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64414A - 신규 사상균을 이용한 식물의 토양 전염성 병해 방제 자재 - Google Patents

신규 사상균을 이용한 식물의 토양 전염성 병해 방제 자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64414A
KR20090064414A KR1020097006702A KR20097006702A KR20090064414A KR 20090064414 A KR20090064414 A KR 20090064414A KR 1020097006702 A KR1020097006702 A KR 1020097006702A KR 20097006702 A KR20097006702 A KR 20097006702A KR 20090064414 A KR20090064414 A KR 200900644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il
spp
strain
plant
dise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067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다카히로 가와바타
히로시 아베
야스사부로 나리타
Original Assignee
이데미쓰 고산 가부시키가이샤
고꾸리쯔 다이가꾸호우징 도쿄노우코우다이가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데미쓰 고산 가부시키가이샤, 고꾸리쯔 다이가꾸호우징 도쿄노우코우다이가쿠 filed Critical 이데미쓰 고산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900644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6441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63/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microorganisms, viruses, microbial fungi, animals or substances produced by, or obtained from, microorganisms, viruses, microbial fungi or animals, e.g. enzymes or fermentates
    • A01N63/30Microbial fungi; Substances produced thereby or obtained therefrom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14Fungi; Culture media therefor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14Fungi;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145Fungal isol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R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C12C - C12Q, RELATING TO MICROORGANISMS
    • C12R2001/00Microorganisms ; Processes using microorganisms
    • C12R2001/645Fungi ; Processes using fungi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Zo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icrobi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Mycology (AREA)
  • Vir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otan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Plant Pathology (AREA)
  • Dentistr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 Micro-Organisms Or Cultivation Processe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각종 식물의 뿌리부에 감염, 공생 가능하고, 토양 전염성 병해를 방제하는 능력을 갖는 신규 사상균 SD-F06 균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사상균 SD-F06 균주의 균체 또는 배양물을 함유하는 토양 전염성 병해 방제 자재, 이것을 이용한 식물의 토양 전염성 병해 방제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신규 사상균을 이용한 식물의 토양 전염성 병해 방제 자재 {MATERIAL FOR CONTROL OF SOIL-BORNE DISEASE IN PLANT UTILIZING NOVEL FILAMENTOUS BACTERIUM}
본 발명은 대상이 되는 식물의 본포 및/또는 묘상의 토양에 혼합 시용함으로써 토양 전염성 병해, 특히 게움만노미세스속균 병해나 푸자리움속균 병해를 방제하는 효과를 갖는 신규 균주 (SD-F06 균주) 와, 그 균체 또는 그 배양물을 유효 성분으로서 함유하는 토양 전염성 병해 방제 자재에 관한 것이다.
토양 전염성 병해는 한 번 발생하면 방제가 매우 곤란하여, 산지의 붕괴를 초래할 우려가 있는 중요 병해이다. 그 중에서도 야채류에서는 푸자리움속균 에 의한 토양 전염성 병해의 피해는 크고, 토마토 위조병, 시금치 위조병, 레터스 뿌리 썩음병, 양배추 위황병, 딸기 위황병, 오이, 멜론, 수박 등의 덩굴쪼김병 등 다방면에 걸쳐, 가장 중요한 병해의 하나로 되어 있다. 현재, 브롬화 메틸이나 클로로피크린과 같은 화학 농약에 의한 토양 훈증이 가장 유효한 기술로 여겨지고 있는데, 브롬화 메틸은 지구 온난화 인자로서 제조·사용이 제한되고 있다. 또, 가스제 사용에 의한 인근 주민의 건강에 관한 염려, 토양 중의 유용 미생물이나 천적 곤충을 죽이는 토양 공동화 (空洞化) 현상을 일으켜, 새로 침입한 병원균에 의한 피해를 증대시키는 문제 (리서젠스 현상) 등도 지적되고 있다. 이 때 문에 안전하고, 환경을 배려하며, 안정된 효과를 갖는 미생물 농약의 등장이 절실히 요망되고 있다.
비특허문헌 1, 2 에 기재된 Sterile Dark 균 (K89 주) 은, 소맥 뿌리부 공생균으로, 소맥 입고병 (게움만노미세스균 병해) 에 방제 효과가 확인되었다. 그러나, 소맥 입고병균과 Sterile Dark 균주를 동시에 포트에 시용한 결과는, 입고병의 발병은 경감되지만 충분하다고는 할 수 없었다. 또한, 실제 포장을 상정한 경우, 비특허문헌 1 에 기재된 1.5 ∼ 2.5%(V/V) 토양 혼화라는 시용 조건에서는, 매우 대량의 자재를 필요로 하여, 비용 면에서 미생물 농약으로서의 실용화를 곤란하게 하고 있다. 또, 야채류의 최대 중요 토양 전염성 병해인 푸자리움속균의 병해에 대한 방제 효과에 대해서는 검토되어 있지 않다.
또, Sterile Dark 균 이외에도 비병원성 푸자리움속균 (비특허문헌 3), 바실러스속균 (특허문헌 1,2), 슈도모나스속균 (특허문헌 5,6), 트리코데르마균 (특허문헌 3, 4) 등 병원균에 대한 방제 작용을 갖는 미생물 (세균, 사상균) 을 토양이나 식물에 접종하는 것에 의한 토양 전염성 병해의 생물 방제법도 많이 시도되고 있다. 그러나, 시용한 균을 토양 중에서 안정되게 서식시키기 어려워 방제 효과가 불안정한 점, 또, 비병원성 푸자리움균 등의 식물 내 생균의 경우에도 방제 효과가 단기간밖에 지속되지 않는 등의 문제가 있어 충분한 병해 방제 효과를 거둘 수 없다.
