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95406A - 세탁 장치 - Google Patents

세탁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95406A
KR20060095406A KR1020050017048A KR20050017048A KR20060095406A KR 20060095406 A KR20060095406 A KR 20060095406A KR 1020050017048 A KR1020050017048 A KR 1020050017048A KR 20050017048 A KR20050017048 A KR 20050017048A KR 20060095406 A KR20060095406 A KR 200600954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ace
unit
storage unit
water storage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170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흥명
안병환
최성봉
김혁덕
이득희
정성해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170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95406A/ko
Priority to PCT/KR2006/000696 priority patent/WO2006091057A1/en
Priority to CN2006800003573A priority patent/CN1969082B/zh
Priority to US11/628,193 priority patent/US20080256989A1/en
Publication of KR200600954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9540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10Drying cabinets or drying chambers having heating or ventilating means
    • D06F58/14Collapsible drying cabinets; Wall mounted collapsible hood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5/00Washing machines with receptacles, e.g. perforated, having a rotary movement, e.g. oscillatory movement, the receptacle serving both for washing and for centrifugally separating water from the laundry and having further drying means, e.g. using hot ai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9/00Combinations of a washing machine with other separate apparatus in a common frame or the like, e.g. with rinsing apparatus
    • D06F29/005Combinations of a washing machine with other separate apparatus in a common frame or the like, e.g. with rinsing apparatus the other separate apparatus being a drying applianc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3Laundry conditioning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6Heating arrangements, e.g. gas heating equipment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73/00Apparatus for smoothing or removing creases from garments or other textile articles by formers, cores, stretchers, or internal frames, with the application of heat or steam 
    • D06F73/02Apparatus for smoothing or removing creases from garments or other textile articles by formers, cores, stretchers, or internal frames, with the application of heat or steam  having one or more treatment chamb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6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related to auxiliary conditioning or finishing agents, e.g. filling level of perfume tanks
    • D06F2103/62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related to auxiliary conditioning or finishing agents, e.g. filling level of perfume tanks related to systems for water or steam used for conditioning or finish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Accessory Of Washing/Drying Machine, Commercial Washing/Drying Machine, Other Washing/Drying Machin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의류용 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의류 등의 주름을 제거함과 더불어 살균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구성된 새로운 형태의 의류용 리프레쉬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외관을 형성하며, 세탁물의 세탁 혹은, 건조가 이루어지는 세탁 장치의 저부에 구비되는 박스 형상의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내외로 인입출이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면이 개구된 상태로 그 내부는 수납 공간을 갖는 박스 형상의 수납부; 상기 수납부에 구비되며, 소정의 공간을 가지도록 형성된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 내에 선택적으로 장착되며 스팀 생성에 필요한 물이 저장되는 소정의 저장 공간을 가지는 물저장부와, 상기 물저장부 내에 저장된 물을 선택적으로 가열시켜 증발시키는 스팀 생성부와, 상기 베이스부의 상면을 선택적으로 폐쇄하는 커버부와, 상기 베이스부와 상기 커버 사이에 연결되고 접힘이 가능하게 형성되어 그 펼쳐짐이 이루어질 경우 리프레쉬 운전을 위한 소정의 공간을 형성하며 내부 공간의 선택적 개방이 가능한 바디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리프레쉬 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 장치를 제공한다.
