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21948B1 - 수평연장시스템 - Google Patents

수평연장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21948B1
KR100921948B1 KR1020070096573A KR20070096573A KR100921948B1 KR 100921948 B1 KR100921948 B1 KR 100921948B1 KR 1020070096573 A KR1020070096573 A KR 1020070096573A KR 20070096573 A KR20070096573 A KR 20070096573A KR 100921948 B1 KR100921948 B1 KR 1009219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rizontal
holding unit
horizontal holding
pad
memb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965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79980A (ko
Inventor
강남국
Original Assignee
강남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남국 filed Critical 강남국
Publication of KR200800799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799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219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219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62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23/72Counterweights or supports for balancing lifting couples
    • B66C23/78Supports, e.g. outriggers, for mobile cr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700/00Cranes
    • B66C2700/03Cranes with arms or jibs; Multiple cranes
    • B66C2700/0321Travelling cranes
    • B66C2700/0357Cranes on road or off-road vehicles, on trailers or towed vehicles; Cranes on wheels or crane-trucks
    • B66C2700/0378Construction details related to the travelling, to the supporting of the crane or to the blocking of the axles; Outriggers; Coupling of the travelling mechamism to the crane mechanis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 Accommodation For Nursing Or Treatment T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평연장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은, 여러개로 구성되어 각각의 내부가 중공되며 슬라이딩하면서 신장가능한 수평부재; 그리고, 상기 수평부재의 연결부분에서 상기 수평부재들이 수평으로 유지되도록 각각의 수평부재가 접하는 부분 중 말단에 마련되는 수평유지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수평부재, 수직부재, 수평유지유닛

Description

수평연장시스템{A Horizontal Maintaining System}
본 발명은 수평연장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체 길이가 길어지는 수평부재에서 상기 수평부재가 항상 수평하게 유지된 상태로 길어지는 수평연장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도 1에는 종래 기술에 의한 아웃트리거의 구성을 보인 정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건설중장비 및 크레인 등에서 안정적인 작업을 위하여 차체의 전방 또는 후방에 아웃트리거가 요구된다.
상기 아웃트리거는 건설중장비의 크기 및 중량에 따라 상기 아웃트리거의 수평의 길이가 길어져야 한다.
상기 아웃트리거가 수평으로 연장되는 구성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부재(4)가 제 1부재(2)의 내측면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 2부재(4)의 선단에는 수직부재(6)가 마련된다. 상기 수직부재(6)는 상기 제 1 및 제 2부재(2, 4)가 소정의 높이에 위치할 수 있도록 하방에서 지지한다.
한편, 최근 상기 아웃트리거는 이를 장착한 중장비 등이 더욱 대형화됨에 따라 그 크기가 영향을 받고, 그 지지 중량 또한 영향을 받게 되어 여러가지 문제점 이 발생한다.
특히 상기 아웃트리거의 제 1부재(2)와 제 2부재(4)의 조립시에는 서로 조립공차 및 가공공차가 발생한다. 상기 조립공차 및 가공공차는 상기 중장비가 대형화 되어, 상기 제 1부재(2) 및 제 2부재(4)의 길이가 길어짐에 따라 굽힘모멘트의 값도 커져 제 1부재(2)와 제 2부재(4)가 동작하면 서로 접하는 부분에 가해지는 힘이 더욱 커지게 된다.