특허문헌 1 :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3-128988호 (바실러스속균)
특허문헌 2 :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4-117278호 (바실러스속균)
특허문헌 3 :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1-102010호 (트리코데르마속균)
특허문헌 4 :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2-245178호 (트리코데르마속균)
특허문헌 5 :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2-35075호 (슈도모나스속균)
특허문헌 6 :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5-916호 (슈도모나스속균)
비특허문헌 1 : 「유용 미생물의 유효 이용 기술」토양과 근권 (根圈) Ⅳ, p131-136, 1986
비특허문헌 2 : Ann. Phytopath. Soc. Japan 57:301-305, 1991
비특허문헌 3 : 비병원성 푸자리움·옥시스포룸에 의한 고구마쪼김병의 방제와 그 실용화」이달의 농업 10월호 p19-22 (2003)
발명의 개시
본 발명의 과제는, 토양 중의 미생물군의 영향을 받지 않고, 소량 시용으로 안정된 토양 전염성 병해 방제 효과를 발휘하는 자재를 제공하는 것, 또 이것을 이용한 식물의 토양 전염성 병해 방제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은 각종 식물의 뿌리부에 공생 가능하고, 토양 전염성 병해를 방제하는 능력을 갖는 신규 사상균 SD-F06 균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사상균 SD-F06 균주의 균체 또는 배양물을 함유하는 토양 전염성 병해 방제 자재, 이것을 이용한 식물의 토양 전염성 병해 방제법을 제공한다.
즉, 본 발명의 요지는 이하와 같다.
(1) 식물의 뿌리부에 감염, 공생하는 능력을 갖고, 또한 감염, 공생한 식물에 발병하는 토양 전염성 병해를 방제하는 효과를 갖는, 사상균 SD-FO6 균주 (FERM BP-10841) 또는 그 변이주.
(2) (1) 에 기재된 SD-F06 균주 또는 그 변이주의 균체 또는 그 배양물을 유효 성분으로서 함유하는 토양 전염성 병해 방제 자재.
(3) (2) 에 기재된 토양 전염성 병해 방제 자재를 이용하여 식물을 생육시키는 토양을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양 전염성 병해 방제 방법.
(4) 상기 토양 전염성 병해가 식물 병원성 사상균에서 기인하는 병해인 (2) 에 기재된 토양 전염성 병해 방제 자재.
(5) 상기 토양 전염성 병해가 식물 병원성 사상균에서 기인하는 병해인 (3) 에 기재된 토용 전염성 병해 방제 방법.
(6) 상기 식물 병원성 사상균에서 기인하는 병해가 푸자리움속균, 게움만노미세스속균, 라이족토니아속균, 피시움속균, 버티실리움속균, 파이토프토라속균, 스클레로티움속균, 코르티시움속균, 플라스모디오포라속균, 리조푸스속균, 트리코데르마속균, 마이크로도치움속균, 스클레로티니아속균 중 어느 1 종 이상에서 기인하는 병해인 (4) 에 기재된 토양 전염성 병해 방제 자재.
(7) 상기 식물 병원성 사상균에서 기인하는 병해가 푸자리움속균, 게움만노미세스속균, 라이족토니아속균, 피시움속균, 버티실리움속균, 파이토프토라속균, 스클레로티움속균, 코르티시움속균, 플라스모디오포라속균, 리조푸스속균, 트리코데르마속균, 마이크로도치움속균, 스클레로티니아속균 중 어느 1 종 이상에서 기인하는 병해인 (5) 에 기재된 토양 전염성 병해 방제 방법.
발명의 효과
(1) 본 발명의 홋카이도의 밭토양으로부터 취득한 신규 식물 공생균 SD-F06 균주는, 각종 식물의 뿌리 내부에 공생 가능하고, 공생한 식물이 병에 걸리는 토양 전염성 병해를 방제하는 능력을 갖는다.
(2) 본 발명의 SD-F06 균주가 공생 가능한 식물종의 범위는 넓어, 매우 넓은 범위의 식물의 토양 전염성 병해 방제에 적용할 수 있다.
(3) 본 발명의 SD-F06 균주는 야채류의 최대 중요 토양 전염성 병해인 푸자리움속 병해에 높은 방제 효과를 나타낸다.
(4) 본 발명의 SD-F06 균 자재는 식물의 육묘용 배토에 혼합하여 공생 모종을 제작함으로써, 본포에 이식한 후에도 토양 중의 미생물 군집의 영향을 받지 않고 안정된 방제 효과를 발휘한다. 또, 균의 식물에 대한 공생은 1 개월 이상 지속된다.
(5) 본 발명의 육묘용 배토에 혼합하는 SD-F06 균 자재의 양은 1%(W/V) 이하로 충분하여, 매우 소량의 시용량으로 높은 방제 효과를 얻을 수 있기 때문에 경제성이 높은 방제 자재를 제공할 수 있다.
