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98909B1 - 건조기 - Google Patents

건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98909B1
KR100998909B1 KR1020080000782A KR20080000782A KR100998909B1 KR 100998909 B1 KR100998909 B1 KR 100998909B1 KR 1020080000782 A KR1020080000782 A KR 1020080000782A KR 20080000782 A KR20080000782 A KR 20080000782A KR 100998909 B1 KR100998909 B1 KR 1009989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dryer
water supply
drum
ste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007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75029A (ko
Inventor
윤주한
허선일
최연식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007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98909B1/ko
Priority to DE102008056383.8A priority patent/DE102008056383B4/de
Priority to US12/272,572 priority patent/US20090133281A1/en
Priority to CN2008101782513A priority patent/CN101435149B/zh
Publication of KR200900750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750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989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989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3Laundry conditioning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28Arrangements for program selection, e.g. control panels therefor; Arrangements for indicating program parameters, e.g. the selected program or its progres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42Safety arrangements, e.g. for stopping rotation of the receptacle upon opening of the casing doo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12Casings; Tub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40Steam generating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02Domestic laundry dryers having dryer drum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 D06F58/04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조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의류 등에 생기는 주름 또는 구김 등을 제거하거나 방지할 수 있는 건조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구김을 제거하기 위한 스팀을 생성하기 위하여 공급되는 물에 의한 내부 합선을 방지할 수 있는 건조기에 관한 것이다.
건조기, 스팀공급장치, 카트리지, 펌프

Description

건조기{laundry dryer}
본 발명은 건조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의류 등에 생기는 주름 또는 구김 등을 제거하거나 방지할 수 있는 건조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구김을 제거하기 위한 스팀을 생성하기 위하여 공급되는 물에 의한 내부 합선을 방지할 수 있는 건조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건조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의류 등에 생기는 주름 또는 구김 등을 제거하거나 방지할 수 있는 건조기에 관한 것이다.
건조기는 통상 세탁이 완료된 세탁물 즉 주로 의류를 고온의 공기를 이용하여 건조하는 가전 기기이다. 일반적으로 건조기는 피건조물을 수용하는 드럼, 상기 드럼을 구동하는 구동원, 상기 드럼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를 가열하는 가열수단, 상기 드럼 내부의 공기를 흡입하거나 배출하는 블로워 유닛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건조기는 공기를 가열하는 방식 즉 가열수단에 따라 전기식 건조기 및 가스식 건조기로 분류할 수 있다. 전기식 건조기는 공기를 전기 저항열을 이용하여 가열하며, 가스식 건조기는 공기를 가스의 연소에 의하여 발생하는 열을 이용하여 가 열한다. 건조기를 다른 방식으로 구분하면, 응축식 건조기와 배기식 건조기로 분류할 수 있다. 응축식 건조기에서는 드럼에서 피건조물과 열교환되어 다습한 상태가 된 공기가 건조기 외부로 배출되지 않고 순환되며, 별도의 응축기에서 외부 공기와 열교환시켜 응축수를 만들어 이를 외부로 배출한다. 배기식 건조기에서는 드럼에서 피건조물과 열교환되어 다습한 상태가 된 공기가 건조기의 외부로 직접 배출된다. 건조기를 또 다른 방식으로 구분하면, 피건조물을 건조기에 투입하는 방식에 따라 탑 로딩(top loading) 방식과 프런트 로딩(front loading) 방식으로 나눌 수 있다. 탑 로딩 방식에서는 피건조물이 건조기의 상측에서 투입되며, 프런트 로딩 방식에서는 피건조물이 건조기의 전면에서 투입된다.
그리고, 일반적으로 건조기에는 세탁 완료되어 탈수된 세탁물이 투입되어 건조되게 된다. 그런데, 물세탁의 원리상 물세탁이 완료된 세탁물에는 구김(주름, 구김, 접힘 등을 이하 총칭하여 "구김"이라 함)이 발생하게 되고, 발생된 구김은 건조기에서 건조과정에서 완전히 제거되지 않는다.
