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54470A - 영상에 의한 통신 방법 및 그 시스템 - Google Patents

영상에 의한 통신 방법 및 그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54470A
KR20090054470A KR1020097007837A KR20097007837A KR20090054470A KR 20090054470 A KR20090054470 A KR 20090054470A KR 1020097007837 A KR1020097007837 A KR 1020097007837A KR 20097007837 A KR20097007837 A KR 20097007837A KR 20090054470 A KR20090054470 A KR 200900544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deo
client device
image
user
subsy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078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03994B1 (ko
Inventor
에이프럴 미첼
알렉스 더블유 보바우
Original Assignee
휴렛-팩커드 디벨롭먼트 컴퍼니, 엘.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휴렛-팩커드 디벨롭먼트 컴퍼니, 엘.피. filed Critical 휴렛-팩커드 디벨롭먼트 컴퍼니, 엘.피.
Publication of KR200900544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544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039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039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60Network streaming of media packets
    • H04L65/61Network streaming of media packets for supporting one-way streaming services, e.g. Internet radio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server for facilitating the content distribution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end-users or client devices, e.g. end-user or client device authentication,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04N21/258Client or end-user data management, e.g. managing client capabilities, user preferences or demographics, processing of multiple end-users preferences to derive collaborative data
    • H04N21/25866Management of end-user data
    • H04N21/25875Management of end-user data involving end-user authenti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5Retrieval from the web
    • G06F16/954Navigation, e.g. using categorised brow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7/00Digital computing or data processing equipment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func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server for facilitating the content distribution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end-users or client devices, e.g. end-user or client device authentication,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04N21/258Client or end-user data management, e.g. managing client capabilities, user preferences or demographics, processing of multiple end-users preferences to derive collaborative data
    • H04N21/25866Management of end-user data
    • H04N21/25891Management of end-user data being end-user preferen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7Server based end-user applications
    • H04N21/274Storing end-user multimedia data in response to end-user request, e.g. network recorder
    • H04N21/2743Video hosting of uploaded data from cli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8Supplemental services, e.g. displaying phone caller identification, shopping application
    • H04N21/4788Supplemental services, e.g. displaying phone caller identification, shopping application communicating with other users, e.g. chat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Remote Sens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영상에 의한 통신 개시된다. 메뉴에 대한 영상이 클라이언트 장치로 스트리밍된다. 메뉴로부터의 선택을 식별하는 신호가 수신된다. 이 선택과 연관된 제 1 영상은 클라이언트 장치로 스트리밍된다. 제 1 영상은 다수의 영상을 포함할 수 있는 영상 대화의 일원이다. 제 2 영상은 클라이언트 장치로부터 수신된다. 제 2 영상은 클라이언트 장치에 의해 기록되어 있는 바 대로 클라이언트 장치에 의해 스트리밍된다. 제 2 영상은 제 1 영상에 대한 응답이다. 제 2 영상은 영상 대화와 연관된다.

Description

영상에 의한 통신 방법 및 그 시스템{STREAMING VIDEO COMMUNICATION}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영상 쉐어링(video sharing)에 관한 것이다.
사용자가 영상 콘텐츠를 업로드하고 볼 수 있도록 해주는 웹 사이트는 점점 인기를 얻어가고 있다. 그러나, 현대의 이들 웹 사이트들은 특히 데스크탑 및 랩탑 컴퓨터와 같은 플랫폼에 대해 한정된 기능을 가질 수 있는 이동(예를 들어, 무선) 장치로 또한 그 장치로부터의 스트리밍 영상을 다루게 될 때에는 하나 이상의 단점을 겪게된다. 예를 들어, 이동 장치로부터 영상을 업로드하는 과정은 귀찮은 일이 될 수 있고 심지어 개인용 컴퓨터의 사용을 요구할 수도 있다. 더 나아가, 현대의 웹 사이트들은 영상을 보는데 있어 제한되고 비교적 유연성이 없는 옵션들만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이들 웹 사이트들은 개별 사용자가 실제로 관심을 가질 수 있는 영상과는 상관없이, 이용가능한 영상의 공통된 뷰(view)를 모든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영상이 한 명 이상의 사람들에게 e-메일 전송되는 영상 메일과 같은 시스템이 사용되어 상이한 영상을 상이한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지만, 누가 무엇을 취득할 것인지에 대한 선택은 오로지 발송인의 몫이다.
따라서, 영상을 쉐어링하는데 사용될 수 있으나 종래의 방식의 단점을 겪지 않는 방법 또는 시스템이 유용하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이 및 다른 장점을 제공한다.
영상에 의한 통신이 설명된다. 일 실시예에서, 메뉴의 영상은 클라이언트 장치로 스트리밍된다. 메뉴로부터의 선택을 식별하는 신호가 수신된다. 이 선택과 연관된 제 1 영상은 클라이언트 장치로 스트리밍된다. 제 1 영상은 다수의 영상을 포함할 수 있는 영상 대화의 일원(member)이다. 제 2 영상은 클라이언트 장치로부터 수신된다. 제 2 영상은 클라이언트 장치에 의해 기록되어 있는 바대로 클라이언트 장치에 의해 스트리밍된다. 제 2 영상은 제 1 영상에 대한 응답이다. 제 2 영상은 영상 대화와 연관된다.
본 명세서에 포함되고 이 명세서의 일부를 형성하는 첨부한 도면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원리를 설명하는 역할을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구현될 수 있는 시스템의 예를 나타내는 블록도,
도 2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영상 대화를 위한 방법의 흐름도.
