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51766A - 흡착성 금속 초미립자 - Google Patents

흡착성 금속 초미립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51766A
KR20090051766A KR1020097005744A KR20097005744A KR20090051766A KR 20090051766 A KR20090051766 A KR 20090051766A KR 1020097005744 A KR1020097005744 A KR 1020097005744A KR 20097005744 A KR20097005744 A KR 20097005744A KR 20090051766 A KR20090051766 A KR 200900517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tal
adsorptive
resin
organic acid
fi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057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30776B1 (ko
Inventor
카즈아키 오하시
카즈히로 사토
무네노리 료
시게루 스즈키
Original Assignee
도요 세이칸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요 세이칸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도요 세이칸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900517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517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307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307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Deodorant com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16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physical phenomen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02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adsorption, e.g. preparative gas chromatograph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74General processes for purification of waste gases;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53/81Solid phase proc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02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omprising inorganic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22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omprising organic material
    • B01J20/223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omprising organic material containing metals, e.g. organo-metallic compounds, coordination complex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22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omprising organic material
    • B01J20/26Synthetic macromolecular compounds
    • B01J20/261Synthet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 to carbon unsaturated bon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22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omprising organic material
    • B01J20/26Synthetic macromolecular compounds
    • B01J20/262Synthet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 to carbon unsaturated bonds, e.g. obtained by polycondens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22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omprising organic material
    • B01J20/26Synthetic macromolecular compounds
    • B01J20/264Synthetic macromolecular compounds derived from different types of monomers, e.g. linear or branched copolymers, block copolymers, graft co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28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haracterised by their form or physical properties
    • B01J20/28002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haracterised by their form or physical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properties
    • B01J20/28004Sorbent size or size distribution, e.g. particle size
    • B01J20/28007Sorbent size or size distribution, e.g. particle size with size in the range 1-100 nanometers, e.g. nanosized particles, nanofibers, nanotubes, nanowire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30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 B01J20/3007Moulding, shaping or extru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30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 B01J20/32Impregnating or coating ; Solid sorbent compositions obtained from processes involving impregnating or coating
    • B01J20/3202Impregnating or coating ; Solid sorbent compositions obtained from processes involving impregnating or coating characterised by the carrier, support or substrate used for impregnation or coating
    • B01J20/3204Inorganic carriers, supports or substr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30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 B01J20/32Impregnating or coating ; Solid sorbent compositions obtained from processes involving impregnating or coating
    • B01J20/3231Impregnating or coating ; Solid sorbent compositions obtained from processes involving impregnating or coating characterised by the coating or impregnating layer
    • B01J20/3242Layers with a functional group, e.g. an affinity material, a ligand, a reactant or a complexing group
    • B01J20/3268Macromolecular compounds
    • B01J20/327Polymer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 to carbon unsaturated bon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30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 B01J20/32Impregnating or coating ; Solid sorbent compositions obtained from processes involving impregnating or coating
    • B01J20/3231Impregnating or coating ; Solid sorbent compositions obtained from processes involving impregnating or coating characterised by the coating or impregnating layer
    • B01J20/3242Layers with a functional group, e.g. an affinity material, a ligand, a reactant or a complexing group
    • B01J20/3268Macromolecular compounds
    • B01J20/3276Co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FWORKING METALLIC POWDER; MANUFACTURE OF ARTICLES FROM METALLIC POWDER; MAKING METALLIC POWDER;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ETALLIC POWDER
    • B22F9/00Making metallic powder or suspension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201/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unspecified macromolecular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0Additives non-macromolecular
    • C09D7/63Additives non-macromolecular organ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3/00Adsorbents used in seperation treatment of gases and vapours
    • B01D2253/10Inorganic adsorbents
    • B01D2253/112Metals or metal compounds not provided for in B01D2253/104 or B01D2253/106
    • B01D2253/1122Met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3/00Adsorbents used in seperation treatment of gases and vapours
    • B01D2253/25Coated, impregnated or composite adsorb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3/00Adsorbents used in seperation treatment of gases and vapours
    • B01D2253/30Physical properties of adsorbents
    • B01D2253/302Dimensions
    • B01D2253/304Linear dimensions, e.g. particle shape, diame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7/00Components to be removed
    • B01D2257/70Organic compounds not provided for in groups B01D2257/00 - B01D2257/602
    • B01D2257/708Volatile organic compounds V.O.C.'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220/00Aspects relating to sorbent materials
    • B01J2220/40Aspects relating to the composition of sorbent or filter aid materials
    • B01J2220/44Materials comprising a mixture of organic materi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2Elements
    • C08K3/08Met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9/00Use of pretreated ingredients
    • C08K9/04Ingredients treated with organic substan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9Coated or structually defined flake, particle, cell, strand, strand portion, rod, filament, macroscopic fiber or mass thereof
    • Y10T428/2982Particulate matter [e.g., sphere, flake, etc.]
