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53679A - 범프 하부 도전층 식각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도전성 범프 구조물의 형성 방법 - Google Patents

범프 하부 도전층 식각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도전성 범프 구조물의 형성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53679A
KR20090053679A KR1020080092821A KR20080092821A KR20090053679A KR 20090053679 A KR20090053679 A KR 20090053679A KR 1020080092821 A KR1020080092821 A KR 1020080092821A KR 20080092821 A KR20080092821 A KR 20080092821A KR 20090053679 A KR20090053679 A KR 200900536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mp
conductive layer
weight
etching
lower conduct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928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12490B1 (ko
Inventor
강동민
강보람
김영남
임영삼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TW097145247A priority Critical patent/TWI456089B/zh
Priority to US12/292,643 priority patent/US8110508B2/en
Priority to CN2008101818303A priority patent/CN101440491B/zh
Publication of KR200900536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53679A/ko
Priority to US13/347,169 priority patent/US8395270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124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124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13/00Etching, surface-brightening or pickling compositions
    • C09K13/04Etching, surface-brightening or pickling compositions containing an inorganic acid
    • C09K13/06Etching, surface-brightening or pickling compositions containing an inorganic acid with organic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4/00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Methods or apparatus related thereto
    • H01L24/01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e.g. chip-to-package, die-attach, "first-level" interconnect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4/10Bump connectors ;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4/11Manufacturing metho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01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e.g. chip-to-package, die-attach, "first-level" interconnect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10Bump connector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11Manufacturing metho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01Chemical elements
    • H01L2924/01006Carbon [C]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01Chemical elements
    • H01L2924/01013Aluminum [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01Chemical elements
    • H01L2924/01022Titanium [Ti]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01Chemical elements
    • H01L2924/01023Vanadium [V]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01Chemical elements
    • H01L2924/01024Chromium [C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01Chemical elements
    • H01L2924/01029Copper [Cu]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01Chemical elements
    • H01L2924/01046Palladium [P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01Chemical elements
    • H01L2924/01047Silver [A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01Chemical elements
    • H01L2924/01074Tungsten [W]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01Chemical elements
    • H01L2924/01079Gold [Au]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10Details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to be connected
    • H01L2924/11Device type
    • H01L2924/14Integrated circu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Internal Circuitry In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Devices (AREA)
  • Weting (AREA)
  • ing And Chemical Polishing (AREA)

Abstract

도전성 범프 형성시 사용되는 범프 하부 도전층 식각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도전성 범프 구조물의 형성 방법에서, 상기 범프 하부 도전층 식각용 조성물은 과산화수소 40 내지 90 중량%와 수산화암모늄 또는 수산화테트라알킬암모늄을 포함하는 염기성 수용액 1 내지 20 중량%와 알콜계 화합물 0.01 내지 10 중량% 및 에틸렌디아민계 킬레이트제 2 내지 30 중량%를 포함한다. 상기 식각용 조성물을 이용한 식각 공정시 티타늄 또는 티타늄 텅스텐을 포함하는 범프 하부 도전층의 식각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으며, 티타늄 산화물을 포함하는 이물질을 완전히 제거시켜 프로브 니들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범프 하부 도전층 식각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도전성 범프 구조물의 형성 방법{Composition for etching a conductive layer under bump and method of forming a electro-conductive bump structure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범프 하부 도전층 식각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도전성 범프 구조물의 형성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반도체 검사 장비의 부품인 프로브 카드와 접촉하는 도전성 범프 상에 불순물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는 범프 하부 도전층 식각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도전성 범프 구조물의 형성 방법에 관한 것이다.
소형화되고 있는 반도체 소자의 패키지 및 외부 전자 기기에의 접속 수단으로 도전성 범프가 많이 이용되고 있다. 상기 도전성 범프를 형성한 반도체 소자는 그 기능과 성능을 검사하기 위하여 EDS(Electric Die Sorting) 공정을 수행하고 있다. 상기 EDS 공정에서는 반도체 검사 장비(probe station)를 이용하여 상기 도전성 범프를 형성한 반도체 소자의 전기적 특성을 측정하여 결함 여부를 판별한다. 상기 반도체 검사 장비에는 상기 도전성 범프에 직접 접촉하는 프로브 팁(probe tip)을 통해 전기적인 신호를 입ㆍ출력하는 프로브 카드(probe card)를 구비하고 있어, 상기 전기적 신호를 분석하여 반도체 소자의 결함을 확인한다.
