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59904A - 입체영상용 디스플레이 패널 합착장치 및 입체영상용디스플레이 패널 합착방법 - Google Patents

입체영상용 디스플레이 패널 합착장치 및 입체영상용디스플레이 패널 합착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59904A
KR20090059904A KR1020070126995A KR20070126995A KR20090059904A KR 20090059904 A KR20090059904 A KR 20090059904A KR 1020070126995 A KR1020070126995 A KR 1020070126995A KR 20070126995 A KR20070126995 A KR 20070126995A KR 20090059904 A KR20090059904 A KR 200900599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mber
display panel
panel
stereoscopic
bon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269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44492B1 (ko
Inventor
황재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이디피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이디피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이디피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0701269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44492B1/ko
Publication of KR200900599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599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444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444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9/00Layout of apparatus or plants, e.g. modular laminating system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26Lenses, e.g. microlenses or Fresnel lens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입체영상용 디스플레이 패널 합착장치 및 입체영상용 디스플레이 패널 합착방법에 관한 것으로, 제 1정렬마크가 형성된 디스플레이 패널이 안착되는 제 1챔버와, 상기 제 1챔버에 대향되는 방향에 마련되고 제 2정렬마크가 형성된 입체렌즈 패널이 안착되며 상기 제 1챔버와 결합하여 합착공간을 형성하는 제 2챔버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과 상기 입체렌즈 패널의 정렬을 수행하는 카메라와, 상기 제 2챔버를 승강시키는 승강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 1챔버에 고정되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과 상기 제 1챔버의 상기 입체렌즈 패널의 가상 합착공정을 통해 산출되는 정렬오차를 이용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과, 상기 입체렌즈 패널의 정렬을 수행하며,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패널과 입체렌즈 패널의 정확한 얼라인이 가능하여 입체영상용 디스플레이 패널의 제조시 디스플레이 패널과 입체렌즈 패널의 합착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공정불량을 최소화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입체영상용 디스플레이 패널 합착장치 및 입체영상용 디스플레이 패널 합착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attaching display panel for stereoscopic image}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패널 합착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디스플레이 패널에 입체영상 구현을 위한 입체렌즈 패널의 합착시 정확한 얼라인을 통해 합착시키기 위한 입체영상용 디스플레이 패널 합착장치 및 입체영상용 디스플레이 패널 합착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들어, 디스플레이 장치의 대형화와 더불어, 디스플레이 장치의 2차원 영상표시에서 더 나아가 입체영상 표현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입체영상은 2차원의 영상에 비하여 자연스러울 뿐만 아니라 관찰자에게 새로운 물체에 대한 인식을 보다 용이하게 하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사람의 두 눈이 약 65mm 간격이 있으므로 사물을 바라볼 때 약간의 다른 상이 망막에 결상되고, 이 미세한 차를 뇌가 해석해서 입체감을 느끼게 하는 것에서 착안하여, 관찰자의 왼쪽과 오른쪽 눈에 비치게 되는 2개의 2차원 화상 을 하나의 2차원 스크린에 동시에 표시한 다음 일정한 방법에 의하여 그들을 분리하여 관찰자의 왼쪽 눈과 오른쪽 눈에 각각 입사시켜서 관찰자가 입체감을 느끼도록 하는 방법으로 안경(stereoscope)식 장치과, 무안경(auto-stereoscope)식 장치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 중에 있다.
안경식 장치이 별도의 장비를 착용해야 하는 반면, 무안경식 장치은 다른 방법에 비하여 화면이 밝고, 직접 스크린을 주시하면 되는 사용의 편의성이 탁월하여 그에 대한 연구가 집중되고 있는 실정이다.
