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51051A - 경화 수납 투출장치 - Google Patents

경화 수납 투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51051A
KR20090051051A KR1020097003330A KR20097003330A KR20090051051A KR 20090051051 A KR20090051051 A KR 20090051051A KR 1020097003330 A KR1020097003330 A KR 1020097003330A KR 20097003330 A KR20097003330 A KR 20097003330A KR 20090051051 A KR20090051051 A KR 200900510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rdening
coin
storage
curing
conveying mea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033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에이세이 니시다
Original Assignee
글로리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글로리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글로리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to KR10200970033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51051A/ko
Publication of KR200900510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5105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1/00Coin dispenser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3/00Sorting a mixed bulk of coins into denominations
    • G07D3/14Apparatus driven under control of coin-sensing elem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inball Game Machines (AREA)

Abstract

경화의 수납 및 투출을 확실히 할 수 있고, 경화 입출금기에 이용한 경우에 입금 반송 경로와 출금철송경로를 공통화 할 수 있는 경화 수납 투출장치를 제공한다. 환상의 반송수단(22)을 설치한다. 반송수단(22)은, 경화의 입금과 출금으로 역방향으로 경화를 1매씩 반송한다. 반송수단(22)을 따라서 복수의 수납 투출부(25)를 배치한다. 수납 투출부(25)는, 같은 경화 출입구(25a)로부터 반송수단(22)에 대해서 경화를 출입하기 때문에, 반송수단(22)의 입금반송경로와 출금 반송경로를 공통화할 수 있다. 수납 투출부(25)는, 경화를 비정렬상태로 수납하여, 수납한 경화를 회전원반(46) 및 주고받음 원반(48)으로 1매씩 반송수단(22)에 투출한다.

Description

경화 수납 투출장치{COIN RECEIVING AND EJECTING DEVICE}
본 발명은, 경화(硬貨)의 수납 및 차례차례 내보냄이 가능한 경화 수납 투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점포에 있어서는 금전등록기, 금융기관에 있어서는 창구나 금융점포 내외에 설치되는 ATM(Automatic Tellers Machine; 현금 자동 입출금기) 등에서, 고객과의 현금 주고받음을 정확하고 신속하게 행할 수 있도록, POS 레지스터나 전자식 금전 등록기, 및 입출금 관리기 등의 출납기기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이들 출납 기기로부터 출력되는 전기적 신호에 의해, 자동적으로 현금의 입금이나 출금이 가능한 경화 입출금기가 개발되어 있다.
이러한 경화 입출금기에는, 입금 경화를 수납하거나 출금 경화를 투출하기 위한 경화 수납 투출장치가 이용되고 있다. 이 경화 수납 투출장치는, 경화를 겹겹이 쌓아 수납하는 돈의 종류별의 수납통부를 갖고, 이 수납통부의 위쪽으로부터 경화의 수납, 투출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그리고, 경화 수납시에는, 경화 수납 투출장치의 위쪽에 배치되어 있는 경화통로의 분기 통로영역으로부터 낙하하는 경화를 받아들이고, 또한, 경화투출시에는, 출금 경화를 주고받음하는 출금용 반송 컨베이어에 수납통부의 위쪽으로부터 경화를 투출하고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
또한, 경화 입출금기에는, 경화를 받아들여 경화통로에 1매씩 차례차례 내보내는 경화 저장 조출장치가 이용되고 있다. 이 경화 저장 조출장치에는, 경화를 차례차례 내보내는 회전원반을 갖고, 경화 입금부로부터 방출되는 입금 경화나 출금용 반송 컨베이어로부터 방출되는 출금 경화 등을 받아들여 수납하여, 회전원반의 회전에 의해서 경화를 1매씩 차례차례 내보내고 있다.
특허문헌 1 : 일본특허공개공보 2004-334597호(제7-9페이지, 도 1)
최근, 점포용 경화 금전등록기나 금융기관에서 사용되는 경화 입출금기를 둘러싼 환경에서, 종래의 장치보다 더 소형이고 가격이 싼 경화 입출금기를 요구하는 요망이 높아지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경화 입출금기에서는, 수납통 내에 경화를 겹겹이 쌓아 수납시키는 것이기 때문에, 입금 반송경로와 출금 반송경로가 완전하게 동일하게 되지 않아, 소형화, 비용 저감화를 막는 한 요인이 되고 있다. 또한, 경화 입출금기에서는, 경화 저장 조출장치와 중적(重積)타입의 경화 수납 투출장치를 이용하고 있지만, 이들 경화 저장 조출장치와 경화 수납 투출장치는, 경화를 수납하는 것과 함께 이송한다고 하는 기본적 기능은 공통이지만, 그것을 구현화하는 부품 구성이 완전히 달라, 부품수의 증가에 수반하여 비용이 상승하는 경향에 있다. 또한, 중적타입의 경화 수납 투출장치에서는, 경화의 직경에 대응한 수납통을 이용하지 않으면 안 되기 때문에, 돈의 종류에 의해서 경화의 직경이 크게 다른, 예를 들면 외국 경화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큰 개조도 필요하다.
또한, 수납통 내에 경화를 중적시켜 수납시키기 때문에, 경화 수납시에 올바르게 중적하지 않고 경화가 일어섬 등이 발생할 가능성도 있어, 만일 경화가 일어선 상태인 채 수납되어 버리면, 출금시에 투출불량이 되어, 장치 다운이 되어 버린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점에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경화의 수납 및 투출을 확실히 할 수 있고, 또한, 예를 들면 경화 입출금기에 이용한 경우에, 입금 반송경로와 출금 반송경로와의 공통화를 가능하게 하거나, 경화 저장 조출장치와의 구성의 공통화를 가능하게 하며, 소형이고 염가로 할 수 있는 경화 수납 투출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청구항 1 기재의 경화 수납 투출장치는, 경화를 1매씩 반송하는 반송수단과, 이 반송수단에 대해서 경화를 출입하는 경화 출입구를 갖고, 상기 반송수단에 의해서 1매씩 반송하는 경화를 상기 경화 출입구로부터 받아들여 비정렬상태로 수납 하는 것과 함께, 수납하고 있는 경화를 상기 경화 출입구로부터 상기 반송수단에 1매씩 투출하는 수납 투출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이다.
그리고, 경화를 1매씩 반송하는 반송수단에 대해서, 수납 투출부의 같은 경화 출입구로부터 경화를 1매씩 출입한다. 그 때문에, 이 경화 수납 투출장치를 예를 들면 경화 입출금기에 이용한 경우, 입금 반송경로와 출금 반송경로와의 공통화가 가능해지거나, 경화 저장 조출장치와의 구성의 공통화가 가능해진다. 또한, 수납 투출부는, 경화를 비정렬상태로 수납하기 때문에, 통내에 중적 수납하는 경우와 같이 경화를 올바르게 수납하지 못하여 경화가 일어섬 등이 발생하는 것이 없고, 경화의 수납, 투출이 확실하게 된다.
청구항 2 기재의 경화 수납 투출장치는, 청구항 1 기재의 경화 수납 투출장치에 있어서, 반송수단을 따라서 복수의 수납 투출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이다.
그리고, 복수의 수납 투출부에서, 경화를 종류별로 나누어 수납 가능해진다.
청구항 3 기재의 경화 수납 투출장치는, 청구항 1 또는 2 기재의 경화 수납 투출장치에 있어서, 반송수단은, 정역방향(正逆方向)으로의 경화의 반송을 가능하게 하고 있는 것이다.
그래서, 수납 투출부에 대해서 출입하는 경화의 반송이 가능해진다.
청구항 4 기재의 경화 수납 투출장치는, 청구항 1 내지 3 중의 어느 한 항 기재의 경화 수납 투출장치에 있어서, 반송수단으로 반송하는 경화의 종류를 판별하는 판별부와, 상기 반송수단으로 반송하는 경화를 상기 판별부에서의 판별결과에 따라서 수납 투출부에 배분하게 하는 제어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이다.
그리고, 반송수단으로 반송하는 경화를, 판별부에서의 판별결과에 따라서 수납 투출부에 배분하게 하여 수납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청구항 5 기재의 경화 수납 투출장치는, 청구항 1 내지 3 중의 어느 한 항 기재의 경화 수납 투출장치에 있어서, 반송수단으로 반송하는 경화의 종류를 판별하는 판별부와, 상기 반송수단으로 반송하는 경화를 상기 판별부에서의 판별결과에 따라서 수납 투출부에 배분하는 배분부재를 구비하고 있는 것이다.
