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38082B1 - 파이프 지지대 및 이의 설치방법 - Google Patents

파이프 지지대 및 이의 설치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38082B1
KR101638082B1 KR1020150157250A KR20150157250A KR101638082B1 KR 101638082 B1 KR101638082 B1 KR 101638082B1 KR 1020150157250 A KR1020150157250 A KR 1020150157250A KR 20150157250 A KR20150157250 A KR 20150157250A KR 101638082 B1 KR101638082 B1 KR 1016380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support
support
bolt
nut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572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성규
이민경
장성욱
Original Assignee
(주)아그루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그루코리아 filed Critical (주)아그루코리아
Priority to KR10201501572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3808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80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8082B1/ko
Priority to CN201611001531.8A priority patent/CN106838468B/zh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08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08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 F16L3/1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divided, i.e. with two or more members engag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24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with a special member for attachment to profiled gird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Abstract

본 발명은 파이프 지지대에 관한 것으로, 조절지지대, 및 기저면으로부터 단수 또는 복수 개를 적층하여 상기 조절지지대와 결합하고, 기설정된 높이를 갖는 단위지지대를 포함하며, 상기 조절지지대는 최상층에 적층된 상기 단위지지대와 파이프 사이에 위치하여 기준면으로부터 상기 파이프 중심까지의 높이를 미리 정해진 높이로 유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파이프 지지대 및 이의 설치방법{PIPE SUPPORTS AND INSTALLATION METHODS THEREOF}
본 발명은 파이프 지지대 및 이의 설치방법에 관한 것이다.
플라스틱 재질의 배관재는 주변온도, 운영온도, 유체무게 및 유압 등 현장의 다양한 조건에 따라 체적이 종방향과 횡방향으로 변화한다. 종래 배관 서포트는 스틸 소재로 되어 있는 경우 플라스틱 배관과 팽창이나 수축률이 달라 배관 파손의 원인이 된다.
배관 설치에 있어 처음 배관이 시작되는 부분에 유입되는 유체가 여러 생산 설비로 나뉘어 유입되면서 배관이 세분되고, 배관이 세분되면서 배관의 직경이 작아져 바닥으로부터의 배관의 중심까지의 높이가 점점 낮아져 배관이 아래로 구부러지거나 유압이 달라지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배관 파이프가 세분되면서 직경이 변화하는 경우에도 기준면으로부터 배관 파이프 중심까지의 높이가 일정하게 유지되도록하는 블록형태의 파이프 지지대 및 이의 설치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 지지대는 조절지지대, 및 기저면으로부터 단수 또는 복수 개를 적층하여 상기 조절지지대와 결합하고, 기설정된 높이를 갖는 단위지지대를 포함하며, 상기 조절지지대는 최상층에 적층된 상기 단위지지대와 파이프 사이에 위치하여 기준면으로부터 상기 파이프 중심까지의 높이를 미리 정해진 높이로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 지지대는 상기 파이프와 결합하는 파이프 서포트를 포함하며, 상기 조절지지대는, 상기 조절지지대의 상부에 위치하며 상기 파이프 서포트와 결합하는 제1안착홈부, 상기 제1안착홈부의 중앙 부분을 관통하는 제1중앙볼트홀부, 상기 조절지지대의 하부에 위치하며 상기 단위지지대와 결합하는 제2안착홈부, 및 상기 조절지지대의 하부에 복수 개의 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중앙볼트홀부는, 상부에 위치하는 제1상부홀, 상기 제1상부홀의 하부에 위치하는 너트 형상의 제1너트홈, 및 상기 제1너트홈의 하부에 위치하며 상기 제1상부홀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갖는 원판 형태의 제1원판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절지지대는 상기 제1중앙볼트홀부와 결합하는 제1너트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너트부재는, 상기 제1너트홈에 대응하여 삽입되는 제1너트부, 상기 제1너트부로부터 연장되며 중공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원판홈에 대응하여 삽입되는 제1원판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절지지대는 상기 제1안착홈부 및 제2안착홈부를 관통하는 두 개의 제1측방볼트결합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측방볼트결합부는 상기 제1중앙볼트홀부를 중심으로 대칭으로 위치하며 막대 형상의 홀 형태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 지지대는 상기 파이프와 결합하는 파이프 서포트를 포함하며, 상기 단위지지대는, 상기 단위지지대의 상부에 돌출되어 위치하며 상기 조절지지대의 하부와 결합하는 돌출결합부, 상기 단위지지대의 중앙 부분을 관통하는 제2중앙볼트홀부, 상기 단위지지대의 하부에 위치하며 하측에 위치하는 상기 단위지지대의 상기 돌출결합부와 결합하는 제3안착홈부, 및 상기 단위지지대의 하부에 복수 개의 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중앙볼트홀부는, 상부에 위치하는 제2상부홀, 상기 제2상부홀의 하부에 위치하는 너트 형상의 제2너트홈, 및 상기 제2너트홈의 하부에 위치하며 상기 제2상부홀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갖는 원판 형태의 제2원판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위지지대는 상기 제2중앙볼트홀부와 결합하는 제2너트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2너트부재는, 상기 제2너트홈에 대응하여 삽입되는 제2너트부, 상기 제2너트부로부터 연장되며 중공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원판홈에 대응하여 삽입되는 제2원판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위지지대는 상기 돌출결합부 및 제3안착홈부를 관통하는 두 개의 제2측방볼트결합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2측방볼트결합부는 상기 제2중앙볼트홀부를 중심으로 대칭으로 위치하며 막대 형상의 홀 형태일 수 있다.
상기 단위지지대는 막대 형상의 중공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측방볼트결합부에 삽입되는 제1인서트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측방볼트결합부는, 상부에 위치하는 막대 형상의 제3상부홀, 및 상기 제3상부홀의 하부에 위치하는 제1인서트부재삽입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위지지대는 막대 형상의 중공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3안착홈부와 결합하는 제2인서트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 지지대의 설치방법은 파이프를 지지하기 위해 상기 파이프와 결합하는 파이프 서포트와 조절지지대의 제1안착홈부를 결합하는 (a) 단계, 상기 조절지지대의 제1중앙볼트홀부에 제1너트부재를 결합하고, 단위지지대의 제2측방볼트결합부에 제1인서트부재 및 상기 단위지지대의 제2중앙볼트홀부에 제2너트부재를 결합한 후 복수 개의 상기 단위지지대를 적층하는 (b) 단계, 상기 단위지지대의 돌출결합부와 상기 조절지지대의 제2안착홈부를 결합하는 (c)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조절지지대는 상기 파이프 서포트와 최상층에 적층된 상기 단위지지대 사이에 위치하여 기준면으로부터 상기 파이프 중심까지의 높이를 미리 정해진 높이로 유지하며, 상기 단위지지대는 기저면으로부터 단수 또는 복수 개를 적층하여 상기 조절지지대와 결합하고, 기설정된 높이를 갖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 지지대의 설치방법은, 상기 (c) 단계 후, 적층된 상기 단위지지대 중의 하나인 제1단위지지대에서 상기 제2너트부재를 제거하고, 상기 제1단위지지대와 결합하는 제2단위지지대의 제2중앙볼트홀부에 중앙볼트를 삽입하고, 상기 제1단위지지대와 상기 제2단위지지대를 결합하는 (d) 단계, 상기 제2단위지지대의 하측에 적층된 제3단위지지대에서 상기 제1인서트부재와 상기 제2너트부재를 제거하고, 상기 파이프 서포트의 측방홀, 상기 조절지지대의 제1측방볼트결합부, 및 상기 단위지지대의 제2측방볼트결합부를 관통하는 측방볼트를 삽입한 후, 너트를 상기 측방볼트와 결합하고, 상기 측방볼트와 결합한 상기 너트를 상기 제3단위지지대의 제1인서트부재삽입홈에 삽입한 후, 상기 측방볼트와 상기 너트를 나사결합하는 (e) 단계, 상기 제2단위지지대의 제2중앙볼트홀부로부터 적층된 최하층의 상기 단위지지대까지 관통하는 중앙볼트와 상기 기저면에 위치하는 고정물을 나사결합하는 (f)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 지지대의 설치방법은, 상기 (c) 단계 후, 상기 파이프 서포트의 중앙홀, 상기 조절지지대의 제1중앙볼트홀부, 및 상기 단위지지대의 제2중앙볼트홀부를 관통하는 중앙볼트를 삽입하고, 상기 중앙볼트와 상기 기저면에 위치하는 고정물을 나사결합하는 (g)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 지지대의 설치방법은, 상기 (c) 단계 후, 적층된 상기 단위지지대 중의 하나인 제1단위지지대에서 상기 제2너트부재를 제거하고, 상기 제1단위지지대와 결합하는 제2단위지지대의 제2중앙볼트홀부에 중앙볼트를 삽입하고, 상기 제1단위지지대와 상기 제2단위지지대를 결합하는 (d) 단계, 상기 제2단위지지대의 하측에 적층된 제3단위지지대에서 상기 제1인서트부재와 상기 제2너트부재를 제거하고, 