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49451B1 - 슬라이딩 도어 가이드장치 - Google Patents

슬라이딩 도어 가이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49451B1
KR102049451B1 KR1020170179724A KR20170179724A KR102049451B1 KR 102049451 B1 KR102049451 B1 KR 102049451B1 KR 1020170179724 A KR1020170179724 A KR 1020170179724A KR 20170179724 A KR20170179724 A KR 20170179724A KR 102049451 B1 KR102049451 B1 KR 1020494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ing
door
housing
housing body
h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797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78044A (ko
Inventor
유광식
Original Assignee
유광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광식 filed Critical 유광식
Priority to KR10201701797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9451B1/ko
Publication of KR201900780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780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94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94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0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 E05D15/0621Details, e.g. suspension or supporting guid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28Bear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88Roll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60Mounting or coupling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600/626Plates or bracke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Type of wing
    • E05Y2900/132Do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upport Devices For Sliding Doors (AREA)
  • Hinge Accessories (AREA)

Abstract

도어의 이동을 가이드 하는 레일에 고정 설치되는 지지브라켓과, 지지브라켓에 돌출되게 결합되는 결합하우징과, 결합하우징에 높이 조절 가능하도록 나사 결합되는 높이 조절부재와, 높이 조절부재에 결합되는 지지베어링 및 지지베어링에 지지되어 도어의 슬라이딩 이동을 가이드 하는 가이드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도어 가이드장치가 개시된다.

