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48759A - 보조의류처리장치 - Google Patents

보조의류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48759A
KR20090048759A KR1020070114783A KR20070114783A KR20090048759A KR 20090048759 A KR20090048759 A KR 20090048759A KR 1020070114783 A KR1020070114783 A KR 1020070114783A KR 20070114783 A KR20070114783 A KR 20070114783A KR 20090048759 A KR20090048759 A KR 200900487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rment
processing apparatus
clothing processing
frame
cloth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147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30456B1 (ko
Inventor
김명식
전호일
한종희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1147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30456B1/ko
Priority to CN2008102131859A priority patent/CN101349001B/zh
Priority to PCT/KR2008/006628 priority patent/WO2009064096A2/en
Priority to DE102008056697A priority patent/DE102008056697B4/de
Priority to DE102008064737.3A priority patent/DE102008064737B3/de
Priority to US12/269,625 priority patent/US20090126421A1/en
Priority to FR0857638A priority patent/FR2923498B1/fr
Publication of KR200900487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487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304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304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10Drying cabinets or drying chambers having heating or ventilating mea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9/00Combinations of a washing machine with other separate apparatus in a common frame or the like, e.g. with rinsing apparatu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3Laundry conditioning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73/00Apparatus for smoothing or removing creases from garments or other textile articles by formers, cores, stretchers, or internal frames, with the application of heat or steam 
    • D06F73/02Apparatus for smoothing or removing creases from garments or other textile articles by formers, cores, stretchers, or internal frames, with the application of heat or steam  having one or more treatment chambers

Abstract

본 발명은 보조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보조의류처리장치는 외관을 형성하며 일측에 개구부가 형성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개구부를 따라 인입 및 인출 가능하게 설치되며 의류가 거치되는 이동프레임; 및 상기 이동프레임에 구비되어 상기 의류를 향해 열풍을 공급하는 열풍공급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보조의류처리장치에 의하면, 의류에 발생한 구김을 효과적으로 제거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의류, 처리, 열풍, 구김

Description

보조의류처리장치{Supplemental cloth treating apparatus}
본 발명은 보조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의류에 발생하는 구김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보조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류처리장치는 의류의 세탁을 수행하는 세탁기 또는 세탁을 완료한 의류를 건조시키는 건조기 등으로 이루어진다. 최근에는 이러한 세탁기 및 건조기를 묶어서 하나의 복합적인 의류처리장치로 사용하는 경우가 늘고 있다.
이 경우, 상기 세탁기 및 건조기를 인접하게 배치하여 사용하게 되는데, 특히, 세탁기 및 건조기의 하부, 또는 세탁기 및 건조기 사이의 공간에 의류를 수용하는 보조의류처리장치를 더 구비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보조의류처리장치는 세탁기 및 건조기의 하부에 위치하여 세탁기 및 건조기를 지면에서 소정간격 상승시킴으로써 사용자가 조작하기에 편리하도록 한다. 또한, 세탁기 및 건조기 사이의 공간에 보조의류처리장치를 구비하는 경우, 의류를 보관하는 용도로 활용할 수 있다.
그런데, 세탁 및 건조를 마친 의류는 세탁 및 건조 과정에서 의류처리장치의 내부의 드럼과의 마찰 등에 의해 옷감에 어느 정도 구김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 서, 세탁 및 건조를 마친 의류를 직접 사용자가 착용하는 것은 곤란하며, 별도의 다림질 과정을 거쳐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의류에 스팀을 분사하여 의류의 구김을 제거할 수 있는 보조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의류에 인장력을 가하여 스팀을 분사함으로써, 의류의 구김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보조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외관을 형성하며 일측에 개구부가 형성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개구부를 따라 인입 및 인출 가능하게 설치되며 의류가 거치되는 이동프레임; 및 상기 이동프레임에 구비되어 상기 의류를 향해 열풍을 공급하는 열풍공급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의류처리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보조의류처리장치는 상기 이동프레임에 거치되는 의류에 인장력을 가해주는 인장력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인장력수단은 상기 의류의 상하 방향으로 인장력을 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이동프레임은 상기 의류가 거치되는 상부프레임; 상기 열풍공급장치가 내측에 구비되는 하부프레임; 및 상기 상부 및 하부프레임을 연결하는 측면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이동프레임은 상기 측면프레임의 일측에 상기 개구부를 밀폐하는 도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인장력수단은 상기 상부프레임에 구비되어 상기 의류의 상부를 지지하는 옷걸이부재; 및 상기 하부프레임에 구비되어 상기 의류의 하부를 지지하는 지지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옷걸이부재 및 지지부재는 서로 간에 거리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상기 옷걸이부재는 의류가 거치되는 날개부; 및 상기 날개부에서 수직한 