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93514B1 - 내진성이 향상된 풍지구조의 미서기창이 설치되는 스마트 창호 - Google Patents

내진성이 향상된 풍지구조의 미서기창이 설치되는 스마트 창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93514B1
KR102593514B1 KR1020220093425A KR20220093425A KR102593514B1 KR 102593514 B1 KR102593514 B1 KR 102593514B1 KR 1020220093425 A KR1020220093425 A KR 1020220093425A KR 20220093425 A KR20220093425 A KR 20220093425A KR 102593514 B1 KR102593514 B1 KR 1025935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frame
window
frame
guide
guide ra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934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진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긴키테크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긴키테크코리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긴키테크코리아
Priority to KR10202200934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9351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35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35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34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 E06B3/42Sliding wings; Details of frames with respect to guiding
    • E06B3/46Horizontally-sliding wings
    • E06B3/4609Horizontally-sliding wings for window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04Wing frames not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 E06B3/263Frames with special provision for insul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5/0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 E06B5/1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for protection against air-raid or other war-like action; for other protective purpos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0Motors; Magnets; Springs; Weigh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7Springs
    • E05Y2201/48Leaf or leg spr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84Rails; Trac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40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 E05Y2800/422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against vibration or nois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Type of wing
    • E05Y2900/148Window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Wing Frames And Configur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풍지 구조를 갖는 미서기창이 설치되는 스마트 창호에 관한 것으로, 실외 공기 및/또는 실내 공기의 흐름을 저감시켜 기밀 및 단열 효율을 향상시키고, 더 나아가 내진성을 향상시켜 안정성을 향상시킨 스마트 창호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내진성이 향상된 풍지구조의 미서기창이 설치되는 스마트 창호{SMART WINDOWS}
본 발명은 풍지 구조를 갖는 미서기창이 설치되는 스마트 창호에 관한 것으로, 실외 공기 및/또는 실내 공기의 흐름을 저감시켜 기밀 및 단열 효율을 향상시키고, 더 나아가 내진성을 향상시켜 안정성을 향상시킨 스마트 창호에 관한 것이다.
창호는 창과 문을 말하는 것으로 실내와 실외를 격리시켜 바람을 막으면서 채광이 실내로 들게 하거나 실내의 환기를 위한 용도로 사용되는 것으로 그 구조는 골격을 이루는 창틀(또는 문틀)과 창틀에 고정 또는 작동되도록 장착되는 창문 프레임으로 구성된다
한편, 창호는 최근 2012년 7월 1일 부터 가전제품과 자동차 등에 시행해오던 에너지효율등급제도가 시행되고 있는데, 이는 건축물 에너지의 약 40%가 창호를 통해 세어 나가고 있는 문제에 기인한 것으로 창호에도 에너지 소비효율등급 라벨이 붙여지게 되었다. 이러한 창호 에너지 효율 등급제에 따라 제조된 창호는 에너지소비효율에 따라 1 ~ 5등급까지 등급을 구분, 라벨을 붙여 표시함으로써 소비자가 에너지 절약형 창호를 쉽게 구분하여 제품을 구입할 수 있도록 하고, 등급을 표시하지 않거나 최저 효율 기준 미달 제품은 제조 및 판매를 금지하게 되었다.
이러한 창호 에너지 효율 등급제 때문에 최근 창호 회사들은 고효율의 열관류율과 기밀성을 가진 창호 등급을 받기 위해 많은 연구를 진행중이다.
나아가 미서기창은 미닫이 방식으로 창문을 개폐할 수 있는 창으로, 외부 충격에 의하거나 창문을 여닫을 때 흔들림이 발생할 수 있으며, 특히 고층 건물의 경우 외풍에 의해 진동이 발생하여 소음 유발 및 내구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기술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559318호(2015.10.05.) 국내등록특허공보 제10-1996887호 (공고일자 : 2019.07.05)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다수의 프레임들과 유리들로 구성되는 스마트 창호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들에 미서기창을 설치하여 환기가 가능하도록 하는 스마트 창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과제는 상기 미서기창에 풍지구조를 도입하여, 기밀성을 향상시킨 스마트 창호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미서기창에 설치되는 풍지구조에 외부 충격 등에 의한 진동을 흡수할 수 있는 진동흡수부재를 도입하여 미서기창의 내구성을 보다 향상시키는 스마트 창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를 통하여 해결하려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창호는 건물의 벽면에 교차 설치되는 다수개의 프레임들과, 상기 프레임들 사이에 결합되는 유리들을 포함하고, 상기 교차하는 프레임들 일부에 미서기창이 설치되며,
상기 미서기창은 창틀 내에 위치되고, 상기 창틀 내에서 슬라이딩 이동하는 창호 프레임과, 상기 창틀과 상기 창호 프레임 사이에 위치되고, 상기 창호 프레임을 지지하면서 상기 창호 프레임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레일부 및 상기 가이드 레일부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가이드 레일부를 탄성지지하는 진동흡수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프레임들과 유리들로 구성되는 건물의 벽면에 미서기창을 설치하여 용이하게 실내를 환기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 미서기창에 풍지구조를 도입하여, 기밀성 및 단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미서기창에 형성되는 풍지구조를 변형하여 진동흡수부재의 구성을 더 포함함으로써, 외풍이나 외력 또는 미서기창의 여닫이 동작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진동을 감소시켜, 내구성, 내진성을 향상시키고, 진동에 의해 발생되는 소음을 저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창호의 개략적인 실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창호의 미서기창의 실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창호의 창호 프레임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창호의 실시예의 확대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창호의 실시예의 변형 확대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창호의 창호 프레임의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창호의 창호 프레임의 다른 실시예의 분해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창호의 창호 프레임의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창호의 창호 프레임의 다른 실시예의 구성 확대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창호의 커튼월의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창호의 커튼월 프레임의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창호의 커튼월 프레임의 분해 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창호의 프레임의 분해 상세 단면도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창호의 프레임의 분해 상세 단면도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창호의 추가 실시도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 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실시 예들에는 다양한 변경이 가해질 수 있어서 특허출원의 권리 범위가 이러한 실시 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 예들에 대한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이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실시 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설명을 목적으로 사용된 것으로, 한정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실시 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해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 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실시 예의 구성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어느 하나의 실시 예에 포함된 구성요소와, 공통적인 기능을 포함하는 구성요소는, 다른 실시 예에서 동일한 명칭을 사용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이상, 어느 하나의 실시 예에 기재한 설명은 다른 실시 예에도 적용될 수 있으며, 중복되는 범위에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창호(W)는 도1 및 도2, 도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물의 벽면에 교차 설치되는 다수개의 프레임들과, 상기 프레임들 사이에 결합되는 유리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상기 다수개의 프레임들은 격자형으로 서로 교차되어 설치되는 프레임들이고, 이들이 형성하는 각 구역에 유리가 설치되어 벽면을 형성하며, 더 나아가 이 프레임들이 형성하는 어느 공간에는 미서기창(M)이 더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상기 스마트 창호(W)를 구성하는 유리들 중 어느 하나 이상이 도1 및 도2 도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마트유리(SW)로 구성될 수 있다.
