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17163B1 - T형 손잡이를 갖는 줄넘기 로프 - Google Patents

T형 손잡이를 갖는 줄넘기 로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17163B1
KR100717163B1 KR1020027009838A KR20027009838A KR100717163B1 KR 100717163 B1 KR100717163 B1 KR 100717163B1 KR 1020027009838 A KR1020027009838 A KR 1020027009838A KR 20027009838 A KR20027009838 A KR 20027009838A KR 100717163 B1 KR100717163 B1 KR 1007171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pe
handle
ball
skipping
exten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70098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80398A (ko
Inventor
클레이톤 오'쉐어
Original Assignee
클레이톤 오'쉐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클레이톤 오'쉐어 filed Critical 클레이톤 오'쉐어
Publication of KR200200803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803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171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171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00Apparatus for jumping
    • A63B5/20Skipping-ropes or similar devices rotating in a vertical plan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8/00Characteristics or parameters related to the user or player
    • A63B2208/12Characteristics or parameters related to the user or player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Walking Sticks, Umbrellas, And Fans (AREA)
  • Ropes Or Cables (AREA)
  • Mechanical Control Devices (AREA)
  • Lift-Guide Devices, And Elevator Ropes And Cables (AREA)
  • Artificial Filaments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 Toys (AREA)
  • Passenger Equipment (AREA)
  • Valve Device For Special Equipments (AREA)
  • Vending Machines For Individual Products (AREA)
  • Supports For Plants (AREA)

Abstract

종래의 줄넘기는 일반적으로 손가락과 손바닥 사이에서 사용자에 의해 잡히는 로프의 각 단부에 회전고리를 달 수 있도록 끼워진 연장 핸들을 가진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핸들은 로프(1)에 회전고리를 달수 있도록 연결된 T(3)의 수직형 스트로크(vertical stroke)와 같은 "T" 모양이다. 핸들은 두 손가락 사이에서 연장된 수직형 부분이고 손가락부터 손바닥 사이에서 T자형(4)의 가로대를 갖는다. 이것은 보다 편안하고 효율적인 줄넘기 자세를 제공한다.

