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64868A - 반도체 패키지용 캐리어 - Google Patents
반도체 패키지용 캐리어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90064868A KR20090064868A KR1020070132228A KR20070132228A KR20090064868A KR 20090064868 A KR20090064868 A KR 20090064868A KR 1020070132228 A KR1020070132228 A KR 1020070132228A KR 20070132228 A KR20070132228 A KR 20070132228A KR 20090064868 A KR20090064868 A KR 20090064868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atch
- torsion spring
- semiconductor package
- base member
- shaf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8—Testing of electronic circuits, e.g. by signal tracer
- G01R31/2851—Testing of integrated circuits [IC]
- G01R31/2855—Environmental, reliability or burn-in testing
- G01R31/286—External aspects, e.g. related to chambers, contacting devices or handlers
- G01R31/2865—Holding devices, e.g. chucks; Handlers or transport devices
- G01R31/2867—Handlers or transport devices, e.g. loaders, carriers, tray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00—Details of instruments or arrangements of the types included in groups G01R5/00 - G01R13/00 and G01R31/00
- G01R1/02—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 G01R1/04—Housings; Supporting members; Arrangements of terminals
- G01R1/0408—Test fixtures or contact fields; Connectors or connecting adaptors; Test clips; Test sockets
- G01R1/0433—Sockets for IC's or transistor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3—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using specially adapted carriers or holders; Fixing the workpieces on such carriers or holder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ackaging Frangible Articles (AREA)
Abstract
반도체 패키지가 수용되어 안착되는 포켓을 가지는 베이스부재와; 상단부가 베이스부재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회동위치에 따라서 상단이 베이스부재 상부로 출몰되고, 하단은 포켓 내외로 출몰되어 포켓 내외로의 반도체 패키지의 이동을 선택적으로 제한하는 한 쌍의 래치와; 래치의 상부에 접촉가능하게 베이스부재의 상부에 상하로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며, 하강시 래치를 강제 회동시키는 누름부재; 및 누름부재와 베이스부재 사이에 설치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패키지용 캐리어가 개시된다.
반도체, 패키지, 포켓, 핸들러, 캐리어, 래치
Description
본 발명은 반도체 패키지용 캐리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테스트 대상 반도체 패키지를 탑재하고 탑재된 반도체패키지의 외부 연결단자가 테스트소켓의 접촉핀에 전기적으로 접촉하도록 소정의 운반시스템에 의해 테스트위치로 이동되는 반도체 패키지용 캐리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반도체 패키지 제조 공정에 의해 제조된 반도체 패키지는 출하되기 전에 전기적 특성 검사와 기능 테스트(function test)와 같은 신뢰성 테스트를 거치게 된다. 제조된 반도체 패키지를 테스트 장치로 이송하며, 테스트 완료된 반도체 패키지를 분류하기 위해 이송하는 장비로 핸들러(handler)가 주로 사용되고 있다.
핸들러는 다수의 반도체 패키지를 테스트 장치 내에 반송하고, 각 반도체 패키지를 테스트 소켓을 통하여 테스트 헤드에 전기적으로 접촉시켜 테스트 공정을 진행한다. 그리고 테스트가 완료된 각 반도체 패키지를 테스트 헤드(test head)로부터 반출하여 테스트 결과에 따라서 분류한다.
이때 핸들러는 복수 개의 반도체 패키지가 각각 수납되는 캐리어가 설치된 테스트 트레이(test tray) 단위로 반도체 패키지를 이송하게 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종래의 반도체 패키지용 캐리어는, 반도체 패키지(1)가 삽입되어 수납될 수 있도록 마련된 공간인 포켓(2)이 베이스부재(3)의 중앙부분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포켓(2)의 하부에 반도체 패키지(1)가 안착되는 안착부(2a)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안착부(2a)에 안착된 반도체 패키지(1)를 양쪽 상단 테두리에서 간섭하여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한 쌍의 래치(4)가 포켓(2) 내의 양측벽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한 쌍의 래치(4)는 베이스부재(3)의 상부에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승강버튼(5)에 연결되어 서로 연동되도록 설치된다. 즉, 도 3과 같이 반도체 패키지를 포켓(2)에 안착시키기 전에 누름부재(6)를 눌러서 승강버튼(5)을 하강시키면, 승강버튼(5)이 하강되면서 승강버튼(5)의 가이드핀(5a)이 래치(4)의 가이드홈(4a)을 따라 하강됨에 따라 래치(4)가 연동되어 도 3과 같은 상태로 회동된다. 이때 래치(4)를 도 1의 상태로 이동되게 가압하는 제1압축스프링(7)과, 승강버튼(5)과 베이스부재(3) 사이의 제2압축스프링(8)은 압축된 상태가 된다. 따라서 도 3의 상태에서 포켓(2)에 반도체 패키지(1)를 안착시킨 후 누름부재(6)를 누르는 힘을 해제하면, 상기 압축스프링들(7,8)의 복원력에 의해 도 1과 같이 래치(4)와 승강버튼(5) 및 누름부재(6)가 초기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제1압축스프링(7)은 좌우 수평방향으로 나란하게 설치된 가이드핀(7a)에 지지되어 압축 및 팽창되도록 설치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종래의 반도체 패키지용 캐리어의 경우 다음과 같은 문 제점이 있다.