도3 내지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미서기창(M)의 실시예로, 상기 미서기창(M)은 창틀(D10) 내에 위치되고, 상기 창틀(D10) 내에서 슬라이딩 이동하는 창호 프레임(60), 상기 창틀(D10)과 상기 창호 프레임(60) 사이에 위치되고, 상기 창호 프레임(60)을 지지하면서 상기 창호 프레임(60)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레일부(M30) 및 상기 가이드 레일부(M30)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가이드 레일부(M30)를 탄성지지하는 진동흡수부재(T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도3 내지 도5는 상기 미서기창(M)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도면부호가 중복되더라도, 서로 다른 실시예에서의 구성인 것으로 한다.
상기 미서기창(M)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미서기창(M)은 창틀(D10), 창호 프레임(60), 기밀 부재(M40), 창 부재(D), 가이드 레일부(M30) 및 진동흡수부재(T1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도 상기 미서기창(M)은 이중창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단창, 3중창 등일 수 있다.
창틀(D10)은 건물에 설치될 수 있으며, 직사각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창틀(D10)은 내부에 창호 프레임(60) 및 창 부재(D) 등이 위치되는 개구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창틀(D10)은 알루미늄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창호 프레임(60)은 복수개 제공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상기 창틀(D10) 내에는 2개의 창호 프레임(60)이 설치되어 창틀(D10) 내에서 좌우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다.
창포 프레임(M60)은 가이드 레일부(M30)가 삽입되는 가이드 홈(M2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홈(M23)은 창호 프레임(60)의 외측으로부터 내측을 향해 함몰 형성될 수 있으며,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창호 프레임(60)의 상측과 하측에 위치하며, 일 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상기 가이드 홈(M23)은 상기 창호 프레임(60)의 슬라이딩 이동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창호 프레임(60)은 기밀 부재(M40)가 삽입되는 제1 기밀 홈(M25)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기밀 홈(M25)은 가이드 홈(M23) 내에 위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기밀 홈(M25)은 가이드 홈(M23)의 내측면으로부터 외측을 향해 함몰 형성될 수 있다. 제1 기밀홈(M25)은 창호 프레임(60)의 슬라이딩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제1 기밀 홈(M25)은 복수개 형성될 수 있다. 서로 인접한 제1 기밀 홈들(M25)은 서로 마주보도록 위치될 수 있다. 제1 기밀 홈(M25)은 가이드 레일부(M30)와 대향되게 위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서로 인접한 제1 기밀 홈들(M25)사이에는 가이드 레일부(M30)가 위치될 수 있다.
제1 기밀 홈들(M25) 각각은 후술한 최외각 풍지 돌출부(M33a)보다 창틀(D10)에 인접하게 위치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제1 기밀 홈(M25)과 창틀(D10) 간의 이격거리는 최외각 풍지 돌출부(M33a)와 창틀(D10) 간의 이격 거리보다 짧을 수 있다.
롤러 부재(M50)는 가이드 홈(M23) 내에 삽입될 수 있다. 롤러 부재(M50)는 가이드 레일부(M30) 상에 위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롤러 부재(M50)는 가이드 레일부(M30)와 창호 프레임(60)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가이드 레일부(M30) 상에 위치된 창호 프레임(60)에 외력이 작용할 경우, 롤러 부재(M50)는 창호 프레임(60)이 가이드 레일부(M30)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도록 할 수 있다.
기밀 부재(M40)는 창호 프레임(60)에 설치될 수 있다. 기밀 부재(M40)는 가이드 레일부(M30)와 창호 프레임(60) 사이 공간을 기밀할 수 있다. 기밀 부재(M40)에 대한 자세한 사항은 후술하기로 한다.
투명 창(M80)은 창호 프레임(60) 내에 설치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투명 창(M80)은 유리 재질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가이드 레일부(M30)는 창틀(D10)과 창호 프레임(60)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가이드 레일부(M30)는 창틀(D10) 상에 위치될 수 있다. 가이드 레일부(M30)는 창틀(D10)의 내측에 위치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가이드 레일부(M30)는 창틀(D10)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가이드 레일부(M30)는 창틀(D10) 제작시 일체로 압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 레일부(M30)는 창호 프레임(60)을 지지할 수 있다. 가이드 레일부(M30)는 창호 프레임(60)의 슬라이딩 이동을 가이드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가이드 레일부(M30)는 복수개 제공될 수 있다. 가이드 레일부(M30)는 서로 이격될 수 있다. 가이드 레일부(M30)는 창틀(D10)과 동일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가이드 레일부(M30)는 알루미늄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 레일부(M30)는 몸체부(M31), 복수의 풍지 돌출부들(M33), 및 복수의 풍지 유로들(M35)을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 레일부(M30)는 연장부(M36)를 포함할 수 있다.
몸체부(M31)는 창틀(D10)로부터 창호 프레임(60)을 향해 연장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몸체부(M31)는 창틀(D10)로부터 창호 프레임(60)을 향해 갈수록 폭이 커질 수 있다. 몸체부(M31)는 창호 프레임(60)의 슬라이딩 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몸체부(M31)는 창호 프레임(60)과 인접한 끝단에 롤러 부재(M50)와 접하는 롤러 접촉면(M37)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롤러 접촉면(M37)은 창호 프레임(60)을 향해 볼록한 곡면일 수 있다. 몸체부(M31)는 내부에 빈 공간을 가지지 않을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몸체부(M31)는 내부가 충진된 상태일 수 있다. 이에 따라, 가이드 레일부(M30)의 내구성과 지지력은 향상될 수 있다.
복수의 풍지 돌출부들(M33)은 몸체부(M31)의 양측으로부터 하향 경사지게 연장될 수 있다. 복수의 풍지 돌출부들(M33)은 몸체부(M31)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열될 수 있다. 풍지 돌출부들(M33)은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풍지 돌출부들(M33) 사이에 풍지 유로들(M35)이 위치될 수 있다.
풍지 돌출부들(M33) 각각의 끝단은 라운드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공기가 후술할 풍지 유로(M35) 내로 부드럽게 유입될 수 있다. 풍지 돌출부들(M33) 각각의 폭은 창호 프레임(60)으로부터 창틀(D10)을 향해 갈수록 감소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풍지 돌출부(M33)의 폭은 풍지 돌출부(M33)의 끝단과 몸체부(M31) 간의 이격 거리일 수 있다. 풍지 돌출부들(M33) 각각의 끝단을 연결한 선은 몸체부(M31)와 소정의 각도를 형성할 수 있다.
풍지 돌출부들(M33) 각각의 폭이 창호 프레임(60)을 향해 갈수록 커짐에 따라, 창호 프레임(60)과 가이드 레일부(M30) 사이 공간의 폭은 창틀(D10)에서 창호 프레임(60)을 향해 갈수록 좁아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창호 프레임(60)을 향해 갈수록 공기 흐름이 감쇄될 수 있다. 또한, 공기가 풍지 돌출부(M33)와 창틀(D10) 사이에 모일 수 있기 때문에, 기밀 효과가 항샹되어 열효율이 개선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풍지 돌출부들(M33) 중 몸체부(M31)의 일측에 위치된 풍지 돌출부(M33)를 제1 풍지 돌출부(M331)라고 지칭하고, 몸체부(M31)의 타측에 위치된 풍지 돌출부(M33)를 제2 풍지 돌출부(M332)라고 지칭할 수 있다.
