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51451A - 수냉식 냉각 구조를 갖는 로터리 밸브 - Google Patents

수냉식 냉각 구조를 갖는 로터리 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51451A
KR20090051451A KR1020070117850A KR20070117850A KR20090051451A KR 20090051451 A KR20090051451 A KR 20090051451A KR 1020070117850 A KR1020070117850 A KR 1020070117850A KR 20070117850 A KR20070117850 A KR 20070117850A KR 20090051451 A KR20090051451 A KR 200900514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oling
rotary valve
main body
cooling plate
cooling flu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178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38419B1 (ko
Inventor
김용남
Original Assignee
김용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용남 filed Critical 김용남
Priority to KR10200701178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38419B1/ko
Publication of KR200900514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514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384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384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5/00Plug valves; Taps or cocks comprising only cut-off apparatus having at least one of the sealing faces shaped as a more or less complete surface of a solid of revolution, the opening and closing movement being predominantly rotary
    • F16K5/08Det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49/00Means in or on valves for heating or cooling
    • F16K49/005Circulation means for a separate heat transfer flui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Sliding Valves (AREA)
  • Filling Or Emptying Of Bunkers, Hoppers, And Tan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분, 입체의 정량공급 및 배출을 위한 로터리 밸브로, 제련소에서 사용되고 남은 고온의 불순물의 정량공급 등에 고온에 노출된 로터리 밸브가 가열되어 내구성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냉각 구조를 갖는 로터리 밸브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로터리 밸브는 본체의 내측면 또는 외측면을 감싸도록 구비되며 냉각 유체가 이동하는 공간을 제공하는 냉각판과 상기 냉각판의 하부 및 상부와 연통하는 냉각관 및 상기 냉각관과 연결되어 냉각 유체의 공급 및 순환을 제공하는 냉각순환부를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냉각판에 의해 제공되는 공간을 통해 냉각 유체의 유입 및 배출이 연속적으로 순환되어 로터리 밸브에서 발생하는 열을 냉각시킴으로써 고열에 노출된 로터리 밸브의 열변형 및 크랙 등을 방지함에 따라 내구성을 향상시키고, 그로 인해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발생한다.
로터리 밸브, 수냉식, 냉각판, 개폐부

Description

수냉식 냉각 구조를 갖는 로터리 밸브{ROTARY VALVE HAVING WATER COOLING CONSTRUCTION}
본 발명은 분, 입체의 정량공급 및 배출을 하기 위한 로터리 밸브에 관한 것으로, 밸브의 내측면 또는 외측면을 감싸도록 구비되며, 냉각 유체가 이동하는 공간을 제공하는 냉각판을 통해 냉각 유체를 순환시켜 고온에 노출된 밸브를 냉각시키도록 한 냉각 구조를 갖는 로터리 밸브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밸브(Valve)라 함은 유체를 통과시키거나 막거나, 제어하기 위하여 통로를 개폐할 수 있는 가동 기구를 가지는 기기의 총칭이다. 이러한 밸브의 대표적인 예로, 밸브 디스크가 밸브 대에 의하여 밸브 시트에 직각 방향으로 작동하는 스톱밸브(Stop valve), 밸브 디스크가 유체의 통로를 수직으로 막아서 개폐하고 유체의 흐름이 일직선 위에 있는 게이트 밸브(Gate valve), 테이퍼 또는 평행 모양의 밸브 시트를 가진 몸체의 내부에 회전할 수 있는 마개가 삽입되고 상기 마개를 90°또는 그 이하로 회전시켜 개폐를 하는 콕(Cock) 등 그 형태 또는 기능에 따라 다양한 밸브가 현재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은 밸브의 일종으로 소정의 분체 또는 입체를 정량으로 공급 및 배출하기 위한 로터리 밸브를 도 1 종래 로터리 밸브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자면,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로터리 밸브는 하우징(2)의 내부에 소정 공간이 마련되고, 상기 하우징(2)의 상부 및 하부로는 상기 소정 공간과 연통하도록 유입구(4) 및 배출구(5)가 양 대향 측에 각기 형성된다.
또한, 상기 소정 공간에는 상기 유입구(4)를 통해 유입되는 분, 입체를 상기 배출구(5)를 통해 정량 공급하기 위한 로터가 배치되는데, 상기 로터는 구동모터(1)와 연결된 샤프트(6), 상기 샤프트(6)의 외주면을 따라 방사형으로 결합하는 다수의 블레이드(7)로 구성된다.
