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60248A - 현미 미강을 분별 팽화한 조합 배아미와 그 동반 제품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현미 미강을 분별 팽화한 조합 배아미와 그 동반 제품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60248A
KR20090060248A KR1020090040038A KR20090040038A KR20090060248A KR 20090060248 A KR20090060248 A KR 20090060248A KR 1020090040038 A KR1020090040038 A KR 1020090040038A KR 20090040038 A KR20090040038 A KR 20090040038A KR 20090060248 A KR20090060248 A KR 200900602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ce
rice bran
expanded
weight
bra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400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진인세
Original Assignee
진인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진인세 filed Critical 진인세
Priority to KR10200900400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60248A/ko
Publication of KR200900602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60248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7/00Cereal-derived products; Malt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10Cereal-derived products
    • A23L7/152Cereal germ produ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7/00Cereal-derived products; Malt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10Cereal-derived products
    • A23L7/104Fermentation of farinaceous cereal or cereal material; Addition of enzymes or microorganism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7/00Cereal-derived products; Malt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10Cereal-derived products
    • A23L7/109Types of pasta, e.g. macaroni or noodl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7/00Cereal-derived products; Malt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10Cereal-derived products
    • A23L7/161Puffed cereals, e.g. popcorn or puffed ric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Bio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Cereal-Derived Product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통상 현미, 배아미, 미강을 정채로 가공 이용과 차별로 .현미의 조직구조와 영양 분포에 따라 배아미의 표준(배 보유 80%(중량))을 기반으로, 현미를 배아미로 현백하는 1단 현백시에 거부감과 떫은 맛의 원천인 대부분 과피를 별도 수집하고, 배아미를 백미로 현백하는 2단 현백시에 기능 영양의 주체인 나머지 과피와 종피, 호분층과 배를 일괄 수집하여, 곡물섬유와 전분의 고온 고압 돌감시 팽창의 원리를 이용하여 각별 팽화(poping)하여 조직구조를 개변시키고 소화 흡수율을 개선시켜 맞춤식 이용캐 했는바, 1단 분리 팽화 미강인 과피 대부분은 곡물 배유를 첨가하여 팽화시켜 추출용 숭늉차로 이용캐하고, 기능영양의 주체인 배 포함한 2단 분리 미강은 무첨가 팽화하여 맞춤식 곡물 배유를 배합하여 배합가루, 숙성 건면국수, 숙성 과립미, 나아가서 조합 배아미를 제조하여 현미 미강을 분별 팽화한, 거부감 없어 먹기 좋은 여러 형태 현미, 배아미 배합 먹거리를 제공함으로 백미를 주식으로 하는 사람들이 종래 식습관과 취반 수단으로 균형 영양식사 수준을 높이고 특수 건강수요에 맞춤식 먹거리 주식 선택에 가능한 조합 배아미와 동반 제품에 관한 것이다.
현미 미강 분별, 팽화, 숭늉차, 배합분말, 숙성 건면, 숙성 과립미, 조합 배아미.

Description

현미 미강을 분별 팽화한 조합 배아미와 그 동반 제품의 제조 방법{omitted}
본 발명은 백미를 주식으로 하는 사람들의 종래 식습관과 취반수단으로 현미와 배아미의 기능영양을 더욱 충분히, 먹기 좋게 섭취할 수 있는 미강을 분별 팽화한 조합 배아미와 그 동반 제품인 미강 숭늉차, 배합가루와 건면 국수, 숙성 과립미의 제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사람들은 오래전부터 현미 식사를 권장해왔는 바 현미의 기능영양 가치를 일찍 알았으며 특히 배아미를 우선으로 꼽았고, 현미를 정채로 팽화하거나 볶아 가루를 만들거나 템퍼링, 증자, 건조, 부분 팽화를 한 부분 팽화 현미, 미강과 쑥 엑기스와 혼합하여 제조한 과립 등 많은 연구를 하여 왔으나 거부감과 떫은 맛이 걸림이여서 대중의 기능 주식은 되지 못하고 당뇨병 등 특정 건강 수요에 맞는 기능 주식으로는 더욱 되지 못하고 있다.
종래의 기술 문헌 정보
[문헌 1] 대한민국 특허청(KR) 특허공개공보 (A)(11)
공개번호 10-2004-0004750 3쪽 2004. 1. 14.
