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08745A - 안전 발판 - Google Patents
안전 발판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10108745A KR20210108745A KR1020200023732A KR20200023732A KR20210108745A KR 20210108745 A KR20210108745 A KR 20210108745A KR 1020200023732 A KR1020200023732 A KR 1020200023732A KR 20200023732 A KR20200023732 A KR 20200023732A KR 20210108745 A KR20210108745 A KR 20210108745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ootrest
- support plate
- link
- safety
- rail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00—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 E04G1/15—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essentially comprising special means for supporting or forming platforms; Platform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00—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 E04G1/15—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essentially comprising special means for supporting or forming platforms; Platforms
- E04G2001/157—Extensible platforms, e.g. telescopic platfor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add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작업자가 쉽게 조작할 수 있고, 설비의 유동성이 발생하는 개소에 별도의 철거 없이도 안전하고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안전 발판에 관한 것으로, 이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에 서로 이격되어 설치된 적어도 2개의 링크에 연결된 지지판; 상기 지지판 상에서 상기 지지판에 대해 상대 이동하는 발판; 및 상기 지지판과 상기 발판 사이에 배치된 가이드 수단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작업자가 쉽게 조작할 수 있고, 안전하고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된 안전 발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안전 발판은 건축 현장, 제품을 생산하는 공장 등에서 작업자가 발을 딛고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작업 공간을 확보해 주기 위하여 이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안전 발판은 작업 수행이 보다 원활하고 편리하면서도 안전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다양한 형태와 구조로 제작되고 있다. 보편적으로 이용되고 있는 안전 발판은 작업자가 발을 디딜 수 있는 소정의 길이와 폭을 갖는 대략 평판 구조로 형성된다.
이러한 안전 발판은, 예를 들어 설비의 개구부를 가로질러 안전 발판을 배치하고서 그 양단을 설비의 해당 구조물에 걸쳐 놓아 지지되게 하는 방식으로 사용될 수 있다.
하지만, 설비를 분해하여 재조립이 자주 발생하는 곳에서, 설비에 설치된 안전 발판을 매번 철거한 다음 재설치를 진행하면 작업자의 피로도는 상승하고 개구부 근처에서 작업자는 안전사고에 노출될 위험성이 높게 된다.
더욱이, 설비의 개구부를 통해 또는 그 안에서 구성부품이 회전하거나 왕복이동하는 자동 운전 설비의 경우, 이러한 구성부품과의 간섭이나 구성부품의 진동 등으로 인해 상시 안전 발판을 고정되게 설치하는 것은 위험하여 안전 발판의 적용이 어렵다.
(특허문헌 1) JP 2017-96020 A
이에 본 발명은 작업자가 쉽게 조작할 수 있고, 설비의 유동성이 발생하는 개소에 별도의 철거 없이도 안전하고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안전 발판을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 발판은, 베이스; 상기 베이스에 서로 이격되어 설치된 적어도 2개의 링크에 연결된 지지판; 상기 지지판 상에서 상기 지지판에 대해 상대 이동하는 발판; 및 상기 지지판과 상기 발판 사이에 배치된 가이드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의하면, 작업자가 혼자서도 쉽게 접고 펼 수 있어 안전하고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를 얻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안전 발판이 작업 위치에 있는 상태를 아래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안전 발판이 복귀 위치에 있는 상태를 도시한 부분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안전 발판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안전 발판이 복귀 위치에 있는 상태를 도시한 부분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안전 발판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도면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안전 발판이 작업 위치에 있는 상태를 아래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안전 발판이 복귀 위치에 있는 상태를 도시한 부분 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안전 발판은, 베이스(10); 이 베이스에 서로 이격되어 설치된 적어도 2개의 링크(20)에 연결된 지지판(30); 이 지지판 상에서 지지판에 대해 상대 이동하는 발판(50); 및 지지판과 발판 사이에 배치된 가이드 수단(40)을 포함하고 있다.
베이스(10)는 본 발명의 안전 발판을 해당 설비(1)에 장착하기 위한 부재로서, 필요에 따라 별도의 지지 브라켓(11)을 매개로 하여 설비에 설치될 수도 있다. 도면들에는 베이스가 대략 평판 형상을 가진 부재로 나타나 있지만, 베이스의 형상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른 구성요소를 보유지지할 수 있다면 임의의 형상으로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베이스(10)의 상면에는 소정의 거리를 두고서 서로 이격된 적어도 2개의 링크(20)가 설치될 수 있다. 이들 링크의 설치를 위해, 베이스의 상면에는 제1 힌지부(12)가 복수로 마련될 수 있다.