한편,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종래 로터리 밸브는 측면커버를 포함하여 상기 하우징(2)의 소정 공간에 배치되는 로터를 밀폐하게 된다. 이때, 상기 측면커버는 상기 로터의 샤프트(6)가 상기 하우징(2)의 외측으로 일부 노출되어 상기 구동모터(1)와 연결될 수 있도록 중앙부위가 상기 샤프트(6)의 외경과 대응하게 관통 형성한다.
상기 구동모터(1)는 상기 하우징(2)과 이격되어 배치되며, 상기 샤프트(6)로 소정의 연결수단(3)을 통해 구동력을 전달하여 회전시킨다. 따라서, 상기 하우징 (2)내부에 배치된 로터는 회전하게 되고, 상기 유입구(4)를 통해 유입된 분, 입체를 배출구(5)를 통해 정량공급 및 배출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종래 로터리 밸브는 다양한 용도 및 현장에서 사용되고 있고, 상기 분, 입체는 또한 다양한 대상물이 될 수 있다. 이때, 비철금속 또는 그 합금을 제조하는 제련소에서도 흔히 로터리 밸브를 사용하는데 후처리 공정에서 발 생하는 고온의 불순물들 역시 상기 로터리 밸브를 통해 정량으로 배출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고온의 대상물들을 정량으로 공급하게 되면, 금속 재질의 로터리 밸브로 쉽게 열이 전달되어 상기 블레이드 및 샤프트로 이루어진 로터와 베어링 등 로터리 밸브를 구성하는 각 부품이 열팽창으로 인해 변형될 수 있고, 뿐만 아니라 밸브에 크랙(Crock)이 진행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한 종래 로터리 밸브의 내구성이 현저히 저하되고, 제품의 수명이 단축되는 등 고온에 의해 다양한 문제점이 발생한다.
또한, 제련소에서 고온으로 인한 이송 라인에 문제점이 발생하여 이를 원활히 이송하기 위해 물을 분사하거나 별도의 냉각라인을 구축하기도 하지만, 별도의 냉각라인을 구축함으로써 로터리 밸브 설비의 구조가 복잡해 지고, 설비의 비용이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 로터리 밸브는 상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레이드의 적재 공간의 단면이 각을 이루면서, 적재 공간의 최하부에 수용된 분, 입체가 완전하게 배출되지 않고 반복적으로 이런 현상이 발생하여 심한 경우 상기 최하부의 분, 입체가 굳어버리는 등 원활한 배출이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고온의 분, 입체를 정량 공급하기 위한 로터리 밸브에서, 열에 의해 발생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도록 본체의 내측면 또는 외측면으로 냉각 유체가 순환될 수 있는 냉각 구조를 갖는 로터리 밸브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또한, 샤프트의 방사방향으로 배치되는 블레이드의 적재 홈 단면을 호 형상으로 형성하여 분, 입체의 원활한 정량 공급을 제공하며, 본체의 양측면을 개폐하는 개폐부를 마련하여, 로터의 교체가 가능하도록 하여 다양한 형태를 갖는 블레이드를 적용시킬 수 있는 로터리 밸브를 제공함에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수냉식 냉각 구조를 갖는 로터리 밸브는 내부에 회전실이 구비되고 상부 및 하부가 개방된 본체; 상기 회전실에 배치되며 상기 본체의 상부를 통해 유입되는 분, 입체를 회전운동을 통해 상기 하부로 정량 배출하기 위한 로터; 상기 본체의 내측면 또는 외측면을 감싸도록 구비되며, 냉각 유체가 이동하는 공간을 제공하는 냉각판; 상기 냉각판의 하부와 연통하도록 구비되는 공급관 및 상기 냉각판의 상부와 연통하도록 구비되는 배출관을 포함하는 냉각관; 및 상기 냉각관의 공급관 및 배출관과 연결되어, 상기 냉각 유체의 공급 및 순환을 제공하는 냉각순환부;를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여기에서, 상기 냉각판은 상기 본체의 외측면을 따라 상기 냉각 유체가 이동 하는 공간을 갖도록 형성된 것;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냉각판은 상기 본체의 회전실 내측면과 인접하며, 대칭형으로 일측 및 타측으로 분리되고, 그 내부에는 냉각 유체를 수용하기 위한 공간을 갖도록 형성된 것;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냉각판은 상기 회전실로 배치되는 상기 로터의 양측면과 인접하도록 각기 배치되고, 내부에는 냉각 유체를 수용하기 위한 공간을 갖도록 형성된 것;이 특징이다.
