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95237B1 - 열풍공급선반이 구비된 복합식 건조장치 - Google Patents

열풍공급선반이 구비된 복합식 건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95237B1
KR100595237B1 KR1020040099135A KR20040099135A KR100595237B1 KR 100595237 B1 KR100595237 B1 KR 100595237B1 KR 1020040099135 A KR1020040099135 A KR 1020040099135A KR 20040099135 A KR20040099135 A KR 20040099135A KR 100595237 B1 KR100595237 B1 KR 1005952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t air
air supply
dryer
laundry
supply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991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60212A (ko
Inventor
조흥명
김영수
이득희
최성봉
안병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991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95237B1/ko
Priority to US11/289,630 priority patent/US20060137208A1/en
Publication of KR200600602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602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952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952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10Drying cabinets or drying chambers having heating or ventilating mea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9/00Combinations of a washing machine with other separate apparatus in a common frame or the like, e.g. with rinsing apparatus
    • D06F29/005Combinations of a washing machine with other separate apparatus in a common frame or the like, e.g. with rinsing apparatus the other separate apparatus being a drying applianc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7/00Supporting means, other than simple clothes-lines, for linen or garments to be dried or aired 
    • D06F57/12Supporting means, other than simple clothes-lines, for linen or garments to be dried or aired  specially adapted for attachment to walls, ceilings, stoves, or other structures or objec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16Domestic laundry dryers having heatable surfaces for contacting the laundry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1/00User input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1/16Target humidity for the drying process, e.g. very-dry cycl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28Air properties
    • D06F2103/36Flow or velocity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52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related to electric heating means, e.g. temperature or voltag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56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related to air ducts, e.g. position of flow divert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16Air properties
    • D06F2105/20Temperatur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30Blowers

Abstract

본 발명은 건조드럼 내부 및 캐비닛 내부의 세탁물 건조를 위한 공기가 계속적으로 순환될 수 있도록 함과 더불어 캐비닛 내부의 세탁물을 고루 건조시킬 수 있도록 하는 건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고온의 열풍 유동을 안내하는 열풍 공급관을 가지고, 상기 열풍 공급관의 관로 상에 구비되어 열풍을 발생하는 열풍 공급부를 가지면서 드럼 내로 투입된 세탁물을 건조하는 드럼식 건조기와, 소정의 수납 공간을 가지면서 상기 드럼식 건조기의 상측에 결합되며, 상기 열풍 공급관으로부터 열풍을 유입 받는 열풍 유입관을 가지는 캐비닛 건조기와, 상면에는 세탁물이 얹혀지고, 상기 캐비닛 건조기 내부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며, 캐비닛 건조기 내부로 공급되는 열풍을 상기 세탁물로 공급하는 유로를 가지는 열풍공급선반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열풍공급선반이 구비된 복합식 건조장치를 제공한다.
드럼식 건조기, 캐비닛 건조기, 열풍공급선반

Description

열풍공급선반이 구비된 복합식 건조장치{complex type dryer having heat air supplying lathe}
도 1 은 종래 일반적인 드럼식 건조기의 내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
도 2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조장치의 외관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
도 3 은 도 2의 I-I를 나타낸 종단면도
도 4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조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도
도 5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열풍공급선반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6 은 도 5의 A방향에서 본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7 은 도 5의 II-II를 나타낸 종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드럼식 건조기 110: 건조드럼
121: 제1공급관 122: 제2공급관
123: 제3공급관 124: 걸름부
125: 유로밸브 130: 열풍 공급부
140: 공기 응축부 141: 응축기
142: 응축팬 200: 캐비닛 건조기
210: 몸체 222: 걸이바
230: 개폐 도어 241: 열풍 유입관
242: 공기 유출관 250: 연장부
241a: 열풍 배출구 300: 열풍공급선반
310: 몸체부 311: 공간부
320: 열풍토출구 321: 하방열풍토출구
330: 보조열풍공급관 331: 보조열풍토출구
400: 컨트롤부
본 발명은 건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세탁물 건조를 위한 공기가 상기 건조장치를 계속적으로 순환될 수 있도록 하되, 보다 원활한 건조가 가능하도록 하여 빌트인으로의 제공에 적합할 수 있도록 함과 더불어 실내 환경의 변화를 최대한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새로운 구조의 건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조장치는 의류 등의 세탁물을 건조하는 기기로써, 세탁이 완료된 세탁물을 제공받아 고온의 열기를 지속적으로 공급함으로써 상기 세탁물의 건조를 수행한다.