상기 파이프 서포트의 측방홀, 상기 조절지지대의 제1측방볼트결합부, 및 상기 단위지지대의 제2측방볼트결합부를 관통하는 측방볼트를 삽입한 후, 너트를 상기 측방볼트와 결합하고, 상기 측방볼트와 결합한 상기 너트를 상기 제3단위지지대의 제1인서트부재삽입홈에 삽입한 후, 상기 측방볼트와 상기 너트를 나사결합하는 (e) 단계, 적층된 상기 단위지지대의 최하층에 위치하는 제5단위지지대를 상기 제5단위지지대와 결합한 제4단위지지대에서 분리한 후, 상기 제4단위지지대의 제3안착홈부에 제2인서트부재를 삽입하고, 상기 제5단위지지대를 뒤집어 상기 제5단위지지대의 제3안착홈부와 상기 제2인서트부재를 결합하거나, 상기 제5단위지지대를 뒤집어 상기 제5단위지지대의 제3안착홈부에 제2인서트부재를 삽입하고, 상기 제2인서트부재와 상기 제4단위지지대의 제3안착홈부를 결합하는 (h) 단계, 상기 제5단위지지대의 돌출결합부를 상기 기저면에 위치하는 홈형상을 포함하는 고정물과 결합하는 (i) 단계, 상기 제2단위지지대 및 상기 제5단위지지대의 제2중앙볼트홀부를 관통하는 중앙볼트와 상기 고정물을 막대 형태의 나사와 나사결합하는 (j)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 지지대의 설치방법은, 상기 (c) 단계 후, 적층된 상기 단위지지대의 최하층에 위치하는 제5단위지지대를 상기 제5단위지지대와 결합한 제4단위지지대에서 분리한 후, 상기 제4단위지지대의 제3안착홈부에 제2인서트부재를 삽입하고, 상기 제5단위지지대를 뒤집어 상기 제5단위지지대의 제3안착홈부와 상기 제2인서트부재를 결합하거나, 상기 제5단위지지대를 뒤집어 상기 제5단위지지대의 제3안착홈부에 제2인서트부재를 삽입하고, 상기 제2인서트부재와 상기 제4단위지지대의 제3안착홈부를 결합하는 (h) 단계, 상기 제5단위지지대의 돌출결합부를 상기 기저면에 위치하는 홈형상을 포함하는 고정물과 결합하는 (i) 단계, 상기 파이프 서포트의 중앙홀, 상기 조절지지대의 제1중앙볼트홀부, 및 상기 단위지지대의 제2중앙볼트홀부를 관통하는 중앙볼트를 삽입하고, 상기 중앙볼트와 상기 고정물을 막대 형태의 나사와 나사결합하는 (k)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 지지대의 설치방법은, 상기 (c) 단계 후, 적층된 상기 단위지지대의 최하층에 위치하는 제5단위지지대를 상기 제5단위지지대와 결합한 제4단위지지대에서 분리한 후, 상기 제4단위지지대의 제3안착홈부에 제2인서트부재를 삽입하고, 상기 제5단위지지대를 뒤집어 상기 제5단위지지대의 제3안착홈부와 상기 제2인서트부재를 결합하거나, 상기 제5단위지지대를 뒤집어 상기 제5단위지지대의 제3안착홈부에 제2인서트부재를 삽입하고, 상기 제2인서트부재와 상기 제4단위지지대의 제3안착홈부를 결합하는 (h) 단계, 상기 제5단위지지대의 돌출결합부를 상기 기저면에 위치하는 홈형상을 포함하는 고정물과 결합하는 (i) 단계, 상기 파이프 서포트의 측방홀, 상기 조절지지대의 제1측방볼트결합부, 및 상기 단위지지대의 제2측방볼트결합부를 관통하는 측방볼트를 삽입하고, 상기 측방볼트와 상기 고정물을 막대 형태의 나사와 나사결합하는 (m)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 지지대의 설치방법은, 상기 (c) 단계 후, 상기 파이프 서포트의 측방홀, 상기 조절지지대의 제1측방볼트결합부, 및 상기 단위지지대의 제2측방볼트결합부를 관통하는 측방볼트를 삽입하고, 상기 측방볼트와 상기 기저면에 위치하는 고정물을 나사결합하는 (n)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 지지대는 기준면으로부터 파이프 중심까지의 거리를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해 조절지지대와 단위지지대를 사용하여 기준면으로부터 파이프 서포트까지의 높이 차이를 보정할 수 있다.
단위지지대는 일정한 높이를 갖는 블록 형태를 포함하여, 기저면으로부터 파이프 서포트까지의 다양한 높이 차이에 대해서 단위지지대를 적층함으써 용이하게 보정할 수 있다.
조절지지대는 최상층에 적층된 단위지지대 상부로부터 파이프 서포트까지의 다양한 높이 차이를 다양한 높이를 갖는 지지대를 사용하여 보정할 수 있다.
조절지지대는 다양한 높이 차이의 보정을 위해 다양한 높이가 가능하나, 단위지지대는 작업의 신속성과 제품 생산의 경제성 등을 위해 일정한 높이의 규격화된 지지대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조절지지대 및 단위지지대의 결합력을 강화하기 위해 볼트와 너트를 사용할 수 있으며, 제1인서트부재, 제2인서트부재, 제1너트부재, 제2너트부재를 사용하여 지지대의 결합력과 강성을 강화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 지지대의 설치방법은 파이프의 직경이나 단위지지대의 적층 높이 등에 따라 조절지지대와 단위지지대 및 지지대 서포트를 다양한 방법으로 신속하고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다. 중앙볼트와 측방볼트, 막대 형태의 나사 등을 이용하여 지지대를 다양한 방법으로 결합하여 정확하게 기준면으로부터 파이프 중심까지의 높이를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파이프 지지대를 설치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지지대의 개략적인 사용상태도이다.
도 2와 도 3은 본 발명의 서로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지지대의 조절지지대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와 도 3의 실시예에 따른 조절지지대를 하측에서 본 개략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지지대의 조절지지대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실시예에 따른 조절지지대를 하측에서 본 개략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지지대의 단위지지대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실시예에 따른 단위지지대를 하측에서 본 개략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지지대의 단위지지대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의 실시예에 따른 단위지지대를 하측에서 본 개략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지지대의 제1너트부재 또는 제2너트부재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지지대의 제1인서트부재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지지대의 제2인서트부재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14 내지 도 19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 내지 제6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지지대의 설치방법에 대한 개략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10) 지지대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10) 지지대의 개략적인 사용상태도이고, 도 2와 도 3은 본 발명의 서로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10) 지지대의 조절지지대(100)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2와 도 3의 실시예에 따른 조절지지대(100)를 하측에서 본 개략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10) 지지대의 조절지지대(100) 사시도이며, 도 6은 도 5의 실시예에 따른 조절지지대(100)를 하측에서 본 개략도이다.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파이프(10) 지지대는 조절지지대(100), 단위지지대(200), 제1너트부재(300), 제2너트부재(600), 제1인서트부재(400), 제2인서트부재(500)를 포함할 수 있다.
파이프(10) 지지대는 조절지지대(100), 및 기저면으로부터 단수 또는 복수 개를 적층하여 상기 조절지지대(100)와 결합하고, 기설정된 높이를 갖는 단위지지대(200)를 포함하며, 상기 조절지지대(100)는 최상층에 적층된 상기 단위지지대(200)와 파이프(10) 사이에 위치하여 기준면으로부터 상기 파이프(10) 중심까지의 높이를 미리 정해진 높이로 유지할 수 있다. 상기 파이프(10)와 결합하는 파이프 서포트(20)를 포함하며, 상기 조절지지대(100)는, 상기 조절지지대(100)의 상부에 위치하며 상기 파이프 서포트(20)와 결합하는 제1안착홈부(120), 상기 제1안착홈부(120)의 중앙 부분을 관통하는 제1중앙볼트홀부(110), 상기 조절지지대(100)의 하부에 위치하며 상기 단위지지대(200)와 결합하는 제2안착홈부(130), 및 상기 조절지지대(100)의 하부에 복수 개의 홈(15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중앙볼트홀부(110)는, 상부에 위치하는 제1상부홀(111), 상기 제1상부홀(111)의 하부에 위치하는 너트 형상의 제1너트홈(112), 및 상기 제1너트홈(112)의 하부에 위치하며 상기 제1상부홀(111)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갖는 원판 형태의 제1원판홈(11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절지지대(100)는 상기 제1중앙볼트홀부(110)와 결합하는 제1너트부재(300)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너트부재(300)는, 상기 제1너트홈(112)에 대응하여 삽입되는 제1너트부(310), 상기 제1너트부(310)로부터 연장되며 중공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원판홈(113)에 대응하여 삽입되는 제1원판부(3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절지지대(100)는 상기 제1안착홈부(120) 및 제2안착홈부(130)를 관통하는 두 개의 제1측방볼트결합부(140)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측방볼트결합부(140)는 상기 제1중앙볼트홀부(110)를 중심으로 대칭으로 위치하며 막대 형상의 홀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파이프 서포트(20)는 배관 파이프(10)와 직접 결합하여 배관 파이프(10)를 지지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조절지지대 결합부(21), 중앙홀(22)과 측방홀(23)을 포함할 수 있다. 조절지지대 결합부(21)는 파이프 서포트(20)의 하부에 위치하며 후술하는 조절지지대(100)와 결합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중앙홀(22)은 조절지지대 결합부(21)의 중앙에 위치하는 것으로 후술하는 중앙볼트(30)가 삽입될 수 있다. 도 15 또는 도 18의 예시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측방홀(23)은 조절지지대 결합부(21)에 위치하는 것으로 파이프 서포트(20) 중앙홀(22)을 중심으로 대칭으로 2개가 위치할 수 있으며, 후술하는 측방볼트(40)가 삽입될 수 있다.