방향을 따라 승강 또는 하강하며, 일단이 상기 상부프레임에 고정되는 수직바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하부프레임에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케이스; 및 상기 케이스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의류의 하부를 선택적으로 고정하는 고정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보조의류처리장치는 상기 상부프레임과 하부프레임 사이에 구비되어 의류를 얹어놓을 수 있는 하나 이상의 건조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건조부재의 상부에는 미끄럼방지부재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건조부재는 상기 측면프레임에 양단부가 회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열풍공급장치는 상기 하부프레임에 구비되어 상기 의류의 하부 또는 상기 의류의 하부 및 측면에서 열풍을 공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보조의류처리장치는 상기 의류를 향해 선택적으로 스팀을 분사하는 스팀발생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스팀발생장치는 상기 의류의 하부에서 스팀을 공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상기 스팀발생장치는 상기 이동프레임에 구비되어 물을 수용하는 저장부; 상기 저장부에서 공급되는 물을 가열하여 스팀을 생성하는 스팀발생기; 및 상기 스팀발생기에서 생성 된 스팀을 상기 의류를 향해 분사하는 분사노즐;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저장부는 상기 상부프레임에 구비되고, 상기 스팀발생기는 상기 하부프레임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분사노즐은 상기 하부프레임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상기 저장부는 상기 상부프레임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외관을 형성하며 일측에 개구부가 형성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개구부를 따라 인입 및 인출 가능하게 설치되어 의류가 거치되며, 적어도 일측면이 개구된 드로워; 및 상기 의류를 향해 열풍을 공급하는 열풍공급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의류처리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보조의류처리장치는 의류에 스팀을 분사하여 의류에 생긴 구김을 제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의류에 인장력을 가하여 스팀을 분사하여 의류에 생긴 구김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보조의류처리장치(10)가 다른 의류처리장치(20, 30)와 함께 배치된 상태의 복합의류처리장치(100)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복합의류처리장치(100)는 의류를 처리하는 하나 이상의 의류처리장치(80, 90)와, 의류처리장치(80, 90)에 인접하여 위치하는 보조의류처리장치(1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의류처리장치(80, 90)는 하나 이상 구비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세탁기(80) 및 건조기(90)의 한 쌍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의류처리장치(80, 90)를 하나 구비하는 경우, 세탁을 수행하는 세탁기, 또는 건조기능을 갖춘 건조겸용 세탁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의류처리장치(80, 90)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일측 의류처리장치(80)는 세탁기, 타측 의류처리장치(90)는 건조기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보조의류처리장치(10)는 의류처리장치(80, 90)가 한 쌍으로 구성되는 경우, 세탁기(80) 및 건조기(90) 사이의 공간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 의류처리장치가 하나로만 구성된다면, 보조의류처리장치(10)는 의류처리장치의 일측에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한편, 보조의류처리장치(10)에 대해서 상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보조의류처리장치(10)는 의류가 수용되며 개구부(도 2 참조, 13)가 형성된 하우징(12), 하우징(12)의 개구부(13)를 따라 인입 및 인출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이동부재 및 수용된 의류를 향해 열풍을 공급하는 열풍공급장치를 포함한다.
하우징(12)은 본 발명에 따른 보조의류처리장치(10)의 외관을 형성하며, 내부에 의류가 수용되는 수용공간이 형성된다. 또한, 하우징(12)의 전면부에는 개구 부(13)가 형성되어, 이동부재가 개구부(13)를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이동부재는 개구부(13)를 따라 인입 및 인출되어 개구부(13)를 선택적으로 개폐하게 된다. 사용자가 이동부재를 인입 및 인출시키기 편리하도록 이동부재의 전면부에는 손잡이(14)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하우징(12)의 전면부에는 보조의류처리장치(10)의 각종 동작을 제어하는 컨트롤 패널(18)이 구비된다. 사용자는 컨트롤 패널(18)을 조작하여 보조의류처리장치(10)를 제어하게 된다. 이하, 도 2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보조의류처리장치(10)의 내부 구성에 대해서 살펴보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보조의류처리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에서는 보조의류처리장치(10)의 내부 구성을 도시하기 위하여 이동부재(20)가 외부로 인출된 상태를 도시하였다.
도 2를 참조하면, 이동부재(20)는 의류를 거치할 수 있는 이동프레임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동프레임(20)은 개구부(13)를 따라 인입 및 인출하도록 구비되어 의류가 거치되는 역할을 하게 된다. 한편, 이러한 이동부재(20)는 도 2에 도시된 이동프레임뿐만 아니라, 비록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적어도 일측이 개구된 드로워 형상으로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동프레임(20)에 대해서 상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이동프레임(20)은 의류가 거치되는 상부프레임(22), 후술하는 열풍공급장치가 내측에 구비되는 하부프레임(24) 및 상부프레임(22) 및 하부프레임(24)을 연결하는 한 쌍의 측면프레임(26)을 포함한다. 여기서, 측면프레임(26)의 일측에는 개구부(13)를 선택 적으로 밀폐하는 도어부(14)를 구비한다. 도어부(14)는 이동프레임(20)이 개구부(13)의 내측으로 인입되는 경우에 개구부(13)에 접하여 개구부(13)를 폐쇄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보조의류처리장치(10)는 이동프레임(20)에 거치되는 의류에 인장력을 가하는 인장력수단을 구비한다. 상기 인장력수단은 상부프레임(22)에 거치되는 의류에 상하 방향으로 인장력을 가하여 의류에 소정의 장력(tension)을 가하게 된다. 이는 의류에 후술하는 바와 같이 스팀을 분사하는 경우에 의류에 생긴 구김을 보다 효과적으로 제거하기 위함이다.
즉, 의류에 스팀을 분사하여 구김을 제거하고자 하는 경우, 의류가 단순히 거치된 상태에서 스팀을 분사하는 경우에 비하여 의류에 인장력을 가하여 의류가 팽팽히 당겨진 상태에서 스팀을 분사하는 것이 구김을 제거하는데 훨씬 효과적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보조의류처리장치(10)는 내부에 수용되는 의류에 인장력을 가하는 인장력수단을 구비하게 된다.