리프레쉬 장치, 스팀 생성

Description

세탁 장치{washing machine}
도 1 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세탁 장치의 외관을 나타낸 사시도
도 2 는 도 1의 수납부에 리프레쉬 장치가 수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3 은 도 1의 수납부에 수납된 리프레쉬 장치가 펼쳐진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4 는 도 1의 장치의 보관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5 는 도 4의 Ⅰ-Ⅰ선 단면도
도 6 은 도 4의 배면도
도 7 은 도 4의 리프레쉬 장치의 사용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8 은 도 7의 Ⅱ-Ⅱ선 단면도
도 9 는 도 7의 배면도
도 10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프레쉬 장치의 다른 형태의 스팀 생성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요부 단면도
도 11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프레쉬 장치의 다른 형태를 나타낸 내부 단면도
도 12 내지 도 15 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리프레쉬 장치의 각 설치예를 나타낸 개략적인 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베이스부 110. 장착구
130. 개폐 도어 140. 조작 패널
150. 스팀 공급부 151. 판독부
170. 물저장부 171. 열전도판
172. 돌출부 211,225. 안착부
212,222. 전열코일 213,223. 컨트롤러
224. 전원연결단자 300. 커버부
310. 홀더바 320. 배출구
400. 바디부 500. 서포터부
600. 구획부 10. 세탁 장치
30. 케이스 40. 수납부
본 발명은 의류용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의류 등의 주름을 제거함과 더불어 살균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구성된 새로운 형태의 의류용 리프레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류용 장치라 함은 의류에 관련된 각종 작업을 수행하는 기기로써 의류를 세탁하는 세탁기와, 젖은 의류를 건조하는 건조기 등 많은 기기 등이 포 함된다.
상기한 각종 의류용 장치 중 건조기는 세탁물이 일괄적으로 투입된 상태로 건조 과정이 진행되기 때문에 엉켜진 부위에 대한 원활한 건조가 이루어지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뿐만 아니라, 종래의 건조기는 그 내부에서 장시간 보존될 경우 주름이 심화되어 반드시 다림질이 필요시되었던 불편함을 가지며, 의류 등의 보관이 불가능하였다.
이에 최근에는 건조 용량을 확대하고, 장시간의 보관도 가능하도록 한 새로운 건조 장치에 대한 요구가 이루어졌으며, 미국특허출원공개 US2004/0194339 A1 및 US2004/0154194 A1과 같이 드럼식 건조기에 별도의 건조 캐비넷을 더 구비된 혼합식 건조기가 제공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혼합식 건조기는 회전되는 드럼을 가지는 일반적인 드럼식 건조기의 상측에 각종 세탁물의 수납 공간을 가지면서 열풍을 공급받는 건조 캐비넷이 장착되어 이루어진 건조 기기이다.
이 때, 상기 건조 캐비넷은 상기 드럼식 건조기로부터 열풍을 공급받아 그 내부에 수납되는 의류 등을 건조시키거나 장시간 보관하는데 사용된다.
하지만, 전술한 건조 캐비넷은 반드시 상기 드럼식 건조기와 일체로 구성되어야만 그 동작이 가능하다는 문제점을 가진다.
이는, 상기 건조 캐비넷가 드럼식 건조기와 결합되어 있어야만 고온의 열풍을 공급받을 수 있기 때문이다.
이로 인해, 상기 건조 캐비넷은 상기 드럼식 건조기와 독립적으로 사용되지 못하고 항상 혼합식 건조기의 전체 전원이 인가된 상태에서 상기 건조 캐비넷에 대한 제어가 이루어질 수 밖에 없었다.
또한, 전술한 혼합식 건조기의 건조 캐비넷은 의류에 대한 주름 제거와 살균 등을 위한 리프레쉬 운전이 별도로 존재하지 않았기 때문에 단시간의 의류 보관에는 부적합하다는 문제점을 가진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에 대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의류에 대한 단시간의 보관이 가능함과 더불어 그 보관시 해당 의류의 주름 제거와 살균 등의 리프레쉬가 가능한 새로운 구조의 리프레쉬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상기한 리프레쉬 장치가 독립적으로 사용될 수 있음과 더불어 자유로운 설치 및 휴대가 가능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형태는 외관을 형성하며, 세탁물의 세탁 혹은, 건조가 이루어지는 세탁 장치의 저부에 구비되는 박스 형상의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내외로 인입출이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면이 개구된 상태로 그 내부는 수납 공간을 갖는 박스 형상의 수납부; 상기 수납부에 구비되며, 소정의 공간을 가지도록 형성된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 내에 선택적으로 장착되며 스팀 생성에 필요한 물이 저장되는 소정의 저장 공간을 가지는 물저장부와, 상기 물저장부 내에 저장된 물을 선택적으로 가열시켜 증발시키는 스팀 생성부와, 상기 베이스부의 상면을 선택적으로 폐쇄하는 커버부와, 상기 베이스부와 상기 커버 사이에 연결되고 접힘이 가능하게 형성되어 그 펼쳐짐이 이루어질 경우 리프레쉬 운전을 위한 소정의 공간을 형성하며 내부 공간의 선택적 개방이 가능한 바디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리프레쉬 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한 형태에 의하면, 세탁물의 세탁 혹은, 건조가 이루어지는 세탁 장치의 상부에 구비되며; 소정의 공간을 가지도록 형성된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 내에 선택적으로 장착되며 스팀 생성에 필요한 물이 저장되는 소정의 저장 공간을 가지는 물저장부와, 상기 물저장부 내에 저장된 물을 선택적으로 가열시켜 증발시키는 스팀 생성부와, 상기 베이스부의 상면을 선택적으로 폐쇄하는 커버부와, 상기 베이스부와 상기 커버 사이에 연결되고 접힘이 가능하게 형성되어 그 펼쳐짐이 이루어질 경우 리프레쉬 운전을 위한 소정의 공간을 형성하며 내부 공간의 선택적 개방이 가능한 바디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리프레쉬 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 장치가 제공된다.