이와 같은 구김을 제거하기 위하여, 건조기 내에 스팀공급장치를 구비하여, 건조과정에서 발생하는 구김을 제거할 수 있다.
상기 스팀공급장치는 외부에서 물공급원으로 물과 전기를 공급받아 스팀을 생성하여, 드럼 내부에 공급한다.
따라서, 건조기 하우징 내부에는 스팀을 공급하는 스팀공급장치와 물공급원 등이 구비되어야 한다.
또한, 프론트 로딩 방식의 드럼 건조기의 경우, 크기가 제한된 하우징 내부 에 드럼을 장착하고 남는 공간에 상기 스팀공급장치와 상기 물공급원이 제공되며, 프론트 로딩 방식으로 드럼을 장착하는 경우, 상부와 하부 좌우측 모서리의 공간에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팀공급장치와 상기 물공급원은 배관에 의하여 연결되며, 배관의 길이가 긴 것은 바람직하지 않으므로, 상부와 하부 좌우측 모서리의 공간 중 어느 하나의 공간에 근접하게 장착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미 기술한 바와 같이, 물공급원은 착탈이 가능한 카트리지 형태로 구성되는 경우 전면부 측에 위치하는 것이 가능하며, 상기 스팀공급장치는 그 뒤쪽 공간에 위치될 것이다.
그리고, 물공급원은 외부에서 수도를 연결할 수도 있으며, 세탁기가 아닌 건조기의 경우, 많은 양의 물이 필요한 것이 아니므로, 상수도가 없는 장소에서도 설치될 수 있어야 하므로, 카트리지 형태의 물공급원을 사용할 수 있다.
후자의 경우, 카트리지 형태의 물공급원은 스팀공급장치에 고무 튜브 등의 배관에 의하여 연결되어 물을 공급하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스팀공급장치를 갖는 건조기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상기 건조기는 드럼 등의 회전에 의하여 일정한 진동이 발생하고, 이러한 진동은 각각의 부품 사이의 연결을 약화시킨다.
또한, 스팀발생장치와 물공급원은 타부품의 위치에 유연하게 대처하기 위하여 고무튜브 등이 사용되며, 상기 고무튜브 등은 스팀공급장치와 물공급원에 연결되지만, 지속적인 진동 등에 의하여 파열될 수 있다.
상기 물공급원과 상기 스팀발생장치는 수위차에 의하여 물을 공급받을 수도 있으나, 설치공간 상의 제약(예를 들면 동일한 높이 등)에 의하여, 펌프를 매개로 연결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정한 수압이 작용하고, 일정한 수압이 작용하는 상태에서 상기 튜브 등이 파열되는 경우에는 튜브의 파열부위에서 하우징 내부로 분산된다.
건조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컨트롤패널은 그 배면에 전장부가 위치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상기 튜브의 파열시, 상기 튜브 내부의 물은 상기 건조기 내부로 분출되고, 상기 컨트롤패널과 연결되고, 기판 등에 장착되어, 하우징 내부에 위치한 전자 부품들을 포함한 전장부에 분출된 물이 도달하여 합선(合線)을 일으키는 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의류 등에 생기는 구김을 방지 및/또는 제거하고, 구김 등을 제거하기 위하여 구비된 스팀공급장치로 물을 공급하는 튜브가 파손되거나 스팀발생장치 등과 튜브의 연결이 손상되어, 내부의 물이 불규칙적인 방향으로 분출되어도, 컨트롤패널 배면에 위치한 전장부에서의 합선의 위험을 줄일 수 있는 건조기를 제공하는 것을 그 기술적인 과제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외형을 이루는 하우징 내에 장착되며, 선택적으로 회전가능한 드럼, 상기 드럼에 고온의 스팀을 공급하는 스팀공급장치, 상기 스팀공급장치에서 물을 공급하는 물공급원, 상기 하우징 내부에 구비된 전장부품이 장착된 전장부와 연결된 컨트롤패널 및, 상기 물공급원에서 상기 전장부로 물튐을 방지하기 위하여 부착된 물튐방지필름을 포함하는 건조기를 제공한다.
