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95239B1 - 접이식선반이 구비된 복합식 건조장치 - Google Patents

접이식선반이 구비된 복합식 건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95239B1
KR100595239B1 KR1020040099157A KR20040099157A KR100595239B1 KR 100595239 B1 KR100595239 B1 KR 100595239B1 KR 1020040099157 A KR1020040099157 A KR 1020040099157A KR 20040099157 A KR20040099157 A KR 20040099157A KR 100595239 B1 KR100595239 B1 KR 1005952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t air
dryer
drying
cabinet
supply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991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60230A (ko
Inventor
조흥명
김영수
이득희
최성봉
안병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991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95239B1/ko
Priority to US11/289,637 priority patent/US20060137210A1/en
Publication of KR200600602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602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952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952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10Drying cabinets or drying chambers having heating or ventilating mea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1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measuring specific parameters
    • D06F34/26Condition of the drying air, e.g. air humidity or temperatur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73/00Apparatus for smoothing or removing creases from garments or other textile articles by formers, cores, stretchers, or internal frames, with the application of heat or steam 
    • D06F73/02Apparatus for smoothing or removing creases from garments or other textile articles by formers, cores, stretchers, or internal frames, with the application of heat or steam  having one or more treatment chamb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28Air properties
    • D06F2103/32Temperatur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28Air properties
    • D06F2103/34Humidity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28Air properties
    • D06F2103/36Flow or velocity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16Air properties
    • D06F2105/20Temperatur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30Blow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조드럼 내부 및 캐비닛 내부의 세탁물 건조를 위한 공기가 계속적으로 순환될 수 있도록 함과 더불어 캐비닛 내부의 공간을 보다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건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고온의 열풍 유동을 안내하는 열풍 공급관을 가지고, 상기 열풍 공급관의 관로 상에 구비되어 열풍을 발생하는 열풍 공급부를 가지면서 드럼 내로 투입된 건조 대상물을 건조하는 드럼식 건조기; 소정의 수납 공간을 가지면서 상기 드럼식 건조기의 상측에 결합되며, 상기 열풍 공급관으로부터 열풍을 유입 받는 열풍 유입관을 가지는 캐비닛 건조기; 상기 캐비닛 건조기 내부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고, 필요에 따라 접히도록 형성되어 상기 캐비닛 건조기의 수납 공간을 보다 더 활용할 있도록 하는 복수개의 접이식선반: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선반이 구비된 복합식 건조장치을 제공한다.
드럼식 건조기, 캐비닛 건조기, 접이식선반

Description

접이식선반이 구비된 복합식 건조장치{complex type dryer having lathe which can be folded}
도 1 은 종래 일반적인 드럼식 건조기의 내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
도 2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조장치의 외관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
도 3 은 도 2의 I-I를 나타낸 종단면도
도 4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조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도
도 5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선반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6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선반이 접힌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7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선반이 접힌 상태로 건조장치에 설치된 것을 나타낸 구성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드럼식 건조기 110: 건조드럼
121: 제1공급관 122: 제2공급관
123: 제3공급관 124: 걸름부
125: 유로밸브 130: 열풍 공급부
140: 공기 응축부 141: 응축기
142: 응축팬 200: 캐비닛 건조기
210: 몸체 222: 걸이바
230: 개폐 도어 241: 열풍 유입관
242: 공기 유출관 250: 연장부
241a: 열풍 배출구 300: 접이식선반
310: 받침부 311: 제1받침대
312: 제2받침대 320: 힌지부
330: 고정관 331: 열풍토출구
340: 고정다리
본 발명은 건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세탁물 건조를 위한 공기가 상기 건조장치를 계속적으로 순환될 수 있도록 하되, 보다 원활한 건조가 가능하도록 하여 빌트인으로의 제공에 적합할 수 있도록 함과 더불어 실내 환경의 변화를 최대한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새로운 구조의 건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조장치는 의류 등의 세탁물을 건조하는 기기로써, 세탁이 완료된 세탁물을 제공받아 고온의 열기를 지속적으로 공급함으로써 상기 세탁물의 건조를 수행한다.
도시한 도 1은 전술한 종래의 건조장치 중 일반적인 드럼식 건조기가 도시되 고 있다.