이하, 전술한 본 발명에 따른 세탁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 1 내지 도 15를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첨부된 도 1 내지 도 3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세탁 장치(10)의 저부에는 외관을 형성하며 박스 형상으로 형성된 케이스(30)와, 상기 케이스(30)의 내외로 인입출이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면이 개구된 상태로 그 내부는 수납 공간을 갖는 박스 형상의 수납부(40)가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탁 장치(10)는 상기 수납부(40)에 의류의 리프레쉬를 하기 위한 리프레쉬 장치가 수납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리프레쉬 장치는 첨부된 도 4 및 도 5와 같이, 크게 베이스부(100)와, 물저장부(170)와, 스팀 생성부와, 커버부(300)와, 바디부(4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베이스부(10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프레쉬 장치의 몸체를 형성하면서 스팀 생성을 위한 소정량의 물이 저장되는 공간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특히, 상기 베이스부(100)에는 상기 물저장부(170)를 외부로부터 장착할 수 있도록 장착구(110)가 더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 때, 상기 장착구(110)의 형성 위치는 상기 베이스부(100)의 측면에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물론, 상기 장착구(110)의 형성 위치는 상기 베이스부(100)의 정면에 형성될 수도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장착구(110)에는 그 선택적인 개폐를 위한 개폐 도어(130)가 더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리프레쉬 장치를 구성하는 물저장부(170)는 상기 베이스부(100) 내에 선택적으로 장착되며, 스팀 생성에 필요한 물이 저장되는 소정의 저장 공간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이 때, 상기 물저장부(170)는 그 상면이 개구된 상태로 물의 투입 및 스팀의 발산이 가능한 통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리프레쉬 장치를 구성하는 스팀 생성부는 상기 물저장부(170) 내에 저장된 물을 선택적으로 가열시켜 상기 물을 증발시키는 역할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이 때, 상기 물저장부(170)의 내벽면 중 베이스부(100)에 장착되는 하단측 내벽면에는 열전도판(171)이 구비된다.
상기한 열전도판(171)은 높은 열전도율을 가지는 재질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열전도판(171)의 역할은 후술하는 스팀 생성부로부터 제공받은 고온의 열을 상기 물저장부(170) 내의 전 부위로 빠르게 전도하도록 한다.
물론, 상기 열전도판(171)은 상기 물저장부(170)의 내벽면 전체에 구비됨이 바람직하지만 제조단가의 상승 등을 고려할 때 상기 베이스부(100)에 장착되는 측의 내벽면 즉, 저면에만 장착하더라도 충분한 열전도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특히, 상기 열전도판(171)은 첨부된 도 5 및 도 8과 같이 상기 물저장부(170)의 저면 자체를 이루도록 함이 가장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스팀 생성부는 크게 안착부(211)와, 전열코일(212)과 컨트롤러(21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 때, 상기 안착부(211)는 상기 베이스부(100)의 내벽면에 구비되어 상기 물저장부(170)가 안착 위치를 결정하는 부위이다.
