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52535A - 줄넘기 - Google Patents
줄넘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90052535A KR20090052535A KR1020070119081A KR20070119081A KR20090052535A KR 20090052535 A KR20090052535 A KR 20090052535A KR 1020070119081 A KR1020070119081 A KR 1020070119081A KR 20070119081 A KR20070119081 A KR 20070119081A KR 20090052535 A KR20090052535 A KR 20090052535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ope
- string
- fixing
- skipping
- handl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00—Apparatus for jumping
- A63B5/20—Skipping-ropes or similar devices rotating in a vertical plane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5/00—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 A63B2225/09—Adjustable dimens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Abstract
실시예에서는 줄넘기에 대해 개시된다.
실시예에 따른 줄넘기는 사용자가 파지 가능한 손잡이부와 사용자가 회전시키는 회전부를 이루는 줄; 및 상기 줄의 길이가 조절되어 고정되도록 하는 가이드부재가 포함된다.
실시예에 따른 줄넘기는 줄; 상기 줄이 제1 방향으로 관통되고 상기 관통된 줄이 다시 제1 방향과 반대방향인 제2 방향으로 관통되며, 돌출된 형태의 줄 고정부가 형성된 제1 부재; 및 상기 제1 부재와 결합되어 상기 줄 고정부가 상기 줄에 밀착되도록 가압하는 제2 부재가 포함된다.
줄넘기
Description
실시예에서는 줄넘기에 대해 개시된다.
줄넘기는 남녀노소가 기초체력을 단련시키기 위해 사용하는 운동기구 중 하나로서, 많은 공간을 차지하지 않으면서 장소에 구애없이 간편하게 운동할 수 있는 운동기구로 많은 사람들이 즐겨하는 것이다.
줄넘기는 신체의 균형감각과 순발력 그리고 지구력 등을 발달시키고, 신체의 균형을 유지시켜주는 역할을 수행한다.
일반적으로 줄넘기는 양단에 바(Bar) 형태의 손잡이와, 손잡이 사이의 줄로 이루어졌다. 사용자는 양단의 손잡이를 파지하고 자기의 신체를 공중에 띄운 상태에서 줄넘기의 줄을 1회전 또는 2회전 이상 반복하여 실시한다.
한편, 종래의 줄넘기는 바 형태의 손잡이가 구비됨에 따라 부피가 커지고 휴대가 불편한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의 줄넘기는 손잡이가 구비됨에 따라 다양한 방법으로 줄넘기를 파지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의 줄넘기는 손잡이의 크기가 고정되어 있으므로, 성인용 줄넘기 를 어린이가 사용하거나, 어린이용 줄넘기를 성인이 사용하는 것이 불편한 문제가 있다.
실시예는 줄넘기를 제공한다.
실시예는 종래의 바 형태의 손잡이를 제거한 줄넘기를 제공한다.
실시예는 줄을 잠고 줄넘기의 줄을 회전시킬 수 있는 줄넘기를 제공한다.
실시예에 따른 줄넘기는 사용자가 파지 가능한 손잡이부와 사용자가 회전시키는 회전부를 이루는 줄; 및 상기 줄의 길이가 조절되어 고정되도록 하는 가이드부재가 포함된다.
실시예에 따른 줄넘기는 줄; 상기 줄이 제1 방향으로 관통되고 상기 관통된 줄이 다시 제1 방향과 반대방향인 제2 방향으로 관통되며, 돌출된 형태의 줄 고정부가 형성된 제1 부재; 및 상기 제1 부재와 결합되어 상기 줄 고정부가 상기 줄에 밀착되도록 가압하는 제2 부재가 포함된다.
실시예는 종래의 바 형태의 손잡이를 제거한 줄넘기를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는 줄을 잠고 줄넘기의 줄을 회전시킬 수 있는 줄넘기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줄넘기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줄넘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줄넘기는 회전부(11)와 손잡이부(12)를 형성하는 줄(10)과, 상기 줄(10)이 고리형의 손잡이부(12)를 형성하도록 하고 줄 길이가 조절된 상태에서 고정되도록 하는 가이드부(20)가 포함된다.
본 발명의 줄넘기는 종래에 나무, 플라스틱, 고무 등으로 형성된 바-형태의 손잡이가 형성되지 않는다. 즉, 본 발명의 줄넘기는 고리 형태로 형성된 줄(10)의 단부를 손가락 또는 손바닥으로 파지하고 줄(10)을 회전시켜 줄넘기 운동을 하게 된다.
따라서, 종래의 손잡이가 형성된 줄넘기에 비해 부피가 작아 휴대가 편리한 장점이 있으며, 다양한 형태로 줄넘기를 파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아울러, 손잡이의 크기에 따라 줄넘기의 사용 연령이 제한되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줄넘기에서 손잡이부와 가이드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가이드부(20)는 제1 부재(21)와 제2 부재(22)가 포함된다.