본 명세서 내에서 언급되는 도면은 특별히 언급한 경우를 제외하면 축척되어 도시되어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이제, 첨부한 도면에 예들이 도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를 자세히 참조할 것이다.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와 연계하여 기술될 것이지만, 본 발명을 이들 실시예로 국한하려는 의도는 아니다. 오히려,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 정의된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주 내에 포함될 수 있는 대안예, 변형예 및 등가물을 커버하려 한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의 후속하는 설명에서, 본 발명의 완전한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다수의 특정 세부사항이 설명될 것이다. 다른 예로, 잘 알려진 방법, 절차, 구성요소 및 회로는 본 발명의 측면들을 불필요하게 모호하게 하지 않도록 자세히 기술되지는 않았다.
본 명세서에서 제공된 설명 및 예들은 미디어 데이터, 특히 멀티미디어 데이터에 적용가능하다.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일 예는 음성 데이터가 동반되는 영상 데이터이다. 본 명세서에서 "영상"라는 용어는 영상 및 음성 데이터 모두를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인스턴스(instance)를 지칭하는데 사용된다. 비록 영상의 문맥에서 기술되어 있지만,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영상 데이터만, 오디오 데이터만, 스피치-기반 데이터, 이미지-기반 데이터, 웹 페이지-기반 데이터, 그래픽 데이터 등, 및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콘텐츠에 적합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구현될 수 있는 시스템의 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일반적으로, 도 1의 구성요소는 이들이 수행하는 기능에 따라 기술된다. 그러나, 구성요소들은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어 있는 것 이외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다수의 구성요소들이 수행되는 것으로 기술되어 있는 기능들은 단일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유사하게, 단일 (예를 들어, 다기능)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것으로 기술되어 있는 다수의 기능들은 다수의 개별 요소들 사이에서 소정의 방식으로 분할될 수 있다. 더 나아가, 도 1의 시스템 및 이 시스템의 구성요소들 각각은 본 명세서에서 도시되거나 또는 기술되어 있는 것 이외의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미디어 플랫폼(110)은 네트워크(미도시) 내의 다른 컴퓨터 시스템에 통신가능하게 결합된 서버 컴퓨터 시스템(100)의 일부분으로서 구현된다. 서버 컴퓨터 시스템(100)은 산업 표준 서버일 수 있다. 단일 서버 컴퓨터 시스템 상에 구현되는 대신, 미디어 플랫폼(110)은 네트워크 내에서 별개의 컴퓨터 시스템 상에서 구현될 수 있다.
미디어 플랫폼(110)은 다수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고 콘텐츠 전달을 포함하나 여기에 국한되지 않는 다수의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미디어 플랫폼(110)은 또한 듀얼 톤 다중 주파수(DTMF) 신호를 수신 및 해석할 수 있는 기능을 갖는다.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실시예에서, 미디어 플랫폼(110)은 영상 서비스 서브시스템(112), 영상 스트리밍 서브시스템(114) 및 영상 로직 유닛(116)을 포함한다. 영상 서비스 서브시스템(112), 영상 스트리밍 서브시스템(114) 및 영상 로직 유닛(116)은 하나의 서버 컴퓨터 시스템 상에 상주할 수 있거나 네트워크 내의 별개의 컴퓨터 시스템에 걸쳐 분산될 수도 있다.
요약하면, 미디어 플랫폼(110)은 사용자가 스트리밍 영상을 사용하는 비동기식 대화를 생성하는 것을 허용한다. 미디어 플랫폼(110)은 또한 사용자가 영상을 그룹으로 또는 대화로 조직하고, 영상을 이동 클라이언트 장치 상에 무선 접속을 통해 디스플레이하며, 영상을 클라이언트 장치 상에 웹 접속을 통해 디스플레이하고, 이전의 영상 포스팅(prior video posting)에 대한 영상 응답을 기록하며, 영상 대화의 맞춤형 (예를 들어, 사용자 특정) 뷰를 보는 것을 허용한다.
각각의 영상 통신 그룹은 하나 이상의 영상 대화를 포함할 수 있다. 각 영상 대화(또는 간단히 대화)는 또한 쓰레드로서 지칭될 수 있다. 본질적으로, 대화는 제 1 영상 및 이 제 1 영상에 응답하는 제 2 영상, 이 제 2 영상에 응답하는 제 3 영상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대화는 하나 이상의 영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대화는 비동기식으로 발생할 수 있다.
도 1의 실시예에서, 영상 스트리밍 서브시스템(114)은 무선 통신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영상을 미디어 플랫폼(110)으로부터 클라이언트 장치로 전송(스트리밍)하고, 클라이언트 장치로부터 미디어 플랫폼(110)으로 전송된(스트리밍된) 영상을 수신하는데 사용된다. 이 실시예에서, 영상 서비스 서브시스템(112)은 인터넷 프로토콜 및 웹 브라우저를 사용하여 통신하는 클라이언트 장치에 유사한 서비스를 제공한다. 영상 서비스 서브시스템(112)은 또한 웹 서비스 서브시스템 또는 사회 적 통신 서브시스템으로도 지칭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영상은 저장 유닛(120) 상에 저장된다. 저장 유닛(120)은 서버 컴퓨터 시스템(100) 상에 상주하는 메모리 유닛일 수 있거나 또는 예를 들어 저장 영역 네트워크의 일부인 별도의 유닛일 수 있다. 임의의 수의 이러한 저장 유닛이 존재할 수 있다. 영상은 임의의 각종 인코딩 표준 및 압축 기법을 사용하여 압축(인코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데이터베이스(130)는 다양한 저장 유닛 상에 저장된 각각의 영상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데 사용된다. 이러한 정보는 영상이 생성된 저자, 날짜 및 시간과, 영상이 제시된 그룹, 및 영상이 또 다른 영상에 응답하여 포스팅되었는지(그에 따라 특정 대화와 연관되는지) 여부를 식별하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나, 여기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데이터베이스(130)에 저장된 정보를 사용하여, 영상 로직 유닛(116)은 영상 대화(쓰레드)를 구성할 수 있다.
