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05492B1 - 치과용 허그 브릿지 조립체 및 이에 사용되는 어태치먼트 - Google Patents

치과용 허그 브릿지 조립체 및 이에 사용되는 어태치먼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05492B1
KR101105492B1 KR1020100007773A KR20100007773A KR101105492B1 KR 101105492 B1 KR101105492 B1 KR 101105492B1 KR 1020100007773 A KR1020100007773 A KR 1020100007773A KR 20100007773 A KR20100007773 A KR 20100007773A KR 101105492 B1 KR101105492 B1 KR 1011054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g
abutment
groove
piece
brid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077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88048A (ko
Inventor
우윤규
Original Assignee
우윤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우윤규 filed Critical 우윤규
Priority to KR10201000077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05492B1/ko
Publication of KR201100880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880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054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054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225Fastening prostheses in the mouth
    • A61C13/273Fastening prostheses in the mouth removably secured to residual teeth by using bolts or lock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225Fastening prostheses in the mouth
    • A61C13/26Dentures without palates; Partial dentures, e.g. bridg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225Fastening prostheses in the mouth
    • A61C13/267Clasp fasten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225Fastening prostheses in the mouth
    • A61C13/275Fastening prostheses in the mouth removably secured by using bridging bars or rails between residual teeth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ntal Prosth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구강내 치아 결손부위에 장착되는 치과용 브릿지 조립체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브릿지 조립체는, 설측면에 요홈을 구비하는 적어도 하나의 인공치와, 상기 결손부위의 측방에 위치하는 지대치의 협측면을 감싸는 것으로서 일단이 상기 인공치에 연결된 협측 윙(wing)을 구비하는 제1피스; 상기 제1피스의 상기 요홈에 삽입되는 삽입블록과 상기 지대치의 설측면을 감싸는 것으로서 일단이 상기 삽입블록에 연결된 설측 윙을 구비하는 제2피스; 상기 삽입블록을 상기 요홈의 내부에 고정시키는 것으로서, 상기 삽입블록을 횡방향으로 관통하여 그 단부가 상기 요홈의 내벽에 고정되는 체결수단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지대치의 협측면에서 밀착되는 윙과 설측면에서 밀착되는 윙이 횡방향으로 체결된 나사에 의해 지대치의 측면을 강하게 압박하므로 종래 방식에 비해 윙의 결합력이 현저히 향상된다. 따라서 지대치와 윙을 치과용 시멘트로 고정할 필요가 없어 브릿지 장착이 매우 간편해진다. 또한 브릿지의 결합력이 크게 향상되므로 지대치의 요동이나 강한 교합력에도 불구하고 브릿지가 탈락될 가능성이 크게 줄어든다..

Description

치과용 허그 브릿지 조립체 및 이에 사용되는 어태치먼트{DENTAL HUG BRIDGE ASSEMBLY AND ATTACHMENT FOR THE SAME}
본 발명은 치과용 브릿지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2개의 피스(piece)를 횡방향으로 나사체결함으로써 지대치에 대한 윙(wing)의 결합력을 크게 향상시킨 브릿지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구강 내 결손 치아를 대체하기 위해 사용되는 보철물에는 인공치를 고정시키는 방식에 따라 여러 종류가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보철물 중에서 결손부위에 인접한 자연치를 지대치로 활용하는 브릿지 조립체(bridge assembly)에 관한 것이다.
브릿지 조립체는 고정방식에 따라 크라운브릿지(crown bridge), 메릴랜드 브릿지(maryland bridge), 휴먼브릿지(human bridge) 등으로 구분된다.
크라운브릿지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손부위에 인접한 지대치(10)에 씌워지는 금관(11)과 금관(11)의 사이에 결합된 인공치(12)를 포함한다. 그런데 금관(11)을 장착하기 위해서는 자연치를 삭제하여 지대치(10)로 사용해야 하므로 환자의 불편과 고통이 불가피하고, 자연치의 교합면이 상실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무삭제 또는 최소 삭제 브릿지로 제안된 것이 메릴랜드 브릿지와 휴먼브릿지이다.
메릴랜드 브릿지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공치(21)의 양 측부에 지대치(10)의 설측면과 협측면 중 한 면을 커버하는 윙(22)을 고정하고, 상기 각 윙(22)과 지대치(10)를 치과용 시멘트(24)로 고정시키는 방식이다.
