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63584A - 차량용 계기판의 포인터 - Google Patents

차량용 계기판의 포인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63584A
KR20090063584A KR1020070131011A KR20070131011A KR20090063584A KR 20090063584 A KR20090063584 A KR 20090063584A KR 1020070131011 A KR1020070131011 A KR 1020070131011A KR 20070131011 A KR20070131011 A KR 20070131011A KR 20090063584 A KR20090063584 A KR 200900635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inter
blade
instrument panel
vehicle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310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희안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1310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63584A/ko
Publication of KR200900635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6358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60K35/60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3/0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 B60Q3/1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for dashboard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PMEASURING LINEAR OR ANGULAR SPEED,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SHOCK; INDICATING PRESENCE, ABSENCE, OR DIRECTION, OF MOVEMENT
    • G01P1/00Details of instruments
    • G01P1/07Indicating devices, e.g. for remote indication
    • G01P1/08Arrangements of scales, pointers, lamps or acoustic indicators, e.g. in automobile speedometers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계기판에 마련되어 고정된 눈금을 가리키며, 야간에도 광원을 이용하여 탑승자가 인식가능하고, 선명도나 휘도가 주변의 눈금만큼 증대된 차량용 계기판의 포인터에 관한 것으로서, 그 차량용 계기판의 포인터는, 일단에는 입사홀이 형성된 힌지축(340)이 마련되며 힌지축(340)을 중심으로 포인팅 동작을 하고 그 하면이 개방된 지침부(320)로 구성된 블레이드(300), 블레이드(300)를 일정 색상으로 밝히고자 힌지축(340)을 통하여 입사된 광선이 지침부(320)내에서 반사되도록 일정 색상이 프린팅되어 지침부(320)의 하면을 막으며 설치되는 커버(500), 및 블레이드(300)를 상방에서 덮으며 상단에 포인팅 광로(120)가 형성된 캡(500)으로 구성된다.
차량 계기판 포인터, 포인터 선명도 휘도