지지판(30)은 발판(50)의 승강과 이동을 지지하기 위한 부재로서, 하면에는 전술한 링크(20)와의 연결을 위한 제2 힌지부(32)가 복수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지지판(30)에는, 지지판에 대한 발판(50)의 상대 이동을 제한하기 위해, 지지판의 상면 또는 측면에서 돌출하고 대략 블록 형상으로 형성된 제1 스토퍼(33)가 구비될 수 있다.
링크(20)는 그 일단이 제1 힌지부(12)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축(21)으로 연결되고, 타단이 제2 힌지부(32)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축(23)으로 연결된다. 이 링크는 선택적으로 중공의 관이나 중실의 봉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기로 링크(20)로는, 실린더(25) 내 고압의 유체를 밀봉하고서 실린더에 일단이 삽입되며 타단은 외부로 노출되는 작동로드(26)를 구비한 유체 스프링이 채택될 수 있다. 실린더 내 충진되는 유체로는 공기 등과 같은 기체 또는 오일 등과 같은 액체가 적용될 수 있다.
실린더(25)의 일측 단부는 제1 힌지부(12)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축(21)으로 연결되고, 작동로드(26)의 단부는 제2 힌지부(32)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축(23)으로 연결된다.
이러한 링크(20)는 베이스(10)의 상면을 기준으로 링크의 경사각이 예컨대 40 ~ 80도 정도 되도록 그 범위 내에서 회전할 수 있다.
추가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안전 발판은, 복수의 링크(20) 중 적어도 일측 링크와 베이스(10) 사이에 연결되어 링크의 작동을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코일 스프링(60)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코일 스프링(60)은 그 일단이 베이스(10)에 장착된 연결 브라켓(61)에 연결되는 한편, 타단이 제2 힌지부(32)의 힌지축(23) 또는 제2 힌지부에 인접한 해당 링크(20)의 타단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유체 스프링이 링크(20)로 채택된 경우에, 코일 스프링(60)은 그 일단이 베이스(10)에 장착된 연결 브라켓(61)에 연결되는 한편, 타단이 제2 힌지부(32)의 힌지축(23) 또는 유체 스프링의 작동로드(26)의 단부에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코일 스프링(60)은 링크(20)가 회전하는 궤적의 반대쪽에 배치되고, 링크가 제1 힌지부(12)를 중심으로 회전하여 최소 경사각(즉 예컨대 40도)으로 경사지게 되면 인장력을 발휘하게 됨으로써, 지지판(30) 및 발판(50)의 하강시 이들 지지판과 발판 그리고 작업자에 의한 하중을 탄력적으로 지지하게 된다.
여기서, 유체 스프링이 링크(20)로 채택된 경우에, 링크가 제1 힌지부(12)를 중심으로 회전하여 링크의 타단, 즉 제2 힌지부(32)가 연결 브라켓(61)으로부터 멀어지는 쪽으로 이동하면, 코일 스프링(60)에 의해 유체 스프링에 압축력이 작용하여 지지판(30) 및 발판(50)의 안정적인 하강을 도모할 수 있으며, 하중에 따른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장치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게 된다.
링크(20)가 반대로 회전하여 최대 경사각(즉 예컨대 80도)으로 경사지게 되면, 코일 스프링(60)과 함께 링크가 거의 직립한 채로 지지판(30) 및 발판(50)을 지지할 수 있다.
특히, 유체 스프링이 링크(20)로 채택된 경우에, 링크가 반대로 회전하여 최대 경사각(즉 예컨대 80도)으로 경사지게 되면, 코일 스프링(60)에 의한 힘이 해제되면서 유체 스프링의 작동로드(26)가 신장하여 지지판(30) 및 발판(50)을 탄력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유체 스프링이 링크(20)로 채택됨에 따라, 본 발명의 안전 발판이 설비에 설치된 채로 유지되더라도, 설비(1)의 구성부품의 작동으로 유발되는 진동을 흡수하고 소음을 저감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유체 스프링은 유체의 체적을 변경함으로써 스프링 특성을 변경할 수 있으며 작동로드(26)의 신장 길이도 조정할 수 있어, 지지판(또는 발판)의 경사도를 가변시킬 수 있다.
한편, 연결 브라켓(61)과 링크(20)의 타단 또는 작동로드(26)의 단부에 각각 복수의 연결홀(62)이 구비되고, 하나 이상의 코일 스프링(60)의 양단을 각각 해당 연결홀에 연결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지지판(30) 또는 발판(50)의 무게가 변경될 때 코일 스프링의 개수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좋다.
더구나, 베이스(10)에는 제1 힌지부(12)로부터 점차 거리가 멀어지도록 배열된 복수의 나사공(13)이 형성되어, 링크(20)에 대한 연결 브라켓(61)의 원근을 조정한 후 나사(14)를 해당 나사공에 체결하고 연결 브라켓을 베이스에 고정시킴으로써 코일 스프링(60)의 인장 위치를 가변시킬 수 있다.
