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33867B1 - 스팀건조기 - Google Patents

스팀건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33867B1
KR100833867B1 KR1020070040320A KR20070040320A KR100833867B1 KR 100833867 B1 KR100833867 B1 KR 100833867B1 KR 1020070040320 A KR1020070040320 A KR 1020070040320A KR 20070040320 A KR20070040320 A KR 20070040320A KR 100833867 B1 KR100833867 B1 KR 1008338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am
drum
dryer
hose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403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연식
이동근
윤주한
배상훈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403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33867B1/ko
Priority to DE102008020671.7A priority patent/DE102008020671B4/de
Priority to US12/149,018 priority patent/US8181359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338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338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3Laundry conditioning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02Domestic laundry dryers having dryer drum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 D06F58/04Detail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6Heating arrangements, e.g. gas heating equip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6/12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forming water dispersions in the ai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팀건조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스팀건조기는 캐비넷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드럼; 상기 드럼에 열풍을 공급하기 위하여 공기를 가열하는 열풍히터; 상기 드럼에 스팀 호스를 통하여 스팀을 공급하는 스팀발생기; 상기 스팀발생기에 물을 공급하는 물공급원; 및 상기 스팀 호스의 처짐을 방지하는 처짐방지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스팀건조기에 의하면, 옷감의 구김을 효과적으로 제거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스팀, 건조기, 처짐, 플랜지

Description

스팀건조기 {Steam Laundry Dryer}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팀건조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2는 도 1의 스팀건조기의 일 실시예에 따라 물을 공급하는 카트리지 및 스팀발생기의 구성을 도시한 개략도,
도 3은 도 2의 카트리지 및 스팀발생기가 캐비넷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도 3에서 스팀호스의 제1 실시예에 따라 연결된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사시도,
도 5는 도 3에서 스팀호스의 제2 실시예에 따라 연결된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사시도, 및
도 6은 도 3에서 스팀호스의 제3 실시예에 따라 연결된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캐비넷 200...스팀발생기
220...급수호스 240...고정 플랜지
300...카트리지 400...펌프
본 발명은 스팀건조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건조 시에 옷감의 구김을 제거할 수 있으며, 스팀호스의 처짐을 방지할 수 있는 스팀건조기에 관한 것이다.
건조기는 통상 세탁이 완료된 세탁물 즉 주로 의류를 고온의 공기를 이용하여 건조하는 가전 기기이다. 일반적으로 건조기는 피건조물을 수용하는 드럼, 상기 드럼을 구동하는 구동원, 상기 드럼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를 가열하는 가열수단, 상기 드럼 내부의 공기를 흡입하거나 배출하는 블로워 유닛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건조기는 공기를 가열하는 방식 즉 가열수단에 따라 전기식 건조기 및 가스식 건조기로 분류할 수 있다. 전기식 건조기는 공기를 전기 저항열을 이용하여 가열하며, 가스식 건조기는 공기를 가스의 연소에 의하여 발생하는 열을 이용하여 가열한다.
건조기를 다른 방식으로 구분하면, 응축식 건조기와 배기식 건조기로 분류할 수 있다. 응축식 건조기에서는 드럼에서 피건조물과 열교환되어 다습한 상태가 된 공기가 건조기 외부로 배출되지 않고 순환되며, 별도의 응축기에서 외부 공기와 열교환시켜 응축수를 만들어 이를 외부로 배출한다. 배기식 건조기에서는 드럼에서 피건조물과 열교환되어 다습한 상태가 된 공기가 건조기의 외부로 직접 배출된다.
건조기를 또 다른 방식으로 구분하면, 피건조물을 건조기에 투입하는 방식에 따라 탑 로딩(top loading) 방식과 프런트 로딩(front loading) 방식으로 나눌 수 있다. 탑 로딩 방식에서는 피건조물이 건조기의 상측에서 투입되며, 프런트 로딩 방식에서는 피건조물이 건조기의 전면에서 투입된다.
