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57990A - 스파이더 다이 - Google Patents

스파이더 다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57990A
KR20090057990A KR1020097005704A KR20097005704A KR20090057990A KR 20090057990 A KR20090057990 A KR 20090057990A KR 1020097005704 A KR1020097005704 A KR 1020097005704A KR 20097005704 A KR20097005704 A KR 20097005704A KR 20090057990 A KR20090057990 A KR 200900579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r
sleeve
retaining element
bar matrix
matri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057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피터 스프렝거
Original Assignee
피터스프렝거덴탈테크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피터스프렝거덴탈테크닉 filed Critical 피터스프렝거덴탈테크닉
Publication of KR200900579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5799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225Fastening prostheses in the mouth
    • A61C13/265Sliding or snap attachments
    • A61C13/2656Snap attach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225Fastening prostheses in the mouth
    • A61C13/265Sliding or snap attach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225Fastening prostheses in the mouth
    • A61C13/275Fastening prostheses in the mouth removably secured by using bridging bars or rails between residual teeth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ntal Prosthetics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수(male) 스파이더 몰드(1) 상에 있는 치과 보철 수프라 구조물 상에 스파이더 다이(spider die)(10)를 탄성적으로 장착하기 위해, 실질적으로 교합 정렬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보유 요소(14,141,142)를 슬라브(11) 상에 몰딩하는 것이 제안된다. 적어도 하나의 보유 요소(14,141,142)는 슬리브(11)의 전체 길이에 걸쳐 연장하며 그 횡단면에서 연결 넥부(144,147)를 갖는 헤드(143,148)를 구비한다. 이런 방식으로, 연결 넥부의 양측에는 보유 절삭부(145,146)가 형성된다. 적어도 하나의 보유 요소의 연결 넥부는 슬리브의 정점 라인에 대해 오프셋되게 몰딩된다. 이런 방식으로 더 작은 설치 높이로 증가된 보유력을 갖는 개선된 보유를 구비하는 스파이더 다이가 생성된다.

Description

스파이더 다이{SPIDER DIE}
본 발명은 특허청구범위 제1항의 전제부에 따라 바 돌출부 상에 치과 보철 수프라 구조물을 고정시키기 위한 바 매트릭스에 관한 것이다.
바 매트릭스는 바 부착물(bar attachment)의 일부이며 일부 보철이나 전체 보철이 이 바 매트릭스를 통해 임플란트 고정 방식으로 하부 조(jaw) 또는 상부 조에 고정된다. 이러한 바 부착물은 바 돌출부(bar projection)와 바 매트릭스(bar matrix)로 구성된다. 바 돌출부는 정교한 기계적 고정 요소이며, 이는 임플란트들 사이에 이어지며 입으로(orally) 이들을 서로 차단하는 가로대(crosspiece)를 포함한다. 이들 임플란트 상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 수단을 갖는 전체 가로대는 바 돌출부이라고 불리운다.
바 매트릭스는 치아 보철의 제거 가능한 부분 내에 통합된다. 종종 바 라이더(bar rider)라고도 불리우는 바 매트릭스는 치과 보철 수프라 구조물(dental-prosthetic supra-construction)에 고정을 이루기 위하여 적절한 보유 요소(retention elements)를 구비하는 슬리브(sleeve)로 구성된다.
현대 수프라 구조물에는 금속성 지지 구조물이 제공되며 이 위에 플라스틱으로 된 실제 수프라 구조물이 고정된다. 이 지지 구조물은 주조 모델(cast model)이 라고 불리운다. 이 주조 모델은 플라스틱 구조물에 이 주조 모델을 연결하기 위한 개구를 구비하며, 이는 소위 중합 창(polymerisation windows)이라 불리운다.