연결 브라켓(61)의 원근 조정은, 복수의 코일 스프링(60)이 갖는 탄성력 이상의 힘이 필요할 경우에 유효하며, 이러한 조정을 통해 지지판(30) 및 발판(50)의 승강 작동이 원활하고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발판(50)은 작업자가 직접 발을 딛는 대략 평탄한 부재로서, 이러한 발판은 임의의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임의의 재질로 된 다공판이 채택될 수도 있다.
가이드 수단(40)은 레일(45)과, 이 레일을 따라 미끄럼 이동할 수 있는 슬라이더(43)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홈부(43a)를 갖춘 슬라이더(43)가 지지판(30)의 상면에 배치되고, 슬라이더와의 결합을 위해 돌출부(45a)를 갖춘 레일(45)이 발판(50)의 하면에 길게 연장하여 장착될 수 있다.
하지만, 슬라이더와 레일의 배치는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역으로 배치되어도 된다. 또, 슬라이더가 돌출부를 갖추고 레일이 홈부를 갖추어도 된다.
또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슬라이더(43)가 지지판(30)의 길이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직렬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슬라이더는 볼팅에 의해 지지판에 고정되게 설치될 수 있다.
슬라이더(43)에 있는 홈부(43a)와 레일(45)에 있는 돌출부(45a)의 단면 형상은 서로 상응하게 형성되는 것이 좋다. 특히, 홈부와 돌출부의 단면 형상은 측방으로 소정의 돌기(43b)와 홈(45b) 또는 굴곡부를 가져, 슬라이더와 레일 사이에서 다시 말해 발판(50)이 지지판(30)으로부터 높이방향으로의 분리가 방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레일(45)의 돌출부(45a)의 측면에 레일의 길이 전체에 걸쳐 홈(45b)이 형성되고, 슬라이더(43)의 홈부(43a)의 측벽에 수평하게 연장한 돌기(43b)가 형성되어, 돌기와 홈의 형상맞춤에 의해 발판(50)의 하면에 장착된 레일을 따라 지지판(30)의 상면에 있는 슬라이더가 미끄럼 이동할 수 있음은 물론, 슬라이더와 레일 사이에서 높이방향으로의 분리가 일어나지 않게 할 수 있다.
반대로, 레일(45)의 돌출부(45a)의 측면에 레일의 길이방향을 따라 돌기가 형성되고, 슬라이더(43)의 홈부(43a)의 측벽에 수평하게 슬라이더의 전체 길이에 걸쳐 홈이 형성되어도 마찬가지의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레일(45)과 슬라이더(43) 간의 결합 및 이동에 의해, 발판(50)이 지지판(30)에 대해 원활히 선형으로 상대 이동할 수 있음과 더불어, 발판(50)이 지지판(30)으로부터 높이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발판(50)에는, 지지판(30)에 대한 발판의 상대 이동을 제한하기 위해, 발판의 하면에서 레일(45)의 측방으로 그리고 레일의 길이방향을 따라 서로 떨어져 위치한 한 쌍의 제2 스토퍼(53)가 구비될 수 있다.
발판(50)이 지지판(30)에 대해 상대 이동할 때, 발판의 하면에서 레일(45)의 옆에 구비된 한 쌍의 제2 스토퍼(53) 중 하나가 지지판의 상면 또는 측면에서 돌출한 제1 스토퍼(33)와 만나게 되면, 발판의 지지판에 대한 이동이 저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발판(50)이 지지판(30)에 대해 전진하여 연장한 작업 위치(도 1 참조)에서 더 이상 전진하지 못하고, 반대로 발판이 지지판에 대해 후진한 복귀 위치(도 2 참조)에서 더 이상 후진하지 못하고 멈추게 된다.
발판(50)의 소정 위치에는, 작업자가 걸쇠(미도시)를 걸어 발판(또는 지지판과 함께)을 들어올리거나 내리고 선형으로 이동시키는 데에 사용될 수 있는 걸림홈(51)이 형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안전 발판의 작동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베이스(10)를 매개로 하여 본 발명의 안전 발판이 해당 설비(1)에 장착된 상태에서, 발판(50)은 복귀 위치에 놓여 있다.
이때, 발판(50)의 하면에서 레일(45)의 옆에 구비된 한 쌍의 제2 스토퍼(53) 중 하나가 지지판(30)의 제1 스토퍼(33)와 만나 접촉함으로써, 발판의 지지판에 대한 후진 이동이 저지되고 있다.