즉, 종래 드럼식 건조기는 크게 본체(10)와, 건조드럼(20)과, 도어(40)와, 모터(50)와, 건조히터(60)와, 송풍팬(7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본체(10)는 드럼식 건조기의 외관을 형성하고, 상기 건조드럼(20)은 상기 본체(10) 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또한, 상기 본체(10)의 전면에는 투입구(11)가 형성되고, 상기 도어(40)는 상기 투입구(11)를 개폐하도록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모터(50)는 상기 본체(10)의 내측 저부에 고정되어 건조드럼(20) 및 상기 송풍팬(70)을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발생한다.
그리고, 상기 건조히터(60)는 열풍공급유로(91)의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열풍공급유로(91)의 내부를 유동하는 공기를 가열시킨다. 이 때, 상기 열풍공급유로(91)는 건조드럼(20) 내로 공급되는 열풍의 유동을 안내한다.
그리고, 상기 송풍팬(70)은 상기 건조드럼(10) 내부를 유동하는 건조 공기를 본체(10) 외부로 배출하도록 동작되며, 열풍배출유로(92)와 연통되게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송풍팬(70)이 작동되면 외부 공기는 열풍공급유로(91)의 안내를 받아 유동되고, 상기 유동 도중 건조히터(60)를 지나면서 고온화 되어 건조드럼(10) 내로 유입된다.
이로 인해, 상기 건조드럼(10) 내에 투입된 젖은 세탁물은 상기 고온화된 외부 공기에 의해 점차 건조된다.
또한, 상기 건조드럼(10) 내를 유동하면서 상기 세탁물을 건조시킨 공기는 열풍배출유로(92)의 안내를 받아 본체(10) 외부로 배출된다.
그리고, 상기한 과정의 반복 수행에 의해 세탁물의 건조가 완료되면 송풍팬(70)과 건조히터(60)의 동작이 중단됨으로써 건조 행정이 종료된다.
하지만, 종래의 드럼식 건조기는 세탁물이 일괄적으로 투입된 상태로 건조 과정이 진행되기 때문에 엉켜진 부위에 대한 원활한 건조가 이루어지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뿐만 아니라, 드럼식 건조기 내에서의 장시간 보존이 불가능하다는 문제점 역시 있었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건조 용량을 확대하고, 장시간의 보관도 가능하도록 한 새로운 건조장치에 대한 요구가 이루어졌으며, 미국특허출원공개 US2004/0194339 A1 및 US2004/0154194 A1과 같이 드럼식 건조기에 별도의 건조 캐비닛을 더 구비된 혼합식 건조기가 제공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혼합식 건조기는 회전되는 드럼을 가지는 일반적인 드럼식 건조기의 상측에 각종 세탁물의 수납 공간을 가지면서 열풍을 공급받는 건조 캐비닛이 장착되어 이루어진 건조 기기이다.
이 때, 상기 건조 캐비닛은 상기 드럼식 건조기로부터 열풍을 공급받아 그 내부에 수납되는 의류 등을 건조시키거나 장시간 보관하는데 사용된다.
하지만, 전술한 혼합식 건조기는 세탁물을 건조시킨 공기가 기기 외부로 배출되는 배기식 구조이기 때문에 빌트인으로의 제공이 곤란한 문제점이 야기된다.
즉, 빌트인을 위한 공간은 혼합식 건조기 외부로의 원활한 공기 배출을 위해 벽면과의 충분한 간격을 유지할 수 있을 정도로 크게 형성되어야만 함으로써 상기 간격으로 인한 외관 디자인의 저하가 야기될 수밖에 없었던 것이다.
뿐만 아니라, 상기 혼합식 건조기로부터 배출되는 공기는 고온의 다습한 공기이기 때문에 실내 환경이 사용자가 원치 않는 환경 즉, 고온 다습한 환경을 이룰 수밖에 없었던 문제점이 야기된다.
