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64630A - 가공물의 선별기능을 가지는 공작기계용 가공물 이송 장치및 방법 - Google Patents

가공물의 선별기능을 가지는 공작기계용 가공물 이송 장치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64630A
KR20090064630A KR1020070131898A KR20070131898A KR20090064630A KR 20090064630 A KR20090064630 A KR 20090064630A KR 1020070131898 A KR1020070131898 A KR 1020070131898A KR 20070131898 A KR20070131898 A KR 20070131898A KR 20090064630 A KR20090064630 A KR 200900646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rkpiece
sorting
jig
machine tool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318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18595B1 (ko
Inventor
김나라
Original Assignee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1318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18595B1/ko
Publication of KR200900646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646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185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185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7/00Arrangements for handling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chine tools, e.g. for conveying, loading, positioning, discharging, sorting
    • B23Q7/12Sorting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17/00Arrangements for observing, indicating or measuring on machine tools
    • B23Q17/20Arrangements for observing, indicating or measuring on machine tools for indicating or measuring workpiece characteristics, e.g. contour, dimension, hardn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5/00Driving or feeding mechanisms; Control arrangements therefor
    • B23Q5/22Feeding members carrying tools or 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5/00Driving or feeding mechanisms; Control arrangements therefor
    • B23Q5/54Arrangements or details not restricted to group B23Q5/02 or group B23Q5/22 respectively, e.g. control hand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7/00Arrangements for handling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chine tools, e.g. for conveying, loading, positioning, discharging, sorting
    • B23Q7/14Arrangements for handling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chine tools, e.g. for conveying, loading, positioning, discharging, sorting co-ordinated in production l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2707/00Automatic supply or removal of metal workpieces
    • B23Q2707/02Driv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chine Tool Sensing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공작기계용 가공물(P) 이송장치는 상기 가공물(P)의 수평방향 단부에 접촉할 수 있는 제1 선별 지그(10)와; 제1 선별 이동수단(20)과; 제1 선별 센서(30)와; 상기 가공물(P)의 상단부에 접촉가능한 제2 선별 지그(40)와; 제2 선별 이동수단(50)과; 제2 선별 센서(60)와; 상기 제1 및 제2 선별 센서(30, 60) 중 하나 이상이 온(ON)되는 경우에는 제1 및 제2 선별 센서(30, 60)의 온/오프 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가공물(P)의 길이 또는 두께 정보를 알아내고 그에 대응하는 가공물(P)의 종류를 식별한 후 대응 가공 프로그램을 호출하며, 제1 및 제2 선별 센서(30, 60) 모두가 오프(OFF)되는 경우에는 알람 신호를 발생시키는 PMC(70)와; 상기 PMC(70)에서 호출된 가공 프로그램에 따라 가공물(P)을 가공하기 위한 CNC 유닛(8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가공물, 선별, 피스톤, 공작기계, 이송

Description

가공물의 선별기능을 가지는 공작기계용 가공물 이송 장치 및 방법{WORKPIECE TRANSPORTING UNIT FOR MACHINE TOOL HAVING WORKPIECE SORTING ABILITY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공작기계에 의해 가공되는 가공물의 이송 장치에 관한 것이고, 더 구체적으로는 가공물의 종류를 자동으로 선별할 수 있는 공작기계용 가공물의 이송장치에 관한 것이다.
각종의 절삭 가공방법 또는 비절삭 가공방법에 의해 금속 또는 비금속의 가공물을 적당한 공구를 사용하여 형상 및 치수로 가공하든가 또는 반소재에 더욱 정밀한 가공을 할 목적으로 사용하는 기계를 공작기계라 한다.
한편, 공작기계에 의해 가공되는 가공물은 제작될 부품의 종류에 따라 그 형상 및 치수가 상이한 바, 제작될 부품의 종류 자체가 상이한 경우에는 그 형상 및 치수의 차이가 크기 때문에 가공물의 형상적 차이는 육안으로도 식별이 가능하다.