링크(20)가 최대 경사각(즉 예컨대 80도)으로 경사져 거의 직립하고 있기 때문에, 지지판(30)과 발판(50)은 작업 위치보다는 다소 상승된 높이에 위치하게 되며, 복수의 링크는 지지판과 발판을 안정되게 지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본 발명의 안전 발판은 설비의 구성부품과 간섭되지 않아 구성부품의 작동과는 상관 없이 설비 상의 복귀 위치에 유지될 수 있다.
그 후에, 설비(1)의 유지보수 등을 위해 설비의 개구부를 가로질러 안전 발판이 설치될 필요가 있을 때, 작업자는 걸쇠를 발판(50)의 걸림홈(51)에 걸어 발판을 지지판(30)에 대해 상대 이동시킨다.
가이드 수단(40)을 구성하는 레일(45)과 슬라이더(43) 간의 결합 및 이동에 의해, 구체적으로 발판(50)의 하면에 장착된 레일을 따라 지지판(30)의 상면에 있는 슬라이더가 미끄럼 이동하게 됨으로써 발판이 지지판에 대해 원활히 선형으로 상대 이동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지지판(30)과 발판(50)의 무게중심이 이동된다.
이어서, 발판(50)의 하면에 구비된 한 쌍의 제2 스토퍼(53) 중 다른 하나가 지지판(30)의 제1 스토퍼(33)와 만나 접촉함으로써, 발판의 지지판에 대한 전진 이동이 저지된다.
전진 이동이 저지됨에도 불구하고, 작업자가 걸쇠를 통해 발판(50)을 더 전진시키려는 힘을 가하게 되면, 이 힘과 더불어 지지판(30)과 발판(50)의 무게가 링크(20)와 베이스(10) 사이에 연결된 코일 스프링(60)의 탄성력을 극복하게 됨으로써, 링크(20)의 회전이 이루어지게 된다.
지지판(30)과 발판(50)의 무게로 인해 링크(20)의 회전이 이어짐에 따라, 링크가 제1 힌지부(12)를 중심으로 회전하여 최소 경사각(즉 예컨대 40도)으로 경사지게 되고, 이 때문에 지지판과 발판은 최초 복귀 위치보다는 다소 하강된 높이의 작업 위치에 놓이게 된다.
작업 위치에서, 발판(50)은 지지판(30)으로부터 소정 길이만큼 연장하여 펼쳐지고, 스토퍼들에 의해 그 전진 이동이 저지됨과 동시에, 지지판과 발판의 무게에 의해 링크(20)가 복귀 위치 쪽으로 역방향 회전하는 것이 방지되게 된다.
링크(20)에 연결된 코일 스프링(60)은 인장력을 발휘하고 있으며, 예컨대 유체 스프링이 링크로 채택된 경우에, 유체 스프링에는 압축력이 작용하여 이들 스프링은 지지판(30)과 발판(50) 그리고 작업자에 의한 하중을 탄력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설비(1)에 요구되는 작업이 완료된 후에, 작업자가 다시 걸쇠를 발판(50)의 걸림홈(51)에 걸어 발판을 들어올리면, 작업자의 들어올리는 힘과 함께 코일 스프링(60)의 탄성력이 지지판(30)과 발판(50)의 무게를 극복하게 됨으로써, 링크(20)의 역방향 회전이 이루어지게 된다.
여기서, 가이드 수단(40)을 구성하는 레일(45)과 슬라이더(43) 간의 결합 및 그 단면 형상의 형상맞춤에 의해, 발판(50)을 들어올릴 때 발판이 지지판(30)으로부터 높이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링크(20)의 역방향 회전이 이어짐에 따라 링크가 최대 경사각(즉 예컨대 80도)으로 경사지게 되고, 이 때문에 지지판(30)과 발판(50)은 작업 위치보다는 다소 상승된 높이에 위치하여, 설비(1)의 상면에 대하여 높이차를 형성함으로써 발판이 설비의 상면에서 이동 가능하게 하는 공간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계속해서, 작업자가 걸쇠를 통해 발판(50)을 후진시키려는 힘을 가하게 되면, 발판의 하면에 구비된 한 쌍의 제2 스토퍼(53) 중 하나가 지지판(30)의 제1 스토퍼(33)와 만나 접촉할 때까지 발판은 지지판에 대해 상대 이동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가이드 수단(40)을 구성하는 레일(45)과 슬라이더(43) 간의 결합 및 이동에 의해, 발판(50)이 지지판(30)에 대해 원활히 선형으로 상대 이동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지지판(30)과 발판(50)의 무게중심이 이전과 반대로 이동되면서, 링크(20)는 지지판 및 발판을 지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안전 발판은, 설비(1)의 개구부에서 벗어나, 복귀 위치에서 발판(50)을 설비의 상면에 밀어젖혀 둘 수 있게 됨으로써 철거가 불필요하다.