한편, 상기 본체는 양측면로 상기 회전실이 개방되도록 각기 형성되는 개구부; 및 상기 개구부를 밀폐하기 위해 상기 외측면과 힌지 방식으로 결합하는 개폐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로터는 분, 입체가 적재되는 블레이드의 적재 홈 단면이 호 형상인 것;이 특징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로터리 밸브는 본체의 내측면 또는 외측면을 감싸도록 구비되며 냉각 유체가 이동하는 공간을 제공하는 냉각판을 형성하고, 상기 냉각판을 통해 냉각 유체의 유입 및 배출의 반복적인 순환으로 고온에 노출된 로터리 밸브에서 발생하는 열을 냉각시킴으로써 로터리 밸브의 열변형 및 크랙 등을 방지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키고, 그로 인해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발생한다.
또한, 제련소 등과 같이 고온의 불순물들을 이송하기 위해 별도의 냉각라인 을 구축하지 않고도, 저렴한 비용으로 상기 고온의 불순물들을 이송할 수 있기 때문에 설비의 단가를 낮출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샤프트의 방사방향으로 배치되는 블레이드의 적재 홈 단면을 호 형상으로 형성하여 분, 입체의 원활한 정량 공급을 제공하며, 본체의 양측면를 개폐하는 개폐부를 마련하여, 로터의 교체가 가능해 다양한 형태를 갖는 블레이드를 적용시킨 로터를 용도에 맞게 교체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들에 따른 로터리 밸브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하기의 실시 예들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해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한 다른 형태로 구현할 수 있을 것이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각 구성 요소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하나의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 "상에", "상부에" 또는 "하부"에 형성되는 것으로 언급되는 경우에는 상기 하나의 구성 요소는 상기 다른 구성요소 위에 형성되거나 또는 아래에 위치하는 것을 의미하거나, 또 다른 구성 요소들이 상기 다른 구성 요소 상에 추가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각 구성 요소들이 "제1", "제2" 및/또는 "제3"으로 언급되는 것은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단지 각 구성 요소들을 구분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제1", "제2" 및/또는 "제3"은 각 구성 요소에 대하여 각기 선택적으로 또는 교환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수냉식 냉각 구조를 갖는 로터리 밸브의 개념도로, 상기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로터리 밸브를 설명하자면, 본 발명은 분, 입체의 정량공급 및 배출을 원활하게 하기 위한 로터리 밸브에 관한 것으로, 내부에 회전실이 구비되고 상부 및 하부가 개방된 본체(10)와 상기 본체(10)의 내측면 또는 외측면을 감싸도록 구비되며, 냉각 유체가 이동하는 공간을 제공하는 냉각판이 형성된다.
이때,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로터리 밸브는 상기 냉각판의 하부와 연통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냉각 유체가 공급되는 공급관(400) 및 상기 냉각판 상부와 연통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냉각 유체가 배출되는 배출관(410)을 포함하는 냉각관(40)을 포함한다.
여기에서, 상기 냉각관(40)은 상기 냉각판과 연통되는 부위가 적어도 한 곳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공급관(400) 및 배출관(410)을 포함하는 냉각관(40)은 순환펌프의 일종인 냉각순환부(50)와 연결되어 상기 냉각 유체를 상기 냉각판에 의한 공간 에서 순환시키게 된다.
즉, 상기 냉각순환부(50)는 상기 냉각 유체를 연속적으로 상기 공급관(400)을 통해 공급시키고, 상기 냉각판에 의해 형성된 공간을 거쳐 상기 배출관(410)을 통해 배출된다. 또한, 상기 배출관(410)을 통해 배출된 상기 냉각 유체는 상기 냉각순환부(50)에 의해 또다시 상기 공급관(400)을 통해 상기 공간으로 유입된다. 따 라서, 상기 냉각순환부(50)는 상기 본체(10)의 외측면 또는 내측면을 감싸도록 구비되는 상기 냉각판에 의해 마련된 공간을 통해 상기 냉각 유체가 순환되어 상기 로터리 밸브를 냉각하게 된다.