도 1의 실시예에서, 영상 로직 유닛(116)은 예를 들어 어느 사용자가 어느 그룹에 속해 있는지 또한 어느 영상이 어느 대화 내에 존재하는지를 결정하는데 사용된다. 영상 로직 유닛(116)은 또한 사용자의 뷰잉 이력과 같은 다른 유형의 정보를 조직 및 유지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영상 로직 유닛(116)은 영상 서비스 서브시스템(112) 및 영상 스트리밍 서브시스템(114)에서 데이터를 복제할 필요성을 배제한다. 영상 로직 유닛(116)에 대한 또 다른 장점은, 저장 유닛(120) 및/또는 데이터베이스(130)가 소정의 방식(예를 들어, 구조, 위치 등)으로 변경되는 경우, 영상 로직 유닛(116)은 영상 서비스 서브시스템(112) 및 영상 스트리밍 서브시스 템(114)에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업데이트될 수 있다는 것이다.
도 1의 예에서, 세 개의 클라이언트 장치(140,150,160)가 서버 컴퓨터 시스템(100)(특히, 미디어 플랫폼(110))과 통신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그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클라이언트 장치(140,150,160)는 유선 또는 무선 접속을 통해 직접적으로, 또는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 또는 및 무선 구성요소 모두를 포함하는 이종 네트워크를 통해 간접적으로 서버 컴퓨터 시스템(100)과 통신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도 1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클라이언트 장치(140,150,160)와 서버 컴퓨터 시스템(100) 사이에 중간 노드가 존재할 수 있고 또는 존재하지 않을 수도 있다.
도 1의 예에서, 클라이언트 장치(140)는 웹 브라우저(142)를 구현한다. 클라이언트 장치(140)는 또한 영상을 수신 및 재생(디코딩, 렌더링 및 디스플레이)하는 기능을 가질 수 있다. 클라이언트 장치(140)는 예를 들어 개인용 컴퓨터로서 구현될 수 있다.
도 1의 예에서, 클라이언트 장치(150)는 영상을 수신 및 재생하는 기능을 갖는다. 클라이언트 장치(150)는 예를 들어 미디어 플레이어로서 구현될 수 있다.
도 1의 예에서, 클라이언트 장치(160)는 영상을 기록 및 전송(스트리밍)하고 영상을 수신 및 재생하는 기능을 갖는다. 클라이언트 장치(160)는 또한 문자 메시징을 갖는 휴대용 전화기로서 또한 개인 보조 단말기로서 또는 유사한 유형의 장치로서 기능을 하는 성능을 가질 수 있다. 클라이언트 장치(160)는 예를 들어 스마트폰으로서 구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클라이언트 장치(160)는 키보드형의 인터페이스, 숫자 터치패드 등의 버튼을 사용하여 터치-톤 신호(예를 들어, DTMF 코드)를 생성할 수 있다. 클라이언트 장치(160)는 3세대 (3G) 장치로서 알려져 있을 수 있다. 즉, 클라이언트 장치(160)는 음성 데이터 및 비음성 데이터 모두를 심지어 동시에 전송할 수 있는 기능을 갖는다. 일 실시예에서, 클라이언트 장치(160)는 세션 개시 프로토콜 (SIP) 접속을 통해 영상 스트리밍 서브시스템(114)과 통신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3G 기술 또는 SIP 접속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의 구성요소는 다양한 유형의 성능 및 기능을 갖는 것으로 기술되었지만,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 그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의 시스템은 실제로 아래와 같이 기술된다. 이 설명으로부터, 시스템의 다양한 성능 및 기능들을 알게 될 것이며, 이들 성능 및 기능들은 장치 및 구성요소의 상이한 유형 및 조합을 통해 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영상 스트리밍 서브시스템(114)은 미디어 플랫폼(110)에 의해 저장된 영상을 클라이언트 장치(160)로 전송하고 영상을 클라이언트 장치(160)로부터 수신하는데, 이 수신 영상은 미디어 플랫폼(110)에 의해 저장된다. 예를 들어, 3G 호환가능 장치는 영상 스트리밍 서브시스템(114)과 SIP 접속을 수립할 수 있고, 그런 다음 그 접속을 통해 영상을 교환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클라이언트 장치(160)는 각 영상을 동시에 기록 및 전송(스트리밍)한다. 이러한 일 실시예에서, 클라이언트 장치(160)에 의해 기록된 영상은 클라이언트 장치(160) 상에는 저장되지 않고 미디어 플랫폼(110)(예를 들어, 저장 유닛(120))에 의해서만 저장된다. 따라서, 영상은 한정된 저장 용량을 가지고 있을 수도 있는 이동 클라이언트 장치 상에 불필요하게 복제되지 않는다.
사용자는 또 다른 사용자에 의해 기록되고 미디어 플랫폼(110)에 전송 및 저장된 클라이언트 장치(160) 상의 영상을 볼 수 있다. 사용자는 서비스 공급자(예를 들어, 텔레콤 서비스 공급자) 또는 웹을 통해 영상을 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영상은 클라이언트 장치(160)로 스트리밍되나 클라이언트 장치(160) 상에 저장되지 않고, 따라서 클라이언트 장치(160)의 저장 용량은 문제가 되지 않는다.