그런데 메릴랜드 브릿지는 자연치를 삭제하지 않고 교합면을 그대로 이용할 수 있는 장점은 있으나, 음식을 씹을 때마다 자연치가 약간씩 요동하기 때문에 치과용 시멘트(10)만으로는 결합력이 장기간 유지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도 3은 휴먼브릿지(30)를 예시한 것으로서, 휴먼브릿지는 인공치(31)와 인공치(31)의 양 측면에 결합되는 윙(32)으로 이루어지며, 인공치(31)의 양 측면에는 세로방향의 결합홈(36)이 형성되고 각 윙(32)에는 상기 결합홈(36)에 삽입되는 결합돌기(34)가 형성된다.
따라서 각 윙(32)을 인접한 지대치(10)에 장착한 후에 결손부위에 인공치(31)를 삽입하고, 결합홈(36)과 결합돌기(34)의 경계부를 치과용 시멘트로 밀봉함으로써 장착이 완료된다.
그런데 휴먼브릿지는 인공치(31)의 하단부에 존재하는 결합홈(36)과 결합돌기(34)의 경계부를 봉합할 방법이 없기 때문에 이 부분에서 치석 등이 증착되어 감염이 발생할 위험이 높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통상 지대치(10)의 상부에서 손으로 눌러서 윙(32)을 장착해야 하는데 장착을 쉽게 하기 위해 언더컷 양을 적게 하면 그만큼 쉽게 탈락될 수 있고, 언더컷 양을 많게 하면 정확한 위치에 윙(32)을 장착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휴먼브릿지에서도 지대치(10)를 일부 삭제하고 치과용 시멘트로 윙(32)을 고정하는 경우가 많은데 치과용 시멘트는 경화시간이 매우 짧기 때문에 제시간에 정확한 위치에 윙(32)을 장착하지 못하는 경우가 빈번하다. 실제 치과업계에서는 휴먼브릿지(30)의 장착 실패율이 매우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휴먼브릿지는 윙(32)이 자체 탄성력과 치과용 시멘트에 의해 지대치(10)에 결합되어 있을 뿐이므로 지대치(10)의 지속적인 요동이 장기간 누적되거나 과도한 교합력이 가해질 경우에 윙(32)이 분리될 위험이 높다는 문제점이 있다.
도 4는 휴먼브릿지(30)에서 변형된 형태의 브릿지를 나타낸 것으로서, 이하에서는 편의상 영 브릿지(young bridge)(40)로 칭하기로 한다. 영 브릿지(40)는 인공치(41)와, 인공치(41)의 하부에서 인공치(41)의 내부로 삽입되는 원뿔형의 베이스(43)로 이루어지고, 인공치(41)와 베이스(43)의 일 측부에 각각 윙(46)이 장착된 구조를 가진다. 그리고 인공치(41)와 베이스(43)는 각각의 중앙부에 수직으로 형성된 나사공(44)을 통해 체결되는 나사(47)에 의해 서로 결합된다.