근린 결합법에 의해 제조한 SD-F06 균주의 분자 계통수를 나타낸다. 왼쪽의 하선은 스케일바를 나타낸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신규 사상균 SD-F06 균주는, 각종 식물의 뿌리부 내에 공생 가능하고, 토양 전염성 병해를 방제하는 능력을 갖는다.
본 발명의 신규 사상균 SD-F06 균주는, 홋카이도의 소맥 연작밭 토양으로부터 식물 뿌리 내부 공생균을 스크리닝함으로써 취득하였다. SD-F06 균주의 특징은, 포테이토 덱스트로스 한천 배지, 맥아 엑기스 한천 배지, 오트밀 한천 배지 상의 콜로니가 갈색, 비로드상이고, 또한 배지 상에서의 포자 형성은 확인되지 않았다. 이 때문에 형태학적인 분류는 곤란하였다.
본 발명의 사상균 SD-F06 균주는, 18S rRNA 해석에 의해, 자낭균강에 귀속하는 신균주로 dark septate endophyte DS16b, Sterile Dark K89 균 (euascomycete sp.K89) 의 18S rRNA 에 의해 해석한 배열과 99.8% 의 상동성을 갖는 것으로 판명되었으나, 자낭균강 이하의 분류학적 위치 설정은 불분명하다. 또한, SD-F06 균주의 진화 계통수를 도 1 에 나타낸다.
본 발명의 신규 사상균 SD-F06 균주는, 2006년 7월 26일에 (독일) 산업기술 종합 연구소 특허 생물 기탁 센터 (우편번호 305-8566 일본국 이바라키켄 츠쿠바시 히가시 1 쵸메 1 번지 1 중앙 제 6) 에 FERM BP-10841 로서 기탁되었다.
본 발명의 균주 또는 변이주는, 각종 식물의 뿌리부 내에 감염, 공생 가능하고, 토양 전염성 병해를 방제하는 능력을 갖는 SD-F06 균주 또는 그 변이주이다.
본 발명에서의 「변이주」에는,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은 식물의 뿌리부에 감염, 공생하는 능력, 및 식물의 토양 전염성 병해를 방제하는 효과를 갖는 균주인 한, SD-F06 균주로부터 유도된 어떠한 변이주도 포함된다. 변이주는, SD-F06 균주를 자외선 조사, X 선 조사, 변이 유발제 (예를 들어, N-메틸-N-니트로-N-니트로소구아니딘 등) 등을 사용한 인위적 변이 수단에 의해 변이 유발되고, 병해 방제 효과를 갖는 주를 선택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또, 병해 방제 효과를 갖는 한, SD-F06 균주의 자연 변이주도 포함된다.
또한, 이하의 명세서의 기재에 있어서의 「SD-F06 균주」란, 「SD-F06 균주 또는 그 변이주」의 의미로 사용하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식물의 뿌리부에 감염, 공생하는 능력을 갖는」이란, 생육하고 있는 식물의 뿌리에서 바람직한 조건하에서 생육 또는 증식되고, 또한 그 식물의 조직을 변형·변색시키는 등의 악영향을 식물에 미치지 않는 것을 의미한다.
어느 균주가 있는 식물의 뿌리부에 감염, 공생하는 능력을 갖는지의 여부는, 그 균주의 균체를 그 식물체 또는 그 식물이 재배되고 있는 토양에 시용한 후, 바람직한 조건하에서 그 식물을 1 개월 재배한 경우에, 그 균주의 균체가 그 식물의 뿌리에서 생육 또는 증식되고, 또한 그 식물의 조직을 변형·변색시키는 등의 악영향을 식물에 미치고 있지 않은 지의 여부를 확인함으로써 판단할 수 있다. 어느 균주의 균체가 어느 식물의 뿌리에서 생육 또는 증식하고 있는 지의 여부는, 예를 들어 후술하는 실시예 2 에 기재되어 있는 방법을 이용하여 확인할 수 있다. 또, 식물의 조직을 변형·변색시키는 등의 악영향을 식물에 미치고 있지 않은 지의 여부는 육안 등에 의해 확인할 수 있다.
「식물의 뿌리부에 감염, 공생하는 능력을 갖는」에 있어서의 「식물」은, 본 발명의 신규 사상균 SD-F06 균주가 감염, 공생할 수 있는 식물인 한 특별히 제한은 없다. 본 발명의 SD-F06 균주가 공생 가능한 식물종의 범위는 넓어, 확인된 식물종만으로도 벼과 식물 (소맥, 귀리, 옥수수, 잔디, 목초), 박과 식물 (수박, 멜론), 가지과 식물 (토마토, 가지, 감자), 콩과 식물 (대두, 팥, 강남콩), 유채과 식물 (배추), 국화과 식물 (레터스), 명아주과 식물 (사탕무), 백합과 식물 (아스파라거스, 파), 붓꽃과 식물 (후리지아) 등 다방면에 걸쳐있다. 이 때문에 전술한 각 과에 속하는 식물에 대해서는 물론, 그 밖의 종류, 예를 들어 여뀌과 식물, 메꽃과 식물, 아욱과 식물, 토란과 식물, 미나리과 식물, 생강과 식물, 자소과 식물, 장미과 식물, 참마과 식물, 도라지과 식물, 현삼과, 앵초과 식물, 패랭이꽃과 식물, 난초과 식물, 용담과 식물 등 매우 넓은 범위의 식물의 토양 병해 방제에 적용할 수 있는 가능성이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감염, 공생한 식물에 발병하는 토양 전염성 병해를 방제하는 효과를 갖는」이란, 식물의 병해를 예방 또는 치유하는 효과를 갖는 균주를 의미한다.