Description

T형 손잡이를 갖는 줄넘기 로프{SKIPPING ROPES}
본 발명은 줄넘기와 관련된다.
줄넘기는 수세기동안 잘 알려져 왔으며 어린이들의 운동 장난감과 건강, 체력을 증진시키는 도구의 구성요소이다. 줄넘기 운동은 실제로 유익한 효과를 가지고 있다. 특히 운동선수들과 권투선수와 같은 사람들은 반응을 강하게 할 뿐 아니라 근육강도와 톤(tone)을 강화하기 위해 이것으로 연습을 하지만, 줄넘기는 매우 광범위한 연령에 걸쳐 유익하며 자신의 체력을 개선하거나 유지하고자 하는 모든 사람들에게 유익하게 행해질 수 있다. 줄넘기는 단순히 재미와 즐거움 또는 진지하게 체력 또는 훈련일정의 일환으로서 행해질 수 있다.
종래의 줄넘기는 각 단부에 핸들(handle)을 가진 로프(rope)를 대신한 로프 또는 플라스틱과 같은 유연성이 있는 한발의 물질로 구성된다. 대체로, 핸들은 연장부분인데, 만약 로프에 의해 들어올렸다면 수직으로 펴진다. 그것이 전혀 필요하지 않을 때, 대부분의 줄넘기는 핸들의 연장축에 대해 회전고리를 달 수 있는데 그 것은 로프의 고리가 운동을 하면서 줄넘기하고 있는 사람의 몸을 돌고 있을 때 꼬이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종래 핸들과 회전고리장치의 배치는 이상적이지 않으며 특히 줄넘기에 대해서는 많은 이유로 그러하다.;
첫째, 핸들을 잡는 위치가 약간 거북하다.; 핸들이 손바닥을 교차해 연장되고 엄지손가락과 감아쥔 손가락들로 잡으며 핸들을 적당한 위치에 놓기 위해, 로프의 단부가 줄넘기하는 사람의 몸으로부터 멀리 떨어져 연장되며 팔이 세로축을 싸고 바깥쪽으로 회전해야만 한다. 이 것은 손바닥 안쪽인 옆구리에 팔이 늘어뜨려질 때 자연스러운 손의 자세와 비교해 특히 불편하다.
두 번째로, 회전고리장치가 마찰을 이끌고, 고속으로 줄넘기를 할 때 저항이 많을 수 있다.
또한, 고속으로 줄넘기를 할 때 손에서 축방향으로 미끄러지기 쉽거나, 회전하는 로프로부터의 높은 견인력 때문에 손에서 완전히 미끄러져 빠져나간다. 만약 줄넘기 하는 사람이 핸들 안쪽으로 이동시키는 시도를 함으로써 미끄러짐을 보상한다면, 핸들이 회전하는 로프까지 쉽게 이동될 수 있고 그 후에 원래는 원하지 않았던 엄지와 검지의 관절에서 쓸려 벗겨지기 시작할 것이다.
FR-A-2366848은 종래의 직선형을 대신해서 D자형 핸들을 갖는 줄넘기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 따르면, 줄넘기는 각 핸들이 연장영역과 가로부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로프 단부에 회전고리를 달 수 있도록 부착된 연장영역의 단부와 가로부에 부착된 연장영역의 다른 단부가 핸들의 가로부가 연장영역의 각 측면까지 연장하도록 단부를 조정한다. 이것은 크게 개선된 그립(grip)을 갖는 일종의 T자형 가로대(T-bar)를 제공한다.
상기 줄넘기를 사용할 때, 가로부분은 두 손가락 사이에서 연장영역을 갖는 손바닥에 쉽고 효율적으로 붙잡힐 수 있다. 이것은 비록 손이 땀에 젖게 된다 할지라도 상당히 슬립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보다 편안한 줄넘기 자세를 준다. 핸들 의 가로부는 연장부가 보통 가장 편안하게 검지와 중지인 두 손가락 사이에서 연장될 때 말아 쥔 손가락들 내에서 반쯤 덮인다. 핸들에서 효과적인 그립은 보다 강하고 힘의 분배가 검지와 엄지가 그러한 것보다는 변형을 받는 손가락들을 기초로 잘 배열된다. 만약 줄넘기하는 사람이 일례로 한손 또는 두 손의 관절염, 부상 또는 불구 때문에 강한 그립을 갖고 있지 않는다면 이것은 특히 더 중요할 수 있다. 위치는 보다 안전하고 마찰 그립보다 기계적인 연동의 성질에서 더욱 그러하다. 두 손은 또한 측면에서 팔, 다시 말해서 줄넘기 하는 사람 몸의 맞은편에 외부를 향한 손등이 꼬이지 않고 측면에서 유지된다.
