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48940A - 인장시험용 와이어 척 - Google Patents

인장시험용 와이어 척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48940A
KR20090048940A KR1020070115057A KR20070115057A KR20090048940A KR 20090048940 A KR20090048940 A KR 20090048940A KR 1020070115057 A KR1020070115057 A KR 1020070115057A KR 20070115057 A KR20070115057 A KR 20070115057A KR 20090048940 A KR20090048940 A KR 200900489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fixture
fastener
chuck
moving he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150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훈
Original Assignee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1150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48940A/ko
Publication of KR200900489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4894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3/02Details
    • G01N3/04Chuck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0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2203/0014Type of force applied
    • G01N2203/0016Tensile or compressive
    • G01N2203/0017Tensil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0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2203/02Details not specific for a particular testing method
    • G01N2203/04Chucks, fixtures, jaws, holders or anvi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Investigating Strength Of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장시험용 와이어 척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고정헤드에는 커넥터가 고정되고, 상기 고정헤드에 대하여 상대이동하는 와이어이동헤드(30)에는 와이어(W)가 고정된다. 상기 와이어(W)는 제1고정구(40)와 제2고정구(50) 사이에서 압착되어 고정되는데, 상기 제1고정구(40)는 체결볼트(45)에 의해 고정되어 있고, 상기 제2고정구(50)는 그 회전축(52)이 편심되는 위치에 있다. 따라서 상기 제2고정구(50)가 상기 회전축(52)을 중심으로 상기 제1고정구(40)를 향하여 특정방향으로 회전되면 상기 제1고정구(40)와의 사이 간격이 좁아져 상기 와이어(W)가 압착된다. 이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제2고정구가 회전됨에 따라 상기 제1고정구와 제2고정구 사이 간격이 좁아지면서 와이어(W)를 압착하는 방식이므로 와이어(W)의 압착이 견고하게 이루어지며, 다양한 굵기의 와이어(W)를 용이하게 압착하는 이점이 있다.
인장기, 와이어, 압착, 이동헤드

Description

인장시험용 와이어 척{Wire chuck of tensile test}
본 발명은 인장시험용 와이어 척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서로 상대 이동하는 한 쌍의 헤드가 구비되는 인장기를 이용한 터미널유지력 시험에서 와이어를 일측 헤드에 고정시키는 인장시험용 와이어 척에 관한 것이다.
커넥터는 상대커넥터와 결합되어 전기적 연결을 수행하는 것으로, 일반적으로 각각의 커넥터 내부에는 다수개의 터미널이 설치되어 구성된다. 커넥터는 크게 외관 및 골격을 형성하는 하우징과 하우징에 설치되는 터미널로 구성된다.
하우징에 터미널이 설치되면, 터미널은 어느 정도의 외력에 의해서도 하우징에서 분리되지 않게 하우징에 고정되어야 하는데 이를 하우징의 터미널유지력이라 한다. 일반적으로, 터미널유지력 시험은 인장기에 의해 수행된다.
도 1에는 종래의 기술에 의한 인장기의 구성이 부분단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인장기에는 재료의 일단을 고정시키는 고정헤드(H)와 재료의 타단과 결합하여 상기 고정헤드(H)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이동헤드(H')가 구비된다. 상기 이동헤드(H')에는 그 선단에 톱니형상이 형성되고, 재료를 압착하여 고정시키는 척(Chuck)(1)이 구비된다. 상기 고정헤드(H)에는 커넥터의 하우징(11)을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홀더(3)가 구비된다. 상기 고정홀더(3)는 하우징(11)의 서로 마주보는 가장자리 부분을 걸어 상기 하우징(11)을 고정시킨다.
상기 하우징(11)에는 소정의 공간을 형성하는 터미널안착부(11')가 관통되게 형성되고, 상기 터미널안착부(11')의 내부에는 터미널(T)의 일단을 걸어 고정시키는 랜스(13)가 구비된다. 상기 터미널안착부(11')에는 와이어(W)가 연결된 터미널(T)이 안착되어 고정된다.
상기 터미널(T)에 연결된 와이어(W)는 도전성이 좋은 재료로 형성되는 심선(W')과 절연성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심선(W')을 둘러싸며 형성되는 피복(W")으로 구성된다.