여기에서 말하는「식물 병해를 예방하는 효과를 갖는 균주」란, 그 균주를 시용하는 것 이외에는 동일한 바람직한 조건에서, 그 식물의 병해의 병원균을 함유하는 토양에서 그에 감염될 수 있는 식물을 1 개월간 재배한 경우에, 그 균주를 시용하지 않은 식물의 발병도 (후술하는 실시예 4 참조) 보다 그 균주를 시용한 식물의 발병도가 낮은 것을 말하며, 또, 「식물 병해를 치유하는 효과를 갖는 균주」란, 그 균주를 시용하는 것 이외에는 동일한 바람직한 조건에서, 그 식물의 병해에 감염된 식물을 1 개월간 재배한 경우에, 그 균주를 시용한 식물의 병의 정도가 그 균주를 시용하지 않은 식물에 있어서의 병의 정도보다 저하되는 것을 말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식물의 병해를 방제하는 효과를 갖는 균주」에는,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후술하는 실시예 4 의 실험을 실시한 경우의 방제가(價)가 통상 50% 이상, 바람직하게는 60%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90% 이상인 경우가 포함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식물의 병해」는, 본 발명의 신규 사상균 SD-F06 균주가 방제 효과를 발휘하는 식물 병해이면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병원균이 식물에 감염됨으로써 일어나는 식물의 병해가 바람직하고, 토양 병해가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방제의 대상이 되는 토양 병해란, 바람직하게는 토양 전염성 병해이고, 보다 상세하게는 푸자리움속균, 게움만노미세스속균, 라이족토니아속균, 피시움속균, 버티실리움속균, 파이토프토라속균, 스클레로티움속균, 코르티시움속, 플라스모디오포라속균, 리조푸스속균, 트리코데르마속균, 마이크로도치움속균, 스클레로티니아속균 중 어느 1 종 이상에서 기인되는 병해인데, 이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토양 전염성 병해 방제 자재는, 각종 식물을 재배할 때의 배토에 혼합하거나 함으로써, SD-F06 균주를 식물의 뿌리부에 감염, 공생시키고, 나아가서는 토양 전염성 병해를 방제할 수 있는 SD-F06 균주의 균체 또는 그 배양물을 함유하는 자재이다.
본 발명의 SD-F06 균주의 배양은, 통상적인 미생물의 배양 방법과 동일하게 하여 실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험실적으로는 포테이토 덱스트로스 한천 배지에서 10 일간, 23℃ 에서 배양하는 등의 배양법을 들 수 있다. 대량 배양하는 경우에는, 통상적인 액체 배양도 가능하고, 또 밀기울이나 오트밀 등의 식물 유래의 고체 성분, 당이나 질소원을 함침시킨 다공질체 등을 사용한 고체 배양도 가능하다. 얻어진 배양물은, 그대로 또는 필요에 따라 건조시킨 후 본 발명의 자재로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본 발명의 토양 전염성 병해 방제 자재는, 실시예 1 에 기재되어 있는 방법을 이용하여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자재는, 본 발명의 SD-F06 균주의 균체를 물 등의 액체에 간단히 현탁함으로써 제조할 수도 있지만, 다른 성분을 배합하여, 액제, 분제, 입제, 연무제 등의 제제로서 제조할 수도 있다. 다른 배합 성분으로는, 액체 담체, 고체 담체, 계면 활성제 (유화제, 분산제, 소포제 등), 보조제 등을 들 수 있는데, 이들의 1 종 또는 2 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액체 담체로는, 예를 들어, 인산 완충액, 탄산 완충액, 생리 식염수 등을 들 수 있다. 또, 고체 담체로는, 예를 들어, 카올린, 점토, 탤크, 초크, 석영, 아타풀자이트, 몬모릴로나이트, 규조토 등의 천연 광물 분말, 규산, 알루미나, 규산 염 등의 합성 광물 분말, 결정성 셀룰로오스, 콘스타치, 젤라틴, 알긴산 등의 고분자성 천연물을 들 수 있다. 또, 계면 활성제로는, 예를 들어, 폴리옥시에틸렌-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지방산 알코올에테르, 알킬아릴폴리글리콜에테르, 알킬술포네이트, 알킬설페이트, 아릴술포네이트 등을 들 수 있다. 보조제 로는, 예를 들어,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폴리옥시아세틸렌글리콜, 아라비아 고무, 전분, 락토오스 등을 들 수 있다.
또, 수계 용매를 담체로 하는 액제로서 제조하는 경우, 용매 중에서의 균체의 수화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수용성 고분자를 첨가할 수도 있다. 수용성 고분자로는, 폴리비닐알코올, 폴리에틸렌글리콜, 폴리비닐메틸에테르, 폴리비닐아민, 폴리비닐피롤리돈, 폴리에틸렌이민, 폴리아크릴아미드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SD-F06 균주의 식물의 뿌리부에 대한 부착성의 향상, 및 제제 중에서의 SD-F06 균주의 안정성의 향상을 도모하기 위해 자일로글루칸, 구아검 등의 다당류를 배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자재에 함유되는 SD-F06 균주의 농도는, 본 발명의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한,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제제로서 102 ∼108 CFU/g (콜로니 형성 단위), 바람직하게는 104 ∼ 107 CFU/g (콜로니 형성 단위) 이다. 또, 사용하는 SD-FO6 균주의 방제 효과 등에 따라 적절히 변경할 수 있다.