로프는 선호적으로 회전고리에 의해 핸들에 부탁된다. 이것은 일례로 작은 볼베어링(ball-bearing)과 같은 저항이 낮은 회전고리가 선호되지만, 많은 유형의 단순한 기계적 조인트(joint) 구조물이 사용될 수도 있다. 한 가지 가능성은 로프의 단부가 볼에서 보어(bore)를 통과하게 한다는 것이다. 단부는 어떤 편리한 양식으로 볼을 안전하게 할 것이며 일례로 점착, 단부에서 매듭(knot), 볼의 윤곽으로부터 불쑥 나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카운터보어(counterbore)에 위치한 매듭지어진 단부, 또는 로프가 통과하는 볼에서 보어에 가로로 이어지는 나사형 보어에서 나사형으로 연결된 그러브나사(grub screw)의 볼안쪽 로프 측면의 연결부와 같은 것이다. 볼은 한 컵에 수용되거나 가로부로부터 멀리 떨어진 핸들의 연장영역 단부에 끼워진 저마찰(low-friction) 물질로 내부에 씌워질 수 있다. 볼은 적당한 수단에 의해 컵에 갇혀질 것이고 핸들의 연장부 축과 관계있는 어떤 입체각범위(solid angular range)내에 로프의 축 방식이 있는 것과 같이 컵 내에서 또한 강제로 회전할 수도 있다. 볼은 원과 경계를 접하고, 완전한 반구뿐만 아니라 좀 더 구성하는 면을 둘러싸고 있는 구면의 내부를 갖는 컵에 압입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컵은 링(ring) 또는 칼라(collar)를 유지하는 형태에서 이동 가능한 캡(cap)을 가질 수 있다.
선택적인 구성물에서, 로프의 단부는 실제로 핸들의 연장영역의 축에 가로로 연장되도록 정해질 수 있다. 일례로, 로프는 가로부로부터 멀리 떨어진 핸들의 단부에 끼워진 적절한 저마찰 베어링을 통해 회전고리장치 각각의 단부에 고정될 수 있다.
핸들은 어떠한 편리한 재료 또는 조립된 재료로도 만들어질 수 있고, 단일 플라스틱 성형(plastics moulding), 또는 금속, 즉 경합금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평면다듬질은 묘사된 것처럼, 즉 부드럽거나 무늬를 넣는 것과 같이 다양할 수 있다.
외부의 단부에서 핸들 가로부의 정확한 배열은 다양할 수 있다. 가로부는 안락하게 잡힐 수 있도록 너무 무르거나 너무 커서도 안된다. 일반적으로, 원통형의 알맞은 모양이나, 원통형의 단면은 완전한 원형일 필요가 없다. 게다가 가로부는 만약 원한다면 형태와 그것의 길이방향에 따른 단면에 있어서 다양할 수 있다. 특히, 가로부는 일반적으로 두껍거나 얇은 면일 수 있고, 두꺼운 부분은 줄넘기가 사용중일 때 사용자의 손가락 사이 간격과 인접해 위치할 핸들부와 부합하고, 얇은 부분은 자체의 손가락에 부합한다. 바꿔 말하자면, 핸들의 가로부는 사용자의 손에 더 잘 맞는 느낌을 줄 수 있는 형태인 종래의 핸드그립타입을 가질 수 있다. 그뿐 아니라, 진지하게 줄넘기를 사용하는 사람, 일례로 전문적인 운동선수와 권투선수들과 같은 사람들에게 본 발명은 핸들의 가로부 형태가 당해 특정 사용자의 상태와 어울릴 때 맞춤형 줄넘기 제조에 적용될 수 있다. 바꿔 말하면, 가로부는 특정 사용자의 손모양에 실제로 부합하고 사용시 특별히 편안한 느낌과 적합성을 가진다.
핸들의 가로부는 또한 핸들의 연장부에 관해 가로로 연장된 한개 이상의 고리, 무늬가 있는 고리 형태일 수 있고, 사용자 손가락에 비교적 편안하게 받아들여질 수 있도록 범위지어진다.
핸들의 가로부가 연장영역의 각 단부 측면에 연장되는 정도는 또한 다양할 수 있다. 특히, 연장영역은 실제로는 선호적으로 핸들이 두 번째와 세 번째 손가락 사이에서 연장된 연장영역을 사용하도록 설계된 가로부의 중앙부분이고, 만약 핸들의 연장부가 사용자의 첫 번째와 두 번째 손가락 사이에 있도록 하기 위해 로프가 핸들에 쥐어지게 사용되도록 설계된다면 비교적 가로부의 한쪽 단부로 이동된다.