제1 풍지 돌출부들(M331)은 몸체부(M3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배열될 수 있다. 제2 풍지 돌출부들(M332)은 몸체부(M3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배열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제2 풍지 돌출부들(M332)은 몸체부(M31)를 기준으로 제1 풍지 돌출부들(M331)과 대칭될 수 있다.
풍지 돌출부들(M33) 중 창틀(D10)과 가장 인접한 풍지 돌출부(M33)를 최외각 풍지 돌출부(M33a)라고 지칭한다. 풍지 돌출부들(M33) 중 창호 프레임(60)과 가장 인접한 풍지 돌출부(M33)를 최내각 풍지 돌출부(M33b)라고 지칭한다.
최내각 풍지 돌출부(M33b)는 롤러 접촉면(M37)과 인접할 수 있다. 또한, 최내각 풍지 돌출부(M33b)는 롤러 접촉면(M37)과 함께 롤러 부재(M50)를 지지할 수 있다. 최내각 풍지 돌출부(M33b)의 두깨는 다른 풍지 돌출부들(M33)의 두께보다 두꺼울 수 있다. 이에 따라, 롤러 부재(M50)를 지지하는 최내각 풍지 돌출부(M33b)의 지지력이 향상될 수 있다.
최외각 풍지 돌출부(M33a)는 몸체부(M31)로부터 하향 경사지게 연장되기 때문에, 최외각 풍지 돌출부(M33a) 및 창틀(D10) 사이에 유입된 공기는 최외각 풍지 돌출부(M33a)를 따라 유동히야 와류를 생성할 수 있다. 최외각 풍지 돌출부(M33a)에 의해 형성된 와류는 가이드 홈(M23) 내로 유동하는 공기 흐름을 제한할 수 있다.
풍지 유로들(M35)은 서로 인접한 풍지 돌출부들(M33)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풍지 유로들(M35)은 몸체부(M31)의 양측으로부터 하향 경사지게 연장될 수 있다. 풍지 유로들(M35)은 몸체부(M31)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열될 수 있다. 풍지 유로들(M35)은 서로 이격될 수 있다.
풍지 유로(M35)는 일단이 개방되고, 타단이 몸체부(M31)에 의해 폐쇄될 수 있다. 풍지 유로들(M35) 각각의 폭은 창호 프레임(60)으로부터 창틀(D10)을 향해 갈수록 감소할 수 있다. 풍지 유로(M35)의 폭은 풍지 유로(M35)의 일단과 타단 간의 거리일 수 있다. 다시 말하면, 풍지 유로(M35)의 폭은 풍지 유로(M35)의 일단과 몸체부(M31) 간의 이격 거리일 수 있다.
연장부(M36)는 풍지 돌출부들(M33) 중 창틀(D10)과 인접한 최외각 풍지 돌출부(M33a)로부터 창틀(D10)을 향해 연장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연장부(M36)는 최외각 풍지 돌출부(M33a)의 끝단으로부터 창틀(D10)을 향해 연장될 수 있다. 연장부(M36)는 몸체부(M31)와 평행할 수 있다. 연장부(M36)는 최외각 풍지 돌출부(M33a)와 둔각을 형성할 수 있다.
풍지 돌출부(M33)와 창틀(D10) 사이 공간을 유동하는 공기는 몸체부(M31)를 따라 풍지 돌출부(M33)를 향해 이동할 수 있다. 공기는 몸체부(M31)를 따라 이동하면서 냉각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공기 내의 수분이 응결되어 물방울을 형성할 수 있다. 물방울은 하향 경사진 최외각 풍지 돌출부(M33a)를 따라 흐를 수 있다. 이때, 연장부(M36)는 풍지 돌출부(M33)와 창호 프레임(60) 사이 공간으로 물방울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물방울은 연장부(M36)를 따라 흐르다가 연장부(M36)의 끝단에 모아질 수 있다. 모아지는 물방울의 무게가 일정 이상이 되면 중력에 의해 창틀(D10)로 떨어질 수 있다.
기밀 부재(M40)는 풍지 유로들(M35) 및 풍지 돌기들과 대향되게 위치될 수 있다. 기밀 부재(M40)는 베이스부(M41)와 모헤어부(M43)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부(M41)는 제1 기밀홈(M25) 내에 삽입될 수 있다. 베이스부(M41)는 제1 기밀홈(M25)의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모헤어부(M43)는 베이스부(M41) 상에 설치될 수 있다. 모헤어부(M43)는 베이스부(M41)로부터 풍지 유로들(M35)을 향해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어 풍지 유로들(M35) 내에 삽입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모헤어부(M43)는 풍지 유로(M35)와 평행하도록 상향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모헤어부(M43)는 풍지 유로들(M35)에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다.
모헤어부(M43)는 풍지 유로(M35)와 평행하도록 상향 경사지게 형성됨에 따라, 모헤어부(M43)가 풍지 유로(M35)에 삽입되는 과정에서 풍지 돌출부들(M33)에 의해 변형 및/또는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풍지 유로(M35) 내에 모헤어부(M43)가 채워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창호 프레임(60)이 슬라이딩 이동할 때, 모헤어부(M43)는 풍지 유로(M35) 내의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제1 보조 풍지부(M60)는 가이드 레일부(M30)와 이격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제1 보조 풍지부(M60)는 가이드 레일부(M30)로부터 미서기창의 실외 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다. 제1 보조 풍지부(M60)는 창틀(D10) 상에 위치될 수 있다. 제1 보조 풍지부(M60)는 창틀(D10)로부터 창틀(D10) 내부를 향해 연장될 수 있다.
도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 본 발명의 미서기창(M)은 진동흡수부재(T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진동흡수부재(T10)는 상기 가이드 레일부(M30) 하부에 위치하며, 상기 가이드 레일부(M30)를 탄성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진동흡수부재(T10)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가이드 레일부(M30)의 몸체부(M31)는 상기 창호 프레임(60)과 단절되며, 상기 가이드 레일부(M30)는 하부,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몸체부(M31)의 하부에 형성되는 가이드몸체(T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창호 프레임(60)은 내부공간(T34)을 형성하도록 서로 이격된 한 쌍의 가이드플랜지(T3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가이드플랜지(T31)의 상부에는 이탈방지가이드(T33)가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내부공간(T34)에는 상기 가이드몸체(T20)가 내삽될 수 있으며, 상기 한 쌍의 이탈방지가이드(T33)는 상기 가이드 레일부(M30)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내부공간(T34)에 위치하는 가이드몸체(T20)의 하부에는 진동흡수부재(T10)가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진동흡수부재(T10)는 상기 내부공간(T34)에서 상기 가이드몸체(T20)와 내부공간(T34)의 바닥면을 지지하도록 위치할 있다. 상기 진동흡수부재(T10)는 탄성력이 있는 재질로 구성되는 것으로, 판상형 스프링이나 링형 스프링일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상기 진동흡수부재(T10)는 양측에 형성되는 한 쌍의 평탄형 받침지지부(T11)들과, 이 한 쌍의 받침지지부(T11)들을 연결하는 볼록형 판부재(T12)로 구성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 상기 가이드몸체(T20)는 상기 내부공간(T34)에서 외부 충격이 발생하는 경우 승강운동을 하는데, 승강운동을 가이드하기 위해 상기 가이드플랜지(T31)에는 LM가이드(T35)(Linear Motion Guide)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LM가이드(T35)는 상기 가이드플랜지(T31) 내벽면(내부공간(T34)방향)에 상하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LM가이드(T35)에 체결되기 위하여 상기 가이드몸체(T20)에는 상기 LM가이드(T35)에 대응되도록 상하방향으로 가이드홈(T21)이 더 형성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 상기 가이드홈(T21)과 LM가이드(T35)는 상호간에 교차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몸체(T20)는 경질재질이 아니라 탄성력이 있는 재질로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내부공간(T34)에는 유체가 더 충진될 수 있다. 상기 유체는 물이나 기름, 유연제, 겔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유체가 내부공간(T34)에 충진됨에 따라 상기 내부공간(T34)에 위치하는 진동흡수부재(T10)의 일부 또는 모두가 함침될 수 있다.