그리고, 반송수단으로 반송하는 경화를, 판별부에서의 판별결과에 따라서 배분부재에 의해 수납 투출부에 배분하여 수납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청구항 6 기재의 경화 수납 투출장치는, 청구항 1 내지 5 중의 어느 한 항 기재의 경화 수납 투출장치에 있어서, 수납 투출부는, 회전축에 부착되어 수평방향에 대해서 소정각도로 경사지는 위치에서 회전하는 회전원반과, 이 회전원반의 표면측에 경화를 수납하는 호퍼와, 상기 회전원반의 표면으로부터 돌출하고, 회전원반의 회전에 의해 수납하고 있는 경화를 1매씩 주워 올리는 주워올림부재와, 경화 입출구 근방에 배치되어, 상기 주워올림부재에 의해서 소정간격마다 1매씩 주워 올려지는 경화를 받는 것과 함께 반송수단에 주고받음하는 주고받음 원반을 구비하고 있는 것이다.
그리고, 회전원반과 호퍼와의 사이에 경화를 비정렬상태로 수납하고, 또한, 회전원반의 회전에 의해 호퍼 내의 경화를 주워올림부재로 1매씩 주워 올리는 것과 함께 주고받음 원반으로 반송수단에 주고받아, 경화를 1매씩 투출한다.
청구항 7 기재의 경화 수납 투출장치는, 청구항 1 내지 6 중의 어느 한 항 기재의 경화 수납 투출장치에 있어서, 반송수단은, 무단 형상의 반송체와, 이 반송체로부터 돌출하여 경화를 1매씩 밀어 이동 반송하는 복수의 돌기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이다.
그리고, 반송체의 복수의 돌기부 사이에 경화를 1매씩 받아들이고, 그 경화를 돌기부로 1매씩 밀어 이동 반송한다.
청구항 8 기재의 경화 수납 투출장치는, 청구항 7 기재의 경화 수납 투출장치에 있어서, 경화를 수납 투출부에 수납할 때에는 반송수단을 제 1 방향으로 구동시키고, 수납 투출부로부터 경화를 투출할 때에는 상기 반송수단을 상기 제 1 방향과는 다른 제 2 방향으로 구동시키는 제어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이다.
그리고, 반송수단을 구동하는 방향에 의해서, 경화를 수납 투출부에 수납하거나, 수납 투출부로부터 경화를 투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청구항 9 기재의 경화 수납 투출장치는, 청구항 5 기재의 경화 수납 투출장치에 있어서, 경화를 수납 투출부에 수납할 때에는 반송수단을 제 1 방향으로 구동시키고, 수납 투출부로부터 경화를 투출할 때에는 반송수단을 상기 제 1 방향과는 다른 제 2 방향으로 구동시키는 제어부를 구비하고, 반송수단은, 경화를 반송하는 것과 함께 폭방향의 일측에 상기 수납 투출부의 경화 출입구가 설치된 경화통로를 구비하고, 배분부재는, 상기 경화통로의 경화 출입구측에 위치하는 일측부가 경화 출입구에 대해서 반대측에 위치하는 타측부로부터, 상기 반송수단이 제 1 방향으로 구동될 때의 반송방향 하류측에 향하여 소정 각도로 경사지도록 설치되는 것과 함께, 상기 반송수단이 제 1 방향으로 구동될 때의 반송방향 상류측에 임하여 요곡면 형상으로 설치된 경화 안내부와, 상기 경화 출입구에의 경화의 침입을 저지하는 폐색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이다.
그리고, 배분부재에 의해서, 수납 투출부의 경화 출입구에 대한 경화의 배분과 통과를 선택 가능해진다.
청구항 10 기재의 경화 수납 투출장치는, 청구항 9 기재의 경화 수납 투출장치에 있어서, 배분부재는, 전기적으로 구동되고, 경화를 수납 투출부에 배분할 때에는 경화 안내부가 경화통로로부터 돌출하는 것과 함께 폐색부가 경화 출입구를 개방상태로 하고, 경화를 수납 투출부에 배분하지 않을 때는 상기 경화 안내부가 경화통로에 매몰하는 것과 함께 상기 폐색부가 상기 경화 출입구를 폐색상태로 하는 것이다.
그리고, 배분부재를 전기적으로 구동하고, 수납 투출부의 경화 출입구에 대한 경화의 배분과 통과를 전환한다.
청구항 11 기재의 경화 수납 투출장치는, 청구항 7 기재의 경화 수납 투출장치에 있어서, 반송수단은, 경화를 수납 투출부에 수납할 때에 돌기부의 한쪽측의 측면이 경화에 접촉하여 그 경화를 반송하고, 수납 투출부로부터 경화를 투출할 때에는 돌기부의 다른쪽측의 측면이 경화에 접촉하여 그 경화를 반송하는 것이다.
그리고, 경화를 수납 투출부에 수납할 때, 및 수납 투출부로부터 경화를 투출 할 때도, 돌기부에 의해 경화를 반송 가능해진다.
청구항 12 기재의 경화 수납 투출장치는, 청구항 6 기재의 경화 수납 투출장치에 있어서, 주고받음 원반은, 바깥둘레 가장자리에 경화에 접촉하는 적어도 1개의 돌기체를 구비하고 있는 것이다.
그리고, 주고받음 원반의 돌기체에 의해, 회전원반의 주워올림부재로 1매씩 주워 올려지는 경화를 받는 것과 함께 반송수단에 주고받음한다.
[발명의 효과]
청구항 1 기재의 경화 수납 투출장치에 의하면, 경화를 1매씩 반송하는 반송수단에 대해서, 수납 투출부의 같은 경화 출입구로부터 경화를 1매씩 출입할 수 있기 때문에, 예를 들면 경화 입출금기에 이용한 경우에, 입금 반송경로와 출금 반송경로와의 공통화를 가능하게 하거나, 경화 저장 조출장치와의 구성의 공통화를 가능하게 하고, 소형으로 염가로 할 수 있다. 또한, 수납 투출부는, 경화를 비정렬상태로 수납하기 때문에, 통 내에 중적 수납하는 경우와 같이 경화를 올바르게 수납하지 못하고 경화가 일어섬 등이 발생하는 일이 없어, 경화의 수납, 투출을 확실히 할 수 있다.
청구항 2 기재의 경화 수납 투출장치에 의하면, 청구항 1 기재의 경화 수납 투출장치의 효과에 더하여, 반송수단을 따라서 복수의 수납 투출부를 설치했기 때문에, 경화를 종류별로 나누어 수납할 수 있다.
청구항 3 기재의 경화 수납 투출장치에 의하면, 청구항 1 또는 2 기재의 경화 수납 투출장치의 효과에 더하여, 반송수단이 정역방향(正逆方向)으로의 경화의 반송을 가능하게 하기 때문에, 수납 투출부에 대해서 출입하는 경화를 반송수단으로 반송할 수 있다.
청구항 4 기재의 경화 수납 투출장치에 의하면, 청구항 1 내지 3 중의 어느 한 항 기재의 경화 수납 투출장치의 효과에 더하여, 반송수단으로 반송하는 경화를, 판별부에서의 판별결과에 따라서 수납 투출부에 배분하여 수납시킬 수 있다.
청구항 5 기재의 경화 수납 투출장치에 의하면, 청구항 1 내지 3 중의 어느 한 항 기재의 경화 수납 투출장치의 효과에 더하여, 반송수단으로 반송하는 경화를, 판별부에서의 판별결과에 따라서 배분부재에 의해 수납 투출부에 배분하여 수납시킬 수 있다.
청구항 6 기재의 경화 수납 투출장치에 의하면, 청구항 1 내지 5 중의 어느 한 항 기재의 경화 수납 투출장치의 효과에 더하여, 회전원반과 호퍼와의 사이에 경화를 비정렬상태로 수납할 수 있고, 또한, 회전원반의 회전에 의해 호퍼내의 경화를 주워올림부재로 1매씩 주워 올리는 것과 함께 주고받음 원반으로 반송수단에 주고받음하여, 경화를 1매씩 투출할 수 있다.
청구항 7 기재의 경화 수납 투출장치에 의하면, 청구항 1 내지 6 중의 어느 한 항 기재의 경화 수납 투출장치의 효과에 더하여, 반송수단으로서 복수의 돌기부가 돌출하는 무단 형상의 반송체를 이용하여, 이 반송체의 복수의 돌기부 사이에 경화를 1매씩 받아들여 그 경화를 돌기부로 1매씩 밀어 이동 반송할 수 있다.
청구항 8 기재의 경화 수납 투출장치에 의하면, 청구항 7 기재의 경화 수납 투출장치의 효과에 더하여, 경화를 수납 투출부에 수납할 때에는 반송수단을 제 1 방향으로 구동시키고, 수납 투출부로부터 경화를 투출할 때에는 반송수단을 제 1 방향과는 다른 제 2 방향으로 구동시키기 때문에, 반송수단을 구동하는 방향에 의해서 경화를 수납 투출부에 대해서 출입할 수 있다.
