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61820A - 차량의 냉매 파이프용 진동 감쇠 구조 - Google Patents

차량의 냉매 파이프용 진동 감쇠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61820A
KR20090061820A KR1020070128784A KR20070128784A KR20090061820A KR 20090061820 A KR20090061820 A KR 20090061820A KR 1020070128784 A KR1020070128784 A KR 1020070128784A KR 20070128784 A KR20070128784 A KR 20070128784A KR 20090061820 A KR20090061820 A KR 200900618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expansion
vibration
refrigerant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287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25878B1 (ko
Inventor
이정재
박상규
정재경
Original Assignee
한라공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라공조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라공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1287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25878B1/ko
Publication of KR200900618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618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258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258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04Devices damping pulsations or vibrations in fluids
    • F16L55/041Devices damping pulsations or vibrations in fluids specially adapted for preventing vibr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507Details, e.g. mounting arrangements, desaeration devices
    • B60H1/00557Details of ducts or cables
    • B60H1/00571Details of ducts or cables of liquid ducts, e.g. for coolant liquids or refrigera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 전후진 방향과 동일한 전후 방향 진동과, 차체의 상하 방향과 동일한 상하 방향 진동 및 차체의 폭방향과 동일한 좌우 방향 진동이 가해지는 경우 이를 감쇠시키기 위해 냉매 파이프를 별도의 진동 감쇠 기능을 갖는 파이프 고정장치로서 차체에 고정하지 않고, 냉매 파이프로 전달되는 모든 방향에 대한 진동을 냉매 파이프 자체에서 흡수할 수 있도록 간단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차량의 냉매 파이프용 진동 감쇠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일정한 길이의 제1 파이프와; 일정한 각도로 절곡된 절곡부를 가지며, 일단부가 제1 파이프의 일단부에 파이프의 원주 방향으로 상호 상대 회전 가능함과 아울러 유체가 유출되지 않도록 하는 연결수단으로 연결되는 제2 파이프와; 일정한 각도로 절곡된 절곡부를 가지며, 일단부가 상기 제2 파이프의 타단부에 파이프의 원주 방향으로 상호 상대 회전 가능함과 아울러 유체가 유출되지 않도록 하는 연결수단으로 연결되는 제3 파이프와; 일정한 길이를 가지며, 일단부가 상기 제3 파이프의 타단부에 파이프의 원주 방향으로 상호 상대 회전 가능함과 아울러 유체가 유출되지 않도록 하는 연결수단으로 연결되는 제4 파이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제1, 제2, 제3, 제4 파이프간을 상호 순서적으로 연결하는 연결수단중 어느 하나에 의해 연결된 파이프의 길이 방향으로 진동이 가해진 경우, 나머지 연결수단에 의해 연결되는 각기 다른 파이프가 원주 방향으로 상호 상대 회전되면서 가해진 진동이 흡수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진동, 감쇠, 구조, 냉매, 파이프

Description

차량의 냉매 파이프용 진동 감쇠 구조{Vibration attenuation structure of Refrigerant Pipe for vehicles}
본 발명은 차량의 냉매 파이프용 진동 감쇠 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 전후진 방향과 동일한 전후 방향 진동과, 차체의 상하 방향과 동일한 상하 방향 진동 및 차체의 폭방향과 동일한 좌우 방향 진동이 가해지는 경우 이를 감쇠시키기 위해 냉매 파이프를 별도의 진동 감쇠 기능을 갖는 파이프 고정장치로서 차체에 고정하지 않고, 냉매 파이프로 전달되는 모든 방향에 대한 진동을 냉매 파이프 자체에서 흡수할 수 있도록 간단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차량의 냉매 파이프용 진동 감쇠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 주행시 차량에서 발생하는 진동으로는 크게 차량 전후진 방향과 동일한 전후 방향 진동과, 차체의 상하 방향과 동일한 상하 방향 진동 및 차체의 폭방향과 동일한 좌우 방향 진동이 있을 수 있다.