상기 도전성 범프는 전해도금법에 의해 시안(Cyan) 계열의 도금액 또는 비시안 계열의 도금액을 사용하여 형성된다. 최근에는 시안화금칼륨[KAu(CN)2]을 포함하는 시안계열의 도금액 보다는 아황산금나트륨[Na3Au(SO3)2]을 포함하는 비시안계열의 도금액을 주로 사용한다. 이에 따라, 후속의 결합작업에서 시안화수소(HCN)와 같은 유해가스가 발생되지 않으면서 표면이 치밀한 구성을 갖는 도전성 범프를 형성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비시안 계열의 도금액을 이용하여 도전성 범프를 형성하는 경우에도 도전성 범프 표면에 이물질들이 잔류하여 상기 EDS 공정에서 공정 오류가 발생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도전성 범프를 식각 마스크로 이용하여 노출된 금속층을 식각하는 공정을 수행하는 경우에 이물질들이 생성되며, 생성된 이물질들이 EDS 공정시 프로브 팁에 묻어서 전기적 신호의 오류를 발생시킨다. 상기 이물질들은 검사대상이 되는 반도체 소자의 패드로부터 기인하는 알루미늄(Al), 범프 하부의 금속층으로부터 기인하는 티타늄(Ti)과 같은 금속성 불순물, 반도체 소자의 보호막으로 사용되는 폴리이미드, 실리콘산질화물(SiON), 알루미늄 산화물, 티타늄 산화물과 같은 산화성 불순물 또는 각종 유기 불순물 등을 포함한다. 이에 따라, 실제 정상적으로 동작하는 반도체 소자에 대해서도 단락(short) 또는 단선(open)되었다는 검사 결과를 출력하거나, 프로브 카드의 프로브 팁과 도전성 범프 간의 접촉 저항(contact resistance)을 증가시킴으로써 잘못된 검사 결과를 출력하는 문제 가 발생된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반도체 소자의 EDS 공정에서는 일정한 횟수에 걸쳐 검사를 수행한 프로브 카드에 대하여 연마장치를 이용한 세정 공정을 수행하여 프로브 팁의 표면에 잔류하는 이물질을 제거하고 있다. 이 경우에, 프로브 팁이 마모되어 제조원가가 상승할 수 있으며, 잦은 프로브 팁의 세정 공정에 의하여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이미 발생된 이물질을 프로브 팁의 세정으로 제거하는 방법은 사후적인 조치이므로 공정 효율 및 생산성을 향상시키는데 한계가 있으며, 상기 프로브 팁의 표면에 발생하는 이물질을 근본적으로 억제할 수 있는 기술의 개발이 요구된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목적은 EDS 공정에서 프로브 카드에 구비된 프로브 팁에 도전성 범프와의 접촉으로 이물질이 묻지 않도록 도전성 범프 구조물 형성에서 발생되는 불순물을 완전히 제거시킬 수 있는 범프 하부 도전층 식각용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범프 하부 도전층 식각용 조성물을 이용한 식각 이후에 도전성 범프 구조물에 발생되는 불순물들을 완전히 제거시켜 프로브 카드에 이물질을 잔류시키지 않는 도전성 범프 구조물의 형성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술한 일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범프 하부 도 전층 식각용 조성물은 과산화수소 40 내지 90 중량%, 수산화암모늄 또는 수산화테트라알킬암모늄을 포함하는 염기성 수용액 1 내지 20중량%, 알콜계 화합물 0.01 내지 10 중량% 및 에틸렌디아민계 킬레이트제 2 내지 30중량%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범프 하부 도전층 식각용 조성물은 상기 과산화수소 68 내지 77 중량%, 상기 수산화암모늄을 포함하는 염기성 수용액 7 내지 14 중량%, 상기 알콜계 화합물 0.1 내지 3.0 중량% 및 상기 에틸렌디아민계 킬레이트제 15 내지 20 중량%를 포함하며, 티타늄을 포함하는 범프 하부 도전층을 식각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수산화암모늄과 상기 과산화수소의 중량 비율은 1:6 내지 1:9의 범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범프 하부 도전층 식각용 조성물은 상기 과산화수소 75 내지 84 중량%, 상기 수산화테트라알킬암모늄을 포함하는 염기성 수용액 0.5 내지 7.0 중량%, 상기 알콜계 화합물 0.01 내지 3.0 중량% 및 상기 에틸렌디아민계 킬레이트제 15 내지 20 중량%를 포함하며, 티타늄 텅스텐을 포함하는 범프 하부 도전층을 식각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1ppm 내지 1,000ppm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전성 범프 구조물의 형성 방법은 기판 상에 형성된 반도체 소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칩 패드를 형성한다. 상기 기판 상에 상기 칩 패드를 노출시키는 패시베이션층을 형성한다. 상기 패시베이션층 및 상기 칩 패드 상에 범프 하부 도전층을 형성한다. 상기 범프 하부 도전층 상에 패턴 형상의 도전성 범프를 형성한다. 상기 도전성 범프를 식각 마스크로 이용하고, 과산화수소 40 내지 90 중량%, 수산화암모늄 또는 수산화테트라알킬암모늄을 포함하는 염기성 수용액 1 내지 20 중량%, 알콜계 화합물 0.01 내지 10 중량% 및 에틸렌디아민계 킬레이트제 2 내지 30중량%를 포함하는 범프 하부 도전층 식각용 조성물을 상기 기판에 적용하여 상기 범프 하부 도전층을 부분적으로 제거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수산화암모늄과 상기 과산화수소의 중량 비율은 1:6 내지 1:9의 범위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범프 하부 도전층 식각용 조성물은 40℃ 내지 70℃의 온도에서 1분 내지 5분 동안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범프 하부 도전층을 부분적으로 제거한 후에, 상기 도전성 범프가 형성된 기판을 열처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범프 하부 도전층 식각용 조성물을 20℃ 내지 40℃의 온도에서 30초 내지 1분 동안 적용하여 세정하는 공정을 더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범프 하부 도전층은 티타늄 텅스텐(TiW), 크롬(Cr), 구리(Cu), 티타늄(Ti), 니켈(Ni), 니켈 바나듐(NiV), 팔라듐(Pd), 크롬/구리(Cr/Cu), 티타늄 텅스텐/구리(TiW/Cu), 티타늄 텅스텐/금(TiW/Au), 니켈 바나듐/구리(NiV/Cu) 등을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식각용 조성물을 이용하여 범프 하부 도전층을 부분적으로 식각함으로써, 범프 하부 도전층의 제거와 동시에 도전성 범프 표면에 보호막을 형성시켜 상기 식각시 잔존하는 이물질이 도전성 범프에 재흡착하지 않도록 작용할 수 있다. 또한, 폴리이미드막, 알루미늄막 및 실리콘산질화물막의 손상 없 이 도전성 범프의 막질 상에 존재하는 이물질을 제거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범프 하부 도전층 식각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도전성 범프 구조물의 형성 방법에 따르면, 산화제인 과산화수소, 염기성 수용액인 수산화암모늄 또는 수산화테트라알킬암모늄, 알콜계 화합물, 에틸렌디아민계 킬레이트제 및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로 이루어지는 식각용 조성물을 사용할 수 있다.
도전성 범프로서 금 범프를 식각 마스크로 이용하고, 상기 식각용 조성물을 이용하여 범프 하부 도전층을 부분적으로 식각함으로써, 범프 하부 도전층을 제거시키면서 금 범프 표면에 보호막을 형성시켜 상기 범프 하부 도전층의 식각 공정시 잔존하는 이물질이 상기 금 범프에 재흡착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또한, 폴리이미드막, 알루미늄막 및 실리콘산질화물막에 대한 손상 없이 금 범프의 막질 상에 존재하는 이물질을 제거시킬 수 있다.
따라서, EDS 테스트 공정 진행시, 프로브 카드에 이물질이 달라붙어 콘택 저항이 증가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으며, 프로브 팁의 세정 공정을 수행하는데 따른 생산성 저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범프 하부 도전층 식각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도전성 범프 구조물의 형성 방법에 따른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하기의 실시예들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해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 명을 다양한 다른 형태로 구현할 수 있을 것이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기판, 막(층), 영역, 패턴 또는 구조물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막(층), 영역, 패턴 또는 구조물이 기판, 막, 영역, 패드 또는 패턴들의 "위에", "위쪽에", "상에", "상부에" 또는 "아래에", "아래쪽에","하부에" 형성되는 것으로 언급되는 경우에는 각 막(층), 영역, 패턴 또는 구조물이 직접 기판, 막(층), 영역 또는 패턴 위에 형성되거나 아래에 위치하는 것을 의미하거나, 다른 막(층), 다른 영역, 다른 패턴 또는 다른 구조물이 기판 상에 추가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막(층), 영역, 패턴 또는 구조물이 "제1" 및/또는 "제2"로 언급되는 경우, 이러한 부재들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단지 두께, 막(층), 영역, 패턴 또는 구조물을 구분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제1" 및/또는 "제2"는 막(층), 영역, 패턴 또는 구조물에 대하여 각기 선택적으로 또는 교환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범프 하부 도전층 식각용 조성물
본 발명의 범프 하부 도전층 식각용 조성물은 산화제로서 과산화수소(H2O2) 40 내지 90 중량%와, 수산화암모늄(NH4OH) 또는 수산화테트라알킬암모늄을 포함하는 염기성 수용액 1 내지 20중량%와, 알콜계 화합물 0.01 내지 10 중량% 및 에틸렌디아민계 킬레이트제 2 내지 30 중량%를 포함하도록 제조할 수 있다. 이때, 첨가제로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일정 비율로 더 혼합시켜 제조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범프 하부 도전층은 티타늄(Ti) 또는 티타늄 텅스텐(TiW)을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먼저, 상기 범프 하부 도전층 식각용 조성물에 포함되는 과산화수소(H2O2)는 금 범프(Au bump) 및 상기 금 범프 주변에 노출된 범프 하부 도전층 상에 잔류하는 티타늄(Ti), 티타늄 산화물(TiOx), 텅스텐(W), 텅스텐 산화물(WOy)이나 유기성 불순물을 산화시켜 식각용 조성물에 쉽게 용해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과산화수소는 금 범프 표면에 얇은 산화막을 형성하여 상기 금 범프 상에 범프 하부 도전층의 식각 공정시 잔존하는 이물질들이 금 범프 표면에 재흡착되는 것을 방지하는데 기여한다.