무안경식 장치 중 렌티큘러(Leticular) 렌즈를 이용한 장치는 엘씨디(LCD;Liquid crystal display)와 같은 디스플레이 패널 위에 원통형의 렌티큘러 렌즈가 배열되어 있는 입체렌즈 패널이 부착되어 있는 구조를 가진다. 이때, 하나의 렌티큘러 렌즈는 두개의 엘씨디 기본 소자 열을 포함하게 되고, 이들 두개의 엘씨디 기본소자에서 나온 빛을 분리하여 각각 관찰자의 왼쪽 눈과 오른쪽 눈에 입사시킴으로써 입체영상을 얻을 수 있도록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입체영상용 디스플레이 패널을 제작하기 위해서는 디스플레이 패널과 입체렌즈 패널을 합착시키는 합착장치가 필요하여, 디스플레이 패널과 입체렌즈 패널의 정확한 얼라인을 통한 합착방법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입체영상용 디스플레이 패널의 합착시 디스플레이 패널과 입체렌즈 패널을 합착시키기 위한 입체영상용 디스플레이 패널 합착장치 및 입체영상용 디스플레이 패널 합착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입체영상용 디스플레이 패널은 합착장치는, 제 1정렬마크가 형성된 디스플레이 패널이 안착되는 제 1챔버와, 상기 제 1챔버에 대향되는 방향에 마련되고 제 2정렬마크가 형성된 입체렌즈 패널이 안착되며 상기 제 1챔버와 결합하여 합착공간을 형성하는 제 2챔버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과 상기 입체렌즈 패널의 정렬을 수행하는 카메라와, 상기 제 2챔버를 승강시키는 승강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 1챔버에 고정되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과 상기 제 1챔버의 상기 입체렌즈 패널의 가상 합착공정을 통해 산출되는 정렬오차를 이용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과, 상기 입체렌즈 패널의 정렬을 수행한다.
상기 제 1챔버는 상기 제 2챔버와 결합되어 합착공간을 형성하기 위한 함체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이 안착되는 제 1스테이지와, 상기 제 1챔버에 대하여 상기 제 1스테이지의 수평위치를 조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과 상기 입체렌즈 패널의 수평방향의 정렬을 수행하는 수평정렬장치를 구비한다.
상기 제 1챔버의 외측에 상기 카메라가 상기 제 1, 2정렬마크를 촬영할 수 있도록 상기 카메라 측으로 조명을 제공하는 조명장치가 더 마련된다.
상기 제 2챔버는 상기 제 1챔버와 결합되어 합착공간을 형성하기 위한 함체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입체렌즈 패널이 안착되는 제 2스테이지와, 상기 제 2챔버에 대하여 상기 제 2스테이지의 수직위치를 조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과 상기 입체렌즈 패널의 수직방향의 정렬을 수행하는 수직정렬장치를 구비한다.
상기 카메라는 상기 제 2챔버의 외측에 위치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과 상기 입체렌즈 패널의 위치를 판독한다.
상기 정렬오차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과 상기 입체렌즈 패널의 가상 합착과정시 발생되는 복수의 오차를 누적하고, 수행되는 가상의 합착공정의 반복 횟수로 나누어 산출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입체영상용 디스플레이 패널은 합착방법은, 디스플레이 패널과 입체렌즈 패널이 제 1챔버와 제 2챔버의 내측으로 투입되고 상기 제 1챔버와 상기 제 2챔버에 각각 고정되는 단계, 상기 각 패널이 고정된 상기 제 1챔버와 상기 제 2챔버가 결합되어 합착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합착공간 내의 기체가 배기되어 진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과 상기 입체렌즈의 패널의 위치를 판독하고, 산출된 정렬오차를 적용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과 상기 입체렌즈 패널을 정렬하는 단계, 정렬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과 상기 입체렌즈 패널을 근접시키고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과 상기 입체렌즈 패널을 부착시키는 단계,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과 상기 입체렌즈 패널이 합착된 합착공간으로 공정가스를 주입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과 상기 입체렌즈 패널을 합착시키는 단계, 상기 제 2챔버와 상기 제 1챔버가 분리되어 합착공간이 개방되 고, 합착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과 상기 입체렌즈 패널이 배출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과 상기 입체렌즈 패널을 정렬하는 단계에서 상기 정렬오차가 산출되지 않았을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과 상기 입체렌즈 패널을 가상의 합착공정을 통해 정렬오차를 산출한다.