[문헌 2] 대한민국 특허청(KR) 공개특허공보 (A)(11)
공개번호 10-2005-0079675 4쪽 2005. 8. 11.
[문헌 3] 쌀 생산 과학 채재천저 향문사 2006. 6. 20
ISBN 89-7187-209-8 327쪽 11줄-328쪽 19줄 333쪽 7줄-16줄 334쪽 23줄-36줄
위에서 말한 바와 같이 사람들은 현미의 기능 영양을 섭취하기 위하여 많은 연구를 했지만 현미, 배아미, 미강(개체)을 정체로 가공함에 국한됐고 현미 미강의 조직구조와 영양 분포에 따라 분별의 기반에서 조직구조를 개변시켜 소화 흡수율을 개선하며, 원천적으로 거부감과 떫은 맛을 제거하지는 못했고 다양한 형태로 된 먹기 좋고 기능영양이 강화되고 유래 식습관과 취반수단 그대로 된 대중 기능 주식과 특정 건강 수요에 맞는 주식이 아님이 차별이여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된다.
위에서 말한 과제를 해결하는 수단은 현미의 조직구조와 영양 분포에 따라, 배아미의 기준(배 보유 80%(중량))을 기반으로 현미를 배아미(5분도미)로, 배아미를 백미로 2단 현백하는 과정에 미강을 별도 수집하여 곡물의 섬유와 전분의 고온 고압 돌감시 팽창원리를 이용하여 각각 팽화하여 조직구조를 개변시키고 소화 흡수율을 개선한 후 맞춤식 주식으로 이용한다. 예를 들면 조섬유가 많아 거부감과 떫은 맛의 주체인 외층 과피는 옥수수쌀(개채)이나 쌀(개채)를 배합하여 팽화하여 볶아서 숭늉차로 제조하고, 기능영양의 주체인 2단 분리 미강은 무첨가 팽화하여 기 능 주식과 특정 건강 주식에 맞춰 쌀(개채), 메밀가루(개채), 옥수수쌀(개채), 밀가루(개채) 등 곡물배유와 배합하여 배합가루로, 나아가서 반죽하여 고온 고압 상태에서 호화 압출하여 숙성 건면국수로, 더 나아가서 숙성 과립미로 최종으로 조합 배아미로 다양한 주식 먹거리를 동반 제조한다.
위의 수단으로 제조된 제품을 유래 취반수단으로 취반한 바 거부감과 떫은 맛이 전혀 없을뿐 아니라 구수한 맛이 특이하고 특히 조합 배아미와 건면국수는 호화 숙성되여 분해 현상이 전혀 없을뿐 아니라 매끄럽고 탄력있어 식욕을 돋운다.
본 발명의 실시는 현미의 조직구조 유래와 형태, 영양분포 상황을 세밀히 분석한 후 맞춤식 수단을 실시한다.
현미는 표피로부터 속으로 과피, 종피, 호분층과 배, 배유로 구성되였다.
과피는 벼 암꽃의 자방 표피가 발달하여 형성된 현미의 표피로써 세포벽이 뚜꺼워 거부감과 떫은 맛의 원천이다. 종피는 자방내의 주피가 발달한 엷은 조직으로 그 안쪽에는 외 배유가 있는데 종피와 밀착되여 구별하기 어렵다. 배는 벼알 기부의 외영측에 있으며 배유 조직속에 내려가 있는 형태인데 현미에서 그만이 살아있는 세포며 현미 기능영양의 주체므로 사람들이 애써 먹으려는 부분이다. 호분층은 종피와 배유간에 있는데 현미 측부에는 1층, 복부에는 1-2층, 배부에는 여러층으로 되여 있으며 호분세포는 호분립과 지방립이 축정되여 있으며, 배유는 전분저장 유조직으로 속으로 들어갈수록 세포가 크고 전분립으로 충만하며 소량의 단백과 립과 지방과립이 존재한다.
현미의 과피에서 호분층까지와 배를 제거한 것이 백미(쌀)이며 제거된 부분은 미강이다.
과학적 균형 영양의 필수인 비타민, 광물질 등 미량원소, 아미뇨산과 식이섬유의 75-80%(중량)는 미강에 포함되여 있고 주식으로 되는 백미(배유)에는 20%(중량) 미만만 차지하며 쌀을 깊이 도정할수록 전분의 비례는 높고 기능물질은 적다.