이와 같이, 차량 주행시 발생되는 세가지의 진동 요인은 차량 구성 부품중 에어컨 시스템 계통에 큰 악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에어컨 시스템 계통에서는 냉매의 이송을 담당하는 냉매 파이프에 진동이 전달되어, 냉매 파이프는 물론 증발기 또는 응축기에 악영향을 준다는 것이다.
에어컨 시스템(air conditioning system) 계통은, 엔진의 구동력에 의해 작동되는 압축기에 의해 냉매는 응축기와 팽창밸브 및 증발기를 통해 다시 압축기로 순환하는 동안 방열 및 흡열 열교환 작용을 반복한다. 이러한 순환 경로를 따르는 냉매는 에어컨 시스템의 각 부품들을 연결하는 냉매 파이프의 내부로 흐르도록 구성되어 있다.
좀더 상세하게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어컨 시스템(air conditioning system) 계통(1)은, 냉매가 지속적으로 흐를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이를 고온 고압의 기체 상태로 압축하는 압축기(2)와, 이 압축기(2)에서 압축된 고온의 냉매를 응축시켜 액체 상태로 상변화시키는 응축기(3)와, 이 응축기(3)에 의해 액체 상태로 상변화된 냉매를 팽창시켜 저온 저압의 습포화 상태로 변화시키는 팽창밸브(4)와, 자동차 실내의 공기 열을 흡수하여 저온 저압의 습포하 상태의 냉매를 증발시켜 자동차 실내를 저온 상태로 유지시키는 증발기(5)로 구성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압축기(2), 응축기(3), 팽창 밸브(4) 및 증발기(5)등의 구성요소들의 사이에는 냉매가 순환되는 통로를 형성하기 위한 냉매 파이프(7)가 연결되며, 이 냉매 파이프(7)내의 냉매가 압축기(2), 응축기(3), 팽창밸브(4) 및 증발기(5)를 지나면서 자동차 실내의 공기와 열교환을 이루어 자동차 실내가 냉방되는 것이다.
전술한 에어컨 시스템(air conditioning system) 계통(1)의 구성에서, 압축기(2)는 엔진의 구동력에 의해 구동되므로, 압축기(2) 자체의 작동에 따른 진동뿐만 아니라 엔진에서 발생되는 진동이 압축기와 엔진을 연결하는 프레임(frame)을 통해 압축기(2)로 그대로 전달된다. 또한, 냉매가 유동하는 응축기(3)와 증발기(5)등의 각 단품들은 각각의 진동 특성을 가지고 있어, 엔진과 압축기(2)의 진동은 냉매 파이프(7)를 따라 전달되어 응축기(3)나 증발기(5)까지 전달되며, 이로 인해 응축기(3)나 증발기(5)가 흔들리면서 부밍노이즈(booming noise)를 발생시키기도 하였다.
이에,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종래에는 냉매 파이프의 진동을 감쇠할 수 있는 기능을 갖도록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응축기(3)측의 냉매 유입파이프(7;7a)와 압축기(2)측의 냉매 토출파이프(7;7b)를 서로 유연한 재질의 호스(8)로 연결하게 되며, 증발기(5)측의 냉매 배출파이프(7;7d)와 압축기(2)측의 냉매 흡입파이프(7;7c)를 서로 유연한 재질의 호스(9)로 연결하여, 상기 호스(8)(9)를 통해 진동을 저감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 기술의 진동 저감구조에서는, 압축기(2)와 응축기(3)의 단품을 서로 냉매가 유동하도록 연결하거나, 압축기(2)와 증발기(5)의 단품을 서로 냉매가 유동하도록 냉매 파이프를 서로 호스로써 연결하기 위해, 호스(8,9)의 양단의 내부로 삽입되도록 냉매 파이프의 외면을 스웨이징(swaging) 가공 작업한 후, 별도의 체결 클립을 통해 체결하게 됨에 따라, 냉매 파이프의 스웨이징 작업이 복잡하며, 그에 따른 비용 및 작업 공수가 증가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차량 전후진 방향과 동일한 전후 방향 진동과, 차체의 상하 방향과 동일한 상하 방향 진동 및 차체의 폭방향과 동일한 좌우 방향 진동이 가해지는 경우 이를 감쇠시키기 위해 냉매 파이프를 별도의 진동 감쇠 