상기 인장력수단은 구체적으로 상부프레임(22)에 구비되어 의류의 상부를 지지하는 옷걸이부재(30) 및 하부프레임(24)에 구비되어 의류의 하부를 지지하는 지지부재(40)를 포함한다. 여기서, 옷걸이부재(30) 및 지지부재(40)는 서로 간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도록 상부프레임(22) 및 하부프레임(24)에 각각 설치된다. 즉, 의류의 상부 및 하부를 각각 옷걸이부재(30) 및 지지부재(40)에 고정하여 두고, 옷걸이부재(30) 및 지지부재(40) 사이의 거리를 조절함으로써 의류에 상하 방향으로 인장력을 가하게 된다. 이하, 옷걸이부재(30) 및 지지부재(40)의 구체적인 구성에 대해서 살펴본다.
도 3은 도 2에서 옷걸이부재(30)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옷걸이부재(30)는 의류가 거치되는 한 쌍의 날개부(32) 및 날개부(32)에서 수직한 방향을 따라 승하강하는 수직바(34)를 포함한다.
날개부(32)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칭적으로 좌우로 연장 형성되어 의류가 거치되는 역할을 하게 된다. 날개부(32)의 형상은 한정되지 않지만, 후술하는 바와 같이 스팀을 하부에서 공급하는 경우에 의류와 스팀의 접촉면적을 넓이기 위하여 소정 길이 이상의 폭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날개부(32)가 소정 길이 이상의 폭을 갖게 되면, 날개부(32)에 거치되는 의류는 앞뒤로 벌려진 상태로 거치되므로, 하부에서 공급되는 스팀이 의류 내부로 좀더 많이 유입되어 의류와 스팀의 접촉면적을 넓힐 수 있게 된다.
또한, 날개부(32)의 중앙 하부에는 의류가 거치되는 경우에 의류의 배면측을 지지하는 연장부(33)가 형성된다. 연장부(33)는 한 쌍의 날개부(32)의 중앙에서 하부를 향해 연장 형성되어, 의류, 예를 들어 와이셔츠 등의 의류가 거치되는 경우에 와이셔츠의 등 부분을 지지하여 의류가 처지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한편, 한 쌍의 날개부(32)의 중앙 상부에는 상부프레임(도 2 참조, 22)에 일단이 고정되며, 날개부(32)와의 거리조절이 가능하도록 수직바(34)를 구비한다. 수직바(34)는 중앙부에 관통홀(35)이 형성되어, 상부프레임(22)에 형성된 고정바(도 2 참조, 23)가 관통홀(35)을 관통하여 위치함으로써 옷걸이부재(30)를 상부프레임(22)에 고정하게 된다.
또한, 수직바(34)는 날개부(32)와의 거리 조절이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이는 전술한 바와 같이 옷걸이부재(30) 및 지지부재(40) 사이의 거리를 조절하여 의류에 인장력을 가하기 위함이다. 이러한 수직바(34)의 거리조절이 가능한 구성은 다양하게 구현이 가능하며, 이하 일 실시예에 대해서 살펴보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옷걸이부재(30)에서 수직바(34)와 날개부(32)의 연결구조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수직바(도 3 참조, 34)의 하부에는 연결바(36)가 연장 형성되고, 날개부(도 3 참조, 32)에는 스프링(31)에 의해 탄성력을 받는 버튼부(38)가 형성될 수 있다. 연결바(36)에는 외주를 따라 좌우로 평행하게 형성된 결합홈(37)이 수직한 방향으로 다수개 연속되어 형성되고, 버튼부(38)에는 결합홈(37)에 선택적으로 삽입되는 삽입부(39)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삽입부(39)는 버튼부(38)의 일단에 형성되고, 버튼부(38)의 타단부에는 스프링(31)이 구비된다. 또한, 버튼부(38)는 회전축(50)을 중심으로 회동가능하도록 구비된다.
또한, 날개부(32)의 내측에는 연결바(36)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재(52)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사용자가 수직바(34)와 날개부(32) 사이의 거리를 조절하는 경우에, 연결바(36)는 가이드부재(52)에 의해 좌우측 방향으로 이동이 방지되어 안정적으로 수직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며, 삽입부(39)가 결합홈(37)에 견고하게 삽입되어 연결바(36)가 고정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수직바(34)와 날개부(32)의 거리를 조절하고자 하는 경우, 버튼부(38)를 눌러 버튼부(38)를 회동시켜 삽입부(39)를 결합홈(37)에서 인출하고, 수직바(34)와 날개부(32)와의 거리를 조절한다. 이어서, 수직바(34)와 날개부(32) 사이의 거리를 조절한 다음, 버튼부(38)를 누르는 힘을 제거하여 스프링(31)의 탄성력에 의해 버튼부(38)가 다시 회동하여 삽입부(39)가 결합홈(37)에 삽입되어 수직바(34)와 날개부(34) 사이의 거리가 고정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수직바(34)와 날개부(32) 사이의 거리를 조절하는 구성은 일 예를 들어 설명한 것이며,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변형되어 구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하, 지지부재에 대해서 살펴본다.
도 5는 도 2에서 지지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지지부재(40)는 하부프레임(24)에 상하로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케이스(42) 및 케이스(42)의 상부에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의류의 하부를 고정하는 고정부재(46)를 포함한다.