하지만, 제작될 부품이 동일한 종류인 경우(예: 자동차용 피스톤)에 대한 가공물의 식별이 문제가 되는데, 제작될 부품이 동일한 경우에는 가공물의 형상이 유사하고 치수에 있어서만 미세하게 차이가 나기 때문이다. 따라서, 동일한 부품을 제작하기 위한 각 가공물들은 육안으로 식별하기가 용이하지 않다.
예컨대, 도 2는 자동차의 중요 부품인 피스톤을 제작하기 위한 가공물의 일 예를 도시하는데, 도시된 것과 같이 세가지 종류의 피스톤(A, B, C)은 각각 전체적 형상은 유사하고, 길이(L1, L2) 및 두께(D1, D2)에 있어서만 미세하게 차이가 날 뿐이며, 이로 인해 피스톤 제작용 가공물들(A, B, C)을 육안으로 식별해 내기가 쉽지 않은 것이다.
이와 같이 가공물의 형상 및 치수가 유사한 경우 이를 육안으로 구별하기 어렵기 때문에 작업자가 입력한 가공물의 종류가 실제 장착된 가공물의 종류와 상이하게 되는 경우가 빈번히 발생하고, 이 경우 실제 장착된 가공물이 아닌 잘못된 가공물에 대응된 프로그램이 작동함으로써 가공물의 진입, 가공시 충돌을 일으켜 공작기계에 심각한 손상을 일으킨다.
이에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유사한 형상 및 치수의 가공물이 이송장치에 장착된 경우에 장착된 가공물을 자동으로 선별함으로써 가공물의 충돌을 방지하고 식별된 가공물에 대응하는 프로그램을 자동으로 호출할 수 있도록 하는데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은 소정 길이(L1) 또는 두께(D1)를 가진 가공물(P)을 이송하기 위한 공작기계용 가공물(P) 이송장치에 이용되는 것으로서, 상기 가공물(P)에 대해 수평방향으로 이동가능하고 상기 가공물(P)의 수평방향 단부에 접촉할 수 있는 제1 선별 지그(10)와; 상기 제1 선별용 지그(10)를 수평방향으로 이송시키기 위한 제1 선별 이동수단(20)과; 상기 제1 선별용 지그(10)가 소정 길이(L1)를 가지는 가공물(P)의 수평 방향 단부에 접촉하였을 때 이를 감지하는 제1 선별 센서(30)와; 상기 가공물(P)에 대해 수직방향으로 이동가능하고 상기 가공물(P)의 상단부에 접촉가능한 제2 선별 지그(40)와; 상기 제2 선별용 지그(40)를 수직방향으로 이송시키기 위한 제2 선별 이동수단(50)과; 상기 제2 선별용 지그(40)가 소정 두께(D1)를 가지는 가공물(P)의 상단부에 접촉하였을 때 이를 감지하는 제2 선별 센서(60)와; 장착될 가공물(P)의 길이(L1) 또는 두께(D1)에 대응한 가공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으며, 상기 제1 및 제2 선별용 지그(10, 40)가 상기 가공물(P)에 접촉하였을 때, 제1 및 제2 선별 센서(30, 60) 중 하나 이상이 온(ON)되는 경우에는 제1 및 제2 선별 센서(30, 60)의 온/오프 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가공물(P)의 길이 또는 두께 정보를 알아내고 그에 대응하는 가공물(P)의 종류를 식별한 후 대응 가공 프로그램을 호출하며, 제1 및 제2 선별 센서(30, 60) 모두가 오프(OFF)되는 경우에는 알람 신호를 발생시키는 PMC(70)와; 상기 PMC(70)에서 호출된 가공 프로그램에 따라 가공물(P)을 가공하기 위한 CNC 유닛(8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장치는 상기 PMD(70)에서 발생한 알람신호에 따라 알람 표시를 하기 위한 입출력수단(1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공물(P)을 이송하기 위한 이동수단(110, 120)과; 상기 가공물(P)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수단(150)을 구비하는 공작기계용 가공물(P) 이송장치에 있어서 가공물(P)의 종류를 식별하는 방법도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a) 상기 가공물(P)을 고정수단(150)에 장착하고 제1 선별 지그(10)를 가공물(P)의 수평방향 단부에 접촉할 때까지 수평 이동시키는 단계(S 10 ~ S 20)와; (b) 제2 선별 지그(40)를 가공물(P)의 상단부에 접촉할 때까지 수직 이동시키는 단계(S 30)와; (c) 상기 제1 및 제2 선별용 지그(10, 40)가 상기 가공물(P)에 접촉하였을 때, 제1 및 제2 선별 센서(30, 60) 중 하나 이상이 온(ON)되는 경우에는 제1 및 제2 선별 