여기에서, 상기 냉각 유체는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냉각 물질을 의미하며 물을 포함한 유체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로터리 밸브는 상기 회전실 내부로 로터(20)가 배치된다. 상기 로터(20)는 상기 본체(10)의 상부를 통해 유입되는 분, 입체를 회전운동을 통해 상기 하부로 정량 배출시키기 위한 것으로,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와 연결되며 상기 구동모터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샤프트(200)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샤프트(200)의 외주면을 따라 방사형으로 분, 입체를 수용하기 위한 다수의 블레이드가 소정 간격을 두고 결합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냉각판에 의해 제공되는 공간을 통해 냉각 유체의 유입 및 배출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져, 상기 로터리 밸브에서 발생하는 열을 냉각시킴으로써, 고열에 노출된 로터리 밸브의 열변형 및 크랙 등을 방지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키고, 그로 인해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발생한다.
또한, 제련소 등과 같이 고온의 불순물들을 이송하기 위해 직접 냉각 물질을 분사하거나, 별도의 냉각라인을 구축하지 않고도 본 발명에 따른 로터리 밸브를 적용함으로써 저렴한 비용으로 상기 고온의 불순물들을 이송할 수 있기 때문에 설비의 단가를 낮출 수 있게 되었다.
제1실시예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로터리 밸브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로터리 밸브의 분해 사시도이다.
상기 도 3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로터리 밸브는 내부에 회전실(100)이 구비되고, 상부 및 하부가 개방된 본체(10)의 외측면을 따라 냉각판(30)이 배치되어 냉각 유체가 이동하는 공간(150)을 갖도록 한 것이 특징이다.
즉,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냉각판(30)은 상기 본체(10)의 외측면과 동일한 구조를 갖되, 상기 본체(10)의 외측면을 따라 소정 간격을 갖도록 이격되어 배치되며, 상, 하단부가 상기 본체(10)와 결합되어 상기 냉각 유체가 이동할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한다.
또한, 상기 냉각판(30) 표면에는 그 상부 및 하부에 소정 크기를 갖는 관통공(310)을 각기 형성하여, 상기 냉각 유체의 공급 및 배출을 위한 공급관(400) 및 배출관(410)이 상기 공간(150)과 연통할 수 있도록 하며, 도 3(b)에서와 같이 하부의 관통공(310)과 연결된 공급관(400)을 통해 상기 냉각 유체가 유입된다.
한편, 도 4에서 도시한 제1실시예에 따른 로터리 밸브의 분해 사시도를 살펴보면, 상기 본체(10)는 그 양측면으로 상기 회전실(100)이 개방되도록 각기 개구부를 형성하고, 상기 개구부를 밀폐하기 위해 상기 양측면과 결합하는 개폐부(110)를 더 포함하여, 상기 회전실(100)로 배치되는 로터(20)의 교체가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 개폐부(110)는 상기 로터(20)의 샤프트(200)가 외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상기 샤프트(200)의 외경과 대응하도록 중앙부위를 관통 형성한다.
이때, 상기 개폐부(110)는 도면에 미도시 되었지만 상기 본체(10)의 외측면과 힌지 방식으로 결합되어, 상기 회전실(100)의 개폐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개폐부(110)가 본체(10)의 외측면과 힌지 방식으로 결합하지만 본 발명이 여기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제1실시예에서와 같이 본체(10)의 외측면으로 냉각판(30)이 결합하여 상기 본체(10)와의 결합이 곤란할 경우 상기 개폐부(110)는 냉각판(30)과 힌지 방식으로 결합하는 등 다양한 위치를 선정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본체(10)의 회전실(100)로는 상기 로터(20)가 삽입되고, 상기 로터(20)의 고정을 위해 고정링(60)이 결합한다. 또한, 상기 고정링(60)은 상기 개폐부(110)의 내측으로 배치되어 상기 개폐부(110)와 함께 상기 본체(10)에 결합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는 상기 본체(10)의 외측면으로 냉각판(30)이 결합하며, 상기 냉각판(30)과 본체(10) 사이에 마련되는 공간(150)을 통해 냉각 유체가 순환하는 구조를 갖는 것이 특징이다.