조절지지대(100)는 적층된 후술하는 단위지지대(200)의 최상층에 위치하는 단위지지대(200)와 파이프 서포트(20) 사이에 위치하는 것으로, 제1중앙볼트홀부(110), 제1안착홈부(120), 제2안착홈부(130), 및 하부에 홈(150)을 포함할 수 있다. 조절지지대(100)는 기준면으로부터 파이프(10) 중심까지의 거리를 일정한 높이로 유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기준면은 특정한 면으로부터 파이프(10) 중심까지의 높이를 측정하는 기준이 되는 가상의 평면일 수 있다. 조절지지대(100)는 최상층에 적층된 단위지지대(200) 상부로부터 파이프 서포트(20)까지의 다양한 높이 차이를 다양한 높이를 갖는 지지대를 사용하여 보정할 수 있다.
제1안착홈부(120)는 조절지지대(100)의 상부에 위치하는 것으로, 조절지지대(100) 상부에 단차를 형성하여 전술한 파이프 서포트(20)의 조절지지대 결합부(21)와 결합함으로써, 조절지지대(100)와 파이프 서포트(20)를 결합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일례로, 도 2, 도 3, 또는 도 5의 예시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제1안착홈부(120)는 다양한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중앙볼트홀부(110)는 제1안착홈부(120)의 중앙 부분을 관통하여 위치하는 것으로, 제1상부홀(111), 제1너트홈(112), 제1원판홈(113)을 포함할 수 있다. 제1중앙볼트홀부(110)는 후술하는 중앙볼트(30)가 삽입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도 4 또는 도 6의 예시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제1상부홀(111)은 제1중앙볼트홀부(110)의 상부에 위치하는 것으로 원통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너트홈(112)은 제1상부홀(111)의 하부에 위치하는 것으로, 일례로 육각 기둥의 너트 형상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제1상부홀(111)의 직경보다 더 큰 형태일 수 있다.
제1원판홈(113)은 제1너트홈(112)의 하부에 위치하는 것으로, 일례로 제1상부홀(111)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갖는 원판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도 4의 예시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제1중앙볼트홀부(110)는 원통 형태의 홀만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제2안착홈부(130)는 조절지지대(100)의 하부에 위치하는 것으로, 조절지지대(100) 하부에 단차를 형성하여 후술하는 단위지지대(200)의 돌출결합부(220)와 결합함으로써, 조절지지대(100)와 단위지지대(200)를 결합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일례로, 도 4 또는 도 6의 예시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제2안착홈부(130)는 두 개를 포함하며 서로 대칭되는 형태일 수 있다.
조절지지대(100)의 하부는 복수 개의 홈(150)을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도 4 또는 도 6의 예시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조절지지대(100) 하부의 홈(150)은 조절지지대(100)의 길이 방향을 기준으로 대칭으로 규칙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조절지지대(100) 하부의 홈(150)은 재료 절감의 효과가 있으며, 조절지지대(100) 제조시 재료의 수축에 따른 휘어짐 방지 효과가 있다.
제1너트부재(300)는 제1중앙볼트홀부(110)에 결합하여 조절지지대(100)와 제1중앙볼트홀부(110)에 결합하는 중앙볼트(30)를 지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제1너트부재(300)는 제1너트부(310)와 제1원판부(32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1의 예시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제1너트부(310)는 전술한 제1너트홈(112)에 대응하는 형태로 중공부를 포함하는 육각기둥 형태일 수 있다.
제1원판부(320)는 제1너트부(310)의 일측으로부터 연장되는 것으로 전술한 제1원판홈(113)에 대응하는 형태로 중공부를 포함하는 원판 형태일 수 있다. 일례로, 제1너트부(310)와 제1원판부(320)는 일체로 이루어져 제1너트홈(112)과 제1원판홈(113)에 삽입될 수 있으며, 후술하는 중앙볼트(30)가 제1너트부재(300)의 중공부를 관통할 수 있다.
일례로, 제1너트부재(300)는 제1중앙볼트홀부(110)의 크기와 모양에 따라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일례로, 제1너트부재(300)는 높이가 7.5㎜, 제1원판부(320)의 직경이 20㎜일 수 있다.
제1측방볼트결합부(140)는 전술한 제1안착홈부(120)와 제2안착홈부(130)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홀 형태로, 제1중앙볼트홀부(110)를 중심으로 대칭으로 2개가 형성될 수 있다. 제1측방볼트결합부(140)는 파이프 서포트(20)의 측방홀(23)에 삽입되는 측방볼트(40)가 관통하게 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도 5의 예시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제1측방볼트결합부(140)는 조절지지대(100)의 길이 방향으로 막대 형상으로 길쭉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막대 형태의 제1측방볼트결합부(140)는 파이프 서포트(20)가 조절지지대(100)의 길이 방향으로 위치 조절을 하여 결합할 수 있게 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일례로, 제1측방볼트결합부(140)의 양단은 반원 형태일 수 있으며 제1측방볼트결합부(140)의 폭 방향의 길이가 후술하는 측방볼트(40)의 직경보다 약간 크게하여 둥근 형태의 볼트와 결합시 생기는 빈 공간을 최소화하여 조절지지대(100)의 구조적 안전성을 강화하고, 측방볼트(40)와 조절지지대(100)의 결합력을 강화할 수 있다.
일례로, 도 2 또는 도 3의 예시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조절지지대(100)는 제1측방볼트결합부(140)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일례로, 조절지지대(100)는 지지하는 파이프(10)의 크기와 기저면으로부터의 높이에 따라 크기가 변형될 수 있다. 도 2 또는 도 5를 참조하면 일례로, 조절지지대(100)는 가로 길이가 87㎜, 세로 길이가 40㎜, 높이가 9㎜이거나, 가로 길이가 167㎜, 세로 길이가 70㎜, 높이가 16.5㎜일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10) 지지대의 단위지지대(200)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의 실시예에 따른 단위지지대(200)를 하측에서 본 개략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10) 지지대의 단위지지대(200) 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9의 실시예에 따른 단위지지대(200)를 하측에서 본 개략도이며,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10) 지지대의 제1너트부재(300) 또는 제2너트부재(600)에 대한 사시도이다.
파이프(10) 지지대는 상기 파이프(10)와 결합하는 파이프 서포트(20)를 포함하며, 상기 단위지지대(200)는, 상기 단위지지대(200)의 상부에 돌출되어 위치하며 상기 조절지지대(100)의 하부와 결합하는 돌출결합부(220), 상기 단위지지대(200)의 중앙 부분을 관통하는 제2중앙볼트홀부(210), 상기 단위지지대(200)의 하부에 위치하며 하측에 위치하는 상기 단위지지대(200)의 상기 돌출결합부(220)와 결합하는 제3안착홈부(230), 및 상기 단위지지대(200)의 하부에 복수 개의 홈(25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중앙볼트홀부(210)는, 상부에 위치하는 제2상부홀(211), 상기 제2상부홀(211)의 하부에 위치하는 너트 형상의 제2너트홈(212), 및 상기 제2너트홈(212)의 하부에 위치하며 상기 제2상부홀(211)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갖는 원판 형태의 제2원판홈(21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위지지대(200)는 상기 제2중앙볼트홀부(210)와 결합하는 제2너트부재(600)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2너트부재(600)는, 상기 제2너트홈(212)에 대응하여 삽입되는 제2너트부(610), 상기 제2너트부(610)로부터 연장되며 중공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원판홈(213)에 대응하여 삽입되는 제2원판부(6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위지지대(200)는 상기 돌출결합부(220) 및 제3안착홈부(230)를 관통하는 두 개의 제2측방볼트결합부(240)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2측방볼트결합부(240)는 상기 제2중앙볼트홀부(210)를 중심으로 대칭으로 위치하며 막대 형상의 홀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측방볼트결합부(240)는, 상부에 위치하는 막대 형상의 제3상부홀(241), 및 상기 제3상부홀(241)의 하부에 위치하는 제1인서트부재삽입홈(242)을 포함할 수 있다.
단위지지대(200)는 기저면으로부터 복수 개를 적층하여 전술한 조절지지대(100)의 제2안착홈부(130)와 결합하는 것으로, 제2중앙볼트홀부(210), 돌출결합부(220), 제3안착홈부(230), 및 하부에 홈(250)을 포함할 수 있다. 기저면은 파이프(10)가 설치되는 곳의 바닥부분이거나, 바닥부분에 파이프(10) 지지대와 결합하는 고정물(60, 70)이 있는 경우 파이프(10) 지지대와 접촉하는 고정물(60, 70)의 부분를 뜻할 수 있다.
단위지지대(200)는 일정한 높이를 갖는 것으로, 기저면으로부터 조절지지대(100)까지 빈 공간을 복수 개의 단위지지대(200)를 적층하여 파이프(10)를 지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일례로, 기저면으로부터 조절지지대(100)까지의 거리가 작아 단위지지대(200) 필요 없거나 하나의 단위지지대(200)가 필요한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일례로 단위지지대(200)의 기설정된 일정한 높이는 10㎜일 수 있다.
돌출결합부(220)는 단위지지대(200)의 상부에 위치하며 전술한 조절지지대(100)의 제2안착홈부(130)와 결합할 수 있도록 돌출되어 있는 부분을 포함하여 단위지지대(200)와 조절지지대(100)를 결합할 수 있다. 또한 돌출결합부(220)는 다른 단위지지대(200)의 하부에 있는 후술하는 제3안착홈부(230)와 결합하여 단위지지대(200)를 적층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일례로 도 7 또는 도 9의 예시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돌출결합부(220)는 후술하는 제2중앙볼트홀부(210)를 중심으로 대칭으로 2개가 형성될 수 있다.