이러한 구조의 영브릿지(40)도 휴먼브릿지(30)와 동일한 문제점을 안고 있다. 즉, 잇몸에 접하는 부분에 밀봉이 불가능한 경계부가 형성되기 때문에 치아질병이 유발될 위험이 높고, 윙(46)의 자체 탄성력과 치과용 시멘트에 의해 지대치(10)에 결합되어 있을 뿐이므로 지대치(10)의 지속적인 요동이 장기간 누적되거나 과도한 교합력이 가해질 경우에 윙(46)이 분리될 위험이 높다. 또한 치과용 시멘트로 윙(46)을 고정하는 경우가 많으므로 전술한 바와 같이 짧은 시간에 정확한 위치에 윙(46)을 장착하기가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등록실용신안공보 제242258호(2001.10.25) 대한민국등록특허공보 제788794호(2007.12.27)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종래 방식에 비해 장착이 간편하면서도 결합력이 크게 향상된 치과용 브릿지 조립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잇몸부근에 밀봉 불가능한 경계면이 형성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이로 인한 치아질병을 방지할 수 있는 치과용 브릿지 조립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구강내 치아 결손부위에 장착되는 것으로서, 설측면에 요홈을 구비하는 적어도 하나의 인공치와, 상기 결손부위의 측방에 위치하는 지대치의 협측면을 감싸는 것으로서 일단이 상기 인공치에 연결된 협측 윙(wing)을 구비하는 제1피스; 상기 제1피스의 상기 요홈에 삽입되는 삽입블록과 상기 지대치의 설측면을 감싸는 것으로서 일단이 상기 삽입블록에 연결된 설측 윙을 구비하는 제2피스; 상기 삽입블록을 상기 요홈의 내부에 고정시키는 것으로서, 상기 삽입블록을 횡방향으로 관통하여 그 단부가 상기 요홈의 내벽에 고정되는 체결수단을 포함하는 치과용 브릿지 조립체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치과용 브릿지 조립체에 사용되는 어태치먼트에 있어서, 인공치의 내부에 장착하기 위한 것으로서, 적어도 일측으로 개구된 공간부를 구비하는 피메일파트; 상기 피메일파트의 상기 공간부에 삽입되는 메일파트; 상기 메일파트를 상기 피메일파트의 상기 공간부의 내부에 고정시키는 체결수단을 포함하는 치과용 브릿지 조립체의 어태치먼트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협측윙과 설측윙이 횡방향으로 체결된 나사에 의해 지대치의 협측면과 설측면을 강하게 압박하므로 종래 방식에 비해 윙의 결합력이 현저히 향상된다.
따라서 지대치와 윙을 치과용 시멘트로 고정할 필요가 없어 브릿지 장착이 매우 간편해진다.
또한 브릿지의 결합력이 크게 향상되므로 지대치의 요동이나 강한 교합력에도 불구하고 브릿지가 탈락될 가능성이 크게 줄어든다..
또한 인공치의 설측면에서 어태치먼트의 메일파트가 삽입되므로 인공치의 하부에 밀봉 불가능한 경계부가 발생하지 않으며, 따라서 세균감염의 위험이 크게 줄어들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크라운 브릿지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종래의 메릴랜드 브릿지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종래의 휴먼브릿지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종래의 영 브릿지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브릿지 조립체의 분해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브릿지 조립체가 장착된 모습을 나타내 평면도
도 7은 2개의 인공치를 연결하여 장착한 모습을 나타낸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브릿지 조립체에 사용되는 어태치먼트의 분해사시도
도 9는 록킹핀을 이용하여 어태치먼트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10은 어태치먼트의 변형예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브릿지 조립체의 분해사시도로서, 제1피스(110)와 제2피스(120)가 횡방향 체결되는 나사(130)에 의해 결합된 구조를 가진다.
제1피스(110)는 구강내 협측에서 장착되는 것으로서, 중앙에 위치하는 인공치(112)와, 인공치(112)의 양 측으로 각각 돌출된 한 쌍의 협측윙(114)으로 이루어지며, 인공치(112)의 설측면에 요홈(116)이 형성된 점에 특징이 있다.
인공치(112)는 그 자체가 금속재질이거나 내부에 금속재질의 심재를 포함하며, 인공치(112)의 금속재질은 협측윙(114)과 동일한 재질로서 협측윙(114)과 일체로 연결된다. 미감을 위해서는 인공치(112)의 표면을 세라믹 재질로 덮는 것이 보다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인공치(112)의 상단 주연부에는 인접한 지대치의 상면부에 거치되는 레스트(118)가 측방으로 돌출될 수도 있다.
제1피스(110)의 각 협측윙(114)은 공지된 치기공 기법에 의하여 결손부위의 양측 지대치의 협측면에 대응하는 윤곽을 가지도록 제작되어야 하고, 레스트(118)는 인접한 지대치의 대응하는 상부면과 동일한 윤곽으로 제작되어야 한다.
제2피스(120)는 구강 내 설측으로부터 제1피스(110)에 장착되는 것으로서, 제1피스(110)의 요홈(116)에 대응하는 것으로 횡방향으로 형성된 나사공(126)을 구비하는 삽입블록(122)과, 일단이 상기 삽입블록(122)에 각각 연결된 채 상기 삽입블록(122)의 양 측방으로 돌출된 한 쌍의 설측윙(124)을 포함한다.
