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64876A - 창문용 문틀 - Google Patents

창문용 문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64876A
KR20090064876A KR1020070132240A KR20070132240A KR20090064876A KR 20090064876 A KR20090064876 A KR 20090064876A KR 1020070132240 A KR1020070132240 A KR 1020070132240A KR 20070132240 A KR20070132240 A KR 20070132240A KR 20090064876 A KR20090064876 A KR 200900648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l
door frame
frame
window
rail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322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용구
이동근
Original Assignee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701322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64876A/ko
Publication of KR200900648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6487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1/00Border constructions of opening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Frames to be rigidly mounted in such openings
    • E06B1/02Base frames, i.e. template frames for openings in walls or the like, provided with means for securing a further rigidly-mounted frame; Special adaptations of frames to be fixed therein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1/00Border constructions of opening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Frames to be rigidly mounted in such openings
    • E06B1/04Frames for doors, windows, or the like to be fixed in openings
    • E06B1/36Frames uniquely adapted for window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1/00Border constructions of opening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Frames to be rigidly mounted in such openings
    • E06B1/56Fastening frames to the border of openings or to similar contiguous frames
    • E06B1/60Fastening frames to the border of openings or to similar contiguous frames by mechanical means, e.g. anchoring means
    • E06B1/6084Mounting frames elastically, e.g. with springs or other elastic material, between the wall and the frame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16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 E06B7/18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by means of movable edgings, e.g. draught sealings additionally used for bolting, e.g. by spring force or with operating lever
    • E06B7/20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by means of movable edgings, e.g. draught sealings additionally used for bolting, e.g. by spring force or with operating lever automatically withdrawn when the wing is opened, e.g. by means of magnetic attraction, a pin or an inclined surface, especially for sills
    • E06B7/215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by means of movable edgings, e.g. draught sealings additionally used for bolting, e.g. by spring force or with operating lever automatically withdrawn when the wing is opened, e.g. by means of magnetic attraction, a pin or an inclined surface, especially for sills with sealing strip being moved to a retracted position by elastic means, e.g. sp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ing Frames And Configur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벽체에 고정되어 창문(W)이 끼워지는 창문용 문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창문(W)의 상부 테두리에 결합되는 레일(10); 상기 레일(10)이 삽입되는 레일홈(22)이 상부측 하부면에 형성되고, 상기 창문(W)이 끼워지는 문틀프레임(20); 상기 문틀프레임(20)의 레일홈(22)에 상기 레일(10)을 끼워맞춤식으로 결합시켜서, 레일(10)을 문틀프레임(20)의 상부에 승강 가능한 상태로 고정하는 고정수단 및; 상기 고정수단에 의해 상기 문틀프레임(20)에 승강이 가능하게 고정되는 상기 레일(10)을 상기 문틀프레임(20)의 레일홈(22) 내부에서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레일(10)이 끼워맞춤식으로 문틀프레임(20)에 고정되므로 레일(20)을 문틀프레임(20)에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레일(10)이 탄성부재에 의해 탄력지지된 상태로 승강하므로 창문(W)을 용이하게 문틀프레임(20)에 결합하거나 제거할 수 있다.
창문, 문틀, 레일, 맞춤, 승강

Description

창문용 문틀 { DOORFRAME FOR WINDOW }
본 발명은 벽체에 고정되어 창문이 끼워지는 창문용 문틀에 관한 것으로서, 레일을 필요에 따라 수직으로 유동시킬 수 있는 창문용 문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창문이 끼워지는 문틀은 내측면의 상부 및 하부에 레일이 설치된다. 이러한 레일은 창문의 상부 및 하부형성된 레일홈에 삽입되어 문틀의 내부에서 창문의 이동을 안내한다. 즉, 창문은 문틀에 끼워져서 레일에 안내된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은 일반적인 문틀은 나사를 이용하여 레일을 고정하므로 레일의 고정작업이 매우 불편하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창문을 끼우거나 뺄때 창문의 레일홈 측면이 레일에 걸리므로 창문의 설치 및 해체 작업이 매우 불편하다는 문제도 있다.