Description

슬라이딩 도어 가이드장치{AN APPARATUS FOR GUIDING SLIDING DOOR}
본 발명은 슬라이딩 도어 가이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슬라이딩 도어를 지지하여 레일 상에서 안정되게 가이드 되도록 지지하는 슬라이딩 도어 가이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장롱, 붙박이장, 건물의 출입문 등에서 사용되는 미닫이 방식의 도어 즉, 슬라이딩 도어는 일측에서 타측으로 힘을 가하여 슬라이딩시켜서 개폐하도록 하는 구성을 가진다. 이를 위해 슬라이딩 도어의 상부 및 하부 각각에는 레일을 설치하여 슬라이딩 이동을 가이드하고, 슬라이딩 도어의 하단과 상단에는 레일을 따라 이동되는 롤러를 설치하여 레일을 따라서 도어가 슬라이딩되게 지지하는 구성을 가진다.
슬라이딩 도어는 도어 틀에 설치되는 상부 레일 및 하부레일 각각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된다. 이를 위해 도어의 상부에는 상부 레일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가이드롤러가 설치된다.
그리고 하부 레일에는 상기 도어의 슬라이딩 이동을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롤러가 설치되어, 도어의 왕복 이동을 가이드 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도어는 상부에 설치되는 상부 가이드롤러가 상부 레일을 따라 이동되면서 슬라이딩 동작된다. 그리고 도어의 하부는 하부 레일에 고정 설치되는 하부 가이드롤러에 지지되어 왕복 이동되도록 가이드 된다. 이때 도어는 상부 레일에 매달린 형태로 상부 가이드롤러에 의해 왕복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므로 하단과 하부 레일과의 사이에서 조립오차 등에 의해 유격이 발생될 수 있다.
그런데 하부 레일에 고정 설치되는 하부 가이드롤러의 높이의 조절이 불가능하므로, 도어의 하단부가 하부 레일에 설치된 하부 가이드레일에 정상적으로 지지되지 못하여 안정적으로 가이드 되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394261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슬라이딩 도어의 하부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높이 조절 가능한 슬라이딩 도어 가이드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슬라이딩 도어 가이드장치는, 도어의 이동을 가이드 하는 레일에 고정 설치되는 지지브라켓; 상기 지지브라켓에 돌출되게 결합되는 결합하우징; 상기 결합하우징에 높이 조절 가능하도록 나사 결합되는 높이 조절부재; 상기 높이 조절부재에 결합되는 지지베어링; 및 상기 지지베어링에 지지되어 상기 도어의 슬라이딩 이동을 가이드 하는 가이드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로써, 슬라이딩 도어를 지지하는 가이드롤러의 높이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결합하우징은, 상하 관통 형성된 파이프 구조를 가지며, 내주면에 나사선이 형성되는 하우징 몸체; 상기 하우징 몸체의 하단에서 연장되며, 상기 하우징 몸체보다 얇은 두께로 형성되어 상기 지지브라켓에 코킹 결합되는 코킹결합부; 및 상기 하우징 몸체의 상단에 연장되며, 상기 하우징 몸체보다 얇은 두께로 형성되는 지지리브;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결합하우징을 지지브라켓에 용이하게 조립하여 고정할 수 있으며, 높이 조절부재를 높이 조절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높이 조절부재는, 상기 하우징 몸체의 내주에 형성된 나사선이 나사 결합되도록 외주에 나사선이 형성된 나사 결합부; 및 상기 나사 결합부의 상부로 봉 형상으로 연장되어 상단이 상기 결합하우징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베어링 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높이 조절부재의 상단에는 드라이버 공구를 이용하여 회전시키기 위한 공구 결합홈이 형성된 것이 좋다.
이로써, 높이 조절부재를 드라이버를 이용하여 용이하게 높이 조절하도록 설치하여 가이드롤러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합하우징의 상기 지지리브 내측에는 링 형상의 충격 흡수부재가 설치되며, 상기 지지리브의 상단이 내측으로 절곡되어 상기 충격 흡수부재의 분리를 억제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의 슬라이딩 도어 가이드장치에 따르면, 슬라이딩 도어의 슬라이딩을 가이드 하도록 레일에 설치되는 가이드롤러의 높이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즉, 가이드롤러를 레일에서 분리하지 않고도 드라이버를 이용하여 높이 조절부재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시켜서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도어 가이드장치를 나타내 보인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슬라이딩 도어 가이드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슬라이딩 도어 가이드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상태에서 높이 조절부재를 조작하여 가이드롤러의 높이를 조정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높이 조절부재를 나타내 보인 도면이다.
도 6은 도 3에 도시된 결합하우징을 지지브라켓에 조립하기 전의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도어 가이드장치를 레일에 설치하여 도어를 지지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도어 가이드장치를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도어 가이드장치(100)는, 레일(20)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브라켓(110)과, 고정브라켓(110)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결합하우징(120)과, 결합하우징(120)에 상하 높이 조절 가능하게 설치되는 높이 조절부재(130) 및 높이 조절부재(130)의 상단 외측에 설치되는 지지베어링(140) 및 지지베어링(140)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도어(10)의 이동을 가이드 하는 가이드롤러(150)를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레일(20)은 수평벽(21)과, 수평벽(21)의 양단에서 서로 마주하도록 수평벽(21)에서 90도 각도로 절곡되어 연장된 한 쌍의 수직벽(23)을 가진다. 이러한 레일(20)의 구조를 다양한 예가 가능하며, 그 내부면 즉, 수평벽(21)과 수직벽(23) 각각에는 미도시된 돌출리브가 형성될 수도 있다. 즉, 레일(20)의 구체적인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지지브라켓(110)은 판구조를 가지며, 레일(20)의 내부의 수평벽(21)에 스크류에 의해 고정 결합된다. 이를 위해 지지브라켓(110)에는 스크류 체결을 위한 체결공(111)이 복수 형성된다.