도시한 도 1은 전술한 종래의 건조장치 중 일반적인 드럼식 건조기가 도시되고 있다.
즉, 종래 드럼식 건조기는 크게 본체(10)와, 건조드럼(20)과, 도어(40)와, 모터(50)와, 건조히터(60)와, 송풍팬(7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본체(10)는 드럼식 건조기의 외관을 형성하고, 상기 건조드럼(20)은 상기 본체(10) 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또한, 상기 본체(10)의 전면에는 투입구(11)가 형성되고, 상기 도어(40)는 상기 투입구(11)를 개폐하도록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모터(50)는 상기 본체(10)의 내측 저부에 고정되어 건조드럼(20) 및 상기 송풍팬(70)을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발생한다.
그리고, 상기 건조히터(60)는 열풍공급유로(91)의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열풍공급유로(91)의 내부를 유동하는 공기를 가열시킨다. 이 때, 상기 열풍공급유로(91)는 건조드럼(20) 내로 공급되는 열풍의 유동을 안내한다.
그리고, 상기 송풍팬(70)은 상기 건조드럼(10) 내부를 유동하는 건조 공기를 본체(10) 외부로 배출하도록 동작되며, 열풍배출유로(92)와 연통되게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송풍팬(70)이 작동되면 외부 공기는 열풍공급유로(91)의 안내를 받아 유동되고, 상기 유동 도중 건조히터(60)를 지나면서 고온화 되어 건조드럼(10) 내로 유입된다.
이로 인해, 상기 건조드럼(10) 내에 투입된 젖은 세탁물은 상기 고온화된 외부 공기에 의해 점차 건조된다.
또한, 상기 건조드럼(10) 내를 유동하면서 상기 세탁물을 건조시킨 공기는 열풍배출유로(92)의 안내를 받아 본체(10) 외부로 배출된다.
그리고, 상기한 과정의 반복 수행에 의해 세탁물의 건조가 완료되면 송풍팬(70)과 건조히터(60)의 동작이 중단됨으로써 건조 행정이 종료된다.
하지만, 종래의 드럼식 건조기는 세탁물이 일괄적으로 투입된 상태로 건조 과정이 진행되기 때문에 엉켜진 부위에 대한 원활한 건조가 이루어지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뿐만 아니라, 드럼식 건조기 내에서의 장시간 보존이 불가능하다는 문제점 역시 있었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건조 용량을 확대하고, 장시간의 보관도 가능하도록 한 새로운 건조장치에 대한 요구가 이루어졌으며, 미국특허출원공개 US2004/0194339 A1 및 US2004/0154194 A1과 같이 드럼식 건조기에 별도의 건조 캐비닛을 더 구비된 혼합식 건조기가 제공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혼합식 건조기는 회전되는 드럼을 가지는 일반적인 드럼식 건조기의 상측에 각종 세탁물의 수납 공간을 가지면서 열풍을 공급받는 건조 캐비닛이 장착되어 이루어진 건조 기기이다.
이 때, 상기 건조 캐비닛은 상기 드럼식 건조기로부터 열풍을 공급받아 그 내부에 수납되는 의류 등을 건조시키거나 장시간 보관하는데 사용된다.
하지만, 전술한 혼합식 건조기는 세탁물을 건조시킨 공기가 기기 외부로 배출되는 배기식 구조이기 때문에 빌트인으로의 제공이 곤란한 문제점이 야기된다.