특히, 창문이 베란다창과 같이 대형으로 형성될 경우 창문의 하중으로 인하여 창문의 설치 및 해체 작업이 매우 어렵다는 문제도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서, 레일을 문틀에 끼워맞춤식으로 결합하여 레일을 문틀에 일체적으로 고정할 수 있으며, 더 나아가 레일이 문틀의 내측에서 제공되는 탄성력에 의해 수직으로 유동할 수 있는 창문용 문틀을 제공하기 위함이 그 목적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창문용 문틀은, 벽체에 고정되어 창문이 끼워지는 창문용 문틀에 있어서, 상기 창문의 상부 테두리에 결합되는 레일; 상기 레일이 삽입되는 레일홈이 상부측 하부면에 형성되고, 상기 창문이 끼워지는 문틀프레임; 상기 문틀프레임의 레일홈에 상기 레일을 끼워맞춤식으로 결합시켜서, 레일을 문틀프레임의 상부에 승강 가능한 상태로 고정하는 고정수단 및; 상기 고정수단에 의해 승강 가능하게 고정되는 상기 레일을 상기 문틀프레임의 레일홈 내부에서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창문용 문틀은, 레일이 끼워맞춤식으로 문틀프레임에 고정되므로 레일을 문틀프레임에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레일이 탄성부재에 의해 탄력지지된 상태로 승강하므로 창문을 용이하게 문틀프레임에 결합하거나 제거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창문용 문틀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으며,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창문용 문틀의 절개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문틀의 사용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창문용 문틀은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일(10); 문틀프레임(20); 고정수단 및; 탄성부재;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요소를 좀더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전술한 레일(10)은 후술되는 문틀프레임(20)에 설치되어 미도시된 창문의 상부 테두리에 결합된다. 이때, 레일(10)은 후술되는 문틀프레임(20)의 레일홈(22)에 삽입된 상태로 문틀프레임(20)에 고정된다. 이러한 레일(10)은 창문이 문틀프레임(20)에 걸려서 고정되는 역할을 할 뿐만 아니라 창문이 문틀프레임(20)의 내측에서 이동할 경우 창문을 안내한다.
다음, 전술한 문틀프레임(20)은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일(10)이 삽입되는 레일홈(22)이 상부측 하부면에 형성된다. 이러한 문틀프레임(20)은 내측으로 미도시된 창문이 끼워진다.
그 다음, 전술한 고정수단은 문틀프레임(20)의 레일홈(22)에 레일(10)을 끼워맞춤식으로 결합시켜서, 레일(10)을 문틀프레임(20)의 상부에 승강 가능한 상태로 고정한다. 즉, 고정수단은 레일(10)을 상승 및 하강이 가능한 상태로 문틀프레임(20)에 고정한다.
이러한 고정수단은 예컨대, 도면상의 확대도 "A"에 도시(Ⅰ-Ⅰ'선 단면확대도)된 바와 같이 문틀프레임(20)의 레일홈(22) 하단부 양측에 동일체로 형성되어 내측으로 돌출되는 돌출돌기(22a) 및; 전술한 레일(10)의 양측에 동일체로 형성되고, 레일(10)과 함께 레일홈(22)에 삽입되어 상기 돌출돌기(22a)에 걸리는 걸림돌기(12a);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즉, 레일(10)은 양측이 레일홈(22)의 하단부 양측에 걸리면서 레일프레임(20)의 하부에 구속된다.
여기서, 전술한 돌출돌기(22a)는 문틀프레임(20)의 성형시 함께 성형하되, 레일홈(22)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성형하여 형성할 수 있으며, 이와 달리 레일홈(22)의 측면에 부분적으로 돌출형성할 수도 있다. 그리고, 전술한 걸림돌기(12a)는 레일(10)의 성형시 함께 성형하여 구성하되,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일홈(22)의 폭에 대응되는 폭으로 성형하여, 좌·우측유동이 방지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계속해서, 전술한 탄성부재는 레일(10)을 문틀프레임(20)의 레일홈(22) 내부에서 탄력적으로 지지한다. 이러한 탄성부재는 레일홈(22)에 삽입된 상태로 레일(10)을 탄력적으로 지지한다.