또한, 상기 전열코일(212)은 상기 베이스부(100)의 내부 중 상기 물저장부(170)의 저면이 장착되는 부위 즉, 상기 안착부의 내부를 따라 구비되며, 상기 열전도판(171)으로 고온의 열을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 때, 상기 전열코일(212)과 상기 열전도판(171)은 비록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적어도 어느 한 부위가 서로 접촉되도록 구성하여 원활한 열전달이 가능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컨트롤러(213)는 상기 베이스부(100)의 내부 공간상에 구비되며, 상기 전열코일(212)의 발열 제어를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이 때, 베이스부(100)의 전면에는 상기 컨트롤러(213)의 제어를 위한 조작 패널(140)이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스팀 생성부는 물저장부(170) 내에 저장된 물의 수위가 최저 수위 이하로 낮아질 경우 과도 발열로 인한 화재의 위험을 가진다.
이에 따라, 상기 스팀 생성부 혹은, 베이스부(100) 내측에는 비록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물이 항상 일정 수위 이하로 낮아지지 않도록 온도센서나 습도센서 혹은, 수위센서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더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리프레쉬 장치를 구성하는 커버부(300)는 상기 베이스(100)의 상면을 선택적으로 폐쇄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그 내부 역시 소정의 공간을 가지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 때, 상기 커버부(300) 내의 공간 상에는 옷걸이를 걸기위한 홀더바(310)가 더 구비되며, 상기 홀더바(310)는 그 양단이 상기 커버부(300)의 서로 대향되는 두 단변측 면에 각각 연결된다.
물론, 상기 홀더바(310)는 그 양단이 상기 커버부(300)의 서로 대향되는 두 장변측 면에 각각 연결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커버부(300)에는 그 내부에 존재하는 공기 혹은, 스팀의 일부가 배출될 수 있도록 배출구(320)를 더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이 때, 상기 배출구(320)는 단순한 구멍으로 형성될 수도 있지만, 그 개도량의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됨이 보다 바람직하다.
그리고, 리프레쉬 장치를 구성하는 바디부(400)는 상기 베이스(100)와 상기 커버부(300) 사이에 연결되고, 접힘이 가능한 유연한 재질로 형성된다.
특히, 상기한 바디부(400)는 그 펼쳐짐이 이루어질 경우 리프레쉬 운전을 위한 의류가 수납되는 소정의 수납 공간을 형성하도록 구성되며, 그 면상에는 상기 수납 공간의 선택적인 개방이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이 때, 상기 바디부(400)의 수납 공간을 개폐하기 위한 구조는 지퍼(Zipper) 구조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납 공간의 개폐를 위한 구조는 상기 수납 공간 내에 존재하는 스팀이 외부로 배출됨을 차단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물론, 상기 수납 공간을 개방하기 위한 구조는 다양한 형태로도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리프레쉬 장치에는 첨부된 도 6과 도 9와 같이, 상기 바디부(400)가 펼쳐졌을 경우 그 펼쳐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서포터부(500)를 더 구비함이 바람직하다.
이 때, 상기 서포터부(500)는 그 양단이 상기 베이스부(100)와 상기 커버부(300)의 후면에 각각 연결되면서 링크(link) 형태로 접었다 펴는 동작이 가능하게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물론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서포터부(500)는 텔레스코픽(telescopic) 형태로 그 길이를 늘였다 줄이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하, 전술한 일련의 구조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탁 장치 및 리프레쉬 장치의 동작 과정을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우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탁 장치(10)는 수납부(40)에 리프레쉬 장치가 수납되어 보관되어 있다.
그리고, 사용자가 의류의 리프레쉬 작용을 위하여 리프레쉬 장치를 사용할 경우, 상기 수납부(40)를 세탁 장치(10)의 전면측으로 당겨 개방하면 상기 수납부(40)에는 리프레쉬 장치가 보관된 상태로 있다.
상기 리프레쉬 장치의 최초 상태는 첨부된 도 4 내지 도 6과 같이 커버부(300)가 베이스(100)의 상면을 폐쇄하고 있는 상태이다.