즉,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제 2부재가 제 1부재의 내측면을 따라 슬라이딩되면서, 조립공차 등에 의해 제 2부재와 제 1부재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면서 상기 제 2부재의 자중에 의해 하방으로 휘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또한, 상기 제 2부재가 휘어진 상태로 상기 수직부재를 연장시켜 지면에 안착시키면 상기 수직부재에 굽힘응력이 발생되어 결과적으로 상기 수직부재를 구동하는 구동실린더의 피스톤이 어긋나게 되어 장치가 손상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또한, 상기 제 1부재와 상기 제 2부재가 휘어진 상태로 상기 수직부재를 연장시켜 지면에 안착시키면 상기 수직부재, 상기 제 1부재 및 제 2부재의 연결부분에 크랙이 발생하여 장치가 손상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수평연장시스템이 길어지더라도 자중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고 항상 수평을 유지할 수 있는 수평연장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그리고, 전체 시스템이 항상 수평으로 유지되면서 장치가 안정적으로 동작하는 수평연장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인 수평연장시스템은, 여러개로 구성되어 각각의 내부가 중공되며 슬라이딩하면서 신장가능한 수평부재; 그리고, 상기 수평부재의 연결부분에서 상기 수평부재들이 수평으로 유지되도록 각각의 수평부재가 접하는 부분 중 말단에 마련되는 수평유지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수평부재는, 내부가 중공되는 제 1부재; 그리고, 상기 제 1부재의 내측면을 따라 슬라이딩가능한 제 2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수평유지장치는, 상기 제 2부재의 상부 말단 외측면에 마련되는 제 1수평유지유닛; 상기 제 1부재의 하부 말단 내측면에 마련되는 제 2수평유지유닛; 상기 제 1부재의 상부 말단 내측면에 마련되는 스톱퍼; 그리고, 상기 제 2부재의 하부 말단 외측면에 마련되는 스페이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수평유지유닛은, 몸체를 형성하고 일측에 홈이 형성되는 하우징; 상기 홈을 따라 상기 하우징 외부로 이동가능한 슬리이딩부재; 그리고, 상기 슬라 이딩부재가 상기 하우징 외부로 돌출되도록 탄성지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제 2수평유지유닛은, 상기 제 1부재를 관통하는 관통홀; 상기 관통홀을 따라 이동가능한 패드; 상기 관통홀을 따라 이동가능하면서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지지가이드; 그리고, 상기 지지가이드와 상기 패드 사이에 마련되어 탄성지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스톱퍼는, 상기 제 1부재의 내측면에 고정되어 상기 제 2부재의 외측면과 접촉되는 패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스톱퍼는, 상기 제 1부재의 내측면에 고정되는 베이스; 그리고, 상기 베이스에 고정되어 상기 제 2부재의 외측면과 접촉되는 패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위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수평연장시스템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먼저, 제 1부재의 내측면을 따라 제 2부재가 슬라이딩하면서 전체적인 길이가 길어져도, 제 2부재의 자중이 상세되도록 탄성지지하는 수평유지장치가 구비되어, 제 1부재 및 제 2부재가 항상 수평으로 유지되면서 기존 방식에서 제 2부재의 자중에 의한 처짐에 의해 수평실린더 좌굴현상으로 인한
누유발생,수직부재의 지면 안착시 제2부재의 자중에 의한 처짐으로 수직부재의 각도발생하여 사용시 수직부재의 인장력 반발로 인한 수직부재와 제2부재의 경 계면에 크랙발생이 방지되고 수직부재의 지면 안착시 아우트리거 발판의 지지폭이 안정적으로 지면과 접촉하게 되어 작업 사용자의 심리적 불안감이 해소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제 2부재와 제 1부재가 항상 수평으로 유지되어, 수직부재의 안착점이 항상 일정하여 하중 지면의 확대를 가할 수 있으며 수직부재에 예측할 수 없는 힘이 가해지거나 하는 일이 확실하게 방지되어 수평연장시스템의 내구성이 높아지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수평연장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들 도면 중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인 수평연장시스템(10)이 마련된다. 상기 수평연장시스템(10)은 사용자가 작업을 위하여, 수평으로 연장해야 되는 경우 수평의 길이를 연장해 주는 장치로서, 예를 들면, 크레인이나, 건설장비를 양측에서 지지하는 아웃트리거 등에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수평연장시스템(1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가 중공되고 여러개로 구성되어 수평으로 전체 길이가 길어질 수 있는 수평부재(12, 14)와, 상기 수평부재(12, 14)의 연결부분에 마련되어 각각의 수평부재가 수평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지지하는 상기 수평유지장치(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수평부재(12, 14)는, 여러 개로 구성될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2개로 구성된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상기 수평부재(12, 14)는 제 1부재(12)와 제 2부재(14)로 구분될 수 있다.