상기 정렬오차의 산출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과 상기 입체렌즈 패널의 가상 합착과정시 발생되는 복수의 오차를 누적하고, 수행되는 가상의 합착공정의 반복 횟수로 나누어 산출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입체영상용 디스플레이 패널 합착장치 및 입체영상용 디스플레이 패널 합착방법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패널과 입체렌즈 패널의 정확한 얼라인이 가능하여 입체영상용 디스플레이 패널의 제조시 디스플레이 패널과 입체렌즈 패널의 합착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공정불량을 최소화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정의되는 각 구성요소들의 명칭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 내려진 것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요소를 한정하는 의미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며, 정의된 각각의 명칭들은 당업계에서 다른 명칭으로 호칭 될 수 있다. 그리고 각각의 구성요소에 부가된 부호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기재된 것으로, 이들 부호가 기재된 도면상의 도시 내용이 각각의 구성요소를 도면내의 범위로 한정하지는 않는다. 또한, 이들의 기능적 유사성 및 동일성이 있다면 변형된 실시예를 채용하더라도 균등한 구성으로 볼 수 있으며, 도면상의 구성을 일부 변형한 실시예가 채용되더라도 기능적 유사성 및 동일성이 있다면 균등한 구성으로 볼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입체영상용 디스플레이 패널 합착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입체영상용 디스플레이 패널 합착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입체영상용 디스플레이 패널 합착장치의 내부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내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입체영상용 디스플레이 패널 합착장치(100)는, 디스플레이 패널(D)이 안착되는 제 1챔버(110)와, 제 1챔버(110)에 대향되는 방향에 마련되고 입체렌즈 패널(P)이 안착되며 제 1챔버(110)와 결합하여 합착공간을 형성하는 제 2챔버(130)와, 제 2챔버(130)를 승강시키는 승강부(150)를 구비한다. 여기서 제 1챔버(110)는 하부 챔버이며, 제 2챔버(130)는 제 1챔버(110)의 상부에 위치하는 상부 챔버일 수 있다.
상기 제 1챔버(110)는 제 2챔버(130)와 결합되어 합착공간을 형성하기 위한 함체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부 내측에 디스플레이 패널(D)이 안착되는 제 1스테이지(111)가 마련된다. 또한. 제 1스테이지(111)의 외주면 상측으로는 제 2챔버(130)의 하부면과 접촉되어 합착공간의 기밀을 유지시키는 기밀부재(112)를 구비한다.
여기서 제 1스테이지(111)의 하면에는 투입되는 디스플레이 기판을 정전기력에 의해 고정하기 위한 정전척(ESC;Electrostatic Chuck)(미도시)이 더 마련된다.
그리고 제 1챔버(110)와 제 1스테이지(111)의 사이에는 제 1스테이지(111)를 수평 이송시키기 위한 수평정렬장치(117)가 더 마련된다. 이러한 수평정렬장치(117)는 제 1스테이지(111)를 수평이동 또는 수평 회전시켜 제 1스테이지(111)에 고정된 디스플레이 패널(D)과 제 2스테이지(131)에 고정되는 입체렌즈 패널(P)과의 수평 정렬상태를 조절한다.
또한, 제 1챔버(110)의 외측에는 제 1스테이지(111)에 안착되는 디스플레이 패널(D)을 지지하기 위한 패널 승강부(150)가 마련된다. 이러한 패널 승강부(150)는 제 1스테이지(111)측으로 투입되는 디스플레이 패널(D)을 지지하기 위한 리프트핀(119)과, 리프트핀(119)을 승강시키는 승강유닛(120)이 마련된다.
한편, 제 1챔버(110)에는 합착공간의 합착환경을 조성하기 위한 배기관(113)과, 공급관(114)이 설치된다. 배기관(113)은 합착공간을 진공상태로 전환시키기 위한 펌프(미도시)에 연결된다. 공급관(114)은 디스플레이 패널(D)에 입체렌즈 패널(P)이 접촉되면, 디스플레이 패널(D)과 입체렌즈 패널(P)의 외측을 가압하기 위한 공정가스를 합착공간으로 제공하기 위해 가스공급원(미도시)과 연결된다. 이때, 공정가스로는 대표적인 질소(N2)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제 1챔버(110)의 하측에는 후술할 제 2챔버(130)의 카메라(132)가 디스플레이 패널(D) 및 입체렌즈 패널(P)을 촬영할 수 있도록 카메라(132) 측으로 조명을 제공하는 조명장치(115)가 설치되며, 제 1챔버(110)와 제 1스테이지(111)에는 조명장치에서 발생되는 광이 통과하도록 연통되는 조명홀(116)이 더 형성된다.