이의 경우, 바디부(400)는 상기 커버부(300)와 상기 베이스부(100) 내에 접혀진 상태로 숨겨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한 상태에서 의류의 리프레쉬를 수행하고자 한다면 상기 커버부(300)를 상기 베이스부(100)로부터 개방시킨다.
이의 경우, 상기 바디부(400)는 상기 커버부(300)와 상기 베이스부(100) 사이로부터 외부로 노출됨과 더불어 점차 펼쳐지게 된다.
이 때, 첨부된 도 7 내지 도 9는 상기 바디부(400)가 완전히 펼쳐진 상태가 도시되고 있다.
또한, 상기 바디부(400)가 완전히 펼쳐지게 되면 서포터부(500)에 의해 상기 바디부(400)는 그 펼쳐진 상태가 유지된다.
그리고, 상기 바디부(400)가 완전히 펼쳐지게 되면 지퍼를 조작하여 그 내부 공간을 개방한다.
이와 함께, 사용자는 리프레쉬하고자 하는 의류를 옷걸이에 건 후 상기 옷걸이를 커버부(300) 내의 홀더바(310)에 걸고 다시 지퍼를 조작하여 그 내부 공간을 폐쇄한다.
따라서, 상기 의류는 바디부(400) 내에 수납된 상태를 이루게 된다.
그리고, 전술한 일련의 과정이 완료되어 리프레쉬 운전을 수행하고자 한다면 스팀 생성부를 이루는 컨트롤러(213)를 조작하면 된다.
이 때, 상기 리프레쉬 운전의 수행전에는 물저장부(170)에 스팀 생성을 위한 물이 저장되어 있어야 한다.
이는, 베이스부(100)의 장착구(110)에 구비된 개폐 도어(130)를 개방한 상태에서 물저장부(170)를 취출한 후 상기 물저장부(170) 내에 물을 저장시키고, 계속해서 상기 물저장부(170)를 상기 장착구(110)를 통해 베이스부(100) 내에 구비된 안착부(211)에 장착하면 된다.
그리고, 전술한 컨트롤러(213)의 조작이 이루어진다면 전열코일(212)의 발열이 이루어지게 되고, 상기 전열코일(212)의 발열로 인해 발생된 고온의 열은 상기 물저장부(170)의 열전도판(171)으로 전달된다.
따라서, 상기 물저장부(170) 내에 저장된 물은 가열되면서 증발되고, 이러한 증발로 인해 스팀의 생성이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생성된 스팀은 상기 베이스부(100)의 내부 공간으로부터 상승하면서 바디부(400) 내로 제공되고, 계속해서 상기 바디부(400) 내에 위치된 의류로 제공된다.
이에 따라, 상기 의류는 상기 고온의 스팀에 의해 살균이 이루어짐과 더불어 주름 등이 제거되면서 결과적으로 리프레쉬가 이루어진다.
특히, 상기 의류가 수납되는 공간인 바디부(400) 내의 공간은 협소하기 때문에 빠른 시간 내에 해당 의류의 리프레쉬가 이루어질 수 있게 되고, 이로 인해 단시간 보관하더라도 원활한 의류의 리프레쉬가 가능하다는 장점을 가지게 된다.
전술한 일련의 과정이 진행되는 도중 리프레쉬 운전이 완료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바디부(400) 내에 스팀이 가득차있게 되면 상기 스팀으로 인해 의류가 젖게 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리프레쉬 운전이 완료될 경우 커버부(300)에 형성된 배출구(320)가 개방되도록 조작함이 바람직하다.
물론, 바디부(400)의 지퍼를 개방함으로써 그 내부의 스팀을 완전 배출시킬 수도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은 리프레쉬 장치 중 스팀 생성부는 전열코일(212)의 발열에 의해 발생된 고온의 물저장부(170) 내에 구비된 열전도판(171)으로 전달될 때 서로간 즉, 상기 열전도판(171)(혹은, 물저장부의 저면)과 상기 전열코일(212)이 장착된 면 간이 정확히 밀착되지 않을 경우 원활한 열전도가 어려운 문제점이 야기된다.