한편, 상술한 종래의 건조기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일반적으로 건조기에는 세탁 완료되어 탈수된 세탁물이 투입되어 건조되게 된다. 그런데, 물세탁의 원리상 물세탁이 완료된 세탁물에는 구김이 발생하게 되고, 한번 발생된 구김은 건조기에서 건조과정에서 완전히 제거되지 않는다. 따라서, 종래의 건조기를 사용하는 경우에 건조 완료된 세탁물과 같은 피건조물에 존재하는 구김을 제거하기 위하여 별도의 다림질이 필요하다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세탁 완료 후의 세탁물 이외에도 의류 등을 통상적으로 보관, 사용하는 경우에도 주름, 구김, 접힘 등(이하 총칭하여 "구김"이라 함)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의류 등의 통상적 사용, 보관에 따른 구김도 간편히 제거할 수 있는 장치의 개발이 요구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의류 등에 생기는 구김을 방지 및/또는 제거할 수 있는 스팀건조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스팀건조기에 스팀을 공급하는 스팀호스가 처져서 드럼에 닿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스팀건조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캐비넷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드럼; 상기 드럼에 열풍을 공급하기 위하여 공기를 가열하는 열풍히터; 상기 드럼에 스팀 호스를 통하여 스팀을 공급하는 스팀발생기; 상기 스팀발생기에 물을 공급하는 물공급원; 및 상기 스팀 호스의 처짐을 방지하는 처짐방지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팀건조기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처짐방지수단은 상기 캐비넷의 내부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스팀 호스를 고정하는 고정 플랜지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고정 플랜지는 상기 캐비넷의 내부 일측에 설치되는 연장부와, 상기 연장부에서 절곡 형성되어 상기 스팀 호스를 고정하는 고정부를 포함한다.
한편, 상기 고정부에는 고정홀이 형성되어, 상기 스팀 호스의 소정부위에 연결된 고정 타이가 상기 고정홀을 관통하여 고정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고정 플랜지는 상기 드럼에 인접하여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스팀건조기는 상기 스팀발생기가 장착되는 스팀발생기 가이드 및 상기 스팀발생기 가이드가 지지되는 서포터를 더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고정 플랜지는 상기 서포터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고정 플랜지는 상기 캐비넷의 리어 커버에 설치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 상기 리어 커버의 상부 일측에 설치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팀건조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스팀건조기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캐비넷(10)은 본 발명에 따른 스팀건조기의 외관을 형성하며, 그 내부에 후술하는 각종 구성요소가 설치된다.
먼저, 캐비넷(10)의 내부에는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드럼(20), 드럼(20)을 구동시키는 모터(70) 및 벨트(68)가 설치된다. 그리고, 캐비넷(10)의 소정 위치에는 공기를 가열하여 고온의 공기(이하 "열풍"이라 함)을 만드는 히터(90)(이하 편의상 "열풍히터"라 함), 열풍히터(90)에서 생성된 열풍을 드럼(20)에 공급하기 위한 열풍공급덕트(44)가 설치된다. 그리고, 드럼(20)에서 피건조물과 열교환된 다습한 공기를 배출하는 배기 덕트(80), 다습한 공기를 빨아 들이는 블로워 유닛(60) 등도 설치된다. 한편, 캐비넷(10)의 소정 위치에는 고온의 스팀을 발생시키는 스팀발생기(200)가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편의상 모터(70)와 벨트(68)를 이용하여 드럼(20)을 회전시키는 간접구동방식을 도시 및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드럼(20)의 후면에 모터가 직결되어 드럼(20)을 직접 회전시키는 직접구동방식(Direct Drive Type)에 본 발명을 적용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이하, 전술한 각각의 구성요소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캐비넷(10)은 건조기의 외형을 형성하는 것으로서, 바닥면을 형성하는 베이 스(12)와, 베이스(12)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한 쌍의 측면 커버(14)와, 측면 커버(14)의 전면 및 후면에 각각 설치되는 프런트 커버(16) 및 리어 커버(18), 측면 커버(14)의 상부에 위치하는 탑 커버(17)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각종 조작 스위치 등을 가지는 컨트롤 패널(19)은 통상 탑 커버(17) 또는 프런트 커버(16)에 위치하게 되며, 도어(164)는 프런트 커버(16)에 설치된다. 리어 커버(18)에는 외부 공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하는 흡입부(182)와, 드럼(20)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최종 통로인 배기홀(184)이 구비된다.