기능을 갖는 파이프 고정장치로서 차체에 고정하지 않고, 냉매 파이프로 전달되는 모든 방향에 대한 진동을 냉매 파이프 자체에서 흡수할 수 있도록 간단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차량의 냉매 파이프용 진동 감쇠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차량의 냉매 파이프용 진동 감쇠 구조는, 일정한 길이의 제1 파이프와; 일정한 각도로 절곡된 절곡부를 가지며, 일단부가 제1 파이프의 일단부에 파이프의 원주 방향으로 상호 상대 회전 가능함과 아울러 유체가 유출되지 않도록 하는 연결수단으로 연결되는 제2 파이프와; 일정한 각도로 절곡된 절곡부를 가지며, 일단부가 상기 제2 파이프의 타단부에 파이프의 원주 방향으로 상호 상대 회전 가능함과 아울러 유체가 유출되지 않도록 하는 연결수단으로 연결되는 제3 파이프와; 일정한 길이를 가지며, 일단부가 상기 제3 파이프의 타단부에 파이프의 원주 방향으로 상호 상대 회전 가능함과 아울러 유체가 유출되지 않도록 하는 연결수단으로 연결되는 제4 파이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제1, 제2, 제3, 제4 파이프간을 상호 순서적으로 연결하는 연결수단중 어느 하나에 의해 연결된 파이프의 길이 방향으로 진동이 가해진 경우, 나머지 연결수단에 의해 연결되는 각기 다른 파이프가 원주 방향으로 상호 상대 회전되면서 가해진 진동이 흡수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차량의 냉매 파이프용 진동 감쇠 구조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지게 된다.
첫째, 차량 전후진 방향과 동일한 전후 방향 진동과, 차체의 상하 방향과 동일한 상하 방향 진동 및 차체의 폭방향과 동일한 좌우 방향 진동이 가해지는 경우 이를 감쇠시키기 위해 냉매 파이프를 별도의 진동 감쇠 기능을 갖는 파이프 고정장치로서 차체에 고정하지 않고, 간단한 구성으로 냉매 파이프로 전달되는 모든 방향에 대한 진동을 냉매 파이프 자체에서 흡수할 수 있게 된다.
둘째, 진동이 가해진 파이프에 연결되는 맞은편 다른 파이프로의 진동 전달을 차단하여, 맞은편 다른 파이프의 손상을 방지함과 아울러 이 맞은편 다른 파이프에 연결된 대상물의 흔들림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차량의 냉매 파이프용 진동 감쇠 구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차량의 냉매 파이프용 진동 감쇠 구조를 구성하는 연결수단의 단면도이고,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차량의 냉매 파이프용 진동 감쇠 구조의 외관을 도시함과 아울러 진동 방향에 따른 작동 방향을 도시한 외관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진동 감쇠 구조는 제1 파이프(100)와, 제2 파이프(200)와, 제3 파이프(300)와 제4 파이프(4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데, 이들 파이프(100)(200)(300)(400)는 양단이 관통되어 내부에 냉매 등의 유체가 통과하는 유로가 형성된다.
제1 파이프(100)는 일정한 길이를 가진 직선 구조로, 도면상에는 후술하는 일단부(110)측 부분만 도시하였다.
제2 파이프(200)는 대략 중간 부분에 일정한 각도로 절곡된 절곡부(210)를 가진 직선 구조로 이루어지는데, 이 제2 파이프(200)의 일단부(220)가 제1 파이프(100)의 일단부(110)에 파이프의 원주 방향으로 상호 상대 회전 가능함과 아울러 유체가 유출되지 않도록 하는 연결수단(500)으로 연결된다.
제3 파이프(300)는 대략 중간 부분에 일정한 각도로 절곡된 절곡부(310)를 가진 직선 구조로 이루어지는데, 이 제3 파이프(300)의 일단부(320)가 제2 파이프(200)의 타단부(230)에 파이프의 원주 방향으로 상호 상대 회전 가능함과 아울러 유체가 유출되지 않도록 하는 연결수단(500)으로 연결된다.