종종 치과의사에 의해 이루어지는 개발은 기본적으로 바 매트릭스와 바 돌출부 사이의 해제가능한 연결에 관심이 있었으며, 치과 보철 수프라 구조물에 바 매트릭스를 고정하는 문제는 무시되어 왔는데 그 이유는 이 문제는 본질적으로 치과 보철 수프라 구조물의 제조와 관련이 있는 치과 제조소(dental laboratory)에서만 발생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사실, 치과 보철 수프라 구조물을 제조할 때, 보유 요소들은 바 매트릭스의 슬리브 상에 충분한 보유력을 수용할 수 없는 것으로 알려졌는데, 그 이유는 이들 보유 요소들이 설계 문제로 인해 극히 작게만 유지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 바 매트릭스의 구조물은 오늘날 공통적으로 횡단면이 적어도 거의 U 자형인 슬리브를 고려하며, 이 슬리브는 각 경우에 실제 정점 라인(apex line)을 따라 입쪽이나 혀쪽으로 이어지는 길이 면을 가지며, 상기 길이 면은 슬리브의 폭을 초과하지 않도록 혀쪽과 입쪽 방향으로 최대 연장부를 갖는다. 이것은 그렇지 않으면 치과 보철 수프라 구조물이나 치아 구조물의 벽 두께가 너무 얇은 벽으로 되거나 또는 이에서 돌출하게 될 수도 있기 때문에 필요하다.
바 부착물은 한스 돌더 박사(Dr. Hans Dolder)에 의해 개발된 것이며 순수하게 잇몸에서만 지지되는 것이 아닌 치과 보철을 고정하기 위한 해법을 나타낸다. 이미 언급한 바와 같이, 돌더 박사의 바는 수 년에 걸쳐 그 가치가 입증되었다. 돌더 박사의 바의 다른 개선은 예를 들어 EP1 192 916에 도시되어 있으며, 여기서 바로서 기능하는 돌출부 상에 매트릭스를 고정하는 것은 탄성적으로 기계적인 보유를 갖게 기능하는 것이 아니라 바 형상에 적응된 형상을 갖고 슬리브에 의해 둘러싸인 영구 자석을 갖고 기능한다. 이 해법 또한, 보유 요소들이 혀쪽과 입쪽으로 일체로 형성되며 길다란 측방향으로 일체로 형성된 러그(lug)의 형상을 형성한다. 여기서 또한 치과 보철 수프라 구조물을 고정하는 것은 단지 초보적으로 실현된다.
바 매트릭스는 DE-3009758A에 알려져 있으며, 이 바 매트릭스는 교합 방향으로 이어지며 일체로 형성된 핀을 갖는 슬리브로 구성된다. 이들로 달성될 수 있는 보유력은 최소화된다.
이와는 대조적으로 DE-29609304 U에 따른 종래 해법이 있으며, 여기서 바 매트릭스는 입쪽이나 혀쪽으로 일체로 형성된 윙(wing)을 갖는 슬리브로 형성된다.
환자에 실제 일체로 형성된 바 돌출부와, 이에 따라 또한 횡단면이 직사각형인 U자형 슬리브로 형성된 바 매트릭스 및 이들 매트릭스와 돌출부들이 서로 몰딩된 것은 완전히 별난 것이다. US-2003/0211444에 따른 해법은 이에 따라 돌더 박사의 바와 결합될 수 없을 수 있다.
마지막으로, 바 매트릭스는 US 4209 904에 알려져 있으며 이 바 매트릭스는 돌더 박사의 바 상에 배치될 수 있는 다수의 라이더(riders)로 형성되며, 여기서 라이더는 슬리브 부분을 구비하며, 이 슬리브 부분 위에 교합 방향으로 구부러져 있는 탭이 일체로 형성된다. 이 해법은 그 자체로 단지 주조 모델 없이 이에 따라 금속 보강재 없이 수프라 구조물에 적합하다. 만약 탭들이 치아의 구개 면(pallatinal surface)이 바에 매우 가까이 이어져 있는 위치에 위치하는 경우, 보유 탭은 연마되어야 하며 이에 따라 보유력은 크게 약화된다.