드럼(20)의 내부 공간은 건조가 진행되는 건조 챔버 기능을 하며, 드럼(20)의 내부에는 피건조물을 끌고 올라가 낙하시켜 피건조물을 뒤집어주어 건조 효율을 높이는 리프트(22)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드럼(20)과 캐비넷(10) 사이, 즉, 드럼(20)과 프런트 커버(16) 및 리어 커버(18)의 사이에는 프런트 서포터(30)와 리어 서포터(40)가 각각 설치된다. 프런트 서포터(30)와 리어 서포터(40)의 사이에 드럼(20)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프런트 서포터(30) 및 리어 서포터(40)와 드럼(20) 사이에는 각각 누설을 방지하는 실링부재(미도시)가 설치된다. 즉, 프런트 서포터(30)와 리어 서포터(40)는 드럼(20)의 전면과 후면을 막아 건조 챔버를 형성하며 드럼(20)의 전단과 후단을 지지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프런트 서포터(30)에는 드럼(20)을 건조기의 외부와 연통시키는 개구부가 형성되며, 개구부는 도어(164)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개폐된다. 또한, 프런트 서포터(30)에는 드럼(20)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통로인 린트 덕트(50)가 연결되며, 린트 덕트(50)에는 린트 필터(52)가 설치된다.
린트 덕트(50)에는 블로워 유닛(60)의 일측이 연결되며, 블로워 유닛(60)의 타측은 배기 덕트(80)와 연결되며, 배기 덕트(80)는 리어 커버(18)에 구비되는 배기홀(184)과 연통된다.
따라서, 블로워 유닛(60)이 작동하면, 드럼(20) 내부의 공기는 린트 덕트(50), 배기 덕트(80), 배기홀(184)을 차례로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이 경우, 보푸라기 등의 이물질은 린트 필터(52)에서 여과된다. 통상 블로워 유닛(60)은 블로워(62)와 블로워 하우징(64)으로 구성되며, 블로워(64)는 드럼(20)을 구동시키는 모터(70)에 연결되어 구동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리어 서포터(40)에는 통상 다수의 통공으로 구성되는 개구부(42)가 형성되며, 개구부(42)에 열풍공급덕트(44)가 연결된다. 열풍공급덕트(44)는 드럼(20)과 연통하여 드럼(20)에 열풍을 공급하는 통로의 역할을 한다. 따라서, 열풍공급덕트(44)의 소정 위치에는 열풍히터(90)가 설치된다.
한편, 캐비넷(10)의 소정 위치에는 스팀을 발생시켜 드럼(20)의 내부로 공급하는 스팀발생기(200)가 설치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스팀발생기(200)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스팀건조기에서 스팀발생기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스팀건조기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스팀발생기(200)는 내부에 물이 수용되는 워터 탱크(210)와, 워터 탱크(210) 내부에 장착되는 히터(미도시)와, 스팀발생기(200)의 수위를 측정하는 수위센 서(260)와, 스팀발생기(200)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미도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비록 도시되지 않았지만, 수위센서(260)는 통상 공통전극, 저수위전극 및 고수위전극으로 구성되어, 공통전극과 고수위전극의 통전 또는 공통전극과 저수위전극의 통전 여부에 의하여 고수위 및 저수위를 감지한다.
