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24419B1 - 스윙 연습용 탁구 라켓 장치 - Google Patents

스윙 연습용 탁구 라켓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24419B1
KR101924419B1 KR1020170098156A KR20170098156A KR101924419B1 KR 101924419 B1 KR101924419 B1 KR 101924419B1 KR 1020170098156 A KR1020170098156 A KR 1020170098156A KR 20170098156 A KR20170098156 A KR 20170098156A KR 101924419 B1 KR101924419 B1 KR 1019244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ceiving
weight
engaging
screw
weight adjus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981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상경
Original Assignee
김상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상경 filed Critical 김상경
Priority to KR10201700981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2441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44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44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9/00Bats, rackets, or the like, not covered by groups A63B49/00 - A63B57/00
    • A63B59/40Rackets or the like with flat striking surfaces for hitting a ball in the air, e.g. for table tenni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9/00Bats, rackets, or the like, not covered by groups A63B49/00 - A63B57/00
    • A63B59/40Rackets or the like with flat striking surfaces for hitting a ball in the air, e.g. for table tennis
    • A63B59/42Rackets or the like with flat striking surfaces for hitting a ball in the air, e.g. for table tennis with solid surfaces
    • A63B59/45Rubber parts thereof; characterised by bonding between a rubber part and the racket body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7/00Sporting games or accessories therefor,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3B1/00 - A63B65/00
    • A63B67/04Table games physically beneficial for the human body, modelled on outdoor sports, e.g. table tenni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2/00Application of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to the sporting activity ; particular sports involving the use of balls and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 A63B2102/16Table tenni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의 손에 의해 지지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는 손잡이부; 및 상기 손잡이부의 일측에 연결되고, 무게 조절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는 무게조절부를 포함하고, 상기 무게조절부는, 하나 이상의 무게추를 수용 가능하도록 하는 수용부를 구비하고, 상기 수용부에 상기 무게추가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무게추의 이탈 방지하도록 상기 수용부의 일 측을 덮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윙 연습용 탁구 라켓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스윙 연습용 탁구 라켓 장치{TABLE TENNIS RACKET FOR SWING PRACTICE APPARATUS}
본 발명은 탁구 라켓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스윙 능력을 향상시키는 스윙 연습용 탁구 라켓 장치에 관한 것이다.
탁구는 탁구대의 중앙에 그물을 치고 상대편 지역으로 작고 가벼운 탁구공을 라켓으로 쳐 넘겨 승부를 가리는 구기 경기로서, 작고 가벼운 공을 라켓으로 쳐 넘기는 경기의 특성으로 인해 경기자의 정확한 스윙동작 제어와 스윙의 힘 조절이 아주 중요한 경기이며, 이러한 특성으로 인해 스윙동작을 지속적으로 반복 연습하여 기술을 습득하고 숙련하여야 하며, 이와 함께 포핸드 스윙과 백핸드 스윙의 자연스러운 변환동작 또한 지속적으로 반복 연습하여 기술을 습득하고 숙련하여야 한다.
예컨대, 탁구 경기의 시작이라 할 수 있는 서비스와 리시브 조차도, 서비스 자에 따라 탁구공의 높이와 속도, 방향이 달라 지속적인 연습을 통해서만이 효과적인 리시브가 가능하고, 나아가 공격으로도 전환이 가능한 것이다.
한편, 탁구는 공을 라켓 및 라켓에 부착된 러버에 의해 타격하거나 스핀을 가하여서 이루어지는 운동이며, 작은 공을 사용하여 섬세히 다루거나 강하게 힘을 가하여야 하기에, 이를 위해 사용되는 라켓 및 러버의 성능이 매우 중요하다.
하지만, 라켓 또는 러버의 성능이 우수하더라도, 이를 이용하는 사용자의 스윙능력이 일정 수준 이상이 되지 않는다면, 실제 탁구 경기에서, 정확하고 빠르고 강한 스윙을 구사할 수 없다.
따라서, 스윙능력을 향상시키는 탁구 라켓 장치의 개발이 요구된다.
특허문헌 1에는, 연습용 탁구라켓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1에는 스윙연습 라켓의 무게를 조절함으로써 사용자의 스윙능력을 향상시키기에는 어려운 점이 있었다.