도6 내지 도9는 상기 미서기창(M)의 또 다른 실시예로 스마트유리(SW)를 포함하는 창 부재(D)와, 상기 창 부재(D)의 둘레를 둘러싸며, 내부에 내삽부(631)와 한 쌍의 안착공간(633)이 형성되며, 상기 교차하는 프레임들에 설치되는 창호 프레임(60)과, 상기 창호 프레임(60)에 설치되는 단열형성부재(70) 및 진동저감부재(EE)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창 부재(D)는 일반적으로 이중창으로 구성될 수 있으나, 단일창으로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며, 본 발명에서는 특히 상기 창 부재(D)가 스마트유리(SW)를 포함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스마트유리(SW)는 수동 또는 자동으로 유리의 광 투과율을 변경시킬 수 있는 유리이다. 따라서 외부 환경에 따라 유리를 밝게 또는 어둡게 조절하여 별도의 블라인드 또는 커튼 등을 설치하지 않아도 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마트유리(SW)는 날씨정보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SWc)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스마트유리(SW)는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실제 사용되는 유리로서,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창호(W)에 이를 납품 받아 적용할 수 있으며, 이를 동작하기 위한 별도의 전원장치 등이 설치될 수 있으며, 자세한 구동원리에 대해서는 기 공지된 기술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6 내지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창 부재(D)의 외각에는 창호 프레임(60)이 형성될 수 있는데, 상기 창포 프레임은 상기 교차하는 프레임들에 설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교차되어 설치되는 프레임들이 형성하는 구역 중 어느 한 구역 이상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창호 프레임(60)에는 상기 창 부재(D)가 결합되는 창결합부(61)와, 상기 프레임에 설치될 수 있는 레일에 결합되는 창틀결합부(63)를 포함할 수 있다.
창틀은 상하좌우 총 4개의 창틀프레임이 하나의 창틀을 형성하며, 이 창틀프레임에는 레일이 형성되어 상기 창호 프레임(60)이 결합될 수 있으며, 이 창틀이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거나, 프레임을 대체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창호 프레임(60) 또한 창 부재(D)의 각 둘레에 결합되는 부재로, 총 4개의 창호 프레임(60)이 하나의 창 부재(D)의 각 테두리에 결합되어 창 부재(D)의 둘레를 둘러쌀 수 있도록 설치된다.
상기 창틀결합부(63)에는 창 부재(D)의 움직임을 위한 롤러가 설치될 수 있으며, 특히 상기 창호 프레임(60)의 설치 방향을 기준으로 하부에 설치되는 창호 프레임(60) 양측 단부에 설치될 수 있다.
도6 내지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레일결합부에는 내삽부(631)가 형성되고, 상기 내삽부(631)에 단열형성부재(70)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내삽부(631)는 상기 창호 프레임(60)의 레일결합부 내부에 형성되는 공간으로, 도3을 기준으로 상기 내삽부(631)의 양측 하부에는 안착공간들(633)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레일결합부에는 서로 마주보는 형상의 한 쌍의 모헤어 삽입부들(65)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모헤어 삽입부(65) 각각에는 모헤어 삽입홈(651)이 형성되어, 도5와 같이 모헤어(90)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모헤어 삽입부들(65) 사이에는 레일이 결합될 수 있으며, 이 레일의 결합구조는 기 공지된 기술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결과적으로 상기 레일결합부에는 모헤어 삽입부(65)가 형성되고, 상기 모헤어 삽입부(65) 외측에 상기 안착공간(633)이 형성될 수 있다.
도7 및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내삽부(631) 및 안착공간들(633)에는 단열형성부재(70)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단열형성부재(70)는 폴리아미드 재질로 성형되어 단열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나, 아존(AZON)과 같은 단열성이 좋고 강성이 좋은 다른 합성수시재를 사용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또한 화재 시 독성 물질 등을 배출하지 않는 난연성 또는 불연성을 확보한 재질이 더욱 바람직하다.
여기서 폴리아미드는 아마이드 결합을 가지는 고분자 화합물로써, 내마모성, 내약품성, 단열성, 전기 절연성이 뛰어난 합성수지재 중 하나를 의미한다.
상기 단열형성부재(70)는 상기 레일결합부의 내측면을 따라 인접(밀착되거나, 비밀착되는 것을 모두 의미할 수 있다.) 할 수 있다. 상기 단열형성부재(70)의 양 단부에는 한 쌍의 절곡단부(71)가 형성되며, 상기 한 쌍의 절곡단부(71)가 상기 각각의 안착공간(633) 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하나의 절곡단부(71)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2번 절곡되어 'ㄷ'자 형상과 유사할 수 있으나, 한 번 또는 세 번 이상 절곡되는 형상일 수도 있다.
상기 절곡단부(71)는 제1 플레이트(72)와, 상기 제1 플레이트(72) 양측에서 각각 제1 절곡부들(70a)을 통해 동일방향으로 절곡 형성된 한 쌍의 제2 플레이트들(74)과, 상기 제2 플레이트들(74) 각각의 단부에서 제2 절곡부들(70b)을 통해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절곡 형성되는 한 쌍의 제1 절곡플레이트들(71A)과, 상기 한 쌍의 제1 절곡플레이트들(71A) 각각으로부터, 제3 절곡부들(70c)을 통해 상기 제1 플레이트(72) 방향으로 절곡 형성되는 한 쌍의 제2 절곡플레이트들(71B)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 상기 단열형성부재(70)가 상기 창호 프레임(60)의 내삽부(631)에 위치하면, 상기 제1 플레이트(72)는 도3을 기준으로 상기 내삽부(631) 내측 상면과 비밀착부(E1)를 형성하도록 이격되고, 상기 제2 플레이트들(74)은 상기 내삽부(631) 측면에 인접하게 위치하고, 상기 제1 절곡플레이트들(71A) 및 제2 절곡플레이트들(71B)은 상기 안착공간들(633) 내면에 인접하게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단열형성부재(70)는 상기 창호 프레임(60) 내측과 유격부(67)를 형성하도록 비밀착될 수 있으며, 그 결과, 상기 창호 프레임(60)과 상기 단열형성부재(70) 사이에 공기층이 형성되어 단열성능을 더욱 높이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비밀착부(E1)에는 진동저감부재(EE)가 더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진동저감부재(EE)는 상기 단열형성부재(70)와 창호 프레임(60),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내삽부(631) 내측 상면 사이에 설치되는 부재로, 판형 스프링(E)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탄성력이 있는 다른 탄성체로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진동저감부재(EE)에 의해 상기 단열형성부재(70)는 레일 방향으로 탄성력을 받으며, 후술하는 기밀부재(80)가 동일한 탄성력을 받아 모헤어(90)가 보다 레일에 밀착될 수 있다.