그 결과, 본 발명의 목적은, 바 매트릭스 위에 부착된 치과 보철 수프라 구조물을 약화시킴이 없이 또는 이 기술 분야의 상태의 다른 단점을 허용하는 일 없이 바 매트릭스로부터 치과 보철 수프라 구조물로의 보유력이 증가될 수 있는 방식으로 초기 언급된 타입의 바 매트릭스를 개선시키는 것이다.
본 특허청구범위 제1항의 전제부에 따른 바 매트릭스는 이 목적을 달성한다. 보유 요소의 연속적인 설계는 치과 기술자들이 슬리브를 손상시킴이 없이 구조물을 약화시키거나 다른 부정적인 효과를 유발시킴이 없이 연마에 의하여 보유 요소를 임의의 위치에서 주어진 상황에 적응하는 것을 가능하게 해준다.
대부분의 경우에, 상당히 더 많은 공간이 치과 보철 수프라 구조물을 생성하는 치과 제조소 기술자에게 교합 방향으로 이용가능하다. 그러나, 사용시 발생하는 힘이 본질적으로 교합 방식으로 작용하므로, 보유 요소들이나 적어도 하나의 보유 요소들이 교합 방향을 벗어나서 절삭되는 것을 필요로 한다.
본 발명의 대상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도면에 간략히 제시되었으며 이후 상세한 설명에서 설명되어 있다.
도 1은 2개의 임프란트 상에 고정되는 돌더 박사의 바(bar)의 사시도.
도 2는 길이방향의 정렬에 수직한 바 매트릭스의 제 1 실시예의 단면도.
도 3은 길이방향의 정렬에 수직한 바 매트릭스의 제 2 실시예의 단면도.
도 4는 특수한 방식으로 사용되는 바 매트릭스의 부분 측면도.
도 5는 상이하게 설계된 단면 형상을 갖는 바 매트릭스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측면도.
도 6은 상이하게 설계된 단면 형상을 갖는 바 매트릭스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사시도.
도 7은 축소된 크기로 도시된 종래 타입의 바 매트릭스의 단면도.
마지막에 도시된 도 7은 종래의 바 매트릭스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이 바 매트릭스는 클램핑 부분을 형성하며 이 부분으로 전체 보철이나 부분 보철이 바 돌출부 상에 탄성적으로 고정된다. 그러므로, 삽입된 상태에서, 부분 보철이나 전체 보철이 도 1에 따른 돌더 박사의 바(bar)를 커버한다. 이 바 매트릭스의 길이는 이에 의해 최대로 가로대 또는 바(2)의 길이에 대응한다. 실제 바 매트릭스는 여기서 참조 부호 A로 표시된다. 이 바 매트릭스는 횡단면이 아치 형상인 길다란 슬리브(B)로 구성된다. 이 슬리브는 이미 언급된 바와 같이 바 돌출부(1)의 가로대(2)위에 놓이기 때문에 종종 라이더 슬리브(rider sleeve)라고도 불리운다. 이 라이더 슬리브(B)는 클램핑 벽(C)에 의해 양 측면 위에 길이방향으로 제한된다. 이들 클램핑 벽들은 베어링 보우(bearing bow)로 병합된다. 보유 요소(retention element)(E)는 베어링 보우의 영역에 일체로 형성된다. 이들 보유 요소의 코스는 정확히 입쪽과 혀쪽으로 이어진다. 치과 보철 수프라 구조물의 힘은 본질적으로 교합 방향으로 이어지기 때문에 중요한 것은 단지 그 방향이 아니라 보유 요소들의 사이즈이다. 보유 요소들을 확대하는 것은 이들 보유 요소들이 두 개의 클램핑 벽 들의 폭을 넘어 갈 수 있었기 때문에 이전의 설계로는 가능하지 않았다.