센서(30, 60)의 온/오프에 따라 상기 가공물(P)의 길이 및 두께 정보를 알아내고 그에 대응하는 가공물(P)의 종류를 식별하여 대응 가공 프로그램을 호출하는 단계(S 40 ~ S 7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c) 단계에서 (c-1) 제1 및 제2 선별 센서(30, 60) 모두가 오 프(OFF)되는 경우에는 알람 신호를 발생시키는 단계(S 80)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가공물의 길이 및 두께를 식별할 수 있는 식별 센서를 장착함으로써, 육안으로 구별하기 어려운 비슷한 형상 및 치수의 가공물(특히, 피스톤)이 공작기계 이송장치에 진입하는 경우에도 가공물을 자동으로 선별하고, 그에 대응하는 프로그램을 자동으로 호출하므로, 작업 능률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미리 셋팅된 가공물이 아닌 가공물이 장착된 경우에는 알람 표시를 하므로, 장착된 가공물의 식별을 잘못한 경우에 프로그램 오작동으로 인한 가공물 및 공작기계의 충돌을 예방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종래 기술과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고 종래기술과 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작기계용 가공물 이송장치의 구성 블록도이고, 도 2는 가공물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3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따라 가공물 의 종류를 선별하기 위해 이송장치를 작동하는 각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공작기계용 가공물 이송장치를 이용하여 가공물의 종류를 식별하기 위한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우선, 도 1, 도 3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공작기계용 가공물 이송장치는 가공물(P)을 이송하기 위한 이동수단(110, 120)과 가공물(P)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수단(150)을 포함한다. 이동수단(110, 120)은 가공물(P)을 수평방향으로 이송하기 위한 제1 이송 실린더(110)와, 수직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제2 이송 실린더(130)로 구성된다. 또한, 제1 및 제2 이송 실린더(110, 130)의 수평 및 수직 방향 이송을 감지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제1 이송 센서(120) 및 제2 이송 센서(140)을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에 추가하여 본 발명에 따른 가공물 이송장치는 가공물(P)의 식별을 위한 수단으로서 제1 선별 지그(10), 제1 선별 이동수단(20), 제1 선별 센서(30), 제2 선별 지그(40), 제2 선별 이동수단(50), 제2 선별 센서(60)를 더 포함한다. 이와 함께 PMC(Programmable Machine Controller, 70), CNC 유닛(80), 입출력 수단(100)을 포함한다.
제1 선별 지그(10), 제1 선별 이동수단(20) 및 제1 선별 센서(30)는 미리 셋팅된 길이(L1)인 가공물(P)을 선별할 수 있는 기능을 수행한다.
제1 선별 지그(10)는 상기 가공물(P)에 대해 수평방향으로 이동가능하고 상기 가공물(P)의 수평방향 단부에 접촉하는 구성이다.
제1 선별 이동수단(20)은 상기 제1 선별용 지그(10)를 수평방향으로 이송시 킨다.
제1 선별 센서(30)는 소정 길이(L1)를 가지는 가공물(P)이 장착된 상태에서 제1 선별용 지그(10)가 가공물(P)의 수평 방향 단부에 접촉하였을 때 이를 감지할 수 있다. 여기서 소정 길이(L1)는 선별을 원하는 가공물(P)의 길이로서 미리 선택된다. 또한, 제1 선별 센서(30)는 근접 스위치로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근접 스위치는 제1 선별용 지그(10)가 가공물(P)의 수평방향 타측 단부로부터 정해진 소정 길이(L1)만큼 떨어졌을 때 온(ON)되도록 적절히 배치된다.