터미널유지력을 측정하는 과정을 살펴보면, 우선 작업자는 상기 와이어(W)가 연결된 상기 터미널(T)을 상기 하우징(11)에 결합시킨다. 그 후, 상기 하우징(11)을 상기 고정헤드(H)의 고정홀더(3)에 고정시키고, 상기 와이어(W)를 상기 이동헤드(H')의 척(1)에 고정시킨다. 이때, 상기 척(1)은 상기 와이어(W)의 피복(W")을 압착하여 상기 와이어(W)를 상기 이동헤드(H')에 고정시킨다. 이 상태에서 작업자는 상기 이동헤드(H')를 상기 고정헤드(H)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이러한 과정을 수차례 거듭하여 터미널유지력을 측정한다.
하지만,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종래의 기술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종래의 척(1)은 상기 와이어(W)를 압착하는 힘이 약해 작업자가 상기 이동헤드(H')를 잡아당기는 과정에서 상기 와이어(W)가 상기 척(1)으로부터 분리되어 터 미널유지력이 정확히 측정되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종래의 척(1)은 다양한 두께의 와이어(W)에 대응할 수 없는 구조로 되어, 와이어(W)의 굵기가 달라질 때마다 그와 대응되는 척(1)으로 바꾸어 사용해야 하는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와이어 척의 압착력을 크게 하여 인장력 측정이 정확히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다양한 굵기의 와이어에 대응할 수 있는 인장시험용 와이어 척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커넥터홀더에 대하여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와이어이동헤드의 일면에 장착되는 제1고정구; 상기 와이어이동헤드의 일면에 상기 제1고정구와 소정 간격 이격되어 장착되고, 일측을 중심으로 상기 제1고정구를 향해 회전되어 상기 제1고정구와의 사이 간격을 좁아지게 하여 와이어를 압착시키는 제2고정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와이어이동헤드가 이동함에 따라 상기 와이어가 상기 와이어이동헤드의 이동방향과 반대방향으로 당겨지고, 상기 제1고정구 및 제2고정구에는 상기 와이어가 당겨짐에 의해 상기 제1고정구 및 제2고정구의 사이 간격이 좁아지는 방향으로 힘이 가해짐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고정구의 회전중심은 편심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고정구는 회전중심으로부터 가장자리의 거리가 연속적으로 길어지는 캠부를 가짐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고정구에는 내부를 관통하여 가이드슬롯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슬롯에는 상기 제1고정구와 제2고정구의 사이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체결볼트가 체결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고정구의 일측에는 상기 제2고정구를 회전시키기 위한 손잡이부가 돌출되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고정구 및 제2고정구의 외주면에는 와이어와의 마찰력을 증가시키기 위한 요철형상의 미끄럼방지부가 형성된다.
본 발명에서는 회전중심이 편심되게 설치된 제2고정구가 회전됨에 따라 상기 제1고정구와의 사이 간격이 좁아지게 되어 제1고정구와 제2고정구 사이에 위치하는 와이어를 압착시킨다. 그리고 상기 와이어가 당겨지면 반작용힘에 의해 상기 제2고정구가 상기 제1고정구를 향하여 회전되므로 와이어가 더욱 견고하게 압착된다. 따라서 인장시험중에 와이어 척이 와이어를 견고하게 압착할 수 있어 인장력 측정이 정확하게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제2고정구의 회전 정도에 따라 상기 제1고정구와의 사이 간격이 달라지므로 다양한 굵기의 와이어를 용이하게 압착시킬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체결볼트의 체결위치에 따라 제1고정구와 제2고정구 사이의 최단 간격을 조절할 수 있어 미세한 굵기의 와이어는 물론 최대 굵기의 와이어를 압착시킬 수 있다. 따라서 와이어 척의 활용도가 높아지며 사용편의성이 좋아지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인장시험용 와이어 척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에는 본 발명에 의한 인장시험용 와이어 척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고, 도 3에는 본 발명 실시예에서 와이어가 고정되어 있는 상태가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으며, 도 4 및 도 5에는 본 발명 실시예에서 와이어가 고정되는 과정이 동작상태도로 도시되어 있다.