본 발명에 따른 매트릭스의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도 2에서 바 매트릭스의 정렬을 따라 횡단면으로 도시되어 있다. 이 바 매트릭스는 전체로서 참조 번호 10으로 지시되어 있다. 이 바 매트릭스는 슬리브 또는 라이더 슬리브(11)를 포함하며, 이 슬리브는 여기서 또한 길이방향으로 이어져 있고 대략 평행하게 배열된 2개의 클램핑 벽(12)을 더 포함한다. 2개의 클램핑 벽(12)은 또한 다시 베어링 보우(13)로 병합된다. 본질적으로 교합 방향으로 정렬된 적어도 하나의 보유 요소(14)는 베어링 보우(13) 상에 제공되어야 한다. 이에 의해, 보유 요소(14)의 형상은 교합 방향을 벗어난 적어도 하나의 절삭부(undercut)가 발생하도록 이루어져야 한다. 씹는 동작으로 치과 수프라 구조물에서 발생하는 것은 교합 방향으로의 힘 뿐만 아니라 이 방향과는 다른 본질적으로 입쪽이나 혀쪽 방향으로 발생하는 힘 성분이 또한 존재하기 때문에, 본질적으로 교합 방향으로 이어지는 적어도 하나의 보유 요소(14)를 정렬하는 것이 이들 힘 성분이 또한 최적으로 수용될 수 있기 때문에 특히 유리하다.
2개의 보유 요소는 도 2에 따른 실시예에 제시되어 있다. 제 1 보유 요소는 실제로는 교합 방향으로만 정렬되며 참조 번호 141로 지시되어 있다. 제 1 보유 요소(141)는 바 매트릭스(10)의 전체 길이에 걸쳐 이어지거나 또는 슬리브(11)의 전체 길이에 걸쳐 이어진다. 이 제 1 보유 요소는 본질적으로 넥부(144) 상의 하나의 부품으로서 베어링 보우(13)에 연결되며 헤드(143)를 형성하는 횡단면 형상을 구비한다. 본질적으로 억지끼워맞춤(positive fit)을 통해 교합 방향으로 발생하는 힘 을 수용할 수 있는 절삭부(145)는 제 1 보유 요소의 넥부(144)로 인해 양 측면 상에서 일어난다. 그러나, 이 위에 증착될 수 있는 치과 보철 수프라 구조물의 주조 물질을 더 우수하게 고정하기 위하여 이 실시예에서 제 1 보유 요소에 대해 각도(α)로 기울어져 일체로 형성된 제 2 보유 요소(142)가 제공된다. 동일한 방식으로 이 제 2 보유 요소는 바 매트릭스(10)의 길이방향에 평행하게 이어지며 마찬가지로 제 1 보유 요소(141)에 평행하게 이어진다. 이 기울어진 형상으로 인해, 여기서 훨씬 더 큰 절삭부(146)가 제 2 보유 요소(142) 아래에 생긴다.
전체 슬리브(11)는 미리 제조된 요소이며, 이 요소를 치과 제조소가 구매하여 이 슬리브(11)를 주조 모델(G)에 주입하여 더 가공하며 보철 치아는 이 위에 형성된다. 보유 요소(14)는 주조 모델(F)을 통해 돌출하며, 이미 언급된 바와 같이 억지끼워맞춤을 통해 치과 보철 수프라 구조물을 보유하는 기능을 한다. 이것으로, 클램핑 벽(12)의 특정 스프링 이동을 허용하는 갭이 주조 모델(G)과 슬리브(11)의 클램핑 벽(12) 사이에 유지된다.
보유 요소의 연속적인 설계는 치과 기술자로 하여금 슬리브를 손상시킴이 없이 구조물을 약화시키거나 다른 부정적인 효과가 발생하는 일 없이 연마에 의하여 보유 요소를 임의의 위치에서 주어진 상황에 적응할 수 있게 해준다.