상기 과산화수소의 함량이 상기 범프 하부 도전층 식각용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40 중량% 미만이면 불순물의 제거율이 저하될 수 있어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과산화수소의 함량이 90 중량%를 초과하면 상기 범프 하부 도전층이 식각되어 노출된 표면이 지나치게 산화되어 추가적으로 손상될 우려가 있어 바람직하지 않다. 따라서, 상기 범프 하부 도전층 식각용 조성물의 과산화수소는 40 내지 90 중량%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범프 하부 도전층 식각용 조성물에 포함되는 수산화암모늄(NH4OH)을 포함하는 염기성 수용액은 범프 하부 도전층으로부터 티타늄막의 제거와 함께 금 범프 상에 잔류하는 티타늄, 티타늄 산화물 및 유기성 불순물과 같은 이물질을 용해하여 제거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수산화암모늄을 포함하는 염기성 수용액은 15 내 지 35 중량%의 농도로 수산화암모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범프 하부 도전층 식각용 조성물에 포함되는 수산화테트라알킬암모늄(TMAH)을 포함하는 염기성 수용액은 범프 하부 도전층으로부터 티타늄 텅스텐막의 제거와 함께 금 범프 상에 잔류하는 티타늄, 텅스텐, 티타늄 산화물, 텅스텐 산화물 및 유기성 불순물과 같은 이물질을 용해하여 제거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수산화테트라알킬암모늄을 포함하는 염기성 수용액은 25 내지 50 중량%의 농도로 수산화테트라알킬암모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산화암모늄 또는 수산화테트라알킬암모늄을 포함하는 염기성 수용액의 함량이 범프 하부 도전층 식각용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1 중량% 미만이면 금 범프 상에 잔류하는 티타늄, 텅스텐, 티타늄 산화물, 텅스텐 산화물 및 유기성 불순물과 같은 이물질의 제거율이 저하될 수 있어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상기 수산화암모늄 또는 수산화테트라알킬암모늄을 포함하는 염기성 수용액의 함량이 20 중량%를 초과하면 금 범프 상에 잔류하는 범프 하부 도전층으로 이용되는 티타늄(Ti) 또는 티타늄 텅스텐(TiW)이 부식되면서 하부의 금 범프가 손상될 수 있어 바람직하지 않다. 따라서, 상기 범프 하부 도전층 식각용 조성물의 수산화암모늄 또는 수산화테트라알킬암모늄을 포함하는 염기성 수용액은 1 내지 20 중량%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수산화암모늄을 포함하는 염기성 수용액에 대한 과산화수소의 중량 비율은 알루미늄의 손상 및 티타늄 식각 속도에 있어서 중요한 영향을 준다. 수산화암모늄의 중량에 대한 과산화수소의 중량이 6배 미만이면 알루미늄이 식각되어 손상될 수 있으며, 티타늄 식각 속도가 감소될 수 있다. 반면에, 상기 수산화암모늄의 중량에 대한 과산화수소의 중량이 9배를 초과하면 티타늄 식각 속도는 증가되지만 알루미늄이 식각될 수 있어 바람직하지 않다. 따라서, 상기 수산화암모늄과 과산화수소의 중량 비율은 약 1 : 6 내지 약 1 : 9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범프 하부 도전층 식각용 조성물에 포함되는 알콜계 화합물은 금 범프를 형성하기 위한 전해도금 공정에서 발생되는 유기성 불순물을 용해하여 제거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알콜계 화합물의 예로는 탄소수 1 내지 4의 모노알콜, 탄소수 1 내지 4의 디올 또는 탄소수 1 내지 6의 아미노알콜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또는 혼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알콜계 화합물의 구체적인 예로는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부탄올, 에틸렌글리콜, 프로판디올, 부탄디올, 모노에탄올아민, 디에탄올아민, 트리에탄올아민, 프로판올아민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알콜계 화합물의 함량이 범프 하부 도전층 식각용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0.01 중량% 미만이면 도전성 범프 및 범프 하부 도전층 상에 잔류하는 유기성 불순물의 제거율이 저하될 수 있고, 범프 하부 도전층의 티타늄, 티타늄 텅스텐, 알루미늄 등의 금속이 부식될 수 있어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알콜계 화합물의 함량이 10 중량%를 초과하면 유기성 불순물의 제거율이 더 이상 증가하지 않아 경제적인 면에서 불리하며, 금 범프 상에 티타늄의 잔류량이 증가되어 바람직하지 않다. 따라서, 상기 범프 하부 도전층 식각용 조성물의 알콜계 화합물은 0.01 내지 10 중량%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범프 하부 도전층 식각용 조성물에 포함되는 에틸렌디아민계 킬레이트제는 범프 하부 도전층의 식각 공정시 용액 속에 존재하는 티타늄 이온이 상기 산화제에 의해 티타늄 산화물 형태로 전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티타늄 이온과 반응하여 안정한 킬레이트 화합물로 형성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에틸렌디아민계 킬레이트제의 일반적인 예로는 에틸렌디아민 테트라아세트산(ethylene-diamine tetraacetic acid; EDTA), 에틸렌디아민 테트라아세트산 2칼륨염(EDTA dipotassium salt; EDTA-2K), 에틸렌디아민 테트라아세트산 2나트륨염(EDTA disodium salt; EDTA-2Na), 에틸렌디아민 테트라아세트산 4나트륨염(EDTA tetrasodium salt; EDTA-4Na)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에틸렌디아민계 킬레이트제로서 EDTA-2K를 사용한다.
상기 에틸렌디아민계 킬레이트제의 함량이 범프 하부 도전층 식각용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2 중량% 미만이면 범프 하부 도전층의 식각 공정에서 발생된 티타늄 이온의 일부가 안정한 킬레이트 화합물을 형성하지 못하고 산화제에 의해 산화되어 티타늄 산화물로 형성될 수 있어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상기 에틸렌디아민계 킬레이트제의 함량이 30 중량%를 초과하면 상기 식각 공정에서 불순물로 발생한 티타늄 이온이 대부분 안정한 킬레이트 화합물로 형성되어 킬레이트 작용이 더 이상 증가하지 않고 금 범프 상에 에틸렌디아민계 킬레이트제가 잔류할 수 있어 바람직하지 않다. 따라서, 상기 범프 하부 도전층 식각용 조성물의 에틸렌디아민계 킬레이트제는 2 내지 30 중량%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범프 하부 도전층 식각용 조성물에는 기존의 범프 하부 도전층 식각용 조성물에 첨가제를 추가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첨가제로는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사용할 수 있으며, 약 1ppm 내지 약 1,000ppm 정도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는 금 범프의 표면에 부착된 티타늄, 티타늄 산화물, 텅스텐 산화물, 유기성 불순물 등의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녹여, 상기 이물질 내부로 식각액 조성물이 용이하게 침투하게 하여 이물질의 제거율을 향상시키는데 기여한다.