제2실시예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로터리 밸브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냉각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먼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냉각판(30)은 본체(10)의 외측면으로 따라 배치되는 것이 아니라, 상기 본체(10)의 회전실(100)측으로 삽입되어 상기 본체(10)의 내측면과 밀착되도록 배치하되, 상기 본체(10)의 개방된 상부 및 하부에 해당하는 부분과 간섭이 발생하지 않도록, 대칭형으로 일측(31) 및 타측(32)으로 분리되어 상기 본체(10)의 내측면의 좌, 우측과 각기 인접한다.
또한, 상기 냉각판(30)은 그 내부에 냉각 유체를 수용하기 위한 공간(300)을 갖도록 형성하며, 냉각 유체의 공급 및 배출을 위한 냉각관(40)이 상기 본체(10)를 관통하여 연결되도록 상부 및 하부에 각기 관통공(310)을 형성한다.
따라서, 상기 제2실시예에 따른 냉각판(3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31) 및 타측(32)으로 분리되어 상기 본체(10)의 회전실(100) 내부로 삽입되어 내측면과 각기 인접하게 되며, 상기 냉각판(30)이 배치된 상태에서 로터(20), 고정링(60) 및 개폐부(110)가 각각 결합하게 된다.
한편, 상기 본체(10)의 내측면을 따라 배치되는 냉각판(30)은 하부에 형성된 관통공(310)에 상기 냉각관(40)의 공급관(400)이 연결되고, 냉각순환부에 의해 냉각 유체가 유입되면 하부로부터 상부로 점차 상기 냉각 유체가 상기 공간(300) 내에 채워지게 되고, 상기 공간(300)에 상기 냉각 유체가 모두 채워지면 상기 상부의 관통공(310)과 연결된 배출관(410)을 통해 상기 냉각순환부로 이동하게 된다.
제3실시예
도 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로터리 밸브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본체(10)의 내측면에 인접하도록 배치되는 상기 제2실시예에 따른 냉각판(30 이하 제1냉각판이라 칭함)과 함께, 상기 본체(10)의 회전실에 배치된 로터(20)의 양측면으로 또 다른 냉각판(35 이하 제2냉각판이라 칭함)이 인접하는 것이 특징이다.
즉, 상기 제2냉각판(35)은 상기 회전실측으로 상기 로터(20)가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로터(20)의 측면으로 밀착되도록 배치되며, 상기 로터(20)의 샤프트가 외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중앙부위가 관통형성된 링 형상을 갖는다.
또한, 상기 제2냉각판(35)은 상기 제1냉각판(30)과 동일한 구조로, 그 내부에 냉각 유체를 수용하기 위한 공간을 갖도록 형성하고, 냉각 유체의 공급 및 배출을 위한 냉각관이 연결되도록 상부 및 하부에 각기 제2관통공(320)을 형성한다.
이때, 공급관(400, 401) 및 배출관(410, 411)을 포함하는 냉각관은 하나 이상 구비하여, 상기 제1 (30)및 제2냉각판(35)에 대응하도록 각기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하나 이상의 냉각관은 최종적으로 상기 냉각 유체를 순환시키는 냉각순환부와 연결되고, 상기 냉각순환부의 작동에 의해 상기 냉각 유체가 제1(30) 및 제2냉각판(35)에 유입되어 하부로부터 상부로 상기 냉각 유체가 이동하면서 냉각판 전체로 상기 냉각 유체가 채워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르면, 로터리 밸브의 내측면으로 배치되는 제1냉각판(30), 상기 로터리 밸브의 양측면으로 배치되는 제2냉각판(35) 및 상기 제1(30) 및 제2냉각판(35)과 각기 연결된 다수의 냉각관을 통해 냉각 유체를 순환시켜 주는 냉각순환부에 의해 로터리 밸브의 표면을 모두 냉각시킬 수 있게 된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로터리 밸브의 로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로터(20)는 본체의 회전실로 배치되어 상기 본체의 상부를 통해 유입되는 분, 입체를 회전운동을 통해 상기 본체의 하부로 정량 배출하게 한다.
상기 로터(20)는 회전운동을 하기 위해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와 연결되는 샤프트(200)가 구비되고, 상기 샤프트(200)의 외주면을 따라 방사형으로 다수의 블레이드(210)가 결합된다.