상기 제 2챔버(130)는 제 1챔버(110)와 결합되어 합착공간을 형성하기 위한 함체 형상으로 형성되며, 제 2챔버(130)의 내측으로는 입체렌즈 패널(P)이 안착되는 제 2스테이지(131)가 마련된다.
여기서 제 2스테이지(131)의 하면에는 투입되는 디스플레이 기판을 정전기력에 의해 고정하기 위한 정전척(ESC;Electrostatic Chuck)(미도시)이 더 마련되며,
그리고, 제 2챔버(130)와 제 2스테이지(131)의 사이에는 제 2스테이지(131)를 수직 이송시키기 위한 다수의 수직정렬장치(134)가 더 마련된다. 이러한 수직정렬장치(134)는 제 2스테이지(131)에 수직이동 또는 수직회전시켜 제 1스테이지(111)에 고정된 디스플레이 패널(D)과 제 2스테이지(131)에 고정되는 입체렌즈 패널(P)과의 수직 정렬상태를 조절한다.
또한, 수직정렬장치(134)는 제 2스테이지의 외주면에 제 2챔버(130)측으로 돌출되어 마련되는 돌출바(135)와 제 2챔버에 마련되어 돌출바(135)를 지지하여 돌출바(135)를 승강시키는 리니어 액츄에이터(136)로 마련된다. 이러한 리니어 액츄에이터(136)는 제 2스테이지(131)를 제 2챔버(130)의 내부에서 상하로 승강되면서 돌출바(135)를 승강시킴으로써 디스플레이 패널(D)과 입체렌즈 패널(P) 사이의 수평도 및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제 2챔버(130)의 외측에는 제 2스테이지(131)에 안착되는 입체렌즈 패널(P)을 흡착하여 승강시키기 위한 패널 흡착부(137)가 마련된다. 이러한 패널 흡착부(137)는 제 2스테이지(131)측으로 투입되는 입체렌즈 패널(P)을 흡착시키기 위 한 흡착핀(138)과, 흡착핀(138)을 승강시키는 흡착승강유닛(139)이 마련된다.
또한, 제 2챔버(130)의 상측에는 디스플레이 패널(D)과 입체렌즈 패널(P)을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132)가 설치되며, 제 2챔버(130)와 제 2스테이지(131)에는 카메라(132)에 의한 촬영을 위하여 연통되는 촬영홀(133)이 형성된다.
한편 상술한 제 2챔버(130)에 마련되는 카메라(132)와 제 1챔버(110)에 마련되는 조명장치(115)는 각각 대응되는 위치로 마련되며, 합착되는 각 패널(D, P)의 각 모서리부에 대응되는 위치로 각각 마련되며 각 모서리부를 촬영하여 디스플레이 패널(D)과 입체렌즈 패널(P)의 정렬을 수행한다.
이러한, 카메라(132)는 최초 합착장치의 초기 설정시 디스플레이 패널(D)과 입체렌즈 패널(P)의 정렬을 반복적으로 수행하여 디스플레이 패널(D)과 입체렌즈 패널(P)의 정렬시 발생하는 정렬오차를 산출한다. 또한, 이때 산출된 정렬오차를 이용하여 실제 입체 디스플레이 패널(D+P)의 생산시 산출된 정렬오차를 적용하여 디스플레이 패널(D)과 입체렌즈 패널(P)을 합착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술한 제 1챔버(110) 및 제 2챔버(130)의 내측에는 디스플레이 패널(D)과 입체렌즈 패널(P)의 합착시에 밀봉제(S)가 사용될 경우 제 2챔버(130)의 상부에는 밀봉제(S)를 경화시키기 위한 경화모듈(미도시)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승강부(150)는 제 2챔버(130)를 지지하여 제 2챔버(130)가 제 1챔버(110)에 대하여 승강되도록 지지하는 것이다. 승강부(150)는 제 2챔버(130)의 외주면을 지지하도록 다수개로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승강부(150)는 제 2챔버에 결합되는 지지바(151)와, 지지바(151)의 양측에 마련되어 지지바(151)를 지지하는 승강축(152)과, 승강축(152)을 승강시키는 승강장치(153)를 구비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입체영상용 디스플레이 패널 합착장치의 작동을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에서 언급되는 각각의 요소들은 상술한 설명과 도면을 참조하여 이해하여야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입체영상용 디스플레이 패널 합착장치의 합착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고, 도 4a 내지 도 4d는 본 발명에 따른 입체영상용 디스플레이 패널 합착장치의 작동을 나타낸 작동상태도이다.