더 들어가서 보면 배를 포함한 현미 미강에는 풍부한 당류, 단백질, 불포화 지방류가 있는 외 철, 칼슘, 세레늄 등 광물질이 있고 비타민 B1, B2, B6, B12, VE, VA와 이노시롤, 올리자놀, 초산 등 아미뇨산과 조지방, 조섬유와 식이섬유가 현미 기능 영양의 80%(중량)을 차지한다.
일용 주식으로 현미, 배아미를 장기 식용하면 혈청 콜리스태롤을 낯출뿐더러 혈관을 연화시키고 장도유통과 신진대사를 개선시켜 관심병, 당뇨병, 장도항암, 무좀, 비만억제 등 질병 완화에 유익하며 사람들의 면역력을 강화하고 골다공증, 고혈지, 고혈압, 뇌 피로회복, 노화방지, 칼슘부족증 등 면에서 좋은 효과를 알린다.
그러므로 현미와 배아미의 거부감과 떫은 맛을 원천적으로 제거하여 먹기좋은 현미 기능주식과 특정 건강수요에 맞춘 기능영양 먹거리를 개발함은 시대에 맞춰 사람들의 균형 영양 수준을 한단계 올리고 쌀 생산의 부가치를 개발하여 벼농사의 소득을 올리고 산업화, 상품화 수준을 올리는데 동력으로 될 수 있다.
공정 실시에는 수선 100%(중량) 탈부되고 께끗이 정선됐으며 식미평가가 높은 품종 현미를 원료로 선택하여 2단 마찰 현백식 도정기를 채용하여 현미를 배아미로 가공취지로 배아미의 기준(배 보유 80%(중량) 즉 5분도미) 도정양으로 도정된 미강(대부분 과피)를 별도 수집한다.
이어서 진행되는 2단 현백시에 백미 도정도로 나머지 과피와 종피, 호분층과 배를 역시 별도로 일괄 분리 수집하여 유래적 혼합 수집과 차별로, 세포벽이 뚜꺼워 거부감의 주체인 외층 과피와 기능영양의 주체인 배 포함한 나머지 미강을 추출용과 식용 두부분으로 갈라 거부감과 떫은 맛을 원천적으로 줄인다.
다음 절차에 1단 현백시에 분리된 미강을 습도 13-15%(중량)로 조절하여 쌀(백미)(개채), 옥수수쌀(개채) 등 곡물 배유를 7-10%(중량) 혼합하여 곡물섬유와 전분의 고온 고압 돌감시 팽창 원리로 퍼핑머신을 채용하여 20-30kg/㎟ 압력, 토출온도 135-140℃에서 팽화한다.
이어서 팽화된 1단 분리 미강을 전동 군통식 회전 가열기를 채용하여 온도 150-170℃, 회전 150-180회/분에서 10-15분 볶아내여 폴리프로필렌 코팅하면 팽화 미강 숭늉차로 되는데 이부분 미강은 현미의 외피여서 세포벽이 뚜껍고 조직이 거칠어 사람에게는 소화 흡수율이 낮아 조직구조를 개변하며 추출되는 아미뇨산 등 기능물질과 배합한 곡물 배유의 추출한 기능영양을 섭취하며 쌀밥을 주식으로 하는 사람들이 유래로 식후에 숭늉을 마셨던 옛맛을 살리는 취지가 있다.
이어서 2단 현백시에 별도 수집한 미강에 있는 과피, 종피, 호분층에 조직구조가 거친 부분이 남았기에 혼합된 배와 함께 습도 13-15%(중량)로 조절하여 퍼핑 머신을 채용하여 20-30kg/㎟ 압력, 토출온도 135-140℃ 무첨가 팽화하여 조직구조를 개변하여 원천적으로 거부감을 제거한다.