스팀발생기(200)의 일측에는 물을 공급하는 급수 호스(220)가 연결되며, 타측에는 스팀을 배출하는 스팀 호스(230)가 연결되며, 스팀 호스(230)의 선단에는 소정 형상의 노즐(250)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통상, 급수 호스(220)의 일단은 카트리지(300)와 같은 물공급원과 연결되며, 스팀 호스(230)의 선단부 또는 노즐(25) 즉 스팀 토출구는 드럼(20)의 소정 위치에 위치되어, 드럼(20)의 내부로 스팀을 분사하게 된다.
한편, 상기 물공급원은 비록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건조기에 고정되어 설치되거나, 본 실시예에서처럼 탈부탁 가능하게 설치되는 카트리지(300)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외부에 위치한 수도꼭지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하지만, 이와 같이 물공급원이 수도꼭지로 이루어지면, 설치가 매우 복잡해진다. 왜냐하면, 건조기에서는 통상 물을 사용하지 않으므로 수도꼭지를 물공급원으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이에 부대하는 각종 장치 등이 추가로 설치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탈부착 가능한 물공급원(Detachable Water Supply Source)(300)을 사용하여, 물공급원(300)을 분리하여 물을 채우고, 물을 채운 물공급원(300)을 스팀발생기(200)의 물공급 유로 즉 급수 호스(220)에 연결하여 사용하면 대단히 편리하다.
그리고, 물공급원(300)과 스팀발생기(200)의 사이에는 펌프(400)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펌프(400)는 정역회전 가능하여, 스팀발생기(200)로 물을 공급하거나, 또는 필요에 따라 스팀발생기(200)의 잔수를 회수하는 것이 가능한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여기서, 스팀발생기(200)의 잔수를 회수하는 이유는 스팀발생기(200)를 오랫동안 사용하지 않으면 잔수에 의하여 히터가 손상되거나, 차후에 부패한 물이 사용될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또한, 스팀발생기(200)에서 스팀을 배출하는 스팀 유로 즉 스팀 호스(230)에는 안전밸브(500)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스팀건조기에서 물공급원을 이루는 카트리지가 캐비넷에 설치되는 구성에 대해서 상세하게 살펴본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팀건조기에서 카트리지가 건조기에 설치되는 구성에 대해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건조기는 캐비넷(10)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드로워(700)를 구비하며, 드로워(710)에 카트리지(300)가 선택적으로 장착된다. 한편, 카트리지(300)를 설치하는 경우에 카트리지(300)를 직접 캐비넷(10)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하기보다는, 드로워(700)를 캐비넷(10)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하고, 드로워(700)에 카트리지(300)를 설치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드로워(700)는 캐비넷(10)의 일측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며, 바람직하게 캐비넷(10)의 전면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된다. 구체적으로 드로워(700)는 캐비넷(10)의 전면에 인출 및 인입이 가능하게 설치되는데, 캐비네(10)의 일측에 구비 된 드로워가이드(710)에 의해 움직임이 가이드된다. 드로워가이드(710)에 대해서는 이후에 상세하게 설명한다.
카트리지(300)는 드로워(700)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된다. 카트리지(300)는 스팀발생기(200)로 공급하는 물을 수용하며, 드로워(700)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물을 공급하고자 하는 경우, 드로워(700)를 인출하여 카트리지(300)를 드로워(700)에서 분리하고 카트리지(300)에 물을 공급한 다음, 다시 드로워(700)에 장착하고 드로워(700)를 캐비넷(10)의 내부로 인입시키게 된다.