    • Y10T428/2991Coated
    • Y10T428/2998Coated including synthetic resin or polyme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Nanotechnology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Paints Or Removers (AREA)
  • Powder Metallurgy (AREA)
  • Solid-Sorbent Or Filter-Aiding Composi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흡착성 금속 초미립자는 유기산 성분과 금속 간에 결합을 갖는 금속 초미립자로서, 상기 유기산 성분과 금속 간의 결합에서 유래하는 1518 ㎝-1 부근 적외 흡수 피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며, 수지의 특성 및 성형성을 손상시키는 일 없이, 우수한 소취성 및 VOC 흡착성을 발현할 수 있는 흡착성 금속 초미립자 및 이 흡착성 금속 초미립자를 함유하는 수지 성형품 또는 도포막을 형성할 수 있는 흡착성 수지 조성물 및 흡착성 코팅재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흡착성 금속 초미립자{ADSORPTIVE ULTRAFINE METAL PARTICLES}
본 발명은 흡착성 금속 초미립자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수지에 배합한 경우에, 수지의 특성 및 성형성을 손상시키는 일 없이 우수한 흡착 성능을 발현할 수 있는 흡착성 금속 초미립자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메틸메르캅탄 등의 악취 성분, 혹은 포름알데히드 등의 휘발성 유기 화합물(Volatile Organic Compounds 이하 「VOC」라고 함)을 흡착할 수 있는 소취제 혹은 흡착제는 여러 가지 제안되어 있으며, 일반적으로, 활성탄, 실리카겔, 제올라이트 등의 다공질 물질을 이용한 것이 일반적이다.
열가소성 수지에 배합하여 성형품에, 상기 성분을 흡착할 수 있는 성능을 부가시킨 것도 여러 가지 제안되어 있다.
예컨대, 활성탄이나, 다공질 제올라이트나 세피올라이트 등의 무기 필러나, 혹은 광촉매 작용을 응용한 산화 티탄은, 일본 특허 공개 평성 제9-75434호 공보 등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광범한 취기(臭氣) 성분을 소취할 수 있으며 열가소성 수지와의 용융 혼련도 가능한 내열성을 갖고 있다.
또한 금속의 초미립자를 이용한 소취제도 제안되어 있으며, 일본 특허 공개 제2006-109902호 공보에는 금속 이온 함유액을 환원하여 얻어진 금속 초미립자 콜 로이드액을 유효 성분으로 하는 소취제가 제안되어 있다.
그러나, 다공성 물질을 이용한 것은, 취기 성분 혹은 VOC를 흡착하여 흡착 효과[소취(消臭) 효과]를 발현하고 있기 때문에, 그 흡착 사이트가 포화 상태가 되면 효과가 소실된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무기 필러는 분산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열가소성 수지와 용융 혼련할 때에 분산제를 이용할 필요가 있으며, 이 때문에 무기 필러 표면의 흡착 사이트가 수지나 분산제로 덮어져 흡착 효과가 현저히 저하된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광촉매 작용을 응용한 소취제는, 취기 성분을 분해, 무취화시키기 위해 산화 티탄 표면에 항상 자외선이 조사되고 있지 않으면 안 된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금속 초미립자를 이용하는 소취제에 있어서, 이러한 소취제를 수지에 배합하여 사용하는 경우에는, 표면 활성이 높은 금속 초미립자에 의해 수지가 분해되어 버려, 성형성이 현저히 저해되어 버린다고 하는 문제가 있으며, 핸드링성의 점에서 분산액이 필요하고, 수지에 배합하는 데는 충분히 만족할만한 것이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수지의 특성 및 성형성을 손상시키는 일 없이 우수한 흡착 효과(소취 효과)를 발현할 수 있는 흡착성 금속 초미립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전술한 흡착성 금속 초미립자를 함유하는 수지 성형품 또는 도포막을 형성할 수 있는 흡착성 수지 조성물 및 흡착성 코팅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메틸메르캅탄 등의 악취 성분 등 외에, VOC도 유효하게 흡착할 수 있는 흡착성 금속 초미립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유기산 성분과 금속 간에서 결합을 갖는 금속 초미립자로서, 상기 유기산 성분과 금속 간의 결합에 유래하는 1518 ㎝-1 부근 적외 흡수 피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착성 금속 초미립자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흡착성 금속 미립자에 따르면,
1. 유기산 성분이 고급지방산인 것,
2. 금속이, 금, 은, 구리 중 적어도 1개인 것,
이 적합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흡착성 금속 초미립자를 함유하는 흡착성 수지 조성물이 또한 제공된다. 이 흡착성 수지 조성물에서는, 흡착성 금속 초미립자가 함유된 수지는 산소 투과 계수가 1.O×10-4 ㏄·m/㎡·일·atm 이상인 것이 적합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흡착성 금속 초미립자를 함유하는 흡착성 코팅재가 또한 제공된다.
본 발명의 흡착성 금속 초미립자는 유기산 성분과 금속 간에 결합을 갖는 금속 초미립자로서, 상기 유기산 성분과 금속 간의 결합에서 유래하는 1518 ㎝-1 부근 적외 흡수 피크를 갖는 것이 중요한 특징이다.