먼저,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인장기의 구성을 설명한다. 인장기에는 커넥터가 고정되는 고정헤드(미도시)와 상기 고정헤드에 대해 상대이동하는 와이어이동헤드(30)가 구비된다. 상기 와이어이동헤드(30)에는 와이어를 고정하기 위한 와이어 척(35)이 구비된다. 상기 와이어 척(35)에 와이어가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와이어이동헤드(30)를 상기 고정헤드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이러한 과정을 수차례 거듭하여 터미널유지력을 측정한다.
이들 도면에 따르면, 와이어이동헤드(30)에는 와이어 척(35)이 구비된다. 와이어 척(35)은 와이어(W)를 압착하여 와이어이동헤드(30)에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와이어 척(35)은 사이 간격이 변동되는 제1고정구(40)와 제2고정구(50)로 구성되는데, 상기 제1고정구(40)와 제2고정구(50)가 그 사이에 구비되는 와이어(W)를 압착하여 고정시킨다.
상기 제1고정구(40)는 상기 와이어이동헤드(30)의 일면에 장착된다. 상기 제 1고정구(40)는 대략 원판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1고정구(40)의 내부를 관통하여서는 가이드슬롯(42)이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슬롯(42)은 도면상 좌우로 길게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슬롯(42)에는 상기 제1고정구(40)를 상기 와이어이동헤드(30)에 장착시키기 위한 체결볼트(45)가 체결된다. 상기 체결볼트(45)의 헤드는 상기 가이드슬롯(42)의 폭 보다 크게 형성된다. 상기 체결볼트(45)의 체결위치에 따라 상기 제1고정구(40)와 제2고정구(50) 사이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제1고정구(40)의 외주면에는 상기 와이어(W)와의 마찰력을 증가시키기 위한 미끄럼방지부(49)가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미끄럼방지부(49)는 상기 제1고정구(40)의 외주면에서 돌출되어 형성되는 톱니형상이다. 그러나 반드시 그러한 것은 아니고, 와이어(W)의 피복을 견고하게 압착할 수 있는 요철 형상이면 충분하다.
상기 제1고정구(40)와 소정 간격 이격되게는 제2고정구(50)가 구비된다. 상기 제2고정구(50)도 대략 원판형상이다. 상기 제2고정구(50)는 회전축(52)에 의해 상기 와이어이동헤드(30)의 일면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된다. 상기 회전축(52)은 편심된 위치에 형성된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제2고정구(50)가 정원판이며, 상기 제2고정구(50)의 회전중심(56)이 편심되는 것이다. 상기 제2고정구(50)의 회전중심(56)이 편심되므로, 상기 제2고정구(50)가 상기 제1고정구(40)를 향하여, 즉 도면상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됨에 따라 상기 제1고정구(40)와의 사이 간격이 점점 좁아지도록 된다.
상기 제2고정구(50)의 외주면을 둘러서는 와이어(W)의 피복을 견고하게 압착 할 수 있도록 미끄럼방지부(59)가 형성된다. 상기 미끄럼방지부(59)는 상기 제2고정구(50)의 외주면에서 돌출되어 형성되는 톱니형상이다.
한편, 상기 제2고정구(50)의 외주면 일측에는 손잡이부(57)가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손잡이부(57)는 상기 제2고정구(50)를 회전시키기 위해 사용자가 손으로 잡는 부분이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인장시험용 와이어 척의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에는 와이어(W)가 도시되어 있는데, 도면에서 생략된 상기 와이어(W)의 단부에는 커넥터 하우징에 결합된 터미널이 연결된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커넥터하우징은 고정헤드에 고정되어 있는 상태이다.
이러한 상태에서 작업자는 상기 와이어(W)를 상기 와이어이동헤드(30)에 구비된 와이어 척(35)으로 압착하여 고정시킨다. 즉, 상기 와이어(W)를 도 4와 같이 제1고정구(40)와 제2고정구(50) 사이에 위치시키고, 도 5와 같이 상기 손잡이부(57)를 도면을 기준으로 시계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때 상기 제2고정구(50)가 편심된 상태로 회전되므로 상기 제1고정구(40)와의 사이 간격이 점점 좁아지게 된다. 그러면, 상기 제1고정구(40)와 제2고정구(50) 사이에 위치한 상기 와이어(W)가 상기 제1고정구(40)와 제2고정구(50)에 의해 압착되어 고정된다.