일 실시예에서, 미디어 플랫폼(110)(예를 들어, 영상 스트리밍 서브시스템(114) 및 영상 로직 유닛(116))은 메뉴의 영상을 클라이언트 장치(160)에 스트리밍한다. 메뉴는 이용가능한 다수의 선택을 사용자에게 나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미디어 플랫폼(110)(예를 들어, 영상 로직 유닛(116))에 의한 식별 및 사용자의 승인시, 사용자가 하나의 일원인 그룹의 목록이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일 그룹을 선택하는 경우, 사용자는 그 그룹 내의 대화 목록을 제공받을 수 있다. 대화를 선택하는 경우, 사용자는 대화 내의 영상을 선택할 수 있거나 또는 이 대화에 대해 가장 최근에 포스팅된 영상을 자동으로 제공받을 수 있다.
사용자는 클라이언트 장치(160) 상의 적절한 키를 눌러, 영상 스트리밍 서브시스템(114)으로 전송 및 그에 의해 해석되는 각각의 DTMF 코드를 사용함으로써 선택을 수행한다. 유사한 방식으로, 사용자는 적절한 키를 누룸으로써 영상의 재생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영상의 재생을 정지, 영상을 다시 재생, 영상을 "되감기" 등을 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적절한 키를 누룸으로써 영상 의 기록을 재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기록을 시작 및 정지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DTMF 코드를 사용하여 기록을 특정 그룹 또는 대화와 연관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미디어 플랫폼(110)(예를 들어, 영상 로직 유닛(116))은 각 사용자에 대해 맞춤형 메뉴를 생성한다. 따라서, 각 사용자는 그들의 선호도 및 과거 뷰잉 경험에 기초하여 각 영상 대화(예를 들어, 그룹 또는 대화)의 유일한 뷰를 제공받을 수 있다. 메뉴는 영상 상에서 표결할 수 있는 기능을 포함하여, 영상의 분류 및/또는 평가하는 상이한 옵션을 제공하도록 확장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메뉴는 클라이언트 장치(160)에 스트리밍되어 메뉴를 구현하기 위해 장치 상에 임의의 특정 소프트웨어를 설치할 필요가 없다. 또한, 메뉴가 소정의 방식으로 변경되어야 하는 경우(메뉴가 사용자용으로 맞춤형화되거나 또는 모든 사용자에 대해 변경하는 경우), 클라이언트 장치(160) 상에 저장된 정보 또는 애플리케이션에 대해 어떠한 변경도 행할 필요가 없고, 대신 변경은 미디어 플랫폼(110)에서 수행된다.
일 실시예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미디어 플랫폼(110)(예를 들어, 영상 로직 유닛(116) 및 영상 서비스 서브시스템(112))은 사용자가 클라이언트 장치(140)의 웹 브라우저(142)를 사용하여 영상 통신 그룹 및 대화를 생성 및 관리할 수 있도록 해주는 웹 기반 서비스를 제공한다. 사용자는 일 그룹을 생성할 수 있고, 다른 사용자를 이 그룹에 초대할 수 있으며, 그룹을 능동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영상은 인터넷과 같은 네트워크를 통해 클라이언트 장치(140,150, 및/또는 160)로 전송될 수 있다. 클라이언트 장치(140,150,160)는 또한 인터넷과 같은 네트워크를 통해 영상을 미디어 플랫폼(110)(예를 들어, 영상 서비스 서브시스템(112))에 전송할 수 있다. 전술한 맞춤형 뷰 및 네비게이션 특징은 영상이 온라인 접속을 통해 보여지던지 또는 전기통신 서비스 공급자를 통해 보여지던지 간에 이용가능하다.
영상 대화(쓰레드)는 상이한 방식으로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하나의 뷰 옵션은 영상이 생성된 순서에 기초하여 특정 그룹 내에서 쉐어링되는 모든 영상의 목록을 사용자에게 제공하여, 사용자가 그룹 내의 각 대화를 연대순으로 볼 수 있도록 해준다. 또 다른 뷰 옵션은 대화로 분류된 영상의 목록을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특정 그룹에 속하고 시발 영상(originating video)에 관련된 영상의 서브세트를 관찰할 수 있다. 사용자는 또한 영상을 스크롤링할 수 있고, 이전 영상에 대한 각 응답을 관찰할 수 있으며, 그들이 이미 관찰한 영상이 어느 영상인지를 실시간으로 관찰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미디어 플랫폼(110)(예를 들어, 영상 서비스 서브시스템(112))은 가입 및 영상 파일의 다운로딩에 대해 RSS 공급(Real Simple Syndication feed)을 가능하게 한다. RSS 공급을 사용하면, 사용자는 휴대용 미디어 플레이어(예를 들어, 클라이언트 장치(150)) 또는 개인용 컴퓨터(예를 들어, 클라이언트 장치(140)) 및 클라이언트 장치(160)를 미디어 플랫폼(110)으로부터 입수가능한 영상 콘텐츠와 동기화시키고 다양한 영상 대화를 오프라인으로 브라우징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영상 통신을 위한 방법의 흐름도(200,300,400,500)를 각각 나타낸다. 이 흐름도에는 특정 단계들이 개시되어 있지만, 이 단계들은 예시적일 뿐이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다양한 다른 단계 또는 흐름도에 개시된 단계들의 변형을 수행하기에 적합하다. 흐름도 내의 단계들은 기재되어 있는 순서와는 다른 순서로 수행될 수도 있고, 흐름도 내의 모든 단계들이 수행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흐름도에 의해 기술되어 있는 방법들 모두 또는 일부분은 예를 들어 컴퓨터 시스템의 컴퓨터 사용가능 매체에 상주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및 컴퓨터 실행가능 인스트럭션을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흐름도(200,300,400,500)에 의해 기술되는 단계들은 전체적으로 반복될 수도 있거나 또는 필요에 따라 부분적으로 반복될 수도 있다.