한편, 미리 셋팅된 두께(D1)를 가지는 가공물(P)을 선별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제2 선별 지그(40), 제2 선별 이동수단(50) 및 제2 선별 센서(60)가 마련된다.
제2 선별 지그(40)는 상기 가공물(P)에 대해 수직방향으로 이동가능하고 상기 가공물(P)의 상단부에 접촉하는 구성이다.
제2 선별 이동수단(50)은 상기 제2 선별용 지그(40)를 수직방향으로 이송시킨다.
제2 선별 센서(60)는 소정 두께(D1)를 가지는 가공물(P)이 장착된 상태에서 제2 선별용 지그(40)가 가공물(P)의 상단부에 접촉하였을 때 이를 감지할 수 있다. 여기서 소정 두께(D1)는 선별을 원하는 가공물(P)의 두께로서 미리 선택된다. 또한, 제2 선별 센서(60)는 근접 스위치로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근접 스위치는 제2 선별용 지그(40)가 가공물(P)의 하단부로부터 정해진 소정 길이(D1)만큼 떨어졌을 때 온(ON)되도록 적절히 배치된다.
PMC(Programmble Machine Controller, 70)에는 가공물(P)별로 대응하는 가공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다. 예컨대, 가공물(P)은 미리 셋팅된 길이(L1) 및 두께(D1)별로 분류되는 바, 가공물(P)이 셋팅된 길이 및 두께가 모두 일치하는 경우(L1, D1), 길이만 일치하는 경우(L1) 및 두께만 일치하는 경우(D1)로 나뉠 수 있고 그에 대응한 가공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PMC(70)는 제1 및 제2 선별용 지그(10, 40)가 상기 가공물(P)에 접촉하였을 때의 제1 및 제2 선별 센서(30, 60)의 온/오프 여부에 따라 대응하는 가공물(P)을 식별하고 그에 대응한 가공 프로그램을 호출하여 CNC 유닛(80)에 제어 신호를 전송한다.
한편, 제1 및 제2 선별용 지그(10, 40)가 상기 가공물(P)에 접촉하였을 때 제1 및 제2 선별 센서(30, 60)가 모두 오프(OFF)인 경우에는, PMC(70)는 장착된 가공물(P)이 미리 셋팅된 길이(L1) 및 두께(D1)를 모두 갖지 않는(즉, 불량 가공물)로 해석하여 알람 신호를 CNC 유닛(80)에 전송한다.
CNC 유닛(80)은 상기 PMC(70)로부터 가공 프로그램 및 각종 제어 신호를 받아서 공작 기계를 구동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입출력 수단(100)은 작업자가 소정의 입력 사항을 CNC 유닛(80)에 입력하거나 PMC(70)로부터 CNC 유닛(80)에 전송된 알람신호로부터 알람을 표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전술한 구성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공작기계용 가공물(P) 이송장치를 이용하여 가공물(P)을 식별하는 과정을 도 2 내지 도 6의 실시예를 참조로 설명한다.
우선, 본 실시예에서는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가공물(P)이 자동차용 피스 톤인 경우로서 가공을 원하는 가공물(P)의 종류는 3 가지로 예시되어 있다. 즉 가공물(P)은 셋팅된 길이(L1) 및 두께(D1)를 모두 갖는 A 피스톤과, 셋팅된 두께(D1)를 가지지만 길이는 셋팅 길이보다 작은(L2 < L1) B 피스톤과, 셋팅된 길이(L1)를 가지지만 두께는 셋팅 두께보다 작은(D2 < D1) C 피스톤으로 구성된다.
다음으로, 도 3과 같이 가공물(P)이 고정수단(150)에 장착된 상태에서 제1 선별 이동수단(20)를 작동시킴으로써 제1 선별 지그(10)를 전방(도면의 좌측)으로 이동시켜 도 4와 같이 제1 선별 지그(10)가 가공물(P)의 우측 단부에 접촉하도록 한다.
만약, 장착된 가공물(P)의 길이가 미리 셋팅된 길이(L1)와 동일한 경우에는 이 상태에서 제1 선별 센서(30)가 온(ON)될 것이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제1 선별 센서(30)가 오프(OFF) 상태일 것이다.