여기서, 케이스(42)는 적어도 상부가 개방된 형상을 가지며, 내측에 고정부재(46)가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케이스(42)는 하부프레임(24)에 형성된 지지홈(25)에 안착되며, 지지홈(25)에서 거리조절이 가능하도록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러한 케이스(42)의 거리 조절이 가능한 구성은 다양하게 구현이 가능한데, 예를 들어 케이스(42)의 하부에서 연장 형성된 연결바(43)의 외부에 다수개의 결합홈이 형성되고, 하부프레임(24)에는 결합홈에 삽입되는 삽입부(미도시)를 구비하는 버튼부(44)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는 전술한 옷걸이부재(도 3 참조, 30)의 날개부(32)와 수직바(34) 사이의 거리 조절 구성과 유사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케이스(42)의 상부에는 고정부재(46)가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고정부재(46)는 의류를 고정하는 고정위치와 의류를 고정하지 않는 풀림위치 사이를 따라 회동하여 의류의 하부를 고정하게 된다.
도 6은 고정부재(46)가 풀림위치에 위치한 경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고정부재(46)는 회동축(47)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고정부재(46)가 풀림위치에 위치한 경우, 고정부재(46)의 일단부(A)는 케이스(42)의 내면과 소정 간격 이격되어 위치한다. 따라서, 옷걸이부재(도 2 참조, 30)에 의류를 거치하는 경우에 의류의 하단부는 케이스(42)의 내측면과 고정부재(46)의 일단부(A) 사이에 위치하여 하단부가 고정되지 않게 된다.
이어서, 의류에 인장력을 가할 필요가 있는 경우, 사용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부재(46)를 고정위치로 회동시켜 고정부재(46)의 일단부(A)와 케이스(42)의 내측면 사이에 의류의 하단부를 고정하게 된다. 이 경우, 고정부재(46)를 도 7에서 반시계방향으로 강제로 힘을 가하여 회전시킴으로써, 고정부재(46)가 회동축(47)과 케이스(42)의 내측에 억지끼움방식으로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옷걸이부재(30)에 거치된 의류는 상부가 날개부(도 3 참조, 32)에 의해 지지되고, 하단부는 지지부재(40)에 의해 지지된다. 이 상태에서 의류에 상하방향으로 인장력을 가할 필요가 있는 경우, 사용자는 옷걸이부재(30)의 수직바(34)와 날개부(32) 사이의 거리를 줄이거나, 또는 지지부재(40)의 케이스(42)와 하부프레임(24) 사이의 거리를 줄임으로써 의류에 상하방향으로 인장력을 가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보조의류처리장치(1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옷걸이부재(30)와 지지부재(40) 사이에 고정된 의류에 선택적으로 스팀을 가하는 스팀발생장치(도 8 참조, 60)와, 열풍을 공급하는 열풍공급장치(미도시)를 포함한다.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스팀발생장치(60)와 열풍공급장치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2를 다시 참조하면, 열풍공급장치는 이동프레임(20) 또는 하우징(12)의 내측 어디에도 구비될 수 있지만, 의류에 열풍을 보다 효과적으로 공급하기 위하여 이동프레임(20)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열풍은 가열되어 상승하려는 성질을 갖게 되므로, 열풍이 공급되는 열풍공급노즐(70)은 이동프레임(20)의 하부프레임(24) 또는 측면프레임(26)의 하부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열풍공급노즐(70)에서 공급된 열풍은 상승하여 의류에 접하게 되며, 의류를 적당한 온도로 유지하여 리프레쉬효과를 발휘하게 된다.
이러한 열풍공급장치는 다양하게 구현되는 것이 가능하다. 즉, 예를 들어, 하부프레임(24)의 내측에 팬(미도시) 및 히터(미도시)를 구비하여, 팬의 구동에 의해 하부프레임(24)의 내측으로 유입된 공기를 히터에 의해 가열하여 열풍공급노즐(70)을 통하여 의류를 향해 공급하는 것이 가능하다. 의류와 접하여 온도가 낮아진 공기는 다시 팬에 의해 하부프레임(24)의 내측으로 공급되어 순환하게 된다.
한편, 또 다른 예에서 상기 열풍공급장치는 팬 및 히트펌프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히트펌프는 냉매가 유동하는 압축기, 응축기, 팽창밸브 및 증발기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팬의 구동에 의해 유입된 공기는 응축기 및 압축기를 지 나면서 냉매와의 열교환에 의해 가열되어 의류를 향해 공급된다. 의류와 접하여 온도가 낮아진 공기는 다시 팬에 의해 하부프레임(24)의 내측으로 공급되어 순환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보조의류처리장치는 내부에 수용된 의류에 발생한 구김을 제거하기 위하여 선택적으로 스팀을 분사하는 스팀발생장치(60)를 구비한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스팀발생장치(60)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스팀발생장치(60)는 물을 수용하는 물 저장부(62), 물 저장부(62)에서 공급되는 물을 가열하여 스팀을 생성하는 스팀발생기(64) 및 스팀발생기(64)에서 생성된 스팀을 의류를 향해 분사하는 스팀분사노즐(66)을 포함한다.