상기 제 1부재(12) 및 제 2부재(14)는 서로 다른 일측에 대해 타측이 상대적으로 슬라이딩가능하게 구성된다. 예를 들면, 상기 제 1부재(12)는 내부가 중공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 2부재(14)의 단면은 상기 제 1부재(12)의 중공된 내부의 단면에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제 2부재(14)가 상기 제 1부재(12) 내측면을 따라 슬라이딩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 각각의 부재(12, 14)의 단면은 서로 상대적인 회전을 방지하기 위하여 다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에서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형으로 구성된다.
상기 제 1부재(12)의 중공된 내부의 단면도 사각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사각형의 크기는 상기 제 2부재(14)의 단면과 동일한 크기로 구성된다. 이는 상기 제 2부재(14)가 상기 제 1부재(12)의 내측면을 따라 안정적으로 슬라이딩가능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한편, 상기 제 1부재(12)의 내부공간과 상기 제 2부재(14)의 외측면 사이에는 수직으로 조립공간(16)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조립공간(16)은 상기 제 1부재(12)와 제 2부재(14)의 조립공차에 의해 발생될 수도 있고, 임의로 공간을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 조립공간(16)은 상기 수평유지장치(20)를 설치하기 위한 장소를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수평유지장치(20)는 상기 제 1부재(12)와 상기 제 2부재(14)의 상부 사이에 구비되는 제 1수평유지유닛(30) 및 스톱퍼(40)와, 상기 제 1부재(12)와 상기 2부재(14)의 하부 사이에 구비되는 제 2수평유지유닛(50) 및 스페이서(60)로 구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수평유지장치(2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부재(12)가 상기 제 2부재(14)에서 슬라이딩되면서 이동할 때, 항상 수평으로 유지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제 1부재(12)의 내측면과 상기 제 2부재(14)의 외측면 사이에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 1부재(12) 내측면 또는 제 2부재(14)의 외측면 중 어느 부분에 마련되어도 상관없으나, 본 발명에서는 그 일예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수평유지유닛(30)은 상기 제 2부재(14)의 상부 말단 외측면에 마련되고, 상기 제 2수평유지유닛(50)은 상기 제 1부재(12)의 하부 선단 내측면에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스톱퍼(40)는 상기 제 1부재(12)의 상부 말단 내측면에 마련되고, 상기 스페이서(60)는 상기 제 2부재(14)의 하부 말단 외측면에 마련될 수 있다.
먼저, 상기 제 1수평유지유닛(30)은 상기 제 2부재(14)의 외측면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2부재(14) 외측면 중 상면에 다수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 1 수평유지유닛(30)은 상기 제 1부재(12)와 상기 제 2부재(14) 사이에 발생하는 조립공간(16)만큼의 유격에서 상기 제 2부재(14)가 수직으로 이동하지 않고 항상 수평으로 유지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제 1수평유지유닛(3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2부재(14)의 말단에 마련될 수 있다. 이는 상기 제 2부재(14)가 상기 제 1부재(12)에서 최대한 배출되었을 때까지 수평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상기 제 1수평유지유닛(30)은 상기 제 2부재(14)의 외측과 상기 제 1부재(12)의 내측면 사이인 조립공간(16)에서 상기 제 1부재(12) 및 제 2부재(14)가 서로 유동가능하지 않도록 지지할 수 있는 수단이면 어느 것이라도 적용가능하다. 그 일예로 본 발명에서는 도 2에 도시된 구성으로 설명한다.