또한, 본 발명의 안전 발판은, 작업자가 혼자서도 쉽게 수동으로 접고 펼 수 있어 안전하고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안전 발판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는, 링크 및 가이드 수단의 형태만 상이하고, 나머지 구성요소들은 전술한 도 1과 도 2에 도시된 제1 실시예의 구성요소들과 동일하다. 이에,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안전 발판을 설명함에 있어, 전술한 제1 실시예에 의한 안전 발판과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면서 그 구성 및 기능의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안전 발판은, 유체압 실린더와 리니어 모션 가이드를 이용하여 제1 실시예에 의한 안전 발판을 자동화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복수의 링크(20) 중 적어도 일측 링크에는, 실린더(25) 내에 고압의 유체압을 인가하거나 해제함으로써 실린더에 일단이 삽입된 작동로드(26)를 신축 가능하게 구비한 유체압 실린더가 채택될 수 있다. 실린더 내 충진되는 유체로는 공기 등과 같은 기체 또는 오일 등과 같은 액체가 적용될 수 있다.
실린더(25)의 일측 단부는 베이스(10)의 제1 힌지부(12)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축(21)으로 연결되고, 작동로드(26)의 단부는 지지판(30)의 제2 힌지부(32)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축(23)으로 연결된다.
이러한 링크(20)는 베이스의 상면을 기준으로 링크의 경사각이 예컨대 40 ~ 80도 정도 되도록 그 범위 내에서 회전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안전 발판은, 복수의 링크(20) 중 적어도 일측 링크와 베이스(10) 사이에 연결되어 링크의 작동을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코일 스프링(6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코일 스프링(60)은 그 일단이 베이스(10)에 장착된 연결 브라켓(61)에 연결되는 한편, 타단이 제2 힌지부(32)의 힌지축(23) 또는 유체압 실린더의 작동로드(26)의 단부에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코일 스프링(60)은 링크(20)가 회전하는 궤적의 반대쪽에 배치되고, 링크가 제1 힌지부(12)를 중심으로 회전하여 최소 경사각(즉 예컨대 40도)으로 경사지게 되면 인장력을 발휘하게 됨으로써, 지지판(30) 및 발판(50)의 하강시 이들 지지판과 발판 그리고 작업자에 의한 하중을 탄력적으로 지지하게 된다.
링크(20)가 반대로 회전하여 최대 경사각(즉 예컨대 80도)으로 경사지게 되면, 코일 스프링(60)과 함께 링크가 거의 직립한 채로 지지판(30) 및 발판(50)을 지지할 수 있다.
특히, 링크(20)가 유체압 실린더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링크가 반대로 회전하여 최대 경사각(즉 예컨대 80도)으로 경사지게 되면, 유체압 실린더의 신장된 작동로드(26)에 의해 지지판(30) 및 발판(50)을 탄력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유체압 실린더가 링크(20)로 채택됨에 따라, 본 발명의 안전 발판이 설비에 설치된 채로 유지되더라도, 설비(1)의 구성부품의 작동으로 유발되는 진동을 흡수하고 소음을 저감할 수 있다.
유체압 실린더는 펌프 등과 같은 공급원(미도시)으로부터 공급라인(27)을 매개로 제공되는 유체압을 변경함으로써 작동로드(26)의 신장 길이를 조정할 수 있어, 지지판(또는 발판)의 경사도를 가변시킬 수 있다.
가이드 수단(40)은 레일(45); 이 레일과 평행하게 설치되어 모터(41)의 구동력을 통해 정역방향으로 회전하는 볼트축(42); 및 레일과 결합하고서, 볼트축과 나사결합하여 볼트축을 따라 왕복이동하는 너트부(44)에 의해 레일을 따라 미끄럼 이동 가능한 슬라이더(43)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판(30)의 상면에 레일(45)이 배치되고, 이 레일과 평행하게 볼트축(42)이 설치될 수 있다. 볼트축의 양단부는 지지판 상에 장착된 베어링부(34)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정역회전이 가능한 모터(41)는 볼트축(42)의 일단에 그 모터축이 연결될 수 있다. 이로써, 모터의 회전 구동에 의해 볼트축이 회전되면, 볼트축에 나사결합한 너트부(44)의 작용에 의해 슬라이더(43)가 레일(45)을 따라 선형으로 왕복이동하게 된다.
슬라이더(43)는 볼팅에 의해 발판(50)의 하면에 고정되게 설치될 수 있다.
너트부(44)는 관통공의 형태로 슬라이더와 일체로 형성되거나 별도로 만들어진 후 슬라이더에 견고하게 부착될 수 있다. 이 너트부가 볼트축(42)과 나사결합하여 볼트축을 따라 왕복이동한다.