물 저장부(62)는 스팀 생성에 필요한 물을 스팀발생기(64)로 공급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물 저장부(62)는 하부프레임(도 2 참조, 24)에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지만, 바람직하게는 상부프레임(도 2 참조, 22)에 구비된다. 이와 같이 물 저장부(62)가 상부프레임(22)에 위치되면, 스팀발생기(64)를 하부프레임(24)에 구비하여 수주차에 의해 물 저장부(62)의 물을 스팀발생기(64)로 공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이와 같은 구성에서는 물 저장부(62)에서 스팀발생기(64)로 물을 공급하기 위한 별도의 펌프를 필요로 하지 않으며, 밸브와 같이 개폐조절유닛(68)을 구비하는 것으로 물 공급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물 저장부(62)는 상부프레임(22)에 고정되어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지만, 바람직하게는 착탈 가능하게 구비된다. 즉, 물 저장부(62)는 상부프레임(22)에 구비된 도어(21)를 통해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어, 물 저장부(62)의 물이 부족하 게 되면 사용자가 물 저장부(62)만을 상부프레임(22)에서 분리하여 물을 채우고 물 저장부(62)를 다시 장착함으로써 간단하게 물을 공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스팀발생기(64)는 전술한 바와 같이 하부프레임(24)에 구비되어, 내부에 물을 수용할 수 있는 소정의 체적을 가지는 케이스(65)로 이루어지며, 내부 일측에는 수용된 물을 가열하는 히터(미도시)를 구비한다. 따라서, 히터에 의해 물을 가열하여 스팀을 생성하며, 생성된 스팀은 스팀공급라인(67)을 따라 스팀분사노즐(66)로 공급된다. 또한, 스팀공급라인(67)에는 제어부에 의해 선택적으로 개폐되는 밸브(68)를 구비할 수 있다. 제어부는 밸브(68)를 개방 또는 폐쇄하여 스팀분사노즐(66)로 공급되는 스팀을 제어하거나, 또는 스팀의 양을 제어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스팀발생기(64)에 물이 충분히 공급되는지를 감지하기 위하여 수위센서(61)를 구비하거나, 스팀발생기(64)의 고장 또는 오작동 등을 감지하기 위하여 온도센서(63)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수위센서 및 온도센서에서 감지된 값들은 제어부(미도시)로 전송되며, 제어부는 수위가 낮은 경우 물이 부족함을 알람 또는 경고등 등을 통하여 사용자에게 알리게 되며, 또한, 스팀발생기(64) 내부의 온도가 비정상적으로 높거나 낮은 경우에도 사용자에게 알리게 된다.
한편, 스팀분사노즐(66)는 이동프레임(20)의 하부프레임(24), 또는 측면프레임(26)의 하부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스팀은 고온이므로 상승하려는 성질을 갖게 된다. 따라서, 스팀분사노즐(66)이 상부프레임(22)에 위치하게 되면 상승하는 스팀의 성질 때문에 스팀이 의류에 접하는 면적이 줄어들게 된다. 따라서, 스팀분사노즐(66)은 하부프레임(24) 또는 측면프레임(26)의 하부에 구비되고, 스팀분사노즐(66)에서 분사되는 스팀은 상승하면서 의류에 접하게 되어 의류의 구김을 제거하게 된다.
한편,도 2에서 설명되지 않은 참조번호 55는 의류를 얹어놓을 수 있는 건조부재를 도시한다.
건조부재(55)는 상부프레임(22)과 하부프레임(24) 사이에 구비되어, 한 쌍의 측면프레임(26) 사이를 가로질러 수평한 방향으로 설치된다. 또한, 건조부재(55)는 단면이 타원형의 형상을 가지며 그 양단부가 측면프레임(26)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따라서, 옷걸이부재(30)에 거치할 수 없는 수건 또는 양말 등의 의류는 건조부재(55)의 상부에 올려놓아 열풍 및 스팀을 공급하게 된다.
이와 같이 건조부재(55)의 상부에 의류를 올려놓기 위해서는 도 2에서 건조부재(55)의 평평한 면이 상하부를 향하도록 화살표를 따라 회동시키며, 건조부재(55)의 상부에 의류를 올려놓을 필요가 없는 경우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평한 면이 측면을 향하도록 회동시키게 된다. 한편, 건조부재(55)의 평평한 면에는 의류를 올려놓는 경우에 미끄럼을 방지하는 미끄럼방지부재(57)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미끄럼방지부재(57)는 마찰력을 증대시키는 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의해, 건조부재(55)의 상부에 올려놓은 의류가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따른 보조의류처리장치(10)의 동작을 도면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사용자는 이동프레임(20)을 하우징(12)에서 인출하여 옷걸이부재(30)에 의류를 거치시킨다. 이 경우, 후속하는 과정에서 스팀을 분사하여 구김을 제거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옷걸이부재(30)와 지지부재(40)를 이용하여 의류에 상하 방향으로 인장력을 가한다. 즉, 의류의 하단부를 지지부재(40)에 고정시키고, 옷걸이부재(30)의 수직바(34)와 날개부(32) 사이의 거리를 줄이거나, 또는 지지부재(40)의 케이스(42)와 하부프레임(24) 간의 거리를 줄임으로써, 의류에 상하 방향으로 인장력을 가하게 된다. 이어서, 이동프레임(20)을 다시 하우징(12)으로 인입시키고 도어(14)에 의해 개구부(13)를 폐쇄하게 된다.