또한, 건조 캐비닛의 내부에 설치된 선반 및 옷걸이부재는 각각 세탁물을 수용하기 위한 범위가 한정되어, 건조 캐비닛의 수납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하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예컨대 선반을 이용하는 세탁물 보다 옷걸이부재를 이용하는 세탁물의 수가 많을 경우, 옷걸이부재를 이용하는 공간이 한정되어 있기 때문에 여러번에 걸친 건조행정을 수행해야만 했고, 이로 인해 소비전력이 낭비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에 대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건조드럼 내부 및 캐비닛 내부의 세탁물 건조를 위한 공기가 계속적으로 순환될 수 있도록 함과 더불어 캐비닛 내부의 공간을 보다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건조장치를 제공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고온의 열풍 유동을 안내하는 열풍 공급관을 가지고, 상기 열풍 공급관의 관로 상에 구비되어 열풍을 발생하는 열풍 공급부를 가지면서 드럼 내로 투입된 건조 대상물을 건조하는 드럼식 건조기; 소정의 수납 공간을 가지면서 상기 드럼식 건조기의 상측에 결합되며, 상기 열풍 공급관으로부터 열풍을 유입 받는 열풍 유입관을 가지는 캐비닛 건조기; 상기 캐비닛 건조기 내부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고, 필요에 따라 접히도록 형성되어 상기 캐비닛 건조기의 수납 공간을 보다 더 활용할 있도록 하는 복수개의 접이식선반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선반이 구비된 복합식 건조장치를 제공한다.
이하, 전술한 본 발명의 건조장치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 2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첨부된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조장치는 크게 드럼식 건조기(100)와, 캐비닛 건조기(200), 접이식선반(300) 그리고, 컨트롤부(4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드럼식 건조기(100)는 세탁물에 대한 건조만을 수행하며, 회전 및 교반이 가능한 건조드럼(110)과, 열풍 공급관과, 열풍 공급부(130)와, 공기 응축부(1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열풍 공급관은 고온의 열풍 유동을 안내하는 관으로써, 상기 건조드럼(110)과 공기 응축부(140) 및 캐비닛 건조기(200) 간의 내부 공간과 연통되게 연결된다.
이 때, 상기 열풍 공급관은 상기 건조드럼(110) 내부로 열풍을 공급하는 제1공급관(121)과, 상기 공기 응축부(140)를 통과한 공기를 제공받아 상기 제1공급관(121)으로 공급하는 제2공급관(122)과, 상기 건조드럼(110)으로부터 배출되는 공기 를 제공받아 상기 공기 응축부(140)로 전달하는 제3공급관(123)을 포함한다.
상기 제3공급관(123)의 관로 상에는 유동 공기 내에 포함된 이물질을 필터링하는 걸름부(124)가 더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열풍 공급부(130)는 상기 열풍 공급관 중 제2공급관(122)의 관로 상에 구비되어 열풍을 생성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열풍 공급부(130)는 상기 열풍 공급관의 제2공급관(122) 내를 유동하는 공기를 가열하는 건조히터(131)와, 상기 제2공급관(122) 내의 공기를 강제 송풍하는 송풍팬(13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 때, 상기 송풍팬(132)은 상기 제2공급관(122)의 관로 중 상기 건조히터(131)로 공기가 유입되는 측의 관로 상에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송풍팬(132)이 고온의 열기로 인해 손상됨을 최소화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공기 응축부(140)는 상기 열풍 공급관을 따라 유동하는 공기를 응축시킴으로써 상기 공기를 방열하며, 응축기(141) 및 응축팬(14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응축기(141)는 상기 열풍 공급관의 제3공급관(123)으로부터 고온의 공기를 유입 받도록 구성되며, 다수의 절곡이 이루어진 파이프 및 냉각핀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함께, 상기 응축팬(142)은 상기 응축기(141)를 향해 외기를 송풍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응축기(141)를 통과하는 다습한 공기는 상기 응축기(141)의 관로를 따라 유동하는 도중 상기 응축팬(142)의 구동에 의해 제공되는 외기와의 열교환을 통해 응축된다.
그리고, 상기 캐비닛 건조기(200)는 다수 세탁물이 수납되는 수납 공간을 가지면서 상기 드럼식 건조기(100)의 상측에 결합된다.
이 때, 상기 캐비닛 건조기(200)는 몸체(210)와, 개폐 도어(230)와, 열풍 유입관(241) 및 공기 유출관(24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몸체(210)는 상기 캐비닛 건조기(200)의 외관을 형성하며, 그 전면은 개방되게 형성된다.