이어진 단계에서 기능성을 강화하고 먹기 좋은 제품을 취지로 팽화한 2단 분리 미강에 곡물 배유를 배합하는데 맞춤식 배합과 강화제를 첨가할 수 있는 공간을 만든것이 본 발명의 또 하나 특징이다. 예를 들면 당뇨병 환자에 맞춰 메밀가루(개채) 4-6배(중량) 혼합하고, 장도질환자에 맞춰 옥수수가루(개채) 4-6배(중량) 혼합하고, 떡, 국수, 빵 등 가루식품 원료 취지에는 밀가루(개채) 4-6배(중량) 혼합하고, 과립미 나아가서 조합 배아미 취지하에 쌀가루(개채) 4-6배(중량) 혼합한다. 모든 혼합가루는 고속 분쇄기를 채용하여 1000회전-1200회전/분에서 80-100(분말 과립도)로 제분하여 균일하게 혼합하여 팽화 미강 배합가루가 완료되여 기능 강화제를 첨가하여 기능 먹거리를 무한 제조할 공간이 마련되며 이어지는 숙성 과립미 나아가서 조합 배아미의 원료와 기능을 강화한 떡, 과자, 국수 등 가루음식 제품의 원료로 된다.
이어서 상기 팽화 미강 배합가루에 께끗한 물 5-7%(중량) 첨가하여 전동 반죽기를 채용하여 60-65회전/분에서 15-20분 반죽하여 전동 나선식 건면기를 채용하여 16-18kg/㎟ 압력 토출온도 100-125℃에서 φ1-3mm 직경의 호화된 숙성 건면국수를 압출한다.
이어서 상기 고온상태의 건면국수에 전동 선풍기를 채용하여 500-600회전/분으로 채감온도 20-30℃ 습도 20-25%(중량)로 건조 냉각시켜 전동 과립기를 채용하여 백미 쌀알크기 모양과 흡사한 과립을 제조하여 전기 건조기에서 습도 7-10%(중 량) 건조한 후 진공 포장기를 채용하여 진공 포장하면 팽화 미강 숙성 과립미가 완료된다. 시장에 일반 원료가루를 반죽, 압출, 건조, 제립 등 조합식 과립기도 있는데 채용할 수 있다.
마지막 단계에서 팽화 미강 숙성 과립미와 백미를 조합 배아미로 조합하는데 원상태 현미에서 미강과 배유의 비례는 약 10%:90%(중량)이고 배아미에서 배 포함한 미강과 배유의 비례는 약 5%:95%(중량)이다. 팽화 미강 과립미 제조를 위한 배합가루 제조시에 메밀가루(개체) 등 곡물 배유가루를 2단 분리 미강의 4-6배(중량) 배합했는 바 팽화 미강 과립미와 백미와의 비례는 약 1:3.2(중량)인데 본 비례에 참조하여 포장하면 조합 배아미의 제조가 완료된다.
본 발명 실시의 구체적인 내용을 간명하게 제시하기 위하여 최우선 방안으로 추리면 다음과 같다.
수선 100%(중량) 탈부한 깨끗이 정선됐고 식미 평가가 높은 품종 현미를 원료로 선택하여 2단 마찰 현백식 도정기를 채용하여 1단 현백시에 배아미 기준인 배 보유 80%(중량) 즉 5분도미 도정량으로 도정된 미강(외층 과피)을 별도로 수집하는 단계.
이어서 2단 현백시에 백미 도정도로 현백하여 나머지 과피와 종피 호분층과 배를 별도로 일괄 수집하여 유래로 혼합 수집하던 미강을 추출용과 식용 두부분으로 갈라 거부감과 떫은 맛을 원천적으로 제거하는 단계
상기 단계에서 1단 분리 미강을 습도 14%(중량)로 조절하여 옥수수가루 10 %(중량) 혼합하여 퍼핑머신을 채용하여 20kg/㎟ 압력 토출온도 140℃에서 팽화하여 전동 군통식 회전 가열기에서 160℃ 온도에서 10분간 볶아내여 폴리프로필렌 코팅하는 팽화 미강 숭늉차의 제조 단계.
2단 현백시에 별도 수집한 나머지 과피와 종피, 호분층과 배 혼합 미강을 습도 14%(중량)로 조절하여 퍼핑머신을 채용하여 20kg/㎟ 압력 토출온도 140℃에서 무첨가 팽화 단계.
상기 팽화 미강에 옥수수가루 6배(중량) 혼합하여 고속 분쇄기를 채용하여 약 1200회전/분으로 100(분말 과립도) 분말로 제분 혼합한 팽화 미강 배합가루 제조 단계
상기 팽화 미강 배합 가루에 께끗한 물 6%(중량) 첨가하여 전동 반죽기를 채용하여 약 60회전/분으로 20분 반죽하여 전동 나선식 건면기를 채용하여 18kg/㎟ 압력, 토출온도 120℃에서 φ2mm 직경의 숙성 호화된 건면국수 제조 단계.