상기와 같이 드로워(700)가 이동을 하는 경우에 캐비넷(10)에는 드로워(700)의 움직임을 가이드하는 드로워가이드(710)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드로워가이드(710)는 캐비넷(10)의 개구부를 통하여 캐비넷(10)의 내측에 형성되며, 드로워(700)의 외관에 대응하는 형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컨트롤 패널(19)의 후측으로 서포터(820)가 탑 프레임(830)과 대략 평행하게 연장되어 리어 커버(18)까지 설치되고, 서포터(820) 및 탑 프레임(830)에 드로워 가이드(710)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스팀발생기(200)는 직접 프레임(830)에 고정될 수도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스팀발생기 가이드(205)에 스팀발생기(200)가 안착되고, 스팀발생기 가이드(205)는 서포터(820) 및 탑 프레임(830)에 설치된다. 여기서, 드로워 가이드(710)와 스팀발생기 가이드(205)는 진동 방지를 위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한편,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드로워 가이드(710)의 상부를 덮는 탑 가이드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카트리지(300)를 드로워(700)에 장착하고, 드로워(700)를 드로워가 이드(710)를 따라 이동시킴으로써, 카트리지(300)를 펌프(400)에 선택적으로 연결할 수 있게 된다.
도 4는 도 3에서 스팀호스(230)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스팀발생기(200)에 일단이 연결된 스팀호스(230)는 드럼(20)을 향하여 연장 형성된다. 비록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스팀호스(230)에 타단부에 위치한 노즐(도 2 참조, 250)이 드럼(20)의 소정 위치에 위치하여, 드럼(20)의 내부를 향해 스팀을 분사하게 된다.
한편, 스팀호스(230)는 플렉서블(flexible)한 재질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건조기 내부의 공간이 통상적으로 각종 구성품에 의해 협소하기 때문에 스팀호스(230)를 건조기 내부에 배치하기 위해서는 구부러지기 쉬운 플렉서블한 재질로 제작하는 것이 유리하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스팀호스(230)를 플렉서블한 재질로 제작하게되면, 건조기 내부의 협소한 공간을 따라 쉽게 배치할 수 있지만, 플렉서블한 성질에 의해 스팀호스(230)가 처지게 되는 문제점을 수반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팀호스(230)는 드럼(20)에 인접한 스팀발생기(200)에 일단이 연결되며, 타단부는 드럼(20)의 소정위치에 설치되므로 드럼(20)의 상부를 거쳐 배치되게 된다. 따라서, 스팀호스(230)가 처음 설치되는 경우에는 실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배치가 되지만, 시간이 흐름에 따라 스팀호스(230) 자체의 자중 및 건조기의 진동 등에 영향을 받아 점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를 향해 처지게 된다.
스팀호스(230)가 처지게 되면 드럼(20)에 스팀호스(230)의 일부가 닿게 되 며, 이에 의해 진동에 의한 소음 및 스팀호스(230)의 파손의 우려가 있게 된다. 즉, 건조기가 구동을 하여 드럼(20)이 선택적으로 회전을 하게 되면 드럼(20)과 맞닿게 되는 스팀호스(230)의 처진 부분은 드럼(20)의 회전에 의해 진동을 하게 되며, 이에 의해 소음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스팀호스(230)에 회전하는 드럼(20)이 계속하여 충돌하게 되므로 스팀호스(230)가 파손될 수 있으며, 파손된 부위를 따라 스팀이 누출되어 결국 건조기에 고장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본원발명에서는 스팀호스(230)의 처짐을 방지할 수 있는 처짐방지수단을 구비하게 되는데,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살펴본다.
도 5는 스팀호스가 처짐방지수단에 의해 고정된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사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처짐방지수단은 드럼(20)에 인접하여 설치되어 스팀호스(230)가 처지지 않도록 지지 및 고정하는 고정플랜지(240)로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고정플랜지(240)는 드럼(20)에 인접하여 캐비넷(10)의 내부를 가로질러 위치하는 서포터(820)에 설치된다. 이 경우, 고정플랜지(240)는 별도의 부재로 형성되어 서포터(820)에 고정될 수도 있으며, 또는 서포터(820)에 일체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고정플래지(240)는 서포터(820)에 고정되어 연장 형성되는 연장부(242)와, 연장부(242)의 단부에 절곡 형성되어 스팀호스(230)가 처지지 않게 지지 및 고정하는 고정부(244)를 포함한다.
연장부(242)는 소정길이로 연장 형성되며, 전술한 바와 같이 서포터(820)에 고정 형성된다. 서포터(820) 상에 연장부(242)가 형성되는 위치는 한정되지 않으며 적절하게 변형이 가능하다.