상기 지지브라켓(110)의 중앙부분에는 결합하우징(120)이 돌출되게 설치된다. 즉, 결합하우징(120)은 대략 관 형상을 가지도록 양단이 개방된 구조를 가지며, 지지브라켓(110)이 중앙부분에 수직으로 소정 높이로 설치된다. 이러한 결합하우징(120)은 지지브라켓(110)에 체결되기 전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조를 가지며, 지지브라켓(110)의 중앙의 하우징 결합홀(113)에 소위 코킹 결합된다.
이러한 결합하우징(120)은 중앙의 하우징 몸체(121)와, 하우징 몸체(121)의 하단에 연장된 코킹결합부(123) 및 하우징 몸체(121)의 상단에 연장되는 지지리브(125)를 가진다.
하우징 몸체(121)의 내주면에는 나사선(121a)이 형성되어, 상기 높이 조절부재(130)가 높이 조절 가능하게 나사 결합되는 된다.
코킹결합부(123)는 하우징 몸체(121)의 하단으로 관 형상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며, 하우징 몸체(121)보다 얇은 두께로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코킹결합부(123)는 하우징 몸체(121)의 외경보다 작은 외경을 가지며, 내경은 동일하게 형성되는 것이 좋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코킹 결합부(123)를 지지브라켓(110)의 하우징 결합홀(113)에 끼워 넣은 상태에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킹결합부(123)의 하단을 변형시켜서 하우징 결합홀(113)에서 빠지지 않도록 코킹 결합하는 것이 용이하게 된다.
또한, 상기 지지리브(125)는 하우징 몸체(121)의 상단에서 관 형상으로 연장 형성되며, 하우징 몸체(121)의 내경보다 큰 내경을 가지고, 동일한 외경을 갖는다. 즉, 지지리브(125)는 하우징 몸체(121)보다 상대적으로 얇은 두께를 가짐으로써, 안착부(124)가 그들(121)(125)사이에 단차지게 형성되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착부(124)에 링형의 충격 흡수부재(160)을 안착한 상태에서 지지리브(125)의 끝단을 내측으로 가압하여 변형시켜서 절곡하면, 충격 흡수부재(160)가 분리되지 않도록 견고하게 결합할 수 있다.
상기 높이 조절부재(130)는 결합하우징(120)의 내부에 높이 조절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으로서, 하우징 몸체(121)의 내주에 형성된 나사선(121a)에 나사 결합되도록 외주에 나사선이 형성된 나사 결합부(131)와, 나사 결합부(131)의 상부로 봉 형상으로 연장되어 상단이 결합하우징(121)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베어링 결합부(133)를 가진다. 베어링 결합부(133)에는 상기 지지베어링(140)이 결합된다.
또한, 상기 높이 조절부재(130)의 상단에는 드라이버를 이용하여 높이 조절부재(130)를 회전시켜서 높이 조절할 수 있도록 드라이버에 대응되는 공구 결합홈(135)이 소정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높이 조절부재(130)의 베어링 결합부(133)에 결합되는 지지베어링(140)은 그 외측에 결합되는 가이드롤러(150)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게 된다. 즉, 지지베어링(140)의 외륜에 가이드롤러(150)가 결합되어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가이드롤러(150)는 레일(20) 내부에서 레일(20)을 따라서 이동하는 도어(10)의 하단부를 가이드 하여 도어(10)의 슬라이딩 동작이 자연스럽게 이루어지도록 가이드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도어 가이드장치(10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브라켓(110)을 레일(20)에 고정 설치하고, 가이드롤러(150)가 도어(10)의 하단부를 지지하여 슬라이딩시 가이드 할 수 있다.
이때, 도어(10)의 상단이 상부의 레일에 걸려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경우, 도어(10)의 하단부의 높이를 조절할 수 없으므로, 가이드롤러(150)의 높이를 조절하여 도어(10)의 이동을 안정적으로 가이드 해야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경우, 높이 조절부재(130)의 상단에 형성된 공구 결합홈(135)에 드라이버를 연결하여 높이 조절부재(130)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조절하여 원하는 높이로 조절할 수 있다.
즉, 도어 가이드장치(100)를 레일(20)에 고정 설치한 상태에서 높이 조절부재(130)를 조작하여 가이드롤러(150)의 높이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도어(10)의 세팅작업이 용이하고, 비 숙련자도 용이하게 작업할 수 있으며, 도어 시스템의 설치 및 조립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또한, 도어를 오래 사용시 도어의 높이가 미세하게 변하더라도 가이드롤러(150)의 높이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으므로, 도어(10)가 자연스럽게 안정적으로 슬라이딩되도록 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조정하는 것이 용이하다.
이상, 본 발명을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위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도어 20..레일
100..슬라이딩 도어 가이드장치 110..지지브라켓
120..결합하우징 130..높이 조절부재
140..지지베어링 150..가이드롤러