또한, 슬라이더(43)는 그 일측면에 홈부(43a)가 마련되어 레일(45)과 결합함으로써, 레일을 따라 원활히 미끄럼 이동할 수 있게 된다.
하지만, 슬라이더(43)와, 레일(45) 및 볼트축(42)의 배치는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역으로 배치되어도 된다. 또, 안정된 작동을 위해 복수의 슬라이더가 발판(50)의 하면에서 서로 이격되어 직렬로 배치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볼트축(42)과 슬라이더(43)의 너트부(44) 간의 나사결합 및 이동, 그리고 레일(45)과 슬라이더(43)의 홈부(43a) 간의 결합 및 이동에 의해, 발판(50)은 지지판(30)에 대해 원활히 선형으로 상대 이동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발판(50)이 지지판(30)에 대해 상대 이동할 때, 모터(41)의 정방향 회전수 및 이에 따른 슬라이더(43)의 행정거리, 또는 모터의 역방향 회전수 및 이에 따른 슬라이더의 행정거리가 결정됨으로써, 발판의 지지판에 대한 상대 이동이 제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발판(50)은 지지판(30)에 대해 전진하여 연장한 작업 위치에서는 더 이상 전진하지 못하고, 반대로 지지판에 대해 후진한 복귀 위치에서 더 이상 후진하지 못하고 멈추게 된다.
링크(20)를 구성하는 유체압 실린더에 연결된 공급원과, 가이드 수단(40)의 모터(41)는 별도로 또는 일괄적으로 제어부(70)나 조작기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그 작동이 제어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안전 발판의 작동에 대해 도 3을 참조로 하여 간략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베이스(10)를 매개로 하여 본 발명의 안전 발판이 해당 설비(1)에 장착된 상태에서, 발판(50)은 복귀 위치에 놓여 있다.
이때, 링크(20)는 최대 경사각(즉 예컨대 80도)으로 경사져 거의 직립하고 있기 때문에, 지지판(30)과 발판(50)은 작업 위치보다는 다소 상승된 높이에 위치하게 되며, 복수의 링크는 지지판과 발판을 안정되게 지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본 발명의 안전 발판은 설비의 구성부품과 간섭되지 않아 구성부품의 작동과는 상관 없이 설비 상의 복귀 위치에 유지될 수 있다.
그 후에, 설비(1)의 유지보수 등을 위해 설비의 개구부를 가로질러 안전 발판이 설치될 필요가 있을 때, 작업자가 조작기를 통해 또는 제어부(70)에 의해 가이드 수단(40)의 모터(41)를 정방향으로 회전 구동시킴으로써, 발판(50)을 지지판(30)에 대해 상대 이동시킨다.
모터(41)의 회전 구동에 의해 볼트축(42)이 회전되면, 볼트축에 나사결합한 너트부(44)의 작용에 의해 슬라이더(43)가 레일(45)을 따라 선형으로 이동하게 된다.
가이드 수단(40)을 구성하는 볼트축(42)과 슬라이더(43)의 너트부(44) 간의 나사결합 및 이동, 그리고 레일(45)과 슬라이더의 홈부(43a) 간의 결합 및 이동에 의해, 발판(50)이 지지판(30)에 대해 원활히 선형으로 상대 이동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지지판(30)과 발판(50)의 무게중심이 이동된다.
이어서, 미리 결정된 모터(41)의 정방향 회전수 및 이에 따른 슬라이더(43)의 행정거리로 인해, 발판(50)의 지지판(30)에 대한 전진 이동이 제한된다.
전진 이동이 제한됨과 동시에 작업자가 조작기를 통해 또는 제어부(70)에 의해 일측 링크(20)를 구성하는 유체압 실린더의 유체압을 해제하기 시작하면, 지지판(30)과 발판(50)의 무게중심이 더욱 이동되게 됨으로써 링크의 회전이 이루어지게 된다.
지지판(30)과 발판(50)의 무게로 인해 링크(20)의 회전이 이어짐에 따라, 링크가 제1 힌지부(12)를 중심으로 회전하여 최소 경사각(즉 예컨대 40도)으로 경사지게 되고, 이 때문에 지지판과 발판은 최초 복귀 위치보다는 다소 하강된 높이의 작업 위치에 놓이게 된다.
작업 위치에서, 발판(50)은 지지판(30)으로부터 소정 길이만큼 연장하여 펼쳐지고, 모터(41)의 정지에 의해 그 전진 이동이 제한됨과 동시에, 지지판과 발판의 무게에 의해 링크(20)가 복귀 위치 쪽으로 역방향 회전하는 것이 방지되게 된다.