상기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의 예로는 폴리에틸렌옥사이드 및 폴리프로필렌옥사이드의 공중합체 또는 폴리에틸렌글리콜 및 폴리프로필렌글리콜의 블록 공중합체를 들 수 있다.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의 구체적인 예로는 NCW(일본 WAKO사의 상품명), Synperonic PE/F68, Synperonic PE/L61, Synperonic PE/L64(이상 독일 FLUKA사의 상품명)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상기 범프 하부 도전층 식각용 조성물에 대하여 1ppm 미만으로 첨가하면 금 범프의 표면에 부착된 이물질 내부로 식각액 조성물의 침투가 용이하지 않아 상기 이물질의 제거율이 저하될 수 있어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상기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1,000ppm 초과로 첨가하면 상기 이물질의 제거율이 더 이상 증가하지 않고 식각 후 금 범프 상에 비이온성 계면활성제가 잔류할 수 있어 바람직하지 않다. 따라서, 상기 범프 하부 도전층 식각용 조성물의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는 1ppm 내지 1,000ppm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티타늄(Ti)을 이용하여 형성된 상기 범프 하부 도전층을 식각하기 위한 상기 식각용 조성물은 상기 과산화수소 68 내지 77 중 량%, 상기 수산화암모늄을 포함하는 염기성 수용액 7 내지 14 중량%, 상기 알콜계 화합물 0.1 내지 3.0 중량% 및 상기 에틸렌디아민계 킬레이트제 15 내지 20 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첨가제로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약 1ppm 내지 1,000ppm를 더 첨가시킬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티타늄 텅스텐(TiW)을 이용하여 형성된 범프 하부 도전층을 식각하기 위한 상기 식각용 조성물은 상기 과산화수소 75 내지 84 중량%, 상기 수산화테트라알킬암모늄을 포함하는 염기성 수용액 0.5 내지 7.0 중량%, 상기 알콜계 화합물 0.01 내지 3.0 중량% 및 상기 에틸렌디아민계 킬레이트제 15 내지 20 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첨가제로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약 1ppm 내지 약 1,000ppm가 더 첨가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범프 하부 도전층 식각용 조성물은 금 범프를 마스크로 하여 노출된 범프 하부 도전층을 식각하는 식각 공정시 발생되는 불순물을 높은 효율로 제거할 수 있으며, 식각에 의한 보호막으로 사용되는 폴리이미드막, 실리콘산질화막(SiON), 휴즈로 사용되는 알루미늄막에 대한 손상을 줄일 수 있다. 따라서, 이후에 EDS 테스트 공정의 수행시 상기 금 범프 상에 접촉되는 프로브 카드에 상기 이물질이 잔류하여 콘택 저항을 증가시키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조된 반도체 장치의 성능 검사에서 발생할 수 있는 오류를 방지할 수 있어 검사의 신뢰성이 향상될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따른 본 발명의 범프 하부 도전층의 식각을 통한 도전성 범프 구조물의 형성 방법에 대하여 상 세하게 설명한다.
도전성 범프 구조물의 형성 방법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전성 범프 구조물의 형성 방법은 기판 상에 금 범프 구조를 포함하는 반도체 소자 칩을 형성하는 공정 중에 수행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반도체 소자 칩(이하, 칩)으로 칩 외부와 접속하는 범프가 많아서 더욱 범프 특성이 문제가 되는 LDI(LCD Driver Integrated circuit) 칩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특히,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전성 범프 구조물은 티타늄(Ti) 또는 티타늄 텅스텐(TiW)을 포함하는 범프 하부 도전층을 본 발명의 우수한 식각력을 가지는 식각용 조성물을 이용하여 식각하는 공정을 포함하여 형성된다.
이하,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금 범프 구조를 포함하는 LDI 칩을 제조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도전성 범프 구조물의 형성 방법을 나타낸 단면도들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반도체 소자(도시되지 않음)들이 형성되어 있는 기판(100) 상에 상기 반도체 소자들과 연결되고 최상층 배선으로 이루어진 칩 패드(110)를 형성한다. 칩 패드(110)는 반도체 소자들과 칩 외부간의 전기적인 콘택을 수행한다. 칩 패드(110)는 전도성 물질을 사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칩 패드(110)는 알루미늄 또는 구리를 사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반도체 소자를 보호하고 칩 패드(110)를 노출하도록 기판(100) 상에 제1 패시베이션층(120)을 형성한다. 제1 패시베이션층(120)은 칩 패드(110) 상부에 개구부를 가지며, 상기 개구부는 마스크를 사용하여 사진식각 공정으로 패터닝하여 형성할 수 있다.
제1 패시베이션층(120) 상에 제2 패시베이션층(122)을 형성한다. 제2 패시베이션층(122)이 칩 패드(110)를 노출시키도록 상기 마스크를 사용하여 사진식각 공정으로 패터닝할 수 있다. 제2 패시베이션층(122)은 폴리이미드(polyimide)를 사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제2 패시베이션층(122) 상에 범프 하부 도전층(130)을 형성한다. 범프 하부 도전층(130)은 칩 패드(110) 상에 외부와의 전기적인 커뮤니케이션 통로로 사용되는 도전성 범프, 예를 들면 금 범프를 직접 형성하기 어렵기 때문에 형성한다. 범프 하부 도전층(130)은 칩 패드(110)와 제2 패시베이션층(122)과의 접착력이 좋고, 칩 패드(110)와의 전기 저항이 낮으며, 기판(100)에 작용하는 스트레스를 최소화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범프 하부 도전층(130)은 티타늄 텅스텐(TiW), 크롬(Cr), 구리(Cu), 티타늄(Ti), 니켈(Ni), 니켈 바나듐(NiV), 팔라듐(Pd), 크롬/구리(Cr/Cu), 티타늄 텅스텐/구리(TiW/Cu), 티타늄 텅스텐/금(TiW/Au) 또는 니켈 바나듐/구리(NiV/Cu)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범프 하부 도전층(130)은 티타늄 텅스텐(TiW), 티타늄(Ti), 티타늄 텅스텐/구리(TiW/Cu) 또는 티타늄 텅스텐/금(TiW/Au)을 증발법, 스퍼터링법, 전해도금법 또는 무전해도금법을 이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범프 하부 도전층(130)은 스퍼터링법을 통하여 금(Au)과 티타늄 텅스텐(TiW)을 순차적으로 증착한 TiW/Au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티타늄 텅스텐(TiW)층은 칩 패드(110)와 상부 배선 간의 확산 방지막으로 작용할 수 있다. 금(Au)층은 칩 패드(110)와 범프 간의 접착력을 높여주고, 후속하는 상부 배선을 형성하기 위한 전해 도금 공정에서 시드층(Seed layer)으로서 작용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범프 하부 도전층(130) 상에 포토레지스트막(140)을 형성한다. 포토레지스트막(140)은 후속하는 금 범프를 형성하기 위한 전해도금공정에서 범프 하부 도전층(130)에 흐르는 전류를 방해하여 범프가 형성될 영역을 제외한 범프 하부 도전층(130) 상에 도금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포토레지스트막(140)은 스핀코팅법(Spin-coating), 롤코팅법(Roll-coating), 슬릿다이법(Slit-die)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사진 식각 공정을 통해 포토레지스트막(140)을 패터닝하여 금 범프(150)(도 5 참조)가 형성될 영역을 한정하는 포토레지스트막 패턴(142)을 형성한다. 이때, 금 범프(150)(도 5 참조)가 형성될 영역은 칩 패드(110) 상에 위치한다. 포토레지스트막 패턴(142)의 형성시 범프 하부 도전층(130) 상에 잔존하는 유기물인 포토레지스트를 제거하기 위해 산소 플라즈마를 이용하는 애싱 공정을 수행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포토레지스트막 패턴(142)에 의해 노출된 범프 하부 도전층(130) 상에 패턴 형상의 도전성 범프로서 금 범프(150)를 형성한다. 금 범프(150)는 아황산금나트륨(Na3Au(SO3)2)을 포함하는 비시안(Non-cyan) 계열의 도금액을 사용하여 전해도금법에 의해 형성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금 범프(150)의 형성 후, 포토레지스트 패턴(142)을 애싱 및 스트리핑 공정을 수행하여 제거한다.
