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62515A - 자동차 헤드램프 베젤의 라이트 가이드 구조 - Google Patents

자동차 헤드램프 베젤의 라이트 가이드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62515A
KR20090062515A KR1020070129822A KR20070129822A KR20090062515A KR 20090062515 A KR20090062515 A KR 20090062515A KR 1020070129822 A KR1020070129822 A KR 1020070129822A KR 20070129822 A KR20070129822 A KR 20070129822A KR 20090062515 A KR20090062515 A KR 200900625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bezel
light source
unit
guide stru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298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세진
정병호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1298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62515A/ko
Publication of KR200900625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6251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2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refractors, transparent cover plates, light guides or filters
    • F21S41/24Light guid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5/00Arrangements within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for purposes other than emission or distribution of light
    • F21S45/10Protection of lighting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07/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n or in particular types of vehicles
    • F21W2107/1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n or in particular types of vehicles for land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헤드램프를 감싸고 있는 베젤의 소정 부위를 통해서 빛을 배광시키기 위한 자동차 헤드램프 베젤의 라이트 가이드 구조에 관한 것으로, 빛을 배광시키기 위해 상기 베젤의 증착부의 소정 부위에 미증착되어서 다수개로 구비된 마스킹부; 상기 베젤과 일체로 형성되어서 마스킹부로 빛을 유도하는 광원 유도부; 및 상기 베젤의 마스킹부의 후방에 다수개 구비되어서 빛을 생성하여 상기 광원 유도부를 통해 빛을 발광시키는 광원부;로 이루어지게 함으로써, 별도의 광원 가이드 부품을 구비하지 않아 원가가 절감되게 하며 광원부를 습기 발생 가능부에 장착되게 함으로써 습기 발생을 저지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헤드램프, 베젤, 마스킹, 증착, 광원