상기 제1 부재(21)는 상기 줄(10)이 제1 방향으로 통과되어 고리 형태를 이룬 후 상기 제1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통과되도록 하여 결과적으로 손잡이부(12)가 형성될 수 있도록 한다.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 부재(21)에는 상기 손잡이부(12) 방향으로 형성된 두 개의 홀과, 상기 회전부(11) 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두 개의 홀과 연결되는 하나 의 홀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제1 부재(21)는 상기 줄(10)의 손잡이부(12)측 방향이 분기된 형태로 배치되도록 하여, 상기 손잡이부(12)의 줄(10)이 고리 형태로 형성되도록 한다.
상기 제1 부재(21)의 외측에는 고정 홈(23)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 홈(23)은 상기 제2 부재(22)의 내측에 형성된 고정 돌기(25)와 결합되어 상기 제2 부재(22)가 상기 제1 부재(21)에 보다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 다만, 상기 고정 홈(23)과 고정 돌기(25)는 반드시 요구되는 것이 아니며, 상기 제1 부재(21)와 제2 부재(22)의 강제 끼움만으로도 상기 제1 부재(21)와 제2 부재(22)가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부재(21)에는 탄성력을 갖는 줄 고정부(24)가 형성된다. 상기 줄 고정부(24)는 상기 제1 부재(21)로부터 상기 제2 부재(22)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며, 상기 제1 부재(21)와 제2 부재(22)가 결합될 때, 상기 제2 부재(22)의 내면에 의해 눌려지면서 상기 줄(10)을 고정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줄넘기는 줄 마감부재(30)이 형성된다. 상기 줄 마감부재(30)는 여분의 줄을 줄(10)의 회전부(11)에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줄넘기의 줄(10)이 깔끔하게 정리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줄(10)의 끝단에는 상기 줄 마감부재(30)의 홀보다 직경이 큰 걸림부(31)가 형성되어 상기 줄(10)의 끝단이 상기 줄 마감부재(30)를 이탈하지 않도록 한다.
상기 줄 마감부재(30)는 플라스틱 또는 금속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줄(10)은 탄성이 있는 고무 또는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되므로, 상기 줄 마감부재(30)와 줄(10) 사이에는 소정의 마찰력이 존재한다.
따라서, 상기 줄 마감부재(30)가 형성되어도 사용자가 힘으로 상기 줄 마감부재(30)를 기준으로 줄(10)이 이동되도록 하여 줄(10)의 길이를 조정할 수 있고, 반대로 인위적인 외력이 존재하지 않는 한 상기 줄 마감부재(30)는 상기 줄(10)을 고정하게 된다.
한편, 줄(10)의 회전부(11) 또는 손잡이부(12)의 길이를 조절하는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3과 같은 상태에서 손잡이부(12)의 줄(10)을 상기 줄 마감부재(30)를 기준으로 가이드부(20) 방향으로 당기게 되면, 회전부(11)의 길이가 감소되고 손잡이부(12)의 길이가 증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걸림부(31)와 가이드부재(20) 사이의 줄(10)을 회전부(11) 방향으로 당기게 되면, 상기 손잡이부(12)의 길이가 감소하게 된다.
즉, 상기 손잡이부(12)의 길이를 변화시키지 않는다고 가정하면, 상기 가이드부재(20)와 상기 줄 마감부재(30) 사이의 거리가 증가하게 되면 상기 회전부(11)의 길이가 감소하게 되고, 상기 가이드부재(20)와 상기 줄 마감부재(30) 사이의 거리가 감소하게 되면 상기 회전부(11)의 길이가 증가하게 된다.
그리고, 도 4와 같이 상기 제1 부재(21)와 제2 부재(22)를 결합시키게 되면 상기 제1 부재(21)의 줄 고정부(24)에 의해 상기 줄(10)이 고정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줄넘기는 손잡이부(12)의 길이를 조절함으로써, 어린이 또는 성인의 손가락의 굵기 또는 손바닥의 굵기에 적당하게 손잡이부(12)를 조절할 수 있다.
도 5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줄넘기에서 제1 부재의 줄 고정부의 형상이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줄넘기에서 제1 부재의 줄 고정부의 형상의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제1 부재(21)에는 상기 제2 부재(22)와 결합되면서 상기 줄(10)을 고정하게 되는 줄 고정부(24)가 형성되는데, 상기 줄 고정부(24)는 탄성을 가지고 있으며, 하나 또는 복수개가 돌출된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줄 고정부(24)는 상기 제2 부재(22)의 내면에 의해 줄(10)이 위치된 방향으로 힘을 받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줄(10)이 고정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줄넘기는 종래의 바 형태의 손잡이가 사용되지 않고, 줄의 일부를 손잡이로 사용한다.