또한, 상기 로터(20)는 회전실로 배치되되, 상기 구동모터와 연결되는 샤프트(200)의 일측은 상기 회전실의 외부측으로 노출되어 상기 구동모터와 소정의 연결수단을 통해 연결된다.
여기에서, 상기 소정의 연결수단은 체인, 밸트, 및 기어 중 어느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축과 상기 샤프트(200)는 상기 연결수단을 통해 서로 연결되기 위해 각기 그 회전축과 결합하는 스프라켓이 구비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블레이드(210)는 상기 본체의 상부로부터 투입되는 분, 입체를 정량으로 수용하기 위한 적재홈(220)을 갖고, 상기 적재홈(220)에 수용된 분, 입체를 회전운동에 의해 블레이드(210)가 상기 본체의 하부로 이동하면서, 상기 적재홈(220)에 수용된 분, 입체를 정량으로 배출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적재홈(220)은 도 8에서와 같이 상기 적재홈(220) 단면이 호 형 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종래 블레이드가 갖는 문제점을 해결하고, 상기 분, 입체의 소량 공급이 가능한 특징이 있다.
즉, 종래 블레이드는 적재 공간의 단면이 각을 이루면서 적재 공간의 최하부에 수용된 분, 입체가 완전하게 배출되지 않고, 반복적으로 이런 현상이 발생하여 심한 경우 상기 최하부의 분, 입체가 굳어버리는 등, 원활한 배출이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발생하는데 반해, 상기한 본 발명에 따른 블레이드(210)는 적재홈(220)의 단면이 호 형상을 갖게 되어 종래 블레이드의 문제점을 해결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블레이드(210)는 호 형상을 갖는 적재홈(220)의 수용공간이 작기 때문에 분, 입체의 정량으로 소량 공급이 필요한 곳에서 사용될 수 있다. 즉, 상기와 같은 적재홈(220)을 갖는 블레이드(210)에 의해 세밀한 분, 입체의 배출량을 요하는 용도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여기에서, 상기 블레이드(210)를 포함한 로터(20)는 본체의 개폐부를 통해 교체 가능하기 때문에, 구조 및 형상이 상이한 다양한 종류의 로터(20)를 사용함으로써, 다양한 용도 및 현장에서 사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적인 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의 기술사상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도 1은 종래 로터리 밸브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수냉식 냉각 구조를 갖는 로터리 밸브의 개념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로터리 밸브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로터리 밸브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로터리 밸브의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냉각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로터리 밸브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로터리 밸브의 로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도면부호의 간단한 설명 ***
10 : 본체 20 : 로터
30 : 냉각판 40 : 냉각관
50 : 냉각순환부 60 : 고정링
100 : 회전실 110 : 개폐부
200 : 샤프트 210 : 블레이드
400 : 공급관 410 : 배출관

Claims (6)

  1. 내부에 회전실이 구비되고 상부 및 하부가 개방된 본체;
    상기 회전실에 배치되며 상기 본체의 상부를 통해 유입되는 분, 입체를 회전운동을 통해 상기 하부로 정량 배출하기 위한 로터;
    상기 본체의 내측면 또는 외측면을 감싸도록 구비되며, 냉각 유체가 이동하는 공간을 제공하는 냉각판;
    상기 냉각판의 하부와 연통하도록 구비되는 공급관 및 상기 냉각판의 상부와 연통하도록 구비되는 배출관을 포함하는 냉각관; 및
    상기 냉각관의 공급관 및 배출관과 연결되어, 상기 냉각 유체의 공급 및 순환을 제공하는 냉각순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냉식 냉각구조를 갖는 로터리 밸브.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판은
    상기 본체의 외측면을 따라 상기 냉각 유체가 이동하는 공간을 갖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냉식 냉각구조를 갖는 로터리 밸브.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판은
    상기 본체의 회전실 내측면과 인접하며, 대칭형으로 일측 및 타측으로 분리되고, 그 내부에는 냉각 유체를 수용하기 위한 공간을 갖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 로 하는 수냉식 냉각구조를 갖는 로터리 밸브.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판은
    상기 회전실로 배치되는 상기 로터의 양측면과 인접하도록 각기 배치되고, 내부에는 냉각 유체를 수용하기 위한 공간을 갖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냉식 냉각구조를 갖는 로터리 밸브.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양측면으로 상기 회전실이 개방되도록 각기 형성되는 개구부; 및 상기 개구부를 밀폐하기 위해 상기 외측면과 힌지 방식으로 결합하는 개폐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냉식 냉각 구조를 갖는 로터리 밸브.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로터는
    분, 입체가 적재되는 블레이드의 적재 홈 단면이 호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냉식 냉각 구조를 갖는 로터리 밸브.