이 경우, 상기 물튐방지필름은 유연한 플라스틱 재질로 구성되며, 상기 물튐방지필름의 부착은 그 일단에 코팅된 접착물질에 의한 것일 수 있다.
또한,상기 물공급원과 상기 스팀발생장치는 튜브 형태의 급수 호스에 의하여 연결되며, 상기 물튐방지필름은 상기 전장부와 상기 급수 호스 사이에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물튐방지필름은 드럼 상부에 장착된 프레임에 부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물튐방지필름이 부착되는 프레임은 상기 드럼 상부에 구비되며, 상기 물공급원 또는 상기 스팀발생장치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장착되는 프레임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물튐방지필름은 상기 하우징을 구성하는 탑 커버에 부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물튐방지필름은 상기 전장부를 덮도록 상기 컨트롤패널의 배면에 부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물튐방지필름은 접착물질이 코팅된 부분이 상기 전장부 상부에 부착되어, 상기 물튐방지필름이 상기 전장부를 덮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
본 발명에 따른 건조기에 의하면, 건조 완료된 피건조물에 구김 또는 주름이 생기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 또는 제거할 수 있다. 또한, 건조대상 의류를 살균 또는 그 냄세를 제거할 수 있다는 이점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건조기는 그 내부에 스팀공급장치 또는 드럼 내부로 물을 공급하는 튜브가 파열되더라도, 각종 전자부품이 밀집한 컨트롤패널의 후면에 위치한 전장부에 물튐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물의 튐에 의한 합선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어지는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건조기의 하나의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건조기의 일실시예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건조기의 측단면도이다.
건조기의 외관을 구성하는 하우징(10)의 내부에는 회전 가능한 드럼(20), 상기 드럼(20)을 구동시키는 모터(70) 및 벨트(68)가 설치된다. 그리고, 하우징(10)의 소정 위치에는 공기를 가열하여 고온의 공기(이하 "열풍"이라 함)을 만드는 히터(90)(이하 편의상 "열풍 히터"라 함), 상기 열풍 히터(90)에서 생성된 열풍을 드럼(20)에 공급하기 위한 열풍공급덕트(44)가 설치된다.
그리고, 드럼(20)에서 피건조물과 열교환된 다습한 공기를 배출하는 배기 덕트(80), 상기 다습한 공기를 빨아 들이는 블로워 유닛(60) 등도 설치된다. 한편, 하우징(10)의 소정 위치에는 고온의 스팀을 발생시키는 스팀공급장치(200)가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편의상 모터(70)와 벨트(68)를 이용하여 드럼(20)을 회전시키는 간접구동방식을 도시 및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드럼(20)의 후면에 모터가 직결되어 드럼(20)을 직접 회전시키는 직접구동방식(Direct Drive Type)에 본 발명을 적용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각각의 구성요소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하우징(10)은 건조기의 외형을 형성하는 것으로서, 바닥면을 형성하는 베이스(12)와, 상기 베이스(12)에서 수직으로 설치되는 한 쌍의 측면 커버(14)와, 상기 측면 커버(14)의 전면 및 후면에 각각 설치되는 프런트 커버(16) 및 리어 커버(18), 상기 측면 커버(14)의 상부에 위치하는 탑 커버(17)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각종 조작 스위치 등을 가지는 컨트롤 패널(19)은 통상 탑 커버(17) 또는 프런트 커버(16)에 위치하게 되며, 도어(164)는 프런트 커버(16)에 설치된다. 리어 커버(18)에는 외부 공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하는 흡입부(182)와, 드럼(20)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최종 통로인 배기홀(184)이 구비된다.