이와 같은 탄성부재는 예컨대, 도면상의 확대도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문틀프레임(20)의 레일홈(22)에 삽입되어 레일(10)의 상부에 안착되는 스프링;으로 구성할 수 있다. 이때, 전술한 스프링은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일(10)의 상부에 수직상태로 안착되는 코일스프링(42)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코일스프링(42)은 막대와 같은 공구에 의해 레일홈(22)으로 삽입된다.
도 2를 참조하면, 코일스프링(42)은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일(10)의 상부에 수직상태로 레일(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안착되어 배치된다. 즉, 코일스프링(42)은 레일(10)의 길이방향을 따라가면서 레일(10)을 탄력적으로 지지한다.
한편, 문틀프레임(20)은 내측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창문(W)이 끼워진다. 이러한 창문(W)은 상단부가 레일(10)에 걸려서 문틀프레임(20)에 고정된다. 이때, 레일(10)은 코일스프링(42)의 탄성력에 의해 레일(10)의 상단부에 걸려진 상태를 유지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창문용 문틀의 작용을 첨부된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창문용 문틀은 문틀프레임(20)의 레일홈(22)에 레일(10)이 끼워진 후, 탄성부재의 코일스프링(42)이 레일홈(22)에 삽입된다. 따라서, 코일스프링(42)은 확대도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일홈(22)의 내부에서 레일(10)을 탄력적으로 지지한다. 이때, 레일(10)은 확대도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수단의 돌출돌기(22a) 및 걸림돌기(12a)에 의해 레일홈(22)에 걸려서 고정된다.
이러한 레일(10)은 미도시된 창문이 문틀프레임(20)에 끼워질 경우 창문에 의해 상부로 밀리면서 도면상의 확대도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승한다. 이때, 코일스프링(42)은 압축된다. 따라서, 창문은 용이하게 문틀프레임(20)에 끼워진다. 물론, 코일스프링(42)은 창문이 끼워진 후에는 다시 원형복원되면서 레일(10)을 가압한다. 이에 따라, 레일(10)은 코일스프링(42)의 탄성력에 의해 하강하여 원위치로 복귀하면서 창문의 미도시된 레일홈에 견고히 결합된다. 따라서, 창문은 문틀프 레임(20)에 끼워진 상태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고정된다.
결론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창문용 문틀은 전술한 바와 같이 레일(10)이 문틀프레임(20)에 나사로 고정되지 않고 레일홈(22)에 끼워져서 문틀프레임(20)에 고정되므로, 레일(10)을 용이하게 문틀프레임(20)에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창문이 문틀프레임(20)에 결합되거나 제거될 경우 코일스프링(42)에 의해 레일(10)이 승강하므로 창문을 용이하게 문틀프레임(20)에 설치할 수도 있다.
한편, 첨부된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고정수단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일(10)을 문틀프레임(20)의 레일홈(22)에 고정하는 고정수단을 전술한 바와 달리 구성한 것이다.
이러한 고정수단은 예컨대,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일(10)의 양측에 동일체로 형성되고, 레일(10)과 함께 레일홈(22)에 삽입되는 걸림돌기(12a); 전술한 문틀프레임(20)의 레일홈(22)을 따라 레일홈(22)의 하단부 양측에 고정되고, 레일홈(22)의 내측으로 일부분이 돌출되어 전술한 걸림돌기(12a)가 걸리는 걸림판(32) 및; 이 걸림판(32)을 관통하여 문틀프레임(20)에 체결되는 체결나사(34);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여기서, 전술한 걸림판(32)은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나사(34)에 의해 문틀프레임(20)의 하부에 편심고정된다. 이에 따라, 걸림판(32)은 레일홈(22)의 내측을 향하는 일부분이 레일홈(22)의 내측으로 돌출된다. 따라서, 레일(10)은 확대도시된 바와 같이 양측의 걸림돌기(12a)가 걸림판(32)의 일부분에 걸려서 레일 홈(22)에 승강 가능하게 고정된다.