도 3에 도시된 상기 제 1수평유지유닛(30)은, 제 1수평유지유닛(30)의 몸체를 형성하고 일측에 홈(34)이 형성되는 하우징(32)과, 상기 홈(34)을 따라 상기 하우징(32) 외부로 돌출가능하게 슬라이딩되는 슬라이딩부재(36)와, 상기 슬라이딩부재(36)가 상기 하우징(32) 외부로 돌출되도록 탄성지지하는 탄성부재(38)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32)은 그 형상이 무관하고, 상기 조립공간(16)을 채울 수 있을 정도의 크기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32)의 일측에는 홈(34)이 형성된다. 상기 홈(34)은 상기 슬라이딩부재(36)가 이동가능하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홈(34)의 개구(34a)는 상기 제 1부재(12)의 내측면 방향으로 위치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홈(34)의 개구(34a)가 상기 제 1부재(12)의 내측면 방향으로 위치하는 것은 아래에서 설명될 패드(39)가 상기 제 1부재(12)를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함이다.
물론, 상기 제 1수평유지유닛(30)이 제 1부재(12)의 내측면에 형성되는 경우에는, 상기 하우징(32)의 홈(34)의 개구(34a)는 상기 제 2부재(14)의 외측면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홈(34)의 개구(34a)의 가장자리에는 상기 홈(34)의 내부의 직경보다 작도록 내측으로 돌출되는 걸림턱(32a)이 마련된다. 상기 걸림턱(32a)은 상기 슬라이딩부재(36)가 상기 홈(34)의 외부로 슬라이딩되는 과정에서 완전히 외부로 돌출되어버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한편, 상기 홈(34)의 내부에는 상기 홈(34)의 내부를 따라 이동가능한 슬라이딩부재(36)가 마련된다. 상기 슬라이딩부재(36)의 가장자리에는 상기 홈(34)의 걸림턱(32a)에 대응되도록 외측으로 돌출된 돌출턱(36a)이 마련된다. 상기 돌출턱(36a)은 상기 슬라이딩부재(36)의 이동범위를 제한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홈(34) 내부에는 상기 슬라이딩부재(36)가 상기 홈(34) 외부로 돌출되도록 탄성지지하는 탄성부재(38)가 마련된다. 상기 슬라이딩부재(36)의 선단이 상기 홈(34)의 외부로 항상 돌출될 수 있도록 탄성 제공되어야 한다. 또한, 상기 탄성부재(38)는 여러가지가 채용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스프링이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딩부재(36)의 선단에는 패드(39)가 더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패드(39)는 상기 슬라이딩부재(36)의 선단이 상기 제 1부재(12)의 내측면에 밀착되면서 마찰력 발생을 억제하여, 상기 슬라이딩부재(36)와 상기 제 1부재(12) 내측면 사이에 마모 및 열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패드(39)는 마찰력이 적은 합성수지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패드(39)가 구비되지 않고 상기 슬라이딩부재(36)가 합성수지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딩부재(36)가 합성수지재질로 형성되어, 상기 슬라이딩부 재(36)와 상기 제 1부재(12) 내측면 사이에 마모가 발생되는 것이 감소되게 된다.