KR 20-1986-0007251 A1
본 발명은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목적은 사용자의 스윙능력에 따라서, 스윙연습 라켓의 무게를 조절함으로써, 사용자가 스윙연습을 가능하게 하여 사용자의 스윙능력을 향상시키는 스윙 연습용 탁구 라켓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사용자의 손에 의해 지지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는 손잡이부; 및 상기 손잡이부의 일측에 연결되고, 무게 조절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는 무게조절부를 포함하고, 상기 무게조절부는, 하나 이상의 무게추를 수용 가능하도록 하는 수용부를 구비하고, 상기 수용부에 상기 무게추가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무게추의 이탈 방지하도록 상기 수용부의 일 측을 덮는다.
상기 무게조절부는, 상기 손잡이부의 일 측에 연결되고, 하나 이상의 상기 수용부가 형성되는 제1부재; 및 상기 제1부재에 착탈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무게추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상기 수용부의 일 측을 덮는 제2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용부의 바닥면 및 측면 중 하나 이상에는 상기 무게추의 움직임을 방지하도록 지지 고정하는 고무천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2부재에는 절곡된 형상으로 이루어져서, 상기 제1부재에 걸림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는 걸림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부재에는 상기 걸림부를 수용하여서 상기 제2부재를 상기 제1부재에 고정 결합 가능하게 하는 수용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걸림부는 상기 제2부재의 일면에서 돌출되는 돌출부 및 상기 돌출부에 연결되고 상기 돌출부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걸림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수용홈은, 상기 걸림단부와 나란하게 연장되는 턱부 및 상기 걸림부를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경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부재에는 내주에 나사산이 구비되는 나사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2부재에는 상기 나사홈에 연통 가능한 나사홀이 형성되며, 상기 나사홀에 나사가 설치되어서 결합 가능할 수 있다.
상기 수용부는 복수 개로 형성되고, 상기 복수 개의 수용부는 상기 무게조절부에서, 상기 손잡이부에 연결되는 일 측으로부터, 상기 손잡이부의 반대편 타 측을 따르는 제1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복수 개의 수용부는 상기 무게조절부에서, 상기 제1방향과 교차하는 제2방향으로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상기 제2부재에는, 상기 제2부재의 가장자리의 단을 따라서 제1부재를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되는 결합리브가 형성되고, 상기 제1부재에는 상기 결합리브가 안착되어 수용되는 수용단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무게조절부의 중앙 부분에 나사가 설치되어 상기 결합리브가 상기 수용단에 결합된 상태에서 제1 및 제2부재를 나사 결합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스윙 연습용 탁구 라켓 장치는 수용부에 무게추를 설치하도록 하여 탁구 스윙 능력에 따라서, 라켓의 무게를 조절할 수 있게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스윙 연습용 탁구 라켓 장치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스윙 연습용 탁구 라켓 장치를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 및 제2부재에서 수용홈과 걸림부와를 상세히 도시하는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스윙 연습용 탁구 라켓 장치에서 나사가 설치된 예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5는 도 4에서 나사가 설치된 하나의 단면을 도시하는 단면도.
도 6은 고무천이 설치된 수용부의 예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예의 스윙 연습용 탁구 라켓 장치를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스윙 연습용 탁구 라켓 장치(100)는 손잡이부(10) 및 무게조절부(20)를 포함한다.
손잡이부(10)는 사용자의 손에 의해 지지 가능하도록 이루어진다. 예를 들면, 손잡이부(10)는 사용자가 악수하듯이 쥐는 쉐이크 핸드 그립 또는 펜을 잡듯이 쥐는 펜홀더 그립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하지만 손잡이부(10)는 반드시 쉐이크 그립 또는 펜홀더 그립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사용자가 원하는 그립으로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도 1 및 2 등에는 쉐이크 핸드 그립으로 손잡이부(10)가 형성된 예가 도시된다.