제2중앙볼트홀부(210)는 단위지지대(200)의 중앙 부분을 관통하여 위치하는 것으로, 제2상부홀(211), 제2너트홈(212), 제2원판홈(213)을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제2중앙볼트홀부(210)는 전술한 제1중앙볼트홀부(110)와 연통되도록 동일한 크기의 홀을 포함할 수 있으며, 후술하는 중앙볼트(30)가 삽입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도 10의 예시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제2상부홀(211)은 제2중앙볼트홀부(210)의 상부에 위치하는 것으로 원통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제2너트홈(212)은 제2상부홀(211)의 하부에 위치하는 것으로, 일례로 육각 기둥의 너트 형상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제2상부홀(211)의 직경보다 더 큰 형태일 수 있다.
제2원판홈(213)은 제2너트홈(212)의 하부에 위치하는 것으로, 일례로 제2상부홀(211)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갖는 원판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도 8의 예시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제2중앙볼트홀부(210)는 원통 형태의 홀만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제3안착홈부(230)는 단위지지대(200)의 하부에 위치하는 것으로, 단위지지대(200) 하부에 단차를 형성하여 하층의 단위지지대(200)의 돌출결합부(220)와 결합함으로써, 단위지지대(200)를 결합하여 적층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일례로, 도 8 또는 도 10의 예시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제3안착홈부(230)는 두 개를 포함하며 제2중앙볼트홀부(210)를 중심으로 서로 대칭되는 형태로 위치할 수 있다.
단위지지대(200)의 하부는 복수 개의 홈(250)을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도 8이나 도 10의 예시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단위지지대(200) 하부의 홈(250)은 단위지지대(200)의 길이 방향을 기준으로 대칭으로 규칙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단위지지대(200) 하부의 홈(250)은 재료 절감의 효과가 있으며, 단위지지대(200) 제조시 재료의 수축에 따른 휘어짐 방지 효과가 있다.
제2너트부재(600)는 제2중앙볼트홀부(210)에 결합하여 단위지지대(200)와 제2중앙볼트홀부(210)에 결합하는 중앙볼트(30)를 지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제2너트부재(600)는 제2너트부(610)와 제2원판부(620)를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제2너트부재(600)는 제1너트부재(300)와 형태가 동일할 수 있다.
도 11의 예시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제2너트부(610)는 전술한 제2너트홈(212)에 대응하는 형태로 중공부를 포함한 육각기둥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제2원판부(620)는 제2너트부(610)의 일측으로부터 연장되는 것으로 전술한 제2원판홈(213)에 대응하는 형태로 중공부를 포함한 원판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제2너트부(610)와 제2원판부(620)는 일체로 이루어져 제2너트홈(212)과 제2원판홈(213)에 삽입될 수 있으며, 후술하는 중앙볼트(30)가 제2너트부재(600)의 중공부를 관통할 수 있다.
일례로, 제2너트부재(600)는 제2중앙볼트홀부(210)의 크기와 모양에 따라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일례로, 제2너트부재(600)는 높이가 7.5㎜, 제2원판부(620)의 직경이 20㎜일 수 있다.
제2측방볼트결합부(240)는 돌출결합부(220)와 제3안착홈부(230)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홀 형태로, 제3상부홀(241), 제1인서트부재삽입홈(242)을 포함할 수 있다. 제2측방볼트결합부(240)는 제2중앙볼트홀부(210)를 중심으로 대칭으로 2개가 형성될 수 있다. 제2측방볼트결합부(240)는 파이프 서포트(20)의 측방홀(23)에 삽입되는 측방볼트(40)가 관통하게 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일례로, 제2측방볼트결합부(240)는 제1측방볼트결합부(140)와 연통되도록 동일한 크기의 홀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0의 예시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제3상부홀(241)은 제2측방볼트결합부(240)의 상부에 위치하는 것으로 타원통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인서트부재삽입홈(242)은 제3상부홀(241)의 하부에 위치하는 것으로, 후술하는 제1인서트부재(400)를 삽입시켜 안착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일례로 제1인서트부재삽입홈(242)은 제3상부홀(241)의 크기보다 더 큰 형태의 육각 기둥 형상일 수 있다.
도 9의 예시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제2측방볼트결합부(240)는 단위지지대(200)의 길이 방향으로 막대 형상으로 길쭉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막대 형태의 제2측방볼트결합부(240)는 파이프 서포트(20)가 단위지지대(200)의 길이 방향으로 위치 조절을 하여 결합할 수 있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일례로, 제3상부홀(241)의 양단은 반원 형태일 수 있으며 제3상부홀(241)의 폭 방향의 길이가 후술하는 측방볼트(40)의 직경보다 약간 크게하여 둥근 형태의 볼트와 결합시 생기는 빈 공간을 최소화하여 단위지지대(200)의 구조적 안전성을 강화하고, 측방볼트(40)와 단위지지대(200)의 결합력을 강화할 수 있다.
일례로, 도 7의 예시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단위지지대(200)는 제2측방볼트결합부(240)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일례로, 단위지지대(200)는 지지하는 파이프(10)의 크기와 기저면으로부터의 높이에 따라 크기가 변형될 수 있다. 도 7 또는 도 9를 참조하면 일례로, 단위지지대(200)는 가로 길이가 81㎜, 세로 길이가 40㎜, 높이가 10㎜이거나, 가로 길이가 120㎜, 세로 길이가 70㎜, 높이가 10㎜일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10) 지지대의 제1인서트부재(400)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10) 지지대의 제2인서트부재(500)에 대한 사시도이다.
상기 단위지지대(200)는 막대 형상의 중공부(410)를 포함하며 상기 제2측방볼트결합부(240)에 삽입되는 제1인서트부재(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위지지대(200)는 막대 형상의 중공부(510)를 포함하며 상기 제3안착홈부(230)와 결합하는 제2인서트부재(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인서트부재(400)는 제2측방볼트결합부(240)의 제1인서트부재삽입홈(242)에 대응하여 삽입되는 것으로 육각기둥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2의 예시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제1인서트부재(400)는 제3상부홀(241)과 같은 크기와 모양의 막대 형상의 중공부(410)를 포함할 수 있어, 둥근 형태의 볼트와 결합시 생기는 빈 공간을 최소화하여 단위지지대(200)의 구조적 안전성을 강화하고, 측방볼트(40)와 단위지지대(200)의 결합력을 강화할 수 있다. 제1인서트부재(400)는 단위지지대(200)와 제2측방볼트결합부(240)에 결합하는 측방볼트(40)를 지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제2인서트부재(500)는 제3안착홈부(230)와 결합하는 것으로, 막대 형상의 중공부(51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3의 예시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제2인서트부재(500)는 제3안착홈부(230)에 삽입되어 결합하는 것으로, 일단은 단위지지대(200)의 세로 부분에서 돌출되지 않도록 직선형으로 되어 있고, 타단은 둥근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제2인서트부재(500)는 단위지지대(200)의 하부에 있는 제3안착홈부(230)에 결합되어 전술한 돌출결합부(220)와 비슷한 기능을 할 수 있다. 도 16의 예시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제2인서트부재(500)는 제2인서트부재(500)가 결합하고 있는 단위지지대(200)의 하층에 결합하는 단위지지대(200)의 제3안착홈부(230)와도 결합할 수 있어 후술하는 홈을 포함하는 고정물(70)에 단위지지대(200)를 결합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일례로, 제2인서트부재(500)는 조절지지대(100)의 제2안착홈에도 결합할 수 있다.
제2인서트부재(500)는 제1인서트부재(400)의 중공부(410) 및 제3상부홀(241)에 대응하는 중공부(51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인서트부재(500)는 단위지지대(200)와 제2측방볼트결합부(240)에 결합하는 측방볼트(40)를 지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일례로, 제2인서트부재(500)는 2개의 제3안착홈부(230)에 결합할 수 있도록 2개가 대칭되는 형태로 제3안착홈부(230)에 결합할 수 있다.
일례로, 제1인서트부재(400)와 제2인서트부재(500)는 제2측방볼트결합부(240)의 크기에 따라 변형될 수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일례로, 제1인서트부재(400)는 가로 길이가 26.5㎜, 세로 길이가 10㎜, 높이가 5㎜일 수 있다. 일례로, 도 13을 참조하면, 제2인서트부재(500)는 가로 길이가 31㎜, 세로 길이가 13㎜, 높이가 4㎜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파이프(10) 지지대를 설치하는 방법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파이프(10) 지지대의 설치방법에 대한 개략도이다.
파이프(10) 지지대의 설치방법은 파이프(10)를 지지하기 위해 상기 파이프(10)와 결합하는 파이프 서포트(20)와 조절지지대(100)의 제1안착홈부(120)를 결합하는 S1 단계, 상기 조절지지대(100)의 제1중앙볼트홀부(110)에 제1너트부재(300)를 결합하고, 단위지지대(200)의 제2측방볼트결합부(240)에 제1인서트부재(400) 및 상기 단위지지대(200)의 제2중앙볼트홀부(210)에 제2너트부재(600)를 결합한 후 복수 개의 상기 단위지지대(200)를 적층하는 S2 단계, 상기 단위지지대(200)의 돌출결합부(220)와 상기 조절지지대(100)의 제2안착홈부(130)를 결합하는 S3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조절지지대(100)는 상기 파이프 서포트(20)와 최상층에 적층된 상기 단위지지대(200) 사이에 위치하여 기준면으로부터 상기 파이프(10) 중심까지의 높이를 미리 정해진 높이로 유지하며, 상기 단위지지대(200)는 기저면으로부터 단수 또는 복수 개를 적층하여 상기 조절지지대(100)와 결합하고, 기설정된 높이를 갖을 수 있다.