반대로, 탄성력에 의해 상기 창호 프레임(60)의 상하 유동을 허용함에 따라, 외부에서 충격이 가해지거나, 미닫이 동작에 따른 진동이 발생할 때, 상기 창호 프레임(60)의 상하 유동에 의해 이 진동이나 충격을 흡수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다시, 상기 단열형성부재(70)의 내측에는 후술하는 기밀부재(80)의 결합을 위한 내돌출편(75)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내돌출편(75)은 한 쌍이 서로 대칭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내돌출편(75)은 상기 단열형성부재(70)의 내측 상단, 즉 상기 제1 플레이트에서 아래로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내돌출편들(75)의 어느 한 부분에서 각각 외측으로 한 쌍의 절곡편들(751)이 더 형성되며, 상기 각각의 절곡편들(751)과 상기 한 쌍의 내돌출편(75) 사이에 한 쌍의 고정홈(753)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절곡편들(751) 중 각각의 절곡편(751)은 상기 내돌출편(75)의 어느 한 지점에서 외측으로 돌출된 제1 절곡편(751)부와, 상기 제1 절곡편(751)부로부터 하향 절곡되어 상기 내돌출편(75)과 평행을 이루는 제2 절곡편(751)부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내돌출편(75)의 단부 중 고정홈(753) 방향에는 곡선형의 인입안내부(755)가 형성되고, 이 인입안내부(755) 상부에 대응턱(757)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기밀부재(80)는 상기 고정홈(753)에 결합되어 상기 단열형성부재(7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기밀부재(80)는 그 단면 형상이 'U'자 형과 유사한 형상으로, 상기 기밀부재(80)의 하부에는 모헤어(90)가 결합되는 끼임부(8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끼임부(81)는 끼움홈(811)을 형성할 수 있도록, 상기 기밀부재(80)의 하단으로 돌출된 한 쌍의 바(bar) 형상이며, 이 단부에는 상기 끼움홈(811) 방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끼움홈(811)에 결합되는 모헤어(90)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부(813)가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기밀부재(80)는 상부가 개방된 형상일 수 있고, 이 기밀부재(80)의 양 단부에는 상기 고정홈(753)에 결합되는 고정편(83)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기밀부재(80)는 제1 기밀플레이트(82)와, 상기 제1 기밀플레이트(82) 양측으로 꺾임부에 의해 상향 절곡된 한 쌍의 제2 기밀플레이트(84)로 구성될 수 있고, 상기 제2 기밀플레이트(84) 단부에 상기 고정편(83)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제2 기밀플레이트(84)는 서로 평행을 이루고, 상기 고정편(83)이 상기 고정홈(753)에 결합되기 위하여, 상기 제2 기밀플레이트(84)는 탄성력이 있는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고정편(83)의 단부는 곡선형으로 이루어지는 진입안내부(831)가 형성되고, 상기 진입안내부(831) 하부에는 걸림부(833)가 더 형성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결과적으로, 상기 고정편(83)이 상기 고정홈(753)에 삽입되는 경우, 우선 상기 진입안내부(831)가 인입안내부(755)와 선 접촉하여, 상기 고정편(83)의 인입을 유도하고, 상기 고정편(83)의 인입이 완료되면, 상기 걸림부(833)가 대응턱(757)에 걸려 임의로 고정편(83)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모헤어 삽입홈(651)과 상기 기밀부재(80)의 끼움홈(811) 또는 이들 모두는 모헤어(90)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으로, 모헤어(90)는 상기 홈들(끼움홈(811) 및 모헤어 삽입홈(651))에 끼워지는 베이스부(91)와, 상기 베이스부(91) 일면 또는 양면으로 형성된 다수의 헤어부(93)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 다른 일 실시예로는 상기 모헤어(90)는 문풍지, 밀폐패킹 등의 기밀성 유지를 위한 다른 종류의 부재로 대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상기 창호 프레임(60) 중 하부에 위치하는 창호 프레임(60)의 양측에는 롤러가 더 구비될 수 있으며, 이 때 상기 롤러는 상기 한 쌍의 내돌출편(75) 사이에 위치할 수 있으며, 이 공간을 롤러결합부(73)로 지칭할 수 있다.
상기 롤러결합부(73)는 롤러가 결합되는 경우에만 지칭될 수 있는 공간으로, 상기 롤러가 결합되는 부분은 상기 기밀부재(80)는 구성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기밀부재(80)는 상기 한 쌍에 결합되는 롤러 사이에 연속 또는 비연속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밀부재(80)는 상기 창 부재(D)의 상부 및 측면에 위치하는 창호 프레임(60)에는 구성하지 않도록 하여, 창문의 움직임이나 시공의 편의성을 높이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권리범위를 제한 해석해서는 안 된다.
도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상기 모헤어(90),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헤어부(93)의 일단은 베이스부(91)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헤어부(93)는 베이스부(91)로부터 상향 경사지게 연장될 수 있다.
복수의 보조 헤어부(931)는 헤어부(93) 각각에 위치될 수 있다. 하나의 헤어부(93)에 복수의 보조 헤어부(931)가 위치될 수 있다. 복수의 보조 헤어부(931)들은 헤어부(93)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열될 수 있다. 보조 헤어부(931)의 두께는 헤어부(93)의 두께보다 작을 수 있다. 복수의 보조 헤어부(931)가 헤어부(93)의 길이 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배열됨으로써 기밀성능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 상기 스마트 창호(W)를 구성하는 유리들(G) 중 어느 하나 이상이 도1, 도2 및 도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마트유리(SW)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마트유리(SW)는 날씨정보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SWc)를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본 발명은 도10에 도시된 바와 같이,건물의 외벽을 프레임들(F)과 유리(G)로 구성하며, 상기 프레임(F)에 내진수단(SP)을 더 구성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프레임들(F)과 유리(G)로 이루어지는 구조를 커튼월(C) 구조라 칭하고 있으며, 이하, 도면을 참고하여 각각의 구성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도11은 상기 유리(G)가 결합된 프레임들(F)의 결합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6은 분해 단면도를 도시한 것으로, 도11 내지 도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기 프레임(F) 일측에 설치되는 제1 체결부재(10)와, 상기 제1 체결부재(10) 일측에 결합되는 제2 체결부재(20), 상기 제2 체결부재(20) 일측에 결합되는 마감프레임(30), 상기 프레임(F)의 일측에 결합되고, 일측이 상기 제1 체결부재(10)에 결합되는 단열부재(50) 및 상기 단열부재(50)와 프레임(F) 사이에 위치하는 내진수단(SP)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의 일측은 도11을 기준으로 건물 외부 방향을 일측이라 지칭하고, 타측은 건물 내부 방향을 지칭하도록 한다.