즉, 빌트인을 위한 공간은 혼합식 건조기 외부로의 원활한 공기 배출을 위해 벽면과의 충분한 간격을 유지할 수 있을 정도로 크게 형성되어야만 함으로써 상기 간격으로 인한 외관 디자인의 저하가 야기될 수밖에 없었던 것이다.
뿐만 아니라, 상기 혼합식 건조기로부터 배출되는 공기는 고온의 다습한 공기이기 때문에 실내 환경이 사용자가 원치 않는 환경 즉, 고온 다습한 환경을 이룰 수밖에 없었던 문제점이 야기된다.
그리고, 건조 캐비닛에 설치된 선반 및 옷걸이에 거치 되어 건조되는 세탁물은 세탁물에 대해 열풍이 공급되는 위치가 한정되어, 세탁물의 일부는 과도 건조가 이루어지고 일부는 건조가 잘 이루어지지 않아 건조 성능이 저하되고 과도 건조로 인해 세탁물이 파손될 우려가 발생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에 대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건조드럼 내부 및 캐비닛 내부의 세탁물 건조를 위한 공기가 계속적으로 순환될 수 있도록 함과 더불어 캐비닛 내부의 세탁물을 고루 건조시킬 수 있도록 하는 건조장치를 제공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고온의 열풍 유동을 안내하는 열풍 공급관을 가지고, 상기 열풍 공급관의 관로 상에 구비되어 열풍을 발생하는 열풍 공급부를 가지면서 드럼 내로 투입된 세탁물을 건조하는 드럼식 건조기; 소정의 수납 공간을 가지면서 상기 드럼식 건조기의 상측에 결합되며, 상기 열풍 공급관으로부터 열풍을 유입 받는 열풍 유입관을 가지는 캐비닛 건조기; 상면에는 세탁물이 얹혀지고, 상기 캐비닛 건조기 내부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며, 캐비닛 건조기 내 부로 공급되는 열풍을 상기 세탁물로 공급하는 유로를 가지는 열풍공급선반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열풍공급선반이 구비된 복합식 건조장치를 제공한다.
이하, 전술한 본 발명의 건조장치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 2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첨부된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조장치는 크게 드럼식 건조기(100)와, 캐비닛 건조기(200), 열풍공급선반(300) 그리고, 컨트롤부(4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드럼식 건조기(100)는 세탁물에 대한 건조만을 수행하며, 회전 및 교반이 가능한 건조드럼(110)과, 열풍 공급관과, 열풍 공급부(130)와, 공기 응축부(1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열풍 공급관은 고온의 열풍 유동을 안내하는 관으로써, 상기 건조드럼(110)과 공기 응축부(140) 및 캐비닛 건조기(200) 간의 내부 공간과 연통되게 연결된다.
이 때, 상기 열풍 공급관은 상기 건조드럼(110) 내부로 열풍을 공급하는 제1공급관(121)과, 상기 공기 응축부(140)를 통과한 공기를 제공받아 상기 제1공급관(121)으로 공급하는 제2공급관(122)과, 상기 건조드럼(110)으로부터 배출되는 공기를 제공받아 상기 공기 응축부(140)로 전달하는 제3공급관(123)을 포함한다.