이와 같이 다른 실시예에 의한 고정수단은 걸림판(32)이 체결나사(34)에 의해 문틀프레임(20)에 분리가능하게 고정되므로, 레일홈(22)에 레일(10)을 용이하게 고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레일(10)의 교체시 용이하게 레일(10)을 제거할 수 있다.
한편, 첨부된 도 4는 도 1에 도시된 탄성부재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탄성부재를 도시된 바와 같이 판스프링(44)으로 구성한 것이 전술한 실시예와의 차이점이다. 따라서, 이러한 차이점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시된 바와 같이, 판스프링(44)은 탄성력이 확보되도록 일부분이 볼록하게 형성된다. 즉, 판스프링(44)은 곡선을 갖는다. 이러한 판스프링(44)은 도시된 바와 같이 문틀프레임(20)의 레일홈(22)에 삽입된다. 물론, 판스프링(44)은 레일(10)이 레일홈(22)에 삽입된 후 레일(10)의 상부에 레일(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수평상태로 안착된다. 따라서, 판스프링(44)은 레일홈(22)의 내부에서 레일(10)을 탄력적으로 지지한다.
이와 같은 판스프링(44)은 확대도 "C"에 파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일(10)이 미도시된 창문에 의해 상승될 경우 측방으로 펼쳐지면서 압축되고, 레일(10)이 원위치로 복귀할 경우 원형복원되면서 레일(10)을 가압한다. 따라서, 창문은 레일(10)에 의해 문틀프레임(20)에 견고히 고정된다.
한편, 전술한 탄성부재는 도면상의 확대도 "D"에 도시된 바와 같은 고무막대(46)로 구성할 수 있다. 물론, 고무막대(46)는 레일홈(22)에 삽입되어 레일(10)상에 안착된다. 이러한 고무막대(46)는 레일(10)의 승강시 자체탄성력에 의해 신축하면서 레일(10)을 탄력적으로 지지한다.
이와 같은 고무막대(46)는 레일(10)의 승강에 의해 자체 탄성력을 증강시키는 탄성력 증강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탄성력 증강수단은 고무막대(46)가 두께(지름)은 유지하면서 강성이 약화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탄성력 증강수단은 예컨대,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고무막대(46)의 축심을 따라 형성되어 고무막대(46)의 축심부 강성을 약화시킴으로써, 고무막대(46)를 원활하게 신축시키는 축심공(46a)을 형성하여 구성할 수 있다.
이렇게, 축심공(46a)이 형성된 고무막대(46)는 레일(10)이 상승할 경우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변형하면서 수축하고, 레일(10)이 하강할 경우 원형복원하면서 레일(10)을 탄력적으로 지지한다. 이때, 고무막대(46)는 축심공(46a)으로 인하여 신속하게 신축한다.
여기서, 전술한 고무막대(46)는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형으로 형성할 수 있으며, 이와 달리 사각이나 삼각 또는 다각형의 형태로 형성할 수도 있다. 다만, 고무막대(46)는 레일홈(22)에 삽입되어 레일홈(22)의 내부를 채울 수 있도록 구성되면 족하다.