다시, 각각의 구성에 대하여 도12 내지 도14를 참고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우선, 상기 프레임(F)은 그 형상이 내부가 빈 'ㅂ'자 단면을 가진 프레임(F)으로, 수평방향과 수직방향으로 서로 격자 형상으로 교차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각각의 프레임들(F) 사이에 유리(G)가 설치되어 건물의 벽 구조를 형성하고, 이 프레임(F)은 금속재의 압출성형 제품으로 필요 길이만큼 절단하여 사용이 가능할 수 있다. 또한 통상 알루미늄 재질로 성형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프레임(F)의 일측에는 일측방향으로 더 돌출된 지지벽부(F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벽부(F1)는 상기 프레임(F)의 일측 테두리부분에 연장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지지벽부(F1)에 의해 안쪽에 공간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 공간에 후술하는 내진수단(SP)과 단열부재(50)가 안착될 수 있다.
상기 끼움부에는 상기 단열부재(50)를 고정하기 위하여 일정간격 이격되며 상기 프레임(F)에 형성되는 한 쌍의 대응결합돌기(F21)가 형성될 수 있고, 상기 단열부재(50)에는 상기 대응결합돌기(F21)에 후크 결합되는 결합돌기(55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공간은 상기 한 쌍의 대응결합돌기(F21)에 의해 구역화 될 수 있으며,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상기 한 쌍의 대응결합돌기들(F21) 사이는 제1 공간부(F2), 상기 대응결합돌기들(F21) 각각의 외측은 제2 공간부(F29)라 정할 수 있다.
상기 단열부재(50)는 폴리아미드 재질로 성형되어 단열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나, 아존(AZON)과 같은 단열성이 좋고 강성이 좋은 다른 합성수시재를 사용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또한 화재 시 독성 물질 등을 배출하지 않는 난연성 또는 불연성을 확보한 재질이 더욱 바람직하다.
다시, 상기 단열부재(50)의 구조적 특징에 대하여 도11 내지 도14를 참고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단열부재(50)는 상기 제1 공간부(F2)와 제2 공간부(F29)로 지칭되는 공간에 안착될 수 있으며, 외측에 형성되며 제1 중공부(511)가 형성된 외중공형성부(51)와, 상기 외중공형성부(51) 내측으로 이격되어 제2 중공부(531)가 형성된 내중공형성부(53)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중공형성부(51)와 내중공형성부(53) 사이에는 상기 프레임(F)과 단열부재(50)를 체결하기 위한 제1 결합공간(55)이 형성되고, 상기 내중공형성부(53) 내측에는 상기 단열부재(50)에 제1 체결부재(10)를 결합하기 위한 제2 결합공간(57)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결합공간(55)은 상기 단열부재(50)를 상기 프레임(F)에 고정하기 위한 결합돌기(551)가 형성되는 공간으로, 상기 단열부재(50)의 타측 방향에 형성되고, 상기 제1 결합공간(55) 내에서 상기 결합돌기(551)가 단열부재(50)로부터 타측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결합공간(57)은 상기 단열부재(50)와 제1 체결부재(10)를 고정하기 위한 체결돌기(571)가 형성되는 공간으로, 상기 단열부재(50)의 일측 방향에 형성되고, 상기 제2 결합공간(57) 내에서 상기 체결돌기(571)가 단열부재(50)로부터 일측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외중공형성부(51)와 내중공형성부(53)에 각각 형성되는 제1 중공부(511)와 제2 중공부(531)는 공기층을 만들어 단열효과 향상에 도움을 줄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외중공형성부(51)의 외측에는 밀착단턱(513)이 형성되며, 이 밀착단턱(513)은 상기 지지벽부(F1)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F)에는 상기 결합돌기(551)에 체결되는 한 쌍의 대응결합돌기(F21)가 형성되고, 상기 결합돌기(551)와 대응결합돌기(F21)는 상호간에 후크 결합방식을 통하여 결합될 수 있다.
후크 결합방식이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력을 갖는 걸림편들이 서로 엇갈려 체결되는 방식을 의미하는 것으로, 다양한 기술분야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 공지된 기술이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상기 단열부재(50)를 상기 프레임(F)에 후크 결합을 통해 체결하여 시공 편의성을 높일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단열부재(50)가 상기 프레임(F)에 결합되면,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단열부재(50)의 타측이 상기 프레임(F)에 비밀착될 수 있다.
즉, 제1 공간부(F2) 및 제2 공간부(F29)가 유지되며, 본 발명은 이 제1 공간부(F2) 및 제2 공간부(F29)에 내진수단(SP)을 설치하여 진동 및 충격을 흡수 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내진수단(SP)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내진수단(SP)은 상기 프레임(F) 내측에 위치하여 상기 단열부재(50)의 타측을 지지하는 판 스프링(SP1)과, 상기 판 스프링(SP1) 양측에 위치하여 상기 판 스프링(SP1)과 동일하게 상기 단연부재의 타측을 지지하는 링 스프링(SP2)을 포함할 수 있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판 스프링(SP1)은 상기 제1 공간부(F2)에 위치하고, 상기 링 스프링(SP2)은 상기 제2 공간부(F29)에 위치할 수 있으며, 상기 링 스프링(SP2)은 한 쌍의 제2 공간부들(F29) 각각에 위치할 수 있도록 한 쌍으로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내진수단(SP)을 판 스프링(SP1) 및 링 스프링(SP2)이라 지칭하였으나, 탄성력을 부여할 수 있는 다른 종류의 스프링 또는 탄성체로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내진수단(SP)에 의해 진동이나 충격 발생 시 상기 단열부재(50)가 탄성력을 갖는 움직임이 가능하여 이 움직임에 의해 진동이나 충격을 흡수하여 내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지지벽부(F1)와 밀착단턱(513) 사이에 충격흡수부재(GS)를 더 설치하여, 상기 단열부재(50)가 움직일 때, 상기 지지벽부(F1)와 밀착단턱(513)이 직접적으로 접촉되지 않도록 하여 소음 방지 및 접촉에 의한 파손을 방지함과 동시에 충격을 함께 흡수할 수 있어 내진성을 더욱 향상시키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상기 충격흡수부재(GS)는 실리콘, 스펀지, 고무 등의 충격을 흡수할 수 있으며, 탄성력이 있는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단열부재(50)에는 상기 제1 체결부재(10)가 결합되는데, 상기 제1 체결부재(10)가 상기 단열부재(50)에 후크 결합방식으로 체결되어 시공 편의성을 높일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12 내지 도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단열부재(50)의 내중공형성부(53) 안쪽에는 제2 결합공간(57)이 형성되고, 이 제2 결합공간(57)에 상기 체결돌기(571)가 상기 단열부재(50)로부터 타측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단열부재(50)의 일측에는 안착부(59)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안착부(59)는 상기 제1 체결부재(10)가 안착되는 공간으로 외중공형성부(51)를 기준으로 안쪽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외중공형성부(51)의 일측과 상기 안착부(59) 사이의 경계에는 안착단턱(591)이 형성되어, 상기 안착부(59)에 상기 제1 체결부재(10)가 안착되면, 상기 제1 체결부재(10)의 외측을 상기 안착단턱(591)이 지지하여 결합 안정성을 높일 수 있다.