도 3 내지 도 4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입체영상용 디스플레이 패널 합착장치(100)의 외부로부터 별도의 공정을 통해 제조된 디스플레이 패널(D)과 입체렌즈 패널(P)이 반입되어 디스플레이 패널(D)은 제 1챔버(110)의 제 1스테이지(111)에 안착되고, 입체렌즈 패널(P)은 제 2챔버(130)의 제 2스테이지(131)에 안착되어 고정된다(단계 S110).
이러한 과정을 상세히 설명하면, 먼저 제 2챔버(130)가 제 2챔버(130)에 결합되어 마련되는 승강부(150)의 지지바(151)에 의해 지지된 상태에서 승강부(150)의 작동에 따라 상승된다.
이후, 제 1챔버(110)와 제 2챔버(130) 사이로 별도의 패널공급장치(미도시)에 의해 투입되고, 디스플레이 패널(D)은 제 1챔버(110)에 마련되는 패널 승강부(150)의 승강유닛(120)에 의해 승강되는 리프트핀(119)에 지지되어 제 1챔버(110)의 제 1스테이지(111)에 고정되며, 입체렌즈 패널(P)은 제 2챔버(130)에 마련되는 흡착부(137)의 흡착승강유닛(139)에 의해 승강되는 흡착핀(138)에 의해 흡 착되어 제 2챔버(130)의 제 2스테이지(131)에 고정된다.
그리고, 디스플레이 패널(D)과 입체렌즈 패널(P)의 부착이 완료되면, 도 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2챔버(130)가 승강부(150)에 의해 하강되면서 제 1챔버(110)와 결합되어 합착공간이 형성된다. 이때 제 1챔버(110)와 제 2챔버(130)는 제 1챔버(110)에 마련된 기밀부재(112)에 의해 합착공간의 기밀이 유지된다. 또한, 합착공간이 형성되면, 제 1챔버(110)에 마련된 배기관(113)에 의해 합착공간에 잔류하는 기체가 배기되어 진공이 형성된다(단계 S120).
이후, 제 2챔버(130)의 제 2스테이지(131)에 고정된 입체렌즈 패널(P)은 흡착부(137)의 흡착핀(138)에 흡착된 상태에서 제 1챔버(110)의 제 1스테이지(111)에 고정된 디스플레이 패널(D) 측으로 이동되면서 기 설정된 정렬오차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패널(D)과 입체렌즈 패널(P)이 정렬된다.
이때 합착장치는 디스플레이 패널(D)과 입체렌즈 패널(P)을 정렬하기 위하여 정렬오차의 산출상태를 파악한다(단계 S130).
여기서, 합착장치(100)에 정렬오차가 설정되어 있지 않을 때는 제 1챔버(110)와 제 2챔버(130)에 부착된 디스플레이 패널(D)과 입체렌즈 패널(P)을 가상의 합착공정을 진행하여 정렬오차를 산출한다(단계 S140).
이러한 정렬오차의 산출과정을 설명하면, 먼저 디스플레이 패널(D)과 입체렌즈 패널(P)이용하여 가상의 합착공정을 반복적으로 약 4~6회 진행하여 정렬오차를 산출한다. 이때 가상의 합착공정시 발생되는 오차를 누적하고 이를 반복적으로 수행되는 가상의 합착공정의 횟수로 나누어 산출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이러한, 정렬오차의 산출은 입체 디스플레이 패널(D)의 양산에 앞서 디스플레이 패널(D)과 입체렌즈 패널(P)의 정렬의 정렬시 발생하는 오차를 산출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정렬오차의 산출은 디스플레이 패널(D)과 입체렌즈 패널(P)의 정렬에 기준이 되는 별도의 기준 디스플레이 패널(미도시)과 기준 입체렌즈 패널(미도시)을 이용하여 산출될 수 있다.