도 7을 참조하면, 금 범프(150)를 식각 마스크로 이용하고, 티타늄(Ti) 또는 티타늄 텅스텐(TiW)을 식각하기 위한 식각용 조성물을 기판(100)에 적용하여 노출된 범프 하부 도전층(130)을 부분적으로 제거하여 범프 하부 도전층 패턴(132)을 형성한다. 기판(100) 상에 칩 패드(110), 제1 패시베이션층(120), 제2 패시베이션층(122), 범프 하부 도전층 패턴(132) 및 금 범프(150)를 포함하는 도전성 범프 구조물(200) 또는 LDI칩이 완성된다.
범프 하부 도전층(130)의 식각에 적용할 수 있는 식각용 조성물은 상술한 범프 하부 도전층 식각용 조성물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식각용 조성물은 산화제로서 과산화수소(H2O2) 40 내지 90중량%, 수산화암모늄(NH4OH) 또는 수산화테트라알킬암모늄(TMAH)을 포함하는 염기성 수용액 1 내지 20중량%, 알콜계 화합물 0.01 내지 10중량% 및 에틸렌디아민계 킬레이트제 2 내지 30중량%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식각용 조성물에는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약 1ppm 내지 약 1,000ppm을 추가로 첨가할 수 있다. 상기 수산화암모늄(NH4OH) 또는 수산화테트라알킬암모늄(TMAH)을 포함하는 염기성 수용액은 범프 하부 도전층(130) 상에 잔류하는 티타늄, 티타늄 산화물, 텅스텐 산화물, 알루미늄, 알루미늄 산화물과 같은 불순물을 용해하여 제거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알콜계 화합물은 금 범프(150) 표면에 잔류하는 유기성 불순물을 용해하여 제거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에틸렌디아민계 킬레이트제는 범프 하부 도전 층(130)의 식각 공정시 용액 속에 존재하는 티타늄 이온이 상기 산화제에 의해 티타늄 산화물 형태로 전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티타늄 이온과 반응시켜 안정한 킬레이트 화합물로 형성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때, 상기 식각용 조성물에서 상기 수산화암모늄과 과산화수소의 중량 비율은 알루미늄의 손상 및 티타늄 식각 속도의 감소를 막기 위해 약 1 : 6 내지 약 1 : 9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범프 하부 도전층 식각용 조성물의 함량에 대하여는 앞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범프 하부 도전층 식각용 조성물은 티타늄을 포함하는 상기 범프 하부 도전층을 식각하기 위하여 포함되며, 상기 과산화수소 68 내지 77 중량%, 상기 수산화암모늄을 포함하는 염기성 수용액 7 내지 14 중량%, 상기 알콜계 화합물 0.1 내지 3.0 중량% 및 상기 에틸렌디아민계 킬레이트제 15 내지 20 중량%를 포함하는 범프 하부 도전층 식각용 조성물을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첨가제로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약 1ppm 내지 약 1,000ppm를 더 첨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범프 하부 도전층 식각용 조성물은 티타늄 텅스텐을 포함하는 상기 범프 하부 도전층을 식각하기 위하여 포함되며, 상기 과산화수소 75 내지 84 중량%, 상기 수산화테트라알킬암모늄을 포함하는 염기성 수용액 0.5 내지 7.0 중량%, 상기 알콜계 화합물 0.01 내지 3.0 중량% 및 상기 에틸렌디아민계 킬레이트제 15 내지 20 중량%를 포함하는 범프 하부 도전층 식각용 조성물을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도, 첨가제로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약 1ppm 내 지 약 1,000ppm를 더 첨가시킬 수 있다.
상기 식각 공정은 상기 금 범프 형성 공정이 수행된 기판(100)을 상기 범프 하부 도전층 식각용 조성물에 침지함으로써 수행할 수 있다. 식각효율을 고려할 때, 본 발명의 범프 하부 도전층 식각용 조성물은 약 40℃ 내지 약 70℃의 온도에서 상기 기판에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식각 시간은 약 1분 내지 약 5분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금 범프(150)에 의해 노출된 범프 하부 도전층(130)을 제거하는 식각 공정 후에, LDI칩(200)이 형성된 기판(100)에 열처리 공정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열처리 공정은 산소 또는 수소 분위기 하에서 약 250℃ 내지 약 360℃의 온도로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LDI칩(200)이 형성된 기판의 열처리 공정 후에, 본 발명의 범프 하부 도전층 식각용 조성물을 이용하여 약 20℃ 내지 약 40℃의 온도에서 약 30초 내지 약 1분 동안 세정하는 공정을 더 수행할 수 있다.
상술한 범프 하부 도전층 식각용 조성물을 이용하여 금 범프(150)가 형성된 기판(100) 상에 식각 공정을 수행한 경우, 식각에 의한 폴리이미드을 포함하는 보호막과 실리콘산질화막 및 휴즈로 이용되는 알루미늄막의 손상을 줄일 수 있다. 또한, 금 범프(150) 표면에 잔류하는 티타늄, 티타늄 산화물, 텅스텐, 텅스텐 산화물, 알루미늄, 알루미늄 산화물, 유기물 등의 이물질을 높은 효율로 제거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식각 공정이 수행된 금 펌프(150)는 후속하는 EDS(Electrical Die Sorting) 테스트 공정에서 프로브 팁(probe tip)을 거의 오염시키지 않는다. 이에 따라, 오염된 프로브 카드의 세정 공정을 진행할 때 프로브 팁의 마모를 방지할 수 있으며, 잦은 프로브 팁 세정에 따른 생산성 저하를 감소시킬 수 있다.
상술한 조성 및 특성을 갖는 물질들로 제조되는 범프 하부 도전층 식각용 조성물은 이하의 실시예들 및 비교예들로서 더욱 상세히 설명하는 바,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국한되는 것은 아님을 밝혀둔다.
범프 하부 도전층 식각용 조성물의 제조
산화제에 염기성 수용액, 알콜계 화합물, 에틸렌디아민계 킬레이트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하기 표 1에 개시된 배합으로 약 30분 동안 교반함으로써 배합의 실시예 1~2 및 비교예 1~5의 범프 하부 도전층 식각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이때, 식각용 조성물의 제조에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사용할 경우, 계면활성제가 충분히 용해될 수 있도록 약 2시간 정도 더 교반하여 식각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하기 표 1에서 조성물의 각 성분들의 함량은 중량%이다.