또, 입제 또는 분제의 형태로 본 발명의 자재를 사용하는 경우는, 자재의 중량의 10 ∼ 50000 배의 중량이 되도록 물로 희석하여 사용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100 ∼ 10000 배의 중량이 되도록 희석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자재는, 상기 물질 외에, 본 발명의 효과를 방해하지 않는 한, 자재 등에 함유되는 SD-F06 균주의 배양에 사용한 배지 등의 임의의 물질을 함유하고 있어도 된다.
본 발명의 자재의 사용 방법에 대해서는,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제형 등의 사용 형태, 작물이나 병해에 따라 적절히 선택되고, 예를 들어, 지상 액제 살포, 지상 고형 살포, 공중 액제 살포, 공중 고형 살포, 수면 시용, 시설 내 시용, 토양 혼화 시용, 토양 관주 (灌注) 시용, 표면 처리 (종자 분의 (紛衣), 도포 처리 등) 육묘 상자 시용법, 홑꽃 처리, 주원 (株元) 처리 등의 방법을 들 수 있는데, 바람직하게는 각종 제형의 자재를 재배 식물의 종자·덩이줄기에 코팅하는 것, 재배 식물의 꽃에 홑꽃 처리하는 것, 재배 식물의 경엽에 처리하는 것, 재배 식물의 상처 부위, 전정 (剪定) 부에 도포 처리하는 것, 토양 관주하는 것, 토양 혼화하는 것 등의 방법을 들 수 있다. 여기에서, 토양에 시용하는 경우에는, 본 발명의 자재를 토양에 시용하고 난 후 재배 식물을 심어도 되고, 또, 재배 식물을 토양에 심은 후에 본 발명의 자재를 그 토양에 시용해도 된다.
또, 본 발명의 자재를 재배 식물에 시용하는 경우에는, 살충제, 살선충제, 살진드기제, 제초제, 살균제, 식물 생장 조절제, 비료, 토양 개량 자재 (이탄 (泥炭), 부식산 자재, 폴리비닐알코올계 자재 등) 등을 혼합 시용, 혹은 혼합하지 않고 동시 시용 또는 교호 시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자재의 시용량에 대해서는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병해의 종류, 적용 식물의 종류, 자재의 형태 등에 의해 적절히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액제의 자재를 지상 살포하는 경우에는, 그 살포액 중의 SD-F06 균주의 농도는, 통상 102 ∼ 108CFU/㎖ (콜로니 형성 단위), 바람직하게는 104∼107CFU/㎖ (콜로니 형 성 단위) 이고, 그 시용량은, 0.5 ∼ 100ℓ/a 로 할 수 있다. 또, 입제, 분제 등은 전혀 희석하지 않고 제제 상태에서 시용할 수도 있다. 입제, 분제 등을 지상 살포하는 경우에는, SD-F06 균주의 시용량이 102 ∼109CFU/a 정도가 되도록 살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에 대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을 추가하는데, 본 발명이 이들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실시예 1
SD-F06 균주를 함유하는 자재의 제조
시판되는 오트밀 100g 에 물 50 ㎖ 를 첨가하고, 121℃ 에서, 30 분 멸균하여, 고체 배양용 기재를 제조하였다. 이 기재에 종균으로서 SD-F06 균주 (FERM BP-10841) 를 한천 평판 배지 (포테이토 덱스트로스 배지) 에서 23℃ 에서 2 주간 증식시킨 균체의 일부를 첨가하고, 23℃에서 10 일간 배양한 후, 실온에서 바람 건조시킴으로써, SD-F06 균주의 고체 배양물을 얻었다. 다음으로, 바람 건조시킨 배양물을 밀로 분쇄하여, SD-F06 균주 자재로서 실시예 2 이후의 검토에 사용하였다.
실시예 2
각종 식물에 대한 SD-F06 균주 감염, 공생의 확인
실시예 1 에서 제조한 SD-F06 균주 자재를 시판되는 원예용 배토 (요사쿠 (與作) N-15 : 전농) 에 0.5%(W/V) 혼합한 것을 제조하여, 32 구멍 셀 트레이 (나에사쿠군 : 코바야시(주) 제조) 에 충전, 관수한 후, 표 1 에 나타낸 각종 식물을 파종하고, 18℃ ∼ 24℃ 의 온실에서 재배하였다. 파종 25 일 후에, 각종 식물의 모종을 꺼내어, 모종의 뿌리부를 흐르는 수돗물로 5 분간 깨끗하게 세정하여, 배토를 제거한 후, 뿌리부의 표면을 차아염소산 소다 (0.5%액) 로 살균하였다. 다음으로, 스트렙토마이신을 50ppm 함유하는 포테이토 덱스트로스 한천 배지에 뿌리부를 정치 (靜置) 시키고, 15℃ 에서 2 주일 후에, 형성되는 콜로니를 관찰하였다. SD-F06 균주가 공생한 모종의 뿌리부로부터는 흑갈색의 SD-F06 균의 콜로니가 형성되기 때문에 비공생 모종과 구별할 수 있다. 이 결과, SD-F06 균주는 표 1 에 기재된 바와 같이 매우 다양한 종류의 식물의 뿌리부에 감염, 공생할 수 있는 것이 판명되었다.