선택적으로, 링크(20)와 베이스(10) 사이에 코일 스프링(60)이 연결된 경우에, 코일 스프링은 인장력을 발휘하여, 지지판(30)과 발판(50) 그리고 작업자에 의한 하중을 탄력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설비(1)에 요구되는 작업이 완료된 후에, 작업자가 다시 조작기를 통해 또는 제어부(70)에 의해 일측 링크(20)의 유체압 실린더에 유체압을 인가하기 시작하면, 해당 작동로드(26)가 신장되면서 발판의 단부가 들리게 되고, 지지판(30)과 발판(50)의 무게중심이 이전과 반대로 이동하게 됨으로써, 링크의 역방향 회전이 이루어지게 된다.
유체압 실린더에 유체압을 더욱 가하여 링크(20)의 역방향 회전이 이어짐에 따라 링크가 최대 경사각(즉 예컨대 80도)으로 경사지게 되고, 이 때문에 지지판(30)과 발판(50)은 작업 위치보다는 다소 상승된 높이에 위치하여, 설비(1)의 상면에 대한 높이차를 형성함으로써 발판이 설비의 상면에서 이동 가능하게 하는 공간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계속해서, 작업자가 조작기를 통해 또는 제어부(70)에 의해 가이드 수단(40)의 모터(41)를 역방향으로 회전 구동시킴으로써, 미리 결정된 모터의 역방향 회전수 및 이에 따른 슬라이더의 행정거리 내에서 발판(50)을 지지판(30)에 대해 상대 이동시킨다.
마찬가지로, 가이드 수단(40)을 구성하는 볼트축(42)과 슬라이더(43)의 너트부(44) 간의 나사결합 및 이동, 그리고 레일(45)과 슬라이더의 홈부(43a) 간의 결합 및 이동에 의해, 발판(50)이 지지판(30)에 대해 원활히 선형으로 상대 이동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지지판(30)과 발판(50)의 무게중심이 더욱 이동되고, 링크(20)는 지지판 및 발판을 지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안전 발판은, 설비(1)의 개구부에서 벗어나, 복귀 위치에서 발판(50)을 설비의 상면에 밀어젖혀 둘 수 있게 됨으로써 철거가 불필요하다.
또한, 본 발명의 안전 발판은, 작업자가 혼자서도 쉽게 자동으로 접고 펼 수 있어 안전하고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와 제2 실시예는 서로 조합될 수 있으며, 각 실시예는 다른 실시예의 일부 구성요소를 채용할 수도 있다.
일례로, 제1 실시예의 제1 스토퍼와 제2 스토퍼가 제2 실시예에 적절하게 배치될 수 있는 한편, 제2 실시예의 유체압 실린더로 된 링크 또는 모터로 구동되는 가이드 수단이 제1 실시예에 적용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설비
10: 베이스
11: 지지 브라켓 12: 제1 힌지부
20: 링크 25: 실린더
26: 작동로드 27: 공급라인
30: 지지판 32: 제2 힌지부
33: 제1 스토퍼 34: 베어링부
40: 가이드 수단 41: 모터
42: 볼트축 43: 슬라이더
44: 너트부 45: 레일
50: 발판 51: 걸림홈
53: 제2 스토퍼 60: 코일 스프링
61: 연결 브라켓 70: 제어부
11: 지지 브라켓 12: 제1 힌지부
20: 링크 25: 실린더
26: 작동로드 27: 공급라인
30: 지지판 32: 제2 힌지부
33: 제1 스토퍼 34: 베어링부
40: 가이드 수단 41: 모터
42: 볼트축 43: 슬라이더
44: 너트부 45: 레일
50: 발판 51: 걸림홈
53: 제2 스토퍼 60: 코일 스프링
61: 연결 브라켓 70: 제어부
Claims (13)
- 베이스;
상기 베이스에 서로 이격되어 설치된 적어도 2개의 링크에 연결된 지지판;
상기 지지판 상에서 상기 지지판에 대해 상대 이동하는 발판; 및
상기 지지판과 상기 발판 사이에 배치된 가이드 수단
을 포함하는 안전 발판.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는 중공의 관이나 중실의 봉으로 형성된 안전 발판.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는 작동로드를 구비한 유체 스프링인 안전 발판.
- 제1항에 있어서,
복수의 링크 중 적어도 일측 링크는 작동로드를 신축 가능하게 구비한 유체압 실린더인 안전 발판.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에 대한 상기 발판의 상대 이동을 제한하기 위해, 상기 지지판에는 상기 지지판의 상면 또는 측면에서 돌출한 제1 스토퍼가 구비되고, 상기 발판에는 상기 발판의 하면에 위치한 한 쌍의 제2 스토퍼가 구비된 안전 발판.