이 상태에서 작업자는 상기 와이어이동헤드(30)를 상기 고정헤드에서 멀어지도록 이동시킨다. 도 5에는 상기 와이어이동헤드(30)의 이동방향이 화살표로 표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와이어이동헤드(30)가 상기 고정헤드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동안, 상기 와이어(W)가 상기 제1 및 제2고정구(40, 50)에 대하여 상기 와이어이동헤드(30)의 이동방향과 반대방향으로 반작용힘을 가한다. 그리고 이러한 반작용힘에 의하여 상기 와이어(W)를 압착하고 있는 제2고정구(50)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된다. 따라서 상기 와이어이동헤드(30)를 이동시킴에 따라 상기 제2고정구(50)가 상기 와이어(W)를 더욱 조이게 되어 상기 와이어(W)가 당겨지는 한 상기 제1 및 제2고정구(40, 50)의 압착이 견고하게 유지된다. 이 상태에서 상기 와이어이동헤드(30)를 계속 이동시키고, 상기 터미널이 상기 커넥터하우징에서 분리되는 순간의 힘을 측정하여 터미널유지력을 계산한다.
이와 같이, 와이어(W)가 당겨지는 동안 상기 제1고정구(40)와 상기 제2고정구(50)에는 상기 제1고정구(40)와 상기 제2고정구(50)의 사이 간격이 좁아지도록 힘이 가해져, 상기 제2고정구(50)가 상기 와이어(W)를 더욱 강하게 압착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와이어(W)가 당겨지는 동안 와이어(W)가 와이어 척(35)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이 방지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2고정구(50)가 회전됨에 따라 상기 제1고정구(40)와의 사이 간격이 달라지므로 제1 및 제2고정구(40, 50)의 장착위치를 변경시키지 않고서도 다양한 굵기의 와이어(W)를 견고하게 압착시킬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제1고정구(40)에 가이드슬롯(42)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슬롯(42)에 체결되는 체결볼트(45)의 체결위치에 따라 상기 제1고정구(40)와 상기 제2고정구(50) 사이의 최단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2고정구(50)와 상기 제1고정구(40)의 사이의 최단 간격이 측정 대상인 와이어(W)의 굵기보다 큰 경우에, 상기 체결볼트(45)를 풀어 상기 제1고정구(40)를 상기 제2고정구(50)를 향해 이동시킨 후 다시 체결볼트(45)를 체결하여 상기 제1고정구(40)와 제2고정구(50) 사이의 최단 간격을 줄일 수 있다.
그리고 이와 반대로, 상기 제2고정구(50)와 제1고정구(40) 사이의 최단 간격이 측정 대상인 와이어(W)의 굵기보다 작아 와이어(W)를 고정시키기 어려울 경우에는, 상기 제1고정구(40)를 상기 제2고정구(50)로 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킨 상태에서 상기 제1고정구(40)를 체결볼트(45)에 의해 고정시킨다. 그러면 상기 제1고정구(40)와 제2고정구(50) 사이의 최단 간격이 벌어지게 되어 굵은 와이어(W)의 고정 작업이 쉽게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을 자명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2고정구(50)가 정원판으로 형성되고, 제2고정구(50)의 회전중심이 편심되어 있는 구성을 설명하였으나, 반드시 그러한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제2고정구에 회전중심으로부터 가장자리의 거리가 연속적으로 길어지도록 캠부가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의한 인장기의 구성을 보인 부분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인장시험용 와이어 척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실시예에서 와이어가 고정되어 있는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 실시예에서 와이어가 고정되는 과정을 보인 동작상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30: 와이어이동헤드 35: 와이어 척
40: 제1고정구 42: 가이드슬롯
45: 체결볼트 49: 미끄럼방지부
50: 제2고정구 52: 회전축
56: 회전중심 57: 손잡이부
59: 미끄럼방지부 W: 와이어

Claims (7)

  1. 커넥터홀더에 대하여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와이어이동헤드의 일면에 장착되는 제1고정구;
    상기 와이어이동헤드의 일면에 상기 제1고정구와 소정 간격 이격되어 장착되고, 일측을 중심으로 상기 제1고정구를 향해 회전되어 상기 제1고정구와의 사이 간격을 좁아지게 하여 와이어를 압착시키는 제2고정구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인장시험용 와이어 척.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이동헤드가 이동함에 따라 상기 와이어가 상기 와이어이동헤드의 이동방향과 반대방향으로 당겨지고,