SD-F06 균주가 공생하는 식물예
구분 식물명
박과 수박, 멜론, 호리병박
가지과 토마토, 가지, 감자
유채과 배추
콩과 대두, 팥, 강남콩
명아주과 시금치, 사탕무
벼과 소맥, 옥수수, 벼과 목초
백합과 파, 아스파라거스
국화과 레터스
기타 후리지아
실시예 3
소맥 입고병 방제 시험
소맥 입고병균 Gaeumannomyces graminis (게움마노미네스속 균주) 를 대맥 배지에서 배양한 고체 배양물을 0.5%(W/V) 가 되도록 시판되는 원예 배토에 혼화한 후, 추가로 실시예 1 에서 제조한 자재 (SD-F06) 및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한 Sterile Dark 균 (K89 균주) 자재를 표 2 에 기재된 비율로 혼합하고, 각각 1000㎖ 용적 플라스틱 포트에 충전하였다. 다음으로, 플라스틱 포트에 소맥 (노린 (農林) 61 호) 을 파종하고, 18℃ ∼ 24℃ 의 온도에서 재배하였다. 30 일 재배한 후, 발병의 정도를 5 단계로 평하였다. 표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Sterile Dark 균 2.0%(W/V) 혼합구에서는 방제가는 39.5% 이었으나, 신균주 SD-F06 균주 1.0%(W/V) 혼합구에서는 방제가 57.9% 로 적은 양으로 높은 방제가를 나타내는 것이 판명되었다.
<발병도의 평가>
* 발병도 0 : 발병 없음, 1 : 10% 발병, 2 : 30% 발병, 3 : 50% 발병, 4 : 80% 발병, 5 : 100% 고사
소맥 입고병의 방제 효과
발병도 (평균) 방제가 (%)
무처리 3.8 -
Sterile Dark 균 (2.0% 혼합구) 비교예 1 2.3 39.5
SD-F06 균 (1.0% 혼합구) 실시예 3 1.6 57.9
실시예 4
레터스 푸자리움 병해 방제 시험
시판되는 원예 배토에 실시예 1 에서 제조한 SD-F06 균자재를 0.5%(W/V) 혼합한 후, 32 구멍 셀 트레이 (나에사쿠군 : 코바야시(주) 제조) 에 800㎖ 충전하고, 관수하였다. 이것에 레터스 (품종 : 시스코) 종자를 파종하고, 18℃ ∼ 24℃ 의 온실에서 재배하였다. 파종 14 일 후에, 레터스 뿌리 썩음 위조병 Fusarium oxysporum (푸자리움속균) 을 밀기울 배지에서 배양한 고체 배양물을 0.125%(W/V) 가 되도록 시판되는 원예 배토와 혼합하여, 1000㎖ 용적 플라스틱 포트에 충전하였다. 다음으로, 제조한 푸자리움균 오염 포트에 셀 트레이에서 재배한 레터스 모종을 이식하고, 30 일 후에 레터스의 병이 든 상황을 지상부와 지하부 (뿌리부) 로 나누어 평가하였다. 지상부는, 건전한 레터스와 비교하여, 발병도를 3 단계로 나주고 육안으로 평가하였다. 지하부는 면도칼로 주뿌리부를 2 분할한 후, 도관의 갈색 변화 정도를 3 단계로 평가하였다. 표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0.1%, 0.3%(W/V) 시용으로도 충분한 푸자리움속균 병해의 방제 효과를 나타내는 것이 판명되었다. 또, 모종 제작시에 시용하는 것만으로, 이식 후에도 방제 효과를 유지할 수 있는 것이 판명되었다.
<발병도의 평가>
* 지상부 발병도 0 : 위조 없음, 1 : 약간 위조, 2 : 매우 위조, 3 : 고사
* 지하부 발병도 0 : 갈변 없음, 1 : 약간 갈변, 2 : 갈변, 3 : 크라운부 이상까지 갈변
* 발병 지수 = [Σ(정도별 발병 주수 (株數) × 발병도)/조사 주수 × 3] × 100
레터스 푸자리움 병해의 방제 효과
SD-F06 균주 시용 농도 (셀 모종 제작시) 지상부 지하부
발병 지수 방제가 (%) 발병 지수 방제가 (%)
0% 27 - 80 -
0.1% 0 100 40 50.0
0.3% 0 100 40 50.0
1% 0 100 33 58.3
본 발명의 신규 사상균 SD-F06 균주는, 각종 식물의 뿌리부 내에 감염, 공생 가능하고, 토양 전염성 병해를 방제하는 능력을 가져 산업상 유용하다. 본 발명의 신규 사상균 SD-F06 균주의 균체 또는 배양물을 함유하는 토양 전염성 병해 방제 자재도 마찬가지로 산업상 유용하다.