상기 제1 체결부재(10)는 상기 단열부재(50)에 후크 결합 방식으로 체결되는데, 이를 위하여 상기 제1 체결부재(10)의 타측에는 상기 체결돌기(571)에 대응하도록 대응체결돌기(11)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체결돌기(571) 및 대응체결돌기(11) 또한 2개가 한 쌍으로 서로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체결부재(10)는 상기 프레임(F)에 결합되느 단열부재(50) 일측에 후크 결합방식을 이용하여 결합되는데, 이를 위하여 상기 제1 체결부재(10)의 내측에는 일측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후크돌기부(13)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후크돌기부(13)는 외측으로 걸림턱부(213)가 형성된 부재로, 내측에는 나사산(133A)이 형성된 볼팅부(133)가 형성되어 후술하는 체결볼트(B)가 나사결합 할 수 있다.
도13 및 도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체결부재(10)의 일측에는 유리(G)가 삽입될 수 있도록 소정의 길이를 가지며, 단열성이 향상된 제2 체결부재(20)가 결합할 수 있다.
상기 제2 체결부재(20)는 상기 제1 체결부재(10)와 마찬가지로 폴리아미드 재질의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2 체결부재(20)의 타측에는 내부공간(211)을 갖는 체결편(21)이 형성되고, 상기 내부공간(211)에 상기 후크돌기부(13)가 수용되며, 상기 체결편(21) 내측에 형성된 걸림턱부(213)가 상기 후크돌기부(13) 외측에 형성된 걸림턱(131)에 후크 결합방식과 유사하게 결합되어 고정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제2 체결부재(20)에는 제1 중공(23) 및 제2 중공(24)이 더 형성되어 공기층에 의한 단열성을 기대할 수 있다. 상기 제2 체결부재(20)의 길이방향으로는 볼팅홀(25)이 더 형성되어, 상기 체결볼트(B)의 몸총부가 관통되어 상기 제2 체결부재(20)를 고정할 수 있다.
상기 몸통부(B2)의 단부는 상기 제1 체결부재(10)의 볼팅부(133)에 나사결합되어, 상기 제1 체결부재(10)와 제2 체결부재(20)를 고정할 수 있다.
상기 체결볼트(B)는 상기 제2 체결부재(20)의 일측에 설치되는 마감프레임(30)을 함께 고정할 수 있다.
우선, 상기 마감프레임(30)은 타측에 삽입홈부(31)가 형성되어, 상기 제2 체결부재(20)의 일측단이 삽입되고, 외측에는 캡 걸림홈(33)이 형성되어, 상기 캡(40)이 마감프레임(30)에 체결될 수 있다.
상기 마감프레임(30)의 타측에는 볼트헤드안착부(35)가 더 형성되며, 상기 마감프레임(30)에는 상기 체결볼트(B)의 몸통부(B2)가 관통되는 관통홀(37)이 더 형성될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마감프레임(30) 일측에서 체결볼트(B)를 결합시키면, 상기 체결볼트(B)의 헤드부(B1)가 볼트헤드안착부(35)에 안착되고, 몸통부(B2)는 상기 관통홀(37)과 제2 체결부재(20)의 볼팅홀(25)을 관통하여 상기 제1 체결부재(10)의 볼팅부(133)에 나사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마감프레임(30)은 금속재질로 이루어진 압출재로, 상기 체결볼트(B)에 의해 제2 체결부재(20)에 결합되고, 상하 또는 좌우 유리(G)간의 경계부 틈새를 실외측에서 마감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또한 상기 유리(G)와 프레임들(F) 간의 경계부에 실리콘 등의 실란트(S)로 틈새를 막을 수 있다. 이로 인해, 차수 및 기밀작용 그리고 강력한 접착력 및 내구성을 확보할 수 있다.
상기 캡(40)은 외측이 실내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캡 걸림턱(41)이 상기 마감프레임(30)의 외측에 형성된 캡 걸림홈(33)과 체결되어, 금속재인 마감프레임(30)을 실외 방향에서 감싸 외관을 보기 좋게 하고, 체결볼트(B)의 헤두부가 외부로 노출되는 방지할 수 있는 외장재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보조단열부재(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조단열부재(50)는 문풍지와 같은 단열시트, 신축성이 있는 시트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상기 보조단열부재(50)는 상기 마감프레임(30)에 형성되는 끼움공간부에 삽입 및 결합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 상기 보조단열부재(50)는 신축성 있는 시트일 수 있다.
상기 시트는 외부에서 유입되는 공기를 보조적으로 막기 위한 장치로, 양측이 마감프레임(30)과 단열부재(50) 또는 제1 체결부재(10)에 결합되는 구조일 수 있다.
상기 마감프레임(30)에는 상기 시트를 고정하는 제1 돌기(P1)가 형성되고, 상기 단열부재(50)에는 제2 돌기(P2)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1 체결부재(10)에 제3 돌기(P3)가 더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시트를 상기 돌기들에 체결하면 상기 유리(G)의 진입이 제한될 수 있는데, 이를 해결하고자 본 발명은 상기 시트를 신축성 있는 재질로 구성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실시 예들이 비록 한정된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를 기초로 다양한 기술적 수정 및 변형을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 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F : 프레임 F1 : 지지벽부
F2 : 끼움부 F21 : 대응결합돌기
G : 유리 T10 : 진동흡수부재
T11 : 받침지지부 T12 : 판부재
T20 : 가이드몸체 T21 : 가이드홈
T31 : 가이드플랜지 T33 : 이탈방지가이드
T34 : 내부공간 T35 : LM가이드
M10: 창틀 M20: 창문 프레임부
M30: 가이드 레일부 M31: 몸체부
M33: 풍지 돌출부 M35: 풍지 유로
M36: 연장부 M40: 기밀 부재
M41: 베이스부 M43: 모헤어부'
M50: 롤러 부재 10 : 제1 체결부재
11 : 대응체결돌기 13 : 후크돌기부
131 : 걸림턱 133 : 볼팅부
133A : 나사산 20 : 제2 체결부재
21 : 체결편 211 : 내부공간
213 : 걸림턱부 23 : 제1 중공
24 : 제2 중공 25 : 볼팅홀
30 : 마감프레임 31 : 삽입홈부
33 : 캡 걸림홈 35 : 볼트헤드안착부
37 : 관통홀 40 : 캡
41 : 캡 걸림턱 50 : 단열부재
51 : 외중공형성부 511 : 제1 중공부
513 : 밀착단턱 53 : 내중공형성부
531 : 제2 중공부 55 : 제1 결합공간
551 : 결합돌기 57 : 제2 결합공간
571 : 체결돌기 59 : 안착부
591 : 안착단턱 B : 체결볼트
B1 : 헤드부 B2 : 몸통부
S : 실란트

Claims (8)

  1. 건물의 벽면에 교차 설치되는 다수개의 프레임들;
    상기 프레임들 사이에 결합되는 유리들;
    을 포함하는 커튼월 구조를 형성하고,
    상기 교차하는 프레임들 일부에 미서기창이 설치되며,
    상기 미서기창은
    창틀 내에 위치되고, 상기 창틀 내에서 슬라이딩 이동하는 창호 프레임;
    상기 창틀과 상기 창호 프레임 사이에 위치되고, 상기 창호 프레임을 지지하면서 상기 창호 프레임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레일부; 및
    상기 가이드 레일부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가이드 레일부를 탄성지지하는 진동흡수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 레일부는
    창틀로부터 창호 프레임을 향해 연장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양측으로부터 하향 경사지게 연장된 풍지 돌출부들과, 상기 복수의 풍지 돌출부들이 서로 이격되도록 구성되어, 각각의 풍지 돌출부들 사이에 위치하는 복수의 풍지 유로들을 포함하고,
    상기 커튼월 구조는