도 5는 도 4의 상태, 즉 제1 선별 지그(10)가 가공물(P)의 우측 단부에 접촉한 상태의 정면도이다. 도시된 것과 같이 이 상태에서는 제2 선별 지그(40)는 가공물(P)의 상단부로부터 상방으로 떨어져 있다.
이 상태에서 제2 선별 이동수단(50)을 작동하여 제2 선별 지그(40)를 하방으로 이동시켜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이 같이 제2 선별 지그(40)가 가공물(P)의 상단부에 접촉하도록 한다.
만약, 장착된 가공물(P)의 두께가 미리 셋팅된 두께(D1)와 동일한 경우에는 이 상태에서 제2 선별 센서(60)가 온(ON)될 것이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제2 선별 센서(60)가 오프(OFF) 상태일 것이다.
상술한 과정과 같이, 제1 선별 지그(10) 및 제2 선별 지그(40)를 가공물(P)에 접촉하였을 때, 제1 및 제2 선별 센서(30, 60)의 온/오프 상태는 총 4가지이며, 이로부터 PMC 유닛(70)은 가공물의 종류를 식별하고 그에 대응한 가공 프로그램을 호출한다.
예컨대, 표 1에 기재된 것과 같이 제1 및 제2 선별 센서(30, 60)가 모두 온인 경우, 제1 선별 센서(30)만 온인 경우, 제2 선별센서(60)만 온인 경우에는 각각 A, B, C 실린더에 대응하므로 PMC(70)는 각 대응 프로그램(a, b, c)를 호출하여 CNC 유닛(80)에 해당 프로그램을 구동시킨다.
그렇지만, 제1 및 제2 선별 센서(30, 60)가 모두 오프인 경우에는 셋팅된 가공물이 아닌 경우로 판단하여 PMC(70)는 알람 신호를 CNC 유닛(80)으로 전송하여 입출력유닛(100)에 알람표시를 하도록 제어한다.
가공물 제1 선별센서 제2 선별센서 대응 프로그램
A ON ON a
B OFF ON b
C ON OFF c
기타 OFF OFF 알람 표시
상술한 과정에 따라 가공물의 식별을 하는 과정을 도 7을 참조로 설명한다.
우선, 가공물(P)을 고정수단(150)에 장착한 상태에서(S 10), 제1 선별 지그(10)를 가공물(P)의 수평방향 단부에 접촉할 때까지 수평 이동시킨다(S 20).
다음으로, 제2 선별 지그(40)를 가공물(P)의 상단부에 접촉할 때까지 수직 이동시킨다(S 30).
제1 및 제2 선별 지그(10, 40)가 모두 가공물(P)에 접촉하면, PMC(70)는 제1 및 제2 선별 센서(30, 60)의 온/오프 여부에 따라 장착된 가공물(P)의 종류를 식별한다.
즉, 제1 및 제2 선별 센서(30, 60) 하나 이상이 온(ON)되는 경우(온/온, 온/오프, 오프/온)에는 장착된 가공물(P)이 미리 셋팅된 가공물(P)인 경우로서 가공물(P)의 종류(A, B, C 실린더)를 알아내고 그에 대응하는 가공 프로그램(a, b, c)을 호출한다(S 40 ~ S 70).
반면, 제1 및 제2 선별 센서(30, 60) 모두가 오프(OFF)되는 경우에는 자착된 가공물(P)이 미리 셋팅되지 않은 가공물(P)인 경우로서, PMC(70)는 CNC 유닛(80)에 알람 신호를 전송하여 입출력유닛(100)에 알람표시가 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미리 셋팅된 길이(L1) 및 두께(D1)에 적어도 하나가 일치하는 가공물(P)을 식별하여 대응하는 프로그램을 자동으로 호출할 수 있다. 또한, 미리 셋팅된 길이(L1) 및 두께(D1)에 하나도 대응되지 않는 가공물(P)에 대해서는 알람 표시를 하게 함으로써 잘못된 가공물(P)이 장착된 경우 프로그램 오작동으로 인한 가공물(P) 및 공작기계의 파손을 방지한다.