본 발명에 따른 줄넘기는 동봉한 도면에서 일례로 도시된다. 도면에서:
도 1 은 명확성을 위해 생략된 대다수 로프의 발명에 따른 줄넘기의 첫 번째 실시예의 측면도.
도 2 는 도 1 의 줄넘기의 한쪽 단부를 지나는 세로 단면도.
도 3 은 줄넘기의 선택적인 구조물의 한쪽 끝을 지나는 세로 단면도.
도 4 는 보다 선택적인 핸들의 윤곽도.
* 부호설명 *
1 ... 로프 2 ... 핸들
3 ... 연장영역 4 ... 가로부
5, 10 ... 볼 6 ... 카운터보어
11 ... 그러브나사 15 ... 칼라
16 ... 소켓 20 ... 단부
22 ... 얇은 단면 23 ... 확장된 단면
도 1 과 2 를 참조하면, 로프(1)는 각 핸들(2)단부를 가진다. 각각의 핸들은 가로부(4)를 갖는 손가락들 사이에 위치하도록 적응된 연장영역(3)으로 구성되고 줄넘기하는 사람의 손 안쪽에 놓인다. 로프의 단부는 단부(3)에 컵에 놓이는 회전할 수 있는 볼(5)에 붙여진다. 볼과 컵의 물질은 볼이 저마찰로 회전할 수 있도록 선택된다. 로프(1)의 단부는 비교적 볼(5)에서 꼭 맞는 보어를 통과하고 매듭 또는 볼(5)에서 연장된 카운터보어(6)에 위치한 다른 연장부에 의해 볼에서 고정된다. 단부(3)에서 볼(5)과 컵의 범위는, 컵에 대한 손상 없이, 높은 줄넘기 속도에서 볼이 고정된 상태로 남아있는 것을 보장하는 로프(1)를 당기는 힘을 생기게 할만큼 충분한 힘을 사용하는 위치에 압입될 수 있는 것과 같다. 영역(3)의 길이는 로프 마찰 또는 사용자의 손을 마찰시키는 위험을 피하기 위해 사용자의 손등으로부터 충분히 멀리 떨어진 로프를 잡기에 충분하다.
도 3을 참조하면, 이 것은 선택적인 구조물을 보여준다. 로프(1)의 단부는 플라스틱물질로 된 유연하고 단일한 필라멘트(filament)인데 로프(1)의 단부가 삽입된 볼(10)에서 보어를 가로지르는 나사형보어에 위치한 그러브나사(11)에 의해 볼(10)에 고정된다.
볼(10)은 핸들의 일부로 형성된 나사형 소켓(16)에 조여진 나사형 칼라(15)에 의해 핸들에 고정된다. 칼라(15)와 핸들은 볼이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고 동작의 각범위가 칼라(15) 외륜(rim)의 내부 환경에 의해 정의된 체임버(chamber)를 정의한다.
이제 도 4 를 참조하면, 이 것은 도 1 에서 보여진 실시예와 같이, 정위치에 있는 볼(10)에 고정된 단부를 가지는 로프(1)의 단부에서 한 핸들의 투시도를 나타난다. 볼(10)은 핸들 연장영역(20)의 단부에 있는 소켓에 놓여진다. 로프(1)로부터 멀리 떨어진 단부(20)에서, 이것은 보이는 바와 같이 윤곽지어진 가로부와 합쳐진다. 손바닥 넓이에 의해 개략적으로 간격을 둔 확장된 단면(23)들 사이에서, 가로부는 사용자의 손가락에 보다 편안하게 조화될 수 있도록 조각된다. 도면에서 보여진바와 같이, 가로부는 네 손가락들과 상응하는 네 개의 얇은 단면(22)을 가지며 사용시 각 손의 네 손가락들 사이의 세 개의 간격을 정렬시키는 다소 볼록한 세개의 단면과 분리된다. 도 4에서 보여진 핸들은 미리 주조되었으나, 확실히 비대칭이며 만약 원한다면 특정 사용자의 손 모양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줄넘기 용도는 줄넘기하는 사람의 손이 보다 편안한 위치에 있게 하고, 로프가 줄넘기하는 사람의 몸 주위를 회전할 때 매우 낮은 마찰에 의해 줄넘기 동작이 향상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이것은 줄넘기하는 사람이 다양한 줄넘기 기술을 효율적으로 수행하도록 학습능력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보다 힘차고 즐거운 줄넘기 연습이 될 수 있게 한다.