    상기 프레임 일측에 설치되는 제1 체결부재와, 상기 제1 체결부재 일측에 결합되는 제2 체결부재와, 상기 제2 체결부재 일측에 결합되고, 유리 삽입부를 형성하는 마감프레임, 상기 프레임 일측에 결합되며, 일측이 상기 제1 체결부재와 결합되도록 이루어지는 단열부재, 및 상기 프레임과 단열부재 사이에 설치되는 내진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내진수단은
    상기 프레임 내측에 위치하여 상기 단열부재의 타측을 지지하는 판 스프링과, 상기 판 스프링 양측에 위치하는 링 스프링을 포함하고,
    상기 단열부재의 타측에는 서로 이격된 한 쌍의 결합돌기들이 형성되고, 상기 프레임 일측에는 상기 결합돌기들에 각각 체결되는 대응결합돌기들이 형성되며,
    상기 판 스프링은 상기 한 쌍의 결합돌기들 사이에 위치하는 스마트 창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창호 프레임은 내부공간을 형성하도록 서로 이격된 한 쌍의 가이드플랜지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 레일부는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내부공간에 위치하는 가이드몸체를 포함하고,
    상기 진동흡수부재가 상기 가이드몸체와 상기 내부공간 바닥면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가이드 레일부에 있어서,
    상기 풍지 돌출부들 각각의 폭은 창호 프레임으로부터 창틀을 향해 갈수록 감소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한 쌍의 가이드플랜지들 상부에는 상기 가이드 레일부 방향으로 돌출된 이탈방지가이드가 각각 형성되는 스마트 창호.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흡수부재는 판상형 스프링으로 구성되는 스마트 창호.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진수단은
    상기 프레임과 상기 단열부재 사이에 위치하는 충격흡수부재를 더 포함하는 스마트 창호.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플랜지에는 상기 가이드몸체의 승강운동을 가이드하는 LM가이드(Linear Motion Guide)가 더 형성되는 스마트 창호.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공간에는 유체가 더 충진되고, 상기 진동흡수부재의 일부 또는 모두 함침되도록 위치하는 스마트 창호.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몸체는 탄성력이 있는 재질로 구성되는 스마트 창호.
  8.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흡수부재는 양측에 형성되는 한 쌍의 평탄형 받침지지부들과, 이 한 쌍의 받침지지부들을 연결하는 볼록형 판부재로 구성되는 스마트 창호.
KR1020220093425A 2022-07-27 2022-07-27 내진성이 향상된 풍지구조의 미서기창이 설치되는 스마트 창호 KR1025935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3425A KR102593514B1 (ko) 2022-07-27 2022-07-27 내진성이 향상된 풍지구조의 미서기창이 설치되는 스마트 창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3425A KR102593514B1 (ko) 2022-07-27 2022-07-27 내진성이 향상된 풍지구조의 미서기창이 설치되는 스마트 창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93514B1 true KR102593514B1 (ko) 2023-10-24

Family

ID=885151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93425A KR102593514B1 (ko) 2022-07-27 2022-07-27 내진성이 향상된 풍지구조의 미서기창이 설치되는 스마트 창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93514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64876A (ko) * 2007-12-17 2009-06-22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창문용 문틀
KR101559318B1 (ko) 2015-08-07 2015-10-13 전진우 풍지 구조를 갖는 레일 및 이를 구비한 미서기창
KR101717570B1 (ko) * 2016-02-04 2017-03-20 주식회사 효성금속 창틀 프레임 구조체
KR101996887B1 (ko) 2018-12-27 2019-07-05 주식회사 성신창업 높이조절형 마감패널 및 내진구조를 구비한 발코니용 다목적 미서기창호
KR102123576B1 (ko) * 2019-11-29 2020-06-16 윤준호 IoT 기반의 자동 도어 개폐 장치
KR102156928B1 (ko) * 2020-07-15 2020-09-17 유정식 창틀 프레임
KR102407745B1 (ko) * 2022-01-06 2022-06-10 주식회사 긴키테크코리아 풍지 구조를 갖는 미서기창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64876A (ko) * 2007-12-17 2009-06-22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창문용 문틀
KR101559318B1 (ko) 2015-08-07 2015-10-13 전진우 풍지 구조를 갖는 레일 및 이를 구비한 미서기창
KR101717570B1 (ko) * 2016-02-04 2017-03-20 주식회사 효성금속 창틀 프레임 구조체
KR101996887B1 (ko) 2018-12-27 2019-07-05 주식회사 성신창업 높이조절형 마감패널 및 내진구조를 구비한 발코니용 다목적 미서기창호
KR102123576B1 (ko) * 2019-11-29 2020-06-16 윤준호 IoT 기반의 자동 도어 개폐 장치
KR102156928B1 (ko) * 2020-07-15 2020-09-17 유정식 창틀 프레임
KR102407745B1 (ko) * 2022-01-06 2022-06-10 주식회사 긴키테크코리아 풍지 구조를 갖는 미서기창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93454B1 (ko) 내진성 및 단열성이 향상된 스마트 커튼월 창호
KR101482298B1 (ko) 알루미늄과 피브이씨를 적용한 복합 미서기 이중창 시스템 창호
US20220098867A1 (en) Frame solution comprising compressed suspension elements
RU2433239C2 (ru) Рама для окон и дверей с присоединяемыми и отсоединяемыми рельсами
KR101638083B1 (ko) 단열 및 차수 구조를 구비한 커튼월
KR101342062B1 (ko) 기밀성 슬라이딩 창호
CA2880531C (en) Window/door system with flat track having "c"-shaped roller supports
KR101734011B1 (ko) 단열성과 기밀성이 향상된 창호
KR101556582B1 (ko) 풍지판을 구비한 학교용 미서기 창
KR101468686B1 (ko) 단열과 기밀 성능을 높인 슬림형 학교용 미서기 창
KR102296504B1 (ko) 단열성능이 향상된 프로젝트창 구조
KR102231117B1 (ko) 보조레일용 여밈대 풍지구조를 가지는 미서기창호
KR101468682B1 (ko) 협소한 시공 구조 여건에서 단열과 기밀 성능을 높인 슬림형 입면 분할 창호
US5119608A (en) Convection gas flow inhibitor
KR102593514B1 (ko) 내진성이 향상된 풍지구조의 미서기창이 설치되는 스마트 창호
KR101468678B1 (ko) 단열과 기밀 성능을 높인 슬림형 창호
KR101526193B1 (ko) 단열, 기밀, 조립 및 안전성이 개선된 미서기 창호
KR101499460B1 (ko) 창호용 측면 풍지판
KR20220158388A (ko) 창호
KR20130000368U (ko) 미닫이 창호문의 레일 방풍재
KR101583722B1 (ko) 다중 레일 고기밀성 창호
KR102526412B1 (ko) 내진성이 향상된 미서기창이 설치되는 스마트 창호
KR101930728B1 (ko) 일체형 방충망 창호
KR101963356B1 (ko) 건물용 조립식 3중유리창호
KR102095198B1 (ko) 시스템 창호용 기밀 유지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