이상,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에 대하여 상술하였지만,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는 이러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므로,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하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작기계용 가공물 이송장치의 구성도.
도 2는 가공물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3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따라 가공물의 종류를 선별하기 위해 이송장치를 작동하는 각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공작기계용 가공물 이송장치를 이용하여 가공물의 종류를 식별하기 위한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P: 가공물(피스톤) 10: 제1 선별 지그
20: 제1 선별 이동수단 30: 제1 선별 센서
40: 제2 선별 지그 50: 제2 선별 이동수단
60: 제2 선별 센서 70: PMC
80: CNC 유닛 100: 입출력수단
110: 제1 이송 실린더 120: 제2 이송 실린더
130: 제1 이송 센서 140: 제2 이송 센서
150: 고정 수단

Claims (4)

  1. 소정 길이(L1) 또는 두께(D1)를 가진 가공물(P)을 이송하기 위한 공작기계용 가공물(P) 이송장치에 있어서,
    상기 가공물(P)에 대해 수평방향으로 이동가능하고 상기 가공물(P)의 수평방향 단부에 접촉할 수 있는 제1 선별 지그(10)와;
    상기 제1 선별용 지그(10)를 수평방향으로 이송시키기 위한 제1 선별 이동수단(20)과;
    상기 제1 선별용 지그(10)가 소정 길이(L1)를 가지는 가공물(P)의 수평 방향 단부에 접촉하였을 때 이를 감지하는 제1 선별 센서(30)와;
    상기 가공물(P)에 대해 수직방향으로 이동가능하고 상기 가공물(P)의 상단부에 접촉가능한 제2 선별 지그(40)와;
    상기 제2 선별용 지그(40)를 수직방향으로 이송시키기 위한 제2 선별 이동수단(50)과;
    상기 제2 선별용 지그(40)가 소정 두께(D1)를 가지는 가공물(P)의 상단부에 접촉하였을 때 이를 감지하는 제2 선별 센서(60)와;
    장착될 가공물(P)의 길이(L1) 또는 두께(D1)에 대응한 가공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으며, 상기 제1 및 제2 선별용 지그(10, 40)가 상기 가공물(P)에 접촉하였을 때, 제1 및 제2 선별 센서(30, 60) 중 하나 이상이 온(ON)되는 경우에는 제1 및 제2 선별 센서(30, 60)의 온/오프 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가공물(P)의 길이 또는 두 께 정보를 알아내고 그에 대응하는 가공물(P)의 종류를 식별한 후 대응 가공 프로그램을 호출하는 PMC(70)와;
    상기 PMC(70)에서 호출된 가공 프로그램에 따라 가공물(P)을 가공하기 위한 CNC 유닛(80)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작기계용 가공물(P) 이송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장치는 상기 PMD(70)에서 발생한 알람신호에 따라 알람 표시를 하기 위한 입출력수단(100)을 더 포함하고
    상기 PMC(70)는 상기 제1 및 제2 선별용 지그(10, 40)가 상기 가공물(P)에 접촉하였을 때, 제1 및 제2 선별 센서(30, 60) 모두가 오프(OFF)되는 경우에는 알람 신호를 발생시키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작기계용 가공물(P) 이송장치.
  3. 상기 가공물(P)을 이송하기 위한 이동수단(110, 120)과; 상기 가공물(P)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수단(150)을 구비하는 공작기계용 가공물(P) 이송장치에 있어서 가공물(P)의 종류를 식별하는 방법으로서,
    (a) 상기 가공물(P)을 고정수단(150)에 장착하고 제1 선별 지그(10)를 가공물(P)의 수평방향 단부에 접촉할 때까지 수평 이동시키는 단계(S 10 ~ S 20)와;
    (b) 제2 선별 지그(40)를 가공물(P)의 상단부에 접촉할 때까지 수직 이동시키는 단계(S 30)와;
    (c) 상기 제1 및 제2 선별용 지그(10, 40)가 상기 가공물(P)에 접촉하였을 때, 제1 및 제2 선별 센서(30, 60) 중 하나 이상이 온(ON)되는 경우에는 제1 및 제2 선별 센서(30, 60)의 온/오프에 따라 상기 가공물(P)의 길이 및 두께 정보를 알아내고 그에 대응하는 가공물(P)의 종류를 식별하여 대응 가공 프로그램을 호출하는 단계(S 40 ~ S 7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작기계용 가공물(P) 이송장치에 있어서 가공물(P)의 종류를 식별하는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에서
    (c-1) 제1 및 제2 선별 센서(30, 60) 모두가 오프(OFF)되는 경우에는 알람 신호를 발생시키는 단계(S 80)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작기계용 가공물(P) 이송장치에 있어서 가공물(P)의 종류를 식별하는 방법.