그리고, 입체 디스플레이 패널(D)의 양산전에 상술한 바와 같은 정렬오차의 산출이 완료되었을 경우에는 산출된 정렬오차를 적용하여 실제 디스플레이 패널(D)과 입체렌즈 패널(P)의 합착공정을 진행하기 위하여 디스플레이 패널(D)과 입체렌즈 패널(P)의 정렬을 수행한다(단계 S150).
여기서, 디스플레이 패널(D)과 입체렌즈 패널(P)의 정렬을 좀 더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카메라(132)는 디스플레이 패널(D)과 입체렌즈 패널(P)의 각 모서리부를 촬영하고, 디스플레이 패널(D)과 입체렌즈 패널(P)에 형성된 별도의 정렬마크(미도시)를 검출한다.
이에 검출되는 정렬마크를 기준으로 하여 제 1챔버(110)의 수평정렬장치(117)와, 제 2챔버(130)의 수직정렬장치(134)에 의해 디스플레이 패널(D)과 입체렌즈 패널(P)의 정렬이 수행된다.
이후, 디스플레이 패널(D)과 입체렌즈 패널(P)의 정렬이 완료되면, 도 4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입체렌즈 패널(P)을 디스플레이 패널(D) 측으로 낙하시키고, 합착공간으로 공급관(114)을 통하여 공정가스(예를 들어 질소가스)를 공급한다. 이때 공급되는 공정가스의 압력 차이에 의해 디스플레이 패널(D)과 입체렌즈 패널(P)이 합착된다(단계 S140).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패널(D)과 입체렌즈 패널(P)이 합착되면 도 4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승강부(150)에 의해 제 2챔버(130)가 제 1챔버(110)에 대해서 승강되면서 합착공간이 개방되고, 합착된 입체 디스플레이 패널(D)은 별도의 패널배출장치(미도시)에 의해 합착장치(100)의 외부로 배출된다(단계 S160).
이때 합착공간 상에서 디스플레이 패널(D)과 입체렌즈 패널(P)을 접합하는 밀봉제(S)를 경화시키거나 합착장치(100)의 외부에서 별도의 경화장치(미도시)에 의해 밀봉제(S)를 경화시킬 수도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기술되었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 있어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이라면, 첨부된 청구 범위에 정의된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본 발명을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앞으로의 실시예들의 변경은 본 발명의 기술을 벗어날 수 없을 것이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른 입체영상용 디스플레이 패널 합착장치에 다른 부가적인 기능을 가진 구성요소를 추가하거나, 또는 다른 구성요소로 교체하여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변형된 다른 실시예가 본 발명의 필수구성요소를 포함한다면 모두 본 발명의 기술적 범주에 포함된다고 보아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입체영상용 디스플레이 패널 합착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입체영상용 디스플레이 패널 합착장치의 내부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입체영상용 디스플레이 패널 합착장치의 합착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4a 내지 도 4d는 본 발명에 따른 입체영상용 디스플레이 패널 합착장치의 작동을 나타낸 작동상태도이다.