Description

자동차 헤드램프 베젤의 라이트 가이드 구조{Light guide structure of head lamp bezel for vehicle}
본 발명은 자동차 헤드램프 베젤의 라이트 가이드 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헤드램프를 감싸고 있는 베젤의 소정 부위를 통해서 빛을 배광시키기 위한 자동차 헤드램프 베젤의 라이트 가이드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자동차의 헤드램프는, 내부가 오목한 형상으로 이루어진 베젤(bezel, 1)과, 힌지부(3)를 통해 상기 베젤(1)과 힌지가능하게 결합되며 빛이 투과되게 하는 덮개(8)와, 상기 베젤(1)에 장착되어서 빛을 생성하여 발광시키는 광원부(4)와, 상기 광원부(3)에서 발광된 빛을 반사시키는 리플렉터(2)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고급차량에서는 상기와 같은 헤드램프의 구조에 추가하여 빛을 배광시키기 위해 베젤(1)의 전방 테두리부(6)에 설치되는 배광부(7)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배광부(7)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젤(1)의 전방 테두리부(6)에 설치되어서 빛이 배광되도록 하기 위한 광원 가이드부(7-1)와, 상기 광원 가이드부(7-1)로 유도되는 빛을 생성하고 발광시키는 광원부(7-2)와, 상기 광원부(7-2)에서 발광된 빛이 광원 가이드부(7-1)로 진입되게 하는 광원 입사부(7-3)로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베젤에 빛을 배광시키기 위해 설치되도록 하는 배광부에 있어서는, 그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많은 부품 수를 필요로 하여 원가가 상승되게 하고, 헤드램프의 다양한 디자인 설정에 제한적이며, 배광부가 설치되는 부위는 수밀성이 떨어져 습기가 발생하게 되어 주변 부품들이 부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별도의 광원 가이드 부품을 구비하지 않게 함으로써 원가가 절감되게 하고 광원부를 습기 발생 가능부에 장착되게 함으로써 습기 발생을 저지할 수 있게 하며 디자인 설정을 자유롭게 하면서, 헤드램프를 감싸고 있는 베젤의 소정 부위를 통해서 빛을 배광시킬 수 있는 자동차 헤드램프 베젤의 라이트 가이드 구조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헤드램프를 감싸고 있는 베젤을 통해서 빛을 배광시키기 위한 자동차 헤드램프 베젤의 라이트 가이드 구조는, 빛을 배광시키기 위해 상기 베젤의 증착부의 소정 부위에 미증착되어서 다수개로 구비된 마스킹부; 상기 마스킹부로 빛을 유도하는 광원 유도부; 및 상기 베젤의 마스킹부의 후방에 다수개 구비되어서 빛을 생성하여 상기 빛 유도 부를 통해 발광시키는 광원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광원 유도부는, 유도되는 빛이 배광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증착된 광원 유도로와, 상기 광원부에서 발광된 빛이 관통하도록 하기 위해 미증착된 광원 입사부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광원부는 상기 광원 입사부의 부근에서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게 배치되게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베젤의 일측 상부에 사이드 마커부를 구비하되, 상기 사이드 마커부는 미증착부로 구비되게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베젤과 상기 광원 유도부는 일체형으로 구비되게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헤드램프 베젤의 라이트 가이드 구조를 이용하면, 별도의 광원 가이드 부품을 제거함으로써 원가가 절감되게 하고 광원부를 습기 발생 가능부에 장착되게 함으로써 습기 발생을 저지할 수 있게 하며 헤드램프의 디자인 설정을 자유롭게 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헤드램프 베젤의 라이트 가이드 구조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헤드램프 베젤의 라이트 가이드 구조를 보인 정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헤드램프 베젤의 라이트 가이드 구조의 상세 단면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헤드램프를 감싸고 있는 베젤(1)을 통해서 빛을 배광시키기 위한 자동차 헤드램프의 베젤(1)의 라이트 가이드 구조는, 증착부(5), 마스킹부(10), 광원 유도부(20) 및 광원부(30)로 구성되며, 사이드 마커부(40)를 추가로 구비한다.
상기 증착부(5)는 일반적인 알루미늄 재질로 이루어진 베젤(1)에 의해서 난반사로 빛의 배광을 만족시키면서 배광의 균일도를 향상시킬 목적으로 증착되는 부분이다.
상기와 같은 알루미늄 증착으로 이루어진 베젤(1)은 증착면의 반사율이 92% 정도로 평가 예측되고 있다.
또한, 상기 증착부(5)에 의한 난반사를 이용하는 것과 함께 베젤(1)의 후면 옵틱 형상을 반영하여 난반사를 이용함으로써 배광 만족 및 균일도를 더욱 향상시키고 있다.
상기 마스킹부(10)는 베젤(1)을 통해서 빛을 외부로 배광시키기 위해 베젤(1)의 증착부(5)의 소정 부위에 미증착된 부분을 말한다.
여기서, 상기 베젤(1)을 증착시킬 때에 마스킹부(10)가 증착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마스킹부(10)에 테이프를 부착하여 증착에 영향을 받지 못하게 하는 것과 같은 방법을 이용하여 증착한다.
상기와 같은 마스킹부(10)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젤(1)의 테두리 일부와 헤드램프가 장착되는 리플렉터(2)의 주변에 구비되는 것으로 되어 있지만, 그 부위들에 한정되지 않고 배광을 필요로 하는 베젤(1)의 어느 부위라도 형성되는 것이 가능한 것으로 이해되어져야 할 것이다.
상기 광원 유도부(20)는 다음에 기술될 광원부(30)에 발광된 빛을 마스킹부(10)로 유도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광원 유도부(2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도되는 빛이 베젤(1)을 통해서 외부로 배광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증착된 광원 유도로(23)와, 상기 광원부(30)에서 발광된 빛이 관통하도록 하기 위해 미증착되는 광원 입사부(25)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광원 입사부(25)의 미증착은 빛이 관통될 수 있는 소정의 부위에 형성되도록 하며, 그외 나머지 광원 유도로(23)는 그가 마스킹부(10)에 도달되는 부분까지 전체가 증착되게 한다.
한편, 상기 광원 유도부(20)는 종래의 광원 가이드부가 갖고 있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베젤(1)에 일체로 형성되게 하되, 필요에 따라 증착부와 미증착부가 형성되게 한다.
상기 광원부(30)는 베젤(1)의 마스킹부(10)의 후방에 다수개 구비되어서 빛을 생성하여 광원 유도부(20)를 통해 빛을 발광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광원부(30)는 발광체가 통상의 헤드램프에서 이용되고 있는 동일한 전구를 이용하는 것으로 전류의 공급에 의해 발광되게 한다.
따라서, 상기 광원부(30)의 전구가 발광되면 빛이 미증착된 광원 입사부(25)를 관통하여 증착된 광원 유도로(23)를 지나 마스킹부(10)를 통해 외부로 배광된 다.
여기서, 상기 광원부(30)는 발광되는 빛의 소모 없이 광원 입사부(25)를 관통할 수 있도록 하는 부근에서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베젤(1)을 통해 배광되는 조도와 균일도에 만족하는 부위의 이격 거리이면 배치가 가능하다 할 것이다.
또한, 상기 광원부(30)는 수분이 베젤(1)로 잘 스며들 수 있는 부위에 배치되게 함으로써, 습기 발생을 저지시킬 수 있게 한다.
한편, 상기 베젤(1)의 일측 상부에는 측방으로 헤드램프에서 발광되는 빛을 전달하기 위한 사이드 마커부(40)가 구비되게 하되, 사이드 마커부(40) 또한 미증착부로 형성되게 한다.
그리고, 상기 사이드 마커부(40)는 헤드램프와는 별도로 설치되어서 마스킹부(10)를 통해 빛을 배광시키기 위한 광원부(30)의 광원을 이용한다.
따라서, 상기 사이드 마커부(40)를 발광시키기 위한 별도의 광원이 불필요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자동차 헤드램프의 베젤(1)의 라이트 가이드 구조의 작동 상태를 간략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사용자는 차량의 전원을 켜고 헤드램프를 작동시키기 위해 관련 스위치를 온 상태로 되게 한다.
상기 헤드램프의 스위치가 온 상태로 되면, 광원부(30)로 전류가 공급되고 전구가 발광된다.
상기와 같이 발광된 전구의 빛은 미증착된 부분인 광원 입사부(25)를 관통한다.
상기 광원 입사부(25)를 통해 관통된 빛은 증착된 부분인 광원 유도로(23)를 도 3의 화살표 방향으로 유도된다,
상기 광원 유도로(23)를 통해 이동되는 빛이 미증착된 마스킹부(10)에 도달하여 외부로 배광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된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기재된 청구범위 내에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자동차 헤드램프 베젤의 라이트 가이드 구조를 보인 단면도.
도 2는 종래의 자동차 헤드램프 베젤의 라이트 가이드 구조의 광원 입사부 및 라이트 가이드부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헤드램프 베젤의 라이트 가이드 구조를 보인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헤드램프 베젤의 라이트 가이드 구조의 상세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략한 설명*
1: 베젤 2: 리플렉터
5: 증착부 10: 마스킹부
20: 광원 유도부 23: 광원 유도로
25: 광원 입사부 30: 광원부
40: 사이드 마커부