무게조절부(20)는 손잡이부(10)의 일 측에 연결되고, 무게 조절 가능하도록 이루어진다. 무게조절부(20)는 무게추(14)의 수용이 가능한 수용부(22) 및 수용부(22)에 수용된 무게추(14)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수용부의 일 측을 덮도록 이루어진다. 수용부(22)는 복수 개로 이루어질 수 있어서, 사용자는 자신의 스윙 능력을 고려하여 복수의 수용부(22) 중에서 일부 또는 전부의 수용부(22)에 무게추(14)를 설치하여 무게를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스윙 능력은, 스윙 스피드, 스윙 파워, 스윙 정확도 및 그립의 정확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보통의 일반적인 탁구 라켓은 손잡이부(10)에 탁구공 타격을 위한 러버가 부착될 수 있는 타격판이 구비되는데 반해, 본 발명의 스윙 연습용 탁구 라켓 장치(100)는 실제로 공을 타격하기 위한 라켓이 아니고, 사용자의 스윙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스윙 연습만을 위한 것이므로, 무게 조절하여 사용자의 스윙연습을 위한 무게조절부(20)가 손잡이부(10)에 연결된다.
수용부(22)는 복수 개로 형성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수용부(22)는 무게조절부(20)에서, 손잡이부(10)에 연결되는 일 측에서, 손잡이부(10)의 반대편 타 측을 따라서 제1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복수 개의 수용부(22)는 상기 무게조절부(20)에서, 제1방향과 교차하는 제2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하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2에는 스윙 연습용 탁구 라켓 장치(100)의 무게조절부(20)에서 수용부(22)가 가로 방향으로 3개, 세로 방향으로 3개가 각각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예가 도시된다. 도 2에서와 같이, 무게조절부(20)에는 총 9개의 수용부(22)가 형성될 수 있으나, 9개의 수용부(22) 중 가운데 부분에 결합용 나사(30)가 설치되는 경우, 8개의 수용부(22)로 이루어질수도 있다. 또한, 수용부(22)는 육방체의 형상의 무게추(14)를 수용하도록 육방체의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예가 도시된다.
제1방향 및 제2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복수의 수용부(22)에 의해, 사용자는 자신의 스윙능력에 따라, 복수의 수용부(22)에 무게추(14)를 필요한 개수만큼 설치할 수 있다. 복수의 수용부(22)에 필요한 개수의 무게추(14)가 설치됨으로써, 무게조절부(20)의 무게가 조절될 수 있다.
무게조절부(20)는 제1부재(21) 및 제2부재(26)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부재(21)는 손잡이부(10)의 일 측에 연결되고, 하나 이상의 수용부(22)가 형성될 수 있다. 제2부재(26)는 제1부재(21)에 착탈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무게추(14)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수용부(22)의 일 측을 덮을 수 있다. 일 예로, 도 2에는 수용부(22)의 상측을 덮을 수 있는 제2부재(26)의 예가 도시된다. 제2부재(26)에서 수용부(22)를 덮는 부분은 돌출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제2부재(26)는 무게추(14)의 이탈을 방지하는 제1부재(21)를 덮는 커버역할을 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도 2에는 손잡이부(10)에 연결되는 제1부재(21) 및 제1부재(21)의 수용부(22)를 덮도록 제1부재(21)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어 무게추(14)의 이탈을 방지하는 제2부재(26)의 예가 도시된다.
도 3을 참조하면, 제2부재(26)에 걸림부(28)가 형성되는데, 걸림부(28)재는 절곡된 형상으로 이루어져서 제1부재(21)에 걸림 가능할 수 있다. 걸림부(28)는 제2부재(26)의 일면에서 돌출되는 돌출부(28a) 및 상기 돌출부(28a)에 연결되고 상기 돌출부(28a)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걸림단부(28b)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 3을 참조하면, 제1부재(21)에는 수용홈(24)이 형성되어 제2부재(26)를 제2부재(26)에 고정 결합 가능하는 예가 도시된다. 수용홈(24)은 걸림단부(28b)와 나란하게 연장되는 턱부(24a) 및 상기 걸림부(28)를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경사부(24b)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무게조절부(20)는 나사(30)에 의해 결합될 수 있고 이로 인해, 제1부재(21)의 수용부(22)에 제2부재(26)의 걸림부(28)가 걸림된 상태에서 나사 결합을 함으로써, 제1 및 제2부재(21, 26)를 보다 안정적으로 결합시킬 수 있다.