이어서, 컨트롤 패널(18)을 조작하여 보조의류처리장치(10)의 구동을 제어하게 된다. 컨트롤패널(18)의 조작에 의해 제어부는 열풍공급장치 및 스팀발생장치(60)를 제어하게 된다. 제어부는 열풍공급장치를 구동시켜 열풍을 공급하거나, 또는 스팀발생장치(60)의 스팀발생기(64)의 히터를 구동시켜 스팀을 생성하여 스팀분사노즐(66)을 통해 분사하게 된다. 이 경우, 의류의 하측에서 공급되는 열풍 및 스팀은 의류에 접하게 되어 의류를 리프레쉬할 뿐만 아니라, 상하로 당겨지는 의류에서 구김을 제거하게 된다.
선택된 코스에 따라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열풍 및 스팀을 분사하게 되면, 사용자는 다시 의류를 인출하여 착용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당업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스팀발생장치 및 열풍공급장치가 이동프레임에 구비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스팀발 생장치 및 열풍공급장치는 하우징의 일측에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스팀발생장치 및 열풍공급장치에서 연장된 스팀공급라인 및 열풍공급라인이 이동프레임의 각 분사노즐에 연결되어, 분사노즐을 통해 스팀 및 열풍을 공급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보조의류처리장치가 다른 의류처리장치와 인접하여 배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도 1에서 보조의류처리장치만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도 2에서 옷걸이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도 3에서 수직바와 날개부의 연결구조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5는 도 2에서 지지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6은 도 5에서 고정부재가 의류를 고정하지 않는 풀림위치에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7은 도 5에서 고정부재가 의류를 고정하는 고정위치에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및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보조의류처리장치의 스팀발생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Claims (38)

  1. 외관을 형성하며 일측에 개구부가 형성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개구부를 따라 인입 및 인출 가능하게 설치되며 의류가 거치되는 이동프레임; 및
    상기 이동프레임에 구비되어 상기 의류를 향해 열풍을 공급하는 열풍공급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의류처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프레임에 거치되는 의류에 인장력을 가해주는 인장력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의류처리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인장력수단은 상기 의류의 상하 방향으로 인장력을 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의류처리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프레임은,
    상기 의류가 거치되는 상부프레임;
    상기 열풍공급장치가 내측에 구비되는 하부프레임; 및
    상기 상부 및 하부프레임을 연결하는 측면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의류처리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프레임은 상기 측면프레임의 일측에 상기 개구부를 밀폐하는 도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의류처리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인장력수단은,
    상기 상부프레임에 구비되어 상기 의류의 상부를 지지하는 옷걸이부재; 및
    상기 하부프레임에 구비되어 상기 의류의 하부를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의류처리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옷걸이부재 및 지지부재는 서로 간에 거리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의류처리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옷걸이부재는,
    의류가 거치되는 날개부; 및
    상기 날개부에서 수직한 방향을 따라 승강 또는 하강하며, 일단이 상기 상부프레임에 고정되는 수직바를 포함한다.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하부프레임에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케이스; 및
    상기 케이스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의류의 하부를 선택적으로 고정하는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의류처리장치.
  10.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프레임과 하부프레임 사이에 구비되어 의류를 얹어놓을 수 있는 하나 이상의 건조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의류처리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부재의 상부에는 미끄럼방지부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의류처리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부재는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의류처리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부재는 상기 측면프레임에 양단부가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의류처리장치.
  14.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열풍공급장치는 상기 하부프레임에 구비되어 상기 의류의 하부 또는 상기 의류의 하부 및 측면에서 열풍을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의류처리장치.
  1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의류를 향해 선택적으로 스팀을 분사하는 스팀발생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의류처리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스팀발생장치는 상기 의류의 하부에서 스팀을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의류처리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스팀발생장치는,
    상기 이동프레임에 구비되어 물을 수용하는 저장부;
    상기 저장부에서 공급되는 물을 가열하여 스팀을 생성하는 스팀발생기; 및
    상기 스팀발생기에서 생성된 스팀을 상기 의류를 향해 분사하는 분사노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의류처리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는 상기 상부프레임에 구비되고, 상기 스팀발생기는 상기 하부프레임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보조의류처리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노즐은 상기 하부프레임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의류처리장치.
  20.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는 상기 상부프레임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의류처리장치.
  21. 외관을 형성하며 일측에 개구부가 형성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개구부를 따라 인입 및 인출 가능하게 설치되어 의류가 거치되며, 적어도 일측면이 개구된 드로워; 및
    상기 의류를 향해 열풍을 공급하는 열풍공급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의류처리장치.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열풍공급장치는 상기 드로워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의류처리장치.
  23.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드로워에 거치되는 의류에 인장력을 가해주는 인장력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의류처리장치.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인장력수단은 상기 의류의 상하 방향으로 인장력을 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의류처리장치.
  25.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인장력수단은,
    상기 드로워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의류의 상부를 지지하는 옷걸이부재; 및
    상기 드로워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의류의 하부를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의류처리장치.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옷걸이부재 및 지지부재는 서로 간에 거리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의류처리장치.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옷걸이부재는,
    의류가 거치되는 날개부; 및
    상기 날개부에서 수직한 방향을 따라 승강 또는 하강하며, 일단이 상기 상부프레임에 고정되는 수직바를 포함한다.
  28.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드로워 하부에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케이스; 및
    상기 케이스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의류의 하부를 선택적으로 고정하는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의류처리장치.
