 접합시키면서 시공하는 보시공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기둥시공단계는 교각기둥(P2) 또는 건물기둥(P3)에서 보(B)와의 접합부에 위치한 단위블록 대신에 강재브라켓(300)을 설치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보시공단계는 상기 강재브라켓(300)에 철골보(B)를 용접 또는 볼트접합 하면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의 골조시공방법.
  11. 제9항 또는 제10항에서,
    상기 보시공단계 후에 교각기둥(P2) 또는 건물기둥(P3)과 보(B)와 위로 현장콘크리트를 타설하면서 슬래브(S)를 시공하는 슬래브시공단계;가 더 포함되며,
    상기 슬래브시공단계는 기둥시공단계에서 단위블록 상호 간을 밀착 연결한 강선 또는 강봉(220)의 정착단부를 현장콘크리트에 매입시키면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의 골조시공방법.
  12. 제9항 또는 제10항에서,
    상기 기둥시공단계는 흙막이벽을 시공하고 난 후 지반을 천공하여 건물기둥(P3)을 시공하는 단계로 진행하고,
    상기 기둥시공단계 후에 건물기둥(P3)과 건물기둥(P3) 사이를 굴착하는 굴착단계를 진행하고,
    상기 굴착단계 후에 상기 보시공단계를 진행하고,
    상기 굴착단계와 보시공단계를 반복적으로 진행함으로써 탑다운공법으로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의 골조시공방법.
KR1020080022874A 2007-12-21 2008-03-12 대구경 기둥의 상하 적층식 시공방법 및 이를 적용한구조물의 골조시공방법 KR1010047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A201070784A EA017909B1 (ru) 2007-12-21 2008-10-23 Способ возведения опоры большого диаметра посредством послойного монтажа и способ возведения каркаса с использованием данного способа
PCT/KR2008/006277 WO2009082087A1 (en) 2007-12-21 2008-10-23 Large diameter pillar construction method by layer-built and frame construction method adapt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70135543 2007-12-21
KR1020070135543 2007-12-21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22312A Division KR20100043161A (ko) 2007-12-21 2010-03-12 대구경 기둥의 상하 적층식 시공방법 및 이를 적용한 구조물의 골조시공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68096A true KR20090068096A (ko) 2009-06-25
KR101004747B1 KR101004747B1 (ko) 2011-01-04

Family

ID=40995743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22874A KR101004747B1 (ko) 2007-12-21 2008-03-12 대구경 기둥의 상하 적층식 시공방법 및 이를 적용한구조물의 골조시공방법
KR1020100022312A KR20100043161A (ko) 2007-12-21 2010-03-12 대구경 기둥의 상하 적층식 시공방법 및 이를 적용한 구조물의 골조시공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22312A KR20100043161A (ko) 2007-12-21 2010-03-12 대구경 기둥의 상하 적층식 시공방법 및 이를 적용한 구조물의 골조시공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2) KR101004747B1 (ko)
EA (1) EA01790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96253A1 (ko) * 2021-11-29 2023-06-01 (주)유주 콘크리트 블록 구조물 시공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5439B1 (ko) 2011-03-29 2011-09-16 우경기술주식회사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용 내진보강구조물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638082B1 (ko) * 2015-11-10 2016-07-08 (주)아그루코리아 파이프 지지대 및 이의 설치방법
KR102074098B1 (ko) 2019-05-13 2020-02-05 이성권 공장 골조 모듈 시공 구조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05710A (ja) * 1983-11-14 1985-06-11 Kensetsu Kiso Eng Kk 地下構造物の構築方法およびそれに使用するコンクリ−トブロック
JPS60148920A (ja) * 1983-12-02 1985-08-06 Sutorongu Hoorudo Internatl Japan Kk 地下構造物の構築方法
JPS6233926A (ja) * 1985-08-02 1987-02-13 Takenaka Komuten Co Ltd 積み重ね構造の杭基礎
GB9220975D0 (en) * 1992-10-06 1992-11-18 Air Prod & Chem Apparatus for supplying high purity gas
US6367764B1 (en) * 1994-08-29 2002-04-09 Michael G. Butler Versatile threaded construction stake usable to anchor and/or support construction forms, including concrete slab foundation forming devices
KR100549649B1 (ko) * 2002-11-28 2006-02-08 동양종합건업 주식회사 프리캐스트 조립구조에 의한 교각 구조물
KR100599533B1 (ko) * 2004-08-31 2006-07-13 이엑스티 유한회사 다단 조립형 헤드확장 콘크리트파일부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96253A1 (ko) * 2021-11-29 2023-06-01 (주)유주 콘크리트 블록 구조물 시공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04747B1 (ko) 2011-01-04
EA017909B1 (ru) 2013-04-30
EA201070784A1 (ru) 2010-12-30
KR20100043161A (ko) 2010-04-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60340855A1 (en) Modular construction mold apparatus and method for constructing concrete buildings and structures
CN111576619B (zh) 高强混凝土后浇的装配式框架体系生产方法
KR20090094971A (ko) 지하구조물 역타설 시공방법
KR101263370B1 (ko) 거더연결재가 형성된 프리캐스트블록 및 이를 이용한 교량시공방법
KR100694493B1 (ko) 브라켓 지지되는 가설구조체를 작업대로 활용할 수 있는역타설 공법
KR102286225B1 (ko) 무지주 탑다운 지하구조물 pc복합화 시공공법
KR101004747B1 (ko) 대구경 기둥의 상하 적층식 시공방법 및 이를 적용한구조물의 골조시공방법
CN212656384U (zh) 高强混凝土连接件、高强混凝土后浇的装配式框架体系及支撑架
KR101006411B1 (ko) Cft 기둥을 이용한 철골조 역타설 시스템 및 방법
KR101521946B1 (ko) 철골철근 콘크리트 구조(src)의 확장된 주두부 구조
KR101071245B1 (ko) 영구 스틸-pc복합보를 시공하중 지지체로 활용한 층고저감형 무지주 역타공법과 그 스틸-pc복합보
KR100856723B1 (ko) 캔틸레버형 지지거더를 이용한 철골조 역타설 시스템 및방법
JP4550534B2 (ja) 建築物の基礎構造
JP6855296B2 (ja) 建物基礎部構造及びその施工方法
CN217871021U (zh) 一种混凝土预制矩形管桩的装配式混凝土梁柱节点
CN215165648U (zh) 一种可以回收的逆作区结构竖向承重装置
KR20100118482A (ko) 매립형 철골띠장과 슬래브 강막작용을 이용하여 지하외벽의 한 측면이 연속시공이 가능하도록 한 지하 구조물 시공방법
KR20080103260A (ko) 분리타설을 위한 철근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역타 지지구조
KR102254227B1 (ko) Pc 말뚝캡이 구비된 고강도 콘크리트 말뚝 구조체 및 이의 시공 방법
KR100860592B1 (ko) Pc블럭 적층시공용 가설구조
KR20210090100A (ko) 지하구조물이 벽식구조인 건물에서 가설전이구조물을 이용하여 조기지상골조 착수가 가능한 공기단축형 역타공법 및 구조
CN113293872A (zh) 一种混凝土预制矩形管桩的装配式混凝土梁柱节点
KR100767954B1 (ko) 철근트러스 웨일 합벽 공법
KR101200993B1 (ko) 기둥 선시공 공법을 위한 콘크리트 단위 기둥 부재 및 이를 이용한 영구기둥 선시공 방법
KR20130016960A (ko) 서로 다른 단면 면적으로 접합되어 있는 슬림 지주 및 이를 이용한 방음벽의 시공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9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