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49787A - 프레스가공 공정간 자동 이송장치 - Google Patents

프레스가공 공정간 자동 이송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49787A
KR20090049787A KR1020070116080A KR20070116080A KR20090049787A KR 20090049787 A KR20090049787 A KR 20090049787A KR 1020070116080 A KR1020070116080 A KR 1020070116080A KR 20070116080 A KR20070116080 A KR 20070116080A KR 20090049787 A KR20090049787 A KR 200900497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transfer
press
processing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160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장희
Original Assignee
전장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장희 filed Critical 전장희
Priority to KR10200701160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49787A/ko
Publication of KR200900497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4978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15/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presses; Auxiliary measures in connection with pressing
    • B30B15/30Feeding material to presses
    • B30B15/302Feeding material in particulate or plastic state to moulding pr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43/00Feeding, positioning or storing devices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apparatus for working or processing sheet metal, metal tubes or metal profiles; Associations therewith of cutting devices
    • B21D43/02Advancing work in relation to the stroke of the die or too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7/00Arrangements for handling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chine tools, e.g. for conveying, loading, positioning, discharging, sorting
    • B23Q7/005Lifting devi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100/00Pres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ress Drives And Press L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프레스 본체(10) 상에서 적재부(12)에 로딩된 소재를 연속적으로 가공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적재부(12)의 소재를 가공 공정에 투입하는 송급부(22)(32); 상기 가공이 완료된 가공품을 인출하여 이송하는 이송부(24)(34); 상기 가공품을 외부로 집어내는 취출부(26)(36); 및 상기 본체(10)의 프레임을 승하강하여 타작업에 대비한 간섭을 방지하는 구동부 상하조절부(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송급부(22)(32), 이송부(24)(34), 취출부(26)(36)는 분리와 결합이 가능하도록 연결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자동차의 판재를 금형으로 가공하는 다수의 공정간을 자동으로 연결하여 양산의 작업성과 품질향상을 도모하고 안전사고의 예방에 일조하는 효과가 있다.
Figure P1020070116080
프레스, 공정, 자동, 이송, 송급, 연계, 생산성