청구항 9 기재의 경화 수납 투출장치에 의하면, 청구항 5 기재의 경화 수납 투출장치의 효과에 더하여, 배분부재는, 반송수단으로 반송하는 경화통로 내의 경화를 수납 투출부의 경화 출입구에 안내하는 경화 안내부와, 경화 출입구에의 경화의 침입을 저지하는 폐색부를 구비하고, 수납 투출부의 경화 출입구에 대한 경화의 배분과 통과를 선택할 수 있다.
청구항 10 기재의 경화 수납 투출장치에 의하면, 청구항 9 기재의 경화 수납 투출장치의 효과에 더하여, 배분부재를 전기적으로 구동하여, 경화 안내부를 경화통로로부터 돌출시키는 것과 함께 폐색부에서 경화 출입구의 개방상태로 하여, 경화를 수납 투출부에 배분할 수 있고, 또한, 경화 안내부를 경화통로에 매몰시키는 것과 함께 폐색부에서 경화 출입구의 폐색상태로 하여, 경화를 수납 투출부에 배분하지 않고 통과시킬 수 있다.
청구항 11 기재의 경화 수납 투출장치에 의하면, 청구항 7 기재의 경화 수납 투출장치의 효과에 더하여, 경화를 수납 투출부에 수납할 때에, 돌기부의 한쪽측의 측면이 경화에 접촉하여 그 경화를 반송하고, 또한, 수납 투출부로부터 경화를 투출할 때에, 돌기부의 다른쪽측의 측면이 경화에 접촉하여 그 경화를 반송할 수 있다.
청구항 12 기재의 경화 수납 투출장치에 의하면, 청구항 6 기재의 경화 수납 투출장치의 효과에 더하여, 주고받음 원반의 바깥둘레 가장자리에 설치된 적어도 1개의 돌기체에 의해, 회전원반의 주워올림부재로 1매씩 주워 올려지는 경화를 받는 것과 함께 반송수단에 주고받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를 도시하는 경화 수납 투출장치를 적용한 경화 입출금기의 내부 구조를 도시하는 측면도,
도 2는 상기 경화 입출금기의 내부 구조를 도시하는 정면도,
도 3은 상기 경화 입출금기의 수납 투출부의 정면도,
도 4는 상기 수납 투출부의 주고받음 원반의 돌기체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5는 상기 경화 입출금기의 블록도,
도 6은 상기 경화 입출금기의 입금처리를 도시하는 설명도,
도 7은 상기 경화 입출금기의 출금처리를 도시하는 설명도,
도 8은 상기 수납 투출부의 입금 동작을 (a)∼(e)에 도시하는 설명도,
도 9는 상기 수납 투출부의 출금 동작을 (a)∼(f)에 도시하는 설명도,
도 10은 상기 수납 투출부의 출금 정지시의 동작을 (a)(b)에 도시하는 설명도,
도 11은 상기 수납 투출부의 2매 경화의 조출방지 동작을 (a)(b)에 도시하는 설명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를 도시하는 경화 수납 투출장치를 적용한 경화 입출금기의 내부구조를 도시하는 측면도, 및
도 13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를 도시하는 경화 수납 투출장치를 적용한 경화 입출금기의 내부 구조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의 부호의 설명>
22 : 반송수단 23 : 판별부
25 : 수납 투출부 25a : 경화 출입구
27 : 경화통로 28 : 반송체
36 : 돌기부 38 : 배분부재
39 : 경화 안내부 40 : 폐색부
46 : 회전원반 47 : 호퍼
48 : 주고받음 원반 62 : 돌기체
81 : 제어부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10에 제 1 실시형태를 도시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경화 입출금기(11)는, 기체(機體)(12)를 구비하고, 이 기체(12)의 앞면(도 1 좌측)에는 고객이 입금 경화의 투입 조작 및 출금 경화의 취출조작을 하는 조작면(13)이 형성되어 있다.
기체(12)의 조작면(13)에는, 입금 경화 등을 기체(12) 내에 투입하는 경화 수입구(16)와, 출금 경화 등을 기체(12) 밖으로 투출하는 경화 투출구(17)가 기체 앞면으로부터 보아 좌우 방향으로 나열하여 배치되고, 또한, 경화 투출구(17)로부터 투출된 경화를 받아들이는 받침 접시(18)가 배치되어 있다.
기체(12)내에는, 상부가 기체 앞면으로부터 보아 좌측 방향(베이스(21)의 이면방향)에 소정각도로 경사지는 베이스(21)가 배치되어 있다. 이 베이스(21)의 위쪽에 임하는 표면측에는, 경화를 반송하는 반송수단(22), 이 반송수단(22)으로 반송하는 경화의 종류를 판별하는 판별부(23), 경화 수입구(16)에 투입된 경화를 받아들여 반송수단(22)에 1매씩 차례차례 내보내기 가능하게 하는 것과 함께 반송수단(22)에 대해서 경화를 1매씩 출입 가능하게 하는 저장 조출부(24), 및 종류별로 경화를 수납하는 것으로서 반송수단(22)에 대해서 경화를 1매씩 출입 가능하게 하는 복수의 수납 투출부(25) 등이 배치되어 있다. 경화 수입구(16)와 저장 조출 부(24)와의 사이에는 경화 수입구(16)에 투입된 경화를 저장 조출부(24)로 이끄는 슈트(16a)가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반송수단(22) 및 수납 투출부(25) 등에 의해서 경화 수납 투출장치가 구성되어 있다.
반송수단(22)은, 경화를 일렬상태로서 경화의 반송을 안내하는 환상의 경화통로(27), 및 이 경화통로(27) 내의 경화를 반송하는 무단 형상의 반송체(28)를 구비하고 있다.
경화통로(27)는, 베이스(21)의 표면으로 형성되어 있고 경화의 면이 접하는 통로면(29), 및 이 통로면(29)의 양측에서 경화의 둘레가장자리를 가이드하는 양측의 가이드측판(30)을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경화통로(27)에는, 기체(12)의 앞쪽으로부터 뒤쪽을 향하여 설치되는 제 1 통로부(31), 이 제 1 통로부(31)의 말단으로부터 기체(12)의 앞쪽으로 향하여 되접어 꺾기 위한 되접어꺾음 통로부(32), 이 되접어꺾음 통로부(32)의 말단으로부터 기체(12)의 앞쪽으로 향하는 것과 함께 그 말단이 경화 투출구(17)를 향하여 설치되는 제 2 통로부(33), 및 이 제 2 통로부 (33)의 말단으로부터 제 1 통로부(31)의 시단에 접속되는 복귀 통로부(34)가 형성되어 있다.
반송체(28)는, 무단 형상의 벨트(35)로 구성되어 있다. 이 벨트(35)의 통로면(29)에 대향하는 면으로부터 복수의 돌기부(36)가 벨트 길이방향에 소정의 피치로 돌출설치되어 있다. 이 벨트(35)는, 복수의 풀리(37)에 의해, 경화통로(27)의 중앙영역을 통하여 회전운동하도록 팽팽히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벨트(35)가 서로 이웃하는 2개의 돌기부(36)의 사이에 경화를 받아들여, 벨트(35)의 회전운동에 의해 돌기부(36)로 경화를 밀어 이동하면서 반송한다.
어느 한쪽의 풀리(37)가 모터에 의해 정역회전 구동된다. 즉, 저장 조출부 (24)로부터 경화를 차례차례 내보내 수납 투출부(25)에 수납하는 입금시에는, 제 1 통로부(31)에 있어서 벨트(35)가 앞쪽으로부터 뒤쪽으로 향하여 이동하도록 정방향인 제 1 방향(이하, 입금 반송방향 F1이라고 한다)으로 구동되고, 한편, 수납 투출부(25)로부터 경화를 차례차례 내보내 경화 투출구(17)에 투출하는 출금시에는, 입금 반송방향 F1에 대해서 역방향인 제 2 방향(이하, 출금 반송방향 F2라고 한다)에 벨트(35)가 구동된다. 따라서, 벨트(35)의 정역회전 구동에 의해, 경화통로(27) 내의 경화의 정역 양 방향으로 반송 가능하게 하고 있다.
그리고, 경화통로(27)의 제 1 통로부(31)의 아래쪽에는, 앞쪽 위치에 저장 조출부(24)가 배치되고, 이 저장 조출부(24)보다 뒤쪽 위치에 복수이며 예를 들면 3개의 수납 투출부(25)가 제 1 통로부(31)를 따라서 배치되어 있다. 제 2 통로부 (33)의 아래쪽에는, 복수이며 예를 들면 3개의 수납 투출부(25)가 제 2 통로부(33)를 따라서 배치되어 있다. 제 1 통로부(31)에는, 저장 조출부(24)와 맨 앞부분의 수납 투출부(25)와의 사이에 판별부(23)가 배치되어 있다.