입자 직경이 1000 ㎚ 이하인 금속 초미립자는, 통상의 금속 입자와 그 특성이 크게 다르며, 특히 그 표면 활성이 높을 뿐만 아니라 표면적이 크기 때문에, 악취 성분 또는 VOC에의 반응성이 우수하고, 통상의 입자보다도 큰 흡착 속도 및 흡착량을 가지며, 우수한 흡착 효과를 발현한다고 생각되지만, 전술한 바와 같이, 이러한 금속 초미립자는 표면 활성이 매우 높기 때문에, 수지 중에 이것을 배합하면 수지의 분해를 촉진하여, 수지의 성형성을 현저히 저해하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금속 초미립자 표면에 유기산 성분을 존재시킴으로써, 금속 표면과 수지의 직접 접촉을 저감시킬 수 있으며, 수지의 분해를 유효하게 억제하여, 수지의 분자량의 저하 등을 저감시킬 수 있고, 성형성을 저해하는 일이 없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흡착성 금속 초미립자를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수지 조성물에 있어서는, 종래의 금속 초미립자를 이용한 경우와 같이 분산액 등을 필요로 하는 일 없이, 수지 중에서 직접 나노 입자화 및 나노 분산시킬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는, 유기산 금속염이, 수지의 가열 성형 가공 공정 혹은 도포막의 형성 공정에서, 자기 환원 또는 열분해됨으로써 금속 초미립자가 되는 것을 발견하고, 유기산 금속염을 수지에 배합하여 압출기 등으로 혼련 혹은 코팅재의 베이킹을 행함으로써, 유기산 금속염이 열분해에 의해 나노 입자화되며, 또한 재응집하는 일 없이 나노 분산되어, 성형과 동시에 효율적으로 수지 중에 나노 입자화·나노 분산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 것은 후술하는 실시예의 결과로부터도 명확한 바, 예컨대 실시예 2 및 실시예 4에 의해 얻어진 필름 단면의 투과형 전자 현미경 사진인 도 3 및 도 4로부터, 필름 중에 금속 초미립자(검은 부분)가 형성(나노 입자화)되어 있는 것이 분명하고, 또한 실시예 11에 의해 얻어진 필름 표면의 주사형 전자 현미경 사진인 도 5로부터, 금속 초미립자(흰 부분)가 균일하게 미분산(나노 분산)되어 있는 것이 분명하다.
또한, 이러한 금속 초미립자가 수지 중에서 나노 분산되어 있는 것은, 나노 입자의 플라스몬 흡수의 존재에 의해 확인할 수 있다. 도 1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만으로 이루어지는 필름과,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에 평균 입자 직경 100 ㎛의 미리스트산은(銀) 0.5 중량%를 함유시키고, 270℃에서 2축 압출하여 평균 입자 직경 50 ㎚의 금속 초미립자를 분산시켜 이루어지는 필름에 대한 분광 투과율 곡선을 나타내는 것이며, 이 도 1로부터 분명한 바와 같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단체(A)에서는, 피크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데 대하여, 미리스트산은이 함유되어 있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B)에서는, 400 ㎚∼450 ㎚ 부근에 피크가 얻어져 있고, 은 입자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중에서 나노 분산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말하는 평균 입자 직경이란, 금속과 금속 사이에 간극이 없는 것을 1개의 입자로 하여, 그 평균을 취한 것을 말한다.
본 발명의 흡착성 금속 초미립자에 따르면, 수지의 특성 및 성형성을 손상시키는 일 없이 우수한 흡착 성능(소취 성능도 포함함. 또한, 본 명세서에서 「흡착성」은 「소취성」을 포함하는 개념임)을 발현할 수 있다. 더구나, 본 발명의 흡착성 금속 초미립자는 분산액 등을 필요로 하는 일이 없으며, 성형 가공 시의 가열에 의해 나노 입자화 및 나노 분산할 수 있어, 현저히 성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이러한 흡착성 금속 초미립자를 함유하는 수지 성형품 또는 도포막을 형성할 수 있는 흡착성 수지 조성물 및 흡착성 코팅재는, 성형 가공 혹은 도포막 형성과 동시에 나노 입자화 및 나노 분산할 수 있어, 생산성이 우수하며, 얻어지는 성형품 또는 도포막은 흡착 성능도 우수하다.
본 발명의 흡착성 금속 초미립자에 따르면, 취기 성분, VOC를 효과적으로 흡착할 수 있어, 우수한 소취 성능 혹은 VOC 흡착 성능을 발현할 수 있다.
도 1은 나노 분산을 확인하기 위한 분광 투과율 곡선을 나태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메틸메르캅탄 농도와 피크 면적으로부터 구한 검량선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실시예 2에서 얻어진 필름의 단면의 투과형 전자 현미경 사진이다.
도 4는 실시예 4에서 얻어진 필름의 단면의 투과형 전자 현미경 사진이다.
도 5는 실시예 11에서 얻어진 필름의 표면의 주사형 전자 현미경 사진이다.
(금속 초미립자)
본 발명의 흡착성 금속 초미립자에 있어서, 금속 초미립자의 금속 성분은 특히 제한되지 않지만, Cu, Ag, Au, In, Pd, Pt, Fe, Ni, Co, Nb, Ru, Rh, Sn 등을 들 수 있으며, 그 중에서도 Au, Ag, Cu, Pt, Sn이 적합하다. 이들 금속 성분은, 단체, 혼합물, 합금 등이어도 좋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금속이 유기산과 결합을 갖고 있는 것이 중요한 특징이며, 유기산으로서는, 미리스트산, 스테아르산, 올레인산, 팔미틴산, n-데칸산, 파라톨루산(p-toluic acid), 호박산, 말론산. 타르타르산, 말산. 글루타르산, 아디프산, 초산 등의 지방족 카르복실산, 프탈산, 말레산, 이소프탈산. 