제4 파이프(400)는 일정한 길이를 가진 직선 구조로 이루어지는 도면상에는 후술하는 일단부(410)측 부분만 도시한 것으로, 일단부(410)가 제3 파이프(300)의 타단부(330)에 파이프의 원주 방향으로 상호 상대 회전 가능함과 아울러 유체가 유출되지 않도록 하는 연결수단(500)으로 연결된다.
한편, 제1 파이프(100)는 압축기, 증발기, 응축기중 어느 하나와 연결되고, 제4 파이프(400)는 압축기, 증발기, 응축기중 제1 파이프가 연결되지 않은 어느 하나와 연결된다. 즉, 제1 파이프(100)는 압축기, 증발기, 응축기의 대상물중 어느 하나와 연결되고, 제4 파이프(400)는 상기 제1 파이프(100)가 연결된 상기 대상물을 제외한 나머지에 연결되는 것이다.
부언하면, 제1 파이프(100)가 압축기의 냉매 토출측에 연결 설치되는 경우에는 제4 파이프(400)는 응축기의 냉매 유입측에 연결 설치는 것이다.
그리고, 제1 파이프(100)가 압축기의 냉매 유입측에 연결 설치되는 경우에는 제4 파이프(400)는 증발기의 냉매 배출측에 연결 설치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연결수단(500)에 의해 연결된 제1 파이프(100)와 제2 파이프(200)와 제3 파이프(300) 및 제4 파이프(400)중 제2 파이프(200)의 타단부(230)와 제3 파이프(300)의 일단부(320)를 상호 연결하는 연결수단(500)에 의해 제1 파이프(100)와 제4 파이프(400)는 차량 내부의 설치 조건에 따라 도면상의 실선으로 도시한 상태 또는 가상부 "A"부와 같이, 제2 파이프(200)의 타단부(230)와 제3 파이프(300)의 일단부(320)의 직선 방향을 중심으로 하여 차량 내부의 설치 조건에 따라 일정 각도 어긋나게 배치할 수 있다.
그리고, 가상부 "B"부와 같이, 상기 제1 파이프(100)와 제4 파이프(400)는 공간상에서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게 할 수 있다. 그리고, 이 제1 파이프(100)와 제4 파이프(400)는 동일 평면상에 있도록 배치되는 구조, 즉 공간상에서 상호 평행하게 배치되되, 상호 나란하게 배치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파이프(200)와 제3 파이프(300) 각각의 절곡부(210)(310)의 절곡 각도를 차량 내부의 설치 조건에 따라 제1 파이프(100)와 제4 파이프(400)가 상호 평행하도록 직각(90°)이 되도록 하거나, 평행하지 않게 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제2 파이프(200)의 절곡부(210)의 절곡된 각도가 직각이 되도록 하거나 상기 제3 파이프(300)의 절곡부(310)의 절곡된 각도가 직각이 되도록 형성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본 발명의 연결수단(500)은 동일한 구성으로 세지점에 배치되는데, 제1 파이프(100)와 제2 파이프(200)를 상호 연결하고, 제2 파이프(200)와 제3 파이프(300)를 상호 연결하며, 제3 파이프(300)와 제4 파이프(400)를 상호 연결하는 것으로, 제1, 제2, 제3, 제4 파이프(100)(200)(300)(400)간을 상호 순서적으로 연결하는 연결수단(500)중 어느 하나에 의해 연결된 파이프의 길이 방향으로 진동이 가해진 경우, 나머지 연결수단(500)에 의해 연결되는 각기 다른 파이프가 원주 방향으로 상호 상대 회전되면서 가해진 진동이 흡수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역할을 하는 본 발명의 연결수단(500)의 설치 관계에 대한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제1, 제2, 제3, 제4 파이프(100)(200)(300)(400)중 제1 파이프(100)와 제4 파이프(400)를 제외한 나머지 파이프(200)(300)들의 각 연결부중 어느 한 연결부의 단부에서 절곡 연장되어 확관되는 제1 확관부(510)와, 나머지 파이프의 연결부의 단부에서 연장되어 상기 제1 확관부(510)의 절곡부(511) 내면에 지지되는 지지부(520)와, 상기 제1 확관부(510)의 내면과 상기 지지부(520)의 내면 사이에 개재되는 유체 누설 방지링(530)과, 상기 지지부(520)가 형성된 파이프의 외면에서 일체로 상기 제1 확관부(510)의 단부와 중첩되도록 연장되어 이 제1 확관부(510)를 감싸도록 형성되는 제2 확관부(530)와, 상기 제1 확관부(510)의 단부측(512) 외면과 상기 제2 확관부(530)의 단부측(531) 내면 사이에 압착 지지됨과 아울러 상기 제1 확관부(510)를 둘러싸는 링형상의 탄성체(640)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부(520)의 단부(521)의 단부가 제1 확관부(510)의 절곡부(511)의 내면에 물리적으로 지지되어 있고, 상기 제1 확관부(510)의 단부측(512) 외면과 상기 제2 확관부(530)의 단부측(531) 내면 사이에 압착 지지됨과 아울러 상기 제1 확관부(510)를 둘러싸는 링형상의 탄성체(640)를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파이프의 유로 방향인 "C"방향으로 연결수단(500)에 의해 연결된 각 파이프의 단부가 상호간 이격 또는 근접되지 않게 된다.