[표 1] 범프 하부 도전층 식각용 조성물의 배합비
Figure 112008066481759-PAT00001
(상기 범프 하부 도전층 식각용 조성물의 배합에서 사용된 조성물의 대표적인 예는 다음과 같다. 산화제 : 과산화수소(H2O2) or 희석 불산(DHF), 염기성 수용액 : 약 25 중량%의 농도를 갖는 테트라메틸암모늄 히드록시기(TMAH) or 약 38 중량%의 농도를 갖는 수산화암모늄(NH4OH), 알콜계 화합물 : 에틸렌 글리콜(EG), 킬레이트제 : EDTA-2K,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 NCW(일본 Wako사의 상품명))
범프 하부 도전층 식각용 조성물의 식각 능력 평가
상기 실시예 1~2 및 비교예 1~5의 배합비에 따라 형성된 범프 하부 도전층 식각용 조성물들을 이용하여 범프 하부 도전층의 식각 능력을 평가하기 위하여, 티타늄(Ti), 티타늄 텅스텐(TiW)으로 각각 도금된 기판들과, 알루미늄(Al), 실리콘산질화물(SiON), 폴리이미드가 각각 도포된 기판들을 준비하였다. 상기 기판들을 각 각의 범프 하부 도전층 식각용 조성물에 약 40℃ 내지 약 70℃의 온도에서 약 1분 내지 약 5분 동안 침지한 다음 초순수에 약 5분 동안 침지하여 식각 및 세정하였다. 이어서, 아르곤(Ar) 가스나 질소(N2) 가스를 주입하여 기판을 건조하였다. 식각 및 세정 후의 기판의 상면을 현미경으로 관찰하여 알루미늄(Al)막, 실리콘산질화물(SiON)막, 폴리이미드막에 대한 잔류여부를 확인하였다. 평가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표 2]
Figure 112008066481759-PAT00002
(상기 표 2에서, ◎는 식각이 거의 발생되지 않음을 의미하고, ○는 식각이 약간 발생됨을 의미하며, △는 식각이 보통으로 발생됨을 의미하며, X는 식각이 많이 발생됨을 의미한다.)
표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범프 하부 도전층 식각용 조성물은 금 범프 형성 공정시 상기 식각용 조성물에 노출 가능한 알루미늄(Al)막, 실리콘산질화물(SiON)막, 폴리이미드막을 거의 식각시키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상기 실시예 1 및 2에서 제조된 범프 하부 도전층 식각용 조성물은 상기 알루미늄(Al)막, 실리콘산질화물(SiON)막, 폴리이미드막에 대한 손상없이 범프 하부 도전층에 대한 식각 공정을 수행시킬 수 있음이 확인되었다.
범프 하부 도전층 식각용 조성물의 세정 능력 평가 1
도 8은 본 발명의 범프 하부 도전층 식각용 조성물 내 수산화암모늄의 농도 변화에 따른 티타늄(Ti)의 세정 정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여기서, 티타늄(Ti)의 세정 정도는, 티타늄(Ti)의 잔류량(residue)과, EDS 공정 중 프로브 팁의 세정 공정없이 검사 공정이 수행되는 기판 내 칩 간격을 이용하여 진행되었다. 도 8에서, "Ⅰ"은 티타늄(Ti)의 잔류량(residue)(E10/atoms)을 나타내었으며, "Ⅱ"는 EDS 공정 중 프로브 팁의 세정 공정없이 검사 공정이 수행되는 기판 내 칩 간격을 나타내었다.
도 8에서는 전체 100 중량%를 갖는 범프 하부 도전층 식각용 조성물로 과산화수소(H2O2), 수산화암모늄(NH4OH), 알콜계 화합물 0.5 중량% 및 에틸렌 디아민계 킬레이트제(EDTA-2K) 15 중량%를 포함하고 있으며, 수산화암모늄(NH4OH)을 0, 5, 10, 12, 15 중량%의 범위로 각각 적용시키고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금 범프 상에 잔류하는 주요 불순물인 티타늄(Ti)을 세정시키기 위한, 에틸렌 디아민계 킬레이트제(EDTA-2K) 15 질량%인 범프 하부 도전층 식각용 조성물 내 수산화암모늄(NH4OH)의 농도를 달리하면, 약 5 중량%일 때부터 티 타늄 잔류물은 0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수산화암모늄(NH4OH)의 농도가 약 12 중량%일 때 EDS 공정 중 프로브 팁의 세정 공정없이 검사 공정의 수행되는 기판 내 칩 간격이 약 2000칩으로 최대인 것으로 나타났다. 즉, 에틸렌 디아민계 킬레이트제(EDTA-2K) 15 질량%인 범프 하부 도전층 식각용 조성물 내 수산화암모늄(NH4OH)의 농도는 티타늄 잔류물 및 EDS 공정 중 검사 칩 간격 기준으로 약 12 중량%일 때 가장 적합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범프 하부 도전층 식각용 조성물의 세정 능력 평가 2
도 9는 본 발명의 범프 하부 도전층 식각용 조성물 내 에틸렌 디아민계 킬레이트제의 농도 변화에 따른 티타늄(Ti)의 세정 정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여기서, 티타늄(Ti)의 세정 정도는, 티타늄(Ti)의 잔류량(residue)과, EDS 공정 중 프로브 팁의 세정 공정없이 검사 공정이 수행되는 기판 내 칩 간격을 이용하여 진행되었다. 도 9에서, "Ⅲ"은 티타늄(Ti)의 잔류량(residue)(E10/atoms)을 나타내었으며, "Ⅳ"는 EDS 공정 중 프로브 팁의 세정 공정없이 검사 공정이 수행되는 기판 내 칩 간격을 나타내었다.
도 9에서는 전체 100 중량%를 갖는 범프 하부 도전층 식각용 조성물로 과산화수소(H2O2), 수산화암모늄(NH4OH) 12 중량%, 알콜계 화합물 0.5 중량% 및 에틸렌 디아민계 킬레이트제(EDTA-2K)를 포함하고 있으며, 에틸렌 디아민계 킬레이트제(EDTA-2K)를 0, 5, 10, 12, 15 중량%의 범위로 각각 적용시키고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티타늄(Ti)의 세정에 적합한 수산화암모늄(NH4OH)의 농도가 12 중량%인 범프 하부 도전층 식각용 조성물 내에서 에틸렌 디아민계 킬레이트제(EDTA-2K)의 농도를 달리할 경우, 0 중량%일 때부터 티타늄 잔류물이 0인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에틸렌 디아민계 킬레이트제(EDTA-2K)의 농도가 약 15 중량%가 될 때까지 증가하는 동안 EDS 공정 중 프로브 팁의 세정 공정없이 검사 공정의 수행되는 기판 내 칩 간격도 계속해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이, 범프 하부 도전층 식각용 조성물 내 총 중량에 대하여 에틸렌 디아민계 킬레이트제(EDTA-2K)의 농도를 15 중량%까지 증가시킨 실험 결과에서는 가장 적합한 값이 도출되지 않았다. 그러나, 범프 하부 도전층 식각용 조성물 내 에틸렌 디아민계 킬레이트제(EDTA-2K)의 농도에 따른 세정 능력은 15 중량%까지 계속적으로 향상됨이 확인되었다.