도 2 내지 도 5의 흐름도는 도 1의 예시적인 시스템과 관련하여 기술되어 있지만,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도 1의 예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하의 설명은 클라이언트 장치(160)를 참조하지만, 본 발명은 그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2의 블록(202)에서, 도 1을 또한 참조하면, 사용자는 클라이언트 장치(160)와 서버 컴퓨터 시스템(100) 상의 미디어 플랫폼(110) 간의 접속, 특히 클라이언트 장치(160)와 영상 스트리밍 서브시스템(114) 간의 접속을 수립한다. 일 실시예에서, 이 접속은 클라이언트 장치(160) 상의 전용 버튼을 통해 수립된다. 사용자는 그 대신에 특정 전호 번호를 호출할 수도 있다.
블록(204)에서, 영상 스트리밍 서브시스템(114)은 접속을 수용하고, 사용자 를 식별하며, 영상 로직 유닛(116)에 접촉하여 사용자를 인증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정보를 요청한다. 인증 정보는 데이터베이스(130)에 저장될 수 있다.
블록(206)에서,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의 신원은 예를 들어 사용자 식별자(사용자 ID) 및 패스워드를 통해 인증된다. 사용자의 신원이 인증되지 않는 경우, 에러 메시지가 클라이언트 장치(160)로 전송될 수 있다(블록 208). 사용자의 신원이 인증되는 경우, 흐름도(200)는 블록(210)으로 진행한다.
블록(210)에서, 영상 스트리밍 서브시스템(114)은 사용자에게 이용가능한 그룹을 식별하는 영상 로직 유닛(16)으로부터 정보를 수신한다. 이러한 정보는 데이터 베이스(130) 내에 저장될 수 있거나 또는 데이터 베이스(130) 내에 저장된 정보로부터 유도될 수 있다. 각 그룹은 고유 이름으로 식별되고 일반적으로 그룹을 설립한 사용자에 의해 이름이 주어진다. 그룹의 이름은 그들의 콘텐츠, 그들의 회원의 내용에 기초하여 주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그룹의 이름은 "휴가" 또는 "친구"로 주어질 수 있다.
영상 로직 유닛(116)으로부터의 정보를 사용하여, 이용가능한 그룹을 이름으로 나열하는 메뉴의 영상이 생성될 수 있다. 영상 스트리밍 서브시스템(114)은 영상 메뉴를 클라이언트 장치(160)로 스트리밍할 수 있다.
블록(212)에서, 사용자는 클라이언트 장치(160) 상의 적절한 키를 눌러 티치-톤 신호(DTMF 코드)를 생성함으로써 메뉴로부터 그룹들 중 하나를 선택한다.
블록(214)에서, 터치-톤 신호(DTMF 코드)는 영상 스트리밍 서브시스템(114)에 의해 수신된다.
도 3의 블록(302)에서, 도 2의 블록(212,214)에서 선택된 그룹에 대해, 영상 스트리밍 서브시스템(114)은 이용가능한 대화의 리스트를 제공할 것을 영상 로직 유닛(116)에 요청한다. 이용가능한 대화의 리스트는 데이터베이스(130)에 저장된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될 수 있다.
블록(304)에서, 영상 로직 유닛(116)으로부터의 정보를 사용하여, 이용가능한 대화를 이름으로 나열하는 메뉴의 영상이 생성될 수 있다. 대화는 그룹의 작명과 유사한 방식으로 이름이 주어질 수 있다. 영상 스트리밍 서브시스템(114)은 영상 메뉴를 클라이언트 장치(160)로 스트리밍할 수 있다.
블록(306)에서, 사용자는 클라이언트 장치(160) 상의 적절한 키를 눌러 티치-톤 신호(DTMF 코드)를 생성함으로써 메뉴로부터 대화들 중 하나를 선택한다.
블록(308)에서, 터치-톤 신호(DTMF 코드)는 영상 스트리밍 서브시스템(114)에 의해 수신된다.
도 4의 블록(402)에서, 영상 스트리밍 서브시스템(114)은 도 3의 블록(306,308)에서 식별된 대화와 연관된 영상을 수신한다. 영상은 영상 로직 유닛(116)에 의해 저장 유닛(120)으로부터 검색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검색된 영상은 선택된 대화와 연관된 가장 최근의 영상이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사용자는 선택된 대화와 연관된 영상을 식별하는 메뉴의 또 다른 영상을 스크롤링함으로써 특정 영상을 지정할 수 있다. 후자의 메뉴는 영상을 반드시 이름으로 식별할 필요는 없을 수도 있고, 그 대신, 예를 들어 각 영상의 각 프레임(아마도, 영상의 첫 번째 프레임) 또는 영상 저자의 이름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블록(404)에서, 영상이 유효한지에 대한 결정이 행해진다. 유효하지 않은 경우, 에러 메시지가 클라이언트 장치(160)에 전송된다(블록 406). 그렇지 않으면, 흐름도(400)는 블록(408)으로 진행한다.
블록(408)에서, 블록(402)에서 검색된 영상은 클라이언트 장치(160)로 스트리밍되고 수신되는 바 대로 재생된다. 즉, 영상은 클라이언트 장치(160)에 저장되지 않고 재생된다.