반면에, 연결수단(500)에 의해 연결된 각 파이프의 단부가 화살표 "D"방향으로 원주 방향으로 상호 상대 회전되면서 가해진 진동이 흡수된다.
상기 연결수단(500)의 구성중 탄성체(640)는 진동을 흡수할 수 있는 고무재질로 구성하여, 제1 확관부(510)와 제2 확관부(530)간의 상대 회전시 압착되면서 비틀려질 수 있도록 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연결수단(500)의 적용을 제1 파이프(100)와 제2 파이프(200)를 상호 연결하는 경우, 제2 파이프(200)와 제3 파이프(300)를 상호 연결하는 경우, 제3 파이프(300)와 제4 파이프(400)를 상호 연결하는 경우로 구분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즉, 제1 파이프(100)의 일단부(110)에는 지지부(520)와 제2 확관부(530)가 형성되어 있고, 제2 파이프(200)의 일단부(220)에는 제1 확관부(510)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2 파이프(200)의 타단부(230)에는 지지부(520)와 제2 확관부(530)가 형성되어 있고, 제3 파이프(300)의 일단부(320)에는 제1 확관부(510)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4 파이프(400)의 일단부(410)에는 지지부(520)와 제2 확관부(530)가 형성되어 있고, 제3 파이프(300)의 타단부(330)에는 제1 확관부(510)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을 차량 전후진 방향과 동일한 전후 방향 진동과, 차체의 상하 방향과 동일한 상하 방향 진동 및 차체의 폭방향과 동일한 좌우 방향 진동이 가해지는 경우를 구분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첫째, 차량 전후진 방향과 동일한 전후 방향 진동이 가해지는 경우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파이프(100)에 그 길이 방향으로 진동이 가해진 경우(진동 방향E)라고 가정하면, 제2 파이프(200)와 제3 파이프(300)를 연결하는 연결수단(500)의 제1 확관부(510)에 대해 제2 확관부(530)가 탄성체(540)를 매개로 파이프의 원주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비틀림 회전되어 1차로 진동이 흡수된다.
이후, 제3 파이프(300)와 제4 파이프(400)를 연결하는 연결수단(500)의 제2 확관부(530)에 대해 제1 확관부(510)가 탄성체(540)를 매개로 파이프의 원주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비틀림 회전되어 2차로 진동이 흡수된다.
이로써, 제1 파이프(100)에 가해진 진동력은 전술한 바와 같이 1,2차에 걸쳐 흡수되어 제4 파이프(400)로 전달되지 않게 되며, 더 나아가 제4 파이프(400)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제4 파이프(400)가 응축기 또는 증발기에 연결되어 있다면, 응축기 또는 증발기의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다.
둘째, 차체의 폭방향과 동일한 좌우 방향 진동이 가해지는 경우를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4 파이프(400)에 그 길이 방향으로 진동이 가해진 경우(진동방향F)라고 가정하면, 제2 파이프(200)와 제3 파이프(300)를 연결하는 연결수단(500)의 제1 확관부(510)에 대해 제2 확관부(530)가 탄성체(540)를 매개로 파이프의 원주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비틀림 회전되어 1차로 진동이 흡수된다.