제2피스(120)의 각 설측윙(124)도 공지된 치기공 기법에 의하여 결손부위의 양측 지대치의 설측면에 대응하는 윤곽을 가지도록 제작됨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브릿지 조립체(100)는 구강 내 장착이 매우 편리한 장점이 있다. 즉, 치아 결손부위의 협측에 제1피스(110)를 장착한 후에, 설측에서 제2피스(120)의 삽입블록(122)을 제1피스(110)의 요홈(116)에 삽입하고 나사공(126)을 통해 나사(130)를 체결함으로써 간편하게 장착이 완료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브릿지 조립체(100)가 장착된 모습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체결하면 협측윙(114)과 설측윙(124)이 나사(130)에 의해 서로를 향해서 힘을 받으므로 지대치(10)에 대한 윙(114,124)의 결합력이 현저히 향상된다. 따라서 지대치(10)의 요동이나 강한 교합력이 지속적으로 가해지더라도 윙(114,124)이 탈락할 가능성이 크게 줄어들게 된다.
이와 같이 협측윙(114)과 설측윙(124)이 지대치(10)를 사이에 두고 서로 감싸안는 형태로 장착되기 때문에 본 발명의 브릿지 조립체(100)를 허그 브릿지(hug bridge)로 명명하였다.
또한 삽입블록(122)이 인공치(112)의 설측면에서 삽입되기 때문에 인공치(112)의 하부에는 밀봉 불가능한 경계면이 형성되지 않는다. 따라서 잇몸부근에서 치석 등으로 인한 세균감염의 위험이 크게 줄어든다.
한편 도 5 및 도 6은 결손치아가 1개인 경우에 사용되는 브릿지 조립체(100)를 예시한 것이며, 결손치아가 2개 이상인 경우에도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다.
즉,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피스(110)는 서로 연결된 2개의 인공치(112)마다 일 측방으로 협측윙(114)이 돌출되도록 제작하고, 제2피스(120)는 각 인공치(112)의 요홈(116)에 대응하는 서로 연결된 2개의 삽입블록(122)마다 일 측방으로 설측윙(124)이 돌출되도록 제작할 수 있다. 각 인공치(112)의 요홈(116)에 삽입블록(122)이 삽입된 후 나사 체결되어야 함은 물론이다.
이때 제2피스(120)의 2개의 삽입블록(122)을 일체로 제작하지 않고, 각 인공치(112)마다 1개씩의 설측윙(124)을 가지는 제2피스(120)를 별도로 결합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브릿지 조립체(100)에서 제1피스(110)의 요홈(116)에 제2피스(120)의 삽입블록(122)이 삽입되면, 제1피스(110)의 협측윙(114)과 제2피스(120)의 설측윙(124)이 각각 지대치(10)의 협측면과 설측면의 정확한 위치에 밀착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요홈(116)과 삽입블록(122)이 매우 정밀하게 가공될 필요가 있다. 그런데 치기공사(dental technician)가 이 부분까지 세공하는 것은 불가능하거나 이로 인해 작업시간이 크게 늦어질 수 있다.
따라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은 어태치먼트(attachment)(200)를 별도로 제작하여 치기공사로 하여금 활용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어태치먼트(200)는 피메일파트(female part)(210)와 메일파트(male part)(220)로 이루어진다. 피메일파트(210)는 서로 대향하는 2개의 수평부재(211, 212)와 각 수평부재(211, 212)의 일 단부를 연결하는 수직부재(213)를 구비함으로써 수평부재와 수직부재의 사이에 대략 ㄷ 형태의 단면을 가지는 공간부(216)가 형성된다.
피메일파트(210)는 도 5의 브릿지 조립체(100)에서 제1피스(110)의 인공치(112)를 가공할 때 그 내부의 금속재에 일체로 장착되는 부분이며, 따라서 피메일파트(210)의 공간부(216)는 이후에 인공치(110)의 요홈(116)으로써 기능하게 된다. 상기 공간부(216)는 입구의 양 측단부가 외부로 개방된 형태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메일파트(220)가 삽입되는 입구를 제외하고는 양 측단부는 밀폐될 수도 있을 것이다.