블록(410)에서, 사용자는 클라이언트 장치(160) 상의 적절한 키를 눌러, 영상 스트리밍 서브시스템(114)에 전송될 수 있는 터치-톤 신호(DTMF 코드)를 생성함으로써 영상의 재생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적절한 키를 누름으로써 영상의 재생을 정지할 수 있거나, 또는 재생과 관련된 소정의 다른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키가 눌려지지 않은 경우, 영상은 완료될 때까지 재생된다.
도 5의 블록(502)에서, 사용자는 방금 재생된 영상에 응답하여 영상을 기록 및 업로드(스트리밍)할 기회를 제공받는다. 일 실시예에서, 제 1 영상의 재생이 정지된 경우(완료시 또는 그와 다른 경우에), 메뉴의 영상은 영상 스트리밍 서브시스템(114)으로부터 클라이언트 장치(160)로 스트리밍되어, 사용자에게 영상을 기록할 옵션을 제공한다.
블록(504)에서, 사용자는 클라이언트 장치(160) 상의 적절한 키를 눌러, 영상 스트리밍 서브시스템(114)에 전송될 수 있는 터치-톤 신호(DTMF 코드)를 생성함으로써 영상을 기록 및 스트리밍할 것을 선택할 수 있다.
블록(506)에서, 영상은 클라이언트 장치(160)를 사용하여 기록되고 기록되어 있는 바 대로 영상 스트리밍 서브시스템(114)에 스트리밍된다. 다시 말해, 영상은 클라이언트 장치(160) 상에 기록 및 저장되지 않는다.
블록(508)에서, 사용자는 클라이언트 장치(160) 상의 적절한 키를 눌러, 영상 스트리밍 서브시스템(114)에 전송될 수 있는 터치-톤 신호(DTMF 코드)를 생성함으로써 영상의 기록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적절한 키를 누름으로써 기록을 정지할 수 있거나, 또는 기록과 관련된 소정의 다른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키가 눌려지지 않은 경우, 기록은 정지될 때까지 계속된다. 일 실시예에서, 기록은 규정된 기간 이후 자동으로 정지된다.
블록(510)에서, 영상 스트리밍 서브시스템(114)은 클라이언트 장치(160)로부터 스트리밍된 새로운 영상을 수신하고, 영상 로직 유닛(116)은 이 영상을 현재의 대화와 연관시킨다. 일 실시예에서, 이것은 데이터베이스(130)에 새로운 엔트리를 생성함으로써 달성된다.
도 1의 미디어 플랫폼(110)은 레거시 장치(legacy devices)와의 호환성의 손실없이 부가적인 특징으로 강화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미디어 플랫폼(110)은 새로운 영상이 그룹 또는 대화에 스트리밍되거나 또는 부가된 경우 문자 메시지를 클라이언트 장치(160)로 전송한다. 따라서, 클라리언트 장치(160)가 영상 스트리밍 서브시스템(114)에 접속되어 있지 않은 경우라도, 사용자는 새로운 영상의 존재를 통보 받을 수 있다. 유사한 방식으로, 문자 메시지는 기존의 영상이 또 다른 클라이언트 장치에서 또 다른 사용자에게 스트리밍되고 있음을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도록 클라리언트 장치(160)에 전송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사용자 간의 다양한 사회적 관계에 대한 지식은 영상의 쉐어링을 제어하거나 또는 영상을 익명으로 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소정의 영상을 누구는 수신할 수 있고 누구는 수신할 수 없음을 지정하는 기준을 그룹 레벨에서 제정할 수 있다. 이 기준은 사용자 간의 격리 정도에 기초할 수 있다. 그룹에 대한 액세스를 가질 수 있으나 지정된 기준을 만족하지 못하는 사용자는 그룹 내의 소정의 영상을 수신하는 것이 차단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이들 영상은 익명으로 하기 위해 소정의 방식으로 코드변환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영상은 희화적인 무언가로 코드변환될 수 있거나, 또는 심하게 픽셀화될 수 있다.
요약하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종래 기법의 문제를 공유하지 않는 (영상을 사용하여 통신하는) 영상 쉐어링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한다. 영상은 이동 클라이언트 장치에서 사용자로 직접 이동되어 온라인 접속없이 쓰레드 또는 대화를 생성할 수 있다. 사용자는 영상을 그룹 또는 대화로 조직화할 수 있고, 각 특정 그룹 또는 대화 내의 영상을 볼 수 있으며, 그들의 이동 클라이언트 장치를 이용하여 이전 영상 포스팅에 대한 응답을 기록할 수 있고, 따라서 사용자간, 특히 이동 사용자 간의 사회적 상호작용을 용이하게 한다. 기록된 영상은 이동 클리이언트 장치로부터 서버로 직접 스트리밍되어, 영상 파일을 이동 클라이언트 장치 상에 저장할 필요가 없고, 또한 영상 파일을 온라인 접속을 통해 업로드하기 위해 이 영상 파일을 예를 들어 개인용 컴퓨터로 전달할 필요가 없다.
사용자는 그들 그룹의 맞춤형 뷰를 제공받을 수 있어, 사용자는 그들이 이미 본 영상을 식별할 수 있고 예를 들어 단지 그룹이 아닌 대화에 의해 영상을 볼 수 있다. 사용자가 대화 내에서 소정의 영상을 관찰하고, 다른 사용자는 그 대화 내의 다른 영상 세트를 관찰한 경우, 첫 번째 사용자에게 전송된 메뉴는 두 번째 사용자에게 전송된 메뉴와는 다른 뷰잉 이력을 나타낼 것이다.