상기 종래의 반도체 패키지용 캐리어의 경우에는 테스트 온도 조건이 영하 및 영상의 조건을 반복해서 바뀌는 열악한 테스트환경에서 사용되는데, 이와 같이 온도환경이 수시로 변하는 환경에서 제1 및 제2압축스프링(7,8)의 경우 장기적으로 반복 사용시 최초 설계시의 탄성력을 오랜 기간 유지하지 못하고, 탄성력이 급격하게 떨어지게 된다.
특히, 제1압축스프링(7)의 경우에는 래치(4)의 회동시 제1압축스프링(7)에 작용하는 토크가 제1압축스프링(7)의 길이방향에 나란하게 작용하지 않기 때문에, 제1압축스프링(7)은 길이방향으로 압축 및 복원 운동되지 못하고, 래치(4)의 회동방향에 대응되는 소정 곡률로 휘어지면서 압축 및 복원운동을 반복하게 하게 된다. 이러한 과정에서, 제1압축스프링(7)의 탄성계수의 변형이 급격하게 진행되며, 경우에 따라서는 제1압축스프링(7)이 압축된 상태에서 정상적으로 복원되지 못하여, 래치(4)를 원위치시키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하게 된다.
또한, 제1 및 제2압축스프링(7,8)과, 한 쌍의 승강버튼(5), 상기 가이드핀(7a) 등 그 부품 수가 너무 많기 때문에, 제조 및 조립공정이 복잡하고, 그에 따라 생산비용이 증가하고, 생산성도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부품 수가 많기 때문에 그만큼 고장이나 불량이 많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부품 수를 줄일 수 있도록 개선된 반도체 패키지용 캐리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래치의 회동시 래치에 작용하는 토크가 래치에 편심되지 않고 균일하게 작용되도록 구조가 개선된 반도체 패키지용 캐리어를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반도체 패키지용 캐리어는, 반도체 패키지가 수용되어 안착되는 포켓을 가지는 베이스부재와; 상단부가 상기 베이스부재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회동위치에 따라서 상단이 상기 베이스부재 상부로 출몰되고, 하단은 상기 포켓 내외로 출몰되어 상기 포켓 내외로의 반도체 패키지의 이동을 선택적으로 제한하는 한 쌍의 래치와; 상기 래치의 상부에 접촉가능하게 상기 베이스부재의 상부에 상하로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며, 하강시 상기 래치를 강제 회동시키는 누름부재; 및 상기 누름부재와 상기 베이스부재 사이에 설치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베이스부재에 설치되어 상기 래치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회동축과; 상기 회동축에 설치되어 상기 래치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토션스프링;을 포함하며, 상기 토션스프링의 탄성력이 상기 래치에 일정하게 작용하도록, 상기 래치는 상기 토션스프링의 접촉 지지위치를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한 토션스프링 고정부 를 가지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고정부는 상기 래치의 회동중심에서 이격된 위치에 상기 회동축과 나란한 방향으로 상기 토션스프링의 끝단이 절곡되어 끼워지도록 형성된 결합홀을 포함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래치는, 상단이 상기 누름부재에 접촉 가능하며, 하단이 상기 포켓 내외로 출몰되는 래치몸체와; 상기 래치몸체의 상단부의 후면에 돌출되어 상기 회동축이 결합되는 축결합부와; 상기 래치몸체의 하단부 후면에 양측으로 돌출형성되어, 상기 래치몸체의 상기 로킹위치로의 이동거리를 제한하는 한 쌍의 스토퍼부;를 포함하며, 상기 스토퍼부와 상기 축결합부 사이에는 상기 토션스프링 고정부가 마련된 것이 좋다.