따라서, 상기 문제점이 방지될 수 있도록 상기 스팀 생성부를 이루는 열전도판과 전열코일이 직접 접촉되도록 구성함을 제시한다.
첨부된 도 10은 상기한 리프레쉬 장치에 따른 스팀 생성부의 다른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요부 단면도로써, 이를 통해 알 수 있듯이 상기 스팀 생성부는 크게 열전도판(221)과, 전열코일(222)과, 전원연결단자(224)와, 컨트롤러(223)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제시한다.
여기서, 상기 열전도판(221)은 상기 물저장부(170)의 내벽면 중 상기 베이스부(100)에 장착되는 측의 내측 벽면을 따라 구비된다.
또한, 상기 전열코일(222)은 상기 열전도판(221)의 저부에 구비된다.
이 때, 상기 전열코일(222)은 상기 물저장부(170)의 저면과 상기 열전도판(221) 사이의 공간에 구비됨이 바람직하며, 특히 상기 열전도판(221)의 저면을 따라 밀착되도록 구비함이 바람직하다.
이의 경우 상기 물저장부(170)의 저면은 내열성 재질로 형성되되, 열전도도가 낮은 재질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물저장부(170)의 저면이 과열됨에 따른 주위의 회로부품이 파손되는 등의 문제점을 미연에 방지하기 위함이다.
이와 함께, 상기 물저장부(170)의 저면 중앙측 부위는 상부를 향해 소정 높이만큼 돌출된 돌출부(172)가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172)의 내주면을 따라 상기 전열코일(222)의 단자가 노출되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전원연결단자(224)는 상기 베이스부(100)의 내부 중 상기 물저장 부(170)의 돌출부(172) 내측에 수용되면서 상기 전열코일(222)의 단자와 접촉되도록 돌출 형성된다.
이 때, 상기 전원연결단자(224)는 상기 전열코일(222)로 전원을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컨트롤러(223)는 베이스부(100)의 내부 공간상에 구비되며, 상기 전원연결단자(224)로 선택적인 전원 공급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물론, 상기한 스팀 생성부에는 전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와 같은 안착부(225)가 더 포함되어 구성됨이 바람직하며, 상기 안착부(225)는 상기 베이스부(100)의 내벽면에 구비되어 상기 물저장부(170)가 안착 위치를 결정하게 된다.
따라서, 내부에 물이 저장된 물저장부(170)를 안착부(225)에 장착하게 되면, 전열코일(222)과 상기 전원연결단자(224) 간의 접촉이 이루어지면서 상기 전열코일(222)은 전원 공급이 가능한 상태를 이루게 되고, 이의 생태에서 리프레쉬 운전을 위한 컨트롤러(223)의 조작이 이루어진다면 상기 전열코일(222)은 상기 공급된 전원에 의해 발열된다.
이 때, 상기 전열코일(222)의 발열로 인해 발생된 고온의 열은 그 상면에 밀착된 열전도판(221)으로 전달됨으로써 상기 물저장부(170) 내에 저장된 물은 가열되면서 증발되고, 이러한 증발로 인해 스팀의 생성이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생성된 스팀은 상기 베이스부(100)의 내부 공간으로부터 상승하면서 바디부(400) 내로 제공되고, 계속해서 상기 바디부(400) 내에 위치된 의류로 제공된다.
이에 따라, 상기 의류는 상기 고온의 스팀에 의해 살균이 이루어짐과 더불어 주름 등이 제거되면서 결과적으로 리프레쉬가 이루어진다.
한편, 전술한 세탁 장치(10)에 구비된 리프레쉬 장치는 물저장부(170) 내의 공간이 상기 바디부(400)의 공간과 연통되어 있기 때문에 자칫 의류의 하단이 상기 물저장부 내에 저장된 물에 닿거나 혹은, 상기 의류를 홀더바(310)에 거는 과정에서 실수로 인해 상기 물로 떨어질 수 있다는 문제점이 야기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커버부(300)가 베이스부(100)를 폐쇄하는 상태 즉, 첨부된 도 2와 같은 상태에서는 바디부(400)가 상기 물에 젖을 수 있다는 문제점이 야기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한 문제점의 해결을 위한 별도의 구조가 필요시되고, 첨부된 도 11과 같이 상기 베이스부(100)의 내부에 구획부(600)가 더 구비됨을 제시한다.