본 발명의 대상의 제 2 바람직한 실시예는 도 2와 동일한 표현으로 도 3에 도시되어 있다. 슬리브(11)로 구성된 바 매트릭스(10)는 다시 주조 모델(G) 내에 매립되게 도시되어 있으며, 이 슬리브(11)는 다시 클랩핑 벽(12)을 구비하며, 이 클램핑 벽(12)은 서로 평행하게 이어지며 그 벽 두께는 도 2에 따른 실시예에서와 같이 이 방식으로 클램핑 벽(12)의 스프링 효과를 증가시키기 위하여 단부 쪽으로 베어링 보우(13)로부터 원뿔형으로 약간 테이퍼(taper)져 있다. 이 때, 단일 보유 요소(14)는 베어링 보우(13) 상에 일체로 형성된다. 이 단일 보유 요소(14)는 다시 슬리브(11)의 전체 길이에 걸쳐 연장하며 여기서 또한 헤드(14')와 넥부(14")를 구비한다. 보유 요소(14)는 본질적으로 교합 방향으로 정렬되어 있으나, 이전의 실시예에서와 같이 제 2 보유 요소(142)에 대해 입쪽이나 혀쪽의 방향으로 기울기를 가지고 있다. 입쪽이나 혀쪽 방향으로 기울기는 설치 위치에 따라 좌우되며 치과 제조소에 의해 결정된다. 통상적으로 이 설치 위치는 설치되는 상황에서 보유 요소(14)가 입쪽 외부로 향하는 경향이 있게 정해진다. 단일 보유 요소가 제공되는 경우, 이것은 물론 변형예보다 더 크게 설계될 수 있으며 이 경우 2개의 보유 요소들은 동일한 방식으로 서로 평행하게 이어지게 제공된다. 기울기는 본질적으로 확대된 절삭부(14"')를 실현하는 역할을 한다. 보유 요소의 기울기는 통상적으로 0°내지 45°사이에서 선택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10°내지 30°사이에서 선택된다. 그러나, 전술된 실시예에서와 같이 2개의 보유 요소들이 제공되는 경우, 물론 하나의 보유 요소는 입쪽으로의 기울기를 가지고 있고 다른 보유 요소는 혀쪽으로의 기울기를 가지고 있거나 또는 이 2개의 보유 요소들 중 단 하나만이 기울기를 가지고 있을 수도 있다. 따라서, 각도(α)는 물론 큰 범위까지 변할 수 있다. 그러나, 가장 바람직하게는 이 각도는 최대 90°를 넘지 않으며 바람직하게는 각도(α)는 10°내지 45°사이이다. 보유 요소들의 헤드를 적절히 크게 설계하고 이와 동시에 치과 보철 수프라 구조물을 형성하는 매스의 완벽한 흐름을 보장하기 위하여 연결 넥 부(144,147)의 길이를 서로 다르게 길게 할 수 있는 것은 사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보유 요소들이 길이방향으로 이어져 있는 해법의 설계를 가지게 하는 것이다.
도 3에 따른 실시예 뿐만 아니라 도 2에 따른 실시예에 대해 치과 제조소 기술자는 보유력을 증가시키고 또한 이와 동시에 슬리브의 코스에서 특정 형상의 개조를 수행하기 위하여 추가 조치를 취할 수도 있다. 이것은 도 6에 상징적으로 제공되어 있으며, 도 6에 단일 보유 요소(14)를 갖는 슬리브(11)가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보유 요소는 여기서 적절한 톱질, 밀링 또는 줄로 다듬기에 의하여 잘라져서(interrupt) 이에 따라 보유 요소는 절삭부를 갖게 절단되어 있다. 말단과 중간에서 기울어져 이어지는 절삭부 에지를 형성하는 본 응용은 슬리브로부터 나오며 여기서 보유 요소는 그 전체 길이에 걸쳐 연속적으로 연장한다. 몰드 주조 과정으로 슬리브(11)를 제조하는 경우, 보유 요소(14) 상에 있는 절삭 에지(16)는 또한 시작시부터 이상적으로 바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어쨌든 정상적인 경우에는 치과 제조소가 개조를 수행할 수 있기 때문에, 치과 제조소가 절삭 에지를 구현하는 해법이 선호된다.