한편, 고정부(244)는 연장부(242)의 단부에서 절곡 형성되며, 그 상부에 스팀호스(230)가 안착된다. 스팀호스(230)가 안착되는 경우, 스팀호스(230)에는 고정타이(246)가 연결되며, 고정타이(246)의 단부가 고정부(244)의 고정홀(245)을 관통하여 고정된다. 스팀호스(230)가 고정플래지(240)의 상부에 안착되어 고정되므로, 스팀호스(230)가 처지는 것을 방지하고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플렉서블한 재질의 스팀호스(230)가 서포터(820) 등의 예리한 부재와 접하여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고정플랜지(240)는 도 5의 실시예와 같이 서포터(820) 상에만 설치되는 것이 아니라 캐비넷(10)의 내측에 드럼(20)에 인접하여 적절하게 위치를 바꾸어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6은 도 5에서 고정플랜지(240)의 위치가 바뀐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는 전술한 도 5의 실시예와 비교하여 고정플랜지(240')의 설치위치에 차이가 있다.
즉, 본 실시예에서 고정플랜지(240')는 캐비넷(10)의 후면을 형성하는 리어커버(18)의 내측에 설치된다. 구체적으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어커버(18)의 내면에 고정 설치되며, 절곡된 부분이 내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스팀호스(230)를 지지하게 된다.
한편, 고정플랜지(240')의 단부에 인접해서 고정홀(245')이 형성되고, 고정 홀(245')을 통하여 스팀호스(230)가 고정되는 방식을 전술한 실시예와 유사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스팀건조기의 동작에 대해서 간략하게 살펴본다.
먼저, 건조기를 구동시키기 전에 사용자는 카트리지(300)를 캐비넷(10)에서 분리하여 물을 채우고, 카트리지(300)를 다시 캐비넷(10)에 장착한다.
이어서, 건조기가 구동을 하여 스팀을 공급하는 경우, 펌프(400)의 구동에 의해 카트리지(400)에서 스팀발생기(200)로 물이 공급되며, 스팀발생기(200)에서 물이 가열되어 스팀이 드럼(20) 내부로 공급된다.
이 경우, 스팀발생기(200)와 드럼(20)을 연결하는 스팀호스(230)는 고정플랜지(240, 240')로 이루어진 처짐방지수단에 의해 지지 및 고정되므로, 스팀호스(230)의 처짐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물공급원을 형성하는 카트리지(300)가 캐비넷(10)에 탈부착 가능하게 설치되는 경우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물공급원이 고정되어 설치되는 경우, 또는 물공급원이 외부 공급원, 예를 들어 수도꼭지로 이루어진 경우에도 적용 가능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스팀건조기는 건조된 상태의 의류에 스팀을 분사함으로써, 의류에 생길 수 있는 구김 또는 주름을 별도의 다림질을 하지 않고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드럼에 스팀을 공급하는 스팀호스의 처짐을 방지하여 스팀호스의 진동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소음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스팀호스의 처짐을 방지하여 회전하는 드럼과 스팀호스가 닿는 것을 방지하여 스팀호스의 변형 및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Claims (8)

  1. 캐비넷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드럼;
    상기 드럼에 열풍을 공급하기 위하여 공기를 가열하는 열풍히터;
    상기 드럼에 스팀 호스를 통하여 스팀을 공급하는 스팀발생기;
    상기 스팀발생기에 물을 공급하는 물공급원; 및
    상기 스팀 호스의 처짐을 방지하는 처짐방지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팀건조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처짐방지수단은 상기 캐비넷의 내부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스팀 호스를 고정하는 고정 플랜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팀건조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플랜지는 상기 캐비넷의 내부 일측에 설치되는 연장부와, 상기 연장부에서 절곡 형성되어 상기 스팀 호스를 고정하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팀건조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에는 고정홀이 형성되어, 상기 스팀 호스의 소정부위에 연결된 고정 타이가 상기 고정홀을 관통하여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팀건조기.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플랜지는 상기 드럼에 인접하여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팀건조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스팀발생기가 장착되는 스팀발생기 가이드 및 상기 스팀발생기 가이드가 지지되는 서포터를 더 구비하고,
    상기 고정 플랜지는 상기 서포터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팀건조기.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플랜지는 상기 캐비넷의 리어 커버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팀건조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플랜지는 상기 리어 커버의 상부 일측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팀건조기.