경화통로(27)에 대해서 경화를 출입 가능하게 하는 저장 조출부(24)의 경화 출입구(24a)가, 제 1 통로부(31)의 아래쪽의 가이드측판(30)의 일부가 개구되고 형성되어 있다. 경화통로(27)에 대해서 경화를 출입 가능하게 하는 각 수납 투출부 (25)의 경화 출입구(25a)가, 각 통로부(31,33)의 아래쪽의 가이드측판(30)의 일부가 개구되고 형성되어 있다.
경화통로(27)의 경화 출입구(24a) 및 각 경화 출입구(25a)의 위치에는, 경화 출입구(24a) 및 각 경화 출입구(25a)로부터 경화를 출입하거나 반송수단(22)으로 반송하는 경화를 반송방향 하류측에 통과시킬 것인가에 따라서 선택적으로 배분하는 배분부재(38)가 배치되어 있다. 저장 조출부(24)용 및 각 수납 투출부(25)용의 각 배분부재(38)는, 방향 등에 차이가 있는 것만으로, 경화를 배분하는 기본 구성은 동일하게 형성되어 있다.
도 3에는, 1개의 수납 투출부(25)용의 배분부재(38)를 도시한다. 이 배분부재(38)는, 경화 출입구(25a)에 경화를 안내하는 경화 안내부(39)와, 경화 출입구 (25a)에의 경화의 침입을 저지하는 폐색부(40)와, 이들 경화 안내부(39) 및 폐색부(40)를 요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부(41)를 일체로 구비하고 있다.
경화 안내부(39)는, 경화 출입구(25a)측이 위치하는 경화통로(27)의 통로 방향에 대해서 교차하는 폭방향 일측 즉 하부측이, 경화 출입구(25a)에 대해서 반대측에 위치하는 경화통로(27)의 폭방향 타측 즉 상부측보다, 반송수단(22)이 입금 반송방향 F1로 구동될 때의 반송방향 하류측으로 향하여 소정 각도로 경사지도록 설치되는 것과 함께, 반송수단(22)이 입금 반송방향 F1로 구동될 때의 반송방향 상류측에 임하여 요곡면 형상으로 설치되어 있다.
폐색부(40)에는, 이 폐색부(40)가 폐색상태일 때에, 아래쪽의 가이드측판 (30)과 동일면이 되어 경화의 둘레가장자리를 가이드하는 가이드면(42)이 설치되어 있다.
지지부(41)는, 경화 안내부(39) 및 폐색부(40)보다 입금 반송방향 F1의 하류 측에 위치하고, 경화통로(27)의 폭방향의 축을 지점으로 하여 회전운동 가능하게 하여, 솔레노이드 등의 전기적 구동 수단으로 회전운동된다. 그리고, 경화를 경화통로(27)로부터 수납 투출부(25)에 배분할 때, 및 경화를 수납 투출부(25)로부터 경화통로(27)에 차례차례 내보낼 때에는, 경화 안내부(39)가 경화통로(27)의 통로면(29)으로부터 돌출하는 것과 함께 폐색부(40)가 경화 출입구(25a)를 개방상태로 한 경화 출입위치에 배분부재(38)가 위치한다. 한편, 경화를 경화통로(27)로부터 수납 투출부(25)에 배분하지 않는, 및 경화를 수납 투출부(25)로부터 경화통로(27)에 차례차례 내보내지 않을 때에는, 경화 안내부(39)가 경화통로(27)의 통로면(29)에 매몰하는 것과 함께 폐색부(40)가 경화 출입구(25a)를 폐색상태로 한 경화 통과 위치에 배분부재(38)가 위치한다. 경화통로(27)의 통로면(29)에는, 경화 안내부 (39)가 출몰하기 위한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다. 배분부재(38)의 경화 안내부(39)에는 경화통로(27)로부터 돌출했을 때에 벨트(35)와의 간섭을 피하는 홈부(43)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저장 조출부(24)용의 배분부재(38)는, 수납 투출부(25)용의 배분부재 (38)와 같은 경화 안내부(39), 폐색부(40) 및 지지부(41)를 구비하고, 전기적 구동 수단으로 구동된다.
또한, 저장 조출부(24) 및 각 수납 투출부(25)는, 방향 등에 차이가 있을 뿐으로, 반송수단(22)에 대해서 경화를 1매씩 출입하는 기본 구성은 동일하게 형성되어 있다.
도 3에 있어서, 1개의 수납 투출부(25)에 대해 설명한다. 수납 투출부(25) 는, 상부가 이면 방향을 향하도록 수평방향에 대해서 소정각도로 경사지는 위치(도 2 참조)에서 회전축(45)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회전원반(46), 이 회전원반(46)의 표면측과의 사이에 경화를 저장하는 호퍼(47), 및 경화 출입구(25a) 근방에 배치되는 주고받음 원반(48) 등을 구비하고 있다.
회전원반(46)은, 이 회전원반(46)의 표면이 베이스(21)의 표면과 면일(面一)하게 되도록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회전원반(46)은, 벨트(35)나 주고받음 원반(48)과 연동하여, 경화를 경화통로(27)에 차례차례 내보내는 조출 회전방향(도 3의 시계회전방향)으로 모터로 회전 구동한다. 회전원반(46)은, 경화 막힘의 발생시에 그 경화 막힘의 해소를 위해서 조출 회전방향과 반대의 조출회전 반대방향으로 회전 구동 가능하게 해도 좋다.
회전원반(46)의 표면에는, 중앙영역에 원형의 높은 위치부(50)가 형성되어 이 높은 위치부(50)의 바깥둘레 영역에 환상의 낮은 위치부(51)가 형성되어 있다. 회전원반(46)의 높은 위치부(50)와 낮은 위치부(51)와의 사이에는, 처리하는 경화중의 최소 경화 두께보다 조금 작은 치수로, 경화의 둘레가장자리가 두께 방향으로 1매 실리는 단차 형상의 경화 둘레가장자리 유지부(52)가 형성되어 있다.
낮은 위치부(51)에는, 회전원반(46)의 표면으로부터 돌출하는 복수의 주워올림부재(53)가, 안둘레측의 원둘레방향과 바깥둘레측의 원둘레방향과의 2열의 원둘레방향을 따라서 소정 피치로 배치되어 있다. 바깥둘레측의 각 주워올림부재(53)는, 안둘레측의 각 주워올림부재(53)보다 회전원반(46)의 조출 회전방향 상류측에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회전원반(46)의 조출 회전방향으로의 회전시에, 안둘레측 의 각 주워올림부재(53)가 경화 둘레가장자리 유지부(52)와의 사이에서 경화를 1매씩 유지하여 회전원반(46)의 상부영역에 주워 올려, 바깥둘레측의 각 주워올림부재 (53)가 안둘레측의 각 주워올림부재(53)로 회전원반(46)의 상부영역에 주워 올린 경화를 경화 출입구(25a)로 향하여 밀어내는 것과 함께 주고받음 원반(48)에 주고받음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경화 둘레가장자리 유지부(52)는, 각 주워올림부재(53)와의 사이에서 경화를 1매씩 유지 가능하게 하는 각 위치마다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원둘레방향으로 복수의 경화 둘레가장자리 유지부(52)가 설치되어 있다. 이들 경화 둘레가장자리 유지부(52)의 사이에는, 높은 위치부(50)와 낮은 위치부(51)와의 단차를 경사면으로 하고, 주워올림부재(53)와 경화 둘레가장자리 유지부(52)에서 유지되지 않는 경화를 아래쪽으로 미끄러져 떨어뜨리는 미끄러져 떨어뜨림부(54)가 형성되어 있다.
회전원반(46)의 상부영역에는, 주워올림부재(53)로 회전원반(46)의 상부영역에 주워 올린 경화를 경화 출입구(25a)로 향하여 차례차례 내보내는 안내통로(56)가 형성되어 있다. 이 안내통로(56)는, 회전원반(46)의 표면 및 베이스(21)의 표면으로서 경화통로(27)와 공통의 통로면(29)과, 상하 양측의 가이드부재(57,58)와의 사이에 형성되어 있다.
위쪽의 가이드부재(57)는, 회전원반(46)의 상부영역으로부터 경화 출입구 (25a)의 한쪽의 가장자리측에 걸쳐서, 회전원반(46) 및 통로면(29)의 표면으로부터 돌출하여 설치되어 있다.