- 제1항에 있어서,
복수의 링크 중 적어도 일측 링크와 상기 베이스 사이에 연결된 코일 스프링을 더 포함하는 안전 발판.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 스프링은 일단이 상기 베이스에 장착된 연결 브라켓에 연결되고,
상기 연결 브라켓과 상기 링크에 각각 복수의 연결홀이 구비되어, 하나 이상의 코일 스프링이 연결 가능한 안전 발판.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에는 복수의 나사공이 배열되게 형성되고, 상기 링크에 대한 상기 연결 브라켓의 원근을 조정한 후 나사를 해당 나사공에 체결하여 상기 연결 브라켓을 상기 베이스에 고정시키도록 된 안전 발판.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수단은,
상기 지지판과 상기 발판 중 일측에 장착된 레일과,
상기 지지판과 상기 발판 중 타측에 설치되어, 상기 레일을 따라 미끄럼 이동 가능한 슬라이더
를 포함하는 안전 발판.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과 상기 레일에 결합하는 상기 슬라이더의 홈부의 단면 형상은 서로 상응하게 형성되고, 상기 레일과 상기 홈부의 단면 형상은 측방으로 소정의 돌기나 홈, 또는 굴곡부를 가져, 상기 레일과 상기 슬라이더 사이에서 높이방향으로의 분리가 방지되는 안전 발판.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발판에는 걸쇠를 걸어 상기 발판을 승강시키고 이동시키는 것에 사용되는 걸림홈이 형성된 안전 발판.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수단은, 상기 레일과 평행하게 설치되어 모터의 구동력을 통해 정역방향으로 회전하는 볼트축을 더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더는 상기 볼트축과 나사결합하여 상기 볼트축을 따라 왕복이동하는 너트부를 구비한 안전 발판.
-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는, 상기 베이스의 상면을 기준으로 상기 링크의 경사각이 40 ~ 80도로 되는 범위 내에서 회전하는 안전 발판.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23732A KR20210108745A (ko) | 2020-02-26 | 2020-02-26 | 안전 발판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23732A KR20210108745A (ko) | 2020-02-26 | 2020-02-26 | 안전 발판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108745A true KR20210108745A (ko) | 2021-09-03 |
Family
ID=777852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023732A KR20210108745A (ko) | 2020-02-26 | 2020-02-26 | 안전 발판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210108745A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575363B1 (ko) * | 2023-02-17 | 2023-09-07 | 김성겸 | 접이식 사다리 및 접이식 안전 난간을 구비한 도로 전광판 지지 구조물 |
-
2020
- 2020-02-26 KR KR1020200023732A patent/KR20210108745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575363B1 (ko) * | 2023-02-17 | 2023-09-07 | 김성겸 | 접이식 사다리 및 접이식 안전 난간을 구비한 도로 전광판 지지 구조물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625611B1 (ko) | 레일 가이드식 크라이밍 시스템을 위한 리프트 드라이브 | |
KR100704720B1 (ko) | 가설대 승강장치 및 이를 이용한 가설대 승강방법 | |
KR101040033B1 (ko) | 가설대 승강장치 | |
EP3121142A1 (en) | A limiting mechanism for an elevator compensation rope tensioning pulley, an elevator compensation apparatus, and an elevator system | |
KR100989822B1 (ko) | 농업용 고소작업대 | |
KR102180713B1 (ko) | 리프트 | |
KR102387167B1 (ko) | 갱폼 클라이밍 시스템 | |
KR20210108745A (ko) | 안전 발판 | |
KR101326794B1 (ko) | 고소작업대용 대차 | |
JP2007523023A (ja) | エレベータのガイドレールに沿ってプラットフォームを移動させるための装置 | |
KR100841011B1 (ko) | 중량물 승강장치 | |
KR20170035171A (ko) | 하중 조절형 승강작업대 | |
JP7199433B2 (ja) | 推力昇降装置 | |
KR20220156548A (ko) | 지지 프레임용 변환 키트, 지지 프레임 및 지지 프레임에 장착된 통합 진공 시스템 | |
KR100277374B1 (ko) | 리프트의 하강금지장치 | |
KR100921948B1 (ko) | 수평연장시스템 | |
JPH08100517A (ja) | 昇降式作業台 | |
KR0151665B1 (ko) | 이동 작업 플로어의 점진 상승 확장 플로어 장치 | |
CN113550557A (zh) | 一种用于高层建筑施工的爬模及液压爬模施工工艺 | |
KR200365820Y1 (ko) | 구조물 밑면 안전 진단을 위한 이동 조립식 비계틀 고정장치 | |
US20050045426A1 (en) | Elevator with a scissor lift mechanism and a spring member serving as virtual counter weight | |
CN216196451U (zh) | 建筑装饰工程施工用升降装置 | |
AU2003254411B2 (en) | A lifting or transporting means using a reciprocating jack | |
CN219971793U (zh) | 升降平台 | |
CN218643854U (zh) | 一种行程装置及爬模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