테레프탈산, 안식향산, 나프텐산 등의 방향족 카르복실산, 시클로헥산디카르복실산 등의 지환식 카르복실산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이용하는 유기산이, 미리스트산, 스테아르산, 팔미틴산 등의 고급 지방산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며, 분기를 가지며 탄소수가 많은 것으로 함으로써, 유기산 성분 자체도 취기 성분 혹은 VOC를 흡착할 수 있어, 흡착 효과(소취 효과)를 보다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금속 초미립자의 적합한 출발 물질인 유기산 금속염으로서는, 특히 미리스트산은, 스테아르산은(銀) 등을 들 수 있으며, 또한 평균 입자 직경이 1 ㎛ 내지 500 ㎛, 특히 10 ㎛ 내지 200 ㎛의 범위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금속 초미립자는, 금속 초미립자의 출발 물질인, 유기산 금속염을 불활성 가스 분위기에서 열처리함으로써, 금속 초미립자 단체를 생성할 수 있지만, 적합하게는, 유기산 금속염을 열가소성 수지와 혼합하고, 열처리를 거침으로써, 수지 중에서 나노 입자화·나노 분산된 금속 초미립자를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금속 초미립자를 얻기 위해 필요한 가열 조건은, 이용하는 유기산 금속염에 따라서도 상이하기 때문에, 일률적으로는 규정할 수 없지만, 일반적으로는 120℃ 내지 350℃, 특히 170℃ 내지 300℃의 온도에서, 1초 내지 1800초, 특히 10초 내지 600초 가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금속 초미립자는 그 최대 직경이 1 ㎛ 미만이며, 그 평균 입자 직경은 특히 1 ㎚ 내지 100 ㎚의 범위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흡착성 수지 조성물)
본 발명의 흡착성 수지 조성물은, 전술한 본 발명의 흡착성 금속 초미립자를 함유하는 수지 성형품을 성형할 수 있는 흡착성 수지 조성물이며, 전술한 바와 같이, 불활성 분위기 하에서 유기산 금속염을 열처리하여 얻어진 금속 초미립자를 수지 중에 배합한 것이어도 좋지만, 특히, 전술한 금속 초미립자의 출발 물질인 유기산 금속염을 함유하는 수지 조성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흡착성 금속 초미립자의 출발 물질인 유기산 금속염은, 수지 조성물의 성형 가공 시의 열처리에 의해, 수지 성형품 중에서 나노 입자화·나노 분산하여, 수지 성형품 중에 본 발명의 흡착성 금속 초미립자가 존재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의 흡착성 금속 초미립자가 함유되는 수지로서는, 용융 성형이 가능한 열가소성 수지이면 종래 공지의 것을 모두 사용할 수 있으며, 예컨대, 저-. 중-, 고-밀도 폴리에틸렌,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선형 초저밀도 폴리에틸렌, 아이소택틱폴리프로필렌, 신디오택틱폴리프로필렌, 프로필렌-에틸렌 공중합체, 폴리부텐-1, 에틸렌-부텐-1 공중합체, 프로필렌-부텐-1 공중합체, 에틸렌-프로필렌-부텐-1 공중합체 등의 올레핀 수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나프타에이트 등의 폴리에스테르 수지, 나일론6, 나일론6.6, 나일론 6.10 등의 폴리아미드 수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흡착성 수지 조성물에 있어서는, 특히 산소 투과 계수가 1.0×lO-4 ㏄·m/㎡·일·atm 이상의 수지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흡착성 금속 초미립자에의 취기 성분 혹은 VOC의 흡착을 용이하게 할 수 있어, 흡착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흡착성 수지 조성물에 있어서는, 특히 폴리에틸렌을 이용하는 것이 적합하다.
또한 본 발명의 흡착성 수지 조성물에 있어서는, 그 용도에 따라, 그 자체 공지의 각종 배합제, 예컨대, 충전제, 가소제, 레벨링제, 증점제, 감점제(減粘劑), 안정제, 산화 방지제, 자외선 흡수제 등을 공지의 처방에 따라 배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흡착성 수지 조성물에 있어서는, 수지 100 중량부당 유기산 금속염을 0.01 중량부 내지 5 중량부의 양으로 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범위보다도 적으면 충분한 흡착 효과를 얻을 수 없고, 한편 상기 범위보다도 많으면 금속 입자가 응집하여, 나노 분산이 곤란하게 될 우려가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본 발명의 흡착성 수지 조성물은, 2롤법, 사출 성형, 압출 성형, 압축 성형 등의 종래 공지의 용융 성형에 부과함으로써, 최종 성형품의 용도에 따른 형상, 예컨대, 입자형, 팰릿형, 필름, 시트, 용기, 건축용 재료, 벽지 등의 흡착성(소취성) 수지 성형품을 성형할 수 있다.
수지 성형품에의 성형 온도는, 성형 방법이나 이용하는 수지 및 유기산 금속 염의 종류에 따라 일률적으로 규정할 수 없지만, 이용하는 수지의 열 열화를 생기게 하지 않는 온도, 또한 유기산 금속염이 나노 입자화 및 나노 분산할 수 있는 전술한 온도 범위 내인 것이 필요하다.
또한 본 발명의 흡착성 수지 조성물은, 그것 단독으로 흡착성 수지 성형품을 구성할 수도 있지만, 다른 수지와의 조합으로 다층 구조로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흡착성 수지 조성물로부터 얻어진 수지 성형품은, 우수한 소취성, VOC 흡착성을 가지며, 더구나 성형 가공과 동시에 나노 입자화 및 나노 분산이 가능하고, 생산성이 우수하다.
(흡착성 코팅재)
본 발명의 흡착성 코팅재는, 전술한 본 발명의 흡착성 금속 초미립자를 함유하는 도포막을 형성할 수 있는 흡착성 코팅재이며, 전술한 바와 같이, 불활성 분위기 하에서 유기산 금속염을 열처리하여 얻어진 금속 초미립자를 도료 성분 중에 배합한 것이어도 좋지만, 특히, 전술한 금속 초미립자의 출발 물질인 유기산 금속염을 함유하는 코팅재인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흡착성 금속 초미립자의 출발 물질인 유기산 금속염은, 도포막의 베이킹 시의 열처리에 의해, 도료 성분 중에서 나노 입자화·나노 분산하여, 도포막 중에 본 발명의 흡착성 금속 초미립자가 존재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유기산 금속염 등의 금속 유기 화합물은, 도료 성분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1 중량부 내지 5 중량부의 양으로 배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범위보다 도 적으면 충분한 흡착 효과를 얻을 수 없고, 한편 상기 범위보다도 많으면 금속 초미립자가 응집할 우려가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유기산 금속염 등의 금속 유기 화합물을 배합하는 도료 성분으로서는, 가열에 의해 도포막 형성이 가능한 것이면 어느 것이라도 사용할 수 있다. 예컨대, 이것에 한정되지 않지만, 아크릴계 도료, 에폭시계 도료, 페놀계 도료, 우레탄계 도료, 폴리에스테르계 도료, 알키드 수지 도료 등의 종래 공지의 도료 조성물을 이용할 수 있다.