Description

차량용 계기판의 포인터 {Pointer Of Instrument Cluster For A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의 계기판에 마련되어 고정된 눈금을 가리키며, 야간에도 광원을 이용하여 탑승자가 인식가능하도록 구성된 차량용 계기판의 포인터에 관한 것이다.
차량의 운전석 전방에는 운전자가 차량의 상태를 알 수 있도록 각종 계기판이 마련되어 있다. 예를 들면, 차량의 속도나 엔진회전수, 엔진온도 등을 알 수 있도록 마련된다. 계기판은 아날로그식과 디지털식이 있는데, 표현 방식에서 아날로그식을 사용할 경우 계기판 둘레에 일정 간격으로 눈금이 형성되며, 그 눈금을 가리키는 포인터가 힌지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된다.
야간주행시에는 운행안전을 위하여 차량 내부에 조명을 켜지 않아 계기판이 보이지 않는 문제가 있었고, 계기판에는 별도의 광원을 통하여 야간에도 식별가능하게끔 하였다. 즉, 계기판 후면에 광원을 마련하여 고정된 눈금이 보이도록 하였고, 포인터 역시 광원을 통하여 식별되도록 하였다.
도 1과 2를 참고하여 종래의 차량용 계기판의 포인터를 살펴보면, 차량용 계기판의 포인터는 하단부에 광원(30)이 위치하며, 광원(30)의 빛은 힌지축을 따라 올라가고, 블레이드(10)와 스탬핑 사이에서 반사되어 포인터가 빛나도록 하였으며, 스탬핌 하부에는 커버가 부착되었다. 스탬핑은 포인터의 색상으로 디자인에 따라 착색되었다. 광원(30)의 빛은 블레이드(10)로 올라가 블레이드(10)와 스탬핑 사이에서 반사되었다.
그러나 종래의 이러한 차량용 계기판의 포인터는 빛이 블레이드와 스탬핑 사이에서 반사되었는바, 스탬핑의 반사면은 매끄럽지 못하였고, 반사되는 빛의 양만큼 확산도 되어 블레이드를 통하여 외부로 나오는 빛의 양이 많지 않아 포인터의 선명함이 부족한 문제가 있었다. 이는 도 1의 포인터(10)가 주변의 눈금보다 흐릿하게 보이는 것을 통하여도 알 수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야간에 계기판의 조명시, 포인터의 선명함과 휘도를 상승시켜 미관을 개선하고, 포인터의 시인성을 증대시키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계기판의 포인터는, 일단에는 입사홀이 형성된 힌지축이 마련되며 힌지축을 중심으로 포인팅 동작을 하고 그 하면이 개방된 지침부로 구성된 블레이드, 블레이드를 일정 색상으로 밝히고자 힌지축을 통하여 입사된 광선이 지침부내에서 반사되도록 일정 색상이 프린팅되어 지침부의 하면을 막으며 설치되는 커버, 및 블레이드를 상방에서 덮으며 상단에 포 인팅 광로가 형성된 캡으로 구성된다.
상기 블레이드의 선명함을 높이고자, 커버는 동일 색상이 복수회 프린팅되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블레이드에는, 힌지축을 중심으로 질량관성적 균형을 이루고자, 지침부의 끝단에 웨이트부가 마련됨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차량용 계기판의 포인터에 따르면, 광로로부터 나온 빛이 블레이드의 지침부와 커버 사이에서 직접 반사되어 확산보다는 반사되는 양이 늘어나, 포인터의 선명함과 휘도가 높아져 시인성이 증대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계기판의 포인터에 대하여 살펴본다.
도 3을 참고하여 차량용 계기판의 포인터의 구성을 살펴보면, 차량용 계기판의 포인터는 차량의 계기판에 마련되어 고정된 눈금을 가리키며, 야간에도 광원을 이용하여 탑승자가 인식가능하도록 마련되고, 일단에는 입사홀이 형성된 힌지축(340)이 마련되며, 힌지축(340)을 중심으로 포인팅 동작을 하고, 그 하면이 개방된 지침부(320)로 구성된 블레이드(300)와, 블레이드(300)를 일정 색상으로 밝히고자, 힌지축(340)을 통하여 입사된 광선이 지침부(320)내에서 반사되도록, 일정 색상이 프린팅되어 지침부(320)의 하면을 막으며 설치되는 커버(500), 및 상기 블레이드(300)를 상방에서 덮으며, 상단에 포인팅 광로(120)가 형성된 캡(500)으로 구 성된다.
종래와 달리 빛이 표면이 매끄럽지 못한 스탬핑과 블레이드 사이에서 반사되는 것이 아니라, 표면이 매끄러운 커버(500)와 블레이드의 지침부(320) 사이에서 반사되며, 커버(500)면에는 종래 스탬핑의 색상을 착색하여 종래의 포인터보다 선명도와 휘도가 증대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기 블레이드(300)의 선명함을 높이고자, 커버(500)는 동일 색상이 복수회 프린팅되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착색의 두께가 증가 될수록 빛이 반사되는 양은 증대되기 때문이다. 또한, 반사를 고려할 때 착색의 색상은 흰색으로 함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흰색에 국한되지 않고, 디자인적 요소에 따라 착색되는 색상은 선택이 가능하다.
상기 블레이드(300)에는, 힌지축(340)을 중심으로 질량관성적 균형을 이루고자, 지침부(320)의 끝단에 웨이트부(360)가 마련됨이 바람직하다. 즉, 블레이드의 지침부(320)는 힌지축(340)을 중심으로 회전되는데, 힌지축(340)을 기준으로 지침부(320)의 반대편에 웨이트부(360)를 달아, 균형있는 회전이 가능하게 되어 포인터가 흔들리지 않고 좀 더 매끄럽게 회전이 가능해진다.
도 4를 참고하여 포인터의 발광구조를 살펴보면, 광원의 빛은 힌지축(340)을 따라 올라와 블레이드의 지침부(320)와 커버(500) 사이에서 반사가 된다. 종래의 스탬핑과 달리 커버(500)는 금속성 부재로서, 표면이 매끄러워 반사되는 빛의 양이 증대된다.
도 5를 참고하여 보면, 계기판에서 보이는 포인터는 캡에 형성된 포인팅 광 로(120)를 통하여 투과되는 빛이며, 이는 종래의 포인터와 달리 그 선명함과 휘도가 주변의 눈금과 같은 정도임을 알 수 있다. 따라서 포인터 내부의 반사도가 상승되었음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 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정신이나 분야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계기판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차량용 계기판의 포인터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계기판의 포인터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차량용 계기판의 포인터를 간략히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차량용 계기판의 포인터가 적용된 계기판의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캡 120 : 포인팅 광로
300 : 블레이드 320 : 지침부
340 : 힌지축 360 : 웨이트부
500 : 커버