아래쪽의 가이드부재(58)는, 낮은 위치부(51)의 표면에 경화가 비집고 들어 가지 않는 빈틈을 두고 대향한 상태에서, 경화 둘레가장자리 유지부(52)측으로부터 경화 출입구(25a)의 다른쪽의 가장자리측에 걸쳐서 설치되어 있다. 가이드부재(58)의 안내통로(56) 내에 임하는 안쪽 가장자리는, 배분부재(38)의 경화 안내부(39)에 연속하는 곡면으로 형성되어 있다. 가이드부재(58)의 낮은 위치부(51)에 대향하는 면에는, 회전이동하는 각 주워올림부재(53)가 통과하는 홈부(59)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가이드부재(58)에 의해, 주워올림부재(53)로 주워 올려진 경화를 경화 둘레가장자리 유지부(52)로부터 받아 경화 출입구(25a)에 안내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안내통로(56)에는, 아래쪽의 가이드부재(58)의 근방에, 통로면(29)으로부터 돌출부(60)가 출몰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이 돌출부(60)는, 예를 들면 솔레노이드 등에 의해 전기적으로 구동되고, 배분부재(38)의 폐색부(40)가 개방상태일 때에는 통로면(29)에 매몰하여 경화의 통과를 허용하고, 폐색부(40)가 폐색 위치로 이동했을 때에는 통로면(29)으로부터 돌출하여 안내통로(56) 내에 있는 경화를 호퍼 (47) 내에 낙하시킨다.
또한, 호퍼(47)는, 베이스(21)의 표면측에 부착되어, 위쪽에 개구된 형상(도 2 참조)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주고받음 원반(48)은, 안내통로(56)와 경화통로(27)에 걸친 위치에, 주고받음 원반(48)의 표면이 회전원반(46) 및 베이스(21)의 표면의 통로면(29)과 면일하게 되도록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주고받음 원반(48)의 바깥둘레 가장자리에는, 경화에 접촉하여 회전원반(46)측으로부터 경화통로(27)에 차례차례 내보내는 돌기체(62)가 돌출설치되어 있다. 주고받음 원반(48)은, 벨트(35)와 연동하 여 회전되고, 벨트(35)가 출금 반송방향 F2로 이동할 때에는, 돌기체(62)가 경화 출입구(25a)로부터 경화통로(27) 내로 이동하는 조출 회전방향으로서, 돌기체(62)로 경화를 회전원반(46)측으로부터 경화통로(27)에 차례차례 내보내는 조출 회전방향(도 3의 시계회전반대방향)으로 회전하고, 또한, 벨트(35)가 입금 반송방향 F1로 이동할 때에는, 돌기체(62)가 경화통로(27)측으로부터 경화 출입구(25a)내에 이동하는 조출회전 반대방향(도 3의 시계회전방향)으로 회전한다.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돌기체(62)는, 회전원반(46)의 조출 회전방향에 대향하는 면에는 주고받음 원반(48)의 표면에 대략 수직으로 경화의 둘레가장자리에 걸어맞춤하는 걸어멈춤면(63)이 형성되고, 반대측의 면은 경화가 올라타도록 경사면(64)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제 2 통로부(33)에 설치되는 수납 투출부(25)는, 제 1 통로부(31)와 제 2 통로부(33)에서 경화의 반송방향의 방향이 거꾸로 되는데 대응하여, 제 1 통로부(31)에 설치되는 수납 투출부(25)에 대해서 방향으로 차이가 있을 뿐이고, 기본 구성은 동일하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저장 조출부(24)는, 제 1 통로부(31)에 설치되는 수납 투출부(25)에 대해서 방향이 반대로 될 뿐이고 기본 구성은 동일하게 형성되어 있고, 벨트(35)가 입금 반송방향 F1로 이동할 때에 주고받음 원반(48)이 조출 회전방향으로 회전하고, 벨트(35)가 출금 반송방향 F2로 이동할 때에 주고받음 원반(48)이 조출회전 반대방향으로 회전한다.
또한,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2 통로부(33)의 말단에는, 반송수단 (22)으로 반송하는 경화를 경화 투출구(17)에 투출시키는 투출기구(66)가 배치되어 있다. 이 투출기구(66)는, 배분부재(38)와 같은 기능을 갖는 배분부재를 이용하여 경화를 배분할 수 있다. 한편, 이 투출기구(66)는, 입금시에, 판별부(23)에서 정상 경화로 판별되지 않았던 경화를 반환하기 위해서 경화 투출구(17)에 배분하는 리젝트 배분 기구로서도 기능하고 있다.
또한,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복귀 통로부(34)에는, 수납 투출부(25)가 경화로 가득차서 수납할 수 없는 오버플로우 경화를 경화통로(27)로부터 분기시키는 분기기구(68)가 배치되어 있다. 기체(12) 내에는, 분기기구(68)에서 분기된 경화를 수납하는 수납상자(69)가 착탈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또한, 도 5에는, 경화 입출금기(11)을 제어하는 제어부(81)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제어부(81)는, 경화의 종류를 판별하는 판별부(23)나 경화 입출금기(11)에 배치되는 각종의 센서군(82) 등으로부터 신호를 입력하고, 벨트(35)나 주고받음 원반(48)을 구동하는 모터 등을 이용한 반송 구동부(83), 저장 조출부(24) 및 각 수납 투출부(25)의 배분부재(38)를 구동하는 솔레노이드나 모터 등을 이용한 배분부재 구동부(84), 각 회전원반(46)을 구동하는 모터 등을 이용한 회전원반 구동부 (85), 투출기구(66)의 배분부재를 구동하는 솔레노이드나 모터 등을 이용한 투출기구 구동부(86), 및 분기기구(68)를 구동하는 솔레노이드나 모터 등을 이용한 분기기구 구동부(87) 등을 제어한다.
센서로서는, 경화통로(27)에 설치되어 있고 이 경화통로(27) 내를 반송하는 경화의 위치를 검지하는 복수의 센서, 저장 조출부(24) 및 각 수납 투출부(25)의 안내통로(56)에 설치되어 있고 저장 조출부(24) 및 각 수납 투출부(25)에 대한 경화의 출입을 검지하는 센서 등이 있다.
제어부(81)는, 기억부(88)를 구비하고, 이 기억부(88)에, 각 수납 투출부 (25)에 수납된 경화의 매수를 기억한다.
그리고, 제어부(81)는, 반송수단(22)에서 반송하는 경화를 판별부(23)에서의 판별결과에 따라서 미리 설정된 종류별의 각 수납 투출부(25)에 배분하게 하는 기능, 저장 조출부(24)로부터 경화를 차례차례 내보내 수납 투출부(25)에 수납할 때에는 반송수단(22)을 입금 반송방향 F1로 구동시키고, 수납 투출부(25)로부터 경화를 차례차례 내보내 경화 투출구(17)에 투출할 때에는 반송수단(22)을 출금 반송방향 F2로 구동시키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또한, 제어부(81)는, 판별부(23)를 통해서 반송수단(22)에서 서로 경화를 이동 가능하게 하는 저장 조출부(24)와 수납 투출부(25)에 있어서, 1개의 수납 투출부(25)로부터 경화를 1매씩 차례차례 내보내, 차례차례 내보내진 경화를 판별부 (23)에서 판별하여 기억부(88)에 기억시키고, 판별한 경화를 저장 조출부(24)에 수납하여, 수납 투출부(25) 내의 모든 경화가 저장 조출부(24)로 이동한 후, 저장 조출부(24) 내의 모든 경화를 1매씩 순서에 차례차례 내보내 원래의 수납 투출부(25)에 수납시키는 것에 의해, 수납 투출부(25) 내에 수납되어 있던 경화 매수를 정밀 조사하는 기능도 갖고 있다.
다음에, 제 1 실시형태의 작용을 설명한다.
우선, 경화 입출금기(11)의 입출금처리의 개요에 대해 설명한다.
도 6에 입금처리를 도시한다.
고객 등에 의해 경화 수입구(16)에 투입된 입금 경화는, 저장 조출부(24)에 일괄하여 받아들여 저장한다.
벨트(35)를 입금 반송방향 F1로 구동하고, 이 벨트(35)에 연동하여 저장 조출부(24)의 주고받음 원반(48)을 조출 회전방향으로 회전시키고, 각 수납 투출부 (25)의 주고받음 원반(48)을 조출회전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저장 조출부(24)의 회전원반(46)을 조출 회전방향으로 회전시키고, 회전원반 (46)의 주워올림부재(53)로 1매씩 주워 주고받음 원반(48)에 주고받음하여, 이 때 배분부재(38)를 경화 출입위치에 요동시키는 것에 의해, 주고받음 원반(48)으로 경화를 경화통로(27)에 차례차례 내보낸다. 따라서, 저장 조출부(24)로부터 경화통로 (27)에 경화를 1매씩 분리하고 간헐적으로 차례차례 내보낸다.