또한, 상기 축결합부는 상기 회동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래치몸체에 어느 한쪽으로 편심된 위치에 하나가 마련된 것이 좋다.
또한, 상기 토션스프링은 상기 래치에 접촉지지되는 일단부와 상기 베이스부재에 접촉지지되는 타단부를 가지며, 상기 래치는 상기 회동축이 결합되는 축공을 가지며, 상기 토션스프링의 타단부측으로 치우치게 위치된 하나의 축결합부를 가지는 것이 좋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패키지 캐리어에 따르면, 래치를 토션스프링을 이용하여 복귀하도록 설치하고, 누름 부재에 의해 직접 가압되어 회동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종래 기술에 비하여 그 부품 수를 현저하게 줄일 수 있게 된다.
또한, 래치를 토션스프링으로 연결하여 탄성력을 제공하되, 그 토션스프링의 일단이 상기 래치에 고정되도록 구성함으로써, 래치에 작용하는 토션스프링의 탄성력이 항상 일정한 위치에서 일정하게 작용하도록 제어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래치에 작용하는 토션력의 변화로 인한 오동작 등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회동축이 결합되는 래치의 축결합부를 하나만 형성하되, 회동축의 길이 방향을 기준으로 어느 한쪽으로 치우치게 마련함으로써, 토션스프링에 의해 편향된 토션력에 의해 래치가 베이스부재에 접촉되는 것을 최소화함으로써, 래치의 오동작을 방지하고 자연스러운 동작이 가능하게 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패키지용 캐리어를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4a, 도 4b,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패키지용 캐리어는, 반도체 패키지가 수용되어 안착되는 포켓(110a)을 가지는 베이스부재(110)와, 상기 베이스부재(110)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래치(120)와, 상기 베이스부재(110)의 상부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누름부재(130)와, 상기 래치(120)를 회동가능하게 지지하는 회동축(140)과, 상기 회동축(140)에 설치되는 토션스프링(150) 및 상기 누름부재(130)와 베이스부재(110) 사이에 설치되는 탄성부재(160)를 구비한다.
상기 베이스부재(110)는 중앙부분에 상기 포켓(110a)이 상하로 개방된 구조로 형성된다. 상기 포켓(110a)에는 테스트 대상 반도체 패키지(1)가 수용되어 안착 되며, 이를 위해 포켓(110a)의 하단에는 반도체 패키지(1)가 안착되는 안착부(111)가 마련된다. 상기 포켓(110a)은 그 내벽이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으며, 그 내벽으로 출몰되게 상기 한 쌍의 래치(120)가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를 위해 포켓(110a)의 서로 대향되는 내벽에는 래치(120)가 출몰되게 장착되는 장착홈(112)이 형성된다. 상기 장착홈(112)은 포켓(110a)의 내벽과, 베이스부재(110)의 상면 및 하면 각각으로 개방되게 형성된다.
상기 한 쌍의 래치(120)는 포켓(110a)의 안착부(111)에 안착된 반도체 패키지(1)의 상측 테두리를 간섭하여 포켓(110a)에서 반도체 패키지(1)가 이탈되지 않고 안정되게 장착되도록 지지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래치(120)는 도 6, 도 7a, 도 7b 및 도 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래치몸체(121)와, 래치몸체(121)의 상부에 마련되는 축결합부(123)와, 상기 래치몸체(121)의 하단에 마련된 한 쌍의 스토퍼부(125) 및 상기 축결합부(123)와 스토퍼부(125) 사이에 마련되는 토션스프링 고정부(127)를 구비한다.
