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3523Y1 - 줄길이가 조절되는 줄넘기 - Google Patents
줄길이가 조절되는 줄넘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920003523Y1 KR920003523Y1 KR2019890016780U KR890016780U KR920003523Y1 KR 920003523 Y1 KR920003523 Y1 KR 920003523Y1 KR 2019890016780 U KR2019890016780 U KR 2019890016780U KR 890016780 U KR890016780 U KR 890016780U KR 920003523 Y1 KR920003523 Y1 KR 920003523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ope
- socket
- handle
- length
- skipping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00—Apparatus for jumping
- A63B5/20—Skipping-ropes or similar devices rotating in a vertical plane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5/00—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 A63B2225/09—Adjustable dimension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82/00—Exercise devices
- Y10S482/908—Adjustabl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Storage Of Web-Like Or Filamentary Materials (AREA)
- Manipulator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제1도는 본고안의 요부 분해 사시도.
제2도는 본고안의 작동상태 예시도로서 조절후 결착상태 단면도.
제3도는 본고안의 작동상태 예시도로서 조절전 줄을 이동시키기 위해 결착구의 분해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 : 마개 4 : 중공부
5 : 절개홈 6 : 중심공
7 : 협지구 8 : 협지구 장착실
8′: 경사면 9 : 소켓
10 : 단관 11 : 통공
12 : 돌기
본고안은 줄길이가 조절되는 줄넘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줄넘기는 사용자의 키에 따라 그 길이를 다르게 사용하게되는데 종래의 줄넘기는 그 길이의 조절수단이 장치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사용자는 자신의 키에 맞는 길이의 줄넘기를 구하여 사용하고 있다.
따라서 종래의 줄넘기는 줄길이가 다른 여러 종류의 줄넘기를 상품화하기 때문에 상품유통이 번거롭고 사용자는 각자 자신에게 적합한 규격을 준비하여야하는 번거로움이었고 한가족 또는 단체가 사용시에는 비경제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본고안에서는 이상과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누구나 그 길이를 조절하여 사용할수 있게 함으로써 가족이나 단체에서 경제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고안한 것이다.
이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그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줄(1) 양단에 손잡이(2)가 달린 줄넘기에 있어서, 손잡이(2) 내부는 마개(3)로 개폐할 수 있는 중공체로 형성하여 그 중공부(4)에 여유분의 줄(1)이 내자아될 수 있게하되 그줄(1) 부분에는 신축을 위한 절개홈(5)과 중심공(6)이 뚫려있는 원추형 협지구(7)와 별도로 경사면(8′)이 내면에 형성된 협지구 장착실(8)이 형성된 소켓(9)을 끼워줄(1)에 끼워진 협지구(7)를 줄(1)에 끼워진 소켓(9)의 협지구 장착실(8)에 이동시켜 끼워주면 협지구(7) 내경이 수축되면거 줄(2)을 압박하여 고정되도록 한 것이다.
본 고안 실시에 있어서 소켓(9)의 단관(10)부분은 손잡이(2) 선단의 통공(11)을 통해 회전이 자유롭도록 외부에 노출시켜 줄넘기를 할때 꼬이지 않도록하며, 중심공(6) 내면에는 미세돌기(12)를 돌출시켜 줄(1)의 협지상태가 양호하도록 한다.
이상과 같이 본고안의 사용은 손잡이(2)의 마개(3)를 열고 중공부(4)내의 줄(1)을 당겨주면 협지구(7)가 소켓(9)으로부터 빠져나온다.
이때 협지구(7)는 압박상태가 풀려 줄(1)에서 이동될 수 있으므로 사용자는 이를 이동시켜 줄(1)의 길이를 고정시키고 싶은 위치에 협지구(7)을 이동시켜놓고 줄(1)을 당겨주면 협지구(7)가 소켓(9)의 협지구 장착실(8)에 끼워짐에 따라 경사면(8')에 압박되어 협지구(7)내경이 좁혀지면서 결국은 줄(1')을 협지하게 된다.
이와같은 줄 길이의 조절이 끝나면 마개(3)를 닫고 사용하게 된다.
본고안은 이와같은 작용하므로 하나의 줄넘기를 가지고 키가 다른 여러사람이 누구나 자기의 키에 맞추어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 줄(1)양단에 손잡이(2)가 착설된 줄넘기에 있어서 손잡이(2)내부의 중공부(4)을 마개(3)로 개폐하도록 하고 그 내부의 줄(1')부분에 단관(10)이 연설된 소켓(9)을 끼운 다음 절개홈(5)이 형성된 원추형 협지구(7)의 중심공(6)을 끼워 소켓(9)의 경사면(8')이 형성된 협지구 장착실(8)에 삽탈되도록하며 줄길이가 조절되는 줄넘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890016780U KR920003523Y1 (ko) | 1989-11-14 | 1989-11-14 | 줄길이가 조절되는 줄넘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890016780U KR920003523Y1 (ko) | 1989-11-14 | 1989-11-14 | 줄길이가 조절되는 줄넘기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910008668U KR910008668U (ko) | 1991-06-27 |
KR920003523Y1 true KR920003523Y1 (ko) | 1992-05-30 |
Family
ID=192918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19890016780U KR920003523Y1 (ko) | 1989-11-14 | 1989-11-14 | 줄길이가 조절되는 줄넘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920003523Y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03269B1 (ko) * | 2007-11-21 | 2009-06-17 | 유영준 | 줄넘기 |
-
1989
- 1989-11-14 KR KR2019890016780U patent/KR920003523Y1/ko active IP Right Grant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03269B1 (ko) * | 2007-11-21 | 2009-06-17 | 유영준 | 줄넘기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910008668U (ko) | 1991-06-2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5791022A (en) | Cord locking mechanism | |
US6139060A (en) | Handle for a stick | |
US2457195A (en) | Extension key chain | |
EP0983752A3 (de) | Stent | |
EP0863779A1 (en) | Guide wire introducer assembly with guide wire grip and release means | |
US2818290A (en) | Extensible ski pole | |
JPH0780120A (ja) | 長さ調節自在スキー棒および円筒状シャフトのクランプ | |
AU2001276902A1 (en) | Introducer having a movable valve assembly with removable side port | |
US6138333A (en) | Adjustable earring | |
GB1264976A (ko) | ||
EP1182361A3 (de) | Befestigungssystem | |
IT1283677B1 (it) | Bastone da sci a lunghezza regolabile e relativo dispositivo di bloccaggio | |
US6263946B1 (en) | Window covering cord safety assembly | |
KR920003523Y1 (ko) | 줄길이가 조절되는 줄넘기 | |
CA1044446A (en) | Lamp inserting and extracting tool | |
US2697945A (en) | Suction device for blood diluting pipettes | |
US6161556A (en) | Dental floss holder | |
JP2003501236A5 (ko) | ||
US5842466A (en) | Stylette end cap | |
US5626543A (en) | Bellows-like exerciser | |
FI77496B (fi) | Duschstaong. | |
US3038751A (en) | Golf ball retriever | |
JPH042605Y2 (ko) | ||
LU90613B1 (en) | Intra-and peri-articular catheter | |
EP0931591A3 (de) | Dosierpipett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NORF |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