상기 S3 단계 후, 적층된 상기 단위지지대(200) 중의 하나인 제1단위지지대(700)에서 상기 제2너트부재(600)를 제거하고, 상기 제1단위지지대(700)와 결합하는 제2단위지지대(800)의 제2중앙볼트홀부(210)에 중앙볼트(30)를 삽입하고, 상기 제1단위지지대(700)와 상기 제2단위지지대(800)를 결합하는 S4 단계, 상기 제2단위지지대(800)의 하측에 적층된 제3단위지지대(900)에서 상기 제1인서트부재(400)와 상기 제2너트부재(600)를 제거하고, 상기 파이프 서포트(20)의 측방홀(23), 상기 조절지지대(100)의 제1측방볼트결합부(140), 및 상기 단위지지대(200)의 제2측방볼트결합부(240)를 관통하는 측방볼트(40)를 삽입한 후, 너트를 상기 측방볼트(40)와 결합하고, 상기 측방볼트(40)와 결합한 상기 너트를 상기 제3단위지지대(900)의 제1인서트부재삽입홈(242)에 삽입한 후, 상기 측방볼트(40)와 상기 너트를 나사결합하는 S5 단계, 상기 제2단위지지대(800)의 제2중앙볼트홀부(210)로부터 적층된 최하층의 상기 단위지지대(200)까지 관통하는 중앙볼트(30)와 상기 기저면에 위치하는 고정물(60)을 나사결합하는 S6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S1 단계는 파이프 서포트(20)와 조절지지대(100)를 결합하는 단계로, 파이프 서포트(20)의 지지대 결합부(21)를 조절지지대(100)의 제1안착홈부(120)에 결합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S1 단계는 후술하는 중앙볼트(30)나 측방볼트(40)가 파이프 서포트(20)의 중앙홀(22)이나 측방홀(23)에 삽입되기 전의 어느 단계 후에도 시행할 수 있다.
S2 단계는 조절지지대(100)의 제1중앙볼트홀부(110)에 제1너트부재(300)를 결합하고, 단위지지대(200)의 제2중앙볼트홀부(210)에 제2너트부재(600)를 결합하고, 단위지지대(200)의 제2측방볼트결합부(240)에 제1인서트부재(400)를 결합한 후, 하층 단위지지대(200)의 돌출결합부(220)와 상층 단위지지대(200)의 제3안착홈부(230)를 결합하여 단위지지대(200)를 적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S3 단계는 단위지지대(200)와 조절지지대(100)를 결합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단위지지대(200)와 조절지지대(100)의 결합은 S2 단계에서 적층된 단위지지대(200)에 대하여, 최상층의 단위지지대(200)의 돌출결합부(220)와 조절지지대(100)의 제2안착홈부(130)를 결합시킬 수 있다. 다만, 조절지지대(100)와 단위지지대(200)를 결합한 후 적층된 단위지지대(200)를 조절지지대(100)와 결합한 단위지지대(200)에 결합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S4 단계를 살펴보면, 제1단위지지대(700)는 적층된 단위지지대(200) 중의 임의의 하나로 S2 단계에서 결합한 제2너트부재(600)를 제거한 단위지지대(200)이다. 제2단위지지대(800)는 제1단위지지대(700)의 하층에서 제1단위지지대(700)와 직접 결합하는 것이다. S4 단계는 제1단위지지대(700)에서 제2너트부재(600)를 제거하고, 제2단위지지대(800)의 제2중앙볼트홀부(210)에 중앙볼트(30)를 삽입한 후, 제1단위지지대(700)와 제2단위지지대(800)를 결합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중앙볼트(30)는 파이프 서포트(20)의 중앙홀(22), 조절지지대(100)의 제1중앙볼트홀부(110), 및 단위지지대(200)의 제2중앙볼트홀부(210)에 삽입되는 볼트이다.
S5 단계를 살펴보면, 제3단위지지대(900)는 제2단위지지대(800) 보다 아래에 적층되어 위치하는 단위지지대(200)로 S2 단계에서 결합된 제1인서트부재(400)와 제2너트부재(600)를 제거한 단위지지대(200)이다. S5 단계는 제3단위지지대(900)에서 제1인서트부재(400)와 제2너트부재(600)를 제거하고, 파이프 서포트(20)의 측방홀(23), 조절지지대(100)의 제1측방볼트결합부(140), 및 단위지지대(200)의 제2측방볼트결합부(240)를 관통하는 측방볼트(40)를 삽입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측방볼트(40)는 파이프 서포트(20)의 측방홀(23), 조절지지대(100)의 제1측방볼트결합부(140), 및 단위지지대(200)의 제2측방볼트결합부(240)에 삽입되는 볼트이다. 일례로, 측방볼트(40)는 중앙볼트(30) 보다 직경이 작은 볼트를 사용할 수 있다.
다음으로 너트를 측방볼트(40)와 결합하고, 측방볼트(40)와 결합한 너트를 제3단위지지대(900)의 제1인서트부재삽입홈(242)에 안착되도록 제1인서트부재삽입홈(242)에 삽입한 후, 측방볼트(40)와 너트를 나사결합할 수 있다. S5 단계를 시행하게 되면 파이프 서포트(20)와 조절지지대(100), 및 조절지지대(100)와 결합한 단위지지대(200)로부터 제3단위지지대(900)까지가 측방볼트(40)에 의해 나사결합으로 결합하게 된다.
S6 단계는 제2단위지지대(800)의 제2중앙볼트홀부(210)로부터 적층된 최하층의 단위지지대(200)까지 관통하는 중앙볼트(30)와 기저면에 위치하는 고정물(60)을 나사결합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고정물은 H 빔일 수 있다.
일례로, 도 14의 예시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제2단위지지대(800)와 제3단위지지대(900)를 포함하여 제2단위지지대(800)와 제3단위지지대(900) 사이에 있는 단위지지대(200)는 중앙볼트(30)와 측방볼트(40)가 모두 관통하는 구간일 수 있다. 중앙볼트(30)와 측방볼트(40)가 모두 관통하는 오버랩 구간은 파이프(10) 지지대들을 좀 더 강력하게 결합하여 파이프(10) 배관을 좀더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파이프(10) 지지대의 설치방법에 대한 개략도이다.
파이프(10) 지지대의 설치방법은 상기 S3 단계 후, 상기 파이프 서포트(20)의 중앙홀(22), 상기 조절지지대(100)의 제1중앙볼트홀부(110), 및 상기 단위지지대(200)의 제2중앙볼트홀부(210)를 관통하는 중앙볼트(30)를 삽입하고, 상기 중앙볼트(30)와 상기 기저면에 위치하는 고정물(60)을 나사결합하는 S7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S7 단계는 파이프 서포트(20)의 중앙홀(22), 조절지지대(100)의 제1중앙볼트홀부(110), 및 단위지지대(200)의 제2중앙볼트홀부(210)를 관통하는 중앙볼트(30)를 삽입하고, 중앙볼트(30)와 기저면에 위치하는 고정물(60)을 나사결합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도 15의 예시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고정물은 H 빔일 수 있다.
제2실시예는 제1실시예와 비교해 볼 때, S3 단계 후 S4 내지 S6 단계를 시행하지 않고 S7 단계를 시행하는 것으로, 기준면으로부터 파이프(10) 중심까지의 거리가 크지 않은 경우에 비교적 간단하고 신속하게 설치되어 사용될 수 있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파이프(10) 지지대의 설치방법에 대한 개략도이다.
파이프(10) 지지대의 설치방법은 상기 S3 단계 후, 적층된 상기 단위지지대(200) 중의 하나인 제1단위지지대(700)에서 상기 제2너트부재(600)를 제거하고, 상기 제1단위지지대(700)와 결합하는 제2단위지지대(800)의 제2중앙볼트홀부(210)에 중앙볼트(30)를 삽입하고, 상기 제1단위지지대(700)와 상기 제2단위지지대(800)를 결합하는 S4 단계, 상기 제2단위지지대(800)의 하측에 적층된 제3단위지지대(900)에서 상기 제1인서트부재(400)와 상기 제2너트부재(600)를 제거하고, 상기 파이프 서포트(20)의 측방홀(23), 상기 조절지지대(100)의 제1측방볼트결합부(140), 및 상기 단위지지대(200)의 제2측방볼트결합부(240)를 관통하는 측방볼트(40)를 삽입한 후, 너트를 상기 측방볼트(40)와 결합하고, 상기 측방볼트(40)와 결합한 상기 너트를 상기 제3단위지지대(900)의 제1인서트부재삽입홈(242)에 삽입한 후, 상기 측방볼트(40)와 상기 너트를 나사결합하는 S5 단계, 적층된 상기 단위지지대(200)의 최하층에 위치하는 제5단위지지대(1100)를 상기 제5단위지지대(1100)와 결합한 제4단위지지대(1000)에서 분리한 후, 상기 제4단위지지대(1000)의 제3안착홈부(230)에 제2인서트부재(500)를 삽입하고, 상기 제5단위지지대(1100)를 뒤집어 상기 제5단위지지대(1100)의 제3안착홈부(230)와 상기 제2인서트부재(500)를 결합하거나, 상기 제5단위지지대(1100)를 뒤집어 상기 제5단위지지대(1100)의 제3안착홈부(230)에 제2인서트부재(500)를 삽입하고, 상기 제2인서트부재(500)와 상기 제4단위지지대(1000)의 제3안착홈부(230)를 결합하는 S8 단계, 상기 제5단위지지대(1100)의 돌출결합부(220)를 상기 기저면에 위치하는 홈형상을 포함하는 고정물(70)과 결합하는 S9 단계, 상기 제2단위지지대(800) 및 상기 제5단위지지대(1100)의 제2중앙볼트홀부(210)를 관통하는 중앙볼트(30)와 상기 고정물(70)을 막대 형태의 나사(50)와 나사결합하는 S10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S4 단계, S5 단계는 전술한 바와 같다.