코팅재의 열처리 조건은 이용하는 도료 성분 및 유기산 금속염의 종류에 따라 일률적으로 규정할 수 없지만, 이용하는 도료 성분의 열 열화를 발생시키지 않는 온도, 또한 유기산 금속염이 나노 입자화 및 나노 분산할 수 있는 전술한 온도 범위 내에서, 60초 내지 600초간 가열 처리를 행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발명의 흡착성 코팅재로부터 얻어진 도포막은, 우수한 소취성, VOC 흡착성을 가지며, 우수할 뿐만 아니라 도포막의 형성과 동시에 나노 입자화 및 나노 분산이 가능하고, 생산성이 우수하다.
<실시예>
1. 퍼지앤드트랩(purge and trap) 가스크로마토그래프 질량 분석계(P&T-GCMS)에서의 메틸메르캅탄량에의 환산
농도가 65 ppm, 6.5 ppm 및 0.65 ppm의 메틸메르캅탄의 수용액을 각각 1 μL 채취하여, 퍼지앤드트랩 가스크로마토그래프 질량 분석계(P&T-GCMS)로 측정하고, 메틸메르캅탄 유래의 각각의 피크 면적을 확인하여, 이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수용액 농도 단위의 ppm은 ng/μL이다. 또한, 이들의 메틸메르캅탄 농도(양)(x)와 피크 면적(y)으로부터 검량선을 구하였다.
y=562626x
R=O.9968
이 검량선을 도 2에 나타낸다.
Figure 112009016903383-PCT00001
2. 입자 직경의 측정
실시예 1∼실시예 8, 실시예 10∼실시예 15 및 비교예 1∼비교예 12에 의해 얻어진 필름 혹은 실시예 9에 의해 얻어진 프라이머 도포 필름의 프라이머 도포막을 단면 방향으로 얇게 절단하여, 투과형 전자 현미경(TEM)으로 관찰한 금속 초미립자의 TEM의 사진을 얻는다(또한, 대표예로서 실시예 2 및 실시예 4의 TEM 사진을 도 3 및 도 4에 도시함). 사진에 나타난 금속 초미립자의 평균 입자 직경을 화상 해석식 입자 분포 측정 소프트웨어: mac-view로 측정하였다.
3. 메틸메르캅탄량의 측정
실시예 1∼실시예 8, 실시예 10∼실시예 15 및 비교예 1∼비교예 12에 의해 얻어진 필름 혹은 실시예 9에 의해 얻어진 프라이머 도포 필름을, 질소 가스 치환한 500 mL 유리제 병 내에 넣어 고무 마개로 밀봉한 후, 상기 병 내에 악취 물질로 농도가 650 ppm의 메틸메르캅탄 5 μL를 마이크로 시린지로 주입하여, 실온(25℃)에서 하루 방치하였다. 하루 방치 후, 병 내로부터 5 mL의 가스를 가스타이트 시린지로 채취하여, 퍼지앤드트랩 가스크로마토그래프 질량 분석계(P&T-GCMS)로 상기 가스 중의 메틸메르캅탄량을 측정하였다.
4. 메틸메르캅탄의 소취량(消臭量)의 산출
입구부를 고무 마개로 밀봉한 질소 가스 치환된 500 mL 유리제 병 내에, 악취 물질로 농도 650 ppm의 메틸메르캅탄 5 μL를 마이크로 시린지로 주입하고, 계속해서, 병 내로부터 5 mL의 가스를 가스타이트 시린지로 채취하여, 퍼지앤드트랩 가스크로마토그래프 질량 분석계(P&T-G㎝S)로, 소취 전의 상기 가스 중의 메틸메르캅탄량을 측정하였다.
이 소취 전의 상기 가스 중의 메틸메르캅탄량으로부터 하루 방치 후의 가스 중의 메틸메르캅탄량을 제거하여 메틸메르캅탄량의 소취량으로 한다.
5. 1518 ㎝-1 부근의 적외선 흡수 피크의 확인
실시예 1∼실시예 8, 실시예 10∼실시예 15 및 비교예 1∼비교예 12에 의해 얻어진 필름 혹은 실시예 9에 의해 얻어진 프라이머 도포 필름의 프라이머 도포막에 대해서, 푸리에 변환형 적외 분광 광도계((주)데지라보·재팬샤 제조)에 의해 통상법인 전반사 측정법을 이용하여 유기산 성분과 금속 간의 결합에 기인하는 1518 ㎝-1 부근의 적외 흡광 피크를 확인하였다.
6. 취기 관능 평가
상기 2의 메틸메르캅탄량의 측정 후, 패널리스트 4명에 의해 고무 마개로 밀봉한 유리병을 개봉하여, 순차적으로, 병 내의 악취의 관능 평가를 행하였다. 악취인 메틸메르캅탄 취기가 나지 않는 것을 ○, 취기가 나는 것을 ×로 하였다.