SEQUENCE LISTING <110> IDEMITSU KOSAN CO., LTD. <120> MATERIAL FOR CONTROL OF SOIL-BORNE DISEASE IN PLANT UTILIZING NOVEL FILAMENTOUS BACTERIUM <130> 0600390-7185 <150> JP2006-251418 <151> 2006-09-15 <160> 1 <170> PatentIn version 3.3 <210> 1 <211> 1771 <212> DNA <213> Ascomycota <400> 1 gtagtcatat gcttgtctca aagattaagc catgcatgtc taagtataag caatctatac 60 ggtgaaactg cgaatggctc attaaatcag ttatcgttta tttgatagta ccttactact 120 tggataaccg tggtaattct agagctaata catgctaaaa acctcgactt cggaaggggt 180 gtatttatta gataaaaaac caatgccctt cggggctcct tggtgattca taataactta 240 acgaatcgca tggccttgtg ccggcgatgg ttcattcaaa tttctgccct atcaactttc 300 gatggtagga tagtggccta ccatggtttc aacgggtaac ggggaattag ggttctattc 360 cggagaggga gcctgagaaa cggctgccac atccaaggaa ggcagcaggc gcgcaaatta 420 cccaatcccg acacggggag gtagtgacaa taaatactga tacagggctc ttttgggtct 480 tgtaattgga atgagtacaa tttaaatccc ttaacgagga acaattggag ggcaagtctg 540 gtgccagcag ccgcggtaat tccagctcca atagcgtata ttaaagttgt tgcagttaaa 600 aagctcgtag ttgaaccttg aacctggctg gccggtccgc ctcaccgcgt gcactggtcc 660 ggccgggttt ttccttctgg ggagccgcat gcccttcact gggtgtgtcg gggaaccagg 720 acttttactt tgaaaaaatt agagtgttca aagcaggcct atgctcgaat acattagcat 780 ggaataatag aataggacgt gtggttctat tttgttggtt tctaggaccg ccgtaatgat 840 taatagggat agtcgggggc atcagtattc aattgtcaga ggtgaaattc ttggatttat 900 tgaagactaa ctactgcgaa agcatttgcc aaggatgttt tcattaatca gtgaacgaaa 960 gttaggggat cgaagacgat cagataccgt cgtagtctta accataaact atgccgacta 1020 gggatcgggc gatgttattt ttttgactcg ctcggcacct tacgagaaat caaagtcttt 1080 gggttctggg gggagtatgg tcgcaaggct gaaacttaaa gaaattgacg gaagggcacc 1140 accaggagtg gagcctgcgg cttaatttga ctcaacacgg ggaaactcac caggtccaga 1200 cacaataagg attgacagat tgagagctct ttcttgattt tgtgggtggt ggtgcatggc 1260 cgttcttagt tggtggagtg atttgtctgc ttaattgcga taacgaacga gaccttaacc 1320 tgctaaatag ccaggctagc tttggctggt cgccggcttc ttagagggac tatcggctca 1380 agccgatgga agtttgaggc aataacaggt ctgtgatgcc cttagatgtt ctgggccgca 1440 cgcgcgctac actgacagag ccaacgagtt tcttccttgt ccgaaaggtc tgggtaatct 1500 tgttaaactc tgtcgtgctg gggatagagc attgcaatta ttgctcttca acgaggaatt 1560 cctagtaagc gcaagtcatc agcttgcgct gattacgtcc ctgccctttg tacacaccgc 1620 ccgtcgctac taccgattga atggctaagt gaggcctttg gaccggccca gagagggtgg 1680 caacacccac tcagggctgg aaaatcgtac aaacttggtc atttagagga agtaaaagtc 1740 gtaacaaggt ttccgtaggt gaacctgcgg a 1771

Claims (7)

  1. 식물의 뿌리부에 감염, 공생하는 능력을 갖고, 또한 감염, 공생한 식물에 발병하는 토양 전염성 병해를 방제하는 효과를 갖는, 사상균 SD-FO6 균주 (FERM BP-10841) 또는 그 변이주.
  2. 제 1 항에 기재된 SD-F06 균주 또는 그 변이주의 균체 또는 그 배양물을 유효 성분으로서 함유하는 토양 전염성 병해 방제 자재.
  3. 제 2 항에 기재된 토양 전염성 병해 방제 자재를 이용하여 식물을 생육시키는 토양을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양 전염성 병해 방제 방법.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토양 전염성 병해가 식물 병원성 사상균에서 기인하는 병해인 토양 전염성 병해 방제 자재.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토양 전염성 병해가 식물 병원성 사상균에서 기인하는 병해인 토양 전염성 병해 방제 방법.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식물 병원성 사상균에서 기인하는 병해가 푸자리움속균, 게움만노미세스속균, 라이족토니아속균, 피시움속균, 버티실리움속균, 파이토프토라속균, 스클레로티움속균, 코르티시움속균, 플라스모디오포라속균, 리조푸스속균, 트리코데르마속균, 마이크로도치움속균, 스클레로티니아속균 중 어느 1 종 이상에서 기인하는 병해인 토양 전염성 병해 방제 자재.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식물 병원성 사상균에서 기인하는 병해가 푸자리움속균, 게움만노미세스속균, 라이족토니아속균, 피시움속균, 버티실리움속균, 파이토프토라속균, 스클레로티움속균, 코르티시움속균, 플라스모디오포라속균, 리조푸스속균, 트리코데르마속균, 마이크로도치움속균, 스클레로티니아속균 중 어느 1 종 이상에서 기인하는 병해인 토양 전염성 병해 방제 방법.