상기 단계에서 제조한 고온 상태 숙성 건면국수에 선풍기를 채용하여 약 600회전/분으로 20분간 불어 건면 온도 약 26℃, 습도 25%(중량)로 건조 냉각시킨 후 전동 과립기를 채용하여 백미 쌀알 모양과 크기가 흡사한 과립을 제조하여 전기 건조기를 채용하여 습도 10%(중량) 건조하여 진공 포장기를 채용하여 진공 포장한 숙성 과립미의 제조 단계.
상기 단계에 이어 원생태 배아미의 미강과 배유의 비례 5%:95%(중량)와 숙성 미강 과립미 제조시 매밀가루(개채) 등 곡물 배유가루를 2단 팽화 미강의 4-6배(중량)을 첨가했음을 기반으로 숙성 과립미 진공 포장과 백미 1:3.2(중량)의 비례 로 포장한 조합 배아미의 제조 단계다.

Claims (8)

  1. 현미 미강을 통상 일괄 분리수집과 차별로 조직구조와 영양분포에 따라 배아미를 기준으로 현미 미강의 분별 수집 단계, 상기 분별 수집한 1단 분리 미강에 옥수수 등 곡물 배유를 배합한 1단 분리 미강의 팽화와 2단 분리 미강의 무첨가 팽화로 구성된 미강 조직구조 개변방법과 소화 흡수율 개선방법, 상기 1단 분리 팽화 미강을 원로로된 팽화 미강 숭늉차의 제조 방법, 2단 분리 팽화 미강에 맞춤식 곡물 배유를 배합한 배합가루의 제조 단계, 상기 배합가루를 원료로한 숙성 건면국수 제조 단계, 상기 숙성 건면국수를 원료로한 숙성 과립미의 제조 단계, 상기 숙성 과립미와 백미로 원상태 배아미의 미강과 배유 비례를 환원(還原) 강화한 조합 배아미의 제조 단계로 이루어진 현미 미강을 분별 팽화한 조합 배아미와 동반 제품의 제조 방법.
  2. 제1항에서 현미의 조직구조와 영양 분포에 따라 배아미(5분도미) 표준인 배 보유 80%(중량)을 기준으로 2단 현백식 도정기를 채용하여 1단 현백시에 5분도미 도정량을 실시하여 현미의 표피인 과피 대부분을 별도 분리 수집하고 이어서 2단 현백시에 백미 도정량을 실시하여 나머지 과피와 종피, 호분층과 배를 별도 일괄 수집하는 통상 현미 미강 무분별 일괄 수집과 차별되는 현미 미강 분별 수집 방법.
  3. 제2항에서 별도 수집한 1단 분리 미강을 수분 13-15%(중량)로 조절하여 백 미(개채), 옥수수쌀(개채) 등 곡물 배유를 7-10%(중량) 혼합하여 퍼핑머신을 채용하여 압력 20-30kg/㎟ 토출온도 135-140℃ 팽화하고 별도 수집한 2단 현백 분리 미강은 역시 퍼핑머신을 채용하여 압력 20-30kg/㎟ 토출온도 135-140℃에서 무첨가 팽화하는 현미 미강 조직구조 개변 방법.
  4. 제3항에서 배합 팽화한 1단 분리 미강을 전동 군통식 회전 가열기를 채용하여 150-170℃에서 10-15분 볶아서 폴리프로필렌 코팅 포장한 팽화 미강 숭늉차의 제조 방법.
  5. 제3항에서 무첨가 팽화한 2단 분리 미강에 메밀가루(개채)나 옥수수가루(개채) 등 곡물 배유가루 4-6배 배합하여 고속 분쇄기를 채용하여 1000-1200회전/분으로 80-100(분말 과립립도)로 분쇄 혼합한 팽화 미강 배합 가루의 제조 방법.