7. 외관 평가
실시예 1∼실시예 8, 실시예 10∼실시예 15 및 비교예 1∼비교예 12에 의해 얻어진 필름 혹은 실시예 9에 의해 얻어진 프라이머 도포 필름에 대해서, 육안으로 입자의 응집의 유무를 확인하여, 응집이 없이 외관이 우수한 것을 ○, 응집이 있으며 외관 불량인 것을 ×로 하였다.
8. VOC 물질 흡착 전 잔존 농도의 측정
VOC 물질인 포름알데히드를 1.5% 수용액으로 조제하였다. 질소 가스 치환한 50 ML 유리병 내를 고무 마개로 밀봉한 후, 상기 병 내에 1.5% 포름알데히드 수용액 5 μL를 마이크로 시린지로 주입하여, 실온(25℃)에서 하루 방치하였다. 방치 후, 병 내에 포름알데히드 검지관(가스테크샤 제조)을 삽입하여, 흡착 전의 농도를 측정하였다. 아세트알데히드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측정하였다.
9. VOC 물질 흡착 후 잔존 농도의 측정
실시예 1∼실시예 8. 실시예 10∼실시예 15 및 비교예 1∼비교예 12에 의해 얻어진 필름 혹은 실시예 9에 의해 얻어진 프라이머 도포 필름을, 질소 가스 치환한 500 mL 유리제 병 내에 넣어 밀봉 후, 상기 병 내에 1.5% 포름알데히드 5 μL를 마이크로 시린지로 주입하여, 실온(25℃)에서 하루 방치하였다. 방치 후, 병 내에 포름알데히드 검지관(가스테크샤 제조)을 삽입하여, 흡착 후의 농도를 측정하였다. 아세트알데히드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측정하였다.
10. VOC 물질의 흡착률의 산출
포름알데히드 흡착 전 잔존 농도로부터 흡착 후 잔존 농도를 제거한 수치를 흡착량으로 하였다. 아세트알데히드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산출하였다.
[실시예 1]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 5 ㎏에, 평균 입자 직경 100 ㎛의 미리스트산은을 0.1 wt%의 함유율이 되도록 배합하고, 압출 성형 온도 220℃에서 2축 압출기((주)토요세이키세이사쿠쇼 제조)로 압출하여 두께 50 ㎛의 필름을 작성하고, 전술한 메틸메르캅탄량의 측정, 메틸메르캅탄의 소취량의 산출, 1518 ㎝-1 부근의 적외선 흡수 피크의 확인 및 평가를 행하였다.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실시예 2]
미리스트산은의 함유율을 0.5 wt%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필름을 작성하고, 측정, 산출, 확인, 평가를 행하였다.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실시예 3]
미리스트산은의 함유율을 1.0 wt%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필름을 작성하고, 측정, 산출, 확인, 평가를 행하였다.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실시예 4]
미리스트산은의 함유율을 1.5 wt%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필름을 작성하고, 측정, 산출, 확인, 평가를 하였다.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실시예 5]
압출 성형 온도를 190℃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2와 마찬가지로 필름을 작성하고, 측정, 산출, 확인, 평가를 행하였다.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실시예 6]
평균 입자 직경 100 ㎛의 스테아르산은을 이용하며 함유율을 0.5 wt%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필름을 작성하고, 측정, 산출, 확인, 평가를 행하였다.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실시예 7]
압출 성형 온도를 250℃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2와 마찬가지로 필름을 작성하고, 측정, 산출, 확인, 평가를 행하였다.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실시예 8]
압출 성형 온도를 270℃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2와 마찬가지로 필름을 작성하고, 측정, 산출, 확인, 평가를 행하였다.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실시예 9]
고분자량 비스페놀형 에폭시 수지, 페놀포름알데히드 수지(레졸형) 용액 및 경화 촉매(인산), 평균 입자 직경 100 ㎛의 미리스트산은을 46:46:3:5의 수지 구성 비율로 교반 혼합하고, 혼합 용제(시클로헥사논:MIBK:MEK=1:1:1)로 도료 수지 농도가 20%가 되도록 프라이머를 조제하였다. 두께 50 ㎛의 2축 배향 PET/I(테레프탈산/이소프탈산=88/12)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프라이머를 건조 중량으로 O.6 g/㎡이 되도록 도포, 180℃에서 건조하여 프라이머 도포 필름을 작성하고, 측정, 산출, 확인, 평가를 행하였다.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비교예 1]
평균 입자 직경 2 ㎛의 제올라이트(미즈사와카가쿠코교(주) 제조)를 0.5 wt%의 함유율이 되도록 배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필름을 작성하고, 측정, 산출, 확인, 평가를 행하였다.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비교예 2]
평균 입자 직경 1 ㎛의 시판의 무기계 소취제(토아고세이(주): 등록 상표 케스몬)를 O.5 wt%의 함유율이 되도록 배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필름을 작성하고, 측정, 산출, 확인, 평가를 행하였다.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비교예 3]
무기계 소취제를 2.0 wt%의 함유율이 되도록 배합한 것 이외에는, 비교예 2와 마찬가지로 필름을 작성하고, 측정, 산출, 확인, 평가를 행하였다.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비교예 4]
평균 입자 직경 100 ㎚의 은을 0.5 wt%의 함유율이 되도록 배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필름을 작성하고, 측정, 산출, 확인, 평가를 행하였다.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비교예 5]
평균 입자 직경 4.5 ㎛의 은을 0.5 wt%의 함유율이 되도록 배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필름을 작성하고, 측정, 산출, 확인, 평가를 행하였다.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비교예 6]
평균 입자 직경 100 ㎛의 산화은을 0.5 wt%의 함유율이 되도록 배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필름을 작성하고, 측정, 산출, 확인, 평가를 행하였다.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비교예 7]
공지의 방법으로 생성한 스테아르산은을, 불활성 가스 분위기 하에서 온도 250℃로 가열하여 얻어진 입자 직경 1 ㎚∼100 ㎚의 스테아르산은을 0.5 wt%의 함유율이 되도록 배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필름을 작성하고, 측정, 산출, 확인, 평가를 행하였다.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Figure 112009016903383-PCT00002
[실시예 10]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 5 ㎏에, 평균 입자 직경 100 ㎛의 스테아르산은을 0.5 wt%의 함유율이 되도록 배합하고, 압출 성형 온도 220℃에서 2축 압출기((주)토요세이키세이사쿠쇼 제조)로 압출하여 두께 50 ㎛의 필름을 작성하고, 전술한 VOC 물질인 포름알데히드, 아세트알데히드의 흡착 농도의 측정, 흡착 후 잔존 농도의 측정, 흡착량의 산출, 1518 ㎝-1 부근의 적외선 흡수 피크의 확인 및 평가를 행하였다. 결과를 표 3에 나타낸다.