한편, 상기 제 1부재(12)의 내측면과 상기 제 2부재(14)의 외측면 사이에는 스톱퍼(40)가 더 마련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스톱퍼(40)는 상기 제 1부재(12)의 내측면에 구비될 수 있다. 이는 상기 제 1수평유지유닛(30)과 함께 작동하여 상기 제 2부재(14)가 상기 제 1부재(12) 내측면에 대해 항상 소정의 거리를 유지하면서 수평이 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스톱퍼(40)는 상기 제 1부재(12)의 내측면에 마련되어, 상기 제 1부재(12)의 내측면과 상기 제 2부재(14)의 외측면이 소정의 거리를 유지하기 위한 것으로 이와 같은 기능을 가지면 어떤 구성이라도 적용가능하다. 그 구성은 예를 들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톱퍼(40)는, 상기 제 1부재(12)의 내측면에 고정된 베이스(42)와, 상기 베이스(42)에 고정되어 상기 제 2부재(14)의 외측면과 접촉될 수 있는 패드(44)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스톱퍼(40)의 베이스(42)는 상기 제 1부재(12)의 내측면에 고정되어 상기 패드(44)가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공간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패드(44)가 상기 제 1부재(12)의 내측면에 직접적으로 고정될 수 있는 구성이라면 상기 베이스(42)는 구성되지 않을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스톱퍼(40)에는 패드(44)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패드(44)는 상기 베이스(42)에 부착되어 상기 제 2부재(14)의 외측면과 접촉하면서, 상기 제 1부재(12)와 상기 제 2부재(14) 사이에 마모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패드(44)는 상기 제 1수평유지유닛(30)의 패드(39)와 마찬가지로 마찰계 수가 낮은 합성수지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스톱퍼(40)에는 상기 패드(44)가 상기 베이스(42)에 고정될 수 있도록 고정구(46)가 마련된다. 상기 패드(44)에는 관통공(44a)이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42)에는 상기 관통공(44a)에 대응되는 체결홈(42a)이 마련될 수 있다. 즉, 상기 고정구(46)가 상기 관통공(44a)을 관통하여 상기 체결홈(42a)에 결합되어 상기 베이스(42)에 상기 패드(44)가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고정구(46)는 나사 또는 핀 등 여러가지 체결수단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시머리나사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패드(44)에 관통공(44a)은 상기 접시머리나사가 삽입될 수 있을 정도의 깊이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접시머리나사가 상기 패드(44)의 내부에 위치되어 상기 패드(44)가 상기 제 2부재(14)의 외측면에 접촉될 때, 상기 접시머리나사가 간섭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도 2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부재(12)의 하부 선단 내측면과 상기 제 2부재(14)의 사이에는 제 2수평유지유닛(50)이 더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 2수평유지유닛(50)은 상기 제 2부재(14)를 하방에서 지지하여 상기 제 1부재(12)와 상기 제 2부재(14)가 항상 수평으로 유지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 2수평유지유닛(50)은 상기 제 2부재(14)의 외측면과 상기 제 1부재(12)의 내측면 사이를 지지할 수 있는 수단이면 어느 것이라도 적용가능하다. 그 일예로 본 발명에서는 도 5에 도시된 구성으로 설명한다.
상기 제 2수평유지유닛(50)은 상기 제 1부재(12)의 일측을 관통하는 관통 홀(52)과, 상기 관통홀(52)을 따라 이동가능한 지지가이드(54)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가이드(54)가 상기 관통홀(52)을 따라 상하로 이동하면서, 상기 제 2부재(14)의 하방을 지지하여 상기 제 1부재(12)에 대해 상기 제 2부재(14)가 수평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지지가이드(54)는 상기 제 2부재(14)와의 마모를 최소화하기 위해 마찰력이 적은 재질 즉 합성수지재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가이드(54)의 선단에는 상기 지지가이드(54)와는 별도로 상술한 마찰력이 적은 재질로 된 패드(56)가 더 마련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지지가이드(54)와 상기 패드(56)의 사이에는 탄성부재(58)가 더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58)는 상기 지지가이드(54)에 대해 상기 패드(56)를 상기 제 2부재(14) 방향으로 탄성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탄성부재(58)은 그 일예로 스프링이 적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관통홀(52)의 내측과 상기 지지가이드(54)의 외측에는 서로 맞물릴 수 있는 나사선이 마련될 수도 있다. 즉, 상기 관통홀(52)과 상기 지지가이드(54)의 나사선에 의해 상기 지지가이드(54)가 상기 관통홀(52)을 따라 상기 제 2부재(14)에 접근하도록 또는 멀어지도록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제 2수평유지유닛(50)의 패드(56)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관통홀(52)의 주위에는 보강부(59)가 더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보강부(59)는 상기 제 1부재(12)의 관통홀(52)의 외부 가장자리에 마련되어, 상기 지지가이드(54)가 상기 관통홀(52)을 안정적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가이드하는 역 할을 한다.