피메일파트(210)에서 각 수평부재(211)의 대향하는 면에는 가이드돌기(215)가 형성될 수 있는데, 이는 후술하는 메일파트(220)의 가이드홈(223)과 함께 피메일파트(210)와 메일파트(220)의 정확한 체결을 유도하는 역할을 한다.
메일파트(220)는 피메일파트(210)의 공간부(216)에 삽입되는 부분으로서, 본 발명의 브릿지 조립체(100)에서 제2피스(120)의 삽입블록(122)에 해당하는 부분이다. 제2피스(120)는 상기 메일파트(220)에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설측윙(124)을 일체로 연결하여 제작되며, 이때 메일파트(220)의 양 측단면에는 인접한 지대치(10)의 윤곽에 대응하는 면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메일파트(220)의 표면에는 피메일파트(210)의 가이드돌기(215)가 삽입되는 가이드홈(223)이 형성됨은 전술한 바와 같다. 다만, 가이드돌기(215)와 가이드홈(223)의 위치 반대쪽에 형성되어도 무방할 것이다. 즉, 메일파트(220)에 가이드돌기를 형성하고 피메일파트(210)에 가이드홈을 형성하여도 무방하다.
메일파트(220)에는 나사(130)가 삽입되는 나사공(225)이 형성되며, 나사공(225)의 내부에도 나사(130)와 결합되는 나사산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나사(130)는 메일파트(220)의 나사공(225)을 통과한 후 그 단부가 피메일파트(210)의 공간부(216)의 내벽에 형성된 체결홈(도면에는 보이지 않음)에 결합된다.
한편 장시간 사용시 지대치의 요동과 높은 압력으로 인해 나사(130)가 풀리는 위험을 방지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헤드부에 회전방지를 위한 평탄부(132)가 형성된 나사(130)와, 나사(130)의 평탄부(132)가 삽입되는 삽입홈(도면에는 보이지 않음)을 구비하는 고정캡(140)을 이용한다.
고정캡(140)은 측면으로 돌출된 적어도 하나의 고정돌기(142)를 포함하며, 메일파트(220)의 전면에는 나사공(225)의 주변에 고정캡(140)이 삽입되는 요홈이 형성된다. 상기 요홈은 고정캡(140)과 고정돌기(142)가 삽입되는 고정홈(227)을 포함한다.
따라서 메일파트(220)를 피메일파트(210)의 공간부(216)에 삽입한 후 나사(130)를 체결하여 고정한 다음, 나사(130)의 헤드에 고정캡(140)을 씌우고 고정캡(140)의 고정돌기(142)를 고정홈(227)에 삽입하면 나사(130)가 회전하지 못하게 되므로 나사풀림이 방지될 수 있다.
한편 피메일파트(210)와 메일파트(220)의 체결수단은 전술한 나사(130)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므로 여러 종류가 사용될 수 있다.
도 9는 록킹핀(locking pin)(180)을 이용하여 체결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로서, 록킹핀(180)의 일단(도면상 왼쪽)에는 적어도 하나의 걸림돌기(182)가 형성되어 있고 타단(도면상 오른쪽)에는 몸체보다 큰 직경의 헤드부(184)가 형성되어 있다.
메일파트(220)에는 록킹핀(180)이 삽입되는 관통공(228)이 형성되고, 피메일파트(210)의 공간부의 내벽에는 록킹핀(180)의 단부가 삽입되는 삽입공(218)이 형성된다. 상기 삽입공(218)과 관통공(228)의 반경은 걸림돌기(182)의 최대반경보다는 크고 헤드부의 반경보다는 작다. 또한 피메일파트(210)의 관통공(218)에는 내부로 돌출된 적어도 하나의 걸림턱(219)이 형성되고, 메일파트(220)에는 록킹핀(180)의 헤드부가 삽입 안착되는 요홈이 형성된다.
따라서 록킹핀(180)을 완전히 삽입한 후에 소정 각도 회전시키면 록킹핀(180)의 걸림돌기(182)가 피메일파트(210)의 걸림턱(219)의 하부(도면상 왼쪽)에 위치하게 되면서 빠지지 않게 된다.
다른 체결수단으로서 피메일파트(210)와 메일파트(220)이 서로 접하는 면에 서로 치합하는 치형을 각각 형성하여, 케이블 타이(cable tie)와 같은 형태로 체결할 수도 있다.