상기 제3공급관(123)의 관로 상에는 유동 공기 내에 포함된 이물질을 필터링하는 걸름부(124)가 더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열풍 공급부(130)는 상기 열풍 공급관 중 제2공급관(122)의 관로 상에 구비되어 열풍을 생성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열풍 공급부(130)는 상기 열풍 공급관의 제2공급관(122) 내를 유동하는 공기를 가열하는 건조히터(131)와, 상기 제2공급관(122) 내의 공기를 강제 송풍하는 송풍팬(13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 때, 상기 송풍팬(132)은 상기 제2공급관(122)의 관로 중 상기 건조히터(131)로 공기가 유입되는 측의 관로 상에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송풍팬(132)이 고온의 열기로 인해 손상됨을 최소화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공기 응축부(140)는 상기 열풍 공급관을 따라 유동하는 공기를 응축시킴으로써 상기 공기를 방열하며, 응축기(141) 및 응축팬(14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응축기(141)는 상기 열풍 공급관의 제3공급관(123)으로부터 고온의 공기를 유입 받도록 구성되며, 다수의 절곡이 이루어진 파이프 및 냉각핀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함께, 상기 응축팬(142)은 상기 응축기(141)를 향해 외기를 송풍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응축기(141)를 통과하는 다습한 공기는 상기 응축기(141)의 관로를 따라 유동하는 도중 상기 응축팬(142)의 구동에 의해 제공되는 외기와의 열교환을 통해 응축된다.
그리고, 상기 캐비닛 건조기(200)는 다수 세탁물이 수납되는 수납 공간을 가 지면서 상기 드럼식 건조기(100)의 상측에 결합된다.
이 때, 상기 캐비닛 건조기(200)는 몸체(210)와, 개폐 도어(230)와, 열풍 유입관(241) 및 공기 유출관(24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몸체(210)는 상기 캐비닛 건조기(200)의 외관을 형성하며, 그 전면은 개방되게 형성된다.
이 때, 상기 몸체(210)에는 상기 드럼식 건조기(100)의 내부에 이르기까지 길게 연장된 연장부(250)가 더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장부(250)는 바지나 코트 등과 같이 길이가 긴 세탁물을 겹치지 않고 걸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써, 첨부된 도 2 와 같이 드럼식 건조기를 이루는 건조드럼(110)의 회전에 영향을 주지 않는 일측편으로 치우친 부위에 구비됨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개폐 도어(230)는 상기 몸체(210)의 개방된 전면을 개폐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열풍 유입관(241)은 그 일단이 상기 드럼식 건조기(100)의 열풍 공급관 중 제2공급관(122)의 공기 유출측 관로 상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몸체(210) 내부와 연통되게 연결되어, 상기 열풍 공급관의 제2공급관(122)으로부터 고온의 열풍을 유입 받아 상기 몸체(210) 내로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 때, 상기 열풍 유입관(241)의 관로 상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케비넷 건조기의 몸체(210) 내부와 연통되도록 복수개의 열풍 배출구(241a)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2공급관(122)의 관로 상에는 상기 공기의 유동 방향을 상기 제1공급관 및/혹은, 상기 열풍 유입관(241)으로 선택하여 안내하는 유로밸브(125)가 더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공기 유출관(242)은 그 일단이 상기 몸체(210)와 연통되게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열풍 공급관의 제3공급관(123)에 연결되어, 상기 몸체(210) 내에서 세탁물을 통과한 고온 다습한 공기를 유출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그리고, 상기 열풍공급선반(300)은 세탁물을 지지함과 더불어 캐비닛 건조기의 몸체(210) 내부로 공급되는 열풍을 상기 세탁물로 바로 공급하여 상기 세탁물의 건조를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해 구비된 것이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열풍공급선반(300)은 몸체부(310)와, 열풍토출구(320)와, 보조열풍공급관(330)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몸체부(310)는 열풍공급선반(300)의 외관을 이루며, 그 내부에 열풍이 공급되는 공간부(311)가 형성된다.
이 때, 상기 열풍공급선반의 몸체부(310) 후방측은 개구된 상태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각 열풍 배출구(241a)를 통해 상기 케비닛 건조기의 몸체(210) 내로 공급되는 열풍이 상기 개구된 부위를 통해 몸체부 내에 형성된 공간부(311)로 유동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복수개의 열풍토출구(320)는 상기 몸체부(310)의 상면에 공간부(311)와는 연통되게 형성되어, 상기 공간부(311)로 유동된 열풍을 상기 몸체부(310) 상면에 얹혀진 세탁물의 하부측으로 토출시키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보조열풍공급관(330)은 상기 몸체부(310)의 일단에 설치되어, 상기 몸체부(310)를 캐비닛 건조기의 내부에 고정시킴과 더불어 상기 열풍의 일부가 유동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이 때, 보조열풍공급관(330)은 상기 열풍유입관(241)과 연통되게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보조열풍공급관(330)의 둘레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보조열풍토출구(331)가 형성된다. 이는, 상기 보조열풍공급관(330)으로 유동된 열풍이 상기 보조열풍토출구(331)를 통해 세탁물로 바로 공급하여 세탁물의 건조를 더욱 원활하게 하도록 하기 위해 형성된 것이다.