상기 래치몸체(121)는 상단(121a)이 베이스부재(110)의 상부로 출몰되며, 그 하단부(121b)가 상기 포켓(110a) 내외로 출몰 가능하게 베이스부재(110)에 설치된다. 상기 래치몸체(121)의 상단(121a)이 상기 누름부재(130)에 접촉되며, 누름부재(130)를 눌렀을 때 래치몸체(121)의 상단(121a)이 눌려서 래치몸체(121)는 상기 축결합부(123)를 중심으로 강제 회동 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축결합부(123)는 상기 회동축(140)이 결합되는 축공(123a)을 가진다. 이러한 축결합부(123)는 도 7d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동축(140)의 축방향을 기준 으로 래치몸체(121)의 어느 한쪽으로 치우치게 하나만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회동축(140)에 결합되는 토션스프링(150)의 타단(153) 쪽에 치우치게 마련됨으로써, 토션스프링(150)의 편향된 토션력에 의해 래치몸체(121)와 베이스부재(110)의 접촉을 최소화시킬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래치(120)의 회동동작이 자연스럽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되어, 오동작 등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한 쌍의 스토퍼부(125)는 래치몸체(121)의 하단 후면 쪽에 마련되며, 회동축(140)에 나란한 방향으로 래치몸체(121)의 양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이 스토퍼부(125)는 래치(120)가 포켓(110a)의 내부로 돌출되는 위치를 제한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스토퍼부(125)가 접촉되어 걸리도록 베이스부재(110)에는 걸림턱(115)이 형성된다. 상기 걸림턱(115)은 래치(120)가 수용되는 장착홈(112) 내부에 단차지게 형성된다.
상기 토션스프링 고정부(127)는 래치몸체(121)의 후면에 마련되되, 상기 축결합부(123)와 스토퍼부(125)의 사이에 마련된다. 이 토션스프링 고정부(127)는 상기 회동축(140)에 결합되는 토션스프링(150)의 일단(151)이 절곡되어 끼워지는 결합홀(127a)을 가진다. 이와 같이 상기 토션스프링 고정부(127)에 상기 토션스프링(150)의 일단(151)이 삽입되어 고정됨으로써, 토션스프링(150)의 래치몸체(121)에 대한 접촉위치가 항상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토션스프링(150)에서 래치몸체(121)에 작용하는 탄성력(토크)의 크기가 항상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축결합부(123), 스토퍼부(125) 및 토션스프링 결합부(127)는 래 치몸체(121)와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누름부재(130)는 베이스부재(110)의 상부에 상하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다. 누름부재(130)와 베이스부재(110) 사이에는 상기 탄성부재(160)가 설치됨으로써, 누름부재(130)를 누른 상태에서 누르는 힘을 해제하면, 탄성부재(160)의 복원력에 의해 누름부재(130)가 상승하여 원위치로 복귀된다. 상기 탄성부재(160)는 압축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으며, 한 쌍이 누름부재(130)의 양단부에 각각 대칭되게 마련된다.
상기 구성에서 누름부재(130)를 눌러서 하강시키면, 누름부재(130)가 하강되면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래치(120)의 상단이 누름부재(130)에 눌려서 강제로 회동 될 수 있게 된다.
상기 회동축(140)은 베이스부재(110)의 측면으로부터 삽입되어 압입 결합되며, 상기 토션스프링(150)과 래치(120)를 지지한다.
상기 토션스프링(150)은 코일형으로 감긴 몸체부가 회동축(140)에 끼워져 결합되고, 일단(151)은 래치(120) 쪽으로 연장, 절곡되어 상기 토션스프링 고정부(127)에 끼워져 결합된다. 그리고 토션스프링(150)의 타단(153)은 상기 베이스부재(110)의 장착홈(112)의 수직벽(112a; 도 7a 참조)에 접촉되어 지지된다. 상기 토션스프링(153)의 타단도 끝단이 절곡되어 상기 수직벽(112a)에 안정되게 접촉되어 지지된다. 이와 같이 토션스프링(150)의 일단(151)이 상기 래치(120)에 고정되게 설치됨으로써, 토션스프링(150)의 래치(120)에 대한 토션력이 작용하는 위치와 힘이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게 된다.