KR1020097006702A 2006-09-15 2007-09-11 신규 사상균을 이용한 식물의 토양 전염성 병해 방제 자재 KR2009006441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6-251418 2006-09-15
JP2006251418A JP4969961B2 (ja) 2006-09-15 2006-09-15 新規糸状菌を利用した植物の土壌伝染性病害防除資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64414A true KR20090064414A (ko) 2009-06-18

Family

ID=391837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06702A KR20090064414A (ko) 2006-09-15 2007-09-11 신규 사상균을 이용한 식물의 토양 전염성 병해 방제 자재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100111904A1 (ko)
EP (1) EP2062966A1 (ko)
JP (1) JP4969961B2 (ko)
KR (1) KR20090064414A (ko)
CN (1) CN101517065A (ko)
TW (1) TW200819050A (ko)
WO (1) WO200803269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393365B1 (en) 2009-02-06 2015-05-13 Cornell University Trichoderma strains that induce resistance to plant diseases and/or increase plant growth
JP2021120353A (ja) * 2018-04-24 2021-08-19 国立大学法人東京農工大学 植物生育促進剤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7292B2 (ja) 1987-10-14 1994-03-09 株式会社神戸製鋼所 微生物防除剤
JP2614100B2 (ja) 1988-01-16 1997-05-28 栃木県 新規微生物及びそれを用いた植物病害防除方法
DE3904710A1 (de) 1989-02-16 1990-08-23 Basf Ag Trichoderma-pilz und ihn enthaltendes fungizid
JPH03128988A (ja) 1989-07-28 1991-05-31 Tochigi Pref Gov 土壌病害を抑制する微生物資材およびその製造法
JPH0453487A (ja) * 1990-06-22 1992-02-21 Tokachi Nogyo Kyodo Kumiai Rengokai 新規微生物とそれを利用した各種作物の土壌病害防除方法
JPH07108848B2 (ja) 1990-09-06 1995-11-22 栃木県 共生微生物を用いた植物病害の防除方法およびその方法の実施に用いる新規微生物
JP3431926B2 (ja) 1991-06-19 2003-07-28 花王株式会社 植物病害防除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062966A1 (en) 2009-05-27
US20100111904A1 (en) 2010-05-06
WO2008032693A1 (fr) 2008-03-20
JP2008067667A (ja) 2008-03-27
JP4969961B2 (ja) 2012-07-04
CN101517065A (zh) 2009-08-26
TW200819050A (en) 2008-05-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31125B1 (ko) 스트렙토마이세스 wyec108을 사용하여 식물병원체를 억제시키는 방법
CN111254086B (zh) 一株贝莱斯芽孢杆菌及其在生防中的应用
JP5714603B2 (ja) 植物の出芽および生長を増強するためのシュードモナス・アゾトフォルマンス(pseudomonasazotoformans)種の新規蛍光シュードモナス菌
EP2255660B1 (en) Biocontrol agent against soil-borne diseases
MX2015001976A (es) Cepa de bacillus sp. con actividad antifungica, antibacteriana y de promocion del crecimiento.
JP2010540622A (ja) 表面の微生物棲息密度向上させる組成物及びその用途
KR20180118266A (ko) 총채벌레 방제용 미생물 살충제
CZ152494A3 (en) Fungicidal agent
KR20140071145A (ko) 신균주인 페니바실러스 폴리믹사 ab-15 균주 및 이의 용도
CN113980877B (zh) 一种复配微生物菌剂及其制备方法
Abada et al. Management of pepper Verticillium wilt by combinations of inducer chemicals for plant resistance, bacterial bioagents and compost
WO2005040358A1 (ja) イネ科植物病害に対して防除能を有する糸状菌、これを利用した防除剤、防除方法、および生物資材
JP2003531603A (ja) 新規のトリコデルマ属微生物菌株を利用した生物学的防除用微生物製剤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4969961B2 (ja) 新規糸状菌を利用した植物の土壌伝染性病害防除資材
JP5909695B1 (ja) 植物の細菌性病害に対する微生物防除剤および種子コーティング剤並びに該種子コーティング剤をコートした種子
KR102011266B1 (ko) 진균의 균핵이 포함된 식물관리용 고형조성물 및 그 용도
Taufik et al. Evaluating the ability of endophyte fungus to tontrol VSD diseases in cocoa seeding
JP5168687B2 (ja) ネコブセンチュウによる植物病害を防御する方法
KR20050033999A (ko) 신규 식물 외생 길항 미생물인 슈도모나스 퓨티다 cb11균주 및 이를 함유하는 항진균성 미생물 살균제
CN108184893A (zh) 一种含吡唑醚菌酯、申嗪霉素和吡虫啉的复配种衣剂
KR102239389B1 (ko) 고추 가뭄 스트레스 저감 미생물 바실러스 부타놀리보란스 kj40 및 이의 용도
KR101442661B1 (ko) 라이조푸스 올리고스포러스 cs109 및 이를 포함한 식물병 방제용 조성물
JP5635792B2 (ja) イネ苗病害防除剤、及びこれを利用したイネ苗病害の防除方法
JPH07267811A (ja) 農産園芸用微生物製剤
JP2004131422A (ja) 土壌病害防除剤および土壌病害防除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