상기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 것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적용 범위는 이와 같은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동일 사상의 범주내에서 적절한 변경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나타난 각 구성 요소의 형상 및 구조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으므로, 이러한 형상 및 구조의 변형은 첨부된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창문용 문틀의 절개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문틀의 사용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고정수단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및
도 4는 도 1에 도시된 탄성부재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호 설명>
10 : 레일
12a : 걸림돌기
20 : 문틀프레임
22 : 레일홈
22a : 돌출돌기
32 : 걸림판
34 : 체결낙사
42 : 코일스프링
44 : 판스프링
46 : 고무막대

Claims (11)

  1. 벽체에 고정되어 창문(W)이 끼워지는 창문용 문틀에 있어서,
    상기 창문(W)의 상부 테두리에 결합되는 레일(10);
    상기 레일(10)이 삽입되는 레일홈(22)이 상부측 하부면에 형성되고, 상기 창문(W)이 끼워지는 문틀프레임(20);
    상기 문틀프레임(20)의 레일홈(22)에 상기 레일(10)을 끼워맞춤식으로 결합시켜서, 레일(10)을 문틀프레임(20)의 상부에 승강 가능한 상태로 고정하는 고정수단; 및
    상기 고정수단에 의해 상기 문틀프레임(20)에 승강이 가능하게 고정되는 상기 레일(10)을 상기 문틀프레임(20)의 레일홈(22) 내부에서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창문용 문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문틀프레임(20)의 레일홈(22) 하단부 양측에 동일체로 형성되어 내측으로 돌출되는 돌출돌기(22a); 및
    상기 레일(10)의 양측에 동일체로 형성되고, 레일(10)과 함께 상기 레일홈(22)에 삽입되어 상기 돌출돌기(22a)에 걸리는 걸림돌기(12a);를 포함하는 창문용 문틀.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레일(10)의 양측에 동일체로 형성되고, 레일(10)과 함께 상기 레일홈(22)에 삽입되는 걸림돌기(12a);
    상기 문틀프레임(20)의 레일홈(22)을 따라 레일홈(22)의 하단부 양측에 고정되고, 레일홈(22)의 내측으로 일부분이 돌출되어 상기 걸림돌기(12a)가 걸리는 걸림판(32); 및
    상기 걸림판(32)을 관통하여 상기 문틀프레임(20)에 체결되는 체결나사(34);를 포함하는 창문용 문틀.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문틀프레임(20)의 레일홈(22)에 삽입되어 상기 레일(10)의 상부에 레일(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수평상태로 안착되는 고무막대(46);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용 문틀.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고무막대(46)는,
    상기 레일(10)의 승강에 의해 자체 탄성력을 증강시키는 탄성력 증강수단;을 더 포함하는 창문용 문틀.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력 증강수단은,
    상기 고무막대(46)의 축심을 따라 형성되어 고무막대(46)의 축심부 강성을 약화시킴으로써, 고무막대(46)를 원활하게 신축시키는 축심공(46a)을 형성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용 문틀.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문틀프레임(20)의 레일홈(22)에 삽입되어 상기 레일(10)의 상부에 안착되는 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용 문틀.
  8. 벽체에 고정되어 창문(W)이 끼워지는 창문용 문틀에 있어서,
    상기 창문(W)의 상부 테두리에 결합되는 레일(10);
    상기 레일(10)이 삽입되는 레일홈(22)이 상부측 하부면에 형성되고, 상기 창문(W)이 끼워지는 문틀프레임(20);
    상기 문틀프레임(20)의 레일홈(22)에 상기 레일(10)을 끼워맞춤식으로 결합시켜서, 레일(10)을 문틀프레임(20)의 상부에 승강이 가능한 상태로 고정하는 고정수단; 및
    상기 고정수단에 의해 승강이 가능하게 고정되는 상기 레일(10)을 상기 문틀프레임(20)의 레일홈(22) 내부에서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문틀프레임(20)의 레일홈(22) 하단부 양측에 동일체로 형성되어 내측으로 돌출되는 돌출돌기(22a); 및
    상기 레일(10)의 양측에 동일체로 형성되고, 레일(10)과 함께 상기 레일홈(22)에 삽입되어 상기 돌출돌기(22a)에 걸리는 걸림돌기(12a);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문틀프레임(20)의 레일홈(22)에 삽입되어 상기 레일(10)의 상부에 안착되는 스프링;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용 문틀.
  9. 벽체에 고정되어 창문(W)이 끼워지는 창문용 문틀에 있어서,
    상기 창문(W)의 상부 테두리에 결합되는 레일(10);
    상기 레일(10)이 삽입되는 레일홈(22)이 상부측 하부면에 형성되고, 상기 창문(W)이 끼워지는 문틀프레임(20);
    상기 문틀프레임(20)의 레일홈(22)에 상기 레일(10)을 끼워맞춤식으로 결합시켜서, 레일(10)을 문틀프레임(20)의 상부에 승강이 가능한 상태로 고정하는 고정수단; 및
    상기 고정수단에 의해 승강이 가능하게 고정되는 상기 레일(10)을 상기 문틀프레임(20)의 레일홈(22) 내부에서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문틀프레임(20)의 레일홈(22)을 따라 레일홈(22)의 하단부 양측에 고정되어, 레일홈(22)의 내측으로 일부분이 돌출되는 걸림판(32); 및
    상기 걸림판(32)을 관통하여 상기 문틀프레임(20)에 체결되는 체결나사(34);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문틀프레임(20)의 레일홈(22)에 삽입되어 상기 레일(10)의 상부에 안착되는 스프링;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용 문틀.