    상기 제1고정구 및 제2고정구에는 상기 와이어가 당겨짐에 의해 상기 제1고정구 및 제2고정구의 사이 간격이 좁아지는 방향으로 힘이 가해짐을 특징으로 하는 인장시험용 와이어 척.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고정구의 회전중심은 편심됨을 특징으로 하는 인장시험용 와이어 척.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고정구는 회전중심으로부터 가장자리의 거리가 연속적으로 길어지는 캠부를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인장시험용 와이어 척.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고정구에는 내부를 관통하여 가이드슬롯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슬롯에는 상기 제1고정구와 제2고정구의 사이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체결볼트가 체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인장시험용 와이어 척.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2고정구의 일측에는 상기 제2고정구를 회전시키기 위한 손잡이부가 돌출되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인장시험용 와이어 척.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고정구 및 제2고정구의 외주면에는 와이어와의 마찰력을 증가시키기 위한 요철형상의 미끄럼방지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인장시험용 와이어 척.
KR1020070115057A 2007-11-12 2007-11-12 인장시험용 와이어 척 KR2009004894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5057A KR20090048940A (ko) 2007-11-12 2007-11-12 인장시험용 와이어 척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5057A KR20090048940A (ko) 2007-11-12 2007-11-12 인장시험용 와이어 척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48940A true KR20090048940A (ko) 2009-05-15

Family

ID=408578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15057A KR20090048940A (ko) 2007-11-12 2007-11-12 인장시험용 와이어 척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48940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49306B1 (ko) * 2017-12-05 2018-04-16 박영견 인장강도시험기용 물림블록유니트
KR101864728B1 (ko) * 2017-11-14 2018-06-07 박영견 인장강도시험기용 물림블록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4728B1 (ko) * 2017-11-14 2018-06-07 박영견 인장강도시험기용 물림블록
KR101849306B1 (ko) * 2017-12-05 2018-04-16 박영견 인장강도시험기용 물림블록유니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676297B2 (ja) バネ接続部材と小型のアクチュエータとを備える電気的な接続デバイス、および複数の当該バネのコンタクトを備える多極プラグコネクタ
RU2398323C2 (ru) Двойной обжимной инструмент
CN103545691B (zh) 用于车削接触件的压接工具
US6671944B2 (en) Multipurpose coaxial cable tool
US3028776A (en) Crimping tool with adjusting means
KR20090048940A (ko) 인장시험용 와이어 척
US5063770A (en) Crimping tool
US3504417A (en) Locator in a crimping tool for an electrical connector
JP2021519499A (ja) 電気ケーブルのシールド導体を接地部分に接続するための接続装置
JP7147365B2 (ja) フェーダー装置
WO2012017806A1 (ja) 圧着端子
US2763847A (en) Cam clamp for back wiring connection
JP2002050341A (ja) バッテリターミナル
KR20080004358U (ko) 인장시험용 케이블홀더
TWM473629U (zh) 壓接鉗
JP2020098727A (ja) 端子接続方法、端子接続構造、端子及び工具
US20170104306A1 (en) Methods to use cable crimp and trim device
AU2011329616B2 (en) Connector assembly
CN112566000A (zh) 测试机构和测试设备
KR100838773B1 (ko) 터미널홀더
JPH05129039A (ja) 簡易操作型ターミナル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16510491A (ja) バスバーを接触させるための装置
KR102435702B1 (ko) 압착기용 다이스
US11565305B2 (en) Wire straightening tool
KR200235762Y1 (ko) 전선피복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