제1 및 제2부재(21, 26)는 수용홈(24)에 걸림부(28)가 걸림되어 결합 고정될 수도 있으나, 서로 복수의 나사 결합들 만에 의해서 고정될 수도 있다. 제1 및 제2부재(21, 26)가 서로 나사(30)에 의해 결합되는 경우, 도 5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제1부재(21)에는 나사홈(25)이 형성될 수 있고, 제2부재(26)에는 나사홈(25)에 연통 가능한 나사홀(29)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및 제2부재(21, 26)가 나사 결합 만에 의해 서로 결합되는 경우, 제1 및 제2부재(21, 26)는 수용홈(24) 및 걸림부(28)가 형성되지 않으며, 복수의 나사(30)가 라켓의 무게를 더욱 증가시킴으로 추가적으로 라켓 무게를 증가시켜서 보다 무거운 스윙 연습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한편, 손잡이부(10)도 두 개의 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고, 이 경우, 각각의 손잡이부(10)는 무게조절부(20)의 제1 및 제2부재(21, 26)에 각각 연결되게 형성된다.
또한, 도 6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수용부(22)의 바닥면 및 측면 중 하나 이상에는 사용자의 스윙시에, 상기 무게추(14)의 움직임을 방지하도록 지지 고정하는 고무천(23)이 설치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예의 스윙 연습용 탁구 라켓 장치(200)를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예의 스윙 연습용 탁구 라켓 장치(200)는 손잡이부(10) 및 무게조절부(20)를 포함한다. 도 7의 스윙 연습용 탁구 라켓 장치(200)는 특히, 결합되는 방식에서 도 1 내지 도 6의 스윙 연습용 탁구 라켓 장치(100)와 차이가 있다.
손잡이부(10)는 사용자의 손에 의해 지지 가능하도록 이루어진다. 예를 들면, 손잡이부(10)는 사용자가 악수하듯이 쥐는 쉐이크 핸드 그립 또는 펜을 잡듯이 쥐는 펜홀더 그립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하지만 손잡이부(10)는 반드시 쉐이크 그립 또는 펜홀더 그립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사용자가 원하는 그립으로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도 7에는 쉐이크 핸드 그립으로 손잡이부(10)가 형성된 예가 도시된다.
무게조절부(220)는 손잡이부(10)의 일 측에 연결되고, 무게 조절 가능하도록 이루어진다. 무게조절부(220)는 무게추(14)의 수용이 가능한 수용부(222) 및 수용부(222)에 수용된 무게추(14)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수용부(222)의 일 측을 덮도록 이루어진다. 수용부(222)는 복수 개로 이루어질 수 있어서, 사용자는 자신의 스윙 능력을 고려하여 복수의 수용부(222) 중에서 일부 또는 전부의 수용부(222)에 무게추(14)를 설치하여 무게를 조절할 수 있다.
수용부(222)는 복수 개로 형성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수용부(222)는 무게조절부(220)에서, 손잡이부(10)에 연결되는 일 측에서, 손잡이부(10)의 반대편 타 측을 따라서 제1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복수 개의 수용부(222)는 상기 무게조절부(220)에서, 제1방향과 교차하는 제2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하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7에는 스윙 연습용 탁구 라켓 장치(200)의 무게조절부(220)에서 수용부(222)가 가로 방향으로 3개, 세로 방향으로 3개가 각각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예가 도시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예의 스윙 연습용 탁구 라켓 장치(200)는 도 7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9개의 수용부(22) 중 가운데 부분에 결합용 나사(30)가 설치되기에, 8개의 수용부(22)로 이루어질수도 있다. 또한, 수용부(22)는 육방체의 형상의 무게추(14)를 수용하도록 육방체의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예가 도시된다.
제1방향 및 제2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복수의 수용부(222)에 의해, 사용자는 자신의 스윙능력에 따라, 복수의 수용부(222)에 무게추(14)를 필요한 개수만큼 설치할 수 있다. 복수의 수용부(222)에 필요한 개수의 무게추(14)가 설치됨으로써, 무게조절부(220)의 무게가 조절될 수 있다.