따라서, 휴대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다양한 방법으로 줄넘기를 파지할 수 있으며, 다양한 연령층의 사용자가 하나의 줄넘기를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줄넘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줄넘기에서 손잡이부와 가이드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줄넘기에서 제1 부재의 줄 고정부의 형상이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줄넘기에서 제1 부재의 줄 고정부의 형상의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Claims (7)
- 사용자가 파지 가능한 손잡이부와 사용자가 회전시키는 회전부를 이루는 줄; 및상기 줄의 길이가 조절되어 고정되도록 하는 가이드부재가 포함되는 줄넘기.
- 제 1항에 있어서,상기 가이드 부재는 상기 손잡이부 방향으로 형성된 두 개의 홀과, 상기 회전부 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두 개의 홀과 연결되는 하나의 홀이 형성되는 줄넘기.
- 제 1항에 있어서,상기 가이드 부재는 탄성을 가진 줄 고정부가 형성된 제1 부재와, 상기 제1 부재와 결합되어 상기 줄 고정부가 줄에 밀착되도록 하는 제2 부재가 포함되는 줄넘기.
- 제 1항에 있어서,상기 줄의 끝단부가 상기 회전부에 고정되도록 하는 줄 마감부재와, 상기 줄의 끝단에 형성되어 상기 줄의 끝단부가 상기 줄 마감부재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걸림부가 포함되는 줄넘기.
- 줄;상기 줄이 제1 방향으로 관통되고 상기 관통된 줄이 다시 제1 방향과 반대방향인 제2 방향으로 관통되며, 돌출된 형태의 줄 고정부가 형성된 제1 부재; 및상기 제1 부재와 결합되어 상기 줄 고정부가 상기 줄에 밀착되도록 가압하는 제2 부재가 포함되는 줄넘기.
- 제 5항에 있어서,상기 제1 부재의 외면에는 고정 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2 부재에는 고정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고정돌기는 상기 고정 홈에 결합되는 줄넘기.
- 제 5항에 있어서,상기 제1 부재는 제1 방향에 상기 줄이 관통하는 하나의 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1 방향의 반대 방향인 제2 방향에 상기 제1 방향에 형성된 하나의 홀과 연결되어 상기 줄이 관통하는 두개의 홀이 형성되는 줄넘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119081A KR100903269B1 (ko) | 2007-11-21 | 2007-11-21 | 줄넘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119081A KR100903269B1 (ko) | 2007-11-21 | 2007-11-21 | 줄넘기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90052535A true KR20090052535A (ko) | 2009-05-26 |
KR100903269B1 KR100903269B1 (ko) | 2009-06-17 |
Family
ID=408602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70119081A KR100903269B1 (ko) | 2007-11-21 | 2007-11-21 | 줄넘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903269B1 (ko) |
Family Cites Familie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4281832A (en) | 1978-12-26 | 1981-08-04 | Quinby Jr Ripley | Jump rope |
KR920003523Y1 (ko) * | 1989-11-14 | 1992-05-30 | 김영중 | 줄길이가 조절되는 줄넘기 |
KR200227350Y1 (ko) * | 1998-09-24 | 2001-09-17 | 권오성 | 길이조절이가능한줄넘기 |
KR100382336B1 (ko) * | 2000-09-19 | 2003-05-12 | 박영숙 | 줄넘기 |
-
2007
- 2007-11-21 KR KR1020070119081A patent/KR100903269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903269B1 (ko) | 2009-06-1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AU2010202246B2 (en) | Gyroscopic exerciser | |
US10071274B2 (en) | Jump rope device | |
JP3215072U (ja) | ローラー運動器具及びローラー運動器具セット | |
US7749145B2 (en) | Rhythmic exercise device and method of conducting an exercise program | |
US6837835B2 (en) | Exercise ball device | |
US20120295776A1 (en) | Tension exerciser with elastic limit function | |
US11986695B2 (en) | Exercise grip | |
US20150065263A1 (en) | Golf swing training aid and method of use thereof | |
KR100717163B1 (ko) | T형 손잡이를 갖는 줄넘기 로프 | |
JP3215130U (ja) | ハンドル運動器具及び運動器具セット | |
KR100903269B1 (ko) | 줄넘기 | |
US20180065010A1 (en) | Racket Grip Reference Point Trainer | |
WO2002041950A3 (en) | Exercise handgrip apparatus | |
KR101501845B1 (ko) | 자이로스코프원리를 이용한 손목운동구 | |
KR200360358Y1 (ko) | 줄넘기 | |
WO2017151709A1 (en) | Jump rope device | |
KR101924419B1 (ko) | 스윙 연습용 탁구 라켓 장치 | |
KR20080004601U (ko) | 우레탄 폼을 이용한 골프연습용 그립 | |
KR200379514Y1 (ko) | 줄넘기용 운동 기구 | |
KR20150001381U (ko) | 실내용 자전거형 운동기구 | |
KR20060072851A (ko) | 줄넘기용 운동 기구 | |
TWM330845U (en) | Adjustable grip device | |
US535220A (en) | Finger-exercising device | |
JP2003216019A (ja) | ギター運指練習機 | |
KR200456179Y1 (ko) | 광고판이 장착된 악력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611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610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609 Year of fee payment: 7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