한편, 상기 보조열풍공급관(330)의 일측은 상기 몸체부(310)의 공간부(311)와 연통되게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보조열풍공급관(330)으로 유동된 열풍이 상기 공간부(311)로 유동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상기 본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열풍공급선반의 몸체부(310)의 하측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공간부(311)로 유동된 열풍을 하측에 놓여진 세탁물 측으로 토출시키기 위한 복수개의 하방열풍토출구(321)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캐비닛 건조기의 몸체(210) 내의 상측 공간 중 일측편 공간에는 옷걸이 등을 걸기 위한 걸이바(222)가 설치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컨트롤부(400)는 상기 드럼식 건조기(100) 및 캐비닛 건조기(200)의 동작 제어를 수행한다.
이 때, 상기 컨트롤부(400)는 상기 드럼식 건조기(100) 혹은, 캐비닛 건조기(2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구비되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와 같이 드럼식 건조기에만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만일, 상기 컨트롤부(400)를 상기 드럼식 건조기(100) 및 캐비닛 건조기(200) 모두에 각각 구비할 경우 두 컨트롤부(400)간은 데이터 케이블(도시는 생략됨)로 상호간을 연결하여 정보의 교류가 가능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컨트롤부(400)는 상기 드럼식 건조기(100)와 캐비닛 건조기(200) 각각을 제어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고, 서로간이 연동되도록 제어하게 구성할 수도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열풍공급선반이 구비된 복합식 건조장치의 캐비닛 건조기 측에 수납된 세탁물을 건조시키는 과정 및 이에 따른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본 발명의 건조장치를 이용하여 건조를 수행하고자 할 경우 캐비닛 건조기(200)의 몸체(210) 내에 설치된 열풍공급선반(300) 및 걸이바(222)에 세탁물을 안착시키거나 거치 시킨다.
이후, 열풍 공급부(130)로 전원을 공급하여 열풍 공급관의 제2열풍공급관(122) 내로 열풍이 유동되도록 한다.
다음, 상기 제2열풍공급관(122) 내로 유동되는 열풍을 상기 캐비닛 건조기 측의 열풍 유입관(241)으로 유동되도록 벨브(125)를 조절한다.
상기 열풍 유입관(241) 내로 유동되는 열풍의 일부는 각 열풍 배출구(241a) 를 통해 캐비닛 건조기의 몸체(210) 내로 유동되고, 일부는 보조열풍공급관(330) 내로 유동된다.
이 때, 상기 캐비닛 건조기의 몸체(210) 내로 유입된 열풍 중, 일부는 상기 세탁물 측으로 유동되어 상기 세탁물의 상부를 건조시키고, 상기 열풍건조선반(300)의 개구된 부위를 통해 공간부(311)로 유동된다.
이와 함께, 상기 열풍유입관(241)과 연결된 보조열풍공급관(330)으로 유동된 열풍의 일부는 보조열풍토출구(331)를 통해 세탁물 측으로 열풍를 토출시키고, 나머지 열풍은 상기 열풍공급선반(300)의 공간부(311)로 유동된다.
다음, 상기 열풍공간선반의 공간부(311)로 유동된 열풍의 일부는 몸체부(310)의 상면에 형성된 열풍토출구(320)를 통해 세탁물의 하측 부위로 토출되고, 일부는 몸체부의 하면에 형성된 하방열풍토출구(321)를 통해 하부측에 놓인 세탁물의 상부 측으로 토출된다.