KR1020070117850A 2007-11-19 2007-11-19 수냉식 냉각 구조를 갖는 로터리 밸브 KR1009384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7850A KR100938419B1 (ko) 2007-11-19 2007-11-19 수냉식 냉각 구조를 갖는 로터리 밸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7850A KR100938419B1 (ko) 2007-11-19 2007-11-19 수냉식 냉각 구조를 갖는 로터리 밸브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51451A true KR20090051451A (ko) 2009-05-22
KR100938419B1 KR100938419B1 (ko) 2010-01-22

Family

ID=408595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17850A KR100938419B1 (ko) 2007-11-19 2007-11-19 수냉식 냉각 구조를 갖는 로터리 밸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3841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9618B1 (ko) * 2012-07-03 2014-05-27 장활석 증자라인용 로터리 밸브
KR102085139B1 (ko) * 2019-11-12 2020-03-05 지원호 밀폐기능이 향상된 로터리 피더장치
KR20220032211A (ko) * 2020-09-07 2022-03-15 신우산기(주) 대두 연속식 증자기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88673B2 (ja) * 2000-05-17 2004-01-19 広洋工業株式会社 人工雪定量搬送ロータリーバルブ
KR200390458Y1 (ko) * 2005-04-21 2005-07-21 (주)아템 고압력 로터리밸브
KR100726209B1 (ko) * 2005-12-30 2007-06-11 신경식 열분해된 폐타이어의 분리 냉각장치
JP4948889B2 (ja) * 2006-05-08 2012-06-06 住友化学株式会社 ロータリーバルブ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9618B1 (ko) * 2012-07-03 2014-05-27 장활석 증자라인용 로터리 밸브
KR102085139B1 (ko) * 2019-11-12 2020-03-05 지원호 밀폐기능이 향상된 로터리 피더장치
KR20220032211A (ko) * 2020-09-07 2022-03-15 신우산기(주) 대두 연속식 증자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38419B1 (ko) 2010-0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09317B2 (en) Cooling system for an electric motor
US8336416B2 (en) Ball screw device having cooling structure
KR100688960B1 (ko) 볼 스크류 조립체의 냉각장치
KR100938419B1 (ko) 수냉식 냉각 구조를 갖는 로터리 밸브
US4271682A (en) Cooling apparatus for viscous liquids
CN103299095A (zh) 带有用于一体化地冷却和/或加热的设备的装置以及用于一体化地加热或冷却的方法
KR101531859B1 (ko) 액상 피교반물을 가온 또는 감온할 수 있는 교반기
EP1647740B1 (en) Cooling device for ball screw assembly
CN105422646B (zh) 一种轴承冷却装置
CN104797794B (zh) 机械式冷却剂泵
US6942219B2 (en) Mechanical seal having a double-tier mating ring
US4557462A (en) Rotary valve assembly for use in regulating the flow of molten material
CN1091230C (zh) 带斜导向平面圆盘的混合阀套筒
KR20220027890A (ko) 온도 제어 가능한 케이싱 부분을 가진 펌프 장치
US6575720B2 (en) Bearing and shaft cooling device
CN104395579A (zh) 流体循环阀,特别是用于机动车辆的流体循环阀,以及包括这种阀的热调节装置
KR101730080B1 (ko) 파우더 고착방지 밸브
CN109764707A (zh) 一种旋转伸缩可拆卸型翅片热管
US7547207B2 (en) Cooling arrangement for centering device and spline shaft
SE1451352A1 (sv) Ball member for a valve assembly, ball valve assembly havinga ball memb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a ball member
TWI635895B (zh) 密閉型攪拌機的止漏裝置
JP3696449B2 (ja) 内燃機関用の弁及びその冷却方法
JP5901981B2 (ja) ゴム攪拌装置のシール機構
CN220543877U (zh) 承载装置及半导体工艺设备
CN114576208B (zh) 一种高温泵冷却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