바 매트릭스(10)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도 5 및 도 6에 제시되어 있다. 이것은 다시 바 돌출부의 길이에 적응된 연속하는 연장부를 구비한다. 슬리브(11)는 베어링 보우(13)를 통해 서로 연결된 2개의 클램핑 벽(12)으로 구성된다. 클램핑 벽(12)은 단차진 두께를 구비하며 여기서 바(2)에 슬리브(11)의 보유력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클램핑 스트립(121)이 그 내측에 포함되어 있다.
슬리브(11)는 베어링 보우의 정점 라인(apex line)(S)에 대해 또는 길이방향 축에 대해 미러 대칭이다. 단일 보유 요소(14)의 넥부(14")는 여기서 이 정점 라인(S)에 대해 편심으로 일체로 형성된다. 넥부(14")는 보유 요소(14)의 헤드(14')에 연결하는 연결부를 나타낸다. 이 헤드는 전술된 예에 비해 다른 횡단면 형상을 구비한다. 기본적으로, 헤드(14')의 횡단면 형상은 임의의 형상을 구비할 수 있다.
여기에 제시된 형상에서 헤드는 길이방향에 대해 횡방향으로 이어지는 광폭부(widening)를 구비하며 이 광폭부는 입쪽과 혀쪽 방향으로 이어진다. 여기서 분명한 것은 헤드(14')의 평탄부(flattening)(140)이다. 이 평탄부(140)는 교합 방향으로 발생하는 수프라 구조물의 힘 아래에 노치 효과를 피하기 위해 선호된다. 이 평탄부는 보다 바람직하게는 교합 방향에 수직하게 이어진다.
보유 요소(14)의 넥부(14")를 편심 정렬하는 것은 치아의 구개 면의 다른 코스와 연관이 있다. 그러나, 헤드(14')의 편심 정열은 헤드가 임의의 측 상에서 클램핑 벽의 연장을 넘어 돌출하지 않게 이루어져야 한다. 만약 있다면, 외부 입쪽 치아 면은 수직하게 이어지는 반면, 구개 치아 면은 혀쪽 방향 쪽으로 기울어지게 이어진다. 이에 따라, 설치 위치에서, 보유 요소(14)는 구개 측으로부터 멀어지게 변위된다. 따라서, 구개 면은 도 5의 좌측에 위치될 수 있다.
이 배열은, 대부분 더 많은 공간을 제공하는, 구개 측에서 보다 더 작은 일측에, 통상적으로 입쪽 측에, 슬리브와 헤드(14') 사이의 절삭부로 유도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바 매트릭스는 각 수프라 구조물에 정확하게 적응될 수 있는 특별한 형상으로 인해 제한된 공간 조건에서도 최적의 고정을 갖는 최대의 공간 이 용가능성을 허용한다.
전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바 돌출부 상에 치과 보철 수프라 구조물을 고정하는데에 이용가능하다.