통상의 경우에는 나사(130)를 이용하여 체결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치아의 전후방향 길이가 짧은 경우에는 록킹핀(180)을 사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치아의 높이가 너무 낮은 경우에는 치형결합 방식이 보다 바람직할 것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어태치먼트(200)의 변형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피메일파트(210)의 공간부(216)의 대향하는 내벽을 곡면으로 가공하고, 삽입되는 메일파트(220)의 상하면도 이에 대응하는 곡면으로 가공한 점에 특징이 있다.
실제 장착시에는 설측에서 제2피스(120)를 장착할 때 상방에서 하방으로 회전시키면서 삽입블록(122)을 요홈(116)에 끼워넣어야 하는데, 공간부(216)의 내벽에 이와 같이 회전경로와 유사한 곡률의 곡면을 형성해주면 장착이 훨씬 용이해지는 이점이 있다.
또한 피메일파트(210)와 메일파트(220)가 아치구조를 가지게 되므로 치아의 전후방향으로 가해지는 압력에 대한 내압성능이 크게 향상되는 이점도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형태로 변형 또는 수정될 수 있다. 변형 또는 수정된 실시예라 하더라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포함한다면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게 됨은 당연하다 할 것이다.
100; 브릿지 조립체 110: 제1피스
112: 인공치 114: 협측윙
116: 요홈 118: 레스트
120: 제2피스 122: 삽입블록
124: 설측윙 126: 나사공
130: 나사 132: 평탄부
140: 고정캡 142: 고정돌기
180: 록킹핀 182: 걸림돌기
184: 헤드부 200: 어태치먼트
210: 메일파트 211. 212: 수평부재
213: 수직부재 215: 가이드돌기
216: 공간부 218: 삽입공
219: 걸림턱 220: 피메일파트
223: 가이드홈 225: 나사공
227: 고정홈 228: 관통공

Claims (4)

  1. 구강내 치아 결손부위에 장착되는 것으로서,
    설측면에 요홈을 구비하는 적어도 하나의 인공치와, 상기 결손부위의 측방에 위치하는 지대치의 협측면을 감싸는 것으로서 일단이 상기 인공치에 연결된 협측 윙(wing)을 구비하는 제1피스;
    상기 제1피스의 상기 요홈에 삽입되는 삽입블록과 상기 지대치의 설측면을 감싸는 것으로서 일단이 상기 삽입블록에 연결된 설측 윙을 구비하는 제2피스;
    상기 삽입블록을 상기 요홈의 내부에 고정시키는 것으로서, 상기 삽입블록을 횡방향으로 관통하여 그 단부가 상기 요홈의 내벽에 고정되는 체결수단;
    을 포함하는 치과용 브릿지 조립체
  2. 치과용 브릿지 조립체에 사용되는 어태치먼트에 있어서,
    인공치의 내부에 장착하기 위한 것으로서, 적어도 일측으로 개구된 공간부를 구비하는 피메일파트;
    상기 피메일파트의 상기 공간부에 삽입되는 메일파트;
    상기 메일파트를 상기 피메일파트의 상기 공간부의 내부에 고정시키는 체결수단;
    을 포함하는 치과용 브릿지 조립체의 어태치먼트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체결수단은,
    상기 메일파트를 관통하여 그 단부가 상기 피메일파트의 상기 공간부의 내벽에 고정되는 나사이거나,
    상기 메일파트를 관통하여 그 단부가 상기 피메일파트의 상기 공간부의 내벽에 형성된 삽입공에 삽입되고, 상기 삽입공의 내부에서 돌출 형성된 걸림턱에 대응하는 걸림돌기를 구비하는 록킹핀(locking pin)이거나,
    상기 메일파트와 상기 피메일파트의 인접면에 각각 형성되어 서로 치합하는 치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브릿지 조립체의 어태치먼트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체결수단은,
    상기 메일파트에 형성된 나사공을 관통하여 그 단부가 상기 피메일파트의 상기 공간부의 내벽에 고정되는 나사;
    풀림방지를 위하여 상기 나사의 헤드에 장착되고 일측으로 돌출된 고정돌기를 구비하는 고정캡;
    상기 고정캡이 삽입되는 부분으로서 상기 메일파트의 상기 나사공의 입구에 형성되고, 상기 고정돌기가 삽입되는 고정홈을 포함하는 요홈;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브릿지 조립체의 어태치먼트
KR1020100007773A 2010-01-28 2010-01-28 치과용 허그 브릿지 조립체 및 이에 사용되는 어태치먼트 KR1011054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7773A KR101105492B1 (ko) 2010-01-28 2010-01-28 치과용 허그 브릿지 조립체 및 이에 사용되는 어태치먼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7773A KR101105492B1 (ko) 2010-01-28 2010-01-28 치과용 허그 브릿지 조립체 및 이에 사용되는 어태치먼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8048A KR20110088048A (ko) 2011-08-03