사용자는 다수의 영상에 대한 액세스를 제공받을 수 있고 그들이 보기를 희망하는 영상을 고르고 선택할 수 있다. 단일 메일박스를 소유하고 그 메일박스에 전송된 영상만을 보는 것을 허용하는 대신, 사용자는 다수의 그룹에 귀속될 수 있다. 사용자는 또한 각 그룹 내에서 저자 및 회원(관찰자)으로서 이중 역할을 할 수 있다. 사용자는 일 그룹과 연관된 임의의 영상을 볼 수 있고 (전술한 바와 같이, 해당 제한이 있지 않는다면) 임의의 비디에 대해 응답할 수 있다. 영상을 퍼뜨리는 푸시 방식(push approach) 대신, 풀 방식(pull approach)이 사용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이동 사용자에게 이용가능한 현대의 방식에 비해 보다 용이하고 본래부터 보다 사회적인 영상 쉐어링 경험을 제공한다. 각 사용자는 데이터를 복제하거나 또는 데이터를 여러번 전송해야하는 일 없이 (사용자 선호도에 의해 제어되는) 신뢰된 공동체에서 영상에 의해 통신할 수 있는 능력이 주어진다.
기본적인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백엔드 시스템은 서버 상에서 구현되기 때문에, 사용자는 애플리케이션을 그들의 이동 클라이언트 장치 상에 설치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영상 통신 시스템은 가요적이고 쉽게 확장가능한데, 그 이유는 개별 클라이언트 대신에 서버에서 가외 서비스 및 특징이 구현될 수 있기 때문이다. 맞 춤형 메뉴 및 DTMF 코드를 사용함으로써, 영상 스트리밍 처리는 사용자에게 친숙하고, 또한 하드 드라이브 상에 파일을 보관, 배치 및 선택하기 위해 영상을 기록하고 그런 다음 파일을 업로드할 필요성을 제거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기술된다. 본 발명은 특정 실시예에서 기술되었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후속하는 청구항에 따라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10)

  1. 영상에 의한 통신 방법(200,300,400,500)에 있어서,
    메뉴의 영상을 클라이언트 장치로 스트리밍하는 단계(304)와,
    상기 메뉴로부터의 선택을 식별하는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308)와,
    상기 선택과 연관된 제 1 영상을 상기 클라이언트 장치로 스트리밍하는 단계- 상기 영상은 영상 대화를 포함하는 다수의 영상들 중 하나의 일원(member)임 -(408)와,
    상기 클라이언트 장치에 의해 기록되어 있는 바대로 상기 클라이언트 장치로부터 스트리밍되는 제 2 영상을 상기 클라이언트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 2 영상은 상기 제 1 영상에 대한 응답임 -(506)와,
    상기 제 2 영상을 상기 영상 대화와 연관시키는 단계(510)를
    포함하는 통신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영상을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통신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는 이중 톤 다중 주파수(dual tone multi-frequency: DTMF) 코드를 포함하는
    통신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뉴는 상기 클라이언트 장치가 액세스할 수 있는 영상 대화의 목록을 포함하고, 상기 선택은 상기 영상 대화를 식별하는
    통신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뉴는 상기 클라이언트 장치가 액세스할 수 있는 영상 대화의 그룹의 목록을 포함하고, 상기 선택은 상기 영상 대화를 포함하는 그룹을 식별하는
    통신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영상의 재생을 제어하는 신호를 상기 클라이언트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단계(410)를 더 포함하는
    통신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영상의 기록을 제어하는 신호를 상기 클라이언트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단계(508)를 더 포함하는
    통신 방법.
  8. 웹 기반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클라이언트 장치와 통신가능한 영상 서비스 서브시스템(112)과,
    상기 영상 서비스 서브시스템에 통신가능하게 결합된 영상 스트리밍 서브시스템(114)을 포함하되,
    상기 영상 스트리밍 서브시스템은 그룹으로 조직화된 영상을 액세스하고 메뉴의 영상을 클라이언트 장치로 스트리밍하고,
    상기 영상 스트리밍 서브시스템은 또한 상기 메뉴로부터의 선택을 식별하는 상기 클라이언트 장치로부터의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그룹들 중 하나와 연관된 제 1 영상을 상기 클라이언트 장치로 스트리밍하며,
    상기 영상 스트리밍 서브시스템은 또한 상기 클라이언트 장치로부터 스트리밍된 제 2 영상을 상기 그룹 중 상기 하나와 연관시키는
    영상 통신용 시스템(110).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서비스 서브시스템 및 상기 영상 스트리밍 서브시스템에 결합된 영상 로직 유닛(116)을 더 포함하고, 상기 영상 로직 유닛은 상기 영상을 상기 그룹으로 조직화하고 상기 그룹 내의 영상을 영상 대화로 조직화하는
    영상 통신용 시스템.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과 연관된 정보는 데이터베이스(130)에 저장되고, 상기 정보는 상기 영상을 상기 그룹으로 조직화하는데 사용되는
    영상 통신용 시스템.