무게조절부(220)는 제1부재(221) 및 제2부재(226)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부재(221)는 손잡이부(10)의 일 측에 연결되고, 하나 이상의 수용부(222)가 형성될 수 있다. 제2부재(226)는 제1부재(221)에 착탈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무게추(14)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수용부(22)의 일 측을 덮을 수 있다. 일 예로, 도 7에는 수용부(222)의 상측을 덮을 수 있는 제2부재(226)의 예가 도시된다. 제2부재(226)에서 수용부(222)를 덮는 부분은 돌출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제2부재(226)는 무게추(14)의 이탈을 방지하는 제1부재(221)를 덮는 커버역할을 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도 7에는 손잡이부(10)에 연결되는 제1부재(221) 및 제1부재(221)의 수용부(222)를 덮도록 제1부재(221)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어 무게추(14)의 이탈을 방지하는 제2부재(226)의 예가 도시된다.
도 7을 참조하면, 제2부재(226)에 결합리브(228)가 형성되는데, 결합리브 (28)는 제2부재(226)의 가장자리의 단을 따라서 제1부재(221)를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된 리브로서 제1부재(221)에 수용됨으로써 제1 및 제2부재(221, 226)를 서로 결합시키고, 사용자의 스윙 연습시에, 제1 및 제2부재(221, 226)가 서로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되도록 한다.
또한, 도 7을 참조하면, 제1부재(221)에는 수용단(224)이 형성되어 제2부재(226)의 결합리브(228)에 의해 수용 가능하도록 이루어져서, 제1 및 제2부재(221, 226)를 서로 결합 가능하는 예가 도시된다. 한편, 도 7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무게조절부(220)은 중앙 부분에 나사(30)가 설치되어서, 제1부재(221)의 수용단(222)에 제2부재(226)의 결합리브(28)가 수용된 상태에서 나사 결합을 함으로써, 제1 및 제2부재(221, 226)를 보다 안정적으로 결합시킬 수 있다. 나사(30) 및 나사(30)가 결합되는 홀의 구조에 대해서는 앞선 설명으로 대체하기로 한다.
그 외에도, 본 발명의 다른 일 예의 스윙 연습용 탁구 라켓 장치(200)와 관련하여, 서술되지 않은 설명은, 도 1 내지 도 6의 설명 부분에서 전술한 일 실시예의 스윙 연습용 탁구 라켓 장치(100)에 대한 설명으로 대신하기로 한다.
이상에서 스윙 연습용 탁구 라켓 장치(100, 200)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정신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100, 200 : 스윙 연습용 탁구 라켓 장치
10 : 손잡이부 14 : 무게추
20 : 무게조절부 21 : 제1부재 22 : 수용부 23 : 고무천
24 : 수용홈 24a : 턱부 24b : 경사부
25 : 나사홈
26 : 제2부재
28 : 걸림부 28a : 돌출부 28b : 걸림단부 29 : 나사홀
30 : 나사
23 : 고무천

Claims (9)

  1. 사용자의 손에 의해 지지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는 손잡이부; 및
    상기 손잡이부의 일측에 연결되고, 무게 조절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는 무게조절부를 포함하고,
    상기 무게조절부는, 하나 이상의 무게추를 수용 가능하도록 하는 수용부를 구비하고, 상기 수용부에 상기 무게추가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무게추의 이탈 방지하도록 상기 수용부의 일 측을 덮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무게조절부는,
    상기 손잡이부의 일 측에 연결되고, 하나 이상의 상기 수용부가 형성되는 제1부재; 및
    상기 제1부재에 착탈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무게추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상기 수용부의 일 측을 덮는 제2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수용부의 바닥면 및 측면 중 하나 이상에는 상기 무게추의 움직임을 방지하도록 지지 고정하는 고무천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윙 연습용 탁구 라켓 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부재에는 절곡된 형상으로 이루어져서, 상기 제1부재에 걸림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는 걸림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부재에는 상기 걸림부를 수용하여서 상기 제2부재를 상기 제1부재에 고정 결합 가능하게 하는 수용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윙 연습용 탁구 라켓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는 상기 제2부재의 일면에서 돌출되는 돌출부 및 상기 돌출부에 연결되고 상기 돌출부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걸림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수용홈은, 상기 걸림단부와 나란하게 연장되는 턱부 및 상기 걸림부를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경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윙 연습용 탁구 라켓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부재에는 내주에 나사산이 구비되는 나사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2부재에는 상기 나사홈에 연통 가능한 나사홀이 형성되며, 상기 나사홀에 나사가 설치되어서 결합 가능하도록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윙 연습용 탁구 라켓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는 복수 개로 형성되고,
    상기 복수 개의 수용부는 상기 무게조절부에서, 상기 손잡이부에 연결되는 일 측으로부터, 상기 손잡이부의 반대편 타 측을 따르는 제1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복수 개의 수용부는 상기 무게조절부에서, 상기 제1방향과 교차하는 제2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윙 연습용 탁구 라켓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부재에는, 상기 제2부재의 가장자리의 단을 따라서 제1부재를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되는 결합리브가 형성되고, 상기 제1부재에는 상기 결합리브가 안착되어 수용되는 수용단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는 스윙 연습용 탁구 라켓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무게조절부의 중앙 부분에 나사가 설치되어 상기 결합리브가 상기 수용단에 결합된 상태에서 제1 및 제2부재를 나사 결합 가능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는 스윙 연습용 탁구 라켓 장치.