Description

프레스가공 공정간 자동 이송장치{System for automatic transfer between press process}
본 발명은 공정간 자동 이송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자동차의 판재를 금형으로 프레스 가공하는 다수의 공정간을 자동으로 연결하기 위한 프레스가공 공정간 자동 이송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프레스 공정을 자동화하기 위한 시도로서 소재공급장치, 프레스, 로더, 언로더, 컨베이어장치 등을 주요 구성으로 한다. 이러한 각각의 구성 유니트 들은 개별적인 컨트롤러를 구비하지만 제품에 따라 정확한 동기 운전이 곤란하여 생산성을 저하시키는 요인이 된다.
한국 등록특허 제0060585호에 의하면 프레스 사이에 설치되어 프레스에서 가공된 소재를 자동으로 취출 반입하는 프레스 가공 공작물의 이송 장치가 제안된다. 이는 필요한 작업 공정에 맞추어 필요한 대수를 조정할 수 있고 가공물을 반드시 일직선상에 배치되지 않아도 되는 장점을 갖고, 또 좌우 수평 이동은 구동 모터를 이용하고 상하 수직 이동은 실린더에 의해 동작토록 하고 슬라이더 블록의 구조를 간소화 시킨다
한국 공개특허 제2003-0075430호에 의하면 이송수단에 의해 각 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한 로봇과 이의 지지를 위한 프레임어셈블리로 구성된 가공물취출 및 적재시스템을 추가하여 가공물취출 및 적재의 자동화를 실현하기 위한 구성이 제안되고 있다.
그런데 상기 어느 경우에 있어서나 전용화된 특정의 제품에 대하여는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장점이 있으나 점차 다품종 소량생산화 되는 근대적 시스템에 적용하기 위한 유연성이 부족하다. 예컨대 자동차 강판을 소성가공하는 프레스 가공에 있어서 금형 공정간의 이송을 수작업에 의존하게 되므로 생산성이 낮고 품질저하는 물론 안전사고의 위험도 있다.
종래기술의 문헌정보
[문헌1] 한국 등록특허 제0060585호 “프레스 가공 공작물의 자동이송장치”
[문헌2] 한국 공개특허 제2003-0075430호 “컷팅 및 연마휠 제작용 유압프레스공정의 가공물 취출과 적재 시스템 ”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근본적으로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자동차의 판재를 금형으로 가공하는 다수의 공정간을 자동으로 연결하여 양산의 작업성과 품질향상을 도모하고 안전사고의 예방에 일조하기 위한 프레스가공 공정간 자동 이송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프레스 본체 상에서 적재부에 로딩된 소재를 연속적으로 가공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적재부의 소재를 가공 공정에 투입하는 송급부; 상기 가공이 완료된 가공품을 인출하여 이송하는 이송부; 상기 가공품을 외부로 집어내는 취출부; 및 상기 본체의 프레임을 승하강하여 타작업에 대비한 간섭을 방지하는 구동부 상하조절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송급부, 이송부, 취출부는 분리와 결합이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송급부와 이송부는 제품의 특성에 따라 동일한 방식을 적용하되 동시에 교체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의 구성 및 작용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프레스가공 공정간 자동 이송장치는 자동차의 판재를 금형으로 가공하는 다수의 공정간을 자동으로 연 결하여 양산의 작업성과 품질향상을 도모하고 안전사고의 예방에 일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제1실시예의 이송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2 및 도 3은 도 1의 평면도 및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제2실시예의 이송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5 및 도 6은 도 4의 평면도 및 측면도이다.
본 발명은 프레스 본체(10) 상에서 적재부(12)에 로딩된 소재를 연속적으로 가공하는 장치에 관련된다. 적재부(12)는 컨베이어 방식을 적용할 수도 있고, 다관절 로봇암을 이용할 수도 있다. 다만 본체(10)가 프레스 가공을 대상으로 하므로 강판이나 철판 등의 판재를 취급하기 적절한 구성이 보편적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적재부(12)의 소재를 가공 공정에 투입하는 송급부(22)(32)가 구비된다. 송급부(22)(32)는 본체(10)의 일단에 설치되고 적재부(12)와 컨베이어로 연결된다. 적재부(12)에서 제공되는 소재는 설정된 타이밍으로 송급부(22)(32)에 의해 본체(10)의 금형내로 투입된다.
또,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가공이 완료된 가공품을 인출하여 이송하는 이송부(24)(34)가 구비된다. 이송부(24)(34)는 송급부(22)(32)의 하류측인 본체(10)의 중앙부에 설치되고, 기구력, 자력, 진공흡입력 중 적어도 하나를 작용하여 가공품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인출한다. 여기서 기구력은 집게 또는 그러퍼를 사용하는 것을 의미하며, 제품의 물성에 따라 자력과 진공흡입력을 사용할 수도 있다.
또,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가공품을 외부로 집어내는 취출부(26)(36)가 구 비된다. 취출부(26)(36)는 이송부(24)(34)에 인접하여 본체(10)의 타단에 설치되고 가공품을 작업자 측으로 집어낸다. 동일한 제품의 소성가공에 있어서 취출부(26)(36)의 구성은 송급부(22)(32)와 크게 다르지 않다.
이때, 본 발명의 상기 송급부(22)(32), 이송부(24)(34), 취출부(26)(36)는 분리와 결합이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프레스가공 공정간 자동 이송장치는 프레스가공의 공정조건에 따라 일체형과 분리형으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 내지 도 3과 같은 일체형에 있어서 송급부(22), 이송부(24), 취출부(26)는 본체(10) 상에서 밀집적으로 인접하도록 연결된다. 도 4 내지 도 6과 같은 분리형에 있어서 송급부(32), 이송부(34), 취출부(36)는 본체(10) 상에서 일정 간격을 유지하며 인접하도록 연결된다.
또,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본체(10)의 프레임을 승하강하여 타작업에 대비한 간섭을 방지하는 구동부 상하조절부(40)를 포함한다. 구동부 상하조절부(40)는 본체(10)의 프레임을 승하강하여 트랜스퍼 용도를 정지하는 동시에 다른 작업(예컨대 수작업, 금형탈부착 등)에 대비하여 간섭을 피할 목적으로 작업구간 밖으로 이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와 같이 가공품의 재질이나 형상에 따라 구동부 상하조절부(40)를 작동하여 송급부(32), 취출부(36) 등을 선택할 수 있으므로 종래의 전용화된 기능 외에 다른 프레스와 연계하는 작업도 가능하다. 더구나 구동부 상하조절부(40)는 모터의 전기력으로 기반으로 작동하므로 종래에 수작업에 의존하는 것에 비하여 안전사고를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상기 송급부(22)(32)와 이송부(24)(34)는 제품의 특성에 따라 동일한 방식을 적용하되 동시에 교체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과 같은 일체형에 있어서 송급부(22)와 취출부(26)는 간단한 컨베이어 방식을 적용하여도 무방하다. 반면에 도 3과 같은 분리형에 있어서는 다소 복잡한 구조의 송급부(32)와 취출부(36)가 요구된다. 분리형의 송급부(32)와 취출부(36)는 컨베이어 외에 기구력, 자력, 진공흡입력에 의한 이송수단을 더 구비한다.
일단 제품에 따른 적용방식이 결정되면 일체형에 있어서 송급부(22)와 취출부(26)가 동일하고, 분리형에 있어서도 송급부(32)와 취출부(36)가 동일하게 구성됨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제1실시예의 이송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2 및 도 3은 도 1의 평면도 및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제2실시예의 이송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5 및 도 6은 도 4의 평면도 및 측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
10: 본체 12: 적재부
22, 32: 소재 송급부 24, 34: 소재 이송부
26, 36: 제품 취출부 40: 구동부 상하조절부