[실시예 11]
스테아르산은의 함유율을 1.0 wt%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0과 마찬가지로 필름을 작성하고, 측정, 산출, 확인, 평가를 행하였다. 결과를 표 3에 나타낸다.
[실시예 12]
스테아르산은의 함유율을 1.5 wt%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0과 마찬가지로 필름을 작성하고, 측정, 산출, 확인, 평가를 행하였다. 결과를 표 3에 나타낸다.
[실시예 13]
평균 입자 직경 100 ㎛의 미리스트산은의 함유율을 0.5 wt%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0과 마찬가지로 필름을 작성하고, 측정, 산출, 확인, 평가를 행하였다. 결과를 표 3에 나타낸다.
[실시예 14]
압출 성형 온도를 190℃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0과 마찬가지로 필름을 작성하고, 측정, 산출, 확인, 평가를 행하였다. 결과를 표 3에 나타낸다.
[실시예 15]
압출 성형 온도를 250℃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0과 마찬가지로 필름을 작성하고, 측정, 산출, 확인, 평가를 행하였다. 결과를 표 3에 나타낸다.
[실시예 16]
압출 성형 온도를 270℃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0과 마찬가지로 필름을 작성하고, 측정, 산출, 확인, 평가를 행하였다. 결과를 표 3에 나타낸다.
[비교예 8]
평균 입자 직경 2 ㎛의 제올라이트(미즈사와카가쿠코교(주) 제조)를 0.5 wt%의 함유율이 되도록 배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0과 마찬가지로 필름을 작성하고, 측정, 산출, 확인, 평가를 행하였다. 결과를 표 3에 나타낸다.
[비교예 9]
평균 입자 직경 1 ㎛의 시판의 무기계 소취제(토아고세이(주): 등록 상표 케스몬)를 0.5 wt%의 함유율이 되도록 배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0과 마찬가지로 필름을 작성하고, 측정, 산출, 확인, 평가를 행하였다. 결과를 표 3에 나타낸다.
[비교예 10]
평균 입자 직경 100 ㎚의 은을 0.5 wt%의 함유율이 되도록 배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0과 마찬가지로 필름을 작성하고, 측정, 산출, 확인, 평가를 행하였다. 결과를 표 3에 나타낸다.
[비교예 11]
평균 입자 직경 4.5 ㎛의 은을 0.5 wt%의 함유율이 되도록 배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0과 마찬가지로 필름을 작성하고, 측정, 산출, 확인, 평가를 행하였다. 결과를 표 3에 나타낸다.
[비교예 12]
비교예 7에서 얻어진 입자 직경 1 ㎚∼100 ㎚의 스테아르산화은을 0.5 wt%의 함유율이 되도록 배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0과 마찬가지로 필름을 작성하고, 측정, 산출, 확인, 평가를 행하였다. 결과를 표 3에 나타낸다.
Figure 112009016903383-PCT00003

Claims (6)

  1. 유기산 성분과 금속 간에 결합을 갖는 금속 초미립자로서, 상기 유기산 성분과 금속 간의 결합에서 유래하는 1518 ㎝-1 부근 적외 흡수 피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착성 금속 초미립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산 성분이 고급지방산인 흡착성 금속 초미립자.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이, 금, 은, 구리 중 적어도 1개인 흡착성 금속 초미립자.
  4. 제1항에 기재된 흡착성 금속 초미립자를 함유하는 흡착성 수지 조성물.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 조성물은 산소 투과 계수가 1.0×10-4 ㏄·m/㎡·일·atm 이상의 것인 수지 조성물.
  6. 제1항에 기재된 흡착성 금속 초미립자를 함유하는 흡착성 코팅재.