또한, 식각 및 세정 후의 티타늄(Ti), 티타늄 텅스텐(TiW)의 식각에 대한 평가는 자동시각검사(Automated Visual Inspection : AVI) 시스템을 이용하여 수행되었다. 또한, 금 범프 상에 잔류하는 주요 불순물인 티타늄 산화물의 세정에 대한 평가는 티타늄 산화물을 구성하는 원자의 표면 밀도를 측정하는 전반사 X-선 형광분광기(Total reflection X-Ray Fluorescence : TXRF)를 이용하여 수행되었다. 그리고, EDS 공정 중 프로브 팁의 세정 공정없이 검사 공정이 수행되는 기판 간격 평가는 재검사율을 통하여 진행하였다. 평가 결과는 하기 표 3에 나타낸다.
[표 3]
Figure 112008066481759-PAT00003
(상기 표 3에서, ◎는 제거 능력이 매우 우수함을 의미하고, ○는 우수함을 의미하며, △는 보통임을 의미하며, X는 제거 능력이 거의 없음을 의미한다.)
표 3을 참조하면, 상기 실시예 1 내지 2에 대한 식각 능력 평가 결과에서 알 수 있듯이 수득된 티타늄을 포함하는 범프 하부 도전층의 식각 능력이 매우 우수하며, 염기성 수용액으로 수산화암모늄을 사용하는 실시예 1의 경우에서는 티타늄 텅스텐을 포함하는 범프 하부 도전층의 식각 능력에 있어서도 매우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상기 실시예 1 내지 2에 대한 금 범프 표면 상 티타늄 산화물(TiOx)의 잔존량 평가 결과에서 알 수 있듯이 염기성 수용액으로 수산화암모늄을 사용하는 실시예 1에서 제조된 식각액 조성물은 티타늄(Ti)보다 티타늄 텅스텐(TiW) 상에서 보다 우수한 세정력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염기성 수용액로 수산화테트라알킬암모늄(TMAH)를 사용하는 실시예 2에서 제조된 식각액 조성물은 티타늄 텅스텐(TiW)보다 티타늄(Ti)이 도금된 경우에서 상기 실시예 1의 식각액 조성물에 비해 보다 우수한 세정력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상기 실시예 1 내지 2에 대한 EDS 공정 중 기판 간격 평가 결과에서 알 수 있듯이 프로브 카드의 오염으로 인한 세정 공정없이 한번에 최소 약 1,700장 이상의 기판들을 검사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알콜계 화합물 및 계면활성제를 포함하지 않은 비교예 3과 알콜계 화합물을 포함하지 않은 비교예 4에 비해 알콜계 화합물 및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모두 포함하는 실시예 1 내지 2의 경우 기판 상에 오염물이 발생되는 정도가 훨씬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알콜계 화합물 및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면서 염기성 수용액으로 수산화암모늄을 사용하는 실시예 2에서 제조된 식각액 조성물은 티타늄에 대한 제거능력이 우수하며, 티타늄 도금된 기판의 금 범프 상에 티타늄 산화물(TiOx)의 잔존량이 없어 최대 약 1,763장까지 프로브 니들의 오염에 의한 세정없이 EDS 검사를 한번에 수행시킬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프 하부 도전층 식각용 조성물은 알루미늄(Al)막, 실리콘산질화물(SiON)막, 폴리이미드막에 대한 손상없이 티타늄(Ti) 또는 티타늄 텅스텐(TiW)에 대하여 우수한 식각 능력을 가지면서, 티타늄 산화물을 포함하는 이물질을 완전히 제거시킬 수 있어, 후속한 EDS 테스트 공정 진행시 프로브 니들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우수한 식각력을 갖는 식각용 조성물을 이용하여범프 하부 도전층를 부분적으로 제거시키는 식각함과 동시에 상기 식각시 잔존하는 이물질이 도전성 범프에 재흡착하는 것을 차단하여 주변 막들의 손상없이 상기 이물질도 완전히 제거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EDS 테스트 공정 진행시, 프로브 카드에 이물질이 달라붙어 콘택 저항이 증가되거나, 프로브 팁의 세정 공정을 수행하는데 따른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를 최소화시킬 수 있다.
상술한 바에 있어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도전성 범프 구조물의 형성 방법을 나타낸 단면도들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범프 하부 도전층 식각용 조성물 내 수산화암모늄의 농도 변화에 따른 티타늄(Ti)의 세정 정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범프 하부 도전층 식각용 조성물 내 에틸렌 디아민계 킬레이트제의 농도 변화에 따른 티타늄(Ti)의 세정 정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기판 110 : 칩 패드
120 : 제1 패시베이션층 122 : 제2 패시베이션층
130 : 범프 하부 도전층 140 : 포토레지스트막
142 : 포토레지스트막 패턴 150 : 금 범프
200 : 도전성 범프 구조물

Claims (13)

  1. 과산화수소 40 내지 90 중량%, 수산화암모늄 또는 수산화테트라알킬암모늄을 포함하는 염기성 수용액 1 내지 20 중량%, 알콜계 화합물 0.01 내지 10 중량% 및 에틸렌디아민계 킬레이트제 2 내지 30 중량%를 포함하는 범프 하부 도전층 식각용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범프 하부 도전층 식각용 조성물은 상기 과산화수소 68 내지 77 중량%, 상기 수산화암모늄을 포함하는 염기성 수용액 7 내지 14 중량%, 상기 알콜계 화합물 0.1 내지 3.0 중량% 및 상기 에틸렌디아민계 킬레이트제 15 내지 20 중량%를 포함하고, 티타늄을 포함하는 범프 하부 도전층을 식각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범프 하부 도전층 식각용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산화암모늄과 상기 과산화수소의 중량 비율은 1:6 내지 1:9의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범프 하부 도전층 식각용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범프 하부 도전층 식각용 조성물은 상기 과산화수소 75 내지 84 중량%, 상기 수산화테트라알킬암모늄을 포함하는 염기성 수용액 0.5 내지 7.0 중량%, 상기 알콜계 화합물 0.01 내지 3.0 중량% 및 상기 에틸렌디아민계 킬레이트제 15 내지 20 중량%를 포함하고, 티타늄 텅스텐을 포함하는 범프 하부 도 전층을 식각하는데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범프 하부 도전층 식각용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범프 하부 도전층 식각용 조성물은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1ppm 내지 1,000ppm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범프 하부 도전층 식각용 조성물.