  29.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드로워에 구비되어 의류를 얹어놓을 수 있는 하나 이상의 건조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의류처리장치.
  30.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부재의 상부에는 미끄럼방지부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의류처리장치.
  31.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부재는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의류처리장치.
  3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열풍공급장치는 상기 의류의 하부 또는 상기 의류의 하부 및 측면에서 열풍을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의류처리장치.
  33.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의류를 향해 선택적으로 스팀을 분사하는 스팀발생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의류처리장치.
  34.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스팀발생장치는 상기 의류의 하부에서 스팀을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의류처리장치.
  35.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스팀발생장치는,
    상기 드로워에 구비되어 물을 수용하는 저장부;
    상기 저장부에서 공급되는 물을 가열하여 스팀을 생성하는 스팀발생기; 및
    상기 스팀발생기에서 생성된 스팀을 상기 의류를 향해 분사하는 분사노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의류처리장치.
  36.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는 상기 드로워의 상부에 구비되고, 상기 스팀발생기는 상기 드로워의 하부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의류처리장치.
  37. 제36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노즐은 상기 드로워의 하부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의류처리장치.
  38. 제36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는 상기 드로워 상부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의류처리장치.
KR1020070114783A 2007-11-12 2007-11-12 보조의류처리장치 KR1014304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4783A KR101430456B1 (ko) 2007-11-12 2007-11-12 보조의류처리장치
CN2008102131859A CN101349001B (zh) 2007-11-12 2008-09-19 辅助衣物处理装置
PCT/KR2008/006628 WO2009064096A2 (en) 2007-11-12 2008-11-11 Supplemental clothes treating apparatus
DE102008056697A DE102008056697B4 (de) 2007-11-12 2008-11-11 Ergänzendes Wäschebehandlungsgerät
DE102008064737.3A DE102008064737B3 (de) 2007-11-12 2008-11-11 Ergänzendes Wäschebehandlungsgerät
US12/269,625 US20090126421A1 (en) 2007-11-12 2008-11-12 Supplemental clothes treating apparatus
FR0857638A FR2923498B1 (fr) 2007-11-12 2008-11-12 Dispositif supplementaire de traitement d'articles textil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4783A KR101430456B1 (ko) 2007-11-12 2007-11-12 보조의류처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48759A true KR20090048759A (ko) 2009-05-15
KR101430456B1 KR101430456B1 (ko) 2014-08-18

Family

ID=402679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14783A KR101430456B1 (ko) 2007-11-12 2007-11-12 보조의류처리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090126421A1 (ko)
KR (1) KR101430456B1 (ko)
CN (1) CN101349001B (ko)
DE (2) DE102008056697B4 (ko)
FR (1) FR2923498B1 (ko)
WO (1) WO2009064096A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6956B1 (ko) * 2009-06-01 2014-05-19 더 프록터 앤드 갬블 캄파니 굴곡 강성을 증가시키기 위한 직물 재생 캐비닛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266740A9 (en) 2000-07-25 2007-11-22 Kendall James W Vertical laundry module
US11255040B2 (en) 2004-10-22 2022-02-22 Whirlpool Corporation Modular laundry system
US20070151306A1 (en) 2005-12-30 2007-07-05 Gilboe Kevin J Modular laundry system with work surface
US20070151303A1 (en) 2005-12-30 2007-07-05 Doyle Colleen M Modular laundry system with work surface having a functional element
US20070151304A1 (en) 2005-12-30 2007-07-05 Kendall James W Modular laundry system with work surface having a functional insert
US7913419B2 (en) * 2005-12-30 2011-03-29 Whirlpool Corporation Non-tumble clothes dryer
DE102007007354B4 (de) 2006-02-20 2013-10-10 Lg Electronics Inc. Wäschetrockner und Verfahren zur Steuerung
KR100830514B1 (ko) 2006-06-12 2008-05-21 엘지전자 주식회사 건조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276815B1 (ko) * 2006-08-29 2013-06-18 엘지전자 주식회사 페데스탈 건조기
US7997006B2 (en) * 2007-01-12 2011-08-16 Lg Electronics Inc. Laundry machine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1608760B1 (ko) 2008-04-30 2016-04-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ES2374767T3 (es) * 2008-04-30 2012-02-21 Lg Electronics Inc. Lavadora.