즉, 캐비닛 건조기(200)의 몸체(210) 내부로 유동되는 열풍과 상기 열풍공간선반(300)에 의해 직접 제공받는 열풍에 의해 세탁물은 상/하부 골고루 건조가 이루어지고, 세탁물 일부가 과도하게 건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 상기 건조가 이루어진 습한 공기는 상기 캐비닛 건조기의 몸체(210)의 일측에 설치된 공기 유출관(242)을 통하여 제3공급관(123)으로 유동된다.
상기 제3공급관(123)으로 유동된 습한 공기는 응축부(140)를 통과하면서 수분이 분리되면서 건조되고, 상기 건조된 공기는 다시 상기 건조히터(131)를 통과하면서 고온의 상태로 변하여 캐비닛 건조기(200)의 몸체(210) 내로 재 공급된다.
결국, 전술한 바와 같은 공기의 유동이 설정된 시간 동안 반복적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세탁물은 건조된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실시예를 중심으로 살펴보았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본질적 기술 범위 내에서 변형된 형태의 실시예를 구현할 수 있을 것이다. 여기서 본 발명의 본질적 기술 범위는 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에 있는 변형된 형태는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열풍공급선반이 구비된 복합식 건조장치의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발명에 의하면, 드럼식 건조기 및 캐비닛 건조기를 유동하는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지 않고 계속적으로 순환되도록 함으로써, 실내 환경을 변화시키지 않게 되어 빌트인으로의 제공에 적합할 수 있다는 효과를 가진다.
둘째, 본 발명에 의하면, 공기 응축기로 상기 드럼식 건조기 및 캐비닛 건조기로부터 배출된 다습한 공기를 응축시킴으로써 상기 공기 내의 수분을 제거될 수 있도록 하여 원활한 세탁물의 건조가 이루어질 수 있다는 효과를 가진다.
셋째,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캐비닛 건조기 내부에 열풍건조선반이 구비됨에 따라, 세탁물을 고르게 건조시킬 수 있는 것과 더불어 건조 시간을 단출 할 수 있다는 효과를 가진다.

Claims (6)

  1. 고온의 열풍 유동을 안내하는 열풍 공급관을 가지고, 상기 열풍 공급관의 관로 상에 구비되어 열풍을 발생하는 열풍 공급부를 가지면서 드럼 내로 투입된 세탁물을 건조하는 드럼식 건조기;
    소정의 수납 공간을 가지면서 상기 드럼식 건조기의 상측에 결합되며, 상기 열풍 공급관으로부터 열풍을 유입 받는 열풍 유입관을 가지는 캐비닛 건조기;
    상면에는 세탁물이 얹혀지고, 상기 캐비닛 건조기 내부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며, 캐비닛 건조기 내부로 공급되는 열풍을 상기 세탁물로 공급하는 유로를 가지는 열풍공급선반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열풍공급선반이 구비된 복합식 건조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열풍공급선반은
    상기 열풍이 공급되는 공간부를 가지며 열풍공급선반의 외관을 이루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상면에 형성되어 상기 공간부로 공급된 열풍을 토출시키는 복수개의 열풍토출구와,
    상기 몸체의 일단에 설치되어, 상기 몸체부를 상기 캐비닛 건조기의 내부에 고정시킴과 더불어 그 내부로 열풍의 일부가 유동되는 보조열풍공급관: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열풍공급선반이 구비된 복합식 건조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의 후방측은 개구된 상태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열풍공급선반이 구비된 열풍공급선반이 구비된 복합식 건조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의 하면에는 복수개의 하방열풍토출구가 형성되어, 상기 공간부로 공급된 열풍을 하부측으로 토출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열풍공급선반이 구비된 복합식 건조장치.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열풍공급관은 상기 몸체부의 공간부와 연통되게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열풍공급선반이 구비된 복합식 건조장치.