이 때, 상기 몸체(210)에는 상기 드럼식 건조기(100)의 내부에 이르기까지 길게 연장된 연장부(250)가 더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장부(250)는 바지나 코트 등과 같이 길이가 긴 세탁물을 겹치지 않고 걸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써, 첨부된 도 2 와 같이 드럼식 건조기를 이루는 건조드럼(110)의 회전에 영향을 주지 않는 일측편으로 치우친 부위에 구비됨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개폐 도어(230)는 상기 몸체(210)의 개방된 전면을 개폐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열풍 유입관(241)은 그 일단이 상기 드럼식 건조기(100)의 열풍 공급관 중 제2공급관(122)의 공기 유출측 관로 상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몸체(210) 내부와 연통되게 연결되어, 상기 열풍 공급관의 제2공급관(122)으로부터 고 온의 열풍을 유입 받아 상기 몸체(210) 내로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 때, 상기 열풍 유입관(241)의 관로 상에는 상기 캐비닛 건조기의 몸체(210) 내부와 연통되도록 복수개의 열풍 배출구(241a)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2공급관(122)의 관로 상에는 상기 공기의 유동 방향을 상기 제1공급관 및/혹은, 상기 열풍 유입관(241)으로 선택하여 안내하는 유로밸브(125)가 더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공기 유출관(242)은 그 일단이 상기 몸체(210)와 연통되게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열풍 공급관의 제3공급관(123)에 연결되어, 상기 몸체(210) 내에서 세탁물을 통과한 고온 다습한 공기를 유출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그리고, 상기 몸체(210) 내의 상측 공간 중 일측편 공간의 전후방을 따라 결합되어, 옷걸이 등을 걸기 위한 걸이바(221)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각 접이식선반(300)은 상기 몸체(210) 내로부터 착탈 가능하게 구성됨과 더불어 각종 세탁물의 안착이 이루어지도록 형성되고, 필요에 따라 접히도록 형성되어 상기 캐비닛 건조기의 수납 공간을 보다 더 활용할 있도록 형성된다.
즉, 옷걸이를 이용해야만 하는 세탁물이 선반을 이용하야만 하는 세탁물 보다 많아서 그 공간이 더 필요로 할 경우, 상기 접이식선반(300)을 접어서 선반이 설치되는 영역을 좁힘으로써, 옷걸이 공간을 확보할 수 있는 것이다.
이 때, 상기 접이식선반(300)은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받침대(311)와 제2받침대(312)로 이루어져 세탁물이 안착되는 받침부(310)와, 상기 제1 받침대(311)와 제2받침대(312)를 연결함과 더불어 상기 제1받침대(311)에 대해 제2받침대(312)가 접히도록 회동시키는 힌지부(320)와, 상기 제2받침부(312)의 일단에 설치되어 상기 접이식선반(300)을 상기 캐비닛 건조기의 내부에 고정시키는 고정관(3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접이식선반(300)의 제1받침대(311) 측에는 상기 제1받침대(311)에 상기 접2받침대(312)가 접혀져 얹혀질 경우, 상기 제1받침대(311)를 지지하기 위한 고정다리(340)가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이 때, 캐비닛 건조기의 몸체(210) 내부 후방 측에는 상기 고정다리(340)가 고정되는 고정홈(미도시)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고정관(33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열풍유입관(241)과 연통되게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이 때, 상기 고정관(330)의 둘레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열풍토출구(331)이 형성된다. 이는, 상기 고정관(330)으로 유동된 열풍이 상기 열풍토출구(331)를 통해 세탁물로 바로 공급하여 세탁물의 건조가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컨트롤부(400)는 상기 드럼식 건조기(100) 및 캐비닛 건조기(200)의 동작 제어를 수행한다.
이 때, 상기 컨트롤부(400)는 상기 드럼식 건조기(100) 혹은, 캐비닛 건조기(2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구비되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와 같이 드럼식 건조기에만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만일, 상기 컨트롤부(400)를 상기 드럼식 건조기(100) 및 캐비닛 건조기(200) 모두에 각각 구비할 경우 두 컨트롤부(400)간은 데이터 케이블(도시는 생략됨)로 상호간을 연결하여 정보의 교류가 가능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컨트롤부(400)는 상기 드럼식 건조기(100)와 캐비닛 건조기(200) 각각을 제어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고, 서로간이 연동되도록 제어하게 구성할 수도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접이식선반이 구비된 캐비닛 건조기를 이용한 건조과정 및 이에 따른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캐비닛 건조기 몸체(210) 내부에 설치된 접이식선반(300) 및 걸이바(221)에 세탁물을 안착시키거나 거치 시킨다.
이후, 열풍 공급부(130)로 전원을 공급하여 열풍 공급관의 제2열풍공급관(122) 내로 열풍이 유동되도록 한다.