다음으로 S8 단계에 대해 살펴보면, 제5단위지지대(1100)는 적층된 단위지지대(200)의 최하층에 위치하는 단위지지대(200)이고, 제4단위지지대(1000)는 제5단위지지대(1100) 위층에 위치하며 제5단위지지대(1100)와 직접 결합하고 있는 단위지지대(200)이다.
S8 단계는 적층된 제5단위지지대(1100)를 제4단위지지대(1000)에서 분리하고, 제2인서트부재(500)를 제4단위지지대(1000) 또는 제5단위지지대(1100)의 제3안착홈부(230)에 삽입한 후, 제5단위지지대(1100)를 뒤집어 제4단위지지대(1000)와 제5단위지지대(1100)를 결합하는 단계이다. 즉 도 16의 예시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제4단위지지대(1000)에 제2인서트부재(500)를 삽입한 경우에는 제5단위지지대(1100)의 제3안착홈부(230)와 제2인서트부재(500)를 결합시키고, 제5단위지지대(1100)에 제2인서트부재(500)를 삽입한 경우에는 제4단위지지대(1000)의 제3안착홈부(230)와 제2인서트부재(500)를 결합시켜 제4단위지지대(1000)와 뒤집힌 제5단위지지대(1100)를 결합시킬 수 있다.
S9 단계는 제5단위지지대(1100)의 돌출결합부(220)를 기저면에 위치하는 홈형상을 포함하는 고정물(70)과 결합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홈형상을 포함하는 고정물(70)은 도 16의 예시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중공부를 포함하며 상부의 일부가 개구되어 있는 트레이(tray)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제5단위지지대(1100)의 돌출결합부(220)를 홈형상을 포함하는 고정물(70)의 홈(71)(71)에 삽입하여 제5단위지지대(1100)와 홈형상을 포함하는 고정물(70)을 결합시킬 수 있다.
S10 단계는 제2단위지지대(800)의 제2중앙볼트홀부(210) 및 적층되어 있는 제5단위지지대(1100)의 제2중앙볼트홀부(210)를 관통하는 중앙볼트(30)와 홈형상을 포함하는 고정물(70)을 막대 형태의 나사(50)를 사용하여 나사결합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도 16의 예시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막대 형태의 나사(50)는 나사의 길이 방향의 길이가 홈형상을 포함하는 고정물(70)의 홈(71)의 폭 방향 길이보다 길거나 홈형상을 포함하는 고정물(70)의 가로 방향 길이보다 길 수 있다. 일례로, 중앙볼트(30)와 결합한 막대 형태의 나사(50)는 중앙볼트(30)에 삽입된 후 홈형상을 포함하는 고정물(70)의 홈(71) 속으로 삽입된 후, 중앙볼트(30)를 회전시킴으로서 홈형상을 포함하는 고정물(70)의 홈(71)의 폭 방향으로 회전하고 홈형상을 포함하는 고정물(70)의 내부 측면에 걸리게 되어 중앙볼트(30)와 홈형상을 포함하는 고정물(70)을 나사결합할 수 있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파이프(10) 지지대의 설치방법에 대한 개략도이다.
파이프(10) 지지대의 설치방법은 상기 S3 단계 후, 적층된 상기 단위지지대(200)의 최하층에 위치하는 제5단위지지대(1100)를 상기 제5단위지지대(1100)와 결합한 제4단위지지대(1000)에서 분리한 후, 상기 제4단위지지대(1000)의 제3안착홈부(230)에 제2인서트부재(500)를 삽입하고, 상기 제5단위지지대(1100)를 뒤집어 상기 제5단위지지대(1100)의 제3안착홈부(230)와 상기 제2인서트부재(500)를 결합하거나, 상기 제5단위지지대(1100)를 뒤집어 상기 제5단위지지대(1100)의 제3안착홈부(230)에 제2인서트부재(500)를 삽입하고, 상기 제2인서트부재(500)와 상기 제4단위지지대(1000)의 제3안착홈부(230)를 결합하는 S8 단계, 상기 제5단위지지대(1100)의 돌출결합부(220)를 상기 기저면에 위치하는 홈형상을 포함하는 고정물(70)과 결합하는 S9 단계, 상기 파이프 서포트(20)의 중앙홀(22), 상기 조절지지대(100)의 제1중앙볼트홀부(110), 및 상기 단위지지대(200)의 제2중앙볼트홀부(210)를 관통하는 중앙볼트(30)를 삽입하고, 상기 중앙볼트(30)와 상기 고정물(70)을 막대 형태의 나사(50)와 나사결합하는 S11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S8 단계, S9 단계는 전술한 바와 같다.
S11 단계는 파이프 서포트(20)의 중앙홀(22), 조절지지대(100)의 제1중앙볼트홀부(110), 및 단위지지대(200)의 제2중앙볼트홀부(210)를 관통하는 중앙볼트(30)를 삽입하고, 중앙볼트(30)와 홈형상을 포함하는 고정물(70)을 막대 형태의 나사(50)와 나사결합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도 17의 예시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막대 형태의 나사(50)는 나사의 길이 방향의 길이가 홈형상을 포함하는 고정물(70)의 홈(71)의 폭 방향 길이보다 길거나 홈형상을 포함하는 고정물(70)의 가로 방향 길이보다 길 수 있다. 일례로, 중앙볼트(30)와 결합한 막대 형태의 나사(50)는 중앙볼트(30)에 삽입된 후 홈형상을 포함하는 고정물(70)의 홈(71) 속으로 삽입된 후, 중앙볼트(30)를 회전시킴으로서 홈형상을 포함하는 고정물(70)의 홈(71)의 폭 방향으로 회전하고 홈형상을 포함하는 고정물(70)의 내부 측면에 걸리게 되어 중앙볼트(30)와 고정물을 나사결합할 수 있다.
제4실시예는 제3실시예와 비교해 볼 때, S4 단계와 S5 단계를 시행하지 않는 것으로, 기준면으로부터 파이프(10) 중심까지의 거리가 크지 않은 경우에 비교적 간단하고 신속하게 설치되어 사용될 수 있다.
도 18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파이프(10) 지지대의 설치방법에 대한 개략도이다.
파이프(10) 지지대의 설치방법은 상기 S3 단계 후, 적층된 상기 단위지지대(200)의 최하층에 위치하는 제5단위지지대(1100)를 상기 제5단위지지대(1100)와 결합한 제4단위지지대(1000)에서 분리한 후, 상기 제4단위지지대(1000)의 제3안착홈부(230)에 제2인서트부재(500)를 삽입하고, 상기 제5단위지지대(1100)를 뒤집어 상기 제5단위지지대(1100)의 제3안착홈부(230)와 상기 제2인서트부재(500)를 결합하거나, 상기 제5단위지지대(1100)를 뒤집어 상기 제5단위지지대(1100)의 제3안착홈부(230)에 제2인서트부재(500)를 삽입하고, 상기 제2인서트부재(500)와 상기 제4단위지지대(1000)의 제3안착홈부(230)를 결합하는 S8 단계, 상기 제5단위지지대(1100)의 돌출결합부(220)를 상기 기저면에 위치하는 홈형상을 포함하는 고정물(70)과 결합하는 S9 단계, 상기 파이프 서포트(20)의 측방홀(23), 상기 조절지지대(100)의 제1측방볼트결합부(140), 및 상기 단위지지대(200)의 제2측방볼트결합부(240)를 관통하는 측방볼트(40)를 삽입하고, 상기 측방볼트(40)와 상기 고정물(70)을 막대 형태의 나사(50)와 나사결합하는 S12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S8 단계, S9 단계는 전술한 바와 같다.
S12 단계는 파이프 서포트(20)의 측방홀(23), 조절지지대(100)의 제1측방볼트결합부(140), 및 단위지지대(200)의 제2측방볼트결합부(240)를 관통하는 측방볼트(40)를 삽입하고, 측방볼트(40)와 홈형상을 포함하는 고정물(70)을 막대 형태의 나사(50)와 나사결합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도 18의 예시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막대 형태의 나사(50)는 나사의 길이 방향의 길이가 홈형상을 포함하는 고정물(70)의 홈(71)의 폭 방향 길이보다 길거나 홈형상을 포함하는 고정물(70)의 가로 방향 길이보다 길 수 있다. 일례로, 측방볼트(40)와 결합한 막대 형태의 나사(50)는 측방볼트(40)에 삽입된 후 홈형상을 포함하는 고정물(70)의 홈(71) 속으로 삽입된 후, 측방볼트(40)를 회전시킴으로서 홈형상을 포함하는 고정물(70)의 홈(71)의 폭 방향으로 회전하고 홈형상을 포함하는 고정물(70)의 내부 측면에 걸리게 되어 측방볼트(40)와 홈형상을 포함하는 고정물(70)을 나사결합할 수 있다.