Claims (5)

  1. 헤드램프를 감싸고 있는 베젤(1)을 통해서 빛을 배광시키기 위한 자동차 헤드램프 베젤의 라이트 가이드 구조에 있어서,
    빛을 배광시키기 위해 상기 베젤(1)의 증착부(5)의 소정 부위에 미증착되어서 다수개로 구비된 마스킹부(10);
    상기 마스킹부(10)로 빛을 유도하는 광원 유도부(20); 및
    상기 베젤(1)의 마스킹부(10)의 후방에 다수개 구비되어서 빛을 생성하여 상기 광원 유도부(20)를 통해 빛을 발광시키는 광원부(3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헤드램프 베젤의 라이트 가이드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 유도부(20)는,
    유도되는 빛이 배광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증착된 광원 유도로(23)와,
    상기 광원부(30)에서 발광된 빛이 관통하도록 하기 위해 미증착된 광원 입사부(25)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헤드램프 베젤의 라이트 가이드 구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부(30)는 상기 광원 입사부(25)의 부근에서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헤드램프 베젤의 라이트 가이드 구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젤(1)의 일측 상부에 사이드 마커부(40)를 구비하되, 상기 사이드 마커부(40)는 미증착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헤드램프 베젤의 라이트 가이드 구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젤(1)과 상기 광원 유도부(20)는 일체형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헤드램프 베젤의 라이트 가이드 구조.
KR1020070129822A 2007-12-13 2007-12-13 자동차 헤드램프 베젤의 라이트 가이드 구조 KR2009006251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9822A KR20090062515A (ko) 2007-12-13 2007-12-13 자동차 헤드램프 베젤의 라이트 가이드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9822A KR20090062515A (ko) 2007-12-13 2007-12-13 자동차 헤드램프 베젤의 라이트 가이드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62515A true KR20090062515A (ko) 2009-06-17

Family

ID=409917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29822A KR20090062515A (ko) 2007-12-13 2007-12-13 자동차 헤드램프 베젤의 라이트 가이드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6251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3947U (ko) * 2015-05-08 2016-11-16 에스엘 주식회사 차량용 램프 어셈블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3947U (ko) * 2015-05-08 2016-11-16 에스엘 주식회사 차량용 램프 어셈블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388117B2 (ja) 配光制御されたハンドル組立体、ランプ組立体
WO2014080771A1 (ja) 照明装置
KR20170079067A (ko) 스위치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JP6171298B2 (ja) 照明器具
KR20150144594A (ko) 버튼의 조명장치
KR101811433B1 (ko) 자동차의 조명장치
KR101620149B1 (ko) 차량용 시계의 조명장치
JP3173183U (ja) 照明付廻り縁
JP5977061B2 (ja) 車両用灯具
JP6467750B2 (ja) 照明器具
KR20090062515A (ko) 자동차 헤드램프 베젤의 라이트 가이드 구조
US10352520B2 (en) Vehicle lighting fixture
KR101371762B1 (ko) 전자식 파킹 브레이크용 스위치의 조명장치
JP2011103199A (ja) 照明器具
JP5322292B2 (ja) Ledユニットおよび照明器具
JP2008162296A (ja) 車両用灯具
JP2009073290A (ja) 車両用室内照明装置及び車両用室内照明構造
JP2010040485A (ja) 車輌用灯具
KR20150140451A (ko) 차량용 램프의 광원모듈
KR101871487B1 (ko) 자동차의 미등 장치
KR101171791B1 (ko) 센터 콘솔 암레스트
JP2015089737A (ja) Ledライセンスランプ
KR200482997Y1 (ko) 자동차의 조명 장치
JP2019220265A (ja) 照明器具
KR101488450B1 (ko) 광 손실 저감형 조명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