다음, 상기 제2열풍공급관(122) 내로 유동되는 열풍을 상기 캐비닛 건조기 측의 열풍 유입관(241)으로 유동되도록 유로벨브(125)를 조절한다.
이 때, 상기 열풍 유입관(241) 내로 유동되는 열풍의 일부는 각 열풍 배출구(241a)를 통해 캐비닛 건조기의 몸체(210) 내로 유동되고, 일부는 고정관(330) 내로 유동된다.
계속해서, 몸체(210) 내로 유동된 열풍은 각 세탁물을 건조시키고, 상기 고정관(330) 내로 유동된 열풍은 열풍토출구(331)를 통해 토출되어 접이식선반(300)에 놓여진 세탁물을 건조시킨다.
한편,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캐비닛 건조기의 몸체(210) 내에 수납되는 세탁물 중 선반에 얹혀지는 세탁물 보다 걸어서 건조를 요하는 세탁물의 수가 더 많을 경우, 상기 접이식선반(300)을 접어서 사용한다.
즉, 상기 제1받침대(311)에 대해 상기 제2받침대(312)를 상기 힌지부(320)를 중심으로 회동시켜 접게 되면, 제2받침대(312)의 공간만큼 걸이바(221)에 걸 수 있는 공간이 확보되어 많은 량을 걸어서 건조시킬 수가 있다.
다음, 상기 건조가 이루어진 습한 공기는 상기 캐비닛 건조기의 몸체(210)의 일측에 설치된 공기 유출관(242)을 통하여 제3공급관(123)으로 유동된다.
상기 제3공급관(123)으로 유동된 습한 공기는 응축부(140)를 통과하면서 수분이 분리되면서 건조되고, 상기 건조된 공기는 다시 상기 건조히터(131)를 통과하면서 고온의 상태로 변하여 캐비닛 건조기(200)의 몸체(210) 내로 재 공급된다.
결국, 전술한 바와 같은 공기의 유동이 설정된 시간 동안 반복적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세탁물은 건조된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실시예를 중심으로 살펴보았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본질적 기술 범위 내에서 변형된 형태의 실시예를 구현할 수 있을 것이다. 여기서 본 발명의 본질적 기술 범위는 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에 있는 변형된 형태는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복합식 건조장치의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발명에 의하면, 드럼식 건조기 및 캐비닛 건조기를 유동하는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지 않고 계속적으로 순환되도록 함으로써, 실내 환경을 변화시키지 않게 되어 빌트인으로의 제공에 적합할 수 있다는 효과를 가진다.
둘째, 본 발명에 의하면, 공기 응축기로 상기 드럼식 건조기 및 캐비닛 건조기로부터 배출된 다습한 공기를 응축시킴으로써 상기 공기 내의 수분을 제거될 수 있도록 하여 원활한 세탁물의 건조가 이루어질 수 있다는 효과를 가진다.
셋째, 본 발명에 의하면, 접이식선반이 구비됨에 따라 캐비닛 건조기의 내부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는 효과를 가진다.

Claims (5)

  1. 고온의 열풍 유동을 안내하는 열풍 공급관을 가지고, 상기 열풍 공급관의 관로 상에 구비되어 열풍을 발생하는 열풍 공급부를 가지면서 드럼 내로 투입된 건조 대상물을 건조하는 드럼식 건조기;
    소정의 수납 공간을 가지면서 상기 드럼식 건조기의 상측에 결합되며, 상기 열풍 공급관으로부터 열풍을 유입 받는 열풍 유입관을 가지는 캐비닛 건조기;
    상기 캐비닛 건조기 내부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고, 필요에 따라 접히도록 형성되어 상기 캐비닛 건조기의 수납 공간을 보다 더 활용할 있도록 하는 복수개의 접이식선반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선반:이 구비된 복합식 건조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접이식선반은
    제1받침대와 제2받침대로 이루어져 세탁물이 얹혀지는 받침부와,
    상기 제1받침대와 제2받침대를 연결함과 더불어 상기 제1받침대에 대해 제2받침대가 접히도록 회동시키는 힌지부와,
    상기 제2받침부의 일단에 설치되어 상기 접이식선반을 상기 캐비닛 건조기의 내부에 고정시키는 고정관: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선반이 구비된 복합식 건조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접이식선반의 제1받침대 측에는
    상기 제1받침대에 상기 접2받침대가 접혀져 얹혀질 경우, 상기 접이식선반을 지지하기 위한 고정다리가 더 포함되어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선반이 구비된 복합식 건조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관은 상기 열풍 유입관과 연통되게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선반이 구비된 복합식 건조장치.