이 때, 상기 구획부(600)는 물저장부(170)가 구비된 공간 혹은, 상기 물저장부(170)의 개구된 상측 공간을 그 상측 공간 즉, 바디부(400)의 내부 공간으로부터 구획하되 스팀의 통과는 가능한 격자형의 그릴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물론, 상기 구획부(600)는 상기 베이스부(100) 내부의 청소가 가능하도록 상기 베이스부(100)의 내벽면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구성됨이 더욱 바람직하다.
따라서, 커버부(300)가 베이스부(100)를 폐쇄하는 상태이더라도 바디부(400)는 상기 구획부(600)에 얹히게 되어 안정적으로 접힌 상태 즉, 바디부(400)가 물저장부(170)와 맞닿지 않게 되는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커버부(300)가 베이스부(100)를 개방하는 상태 즉, 첨부된 도 8과 같이 리프레쉬 장치의 사용을 위해 바디부(400)가 펼쳐진 상태에서 의류의 하단이 상기 물저장부(170)와 맞닿음이 방지된다.
한편, 첨부된 도 12 내지 도 15는 본 발명의 세탁 장치(10)에 적용되는 리프레쉬 장치의 다양한 설치예를 나타내고 있다.
즉, 본 발명의 세탁 장치(10)에 적용되는 리프레쉬 장치는 그 독립적인 사용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세탁 장치(10)의 저부에 구비된 케이스(30)의 전면방향으로 인입출되는 수납부(40)에 설치하여 사용이 가능하지만, 상기 수납부(40)의 인입출 방향 및 구비되는 위치를 달리하여 상기 리프레쉬 장치를 더욱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첨부된 도 12와 도 13에서와 같이 세탁 장치(10)의 케이스(30) 우측면에 수납부(40)가 그 측면방향으로 인입출되도록 하고, 상기 수납부(40)에 상기 리프레쉬 장치를 사용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첨부된 도 14와 같이, 상기 리프레쉬 장치를 세탁 장치(10)의 저부 양측면에 결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리프레쉬 장치의 전체적인 외관 크기를 조절하여 세탁 장치(10)의 저부 전면과 양측면에 결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한편, 첨부된 도 15와 같이, 상기 리프레쉬 장치를 세탁 장치(10)의 상부에 결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리프레쉬 장치와 상기 세탁 장치(10)는 비록 도시되지는 않았 지만 서로 선택적인 착탈이 가능하도록 후크나 혹은, 별도의 고정 구조로 결합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결국, 전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시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리프레쉬 장치는 다양한 구조로의 변경 및 설치가 가능하다.
이상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리프레쉬 장치는 의류에 대한 단시간의 보관이 가능함과 더불어 그 보관시 해당 의류의 주름 제거와 살균 등의 리프레쉬가 가능하여 사용자의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는 효과를 가진다.
특히, 본 발명은 상기한 리프레쉬 장치는 기존의 드럼식 건조기 혹은, 별도의 건조 장치와는 독립적으로 제어되면서 사용할 수 있으며, 의류의 리프레쉬만을 전문적으로 수행하기 때문에 사용자의 만족도가 향상될 수 있다는 효과를 가진다.

Claims (6)

  1. 외관을 형성하며, 세탁물의 세탁 혹은, 건조가 이루어지는 세탁 장치의 저부에 구비되는 박스 형상의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내외로 인입출이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면이 개구된 상태로 그 내부는 수납 공간을 갖는 박스 형상의 수납부;
    상기 수납부에 구비되며, 소정의 공간을 가지도록 형성된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 내에 선택적으로 장착되며 스팀 생성에 필요한 물이 저장되는 소정의 저장 공간을 가지는 물저장부와, 상기 물저장부 내에 저장된 물을 선택적으로 가열시켜 증발시키는 스팀 생성부와, 상기 베이스부의 상면을 선택적으로 폐쇄하는 커버부와, 상기 베이스부와 상기 커버 사이에 연결되고 접힘이 가능하게 형성되어 그 펼쳐짐이 이루어질 경우 리프레쉬 운전을 위한 소정의 공간을 형성하며 내부 공간의 선택적 개방이 가능한 바디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리프레쉬 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부는 상기 케이스의 전면방향으로 인입출됨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부는 상기 케이스의 측면방향으로 인입출됨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부는 상기 케이스의 양측면에 각각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부는 상기 케이스의 전면과 양측면에 각각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 장치.