Claims (5)

  1. 각 단부에 회전고리를 달 수 있도록 끼워진 핸들(2)을 가진 한발의 유연한 물질로 구성되는 줄넘기에 있어서,
    각 핸들이 연장영역(3)과 가로부(4)로 구성되고, 연장영역(3)의 한 단부는 로프(1)의 한 단부에 회전고리를 달수 있도록 부착되고, 연장영역(3)의 다른 단부는 가로부(4)에 부착되어 핸들(2)의 가로부(4)가 연장영역(3)의 각 측면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줄넘기.
  2. 제 1 항에 있어서, 로프(1)의 단부가 통과하는 회전고리가 달린 볼(5)을 통해 각 핸들(2)의 연장영역(3)에 로프(1)가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줄넘기.
  3. 제 2 항에 있어서, 각 핸들(2)의 연장영역(3)이 볼(5)을 받기 위한 컵을 포함하고 컵에 볼을 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줄넘기.
  4. 제 1 내지 3 항 중 어떠한 한 항에 있어서, 핸들(2)이 단일 플라스틱 몰딩(plastics moulding)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줄넘기.
  5. 제 1 내지 4 항 중 어떠한 한 항 있어서, 연장영역(3)이 대체로 중앙 가로부(4)에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줄넘기.
KR1020027009838A 2000-02-01 2001-02-01 T형 손잡이를 갖는 줄넘기 로프 KR10071716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GB0002337.4 2000-02-01
GB0002337A GB2358809B (en) 2000-02-01 2000-02-01 Skipping rop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80398A KR20020080398A (ko) 2002-10-23
KR100717163B1 true KR100717163B1 (ko) 2007-05-10