이후, 제2 파이프(200)와 제1 파이프(100)를 연결하는 연결수단(500)의 제1 확관부(510)에 대해 제2 확관부(530)가 탄성체(540)를 매개로 파이프의 원주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비틀림 회전되어 2차로 진동이 흡수된다.
이로써, 제4 파이프(400)에 가해진 진동력은 전술한 바와 같이 1,2차에 걸쳐 흡수되어 제1 파이프(100)로 전달되지 않게 되며, 더 나아가 제1 파이프(100)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파이프(100)가 응축기 또는 증발기에 연결되어 있다면, 응축기 또는 증발기의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차체의 상하 방향과 동일한 상하 방향 진동이 가해지는 경우는, 별도로 도면상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제4 파이프(400)에 그 길이 방향으로 진동이 가해진 경우(상하 방향 방향으로 진동이 가해지는 경우)라고 가정하면, 제2 파이프(200)와 제1 파이프(100)를 연결하는 연결수단(500)의 제1 확관부(510)에 대해 제2 확관부(530)가 탄성체(540)를 매개로 파이프의 원주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비틀림 회전되어 진동이 흡수됨과 아울러 제3 파이프(300)와 제4 파이프(400)를 연결하는 연결수단(500)의 제2 확관부(530)에 대해 제1 확관부(510)가 탄성체(540)를 매개로 파이프의 원주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비틀림 회전되어 진동이 흡수됨으로써, 제1 파이프(100)와 제4 파이프(400)로 진동이 전달되지 않게 되며, 더 나아가 제1 파이프(100) 및 제4 파이프(400)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제1 파이프(100)와 제4 파이프(400)에 연결된 대상물의 상하 진동 및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차량용 냉매 파이프 이외에, 라데에이터와 히터코어를 연결하는 냉각수 파이프에 적용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차량의 냉매 파이프용 진동 감쇠 구조를 구성하는 연결수단의 단면도.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차량의 냉매 파이프용 진동 감쇠 구조의 외관을 도시함과 아울러 진동 방향에 따른 작동 방향을 도시한 외관 사시도.
도 4는 일반적인 에어컨 시스템 계통을 도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제1 파이프
200 : 제2 파이프
210 : 절곡부
300 : 제3 파이프
310 : 절곡부
400 : 제5 파이프
500 : 연결수단

Claims (5)

  1. 일정한 길이의 제1 파이프와;
    일정한 각도로 절곡된 절곡부를 가지며, 일단부가 제1 파이프의 일단부에 파이프의 원주 방향으로 상호 상대 회전 가능함과 아울러 유체가 유출되지 않도록 하는 연결수단으로 연결되는 제2 파이프와;
    일정한 각도로 절곡된 절곡부를 가지며, 일단부가 상기 제2 파이프의 타단부에 파이프의 원주 방향으로 상호 상대 회전 가능함과 아울러 유체가 유출되지 않도록 하는 연결수단으로 연결되는 제3 파이프와;
    일정한 길이를 가지며, 일단부가 상기 제3 파이프의 타단부에 파이프의 원주 방향으로 상호 상대 회전 가능함과 아울러 유체가 유출되지 않도록 하는 연결수단으로 연결되는 제4 파이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제1, 제2, 제3, 제4 파이프간을 상호 순서적으로 연결하는 연결수단중 어느 하나에 의해 연결된 파이프의 길이 방향으로 진동이 가해진 경우, 나머지 연결수단에 의해 연결되는 각기 다른 파이프가 원주 방향으로 상호 상대 회전되면서 가해진 진동이 흡수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냉매 파이프용 진동 감쇠 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수단은,
    상기 제1, 제2, 제3, 제4 파이프중 상기 제1 파이프와 제4 파이프를 제외한 나머지 파이프들의 각 연결부중 어느 한 연결부의 단부에서 절곡 연장되어 확관되는 제1 확관부와;
    나머지 파이프의 연결부의 단부에서 연장되어 상기 제1 확관부의 절곡부내면에 지지되는 지지부와;
    상기 제1 확관부의 내면과 상기 지지부의 내면 사이에 개재되는 유체 누설 방지링과;
    상기 지지부가 형성된 파이프의 외면에서 일체로 상기 제1 확관부의 단부와 중첩되도록 연장되어, 이 제1 확관부를 감싸도록 형성되는 제2 확관부와;
    상기 제1 확관부의 단부측 외면과 상기 제2 확관부의 단부측 내면 사이에 압착 지지됨과 아울러 상기 제1 확관부를 둘러싸는 링형상의 탄성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냉매 파이프용 진동 감쇠 구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파이프와 제4 파이프는 공간상에서 서로 평행하게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냉매 파이프용 진동 감쇠 구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파이프 또는 상기 제3 파이프의 절곡부는 직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냉매 파이프용 진동 감쇠 구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파이프는 압축기, 증발기, 응축기중 어느 하나와 연결되고,
    상기 제4 파이프는 상기 압축기, 증발기, 응축기중 제1 파이프가 연결되지 않은 어느 하나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냉매 파이프용 진동 감쇠 구조.