  6. 세탁물의 세탁 혹은, 건조가 이루어지는 세탁 장치의 상부에 구비되며;
    소정의 공간을 가지도록 형성된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 내에 선택적으로 장착되며 스팀 생성에 필요한 물이 저장되는 소정의 저장 공간을 가지는 물저장부와, 상기 물저장부 내에 저장된 물을 선택적으로 가열시켜 증발시키는 스팀 생성부와, 상기 베이스부의 상면을 선택적으로 폐쇄하는 커버부와, 상기 베이스부와 상기 커버 사이에 연결되고 접힘이 가능하게 형성되어 그 펼쳐짐이 이루어질 경우 리프레쉬 운전을 위한 소정의 공간을 형성하며 내부 공간의 선택적 개방이 가능한 바디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리프레쉬 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 장치.
KR1020050017048A 2005-02-08 2005-02-28 세탁 장치 KR20060095406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7048A KR20060095406A (ko) 2005-02-28 2005-02-28 세탁 장치
PCT/KR2006/000696 WO2006091057A1 (en) 2005-02-28 2006-02-28 Refresher and machine for washing or drying with the same
CN2006800003573A CN1969082B (zh) 2005-02-28 2006-02-28 用于洗涤或烘干的复新机和装置
US11/628,193 US20080256989A1 (en) 2005-02-08 2006-02-28 Refresher and Machine for Washing or Drying with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7048A KR20060095406A (ko) 2005-02-28 2005-02-28 세탁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95406A true KR20060095406A (ko) 2006-08-31

Family

ID=376251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17048A KR20060095406A (ko) 2005-02-08 2005-02-28 세탁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095406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3129B1 (ko) * 2005-04-22 2008-12-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 장치
KR100891660B1 (ko) * 2005-03-08 2009-04-02 엘지전자 주식회사 리프레쉬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1660B1 (ko) * 2005-03-08 2009-04-02 엘지전자 주식회사 리프레쉬 장치
KR100873129B1 (ko) * 2005-04-22 2008-12-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80256989A1 (en) Refresher and Machine for Washing or Drying with the Same
KR100841308B1 (ko) 세탁 장치
AU2007277599B2 (en) Multiple laundry treating machine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0710221B1 (ko) 리프레쉬 장치
KR100845843B1 (ko) 리프레쉬 장치
KR100813048B1 (ko) 리프레쉬 장치
KR20080024864A (ko) 가구형상을 갖는 세탁물 처리기
KR20120022364A (ko) 세탁장치
KR100813049B1 (ko) 리프레쉬 장치
KR20060095406A (ko) 세탁 장치
KR100845844B1 (ko) 리프레쉬 장치
KR100595239B1 (ko) 접이식선반이 구비된 복합식 건조장치
KR100808173B1 (ko) 리프레쉬 장치
KR100808177B1 (ko) 리프레쉬 장치
KR100841307B1 (ko) 세탁 장치
KR100880633B1 (ko) 리프레쉬 장치
CN107130418B (zh) 衣物处理设备
KR100808172B1 (ko) 리프레쉬 장치
KR100813050B1 (ko) 리프레쉬 장치 및 그의 운전 제어 방법
KR20060095403A (ko) 세탁 장치
KR100891660B1 (ko) 리프레쉬 장치
KR100873129B1 (ko) 세탁 장치
KR20110079389A (ko) 가구형상을 갖는 세탁물 처리기
KR100891659B1 (ko) 리프레쉬 장치
KR100755846B1 (ko) 리프레쉬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