Family

ID=98847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09838A KR100717163B1 (ko) 2000-02-01 2001-02-01 T형 손잡이를 갖는 줄넘기 로프

Country Status (20)

Country Link
US (2) US6544149B2 (ko)
EP (1) EP1251913B1 (ko)
JP (1) JP4434542B2 (ko)
KR (1) KR100717163B1 (ko)
CN (1) CN1226061C (ko)
AT (1) ATE237386T1 (ko)
AU (2) AU3038901A (ko)
BR (1) BR0108049B1 (ko)
CA (1) CA2399484C (ko)
DE (1) DE60100189T2 (ko)
DK (1) DK1251913T3 (ko)
EA (1) EA003896B1 (ko)
ES (1) ES2197141T3 (ko)
GB (2) GB2358809B (ko)
IL (2) IL151042A0 (ko)
MX (1) MXPA02007440A (ko)
NO (1) NO318351B1 (ko)
PT (1) PT1251913E (ko)
WO (1) WO2001056660A1 (ko)
ZA (1) ZA20020671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358809B (en) 2000-02-01 2002-12-24 Clayton O'shea Skipping ropes
US7341544B2 (en) 2000-02-01 2008-03-11 St George David Skipping rope or jump rope having improved asymmetric handle
US7169091B2 (en) 2000-02-01 2007-01-30 St George David Skipping rope or jump rope having improved asymmetric handle
US6752746B1 (en) * 2002-08-23 2004-06-22 Ropesport, Llc Adjustable jump rope apparatus with adjustable weight and length
GB0405459D0 (en) 2004-03-11 2004-04-21 Shea Clayton O Skipping ropes
TWM335293U (en) * 2008-01-07 2008-07-01 ying-qing Wu Elastic pulling-force rope for the dragrope exercise machine
US8088047B2 (en) * 2008-10-10 2012-01-03 Ghassan Marji Exercise device and method of jump rope exercise using two separate ropes
DE102009053152B4 (de) 2009-11-06 2012-07-19 Robert Schiff Seil für ein Sprungseil
US10851838B2 (en) * 2014-01-28 2020-12-01 Triton Systems, Inc. Liner-as-seal bearings
US9216313B1 (en) 2014-07-25 2015-12-22 Yung-Cheng Wu Elastic cord for a pull exerciser
US9492699B2 (en) 2014-09-04 2016-11-15 Impulse Footcare, LLC Speed rope and handle assembly
US9381391B1 (en) 2015-01-30 2016-07-05 Fastarrows, LLC Jump rope
US9987512B1 (en) * 2015-12-14 2018-06-05 Leslie Romfo Tricep rope with perpendicular handles
US10874892B1 (en) 2019-06-10 2020-12-29 Joshua Rowls Jump rope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61388A (en) 1920-02-12 1921-04-14 Rachael Jacobs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skipping ropes
US1436703A (en) * 1921-03-07 1922-11-28 Herman W Fisher Rope handle
US1584122A (en) 1924-08-07 1926-05-11 Mark M Moore Skipping device
US2719038A (en) * 1953-02-06 1955-09-27 Massa Steve Weighted skip rope handle
GB875750A (en) 1960-01-21 1961-08-23 William Recalma Skipping rope
DE1930746U (de) 1965-01-13 1966-01-05 Jan Hendrik Otto Sprungseil.
US3419270A (en) * 1966-12-21 1968-12-31 Eppy Samuel Multiple rope jump rope
FR2366848A1 (fr) * 1976-10-08 1978-05-05 Thepenier Henri Anselme Corde a sauter avec dispositifs revolutionnaires dans sa constitution
US4090705A (en) 1977-03-21 1978-05-23 Ross Young Jump rope
GB2166058A (en) * 1984-03-21 1986-04-30 Christopher Bailes Skipping rope spinner
US4505474A (en) 1984-05-25 1985-03-19 Mattox Ernest M Weighted elastomeric jumping device
US4722523A (en) * 1986-04-29 1988-02-02 Yang Lien C Assembled multi-use physical fitness exerciser
US4787624A (en) * 1986-10-24 1988-11-29 Grant Jerry A Jump rope attachment for handweights
US4801137A (en) 1987-10-26 1989-01-31 Shane Douglass Variable weight hand held exercise apparatus
US4890829A (en) 1988-09-19 1990-01-02 Priscilla Burton Jump rope
US5284458A (en) * 1992-02-05 1994-02-08 Perry Deborah A Exercise device
US5215509A (en) * 1992-05-18 1993-06-01 Meyer/Glass Design Rope jumping device
WO1999038574A1 (en) * 1998-02-02 1999-08-05 Cook Arnold J Jump rope
GB2358809B (en) 2000-02-01 2002-12-24 Clayton O'shea Skipping ropes
US6752746B1 (en) * 2002-08-23 2004-06-22 Ropesport, Llc Adjustable jump rope apparatus with adjustable weight and length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1056660A1 (en) 2001-08-09
EA003896B1 (ru) 2003-10-30
AU3038901A (en) 2001-08-14
US20040097345A1 (en) 2004-05-20
US20010011054A1 (en) 2001-08-02
EP1251913B1 (en) 2003-04-16
JP4434542B2 (ja) 2010-03-17
ZA200206719B (en) 2004-03-01
PT1251913E (pt) 2003-09-30
US6544149B2 (en) 2003-04-08
MXPA02007440A (es) 2004-08-23
NO318351B1 (no) 2005-03-07
BR0108049A (pt) 2003-01-28
DE60100189D1 (de) 2003-05-22
CN1396836A (zh) 2003-02-12
NO20023644L (no) 2002-09-24
CA2399484C (en) 2009-06-30
WO2001056660B1 (en) 2002-01-10
KR20020080398A (ko) 2002-10-23
NO20023644D0 (no) 2002-07-31
CN1226061C (zh) 2005-11-09
IL151042A0 (en) 2003-04-10
GB2358809B (en) 2002-12-24
IL151042A (en) 2009-05-04
GB0102581D0 (en) 2001-03-21
GB2358809A (en) 2001-08-08
BR0108049B1 (pt) 2009-05-05
US7223211B2 (en) 2007-05-29
EP1251913A1 (en) 2002-10-30
CA2399484A1 (en) 2001-08-09
ATE237386T1 (de) 2003-05-15
AU2001230389B2 (en) 2004-10-14
ES2197141T3 (es) 2004-01-01
JP2003521356A (ja) 2003-07-15
DK1251913T3 (da) 2003-08-04
GB2360468A (en) 2001-09-26
EA200200815A1 (ru) 2003-06-26
DE60100189T2 (de) 2004-04-01
GB0002337D0 (en) 2000-03-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17163B1 (ko) T형 손잡이를 갖는 줄넘기 로프
US7819783B2 (en) Skipping rope having improved handle
US5842956A (en) Strength resistance training jump rope
US10478655B2 (en) Jump rope device with removably-connected cable
US6692416B1 (en) Exercise machine handles
CN102271768A (zh) 人体工学拉手和相关的运动方法
US20170157457A1 (en) Exercise device with dual-axis rotation and method of use
AU2001230389A1 (en) Skipping ropes
WO2017091896A1 (en) Friction wrist exerciser
EP1735061B1 (en) Skipping ropes
US11607573B2 (en) Jump rope device with removably-connected cable and improved bearing assembly therefor
CN2882691Y (zh) 一种体育器械
US7169091B2 (en) Skipping rope or jump rope having improved asymmetric handle
JP2005278840A (ja) 運動器具
KR960006643Y1 (ko) 손목 단련용 운동구
KR100385673B1 (ko) 회전추를 이용한 휴대가 간편한 원판 운동기구
KR200261688Y1 (ko) 회전추를 이용한 휴대가 간편한 원판 운동기구
JP6469873B2 (ja) 水中ウォーキング用ポール
FR2544990A1 (fr) Jouet sporti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506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