저장 조출부(24)로부터 경화통로(27)에 1매씩 분리하고 간헐적으로 차례차례 내보내는 경화는, 회전운동하는 벨트(35)의 복수의 돌기부(36) 사이에 1매씩 비집고 들어가, 반송방향 상류측의 돌기부(36)의 일측부에서 경화를 밀어 이동하여 경화통로(27) 내를 입금 반송방향 F1로 이동시킨다. 따라서, 벨트(35)에 의해서 경화통로(27) 내의 경화를 1매씩 분리하여 간헐적으로 반송한다.
경화통로(27) 내를 입금 반송방향 F1로 이동하는 경화의 종류를 판별부(23)에서 판별한다.
판별부(23)에서의 판별의 결과, 정상 경화로 판별된 경화는, 해당 종류의 경화를 수납하는 수납 투출부(25)의 배분부재(38)에서 경화통로(27)로부터 수납 투출 부(25)의 경화 출입구(25a)에 배분하여 수납 투출부(25)내에 받아들여 수납한다. 이 수납 투출부(25)에 경화를 받아들일 때에 그 경화를 센서로 검지하여, 이 수납 투출부(25)의 경화 수납매수를 기억하는 기억부(88)에 1매분을 가산하여 갱신시킨다.
판별부(23)에서의 판별의 결과, 정상 경화로 판별되지 않았던 경화는, 경화통로(27)의 각 수납 투출부(25)의 위치를 통과시켜 제 2 통로부(33)의 말단까지 반송하여, 투출기구(66)로 경화 투출구(17)에 배분하여 받침 접시(18)에 투출하여 반환한다.
어느 종류의 수납 투출부(25)의 수납 매수가 소정의 가득찬 매수에 달한 경우에는, 그 이후의 해당 종류의 경화는 오버플로우 경화로 하고, 경화통로(27)의 복귀 통로부(34)까지 반송하여, 분기기구(68)로 경화통로(27)로부터 분기하여, 수납상자(69)에 수납한다.
그리고, 투입된 입금 경화의 수납 투출부(25)또는 수납상자(69)로의 수납이 완료하면, 입금처리를 종료한다. 한편, 투입된 입금 경화의 각 수납 투출부(25) 또는 수납상자(69)로의 수납이 완료한 후, 고객 등의 입금 승인의 확인을 취하는 경우에는, 고객 등에 의해 입금 승인 조작이 이루어진 시점에서 입금처리를 종료하고, 또한, 고객 등에 의해 입금 불승인 조작이 이루어진 경우에는 각 수납 투출부 (25) 또는 수납상자(69)에 수납한 만큼의 경화를 각 수납 투출부(25)로부터 차례차례 내보내, 경화 투출구(17)로부터 받침 접시(18)에 투출하여 반환한다. 이 경화의 반환 처리는, 다음에 설명하는 출금처리와 같은 처리가 된다.
또한, 도 7에 출금처리를 도시한다.
벨트(35)를 출금 반송방향 F2로 구동하고, 이 벨트(35)에 연동하여 저장 조출부(24)의 주고받음 원반(48)을 조출 회전 반대방향으로 회전시켜, 각 수납 투출부(25)의 주고받음 원반(48)을 조출 회전방향으로 회전시킨다.
고객 등에 의해 지시받은 출금액으로부터 산출된 해당 종류의 경화를 1종류씩 순서대로 수납 투출부(25)로부터 차례차례 내보낸다. 해당 돈의 종류의 경화를 수납하는 수납 투출부(25)에 있어서는, 회전원반(46)을 벨트(35)나 주고받음 원반 (48)에 연동하여 조출 회전방향으로 회전시켜, 회전원반(46)의 주워올림부재(53)로 경화를 1매씩 주워 올려 주고받음 원반(48)에 주고받음하여, 이때 배분부재(38)를 경화 출입위치에 요동시키는 것에 의해, 주고받음 원반(48)으로 경화를 경화통로 (27)에 차례차례 내보낸다. 따라서, 수납 투출부(25)로부터 경화통로(27)에 경화를 1매씩 분리하여 간헐적으로 차례차례 내보낸다.
이 수납 투출부(25)로부터 경화를 차례차례 내보낼 때에 그 경화를 센서로 검지하여, 이 수납 투출부(25)의 경화 수납 매수를 기억하는 기억부(88)에서 1매분을 감산하여 갱신시킨다.
수납 투출부(25)로부터 경화통로(27)에 1매씩 분리하여 간헐적으로 차례차례 내보내는 경화는, 회전운동하는 벨트(35)의 복수의 돌기부(36) 사이에 1매씩 비집고 들어가, 반송방향 상류측의 돌기부(36)의 타측부에서 경화를 밀어 이동하여 경화통로(27) 내를 출금 반송방향 F2로 이동시킨다. 따라서, 벨트(35)에 의해서 경화통로(27) 내의 경화를 1매씩 분리하여 간헐적으로 반송한다.
경화통로(27) 내를 출금 반송방향 F2로 이동하는 경화의 종류를 판별부(23)에서 판별한다.
판별부(23)에서의 판별의 결과, 정상경화로 판별된 경화는, 경화통로(27)의 복귀 통로부(34)를 통해서 제 2 통로부(33)의 말단까지 반송하고, 투출기구(66)로 경화 투출구(17)에 배분하여 받침 접시(18)에 투출하여 출금한다.
판별부(23)에서의 판별의 결과, 정상 경화로 판별되지 않았던 경화는, 경화통로(27)의 복귀 통로부(34)의 분기기구(68)로 경화통로(27)로부터 분기하여, 수납상자(69)에 수납한다. 부족한 종류의 경화는, 수납 투출부(25)로부터 추가하여 차례차례 내보내게 한다.
모든 출금 경화를 경화 투출구(17)로부터 투출하면, 출금처리를 종료한다.
이와 같이, 경화의 입금처리와 출금처리는, 반송수단(22)의 모든 통로부(31∼34)를 공통으로 이용하기 때문에, 입금 반송경로와 출금 반송경로가 공통화되고 있다.
다음에, 도 8을 참조하여, 입금처리에 있어서의 수납 투출부(25)에의 경화(도면중에 부호 C로 도시하지만, 이하 생략한다)의 배분 수납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도 8은, 경화통로(27)의 제 2 통로부(33)에 배치되는 수납 투출부(25)에의 경화의 배분 수납동작을 도시한다.
입금시에는, 벨트(35)를 입금 반송방향 F1로 구동하고, 이 벨트(35)에 연동하여 수납 투출부(25)의 주고받음 원반(48)을 조출회전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수납 투출부(25)의 회전원반(46)은 회전시키지 않는다.
도 8(a)(b)(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회전운동하는 벨트(35)의 반송방향 상류측의 돌기부(36)로 경화를 밀어 이동하여, 경화를 입금 반송방향 F1로 이동시킨다. 수납 투출부(25)에 수납하는 경화가 반송되어 온 것을 경화통로(27)의 센서로 검지하면, 배분부재(38)를, 경화 안내부(39)가 경화통로(27)의 통로면(29)으로부터 돌출하는 것과 함께 폐색부(40)가 경화 출입구(25a)를 개방상태로 하는 경화 출입위치에 요동시킨다.
개구하는 경화 출입구(25a)의 위치에 경화가 도달함으로써, 경화의 아래쪽의 버팀목이 없어져 경화 출입구(25a)에 침입 가능해진다. 또한, 도 8(d)(e)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벨트(35)의 돌기부(36)로 밀어 이동하는 경화가 배분부재(38)의 요곡면 형상의 경화 안내부(39)에 접촉함으로써, 그 경화를 요곡면 형상의 경화 안내부(39)를 따라서 경화 출입구(25a)로 향하여 강제적으로 방향 전환시켜 배분하여, 배분한 경화를 안내통로(56)로부터 수납 투출부(25)내에 받아들인다.
이때, 주고받음 원반(48)의 돌기체(62)는 경화통로(27)로부터 경화 출입구 (25a)로의 경화의 침입을 저해하지 않는 위치를 회전하고 있다.
또한, 수납 투출부(25) 내의 경화 수납량이 증가해 오고, 경화 출입구(25a)로부터 받아들인 경화가 안내통로(56)에서 늘어서, 마지막으로 받아들인 경화가 경화 출입구(25a) 부근에서 정지한 경우에도,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주고받음 원반(48)의 돌기체(62)가 그 정지하고 있는 경화의 위치에 회전운동해 오는 것에 의해, 돌기체(62)의 경사면(64)에 정지하고 있는 경화가 올라타기 때문에, 그 경화를 안내통로(56)로부터 강제적으로 띄워 호퍼(47) 내에 낙하시킨다. 이것에 의해, 수납 투출부(25) 내에 실제로 수납 가능하게 하는 경화의 수납 용량을 증가할 수 있다.