KR101105492B1 true KR101105492B1 (ko) 2012-01-13

Family

ID=449267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07773A KR101105492B1 (ko) 2010-01-28 2010-01-28 치과용 허그 브릿지 조립체 및 이에 사용되는 어태치먼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0549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686181B (zh) * 2018-08-03 2020-03-01 光弘生醫科技股份有限公司 植牙力學阻斷流程及結構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30001984A (ko) * 1980-02-19 1983-05-21 히지가따 다께시 시클로펜타디엔 공중합체의 제조방법 및 전술한 공중합체 및 고무를 함유하는 조성물
WO1984002265A1 (en) * 1982-12-16 1984-06-21 Friedrich Lukesch Two-part sliding element for anchoring dental prostheses
KR100788794B1 (ko) * 2006-03-25 2007-12-27 장완영 치과용 보철물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30001984A (ko) * 1980-02-19 1983-05-21 히지가따 다께시 시클로펜타디엔 공중합체의 제조방법 및 전술한 공중합체 및 고무를 함유하는 조성물
WO1984002265A1 (en) * 1982-12-16 1984-06-21 Friedrich Lukesch Two-part sliding element for anchoring dental prostheses
KR100788794B1 (ko) * 2006-03-25 2007-12-27 장완영 치과용 보철물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686181B (zh) * 2018-08-03 2020-03-01 光弘生醫科技股份有限公司 植牙力學阻斷流程及結構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8048A (ko) 2011-08-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32353B1 (ko) 치아 임플란트
AU2015293884B2 (en) Provisional prosthetic systems and methods of using same
KR101173758B1 (ko) 후크핀 결합구조를 갖는 임플란트 유닛
JP2016531643A (ja) 歯科部品キット及びその組み立て法
JP6006880B2 (ja) 有床義歯用アタッチメント
US20140134571A1 (en) Dental Prosthesis And Fabrication
US9956060B2 (en) Dental prostheses cemented onto implants and/or abutments having a reverse margin
KR101172838B1 (ko) 멀티 어버트먼트 장치
US4711631A (en) Arrangement for joining denture components by adhesion (device for binding parts of dental prosthesis by adhesion)
KR102039010B1 (ko) 경사 어버트먼트
KR101307411B1 (ko) 치과용 임플란트
US20040014007A1 (en) Bridge assembly for positioning a denture
KR101707596B1 (ko) 치과 임플란트의 상호 호환용 어버트먼트
KR101105492B1 (ko) 치과용 허그 브릿지 조립체 및 이에 사용되는 어태치먼트
CN109862848B (zh) 义齿保持杆和系统
US20060204931A1 (en) Dental prosthesis and method
KR101105503B1 (ko) 치과용 어태치먼트, 이를 이용한 브릿지 조립체 및 임플란트 조립체
KR100698931B1 (ko) 치과용 보철물
JP6432911B2 (ja) 1つまたは複数の外側環状体を備えたマウントエレメントを有する単一部分または複数部分から成るインプラントシステム
KR20110022876A (ko) 임플란트 시술용 임프레션 코핑 및 이를 이용한 인상 채득 방법
KR20100090006A (ko) 치과용 임플란트의 픽스츄어
KR101196821B1 (ko) 치과용 보철물
JP2004113718A (ja) 歯科用インプラントにおけるインプラントフィクスチャーとアバットメントの接合形態及びアバットメントに関する。
KR200398423Y1 (ko) 치과용 보철물
KR102123803B1 (ko) 결합구조를 개선시킨 임플란트 구조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