KR1020070040320A 2007-04-25 2007-04-25 스팀건조기 KR1008338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0320A KR100833867B1 (ko) 2007-04-25 2007-04-25 스팀건조기
DE102008020671.7A DE102008020671B4 (de) 2007-04-25 2008-04-24 Bekleidungsbehandlungsmaschine
US12/149,018 US8181359B2 (en) 2007-04-25 2008-04-24 Laundry machi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0320A KR100833867B1 (ko) 2007-04-25 2007-04-25 스팀건조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33867B1 true KR100833867B1 (ko) 2008-06-02

Family

ID=397696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40320A KR100833867B1 (ko) 2007-04-25 2007-04-25 스팀건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3386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4609B1 (ko) 2005-01-25 2011-12-15 엘지전자 주식회사 건조기의 응축수 수위 표시 장치
CN111560752A (zh) * 2020-04-09 2020-08-21 青岛海尔滚筒洗衣机有限公司 一种衣物处理设备
KR20220152795A (ko) * 2021-05-10 2022-11-17 강희찬 스팀발생부를 포함하는 걸이형 의류관리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70015180U (ko) * 1986-03-19 1987-10-24 대우전자 주식회사 오일팬히터의 가습장치
KR970044445U (ko) * 1995-12-30 1997-07-31 대우전자주식회사 가습기의 덕트구조
KR20080007869A (ko) * 2006-07-18 2008-01-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 처리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70015180U (ko) * 1986-03-19 1987-10-24 대우전자 주식회사 오일팬히터의 가습장치
KR970044445U (ko) * 1995-12-30 1997-07-31 대우전자주식회사 가습기의 덕트구조
KR20080007869A (ko) * 2006-07-18 2008-01-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 처리 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4609B1 (ko) 2005-01-25 2011-12-15 엘지전자 주식회사 건조기의 응축수 수위 표시 장치
CN111560752A (zh) * 2020-04-09 2020-08-21 青岛海尔滚筒洗衣机有限公司 一种衣物处理设备
KR20220152795A (ko) * 2021-05-10 2022-11-17 강희찬 스팀발생부를 포함하는 걸이형 의류관리기
KR102574259B1 (ko) * 2021-05-10 2023-09-01 강희찬 스팀발생부를 포함하는 걸이형 의류관리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81359B2 (en) Laundry machine
KR101396971B1 (ko) 스팀건조기
EP1900865B1 (en) Laundry dryer
KR100833865B1 (ko) 스팀건조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253179B1 (ko) 건조기
US20090133281A1 (en) Steam laundry dryer
WO2008038959A2 (en) Laundry dryer
US8127576B2 (en) Laundry machine
KR100833867B1 (ko) 스팀건조기
KR100983279B1 (ko) 건조기
KR100833866B1 (ko) 스팀건조기
KR101241897B1 (ko) 건조기
KR100857800B1 (ko) 스팀건조기
KR100857802B1 (ko) 스팀건조기
KR100833868B1 (ko) 스팀건조기
KR101208531B1 (ko) 건조기
KR20090032232A (ko) 건조기
KR101342366B1 (ko) 스팀 건조기
KR101430469B1 (ko) 건조기
KR101265610B1 (ko) 건조기
KR101208533B1 (ko) 건조기
KR101265617B1 (ko) 건조기
KR101422025B1 (ko) 건조기
KR100998909B1 (ko) 건조기
KR101208534B1 (ko) 건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2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