Claims (9)

  1. 제 1정렬마크가 형성된 디스플레이 패널이 안착되는 제 1챔버와,
    상기 제 1챔버에 대향되는 방향에 마련되고 제 2정렬마크가 형성된 입체렌즈 패널이 안착되며 상기 제 1챔버와 결합하여 합착공간을 형성하는 제 2챔버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과 상기 입체렌즈 패널의 정렬을 수행하는 카메라와,
    상기 제 2챔버를 승강시키는 승강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 1챔버에 고정되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과 상기 제 1챔버의 상기 입체렌즈 패널의 가상 합착공정을 통해 산출되는 정렬오차를 이용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과, 상기 입체렌즈 패널의 정렬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영상용 디스플레이 패널 합착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챔버는 상기 제 2챔버와 결합되어 합착공간을 형성하기 위한 함체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이 안착되는 제 1스테이지와,
    상기 제 1챔버에 대하여 상기 제 1스테이지의 수평위치를 조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과 상기 입체렌즈 패널의 수평방향의 정렬을 수행하는 수평정렬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영상용 디스플레이 패널 합착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챔버의 외측에 상기 카메라가 상기 제 1, 2정렬마크를 촬영할 수 있도록 상기 카메라 측으로 조명을 제공하는 조명장치가 더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영상용 디스플레이 패널 합착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챔버는 상기 제 1챔버와 결합되어 합착공간을 형성하기 위한 함체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입체렌즈 패널이 안착되는 제 2스테이지와,
    상기 제 2챔버에 대하여 상기 제 2스테이지의 수직위치를 조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과 상기 입체렌즈 패널의 수직방향의 정렬을 수행하는 수직정렬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영상용 디스플레이 패널 합착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는
    상기 제 2챔버의 외측에 위치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과 상기 입체렌즈 패널의 위치를 판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영상용 디스플레이 패널 합착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정렬오차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과 상기 입체렌즈 패널의 가상 합착과정시 발생되는 복수의 오차를 누적하고, 수행되는 가상의 합착공정의 반복 횟수로 나누어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영상용 디스플레이 패널 합착장치.
  7. 디스플레이 패널과 입체렌즈 패널이 제 1챔버와 제 2챔버의 내측으로 투입되고 상기 제 1챔버와 상기 제 2챔버에 각각 고정되는 단계,
    상기 각 패널이 고정된 상기 제 1챔버와 상기 제 2챔버가 결합되어 합착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합착공간 내의 기체가 배기되어 진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과 상기 입체렌즈의 패널의 위치를 판독하고, 산출된 정렬오차를 적용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과 상기 입체렌즈 패널을 정렬하는 단계,
    정렬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과 상기 입체렌즈 패널을 근접시키고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과 상기 입체렌즈 패널을 부착시키는 단계,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과 상기 입체렌즈 패널이 합착된 합착공간으로 공정가스를 주입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과 상기 입체렌즈 패널을 합착시키는 단계,
    상기 제 2챔버와 상기 제 1챔버가 분리되어 합착공간이 개방되고, 합착된 상 기 디스플레이 패널과 상기 입체렌즈 패널이 배출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영상용 디스플레이 패널 합착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과 상기 입체렌즈 패널을 정렬하는 단계에서 상기 정렬오차가 산출되지 않았을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과 상기 입체렌즈 패널을 가상의 합착공정을 통해 정렬오차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영상용 디스플레이 패널 합착방법.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정렬오차의 산출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과 상기 입체렌즈 패널의 가상 합착과정시 발생되는 복수의 오차를 누적하고, 수행되는 가상의 합착공정의 반복 횟수로 나누어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영상용 디스플레이 패널 합착방법.
KR1020070126995A 2007-12-07 2007-12-07 입체영상용 디스플레이 패널 합착장치 및 입체영상용디스플레이 패널 합착방법 KR1009444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6995A KR100944492B1 (ko) 2007-12-07 2007-12-07 입체영상용 디스플레이 패널 합착장치 및 입체영상용디스플레이 패널 합착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6995A KR100944492B1 (ko) 2007-12-07 2007-12-07 입체영상용 디스플레이 패널 합착장치 및 입체영상용디스플레이 패널 합착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59904A true KR20090059904A (ko) 2009-06-11