  6. 기판 상에 형성된 반도체 소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칩 패드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기판 상에 상기 칩 패드를 노출시키는 패시베이션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패시베이션층 및 상기 칩 패드 상에 범프 하부 도전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범프 하부 도전층 상에 패턴 형상의 도전성 범프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도전성 범프를 식각 마스크로 이용하고, 과산화수소 40 내지 90 중량%, 수산화암모늄 또는 수산화테트라알킬암모늄을 포함하는 염기성 수용액 1 내지 20 중량%, 알콜계 화합물 0.01 내지 10 중량% 및 에틸렌디아민계 킬레이트제 2 내지 30 중량%를 포함하는 범프 하부 도전층 식각용 조성물을 상기 기판에 적용하여 상기 범프 하부 도전층을 부분적으로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도전성 범프 구조물의 형성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수산화암모늄과 상기 과산화수소의 중량 비율은 1:6 내지 1:9의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전성 범프 구조물의 형성 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범프 하부 도전층은 티타늄을 이용하여 형성되고, 상기 범프 하부 도전층을 식각하는 단계는 상기 과산화수소 68 내지 77 중량%, 상기 수산화암모늄을 포함하는 염기성 수용액 7 내지 14 중량%, 상기 알콜계 화합물 0.1 내지 3.0 중량% 및 상기 에틸렌디아민계 킬레이트제 15 내지 20 중량%를 포함하는 범프 하부 도전층 식각용 조성물을 이용하여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전성 범프 구조물의 형성 방법.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범프 하부 도전층은 티타늄 텅스텐을 이용하여 형성되고, 상기 범프 하부 도전층을 식각하는 단계는 상기 과산화수소 75 내지 84 중량%, 상기 수산화테트라알킬암모늄을 포함하는 염기성 수용액 0.5 내지 7.0 중량%, 상기 알콜계 화합물 0.01 내지 3.0 중량% 및 상기 에틸렌디아민계 킬레이트제 15 내지 20 중량%를 포함하는 범프 하부 도전층 식각용 조성물을 이용하여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전성 범프 구조물의 형성 방법.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범프 하부 도전층 식각용 조성물은 40℃ 내지 70℃의 온도에서 1분 내지 5분 동안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전성 범프 구조물의 형성 방법.
  11.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범프 하부 도전층을 부분적으로 제거한 후에, 상기 도전성 범프가 형성된 기판을 열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전성 범프 구조물의 형성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열처리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범프 하부 도전층 식각용 조성물을 20℃ 내지 40℃의 온도에서 30초 내지 1분 동안 적용하여 세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전성 범프 구조물의 형성 방법.
  13.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범프 하부 도전층은 티타늄 텅스텐(TiW), 크롬(Cr), 구리(Cu), 티타늄(Ti), 니켈(Ni), 니켈 바나듐(NiV), 팔라듐(Pd), 크롬/구리(Cr/Cu), 티타늄 텅스텐/구리(TiW/Cu), 티타늄 텅스텐/금(TiW/Au) 및 니켈 바나듐/구리(NiV/Cu)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전성 범프 구조물의 형성 방법.
KR1020080092821A 2007-11-22 2008-09-22 범프 하부 도전층 식각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도전성 범프 구조물의 형성 방법 KR1015124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TW097145247A TWI456089B (zh) 2007-11-22 2008-11-21 使用用於凸塊下金屬層之蝕刻組合物形成凸塊結構之方法
US12/292,643 US8110508B2 (en) 2007-11-22 2008-11-21 Method of forming a bump structure using an etching composition for an under bump metallurgy layer
CN2008101818303A CN101440491B (zh) 2007-11-22 2008-11-24 使用凸点下金属层用蚀刻组合物形成凸点结构的方法
US13/347,169 US8395270B2 (en) 2007-11-22 2012-01-10 Etching composition for an under-bump metallurgy lay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9639 2007-11-22
KR20070119639 2007-11-2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53679A true KR20090053679A (ko) 2009-05-27
KR101512490B1 KR101512490B1 (ko) 2015-04-17

Family

ID=407250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92821A KR101512490B1 (ko) 2007-11-22 2008-09-22 범프 하부 도전층 식각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도전성 범프 구조물의 형성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1512490B1 (ko)
CN (1) CN101440491B (ko)
TW (1) TWI456089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8426B1 (ko) * 2010-09-02 2013-06-24 삼성전기주식회사 반도체 패키지 기판의 제조방법
US9399822B2 (en) 2013-09-17 2016-07-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Liquid compositions and methods of fabricating a semiconductor device using the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046052B (zh) * 2012-12-27 2016-01-20 广东山之风环保科技有限公司 环保型含钛膜层的退除液及其使用方法
SG10201503988YA (en) * 2014-05-29 2015-12-30 Applied Materials Inc Reduced titanium undercut in etch process
KR20160001985A (ko) * 2014-06-30 2016-01-07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금속막의 식각액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액정 표시 장치용 어레이 기판의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56858A (en) * 1994-10-19 1997-08-12 Nippondenso Co., Ltd. Semiconductor device with bump structure
US6015505A (en) 1997-10-30 2000-01-18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Process improvements for titanium-tungsten etching in the presence of electroplated C4's
US6358788B1 (en) * 1999-08-30 2002-03-19 Micron Technology, Inc. Method of fabricating a wordline in a memory array of a semiconductor device
US7232514B2 (en) 2001-03-14 2007-06-19 Applied Materials, Inc. Method and composition for polishing a substrat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8426B1 (ko) * 2010-09-02 2013-06-24 삼성전기주식회사 반도체 패키지 기판의 제조방법
US9399822B2 (en) 2013-09-17 2016-07-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Liquid compositions and methods of fabricating a semiconductor device us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440491B (zh) 2013-06-05
TWI456089B (zh) 2014-10-11
KR101512490B1 (ko) 2015-04-17
CN101440491A (zh) 2009-05-27
TW200934890A (en) 2009-08-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10508B2 (en) Method of forming a bump structure using an etching composition for an under bump metallurgy layer
US6518162B2 (en) Method for manufacturing a semiconductor device
KR101666516B1 (ko) 구리 식각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반도체 장치의 제조방법
TWI416282B (zh) 用以移除殘餘光阻及聚合物的組合物及使用該組合物的殘餘物移除製程
KR101413380B1 (ko) 반도체 다이의 제조방법,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반도체다이를 포함하는 반도체 소자
CN101701156B (zh) 晶片划片期间抑制腐蚀和去除表面污染物的方法和其采用的组合物
KR101512490B1 (ko) 범프 하부 도전층 식각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도전성 범프 구조물의 형성 방법
US20130045597A1 (en) Liquid composition for cleaning semiconductor substrate and method of cleaning semiconductor substrate using the same
KR20140030185A (ko) 포토레지스트용 박리액, 박리액 리사이클 시스템과 운전 방법 및 박리액의 리사이클 방법
TWI467675B (zh) 用於改善打線製程的引線架清潔方法
JP6452661B2 (ja) 半導体装置用ボンディングワイヤ
CN110945631B (zh) 抑制钴、氧化铝、层间绝缘膜、氮化硅的损伤的组成液及使用其的清洗方法
KR101572639B1 (ko) Cmp 후 세정액 조성물
US11373934B2 (en) Bonding wire for semiconductor device
TWI360729B (en) Photoresist residue remover composition and semico
JP7046047B2 (ja) 半導体ウェハ、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9026786A (ja) 金電極または金配線を有する半導体装置の洗浄液及び洗浄方法
KR100729235B1 (ko) 프로브 카드용 세정액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프로브카드의 세정 방법
CN102044485B (zh) 金属化方法以及防止铜铝合金出现腐蚀性缺陷的方法
JP5689665B2 (ja) 金属膜表面の酸化防止方法及び酸化防止液
JP4397800B2 (ja) 半導体素子洗浄用組成物
KR20240049239A (ko) 티타늄을 포함하는 금속 적층 복합막질 식각을 위한 조성물
KR100559992B1 (ko) 반도체 소자의 본딩 패드 검사를 위한 알루미늄 제거용 화학용액
TW200535238A (en) Improved alkaline chemistry for post-CMP clean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9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