Claims (5)

  1. 도어의 이동을 가이드 하는 레일에 고정 설치되는 지지브라켓;
    상기 지지브라켓에 돌출되게 결합되는 결합하우징;
    상기 결합하우징에 높이 조절 가능하도록 나사 결합되는 높이 조절부재;
    상기 높이 조절부재에 결합되는 지지베어링; 및
    상기 지지베어링에 지지되어 상기 도어의 슬라이딩 이동을 가이드 하는 가이드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하우징은,
    상하 관통 형성된 파이프 구조를 가지며, 내주면에 나사선이 형성되는 하우징 몸체;
    상기 하우징 몸체의 하단에서 연장되며, 상기 하우징 몸체보다 얇은 두께로 형성되어 상기 지지브라켓에 코킹 결합되는 코킹결합부; 및
    상기 하우징 몸체의 상단에 연장되며, 상기 하우징 몸체보다 얇은 두께로 형성되는 지지리브;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도어 가이드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 조절부재는,
    상기 하우징 몸체의 내주에 형성된 나사선이 나사 결합되도록 외주에 나사선이 형성된 나사 결합부; 및
    상기 나사 결합부의 상부로 봉 형상으로 연장되어 상단이 상기 결합하우징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베어링 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도어 가이드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 조절부재의 상단에는 드라이버 공구를 이용하여 회전시키기 위한 공구 결합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도어 가이드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하우징의 상기 지지리브 내측에는 링 형상의 충격 흡수부재가 설치되며, 상기 지지리브의 상단이 내측으로 절곡되어 상기 충격 흡수부재의 분리는 억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도어 가이드장치.
KR1020170179724A 2017-12-26 2017-12-26 슬라이딩 도어 가이드장치 KR1020494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9724A KR102049451B1 (ko) 2017-12-26 2017-12-26 슬라이딩 도어 가이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9724A KR102049451B1 (ko) 2017-12-26 2017-12-26 슬라이딩 도어 가이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8044A KR20190078044A (ko) 2019-07-04
KR102049451B1 true KR102049451B1 (ko) 2019-11-27

Family

ID=672590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79724A KR102049451B1 (ko) 2017-12-26 2017-12-26 슬라이딩 도어 가이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4945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7694Y1 (ko) 2023-12-04 2024-01-25 안동일 슬라이딩 행거도어용 하부 가이드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39690B1 (ko) * 2019-12-19 2021-12-15 김상기 슬라이딩 행거도어용 하부가이드롤러
KR102426801B1 (ko) * 2020-07-15 2022-07-28 주식회사 대현상공 슬라이딩도어용 유격조절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31071B2 (ja) * 1992-08-05 2000-04-10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エンジン制御装置
JP2011122310A (ja) * 2009-12-08 2011-06-23 Best:Kk 引戸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31071U (ja) * 1996-05-10 1996-11-12 富雄 吉村 高さ調整可能な戸車レール
KR200394261Y1 (ko) 2005-06-20 2005-08-31 박종문 슬라이딩 행거도어의 가이드롤러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31071B2 (ja) * 1992-08-05 2000-04-10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エンジン制御装置
JP2011122310A (ja) * 2009-12-08 2011-06-23 Best:Kk 引戸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7694Y1 (ko) 2023-12-04 2024-01-25 안동일 슬라이딩 행거도어용 하부 가이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8044A (ko) 2019-07-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49451B1 (ko) 슬라이딩 도어 가이드장치
KR102357662B1 (ko) 창틀 결합식 캣타워
KR102346744B1 (ko) 클램프 스프링을 자동으로 클램핑하는 장치
KR101466339B1 (ko) 세탁기
CN103510775A (zh) 具有门铰链组件的制冷器具
KR101067878B1 (ko) 문틈 차단장치
CN109752910B (zh) 固定装置、投影屏幕以及投影设备
US9351572B2 (en) Bathroom shelf assembly and bathroom shelf having the same
KR20190133816A (ko) 도어용 힌지조립체
KR100780317B1 (ko) 창틀 고정용 브래키트
JP2015190229A (ja) 樹脂枠材の補強材、樹脂建具及び樹脂建具の改修方法
KR101640993B1 (ko) 도어용 힌지 장치
US9220340B2 (en) Bathroom shelf assembly and bathroom shelf having the same
EP2832276A1 (en) Door assembly
KR100776628B1 (ko) 힌지 설치장치
KR101331393B1 (ko) 붙박이장용 미닫이 도어의 슬라이드 개폐를 위한 상부프레임 구조
KR102339690B1 (ko) 슬라이딩 행거도어용 하부가이드롤러
US10064306B2 (en) Bracket and equipment rack
KR102031219B1 (ko) 시공이 용이한 권취롤 이음구조를 가진 전동롤 블라인드의 센터브라켓
JP6424567B2 (ja) 引き形式の建具、及び建付け調整機能付き戸車
USRE31553E (en) Pivot and guide rod assembly for bi-fold door
EP2784256A1 (en) A support and adjustment device for a sliding door trolley
KR101788209B1 (ko) 건축용 부재 지지 장치
KR200429188Y1 (ko) 중량물의 높이 조절용 다리
KR200403059Y1 (ko) 커튼 레일용 슬라이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