제5실시예는 제4실시예에서 중앙볼트(30) 대신 측방볼트(40)를 사용하는 경우로서, 제5실시예는 제3실시예와 비교해 볼 때, S4 단계와 S5 단계를 시행하지 않는 것으로, 기준면으로부터 파이프(10) 중심까지의 거리가 크지 않은 경우에 비교적 간단하고 신속하게 설치되어 사용될 수 있다.
도 19는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파이프(10) 지지대의 설치방법에 대한 개략도이다.
파이프(10) 지지대의 설치방법은 상기 S3 단계 후, 상기 파이프 서포트(20)의 측방홀(23), 상기 조절지지대(100)의 제1측방볼트결합부(140), 및 상기 단위지지대(200)의 제2측방볼트결합부(240)를 관통하는 측방볼트(40)를 삽입하고, 상기 측방볼트(40)와 상기 기저면에 위치하는 고정물(60)을 나사결합하는 S13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S13 단계는 파이프 서포트(20)의 측방홀(23), 조절지지대(100)의 제1측방볼트결합부(140), 및 단위지지대(200)의 제2측방볼트결합부(240)를 관통하는 측방볼트(40)를 삽입하고, 측방볼트(40)와 기저면에 위치하는 고정물(60)을 나사결합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도 19의 예시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고정물은 H 빔일 수 있다.
제6실시예는 제2실시예에서 중앙볼트(30) 대신 측방볼트(40)를 사용하는 경우로서, 제1실시예와 비교해 볼 때, S4 단계와 S5 단계를 시행하지 않는 것으로, 기준면으로부터 파이프(10) 중심까지의 거리가 크지 않은 경우에 비교적 간단하고 신속하게 설치되어 사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실시예들을 구분하여 설명하였지만, 전술한 실시예는 일체에서 함께 구현될 수 있으며 각 실시예의 일부 구성들만 조합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파이프 20 : 파이프 서포트
21 : 파이프 서포트의 조절지지대 결합부 22 : 파이프 서포트의 중앙홀
23 : 파이프 서포트의 측방홀 30 : 중앙볼트
40 : 측방볼트 50 : 막대 형태의 나사
60 : 고정물 70 : 홈형상 포함 고정물
100 : 조절지지대 110 : 제1중앙볼트홀부
111 : 제1상부홀 112 : 제1너트홈
113 : 제1원판홈 120 : 제1안착홈부
130 : 제2안착홈부 140 : 제1측방볼트결합부
150 : 조절지지대 하부 홈 200 : 단위지지대
210 : 제2중앙볼트홀부 211 : 제2상부홀
212 : 제2너트홈 213 : 제2원판홈
220 : 돌출결합부 230 : 제3안착홈부
240 : 제2측방볼트결합부 241 : 제3상부홀
242 : 제1인서트부재삽입홈 250 : 단위지지대 하부 홈
300 : 제1너트부재 310 : 제1너트부
320 : 제1원판부 400 : 제1인서트부재
410 : 제1인서트부재 중공부 500 : 제2인서트부재
510 : 제2인서트부재 중공부 600 : 제2너트부재
610 : 제2너트부 620 : 제2원판부
700 : 제1단위지지대 800 : 제2단위지지대
900 : 제3단위지지대 1000 : 제4단위지지대
1100 : 제5단위지지대

Claims (19)

  1. 조절지지대; 및
    기저면으로부터 단수 또는 복수 개를 적층하여 상기 조절지지대와 결합하고, 기설정된 높이를 갖는 단위지지대를 포함하며,
    상기 조절지지대는, 최상층에 적층된 상기 단위지지대와 파이프 사이에 위치하여 기준면으로부터 상기 파이프 중심까지의 높이를 미리 정해진 높이로 유지하고,
    상기 단위지지대는,
    상기 단위지지대의 상부에 돌출되어 위치하며 상기 조절지지대의 하부와 결합하는 돌출결합부;
    상기 단위지지대의 중앙 부분을 관통하는 제2중앙볼트홀부;
    상기 단위지지대의 하부에 위치하며 하측에 위치하는 상기 단위지지대의 상기 돌출결합부와 결합하는 제3안착홈부; 및
    상기 단위지지대의 하부에 복수 개의 홈을 포함하는 파이프 지지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와 결합하는 파이프 서포트를 포함하며,
    상기 조절지지대는,
    상기 조절지지대의 상부에 위치하며 상기 파이프 서포트와 결합하는 제1안착홈부;
    상기 제1안착홈부의 중앙 부분을 관통하는 제1중앙볼트홀부;
    상기 조절지지대의 하부에 위치하며 상기 단위지지대와 결합하는 제2안착홈부; 및
    상기 조절지지대의 하부에 복수 개의 홈을 포함하는 파이프 지지대.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중앙볼트홀부는,
    상부에 위치하는 제1상부홀;
    상기 제1상부홀의 하부에 위치하는 너트 형상의 제1너트홈; 및
    상기 제1너트홈의 하부에 위치하며 상기 제1상부홀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갖는 원판 형태의 제1원판홈을 포함하는 파이프 지지대.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지지대는 상기 제1중앙볼트홀부와 결합하는 제1너트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너트부재는,
    상기 제1너트홈에 대응하여 삽입되는 제1너트부;
    상기 제1너트부로부터 연장되며 중공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원판홈에 대응하여 삽입되는 제1원판부를 포함하는 파이프 지지대.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지지대는 상기 제1안착홈부 및 제2안착홈부를 관통하는 두 개의 제1측방볼트결합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측방볼트결합부는 상기 제1중앙볼트홀부를 중심으로 대칭으로 위치하며 막대 형상의 홀 형태인 파이프 지지대.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중앙볼트홀부는,
    상부에 위치하는 제2상부홀;
    상기 제2상부홀의 하부에 위치하는 너트 형상의 제2너트홈; 및
    상기 제2너트홈의 하부에 위치하며 상기 제2상부홀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갖는 원판 형태의 제2원판홈을 포함하는 파이프 지지대.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지지대는 상기 제2중앙볼트홀부와 결합하는 제2너트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2너트부재는,
    상기 제2너트홈에 대응하여 삽입되는 제2너트부;
    상기 제2너트부로부터 연장되며 중공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원판홈에 대응하여 삽입되는 제2원판부를 포함하는 파이프 지지대.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지지대는 상기 돌출결합부 및 제3안착홈부를 관통하는 두 개의 제2측방볼트결합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2측방볼트결합부는 상기 제2중앙볼트홀부를 중심으로 대칭으로 위치하며 막대 형상의 홀 형태인 파이프 지지대.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지지대는 막대 형상의 중공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측방볼트결합부에 삽입되는 제1인서트부재를 더 포함하는 파이프 지지대.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측방볼트결합부는,
    상부에 위치하는 막대 형상의 제3상부홀; 및
    상기 제3상부홀의 하부에 위치하는 제1인서트부재삽입홈을 포함하는 파이프 지지대.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지지대는 막대 형상의 중공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3안착홈부와 결합하는 제2인서트부재를 더 포함하는 파이프 지지대.