다음에, 도 9를 참조하여, 출금처리에 있어서의 수납 투출부(25)로부터의 경화의 조출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도 9는, 경화통로(27)의 제 2 통로부(33)에 배치되는 수납 투출부(25)로부터의 경화의 배분 수납동작을 도시한다.
출금시에는, 벨트(35)를 출금 반송방향 F2로 구동하고, 이 벨트(35)에 연동하여 수납 투출부(25)의 주고받음 원반(48)을 조출 회전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수납 투출부(25)의 회전원반(46)을 벨트(35)나 주고받음 원반(48)으로 연동하여 조출 회전방향으로 회전시킨다.
도 9(a)(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회전원반(46)의 안둘레측의 주워올림부재 (53)가 경화 둘레가장자리 유지부(52)와의 사이에 경화를 1매씩 유지하여 회전원반 (46)의 상부영역에 주워 올리고, 바깥둘레측의 주워올림부재(53)가 안둘레측의 주워올림부재(53)로 회전원반(46)의 상부영역에 주워 올린 경화를 경화 출입구(25a)에 향하여 안내통로(56)로 밀어내어 간다.
이때, 주고받음 원반(48)의 돌기체(62)는 회전원반(46)으로부터 안내통로(56)로의 경화의 침입을 저해하지 않는 위치를 회전하고 있다.
도 9(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주고받음 원반(48)의 돌기체(62)가 바깥둘레측의 주워올림부재(53)로 회전원반(46)으로부터 안내통로(56)로 밀어낸 경화의 위치에 회전운동해 오는 것에 의해, 주고받음 원반(48)의 돌기체(62)가 바깥둘레측의 주워올림부재(53)로부터 경화를 받아 경화 출입구(25a)로 향하여 밀면서 차례차례 내보낸다.
안내통로(56)에 설치되어 있는 센서로 경화를 검지하면, 배분부재(38)를, 경화 안내부(39)가 경화통로(27)의 통로면(29)으로부터 돌출하는 것과 함께 폐색부 (40)가 경화 출입구(25a)를 개방상태로 하는 경화 출입위치에 요동시킨다.
도 9(c)(d)(e)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주고받음 원반(48)의 돌기체(62)로 밀면서 차례차례 내보내는 경화는, 경화 출입구(25a)로부터 경화통로(27)에 침입하여, 배분부재(38)의 요곡면 형상의 경화 안내부(39)를 따라서 이동하면서, 벨트 (35)의 돌기부(36) 사이에 비집고 들어가는 것과 함께, 경화 출입구(25a)의 출금 반송방향 F2의 측부측에 이끌려, 주고받음 원반(48)의 돌기체(62)로부터 경화통로 (27)의 아래 쪽의 가이드측판(30) 상에 갈아탄다.
도 9(f)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벨트(35)의 반송방향 상류측의 돌기부(36)가 경화통로(27)의 아래쪽의 가이드측판(30) 상에 실려 있는 경화에 접촉하여, 그 경화를 출금 반송방향 F2로 반송한다.
또한, 도 10(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수납 투출부(25)로부터 필요 매수의 경화의 투입을 안내통로(56)의 센서로 검지하면, 회전원반(46)을 정지시키고, 마지막으로 차례차례 내보내는 경화가 경화통로(27)에 완전하게 침입한 타이밍으로, 도 10(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배분부재(38)를, 경화 안내부(39)가 경화통로(27)의 통로면(29)에 매몰하는 것과 함께 폐색부(40)가 경화 출입구(25a)를 폐색상태로 하는 경화 통과위치에 요동시킨다.
회전원반(46)을 정지시켜도, 곧바로는 정지하지 않고, 후속의 경화를 회전원 반(46)으로부터 안내통로(56) 내에 이송하지만, 배분부재(38)를 경화 통과위치에 요동시키는 것과 동시에, 안내통로(56)의 통로면(29)으로부터 돌출부(60)를 돌출시키는 것에 의해, 회전원반(46)으로부터 안내통로(56) 내에 이송되는 후속의 경화를 호퍼(47) 내에 낙하시킨다. 이것에 의해, 경화 출입구(25a)를 닫은 배분부재(38)의 폐색부(40)에 후속의 경화가 접촉하여 그 배분부재(38)가 파손하거나 경화가 막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 11(a)(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주고받음 원반(48)의 돌기체(62)로 경화를 경화통로(27)에 차례차례 내보내고 있는 도중에, 경화가 돌기체(62)로부터 빗나가, 안내통로(56) 내에 낙하하여 후속의 경화와 2매 연속하여 늘어선 경우, 이 타이밍으로 안내통로(56)의 센서가 경화를 검지하는 것에 의해, 돌기체(62)로부터의 경화의 탈락이 발생한 것이라고 판단하여, 배분부재(38)를 경화 통과위치에 요동시키는 것과 함께, 안내통로(56)의 통로면(29)으로부터 돌출부(60)를 돌출시키는 것에 의해, 안내통로(56) 내의 2매 연속한 경화를 호퍼(47) 내에 낙하시킨다. 이것에 의해, 2매의 경화가 함께 차례차례 내보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여기에서는 수납 투출부(25)의 동작을 설명했지만, 저장 조출부(24)에의 경화의 배분 수납동작, 및 저장 조출부(24)로부터의 경화의 조출동작도, 수납 투출부(25)와 같다.
이와 같이, 경화 입출금기(11)에서는, 수납 투출부(25)의 같은 경화 출입구 (25a)로부터 반송수단(22)에 대해서 경화를 출입할 수 있기 때문에, 반송수단(22)의 입금 반송경로와 출금 반송경로를 공통화 할 수 있어, 보다 소형의 경화 입출금 기(11)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수납 투출부(25)에서는, 경화를 비정렬상태로 수납하기 때문에, 종래와 같은 통 내에 중적 수납하는 경우와 같이 경화를 올바르게 수납하지 못하고 경화가 일어섬 등이 발생하는 일이 없어, 경화의 수납, 투출을 확실히 할 수 있다. 또한, 저장 조출부(24)와 수납 투출부(25)는 기본 구성을 공통화 할 수 있다.
또한, 반송수단(22)은, 기체(12)의 앞쪽으로부터 뒤쪽을 향하여 설치되는 제 1 통로부(31)와, 이 제 1 통로부(31)의 말단으로부터 기체(12)의 앞쪽으로 향하여 되접어 꺾이는 되접어꺾음 통로부(32)와, 이 되접어꺾음 통로부(32)의 말단으로부터 기체(12)의 앞쪽으로 향하는 것과 함께, 그 말단이 경화 투출구(17)를 향해서 설치되는 제 2 통로부(33)를 구비한 레이아웃으로 하고, 그 제 1 통로부(31)에, 반송수단(22)을 입금 반송방향 F1로 구동시켰을 때의 반송방향을 따라서 순서대로 판별부(23) 및 복수의 수납 투출부(25)를 설치했기 때문에, 경화 입출금기(11)를 소형화할 수 있다. 특히, 수납 투출부(25)를, 제 1 통로부(31)와 제 2 통로부(33)로 나누어 배치하는 것에 의해, 기체(12)의 전후방향의 치수를 짧게 할 수 있다.
또한, 판별부(23)를 통해서 반송수단(22)으로 서로 경화를 이동 가능하게 하는 저장 조출부(24)와 어느 1개의 수납 투출부(25)에 있어서, 이 수납 투출부(25)로부터 경화를 1매씩 차례차례 내보내, 차례차례 내보내진 경화를 판별부(23)에서 판별하여 기억부(88)에 기억시키고, 판별한 경화를 저장 조출부(24)에 수납하여, 수납 투출부(25) 내의 모든 경화가 저장 조출부(24)로 이동한 후, 저장 조출부(24) 내의 모든 경화를 1매씩 순서대로 차례차례 내보내 원래의 수납 투출부(25)에 수납 시키는 것에 의해, 각 수납 투출부(25) 내에 수납되어 있던 경화 매수를 정밀 조사할 수 있다.
또한, 도 12에 제 2 실시형태를 도시한다.
반송수단(22)의 제 1 통로부(31)에만 따라서 복수의 수납 투출부(25)를 배치한 예이다. 이 경화 입출금기(11)에서는, 제 1 실시형태의 경화 입출금기(11)에 비해, 전후방향의 길이는 길어지지만, 상하 방향의 높이는 낮아져, 높이가 낮은 것이 요구되는 기계에 적합하다.