  5.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관의 둘레면에는 복수개의 열풍토출구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선반이 구비된 복합식 건조장치.
KR1020040099157A 2004-11-30 2004-11-30 접이식선반이 구비된 복합식 건조장치 KR1005952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99157A KR100595239B1 (ko) 2004-11-30 2004-11-30 접이식선반이 구비된 복합식 건조장치
US11/289,637 US20060137210A1 (en) 2004-11-30 2005-11-30 Drum-and-cabinet type dryer with length-adjustable shel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99157A KR100595239B1 (ko) 2004-11-30 2004-11-30 접이식선반이 구비된 복합식 건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60230A KR20060060230A (ko) 2006-06-05
KR100595239B1 true KR100595239B1 (ko) 2006-06-30

Family

ID=366097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99157A KR100595239B1 (ko) 2004-11-30 2004-11-30 접이식선반이 구비된 복합식 건조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060137210A1 (ko)
KR (1) KR10059523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4992B1 (ko) 2005-08-31 2006-12-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 재생 장치
KR100658843B1 (ko) 2005-09-16 2006-12-1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 재생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2369B1 (ko) * 2004-11-30 2007-01-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열풍공급용 옷걸이가 구비된 복합식 건조장치
DE102006002713A1 (de) * 2005-03-18 2006-10-12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Frontbaugruppe für eine Wäschetrockenmaschine
AU2007288668B2 (en) * 2006-08-23 2010-09-09 Lg Electronics Inc. Multiple laundry treating machine
CN108842365A (zh) * 2018-07-20 2018-11-20 唐浩雄 挂钩式洗衣机
CN112301685B (zh) * 2019-07-26 2023-12-22 博西华电器(江苏)有限公司 一种干衣机
US11047621B2 (en) * 2019-10-22 2021-06-29 Harvey Rideout Heated outdoor storage assembly
CN112033103B (zh) * 2020-09-04 2022-05-20 东莞市创明电池技术有限公司 鼓风干燥装置及采用其进行残留电解液去除的方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524943A (en) * 1923-10-25 1925-02-03 William N Miller Disappearing structure
US3115019A (en) * 1960-09-26 1963-12-24 American Hardware Corp Self-service refrigerated display case
US6928752B2 (en) * 2003-04-04 2005-08-16 Maytag Corporation Combination tumble and cabinet dryer
US6845569B1 (en) * 2004-02-25 2005-01-25 Soo Kil Kim Shoe drying apparatu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4992B1 (ko) 2005-08-31 2006-12-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 재생 장치
KR100658843B1 (ko) 2005-09-16 2006-12-1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 재생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60230A (ko) 2006-06-05
US20060137210A1 (en) 2006-06-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62369B1 (ko) 열풍공급용 옷걸이가 구비된 복합식 건조장치
AU2007277599B2 (en) Multiple laundry treating machine and control method thereof
RU2432424C2 (ru) Бытовой прибор
KR101276811B1 (ko) 보조 건조기 및 이를 포함하는 복합 세탁장치
US20080256989A1 (en) Refresher and Machine for Washing or Drying with the Same
US20100005681A1 (en) Multiple laundry treating machine
KR100808199B1 (ko) 복합 의류 처리 장치
US20060137210A1 (en) Drum-and-cabinet type dryer with length-adjustable shelf
KR100587360B1 (ko) 건조 장치
KR20060111128A (ko) 세탁 장치
US20060137208A1 (en) Complex type drying apparatus
US20060137205A1 (en) Composite washing system
KR100774206B1 (ko) 복합 의류 처리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KR100763383B1 (ko) 세탁 장치
KR100710221B1 (ko) 리프레쉬 장치
KR100845843B1 (ko) 리프레쉬 장치
KR100640904B1 (ko) 세탁 장치
KR100595237B1 (ko) 열풍공급선반이 구비된 복합식 건조장치
KR100595238B1 (ko) 복합식 건조장치의 선반구조
KR100672309B1 (ko) 회전식 옷걸이가 구비된 복합식 건조장치
KR100845844B1 (ko) 리프레쉬 장치
KR100808172B1 (ko) 리프레쉬 장치
KR100891659B1 (ko) 리프레쉬 장치
KR100873129B1 (ko) 세탁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1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4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