KR1020097007837A 2006-10-16 2007-10-16 영상에 의한 통신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110399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1/581,829 2006-10-16
US11/581,829 US7698371B2 (en) 2006-10-16 2006-10-16 Communicating by video without replicating data
PCT/US2007/021993 WO2008048546A1 (en) 2006-10-16 2007-10-16 Streaming video communica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54470A true KR20090054470A (ko) 2009-05-29
KR101103994B1 KR101103994B1 (ko) 2012-01-06

Family

ID=390456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07837A KR101103994B1 (ko) 2006-10-16 2007-10-16 영상에 의한 통신 방법 및 그 시스템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698371B2 (ko)
JP (1) JP5036821B2 (ko)
KR (1) KR101103994B1 (ko)
CN (1) CN101535991A (ko)
WO (1) WO200804854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200832155A (en) * 2007-01-19 2008-08-01 Kat Digital Corp Communitized media application and sharing apparatus
US9743120B2 (en) 2007-04-30 2017-08-22 Yahoo Holdings, Inc. System and method for video conversations
US8180029B2 (en) 2007-06-28 2012-05-15 Voxer Ip Llc Telecommunication and multimedia management method and apparatus
US20110019662A1 (en) 2007-06-28 2011-01-27 Rebelvox Llc Method for downloading and using a communication application through a web browser
US9178916B2 (en) 2007-06-28 2015-11-03 Voxer Ip Llc Real-time messaging method and apparatus
US11095583B2 (en) 2007-06-28 2021-08-17 Voxer Ip Llc Real-time messaging method and apparatus
JP5339882B2 (ja) * 2008-10-28 2013-11-13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装置、通信装置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システム
US20100125791A1 (en) * 2008-11-14 2010-05-20 Rebelvox, Llc User interface for a telecommunication and multimedia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CN103369289B (zh) * 2012-03-29 2016-05-04 深圳市腾讯计算机系统有限公司 一种视频模拟形象的通信方法和装置
EP4268095A1 (en) 2021-02-23 2023-11-01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of displaying web pages and browser display system
WO2022181950A1 (en) * 2021-02-23 2022-09-01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of displaying web pages and browser display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05427B2 (ja) * 1994-08-01 2000-01-31 三井物産株式会社 テレビ電話を用いたdtmf信号に基づくテレビ電話会議制御システム
FR2762460A1 (fr) 1997-03-04 1998-10-23 Talkway Inc Systeme destine a fournir un environnement et une interface utilisateur ameliores pour des technologies de discussion en ligne
US6705869B2 (en) * 2000-06-02 2004-03-16 Darren Schwartz Method and system for interactive communication skill training
JP2003150638A (ja) * 2001-11-15 2003-05-23 Hitachi Ltd 情報提示方法
JP2003288304A (ja) * 2002-03-28 2003-10-10 Ntt Comware Corp コンテンツ蓄積装置、動画掲示板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JP2004133555A (ja) * 2002-10-08 2004-04-30 Casio Comput Co Ltd 広告配信システム、端末装置、広告活動委託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20040107270A1 (en) * 2002-10-30 2004-06-03 Jamie Stephens Method and system for collaboration recording
JP2004199547A (ja) * 2002-12-20 2004-07-15 Ikuo Sugawara 相互行為分析システム、及び相互行為分析プログラム
JP3982460B2 (ja) * 2003-06-06 2007-09-26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コンテンツ連動型コメント表示方法、コメント表示システム、サーバ装置、コメント表示装置及びコメント表示プログラム及び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US7480259B2 (en) * 2003-10-09 2009-01-20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System and method for establishing a parallel conversation thread during a remote collaboration
JP2005266957A (ja) * 2004-03-16 2005-09-29 Nec Corp レンタルサーバ課金システムおよびその方法
US20050210394A1 (en) * 2004-03-16 2005-09-22 Crandall Evan S Method for providing concurrent audio-video and audio instant messaging sessions
US20070026958A1 (en) * 2005-07-26 2007-02-01 Barasch Michael A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web based interactive lessons
US8200762B2 (en) * 2006-06-01 2012-06-12 Aol Inc. Displaying complex messaging threads into a single display
US7769144B2 (en) * 2006-07-21 2010-08-03 Google Inc. Method and system for generating and presenting conversation threads having email, voicemail and chat messag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8048546A1 (en) 2008-04-24
US20080091839A1 (en) 2008-04-17
CN101535991A (zh) 2009-09-16
US7698371B2 (en) 2010-04-13
JP2010507278A (ja) 2010-03-04
JP5036821B2 (ja) 2012-09-26
KR101103994B1 (ko) 2012-0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03994B1 (ko) 영상에 의한 통신 방법 및 그 시스템
US11349890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multimedia multipoint real-time conferencing allowing real-time bandwidth management and prioritized media distribution
US8751572B1 (en) Multi-user chat search and access to chat archive
US9559994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eviewing communications sessions
US9246917B2 (en) Live representation of users within online systems
US9762861B2 (en) Telepresence via wireless streaming multicast
US8984072B2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recommendations to a user in a viewing social network
US8676908B2 (en) Method and system for seamless interaction and content sharing across multiple networks
US8316052B2 (en) Method, computer program product and apparatus for providing media sharing services
US20070217579A1 (en) System and method for enhanced voice mail
US20090316688A1 (en) Method for controlling advanced multimedia features and supplemtary services in sip-based phones and a system employing thereof
KR20090117792A (ko) 코드들을 사용한 개인화 양방향성
EP3272127B1 (en) Video-based social interaction system
KR101120737B1 (ko)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소셜 동영상 서비스 방법
KR101342406B1 (ko) 통신 네트워크에서 가상 아이디를 이용한 대화 시스템 및 방법
US20100104085A1 (en) Method enabling interoperable communication between real and virtual communities
JP5802116B2 (ja) データ共有機能を有した通話システム
KR100767016B1 (ko) 멀티콘을 이용한 화상 데이터 송수신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00048721A (ko) 컨텐츠 공유 시스템 및 방법
JP2010141597A (ja) 音声サービス提供システム及び提供方法
JP2010245806A (ja) 音声付動画変換方法、音声付動画変換システム、音声付動画変換サーバー装置、およびコンピューター読み取り可能な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2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