  6. 제5항에서 제조된 배합가루에 께끗한 물 5-7%(중량) 첨가하여 전동 반죽기를 채용하여 60-65회전/분에서 15-20분 반죽하여 전동 나선식 건면기를 채용하여 16-18kg/㎟ 압력 토출온도 100-125℃에서 φ1-3mm 직경의 호화된 숙성 건면국수의 제조 방법.
  7. 제6항에서 제조된 고온상태 건면국수에 전동 선풍기를 채용하여 500-600회전/분으로 건면온도 20-30℃ 습도 20-25%(중량)로 건조 냉각시켜 전동 과립기를 채 용하여 백미 쌀알모양과 크기가 흡사한 과립을 제조하여 전기 건조기에서 습도 7-10%(중량) 건조한 후 진공 포장기를 채용하여 진공 포장하는 팽화 미강 숙성 과립미의 제조 방법.
  8. 제7항에서 제조된 숙성 과립미 진공포장과 백미 1:3.2(중량) 조합 포장한 조합 배아미의 제조방법.
KR1020090040038A 2009-05-08 2009-05-08 현미 미강을 분별 팽화한 조합 배아미와 그 동반 제품의 제조 방법 KR2009006024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0038A KR20090060248A (ko) 2009-05-08 2009-05-08 현미 미강을 분별 팽화한 조합 배아미와 그 동반 제품의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0038A KR20090060248A (ko) 2009-05-08 2009-05-08 현미 미강을 분별 팽화한 조합 배아미와 그 동반 제품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60248A true KR20090060248A (ko) 2009-06-11

Family

ID=409901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40038A KR20090060248A (ko) 2009-05-08 2009-05-08 현미 미강을 분별 팽화한 조합 배아미와 그 동반 제품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60248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639439A (zh) * 2015-12-31 2016-06-08 湖北大学知行学院 一种基于大米加工副产物的面条产品及其生产方法
CN106954784A (zh) * 2017-03-23 2017-07-18 安徽省凤宝粮油食品(集团)有限公司 一种活性改性杂粮面粉的加工方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639439A (zh) * 2015-12-31 2016-06-08 湖北大学知行学院 一种基于大米加工副产物的面条产品及其生产方法
CN105639439B (zh) * 2015-12-31 2020-04-10 湖北大学知行学院 一种基于大米加工副产物的面条产品及其生产方法
CN106954784A (zh) * 2017-03-23 2017-07-18 安徽省凤宝粮油食品(集团)有限公司 一种活性改性杂粮面粉的加工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nglani Sorghum for human food–A review
Taylor et al. Gluten-free foods and beverages from millets
CN101715922A (zh) 一种糙米改性营养粉及营养饮料的制备方法
CN104323342A (zh) 一种葛仙米营养粉、制备方法及应用
CN104256361B (zh) 无添加剂五谷营养方便面条及其生产方法
KR100892651B1 (ko) 식품용 반죽 혼합물
CN104872522A (zh) 一种高蛋白紫糯全麦冲调粉及其制备方法
CN101889670B (zh) 麦麸、胚芽杂粮熟食粉及其制备方法
CN104757054A (zh) 一种高膳食纤维杂粮面包及其制备方法
CN104920995A (zh) 一种南瓜营养米及其制备方法
CN105029238A (zh) 一种养生营养米片及其制备方法
CN102370172A (zh) 一种保健营养面条
KR20150111032A (ko) 체중조절용 시리얼 바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된 시리얼 바
KR100821613B1 (ko) 깨국수 및 그 제조방법
CN108740750A (zh) 谷物改良粉的制备方法及谷物改良粉、无麸质面条的制备方法及无麸质面条
CN104957535A (zh) 一种苦荞营养米及其制备方法
CN1454498A (zh) 玉米糕饼的制作方法及其制品
KR20090060248A (ko) 현미 미강을 분별 팽화한 조합 배아미와 그 동반 제품의 제조 방법
Sharma et al. Processing, value addition and health benefits
KR101560264B1 (ko) 미강이 혼합된 미강 현미밥 분말 제조방법
CN105192519A (zh) 一种排毒养颜保健糊
KR102333231B1 (ko) 산수유 쌀쿠키 및 이의 제조방법
JP2017197461A (ja) カルシウム吸収促進用組成物
WO2012091581A2 (en) Pastry, especially wafers and a method for producing pastries, especially the wafers
KR20120098063A (ko) 메뚜기를 함유한 건강기능성 스낵 및 이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