  13. (a) 파이프를 지지하기 위해 상기 파이프와 결합하는 파이프 서포트와 조절지지대의 제1안착홈부를 결합하는 단계;
    (b) 상기 조절지지대의 제1중앙볼트홀부에 제1너트부재를 결합하고, 단위지지대의 제2측방볼트결합부에 제1인서트부재 및 상기 단위지지대의 제2중앙볼트홀부에 제2너트부재를 결합한 후 복수 개의 상기 단위지지대를 적층하는 단계;
    (c) 상기 단위지지대의 돌출결합부와 상기 조절지지대의 제2안착홈부를 결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조절지지대는 상기 파이프 서포트와 최상층에 적층된 상기 단위지지대 사이에 위치하여 기준면으로부터 상기 파이프 중심까지의 높이를 미리 정해진 높이로 유지하며,
    상기 단위지지대는 기저면으로부터 단수 또는 복수 개를 적층하여 상기 조절지지대와 결합하고, 기설정된 높이를 갖는 파이프 지지대의 설치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 후,
    (d) 적층된 상기 단위지지대 중의 하나인 제1단위지지대에서 상기 제2너트부재를 제거하고, 상기 제1단위지지대와 결합하는 제2단위지지대의 제2중앙볼트홀부에 중앙볼트를 삽입하고, 상기 제1단위지지대와 상기 제2단위지지대를 결합하는 단계;
    (e) 상기 제2단위지지대의 하측에 적층된 제3단위지지대에서 상기 제1인서트부재와 상기 제2너트부재를 제거하고, 상기 파이프 서포트의 측방홀, 상기 조절지지대의 제1측방볼트결합부, 및 상기 단위지지대의 제2측방볼트결합부를 관통하는 측방볼트를 삽입한 후, 너트를 상기 측방볼트와 결합하고, 상기 측방볼트와 결합한 상기 너트를 상기 제3단위지지대의 제1인서트부재삽입홈에 삽입한 후, 상기 측방볼트와 상기 너트를 나사결합하는 단계;
    (f) 상기 제2단위지지대의 제2중앙볼트홀부로부터 적층된 최하층의 상기 단위지지대까지 관통하는 중앙볼트와 상기 기저면에 위치하는 고정물을 나사결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파이프 지지대의 설치방법.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 후,
    (g) 상기 파이프 서포트의 중앙홀, 상기 조절지지대의 제1중앙볼트홀부, 및 상기 단위지지대의 제2중앙볼트홀부를 관통하는 중앙볼트를 삽입하고, 상기 중앙볼트와 상기 기저면에 위치하는 고정물을 나사결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파이프 지지대의 설치방법.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 후,
    (d) 적층된 상기 단위지지대 중의 하나인 제1단위지지대에서 상기 제2너트부재를 제거하고, 상기 제1단위지지대와 결합하는 제2단위지지대의 제2중앙볼트홀부에 중앙볼트를 삽입하고, 상기 제1단위지지대와 상기 제2단위지지대를 결합하는 단계;
    (e) 상기 제2단위지지대의 하측에 적층된 제3단위지지대에서 상기 제1인서트부재와 상기 제2너트부재를 제거하고, 상기 파이프 서포트의 측방홀, 상기 조절지지대의 제1측방볼트결합부, 및 상기 단위지지대의 제2측방볼트결합부를 관통하는 측방볼트를 삽입한 후, 너트를 상기 측방볼트와 결합하고, 상기 측방볼트와 결합한 상기 너트를 상기 제3단위지지대의 제1인서트부재삽입홈에 삽입한 후, 상기 측방볼트와 상기 너트를 나사결합하는 단계;
    (h) 적층된 상기 단위지지대의 최하층에 위치하는 제5단위지지대를 상기 제5단위지지대와 결합한 제4단위지지대에서 분리한 후,
    상기 제4단위지지대의 제3안착홈부에 제2인서트부재를 삽입하고, 상기 제5단위지지대를 뒤집어 상기 제5단위지지대의 제3안착홈부와 상기 제2인서트부재를 결합하거나,
    상기 제5단위지지대를 뒤집어 상기 제5단위지지대의 제3안착홈부에 제2인서트부재를 삽입하고, 상기 제2인서트부재와 상기 제4단위지지대의 제3안착홈부를 결합하는 단계;
    (i) 상기 제5단위지지대의 돌출결합부를 상기 기저면에 위치하는 홈형상을 포함하는 고정물과 결합하는 단계;
    (j) 상기 제2단위지지대 및 상기 제5단위지지대의 제2중앙볼트홀부를 관통하는 중앙볼트와 상기 고정물을 막대 형태의 나사와 나사결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파이프 지지대의 설치방법.
  17.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 후,
    (h) 적층된 상기 단위지지대의 최하층에 위치하는 제5단위지지대를 상기 제5단위지지대와 결합한 제4단위지지대에서 분리한 후,
    상기 제4단위지지대의 제3안착홈부에 제2인서트부재를 삽입하고, 상기 제5단위지지대를 뒤집어 상기 제5단위지지대의 제3안착홈부와 상기 제2인서트부재를 결합하거나,
    상기 제5단위지지대를 뒤집어 상기 제5단위지지대의 제3안착홈부에 제2인서트부재를 삽입하고, 상기 제2인서트부재와 상기 제4단위지지대의 제3안착홈부를 결합하는 단계;
    (i) 상기 제5단위지지대의 돌출결합부를 상기 기저면에 위치하는 홈형상을 포함하는 고정물과 결합하는 단계;
    (k) 상기 파이프 서포트의 중앙홀, 상기 조절지지대의 제1중앙볼트홀부, 및 상기 단위지지대의 제2중앙볼트홀부를 관통하는 중앙볼트를 삽입하고, 상기 중앙볼트와 상기 고정물을 막대 형태의 나사와 나사결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파이프 지지대의 설치방법.
  18.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 후,
    (h) 적층된 상기 단위지지대의 최하층에 위치하는 제5단위지지대를 상기 제5단위지지대와 결합한 제4단위지지대에서 분리한 후,
    상기 제4단위지지대의 제3안착홈부에 제2인서트부재를 삽입하고, 상기 제5단위지지대를 뒤집어 상기 제5단위지지대의 제3안착홈부와 상기 제2인서트부재를 결합하거나,
    상기 제5단위지지대를 뒤집어 상기 제5단위지지대의 제3안착홈부에 제2인서트부재를 삽입하고, 상기 제2인서트부재와 상기 제4단위지지대의 제3안착홈부를 결합하는 단계;
    (i) 상기 제5단위지지대의 돌출결합부를 상기 기저면에 위치하는 홈형상을 포함하는 고정물과 결합하는 단계;
    (m) 상기 파이프 서포트의 측방홀, 상기 조절지지대의 제1측방볼트결합부, 및 상기 단위지지대의 제2측방볼트결합부를 관통하는 측방볼트를 삽입하고, 상기 측방볼트와 상기 고정물을 막대 형태의 나사와 나사결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파이프 지지대의 설치방법.
  19.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 후,
    (n) 상기 파이프 서포트의 측방홀, 상기 조절지지대의 제1측방볼트결합부, 및 상기 단위지지대의 제2측방볼트결합부를 관통하는 측방볼트를 삽입하고, 상기 측방볼트와 상기 기저면에 위치하는 고정물을 나사결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파이프 지지대의 설치방법.



KR1020150157250A 2015-11-10 2015-11-10 파이프 지지대 및 이의 설치방법 KR1016380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7250A KR101638082B1 (ko) 2015-11-10 2015-11-10 파이프 지지대 및 이의 설치방법
CN201611001531.8A CN106838468B (zh) 2015-11-10 2016-11-10 管道支架以及其的设置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7250A KR101638082B1 (ko) 2015-11-10 2015-11-10 파이프 지지대 및 이의 설치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38082B1 true KR101638082B1 (ko) 2016-07-08

Family

ID=565046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57250A KR101638082B1 (ko) 2015-11-10 2015-11-10 파이프 지지대 및 이의 설치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638082B1 (ko)
CN (1) CN106838468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0956B1 (ko) * 2020-10-10 2021-04-15 주식회사 한솔세미텍 클린룸 설치용 밴드형 파이프 고정기구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05119Y1 (ko) * 1989-04-07 1991-07-20 이창열 로용 내화벽돌의 구조
KR101004747B1 (ko) * 2007-12-21 2011-01-04 송기용 대구경 기둥의 상하 적층식 시공방법 및 이를 적용한구조물의 골조시공방법
CN202302309U (zh) * 2011-11-04 2012-07-04 中国石油天然气集团公司 可调式固定基础
CN203395384U (zh) * 2013-03-14 2014-01-15 王浩 可调模块式管卡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553493A1 (fr) * 1983-10-17 1985-04-19 Philippe Chastaing Dispositif reglable et modulaire de supports de reseau tubulaire
JP3742718B2 (ja) * 1997-02-15 2006-02-08 スレド ガード テクノロジー リミテッド 管を支持するための装置
JP4657481B2 (ja) * 2001-03-29 2011-03-23 株式会社ケーブイケー 配管支持具
WO2009082087A1 (en) * 2007-12-21 2009-07-02 Ki-Yong Song Large diameter pillar construction method by layer-built and frame construction method adapt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05119Y1 (ko) * 1989-04-07 1991-07-20 이창열 로용 내화벽돌의 구조
KR101004747B1 (ko) * 2007-12-21 2011-01-04 송기용 대구경 기둥의 상하 적층식 시공방법 및 이를 적용한구조물의 골조시공방법
CN202302309U (zh) * 2011-11-04 2012-07-04 中国石油天然气集团公司 可调式固定基础
CN203395384U (zh) * 2013-03-14 2014-01-15 王浩 可调模块式管卡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0956B1 (ko) * 2020-10-10 2021-04-15 주식회사 한솔세미텍 클린룸 설치용 밴드형 파이프 고정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6838468A (zh) 2017-06-13
CN106838468B (zh) 2018-1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770611B (zh) 杆系统
US9003981B2 (en) Furniture connector and furniture using same
US8028494B2 (en) Sleeve connectors for metal girders
US9585469B2 (en) Combination multi-level rack
US9015999B1 (en) Tower with exterior cable support and a modular base
US9930963B2 (en) Modular shelving system with highly flexible use
CN102194377B (zh) 电视机支架
KR20140088878A (ko) 기계적으로 연동하는 프레임 조립체
US20140352579A1 (en) Extension table with multiple legs
KR101638082B1 (ko) 파이프 지지대 및 이의 설치방법
BR112018070316B1 (pt) Lâmina modular
EP2880371B1 (en) Modular framework support systems
EP2971355B1 (en) Rail system for jacking tower
JP3175077U (ja) 架台用角度調整具
JP6361066B2 (ja) 支持脚
JP6459111B2 (ja) 支持脚
KR20160133080A (ko) 조립식 테이블 프레임
KR20150117388A (ko) 알루미늄 프로파일용 연결구
JP2007327563A (ja) 免震装置
JP2014147663A (ja)
JP5849653B2 (ja) テーブル
CN206961757U (zh) 一种适用于不同相间距的断路器基座
WO2014045872A1 (ja) 工作機械の据え付け構造
CN219654245U (zh) 可调式盘扣结构及脚手架
JP2007169932A (ja) パーティション用パネルの連結部材及びそれを用いたパーティショ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3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