또한, 상기 지지가이드(54)는 하방에서 상기 지지가이드(54)가 상기 나사선을 따라 이동가능하도록 사용자가 임의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동력을 발생시킬 수 있는 구동부(미도시) 예를 들면 모터 등이 구비되어 수평유지시스템의 제어부에 의해 자동으로 동작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 1부재(12)의 하부 내측면과 상기 제 2부재(14)의 하부 외측면 사이에는 스페이서(60)가 더 마련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스페이서(60)는 상기 제 2부재(14)의 하부 말단 외측면에 구비될 수 있다. 이는 상기 제 2수평유지유닛(50)과 함께 작동하여 상기 제 2부재(14)가 상기 제 1부재(12)의 내측면에 대해 항상 소정의 거리를 유지하면서 수평이 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스페이서(60)는 상기 스톱퍼(40)와 마찬가지로, 상기 제 2수평유지유닛(50)에 보조하여 상기 제 1부재(12)가 상기 제 2부재(14)에 대해 소정의 간격을 유지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상기 스페이서(60)가 접촉하는 상기 제 1부재(12)의 내측면에 대해 마찰력이 적게 발생하도록 마찰계수가 낮은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수평유지장치(20)는 제 1수평유지유닛(30) 및 제 2수평유지유닛(50)이 여러개로 마련될 수 있다. 이는 상기 수평유지장치(20)가 상기 제 1부재(12)와 상기 제 2부재(14) 사이를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수평유지장치(20)는 예를 들면, 2개의 한 쌍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이 또한 상기 수평유지장치(20)가 상기 제 1부재(12)와 상기 제 2부재(14) 사 이를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미설명부호인 62는 구동부재이다. 상기 구동부재(62)는 상기 제 2부재(14)가 슬라이딩가능하도록 동력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구동부재(62)는 여러가지가 적용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실린더 등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평부재(12, 14)의 일단에는 수직부재(15)가 마련된다. 상기 수직부재(15)는 상기 수평부재(12, 14)가 소정의 높이에 위치할 수 있도록 하방에서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수평연장시스템의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사용자가 수평연장시스템(20)에 수평부재(12, 14)를 전체 길이가 길어지도록 제어부(미도시)에 입력을 하면, 상기 제어부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부재(14)를 동작하게 하는 구동부재(62)에 전원이 인가된다.
상기 구동부재(62)에 전원이 인가되면, 상기 구동부재(62)는 구동하여, 상기 제 2부재(14)를 도 2에서 왼쪽 방향(A)으로 이동시킨다. 이때, 상기 제 2부재(14)의 외측면과 상기 제 1부재(12)의 내측면 사이에 발생되는 조립공간(16)을 상기 수평유지장치(20)가 지지하여, 상기 제 1부재(12)에 대해 상기 제 2부재(14)가 수평으로 이동될 수 있게 된다.
특히, 상기 제 1수평유지유닛(30)은 상방에 돌출되는 슬라이딩부재(36)의 선단에는 패드(39)가 마련되어, 상기 제 1부재(12)의 내측면에 밀착되게 되어, 상기 제 1부재(12)의 내측면의 손상도 억제되게 된다.
다시 말하면, 상기 제 2부재(14)의 선단에 수직부재(15)가 구비되어 있어, 그 자중에 의해 상기 제 2부재(14)에 도 2에서 시계반대방향(C)으로 회전모멘트가 발생하게 되는데, 상기 제 2부재(14)의 회전모멘트를 상기 제 1수평유지유닛(30)이 그 회전모멘트가 발생하는 반대방향으로 지지하여 상기 제 2부재(14)가 수평으로 유지되도록 한다.