KR1020070128784A 2007-12-12 2007-12-12 차량의 냉매 파이프용 진동 감쇠 구조 KR1014258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8784A KR101425878B1 (ko) 2007-12-12 2007-12-12 차량의 냉매 파이프용 진동 감쇠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8784A KR101425878B1 (ko) 2007-12-12 2007-12-12 차량의 냉매 파이프용 진동 감쇠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61820A true KR20090061820A (ko) 2009-06-17
KR101425878B1 KR101425878B1 (ko) 2014-08-05

Family

ID=409911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28784A KR101425878B1 (ko) 2007-12-12 2007-12-12 차량의 냉매 파이프용 진동 감쇠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2587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00054A (ko) * 2014-02-24 2015-09-02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라디에이터 호스 연결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프론트 엔드 모듈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74144A (ko) * 1997-03-21 1998-11-05 김영귀 차량의 냉매파이프 연결장치
KR20000017203U (ko) * 1999-02-19 2000-09-25 구자홍 압축기용 루우프 파이프의 진동저감 구조
JP2002373687A (ja) * 2001-06-15 2002-12-26 Toyota Motor Corp 燃料電池搭載機器の消音
KR100412859B1 (ko) * 2001-08-27 2003-12-3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에어컨 컴프레서용 머플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00054A (ko) * 2014-02-24 2015-09-02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라디에이터 호스 연결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프론트 엔드 모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25878B1 (ko) 2014-08-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70246280A1 (en) Cooling module
US20120251358A1 (en) Motor-driven compressor
EP1564508A2 (en) Absorption pipe structure of compressor
JP4529873B2 (ja) 空調ユニット
JP2008207630A (ja) 車両用空調装置の内部熱交換器
KR200397964Y1 (ko) 냉매배관의 진동감쇄구조
KR20090061820A (ko) 차량의 냉매 파이프용 진동 감쇠 구조
JP3961188B2 (ja) 自動車用空気調和装置
KR200436382Y1 (ko) 차량용 에어컨 배관의 방진장치
JP6406065B2 (ja) 振動抑制装置及びこれを備える冷凍サイクル装置
JP2009018602A (ja) 冷凍装置
JP2003276427A (ja) 空調装置の凝縮器まわりの配管付属品
KR100529169B1 (ko) 공기 조화장치용 덕트
KR101362202B1 (ko) 자동차용 파이프 고정 장치
JP3357207B2 (ja) 自動車用空気調和装置の防振構造
KR20100013925A (ko) 소음저감형 응축기
JP2014125045A (ja) 自動車の空気調和機の配管構造
JP2015075252A (ja) 冷凍サイクル装置
US20060218956A1 (en) Motor vehicle comprising an air conditioning system
KR102233359B1 (ko) 냉매 배관 시스템
JP2003232543A (ja) ガスヒートポンプ式空気調和機の防振構造
KR101692272B1 (ko) 차량용 공조장치
JP6002426B2 (ja) エバポレータ
WO2023218704A1 (ja) 冷凍サイクル装置
WO2021210279A1 (ja) 冷凍サイクル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