상기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패키지 캐리어의 작용효과를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6의 상태는 포켓(110a)의 안착부(111)에 테스트할 반도체 패키지(1)가 안착된 상태를 나타낸다. 이 상태에서는 래치(120)는 초기위치로서, 포켓(110a) 내부로 돌출되어 있게 된다. 따라서, 각각의 래치(120)의 하단이 반도체 패키지(1)의 양측 상단 테두리를 간섭하게 됨으로써, 베이스부재(110)를 수직으로 세우거나 상하로 뒤집더라도 반도체 패키지(1)가 포켓(110a)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됨으로써, 다양한 자세에서 안정되게 반도체 패키지(1)를 테스트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상태에서 테스트가 완료된 반도체 패키지(1)를 분리하고자 할 경우에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푸싱수단을 이용하여 상기 누름부재(160)를 가압한다. 그러면, 누름부재(160)가 눌리면서 래치(120)의 상단을 밀어서 강제로 회동시킬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되면, 래치(120)가 회동되어 그 하단이 상기 포켓(110a)에서 벗어나게 됨으로써, 반도체 패키지(1)를 포켓(110a)으로부터 분리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포켓(110a)으로부터 반도체 패키지(1)를 분리한 뒤에 상기 누름부재(160)를 밀고 있는 푸싱수단을 제거하면, 누름부재(160)가 원위치되면서 래치(120)도 토션스프링(150)의 복원력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래치(120)가 누름부재(160)에 의해 눌리면서 회동되어 토션스프링(150)을 압축하고, 토션스프링(150)의 복원력에 의해 초기위치로 복귀하도 록 설치됨으로써, 상기 래치(120)의 회동에 의한 토크가 토션스프링(150)에 일정하게 전달될 수 있다. 따라서 토션스프링(150)의 탄성계수가 급격하게 변형되거나, 그 형상이 변형되어 틀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래치(120)에 토션스프링(150)의 일단(151)이 끼워져 결합됨으로써, 토션스프링(150)의 위치가 회동축(140) 길이방향으로 변하지 않고, 일정한 위치에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래치(120)에 작용하는 토션스프링(150)의 탄성력이 항상 일정하게 유지됨으로써, 래치(120)의 작동이 안정되게 제어될 수 있게 된다.
또한, 래치(120)에 축결합부(123)를 하나만 마련하되, 회동축(140)의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어느 한쪽으로 편심되게 마련함으로써, 토션스프링(120)에 의해 래치(120)로 전달되는 불균일한 토션력에 의해 래치(120)와 베이스부재(110) 사이의 마찰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래치(120)의 회동시 베이스부재(110)와의 접촉으로 인한 오동작이나, 불완전 동작을 해소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패키지용 캐리어는 종래의 기술에 비해서 그 부품 수를 줄일 수 있기 때문에,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그 조립공정도 단축할 수 있기 때문에 생산성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반도체 패키지 캐리어를 나타내 보인 개략적인 단면도.
도 2는 도 1의 A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내 보인 요부 확대도.
도 3은 도 1의 상태에서 래치가 회동된 상태를 나타내 보인 단면도.
도 4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패키지 캐리어를 나타내 보인 사시도.
도 4b는 도 4a에 도시된 반도체 패키지 캐리어를 나타내 보인 평면도.
도 5는 도 4a에 도시된 반도체 패키지 캐리어를 나타내 보인 분리 사시도.
도 6은 도 4b의 Ⅰ-Ⅰ선 단면도.
도 7a는 도 6의 B부분을 발췌하여 나타내 보인 요부 확대도.
도 7b는 도 6에 도시된 래치를 발췌하여 보인 사시도.
도 7c는 도 7b에 도시된 래치의 정면도.
도 7d는 도 5에 도시된 래치와 토션스프링의 결합상태를 나타내 보인 평면도.
도 8은 도 6의 상태에서 래치가 회동된 상태를 나타내 보인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반도체 패키지 110..베이스부재
110a..포켓 120..래치
121..래치몸체 123..축결합부
125..스토퍼부 127..토션스프링 결합부
130..누름부재 140..회동축
150..토션스프링 160..탄성부재
Claims (6)
- 반도체 패키지가 수용되어 안착되는 포켓을 가지는 베이스부재와;상단부가 상기 베이스부재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회동위치에 따라서 상단이 상기 베이스부재 상부로 출몰되고, 하단은 상기 포켓 내외로 출몰되어 상기 포켓 내외로의 반도체 패키지의 이동을 선택적으로 제한하는 한 쌍의 래치와;상기 래치의 상부에 접촉가능하게 상기 베이스부재의 상부에 상하로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며, 하강시 상기 래치를 강제 회동시키는 누름부재; 및상기 누름부재와 상기 베이스부재 사이에 설치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패키지용 캐리어.
- 제1항에 있어서,상기 베이스부재에 설치되어 상기 래치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회동축과;상기 회동축에 설치되어 상기 래치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토션스프링;을 포함하며,상기 토션스프링의 탄성력이 상기 래치에 일정하게 작용하도록, 상기 래치는 상기 토션스프링의 접촉 지지위치를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한 토션스프링 고정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패키지용 캐리어.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래치의 회동중심에서 이격된 위치에 상 기 회동축과 나란한 방향으로 상기 토션스프링의 끝단이 절곡되어 끼워지도록 형성된 결합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패키지용 캐리어.