상기 제 1부재(12)의 내측에서 상기 제 2부재(14)가 완전히 외부로 배출되는 경우에도, 상기 제 1수평유지유닛(30)은 상기 제 1부재(12)와 상기 제 2부재(14) 사이를 안정적으로 지지하게 된다. 즉, 상기 제 2부재(14)가 수직으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여, 상기 제 2부재(14)가 항상 수평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패드(30)가 마모되어도, 상기 슬라이딩부재(36)를 외부로 탄성지지하는 탄성부재(38)에 의해, 상기 슬라이딩부재(36)에서 돌출되는 패드(39)의 높이는 항상 동일하게 유지될 수 있어, 상기 제 2부재(14)는 상기 제 1부재(12)에 대해 항상 수평으로 유지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 1수평유지유닛(30)에 의해 상기 제 2부재(14)를 수평으로 유지되도록 한 후, 제 2수평유지유닛(50)은 상기 제 1부재(12)에 대해 상기 제 2부재(14)가 정밀하게 수평을 유지하도록 조정하는 것이다.
즉, 사용자가 제어부 또는 직접 상기 제 2수평유지유닛(50)의 지지가이드(54)를 조정하여, 상기 제 1수평유지유닛(30)에 의해서도 완벽하게 조정되지 않는 수평을 정밀하게 조정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사용자가 제어부에 상기 지지가이드(54)의 동작신호를 입력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수평유지유닛(30)의 상기 구동부를 구동시켜 상기 지지가이드(54)가 상기 관통공(52)을 따라 상기 제 2부재(14)에 접근하는 방향 또는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한편, 상기 수직부재(15)의 선단이 지면에 접촉되어 상기 제 2부재(14)가 도 2에서 시계방향(D)으로 회전모멘트가 발생하게 되는데, 상기 제 2부재(14)의 회전모멘트를 상기 스톱퍼(40)와 상기 스페이서(60)가 반대방향으로 지지하여 상기 제 2부재(14)가 상기 제 1부재(12)에 대해 수평으로 유지되도록 한다.
본 발명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예를 들면, 본 발명에서는 상기 수평연장장치(20)를 제 1수평연장유닛(21)과 제 2수평연장유닛(32)으로 구분하여 2개가 구비되는 것을 설명하고 있으나, 상기 제 1수평연장유닛(21) 또는 상기 제 2수평연장유닛(32) 중 어느 하나만 구비될 수도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아웃트리거의 구성을 보인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수평연장시스템의 구성을 보인 정면도.
도 3은 도 2에서 제 1수평유지유닛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4는 도 2에서 스톱퍼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5는 도 2에서 제 2수평유지유닛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

Claims (7)

  1. 내부가 중공된 제 1부재;
    상기 제 1부재의 내측면을 따라 슬라이딩가능하게 설치되는 제 2부재;
    상기 제1 및 제2 부재의 연결부분에 마련되며 상기 제1 및 제2 부재가 수평이 유지되도록 하는 제1 수평유지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제1 수평유지유닛은,
    몸체를 형성하고 일측에 홈이 형성되는 하우징;
    상기 홈을 따라 상기 하우징 외부로 이동가능한 슬리이딩부재; 그리고,
    상기 슬라이딩부재가 상기 하우징 외부로 돌출되도록 상기 슬라이딩부재를 탄성지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연장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수평유지유닛은 상기 제 2부재의 상부 말단 외측면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연장시스템.