KR1020097005744A 2006-09-01 2007-09-03 흡착성 금속 초미립자 KR10143077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6-237898 2006-09-01
JP2006237898 2006-09-01
PCT/JP2007/067546 WO2008029932A1 (fr) 2006-09-01 2007-09-03 Particules ultrafines de métal adsorbabl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51766A true KR20090051766A (ko) 2009-05-22
KR101430776B1 KR101430776B1 (ko) 2014-08-18

Family

ID=391573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05744A KR101430776B1 (ko) 2006-09-01 2007-09-03 흡착성 금속 초미립자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2) US8372904B2 (ko)
EP (1) EP2058066A4 (ko)
JP (1) JP4820416B2 (ko)
KR (1) KR101430776B1 (ko)
CN (1) CN101522347B (ko)
WO (1) WO200802993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448551B2 (ja) * 2006-12-08 2010-04-14 東洋製罐株式会社 微小蛋白質不活性化樹脂組成物
US20110002872A1 (en) * 2008-02-29 2011-01-06 Toyo Seikan Kaisha, Ltd. Fatty acid metal salt for forming ultrafine metal particles
KR101218863B1 (ko) * 2008-02-29 2013-01-07 도요 세이칸 가부시키가이샤 흡착성 조성물 및 흡착성 성형체
JP5629425B2 (ja) * 2008-02-29 2014-11-19 東洋製罐グループ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金属超微粒子形成用脂肪酸金属塩
JP5629428B2 (ja) * 2008-11-17 2014-11-19 東洋製罐グループ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金属超微粒子形成用脂肪酸金属塩
US8921452B2 (en) 2010-06-01 2014-12-30 Toyo Seikan Kaisha, Ltd. Resin composition containing ultrafine silver particles
JP6012216B2 (ja) * 2011-05-12 2016-10-25 キヤノン株式会社 被検体情報取得装置及び被検体情報取得方法
CN105385097B (zh) * 2015-12-28 2018-06-22 上海锦湖日丽塑料有限公司 自清除甲醛的耐热abs材料及其制备方法
JP7282691B2 (ja) * 2018-01-26 2023-05-29 日清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微粒子の製造方法
CN112956757B (zh) * 2021-02-07 2023-06-30 泉州市锦恒服装实业有限公司 一种面料及内裤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86244A (en) * 1977-05-03 1980-01-29 Graham Magnetics Inc. Novel silver powder composition
JP3185810B2 (ja) 1992-03-03 2001-07-11 東洋紡績株式会社 酸素捕獲材
JPH0975434A (ja) 1995-09-07 1997-03-25 Kuraray Chem Corp 光触媒を使用した脱臭剤
JP3205793B2 (ja) 1996-12-19 2001-09-04 株式会社巴製作所 超微粒子及びその製造方法
CN1129643C (zh) * 1997-09-04 2003-12-03 可乐丽股份有限公司 树脂组合物
JP2000327836A (ja) 1999-05-25 2000-11-28 Mitsui Chemicals Inc 高屈折率金属超微粒子分散ポリマー
US6743395B2 (en) * 2000-03-22 2004-06-01 Ebara Corporation Composite metallic ultrafine particles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US6894085B2 (en) * 2001-09-17 2005-05-17 Cellresin Technologies, Llc Barrier material with nanosize metal particles
EP1452188A4 (en) 2001-11-26 2005-07-13 Yugen Kaisha Okada Giken DEODORANT AND THIS INCLUDING COSMETIC SHAMPOO PREPARATION
JP2004156020A (ja) 2002-07-25 2004-06-03 Asahi Kasei Chemicals Corp 熱可塑性樹脂組成物及びその成形体
TWI242478B (en) 2002-08-01 2005-11-01 Masami Nakamoto Metal nanoparticle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WO2004026526A1 (en) * 2002-09-18 2004-04-01 Ebara Corporation Bonding material and bonding method
US20050112155A1 (en) * 2003-08-11 2005-05-26 Franck Giroud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a passivated and optionally coated metal particles
WO2005085358A1 (ja) * 2004-03-03 2005-09-15 Kaneka Corporation 超微粒子含有熱可塑性樹脂組成物の製造方法
JP2006021450A (ja) 2004-07-08 2006-01-26 Kureha Corp 帯電防止性を有するガスバリア性フィルムおよびそれからなる袋
JP2006109902A (ja) * 2004-10-12 2006-04-27 Chemiprokasei Kaisha Ltd 消臭剤およびその表面に少なくとも該消臭剤を存在させた物品
WO2006080319A1 (ja) * 2005-01-25 2006-08-03 Kaneka Corporation 金属超微粒子含有樹脂組成物及び該組成物の製造方法
JP2006348213A (ja) * 2005-06-17 2006-12-28 Tokan Material Technology Co Ltd 金属超微粒子、同超微粒子を含む樹脂組成物またはその成型物、および同樹脂組成物またはその成型物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30005888A1 (en) 2013-01-03
CN101522347A (zh) 2009-09-02
EP2058066A4 (en) 2012-01-25
US8372904B2 (en) 2013-02-12
WO2008029932A1 (fr) 2008-03-13
US20100010130A1 (en) 2010-01-14
JPWO2008029932A1 (ja) 2010-01-21
CN101522347B (zh) 2015-08-05
EP2058066A1 (en) 2009-05-13
JP4820416B2 (ja) 2011-11-24
KR101430776B1 (ko) 2014-08-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90051766A (ko) 흡착성 금속 초미립자
JP4448551B2 (ja) 微小蛋白質不活性化樹脂組成物
EP2248844B1 (en) Master batch, process for production thereof, and process for production of molded articles
CN101959537B (zh) 吸附性组合物和吸附性成型制品
KR101544259B1 (ko) 은 초미립자 함유 수지 조성물
JP5656541B2 (ja) 銀含有樹脂組成物及びその製造方法
JP5656540B2 (ja) 銀含有樹脂組成物及びその製造方法
JPWO2010098309A1 (ja) 銀ナノ微粒子含有の組成物、銀ナノ微粒子含有のマスターバッチおよびその成形品
JP5693974B2 (ja) 金属超微粒子含有樹脂組成物の製造方法
JP2010121145A (ja) 金属超微粒子形成用脂肪酸金属塩
JP2010132774A (ja) 吸着性成形体の製造方法
JP2009209200A (ja) 変色性金属超微粒子含有組成物及び消臭判定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8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