ATE533881T1 (de) * 2008-04-30 2011-12-15 Lg Electronics Inc Waschmaschine
USD617063S1 (en) * 2008-06-13 2010-06-01 The Procter & Gamble Company Fabric refreshing device
US20100299954A1 (en) * 2009-06-01 2010-12-02 Brian Joseph Roselle Fabric Refreshing Cabinet Device
US9410281B2 (en) * 2009-05-01 2016-08-09 Whirlpool Corporation Fabric treating systems and accessories
CA2761482C (en) * 2009-06-01 2014-09-23 The Procter & Gamble Company Fabric refreshing cabinet device comprising a passive heat management system
KR101295579B1 (ko) * 2011-11-15 2013-08-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597104B1 (ko) * 2014-12-19 2016-02-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KR102347850B1 (ko) * 2016-12-23 2022-01-06 삼성전자주식회사 세탁기
KR102367886B1 (ko) 2017-04-14 2022-02-2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 처리 장치
CN107313227A (zh) * 2017-06-22 2017-11-03 南通欧那电器有限公司 一种衣物护理机的舱门控制系统
WO2019037310A1 (zh) * 2017-08-25 2019-02-28 广东美的厨房电器制造有限公司 干衣机
CN109423870A (zh) * 2017-08-28 2019-03-05 天津市邦恒科技有限公司 一种加速衣服烘干的晾衣架
KR20200025946A (ko) * 2018-08-31 2020-03-10 삼성전자주식회사 의류 관리기 및 그 제어방법
EP3670727B1 (en) * 2018-12-21 2023-10-04 Electrolux Appliances Aktiebolag Coupling structure for laundry treatment appliances
CN113445290A (zh) * 2020-03-24 2021-09-28 青岛海尔洗衣机有限公司 一种熨烫模块及熨烫机
CN115404633A (zh) * 2021-05-28 2022-11-29 Lg电子株式会社 衣物处理装置
CN115404638A (zh) * 2021-05-28 2022-11-29 Lg电子株式会社 衣物处理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51190B2 (ja) * 1985-07-09 1995-06-05 エイム インダストリ−ズ オ−ストラリア リミテツド 自動アイロンかけ機
JPS63177899A (ja) * 1987-01-16 1988-07-22 宮田 幸男 洗濯物の乾燥方法とその装置
FR2669945B1 (fr) * 1990-11-29 1993-03-05 Allenbach Georges Cabine pour le defroissement et le sechage de vetements et articles en tricot ou autres textiles.
JPH04237000A (ja) * 1991-01-21 1992-08-25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乾燥収納装置
DE9102303U1 (ko) * 1991-02-27 1991-05-16 Brueske, Geb. Krampitz, Gisela, 4000 Duesseldorf, De
US5152077A (en) * 1991-08-16 1992-10-06 Liang Chao Jung Cloth drying machine
US5815961A (en) * 1996-06-26 1998-10-06 Whirlpool Corporation Clothes treating cabinet with inflatable hanger
KR20010113436A (ko) * 2000-08-16 2001-12-28 김점화 스팀 다림 장치
US20030126691A1 (en) * 2001-12-20 2003-07-10 Gerlach Christian Gerhard Friedrich Fabric article treating method and apparatus
KR200320956Y1 (ko) * 2003-04-14 2003-07-22 진방호 세탁물 건조기
FR2862071B1 (fr) * 2003-11-10 2008-03-14 Aby Zahreddine Dispositif pour secher et defroisser des pieces de tissu
KR20070114783A (ko) 2005-03-17 2007-12-04 가부시키가이샤 리코 신규 페놀 화합물, 가역성 감열 기록 매체, 가역성 감열기록 라벨, 가역성 감열 기록 부재, 화상 처리 장치 및화상 처리 방법
US7562543B2 (en) * 2005-12-30 2009-07-21 Whirlpool Corporation Vertical laundry module with backsplash
KR101366331B1 (ko) * 2007-06-13 2014-02-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건조장치 및 그 제어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6956B1 (ko) * 2009-06-01 2014-05-19 더 프록터 앤드 갬블 캄파니 굴곡 강성을 증가시키기 위한 직물 재생 캐비닛 장치
KR101386955B1 (ko) * 2009-06-01 2014-05-19 더 프록터 앤드 갬블 캄파니 굴곡 강성을 증가시키기 위한 직물 재생 캐비닛 장치
KR101386957B1 (ko) * 2009-06-01 2014-05-19 더 프록터 앤드 갬블 캄파니 굴곡 강성을 증가시키기 위한 직물 재생 캐비닛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FR2923498A1 (fr) 2009-05-15
CN101349001B (zh) 2011-08-03
DE102008056697B4 (de) 2013-07-25
WO2009064096A2 (en) 2009-05-22
CN101349001A (zh) 2009-01-21
DE102008064737B3 (de) 2016-08-25
WO2009064096A3 (en) 2010-11-11
DE102008056697A1 (de) 2009-05-20
FR2923498B1 (fr) 2012-05-04
KR101430456B1 (ko) 2014-08-18
US20090126421A1 (en) 2009-05-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90048759A (ko) 보조의류처리장치
KR101430457B1 (ko) 의류처리장치
KR101435798B1 (ko) 의류처리장치
KR101366273B1 (ko) 의류처리장치
KR100808199B1 (ko) 복합 의류 처리 장치
KR20120022364A (ko) 세탁장치
KR100774206B1 (ko) 복합 의류 처리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KR100813048B1 (ko) 리프레쉬 장치
EP2389474B1 (en) Clothes treating apparatus with liquid supply unit
KR20090102416A (ko) 세탁장치
KR100813049B1 (ko) 리프레쉬 장치
KR100808177B1 (ko) 리프레쉬 장치
KR100833867B1 (ko) 스팀건조기
KR100813050B1 (ko) 리프레쉬 장치 및 그의 운전 제어 방법
KR100808173B1 (ko) 리프레쉬 장치
KR101448629B1 (ko) 보조의류처리장치
KR100845844B1 (ko) 리프레쉬 장치
KR100873129B1 (ko) 세탁 장치
KR100857800B1 (ko) 스팀건조기
KR101177460B1 (ko) 의류처리장치 그 제어방법
KR20060095404A (ko) 리프레쉬 장치
KR20060095406A (ko) 세탁 장치
KR101208533B1 (ko) 건조기
KR100891660B1 (ko) 리프레쉬 장치
KR20060095403A (ko) 세탁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