Claims (3)

  1. 프레스 본체(10) 상에서 적재부(12)에 로딩된 소재를 연속적으로 가공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적재부(12)의 소재를 가공 공정에 투입하는 송급부(22)(32);
    상기 가공이 완료된 가공품을 인출하여 이송하는 이송부(24)(34);
    상기 가공품을 외부로 집어내는 취출부(26)(36); 및
    상기 본체(10)의 프레임을 승하강하여 타작업에 대비한 간섭을 방지하는 구동부 상하조절부(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스가공 공정간 자동 이송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송급부(22)(32), 이송부(24)(34), 취출부(26)(36)는 분리와 결합이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스가공 공정간 자동 이송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송급부(22)(32)와 이송부(24)(34)는 제품의 특성에 따라 동일한 방식을 적용하되 동시에 교체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스가공 공정간 자동 이송장치.
KR1020070116080A 2007-11-14 2007-11-14 프레스가공 공정간 자동 이송장치 KR2009004978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6080A KR20090049787A (ko) 2007-11-14 2007-11-14 프레스가공 공정간 자동 이송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6080A KR20090049787A (ko) 2007-11-14 2007-11-14 프레스가공 공정간 자동 이송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49787A true KR20090049787A (ko) 2009-05-19

Family

ID=408584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16080A KR20090049787A (ko) 2007-11-14 2007-11-14 프레스가공 공정간 자동 이송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49787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600510A (zh) * 2013-10-29 2014-02-26 杭州东博自动化科技有限公司 模具注料装置
KR20160097990A (ko) 2015-02-09 2016-08-18 (주)진진이앤티 2열 이송장치가 구비된 복합금형 장치
KR20190110585A (ko) * 2017-03-16 2019-09-30 귀델 그룹 아게 센터링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600510A (zh) * 2013-10-29 2014-02-26 杭州东博自动化科技有限公司 模具注料装置
KR20160097990A (ko) 2015-02-09 2016-08-18 (주)진진이앤티 2열 이송장치가 구비된 복합금형 장치
KR20190110585A (ko) * 2017-03-16 2019-09-30 귀델 그룹 아게 센터링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009238A (ko) 다축 로봇을 이용한 다공정 프레스 자동화 시스템
CN107598013A (zh) 一种多工位自动冲压装置
KR20090049787A (ko) 프레스가공 공정간 자동 이송장치
CN210305424U (zh) 一种自动冲压流水线
CN111215950A (zh) 一种精密模具生产线智能自动化系统
CN210586631U (zh) 一种自动转塔冲裁机
KR101487166B1 (ko) 텐덤 프레스 가공 시스템 및 금형교환방법
CN208914440U (zh) 具有机械手自动上下料的一体油压机
CN203665201U (zh) 金属制件自动取放料机构
KR100879205B1 (ko) 타이어 핸들링용 로봇 서보핸드
EP2295165B1 (en) Press for simultaneously rough-pressing and finishing / embossing
KR20220163118A (ko) 프레스가공 자동이송 장치
CN210305752U (zh) 一种粉末冶金压机的自动夹持翻转装置
CN210231085U (zh) 全数控机器人折弯单元
CN208840268U (zh) 一种车轮自动冲压上下料装置
CN211966771U (zh) 一种精密模具生产线智能自动化系统
JP7527260B2 (ja) 金型交換装置、それを備えたプレス機械、プレス機械の金型搬出方法、及びプレス機械の金型搬入方法
CN215279748U (zh) 一种自动化球笼锻造加工生产线
KR100764236B1 (ko) 자동차용 힌지 브라켓용 트랜스퍼 프레스장치
KR20100021744A (ko) 가변형 그립퍼 및 가변형 그립퍼를 이용한 차체부품 프레스생산방법
CN208408341U (zh) 一种用于汽车转向柱加工的机器人柔性生产线
CN213915815U (zh) 应用在冲压生产中的柔性拾取自动上下料机构
CN209886589U (zh) 热锻自动化上下料机械手
JP4951445B2 (ja) プレス設備のワーク自動搬送装置
CN100500324C (zh) 一种用于冲床或冲床之间的移件配合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