-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는,상단이 상기 누름부재에 접촉 가능하며, 하단이 상기 포켓 내외로 출몰되는 래치몸체와;상기 래치몸체의 상단부의 후면에 돌출되어 상기 회동축이 결합되는 축결합부와;상기 래치몸체의 하단부 후면에 양측으로 돌출형성되어, 상기 래치몸체의 상기 로킹위치로의 이동거리를 제한하는 한 쌍의 스토퍼부;를 포함하며,상기 스토퍼부와 상기 축결합부 사이에는 상기 토션스프링 고정부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패키지용 캐리어.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축결합부는 상기 회동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래치몸체에 어느 한쪽으로 편심된 위치에 하나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패키지용 캐리어.
-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상기 토션스프링은 상기 래치에 접촉지지되는 일단부와 상기 베이스부재에 접촉지지되는 타단부를 가지며,상기 래치는 상기 회동축이 결합되는 축공을 가지며, 상기 토션스프링의 타단부측으로 치우치게 위치된 하나의 축결합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패키지 캐리어.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132228A KR20090064868A (ko) | 2007-12-17 | 2007-12-17 | 반도체 패키지용 캐리어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132228A KR20090064868A (ko) | 2007-12-17 | 2007-12-17 | 반도체 패키지용 캐리어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90064868A true KR20090064868A (ko) | 2009-06-22 |
Family
ID=409933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70132228A KR20090064868A (ko) | 2007-12-17 | 2007-12-17 | 반도체 패키지용 캐리어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90064868A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57396B1 (ko) * | 2013-10-10 | 2014-02-05 | 이우교 | 반도체 소자 테스트 핸들러 장비의 캐리어 모듈 |
KR102190547B1 (ko) * | 2019-08-14 | 2020-12-14 | 주식회사 오킨스전자 | 래치와 버튼이 개별 복귀하는 독립형 반도체 디바이스 인서트 캐리어 |
-
2007
- 2007-12-17 KR KR1020070132228A patent/KR20090064868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57396B1 (ko) * | 2013-10-10 | 2014-02-05 | 이우교 | 반도체 소자 테스트 핸들러 장비의 캐리어 모듈 |
KR102190547B1 (ko) * | 2019-08-14 | 2020-12-14 | 주식회사 오킨스전자 | 래치와 버튼이 개별 복귀하는 독립형 반도체 디바이스 인서트 캐리어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3678170B2 (ja) | Icパッケージ用ソケット | |
US7393232B2 (en) | Socket for electrical parts | |
JP5041955B2 (ja) | 電気部品用ソケット | |
US20060071656A1 (en) | Insert block for testing semiconductor device | |
KR101245837B1 (ko) | 반도체 패키지 테스트용 소켓장치 | |
KR20060109583A (ko) | 슬라이드 래치부재가 구비된 인서트 | |
KR100792730B1 (ko) | 반도체 소자 테스트 핸들러용 캐리어 모듈 | |
KR100792729B1 (ko) | 반도체 소자 테스트 핸들러용 캐리어 모듈 | |
US6644981B2 (en) | Socket for electrical parts having horizontal guide portion | |
KR100894734B1 (ko) | 전자부품 수납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전자부품 테스트용핸들러 | |
US7134892B2 (en) | Socket for electrical parts | |
US7575460B2 (en) | IC socket | |
KR20060120857A (ko) | 반도체 패키지 수납용 인서트 | |
KR20090064868A (ko) | 반도체 패키지용 캐리어 | |
US20100062623A1 (en) | Ic socket with floatable pressing device for receiving testing ic packages of different sizes | |
JP2003004800A (ja) | デバイスキャリア及びオートハンドラ | |
US20230084745A1 (en) | Test socket connector having latch with a bottom guiding portion | |
KR100610778B1 (ko) | 반도체 소자 테스트 핸들러용 캐리어 모듈 | |
US7407401B2 (en) | Socket for electrical parts | |
KR100577756B1 (ko) | 반도체 소자 테스트 핸들러용 캐리어 모듈 | |
KR102190547B1 (ko) | 래치와 버튼이 개별 복귀하는 독립형 반도체 디바이스 인서트 캐리어 | |
KR20080015621A (ko) | 반도체 소자 테스트용 핸들러의 테스트 트레이 | |
US10651596B1 (en) | Roller mechanism for burn-in socket | |
US7556518B2 (en) | Burn-in socket having loading plate with uneven seating surface | |
KR100860597B1 (ko) | 전자부품 수납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전자부품 테스트용핸들러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