  10. 제 7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은,
    상기 문틀프레임(20)의 레일홈(22)에 삽입되어 상기 레일(10)의 상부에 수직상태로 안착되는 코일스프링(4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용 문틀.
  11. 제 7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은,
    상기 문틀프레임(20)의 레일홈(22)에 삽입되어 상기 레일(10)의 상부에 레일(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수평상태로 안착되는 곡선형의 판스프링(44);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용 문틀.
KR1020070132240A 2007-12-17 2007-12-17 창문용 문틀 KR2009006487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2240A KR20090064876A (ko) 2007-12-17 2007-12-17 창문용 문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2240A KR20090064876A (ko) 2007-12-17 2007-12-17 창문용 문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64876A true KR20090064876A (ko) 2009-06-22

Family

ID=409933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32240A KR20090064876A (ko) 2007-12-17 2007-12-17 창문용 문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64876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67147A (ko) * 2013-10-08 2016-06-13 로토 프란크 아게 슬라이딩 도어 또는 슬라이딩 윈도우
KR102156928B1 (ko) * 2020-07-15 2020-09-17 유정식 창틀 프레임
WO2020197110A1 (ko) * 2019-03-26 2020-10-01 주식회사알파큐 개량형 조립식레일을 갖는 창호틀
KR102593514B1 (ko) * 2022-07-27 2023-10-24 주식회사 긴키테크코리아 내진성이 향상된 풍지구조의 미서기창이 설치되는 스마트 창호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67147A (ko) * 2013-10-08 2016-06-13 로토 프란크 아게 슬라이딩 도어 또는 슬라이딩 윈도우
WO2020197110A1 (ko) * 2019-03-26 2020-10-01 주식회사알파큐 개량형 조립식레일을 갖는 창호틀
KR102156928B1 (ko) * 2020-07-15 2020-09-17 유정식 창틀 프레임
KR102593514B1 (ko) * 2022-07-27 2023-10-24 주식회사 긴키테크코리아 내진성이 향상된 풍지구조의 미서기창이 설치되는 스마트 창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63165B1 (ko) 시트 셔터의 시트 가이드
KR200484795Y1 (ko) 삽입홀에 돌기가 형성된 창문용스토퍼
KR20090064876A (ko) 창문용 문틀
CN200989123Y (zh) 车窗升降玻璃的托架
KR101559676B1 (ko) 댐퍼수납부가 확장된 슬라이더 완충장치
KR101724120B1 (ko) 신축형 풍지판이 결합된 미서기문
KR101008836B1 (ko) 방충창용 모서리 연결재
KR102049451B1 (ko) 슬라이딩 도어 가이드장치
KR20090052124A (ko) 가스켓
KR101206755B1 (ko) 창호용 이탈방지 모듈
KR100921948B1 (ko) 수평연장시스템
KR100321636B1 (ko) 창틀과 창문의 설치구조
KR101584318B1 (ko) 여닫이문 고정 장치
KR100568745B1 (ko) 카고 스크린의 스토퍼장치
CN106285403B (zh) 一种响应迅速的门底密封装置
JP2010270561A (ja) 中方立て
KR102643168B1 (ko) 슬라이딩 도어의 개폐 조절을 위한 링크모듈
JP5058830B2 (ja) 溢水防止装置、溢水防止方法およびプール改造方法
KR200302194Y1 (ko) 도어 슬라이딩 장치
KR101608147B1 (ko) 좌우 유동기능을 갖는 하니콤 블라인드
KR20080002368U (ko) 창문 이탈방지 가이드 장치
KR200456513Y1 (ko) 창문용 안전 난간대
KR200461628Y1 (ko) 조립식 창호 프레임
KR200434280Y1 (ko) 창틀문짝용 프레임가이드
KR101168813B1 (ko) 조립식 창호 프레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