<참조 번호의 간단한 설명>
1 : 바 돌출부
2 : 가로대 또는 바
3 : 고정 헤드
4 : 나사 홀
5 : 임플란트
A : 웹 매트릭스
B : 슬리브 또는 라이더 슬리브
C : 클램핑 벽
D : 베어링 보우
E : 보유 요소
G : 주조 모델
S : 슬리브의 정점 라인
10 : 바 매트릭스
11 : 슬리브
12 : 클램핑 벽
13 : 베어링 보우
14 : 보유 요소
14' : 단일 보유 요소의 헤드
14" : 단일 보유 요소의 넥부
14"' : 절삭부
15 : 구개 측에 있는 절삭부
16 : 절삭부 에지
121 : 클램핑 스트립
140 : 평탄부
141 : 제 1 보유 요소
142 : 제 2 보유 요소
143 : 제 1 보유 요소의 헤드
144 : 제 1 보유 요소의 넥부
145 : 제 1 보유 요소의 절삭부
146 : 제 2 보유 요소의 절삭부
147 : 제 2 보유 요소의 넥부
148 : 제 2 보유 요소의 헤드

Claims (10)

  1. 바 돌출부(1) 상에 치과 보철 수프라 구조물을 고정하기 위한 바 매트릭스(10)로서,
    상기 바 매트릭스는, 횡단면이 적어도 거의 U 자형으로 구부러져 있는 슬리브(11)를 구비하며, 상기 슬리브(11)는 상기 바 돌출부 상에 고정될 수 있고 상기 슬리브 상에는 적어도 하나의 보유 요소(14)가 치과 보철 수프라 구조물을 보유하기 위해 배열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보유 요소(14,14',14"; 141; 142)는 상기 슬리브 상에 일체로 형성된 본질적으로 교합 정렬을 갖는 부분인, 바 매트릭스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보유 요소(14; 14', 142)는 상기 슬리브(11)의 전체 길이에 걸쳐 연장하며 횡단면이 연결 넥부(14"; 144,147)를 갖는 헤드(14'; 143,148)의 형상을 구비하며, 이에 따라 연결 넥부는 양측에서 보유 절삭부(14"'; 145,146)를 형성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보유 요소의 연결 넥부는 상기 슬리브의 정점 라인에 대해 오프셋되어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 매트릭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보유 요소(14; 142)는 추가적으로 교합 방향에서 벗어나 입쪽이나 혀쪽으로 기울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 매트릭스.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교합 방향에서 벗어나 있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보 유 요소(14; 142)의 기울기는 0°내지 45°사이이며 바람직하게는 10°내지 30°사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 매트릭스.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11)의 전체 길이에 걸쳐 연장하는 2개의 평행한 보유 요소(141,142)를 포함하며, 2개의 평행한 보유 요소는 본질적으로 교합 정렬을 하며 서로 각도(α)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 매트릭스.
  5. 제 4 항에 있어서, 두 보유 요소(141,142)가 서로 이루는 각도(α)는 최대 90°이고, 이 각도는 바람직하게는 10°내지 45°사이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 매트릭스.
  6. 제 4 항에 있어서, 두 보유 요소(141,142)는 횡단면이 연결 넥부(144,147)를 갖는 헤드(143,148)의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 매트릭스.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넥부(144,147)의 길이는 서로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 매트릭스.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 요소의 헤드는 전체 길이에 걸쳐 연장하는 평탄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 매트릭스.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평탄부는 교합 방향에 수직하게 이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 매트릭스.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11)의 전체 길이에 걸쳐 연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보유 요소(14; 141, 142)는 하나 이상의 위치에서 상기 보유 요소의 길이방향에 횡방향으로 절삭부 에지(16)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 매트릭스.
KR1020097005704A 2006-09-21 2007-07-06 스파이더 다이 KR2009005799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H15072006 2006-09-21
CH1507/06 2006-09-21
CH540/07 2007-04-04
CH5402007 2007-04-0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57990A true KR20090057990A (ko) 2009-06-08

Family

ID=385142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05704A KR20090057990A (ko) 2006-09-21 2007-07-06 스파이더 다이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8100691B2 (ko)
EP (1) EP2063805B1 (ko)
JP (1) JP2010504116A (ko)
KR (1) KR20090057990A (ko)
AT (1) ATE517586T1 (ko)
CA (1) CA2663729C (ko)
WO (1) WO200803426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H700634A1 (de) 2009-03-19 2010-09-30 Cendres & Metaux Sa Vorrichtung zur Befestigung eines Zahnersatzes.