KR100944492B1 KR100944492B1 (ko) 2010-03-03

Family

ID=409899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26995A KR100944492B1 (ko) 2007-12-07 2007-12-07 입체영상용 디스플레이 패널 합착장치 및 입체영상용디스플레이 패널 합착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44492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053603A (zh) * 2009-11-10 2011-05-11 株式会社日立高新技术 对准标记管理装置、对准标记管理系统以及方法
KR101274180B1 (ko) * 2011-05-11 2013-06-13 엘아이지에이디피 주식회사 패널합착장치
KR101314216B1 (ko) * 2011-05-04 2013-10-02 엘아이지에이디피 주식회사 터치 패널과 디스플레이 패널을 합착하는 패널 합착장치
KR101329228B1 (ko) * 2011-05-04 2013-11-13 엘아이지에이디피 주식회사 멀티 정반 및 이를 이용한 터치패널과 디스플레이 패널을 합착하는 패널합착장치
KR20150031106A (ko) * 2013-09-13 2015-03-2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패널의 합착 장치 및 합착 방법
KR101706161B1 (ko) * 2016-06-20 2017-02-14 주식회사 아이엘사이언스 실리콘 광학렌즈 및 그의 제조방법
KR20210108200A (ko) * 2020-02-25 2021-09-02 (주)메가센 원장 패널 흡착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0156B1 (ko) * 2002-03-15 2007-04-20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액정표시소자의 진공 합착 장치
JP2004205664A (ja) 2002-12-24 2004-07-22 Fujitsu Display Technologies Corp 表示パネルの製造装置
JP2006019454A (ja) * 2004-06-30 2006-01-19 Casio Comput Co Ltd 駆動素子搭載方法
KR20060023392A (ko) * 2004-09-09 2006-03-14 삼성전자주식회사 3차원 영상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및 그에 사용되는 결합장치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053603A (zh) * 2009-11-10 2011-05-11 株式会社日立高新技术 对准标记管理装置、对准标记管理系统以及方法
KR101314216B1 (ko) * 2011-05-04 2013-10-02 엘아이지에이디피 주식회사 터치 패널과 디스플레이 패널을 합착하는 패널 합착장치
KR101329228B1 (ko) * 2011-05-04 2013-11-13 엘아이지에이디피 주식회사 멀티 정반 및 이를 이용한 터치패널과 디스플레이 패널을 합착하는 패널합착장치
KR101274180B1 (ko) * 2011-05-11 2013-06-13 엘아이지에이디피 주식회사 패널합착장치
KR20150031106A (ko) * 2013-09-13 2015-03-2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패널의 합착 장치 및 합착 방법
KR101706161B1 (ko) * 2016-06-20 2017-02-14 주식회사 아이엘사이언스 실리콘 광학렌즈 및 그의 제조방법
KR20210108200A (ko) * 2020-02-25 2021-09-02 (주)메가센 원장 패널 흡착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44492B1 (ko) 2010-03-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44492B1 (ko) 입체영상용 디스플레이 패널 합착장치 및 입체영상용디스플레이 패널 합착방법
JP4199647B2 (ja) 液晶表示素子製造装置及びこれを利用した製造方法
KR20090048206A (ko) 입체영상용 디스플레이 패널 합착시스템
KR100915685B1 (ko) 입체영상용 디스플레이 패널 합착장치 및 입체영상용디스플레이 패널 합착방법
CN104898310B (zh) 基板层叠装置、基板层叠方法及立体显示装置
TWI653489B (zh) 用於顯示模組之再加工設備
JP2010232660A (ja) 真空貼合装置
KR101337551B1 (ko) 합착장치
KR100931607B1 (ko) 입체영상용 디스플레이 패널 합착장치
CN105856791B (zh) 用于贴合的载具及视景分离膜组件和显示面板的贴合方法
KR100917800B1 (ko) 입체영상용 디스플레이 패널 합착 장치 및 방법
KR20210114573A (ko) 표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패널 합착 시스템
KR100910398B1 (ko) 입체영상용 디스플레이 패널 합착 장치 및 방법
KR20090023894A (ko) 입체영상용 디스플레이 패널 합착 장치 및 방법
KR100931606B1 (ko) 입체영상용 디스플레이 패널 합착장치
KR100917799B1 (ko) 입체영상용 디스플레이 패널 합착 시스템 및 합착 방법
KR101337550B1 (ko) 합착장치
KR101337549B1 (ko) 합착장치
KR100915695B1 (ko) 입체영상용 디스플레이 패널 합착 장치
JP6551758B2 (ja) 基板貼り合せ装置
KR100893931B1 (ko) 전자부품용 패널간의 접합방법
US11418774B2 (en) Display device and panel bonding system including the same
KR101421281B1 (ko) 필름 부착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필름 부착 방법
JP2017102295A (ja) 結像光学素子の製造方法
JP2004238278A (ja) 基板貼り合わせ装置、その装置によって製造された電気光学装置、電子機器および基板貼り合わせ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3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