KR1020070131898A 2007-12-17 2007-12-17 가공물의 선별기능을 가지는 공작기계용 가공물 이송 장치및 방법 KR1014185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1898A KR101418595B1 (ko) 2007-12-17 2007-12-17 가공물의 선별기능을 가지는 공작기계용 가공물 이송 장치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1898A KR101418595B1 (ko) 2007-12-17 2007-12-17 가공물의 선별기능을 가지는 공작기계용 가공물 이송 장치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64630A true KR20090064630A (ko) 2009-06-22
KR101418595B1 KR101418595B1 (ko) 2014-07-14

Family

ID=409931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31898A KR101418595B1 (ko) 2007-12-17 2007-12-17 가공물의 선별기능을 가지는 공작기계용 가공물 이송 장치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1859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829980A (zh) * 2013-10-25 2016-08-03 金融发展股份公司 用于监测工业系统的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65502B2 (ja) * 2000-10-16 2004-09-15 西研グラフィックス株式会社 円柱形状ワーク分離送り出し装置及び円柱形状ワーク検査装置
JP2005288651A (ja) 2004-04-02 2005-10-20 Murata Mach Ltd 工作機械システム
KR101058251B1 (ko) * 2004-11-29 2011-08-22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픽스처의 소재 선별 검증장치 및 그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829980A (zh) * 2013-10-25 2016-08-03 金融发展股份公司 用于监测工业系统的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18595B1 (ko) 2014-07-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37942B2 (en) Method and apparatus of detecting tool abnormality in a machine tool
CN110116326B (zh) 利用数控机床加工的加工件的自动化生产线
CN107081772A (zh) 一种机器人柔性曲面铣削加工生产装置
JP2005329467A (ja) パンチプレスシステム
CN109396902A (zh) 用于高清晰360°摄像机支架上盖的加工治具
US10197989B2 (en) Robot controller of robot used with machine tool, and processing system
CN107030518B (zh) 一种机器人柔性曲面铣削生产装置控制系统
US20200147703A1 (en) Processing device and processing method
CN206937333U (zh) 一种机器人柔性曲面铣削加工生产装置
KR101418595B1 (ko) 가공물의 선별기능을 가지는 공작기계용 가공물 이송 장치및 방법
JP2019122972A (ja) 金型有無検出方法及びプレスブレーキ
CN111761384A (zh) 凸轮轴保持架加工装置
JP5861159B2 (ja) ターレット鍛造装置
JP2015107511A (ja) パンチ折損検出方法及びレーザ・パンチ複合加工機
CN211465697U (zh) 防晃灯珠安装片检测定位用加工辅助装置
KR100403139B1 (ko) 자동 팔레트 교환기의 팔레트 충돌방지 장치
KR20190098424A (ko) 자동 팔레트 교환장치
KR100754764B1 (ko) 로보트 팔에 의해 작동되는 진공흡착시스템
CN219465096U (zh) 一种带上下料的激光切割生产线
CN210702171U (zh) 用于减振器活塞杆的冲孔装置
US11118891B2 (en) Automatic three-dimensional measurement-based inspection system for workpieces
WO2023068196A1 (ja) 工作機械システム
JPH11277159A (ja) 板材加工方法
KR200353199Y1 (ko) 휴대폰 케이스의 사이드 프레스기
JP2005028432A (ja) 板材加工機における板材寸法測定方法およびワーククランプ位置決定方法並びにその方法に用いるワーククランプ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