  6. 제 2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열풍공급관의 둘레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보조열풍토출구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열풍공급선반이 구비된 복합식 건조장치.
KR1020040099135A 2004-11-30 2004-11-30 열풍공급선반이 구비된 복합식 건조장치 KR1005952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99135A KR100595237B1 (ko) 2004-11-30 2004-11-30 열풍공급선반이 구비된 복합식 건조장치
US11/289,630 US20060137208A1 (en) 2004-11-30 2005-11-30 Complex type drying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99135A KR100595237B1 (ko) 2004-11-30 2004-11-30 열풍공급선반이 구비된 복합식 건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60212A KR20060060212A (ko) 2006-06-05
KR100595237B1 true KR100595237B1 (ko) 2006-06-30

Family

ID=371570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99135A KR100595237B1 (ko) 2004-11-30 2004-11-30 열풍공급선반이 구비된 복합식 건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9523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956314A (zh) * 2009-07-16 2011-01-26 艾默生电气公司 干燥器电动机和控制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738412B2 (en) * 2016-12-29 2020-08-11 Lg Electronics Inc. Dual type drying machine
KR102348088B1 (ko) * 2017-01-02 2022-01-10 삼성전자주식회사 의류건조장치
KR20180079801A (ko) 2017-01-02 2018-07-11 삼성전자주식회사 듀얼 건조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50656U (ko) 1978-09-29 1980-04-03
KR200345449Y1 (ko) 2003-10-07 2004-03-19 주재순 오존과 열풍을 이용한 신발살균탈취건조기
KR200357289Y1 (ko) 2004-04-20 2004-07-27 이강오 신발 건조장치
KR20060035385A (ko) * 2004-10-22 2006-04-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50656U (ko) 1978-09-29 1980-04-03
KR200345449Y1 (ko) 2003-10-07 2004-03-19 주재순 오존과 열풍을 이용한 신발살균탈취건조기
KR200357289Y1 (ko) 2004-04-20 2004-07-27 이강오 신발 건조장치
KR20060035385A (ko) * 2004-10-22 2006-04-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956314A (zh) * 2009-07-16 2011-01-26 艾默生电气公司 干燥器电动机和控制
CN101956314B (zh) * 2009-07-16 2014-03-05 尼得科电机有限公司 干燥器电动机和控制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60212A (ko) 2006-06-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62369B1 (ko) 열풍공급용 옷걸이가 구비된 복합식 건조장치
US7814770B2 (en) Multi-functional laundry device and controlling method for the same
AU2007277599B2 (en) Multiple laundry treating machine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0662473B1 (ko) 스팀발생장치를 이용한 건조기
KR100808199B1 (ko) 복합 의류 처리 장치
EP3559331B1 (en) Clothing drying apparatus
AU2007277518A1 (en) Multiple laundry treating machine
KR100587360B1 (ko) 건조 장치
US20060137208A1 (en) Complex type drying apparatus
US20060137210A1 (en) Drum-and-cabinet type dryer with length-adjustable shelf
KR100763383B1 (ko) 세탁 장치
US20060137205A1 (en) Composite washing system
KR100774206B1 (ko) 복합 의류 처리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US7526877B2 (en) Drying device and method thereof
KR20080024864A (ko) 가구형상을 갖는 세탁물 처리기
KR100845843B1 (ko) 리프레쉬 장치
KR100595237B1 (ko) 열풍공급선반이 구비된 복합식 건조장치
KR100640904B1 (ko) 세탁 장치
KR100774207B1 (ko) 복합 의류 처리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KR100595238B1 (ko) 복합식 건조장치의 선반구조
US20060248659A1 (en) Laundry device and method thereof
KR100672309B1 (ko) 회전식 옷걸이가 구비된 복합식 건조장치
KR20160019729A (ko) 의류처리장치
KR200431764Y1 (ko) 가구형상을 갖는 세탁물 처리기
JP2021045331A (ja) 衣類乾燥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1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4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