Claims (3)

  1. 차량의 계기판에 마련되어 고정된 눈금을 가리키며, 야간에도 광원을 이용하여 탑승자가 인식가능한 차량용 계기판의 포인터로서,
    일단에는 입사홀이 형성된 힌지축(340)이 마련되며, 힌지축(340)을 중심으로 포인팅 동작을 하고, 그 하면이 개방된 지침부(320)로 구성된 블레이드(300);
    상기 블레이드(300)를 일정 색상으로 밝히고자, 힌지축(340)을 통하여 입사된 광선이 지침부(320)내에서 반사되도록, 일정 색상이 프린팅되어 지침부(320)의 하면을 막으며 설치되는 커버(500); 및
    상기 블레이드(300)를 상방에서 덮으며, 상단에 포인팅 광로(120)가 형성된 캡(500);을 포함하는 차량용 계기판의 포인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300)의 선명함을 높이고자, 커버(500)는 동일 색상이 복수회 프린팅되어 형성된 차량용 계기판의 포인터.
  3.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300)에는, 힌지축(340)을 중심으로 질량관성적 균형을 이루고자, 지침부(320)의 끝단에 웨이트부(360)가 마련된 차량용 계기판의 포인터.
KR1020070131011A 2007-12-14 2007-12-14 차량용 계기판의 포인터 KR2009006358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1011A KR20090063584A (ko) 2007-12-14 2007-12-14 차량용 계기판의 포인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1011A KR20090063584A (ko) 2007-12-14 2007-12-14 차량용 계기판의 포인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63584A true KR20090063584A (ko) 2009-06-18

Family

ID=409925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31011A KR20090063584A (ko) 2007-12-14 2007-12-14 차량용 계기판의 포인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63584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5475B1 (ko) * 2014-03-11 2015-02-24 덴소코리아일렉트로닉스 주식회사 차량용 계기판의 포인터
KR101525734B1 (ko) * 2014-03-11 2015-06-03 덴소코리아일렉트로닉스 주식회사 차량용 계기판의 포인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5475B1 (ko) * 2014-03-11 2015-02-24 덴소코리아일렉트로닉스 주식회사 차량용 계기판의 포인터
KR101525734B1 (ko) * 2014-03-11 2015-06-03 덴소코리아일렉트로닉스 주식회사 차량용 계기판의 포인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25446B2 (en) Display device having decorative member on screen
JP4622751B2 (ja) 車両用表示装置
JP2006003341A (ja) 表示装置
JP4675746B2 (ja) 計器用文字盤
JP4882092B2 (ja) 指示計器
JP2007085858A (ja) 車両用指針計器
JP4650210B2 (ja) 車両用指針計器
JP5045403B2 (ja) 指針計器
KR20090063584A (ko) 차량용 계기판의 포인터
JP4566728B2 (ja) 指針計器
JP4186910B2 (ja) 表示装置
JP2007046987A (ja) 表示装置
JP4175308B2 (ja) 車両用指針計器
JP3613426B2 (ja) 車両用計器装置の指針構造
JP2007101358A (ja) 車両用計器
JP4858228B2 (ja) 指針計器
JP4667896B2 (ja) 指針計器
JP4933069B2 (ja) 車両用指針計器
JP2006226729A (ja) 指針計器
JP2005145298A (ja) 車両用計器
JP4259480B2 (ja) 車両用計器
JP4652787B2 (ja) 表示装置
JP4609239B2 (ja) 表示装置
JP2005309157A (ja) 表示装置
JP4062246B2 (ja) 指針計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