US9655699B2 (en) * 2009-07-23 2017-05-23 Lieh-Tang Chen Artificial teethridge and fang
US9498306B2 (en) * 2012-06-04 2016-11-22 Skvirsky, Ltd Device for removable attachment of dental prosthesis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367885A (en) * 1920-08-26 1921-02-08 Joseph K Means Dental appliance
JPS545993U (ko) * 1977-06-09 1979-01-16
US4209904A (en) 1978-10-23 1980-07-01 Staubli Peter E Rider clip with offset retention flaps and retention bar for denture
JPS56102238A (en) * 1980-01-14 1981-08-15 Edogaa Sutooburi Piitaa Holding clip for denture
DE3009758A1 (de) 1980-03-14 1981-09-24 Josef 4630 Bochum Herrmann Herausnehmbare zahnprothese
FR2508307A1 (fr) * 1981-09-16 1982-12-31 Lonca Philippe Nouveaux implants dentaires et materiel ancillaire pour leur mise en place
JPS62224348A (ja) * 1986-12-29 1987-10-02 西山ステンレスケミカル株式会社 義歯床の製造方法
CH673215A5 (ko) 1987-11-27 1990-02-28 Cendres & Metaux Sa
US5007833A (en) * 1990-07-10 1991-04-16 Implant Plastics Corporation Buttress channel
US5427906A (en) * 1993-05-27 1995-06-27 Hansen; Gorm P. System for bracing dental implants or natural tooth roots to secure artificial teeth
DE29609304U1 (de) 1996-05-24 1996-09-12 Morales H Julio Stegverankerung
JP2002102258A (ja) 2000-09-29 2002-04-09 Aichi Steel Works Ltd バータイプインプラント用義歯アタッチメント
JP4116783B2 (ja) * 2001-11-08 2008-07-09 正晴 荒木 有床義歯
US20030211444A1 (en) * 2002-03-08 2003-11-13 Andrews James A. Dental prosthetic structures and components
DE202005006941U1 (de) 2005-04-28 2006-09-07 Stelz, Frank Prothesenste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663729C (en) 2014-04-22
EP2063805B1 (de) 2011-07-27
US8100691B2 (en) 2012-01-24
ATE517586T1 (de) 2011-08-15
WO2008034267A8 (de) 2008-05-22
CA2663729A1 (en) 2008-03-27
JP2010504116A (ja) 2010-02-12
US20090269715A1 (en) 2009-10-29
WO2008034267A1 (de) 2008-03-27
EP2063805A1 (de) 2009-06-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709101B2 (ja) 歯列矯正用のブラケット
US20180353270A1 (en) Dental prosthesis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KR101354459B1 (ko) 치관외 부착장치와 그 제조방법
CA2389440A1 (en) Anti-snoring device and method of making same
US8092218B2 (en) Arrangement for fastening a dental prosthesis to a male bar
JP2001178745A (ja) 歯科印象用トレー
KR20090057990A (ko) 스파이더 다이
US4259073A (en) Extra coronal attachment
KR100698931B1 (ko) 치과용 보철물
JPS62299259A (ja) 義歯床取付け構造体及び方法
KR20050014391A (ko) 의치 브릿지 조립체
KR100817305B1 (ko) 앞니용 보철물
JP5624094B2 (ja) 歯列矯正用ブラケット
JP2010094382A (ja) 部分義歯
CN101516289B (zh) 杆状凹件
KR100614975B1 (ko) 치과용 보철물 및 그 설치방법
KR200395918Y1 (ko) 치과용 보철물
US5941707A (en) Precision attachment for a partial denture
KR200395917Y1 (ko) 치과용 보철물
US2602226A (en) Artificial teeth and backing therefor
JP6561306B1 (ja) 入れ歯
KR101105492B1 (ko) 치과용 허그 브릿지 조립체 및 이에 사용되는 어태치먼트
CN209808596U (zh) 一种活动义齿
RU2251993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крепления бюгельного протеза
US5165892A (en) Neckless blade impla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