또한, 도 13에 제 3 실시형태를 도시한다.
반송수단(22)의 제 1 통로부(31) 및 제 2 통로부(33)의 통로 방향을 상하방향으로 하고, 제 1 통로부(31)의 하부측으로부터 저장 조출부(24), 판별부(23), 복수의 수납 투출부(25)를 배치한 예이다. 이 경화 입출금기(11)에서는, 제 1 실시형태의 경화 입출금기(11)에 비해, 상하방향의 높이는 높아지지만, 전후방향의 깊이를 짧게 할 수 있어, 깊이가 짧은 것이 요구되는 기계에 적합하다.
한편, 상기 각 실시형태에 있어서, 반송수단(22)에 대해서 경화를 출입 가능하게 하고, 경화를 일시 보류하는 일시 보류부를 구비해도 좋다. 일시 보류부를 구비하는 것에 의해, 경화 수입구(16)에 기체(12) 밖으로부터 받아들인 경화 중 판별부(23)에서 정상 경화로 판별한 경화를 입금 승인 확인까지 일시 보류부에 일시 보류시키는 것과 함께, 입금 승인 확인 후에 일시 보류부에 일시 보류한 경화를 차례차례 내보내고, 입금 승인시에는 수납 투출부(25)에 수납하고, 입금 불승인시에는 경화 투출구(17)로부터 반환하도록 해도 좋다. 이 일시 보류부는, 저장 조출부(24) 나 수납 투출부(25)와 기본 구성이 동일해도 좋고, 경화통로(27)에 대해서 경화를 출입 가능하게 한다. 일시 보류부는, 전용의 일시 보류부를 설치해도 좋고, 수납 투출부(25)의 하나를 일시 보류부로서 이용해도 좋다. 일시 보류부에 수납한 경화를 수납 투출부(25)에 수납할 때에는, 예를 들면, 일시 보류부로부터 경화통로(27)에 차례차례 내보낸 경화를 저장 조출부에 수납하고, 일시 보류부 내의 모든 경화를 저장 조출부에 수납하면, 이 저장 조출부로부터 경화를 차례차례 내보내 각 수납 투출부(25)에 수납시킨다.
본 발명은, 예를 들면, 점포에 있어서는 금전등록기, 금융기관에 있어서는 창구나 금융점포 안팎에 설치되는 ATM(Automatic Tellers Machine; 현금 자동 입출금기)의 경화 입출금기 등에 이용된다.

Claims (12)

  1. 경화를 1매씩 반송하는 반송수단과,
    이 반송수단에 대해서 경화를 출입하는 경화 출입구를 갖고, 상기 반송수단에 의해서 1매씩 반송하는 경화를 상기 경화 출입구로부터 받아들여 비정렬상태로 수납하는 것과 함께, 수납하고 있는 경화를 상기 경화 출입구로부터 상기 반송수단에 1매씩 투출하는 수납 투출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화 수납 투출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반송수단을 따라서 복수의 수납 투출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화 수납 투출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반송수단은, 정역방향(正逆方向)으로의 경화의 반송을 가능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화 수납 투출장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반송수단으로 반송하는 경화의 종류를 판별하는 판별부와,
    상기 반송수단으로 반송하는 경화를 상기 판별부에서의 판별결과에 따라서 수납 투출부에 배분하게 하는 제어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화 수납 투출장치.
  5.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반송수단으로 반송하는 경화의 종류를 판별하는 판별부와,
    상기 반송수단으로 반송하는 경화를 상기 판별부에서의 판별결과에 따라서 수납 투출부에 배분하는 배분부재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화 수납 투출장치.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수납 투출부는,
    회전축에 부착되어 수평방향에 대해서 소정각도로 경사지는 위치에서 회전하는 회전원반과,
    이 회전원반의 표면측에 경화를 수납하는 호퍼와,
    상기 회전원반의 표면으로부터 돌출하고, 회전원반의 회전에 의해 수납하고 있는 경화를 1매씩 주워 올리는 주워올림부재와,
    경화 입출구 근방에 배치되고, 상기 주워올림부재에 의해서 소정간격마다 1매씩 주워 올려지는 경화를 받는 것과 함께 반송수단에 주고받음하는 주고받음 원반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화 수납 투출장치.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반송수단은,
    무단 형상의 반송체와,
    이 반송체로부터 돌출하여 경화를 1매씩 밀어 이동 반송하는 복수의 돌기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화 수납 투출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경화를 수납 투출부에 수납할 때에는 반송수단을 제 1 방향으로 구동시키고, 수납 투출부로부터 경화를 투출할 때에는 상기 반송수단을 상기 제 1 방향과는 다른 제 2 방향으로 구동시키는 제어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화 수납 투출장치.
  9. 제 5 항에 있어서, 경화를 수납 투출부에 수납할 때에는 반송수단을 제 1 방향으로 구동시키고, 수납 투출부로부터 경화를 투출할 때에는 반송수단을 상기 제 1 방향과는 다른 제 2 방향으로 구동시키는 제어부를 구비하고,
    반송수단은, 경화를 반송하는 것과 함께 폭방향의 일측에 상기 수납 투출부의 경화 출입구가 설치된 경화통로를 구비하고,
    배분부재는, 상기 경화통로의 경화 출입구측에 위치하는 일측부가 경화 출입구에 대해서 반대측에 위치하는 타측부로부터, 상기 반송수단이 제 1 방향으로 구동될 때의 반송방향 하류측으로 향하여 소정 각도로 경사지도록 설치되는 것과 함께, 상기 반송수단이 제 1 방향으로 구동될 때의 반송방향 상류측에 임하여 요곡면 형상으로 설치된 경화 안내부와, 상기 경화 출입구에의 경화의 침입을 저지하는 폐색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화 수납 투출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배분부재는, 전기적으로 구동되어, 경화를 수납 투출부에 배분할 때는 경화 안내부가 경화통로로부터 돌출하는 것과 함께 폐색부가 경화 출입구를 개방상태로 하고, 경화를 수납 투출부에 배분하지 않을 때는 상기 경화 안내부가 경화통로에 매몰하는 것과 함께 상기 폐색부가 상기 경화 출입구를 폐색상태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화 수납 투출장치.
  11. 제 7 항에 있어서, 반송수단은, 경화를 수납 투출부에 수납할 때에 돌기부의 한쪽측의 측면이 경화에 접촉하여 그 경화를 반송하고, 수납 투출부로부터 경화를 투출할 때에는 돌기부의 다른쪽측의 측면이 경화에 접촉하여 그 경화를 반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화 수납 투출장치.
  12. 제 6 항에 있어서, 주고받음 원반은, 바깥둘레 가장자리에 경화에 접촉하는 적어도 1개의 돌기체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화 수납 투출장치.
KR1020097003330A 2009-02-18 2006-09-11 경화 수납 투출장치 KR2009005105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7003330A KR20090051051A (ko) 2009-02-18 2006-09-11 경화 수납 투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7003330A KR20090051051A (ko) 2009-02-18 2006-09-11 경화 수납 투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51051A true KR20090051051A (ko) 2009-05-20

Family

ID=408593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03330A KR20090051051A (ko) 2009-02-18 2006-09-11 경화 수납 투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51051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988580B2 (ja) 硬貨入出金機
JP4988748B2 (ja) 硬貨収納投出装置
JP5014419B2 (ja) 硬貨投出装置および硬貨処理機
EP2270755B1 (en) Coin processing device
EP2249316B1 (en) Coin transporting device
US8261904B2 (en) Coin depositing and dispensing machine
EP2110791A1 (en) Coin receiving/paying machine
KR101473009B1 (ko) 경화 입출금기
JP2011138259A (ja) 硬貨繰出装置および硬貨処理装置
JP2006230541A (ja) 紙幣識別装置および遊技媒体の貸し出し機
JP6280387B2 (ja) 硬貨処理装置および硬貨処理方法
JP6539078B2 (ja) 硬貨分岐機構および硬貨処理装置
JP3973861B2 (ja) 硬貨入出金機
WO2008072545A1 (ja) 硬貨処理装置
KR20090051051A (ko) 경화 수납 투출장치
WO2009096017A1 (ja) 硬貨入金装置
JP2013061822A (ja) 包装硬貨処理装置
WO2009125482A1 (ja) 硬貨処理装置
JP6137880B2 (ja) 硬貨処理装置
JP7496719B2 (ja) 硬貨処理装置
JP6487025B2 (ja) 硬貨処理装置および硬貨処理方法
JP2023172134A (ja) 硬貨処理装置及び自動取引装置
JP3862974B2 (ja) 硬貨入出金機
JP2023007572A (ja) 媒体処理装置
JP4293014B2 (ja) 硬貨出金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