KR1020170098156A 2017-08-02 2017-08-02 스윙 연습용 탁구 라켓 장치 KR1019244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8156A KR101924419B1 (ko) 2017-08-02 2017-08-02 스윙 연습용 탁구 라켓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8156A KR101924419B1 (ko) 2017-08-02 2017-08-02 스윙 연습용 탁구 라켓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24419B1 true KR101924419B1 (ko) 2018-12-03

Family

ID=647433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8156A KR101924419B1 (ko) 2017-08-02 2017-08-02 스윙 연습용 탁구 라켓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2441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0615B1 (ko) 2019-12-09 2021-04-15 서여민 장애우용 탁구라켓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08345B2 (ja) 1995-09-28 2000-11-13 三興商事株式会社 人工雪の降雪・着雪方法並びに人工雪融雪防止保存方法及び滑降スロープの成形方法
US20120252609A1 (en) 2011-03-29 2012-10-04 Lawrence Miller Gates Racquet Weight
US20160243416A1 (en) * 2015-02-24 2016-08-25 Jules Apatini Progressive weighted aerobic ping pong exercise racquet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08345B2 (ja) 1995-09-28 2000-11-13 三興商事株式会社 人工雪の降雪・着雪方法並びに人工雪融雪防止保存方法及び滑降スロープの成形方法
US20120252609A1 (en) 2011-03-29 2012-10-04 Lawrence Miller Gates Racquet Weight
US20160243416A1 (en) * 2015-02-24 2016-08-25 Jules Apatini Progressive weighted aerobic ping pong exercise racquet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0615B1 (ko) 2019-12-09 2021-04-15 서여민 장애우용 탁구라켓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70189733A1 (en) Training device
US8075455B2 (en) Jump rope handle exercise device
US7282001B2 (en) Pressure grip for goalie hockey stick
US10478655B2 (en) Jump rope device with removably-connected cable
KR200483855Y1 (ko) 탁구 라켓
CA3075127A1 (en) Grips for a handle on a hockey stick
KR20190101167A (ko) 악력기
US20180056161A1 (en) Interchangeable Sports Ball Kicking Training Apparatus
KR20040024554A (ko) 골프 그립 연습 보조 기구
KR101924419B1 (ko) 스윙 연습용 탁구 라켓 장치
KR200468939Y1 (ko) 휴대용 운동기구
KR20150102779A (ko) 손에 착용되는 라켓
US11607573B2 (en) Jump rope device with removably-connected cable and improved bearing assembly therefor
EP3463595B1 (en) Exercising device
KR100937970B1 (ko) 골퍼용 악력기
US7264563B2 (en) Racquet for hitting a ball
KR20200002024U (ko) 스윙 연습용 탁구 라켓
JP2015126858A (ja) 鍛錬具
US10272306B2 (en) Table tennis paddle
US20180133563A1 (en) Weighted tennis racket
US20200276485A1 (en) Table tennis paddle
US9308413B2 (en) Athletic training device
JP3496715B2 (ja) ゴルフスイング用筋力鍛練器具
KR200418008Y1 (ko) 악력운동 겸용 아령구조
KR20120051805A (ko) 기능성 손잡이를 구비한 등산용 스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