  3. 내부가 중공된 제 1부재;
    상기 제 1부재의 내측면을 따라 슬라이딩가능하게 설치되는 제 2부재;
    상기 제1 및 제2 부재의 연결부분에 마련되며 상기 제1 및 제2 부재가 수평이 유지되도록 하는 제2 수평유지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제2 수평유지유닛은,
    상기 제 1부재를 관통하는 관통홀;
    상기 관통홀을 따라 이동가능한 패드;
    상기 관통홀을 따라 이동가능하면서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지지가이드;
    상기 지지가이드와 상기 패드 사이에 마련되어 탄성지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연장시스템.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수평유지유닛은 제 1부재의 하부 말단 내측면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연장시스템.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부재의 상부 말단 내측면에 마련되는 스톱퍼; 그리고,
    상기 제 2부재의 하부 말단 외측면에 마련되는 스페이서;를 더 포함하는 수평연장시스템.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스톱퍼는,
    상기 제 1부재의 내측면에 고정되어 상기 제 2부재의 외측면과 접촉되는 패드를 포함하는 수평연장시스템.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스톱퍼는,
    상기 제 1부재의 내측면에 고정되는 베이스; 그리고,
    상기 베이스에 고정되어 상기 제 2부재의 외측면과 접촉되는 패드;를 포함하는 수평연장시스템.
KR1020070096573A 2007-02-28 2007-09-21 수평연장시스템 KR10092194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70020283 2007-02-28
KR1020070020283 2007-02-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79980A KR20080079980A (ko) 2008-09-02
KR100921948B1 true KR100921948B1 (ko) 2009-10-15

Family

ID=400207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96573A KR100921948B1 (ko) 2007-02-28 2007-09-21 수평연장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2194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4620B1 (ko) * 2015-11-27 2017-03-27 주식회사 협신산업 조립식 경량랙
KR20220020149A (ko) 2020-08-11 2022-02-18 주식회사 평강비아이엠 중장비용 아우트리거 프레임 구조
KR20220020498A (ko) 2020-08-12 2022-02-21 주식회사 평강비아이엠 중장비용 아우트리거 결합구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82973A (ja) * 1995-04-19 1996-10-29 Kobe Steel Ltd アウトリガ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82973A (ja) * 1995-04-19 1996-10-29 Kobe Steel Ltd アウトリガ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4620B1 (ko) * 2015-11-27 2017-03-27 주식회사 협신산업 조립식 경량랙
KR20220020149A (ko) 2020-08-11 2022-02-18 주식회사 평강비아이엠 중장비용 아우트리거 프레임 구조
KR20220020498A (ko) 2020-08-12 2022-02-21 주식회사 평강비아이엠 중장비용 아우트리거 결합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79980A (ko) 2008-09-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903277B (zh) 升降机的缓冲配置和止冲器
KR100921948B1 (ko) 수평연장시스템
EP3253188B1 (en) Slide rail assembly
US20180371815A1 (en) Stop Position Damping Device And Arrangement With Stop Position Damping Device
CN106365014A (zh) 电梯补偿绳涨紧轮限制机构、电梯补偿装置及电梯系统
CN106885111B (zh) 一种led显示屏支架
CN103758820A (zh) 一种行程截止装置
JP2015004404A (ja) 支持脚
KR101696138B1 (ko) 빔브라켓을 이용한 협소공간 교량받침 교체공법
JP6223728B2 (ja) 支持治具
KR20210108745A (ko) 안전 발판
CN113356766A (zh) 煤矿掘锚机
CN107477087B (zh) 滑轨总成
KR101512283B1 (ko) 크레인 케이블 흔들림 방지장치
KR20080002159U (ko) 양단 스트로크 조절 실린더
CN220779014U (zh) 一种隐藏锚点装置和台体
CN219489283U (zh) 安全钳提拉机构及其安全钳
CN220643742U (zh) 一种建筑施工用混凝土抹平装置
JP2016153332A (ja) エレベータのドア装置
CN203998795U (zh) 支腿装置及具有支腿装置的工程机械
KR100680356B1 (ko) 차체 상승 방지장치
CN215634654U (zh) 一种可调的电梯立柱防震装置
JP6561943B2 (ja) 高さ調整機能を有するエレベーターかご用巾木
CN219690444U (zh) 垂直升降活动闸系统
CN112253018B (zh) 一种限位插销以及应用该限位插销的钻杆机械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1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0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