드럼(20)의 내부 공간은 건조가 진행되는 건조 챔버 기능을 하며, 상기 드럼(20)의 내부에는 피건조물을 끌고 올라가 낙하시켜 피건조물을 뒤집어 주어 건조 효율을 높이는 리프트(22)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드럼(20)의 전방과 프런트 커버(16)의 사이 및 드럼(20)의 후방과 리어 커버(18)의 사이에는 프런트 서포터(30)와 리어 서포터(40)가 각각 설치된다. 프런트 서포터(30)와 리어 서포터(40)에 의해 드럼(20)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며, 상기 프런트 서포터(30) 및 리어 서포터(40)와 드럼(20) 사이에는 각각 누설을 방지하는 실링부재(미도시)가 설치된다. 즉, 프런트 서포터(30)와 리어 서포터(40)는 상기 드럼(20)의 전면과 후면을 막아 건조 챔버를 형성하며 상기 드럼(20)의 전단과 후단을 지지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프런트 서포터(30)에는 드럼(20)을 건조기의 외부와 연통시키는 개구부가 형 성되며, 상기 개구부는 도어(164)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개폐된다. 또한, 프런트 서포터(30)에는 드럼(20)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통로인 린트 덕트(50)가 연결되며, 상기 린트 덕트(50)에는 린트 필터(52)가 설치된다. 상기 린트 덕트(50)에는 블로워 유닛(60)의 일측이 연결되며, 상기 블로워 유닛(60)의 타측은 배기 덕트(80)와 연결되며, 상기 배기 덕트(80)는 리어 커버(18)에 구비되는 배기홀(184)과 연통된다. 따라서, 블로워 유닛(60)이 작동하면, 드럼(20) 내부의 공기는 린트 덕트(50), 배기 덕트(80), 배기홀(184)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이 때 보푸라기 등의 이물질은 린트 필터(52)에서 여과되게 된다. 통상 상기 블로워 유닛(60)은 블로워(62)와 블로워 하우징(64)으로 구성되며, 상기 블로워(64)는 드럼(20)을 구동시키는 모터(70)에 연결되어 구동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리어 서포터(40)에는 통상 다수의 통공으로 구성되는 개구부(42)가 형성되며, 상기 개구부(42)에 열풍공급덕트(44)가 연결된다. 상기 열풍공급덕트(44)는 드럼(20)과 연통하여 상기 드럼(20)에 열풍을 공급하는 통로의 역할을 한다. 따라서, 상기 열풍공급덕트(44)의 소정 위치에는 열풍 히터(90)가 설치된다.
한편, 하우징(10)의 소정 위치에는 스팀을 발생시켜 드럼(20)의 내부로 공급하는 스팀공급장치(200)가 설치된다.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건조기의 합선 방지를 위한 물튐방지필름(171)은 하우징(10)의 탑 커버(17)에 부착된다. 상기 물튐방지필름(171)은 상기 탑 커버(17)에 접착수단에 의하여 부착되는 방식이 가능하다.
상기 물튐방지필름(171)은 얇은 플라스틱 박판으로 구성된다. 상기 물튐방지필름(171)의 부착위치, 형상, 부착각도 등은 상기 스팀공급장치(200)와 상기 급수 호스(220)의 위치와 연결관계 등에 따라서 가변적이다.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컨트롤 패널(19)은 사용자의 편의를 위하여, 탑 커버(17)에 돌출되고, 비스듬히 장착되어 있으므로, 상기 물튐방지필름(171)을 탑커버(17)에 수평하게 부착한 것이다.
그러나, 컨트롤 패널이 하우징(10)의 전면을 형성하는 프런트 커버(16)의 상부에 위치하는 경우도 많으므로, 상기 물튐방지필름(171)의 위치는 스팀공급장치(200)와 급수 호스(220) 등의 위치가 결정된 후에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건조기의 물공급원과 스팀공급장치(200)의 다른 예를 도시하고 있다.
스팀공급장치(200)의 일측에는 물을 공급하는 급수 호스(220)가 연결되며, 타측에는 스팀을 배출하는 스팀 호스(230)가 연결되며, 상기 스팀 호스(230)의 선단에는 소정 형상의 노즐(250)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통상, 급수 호스(220)의 일단은 수도꼭지와 같은 외부의 물공급원과 연결되며, 스팀 호스(230)의 선단부 또는 노즐(25) 즉 스팀 토출구는 드럼(20)의 소정 위치에 위치되어, 드럼(20)의 내부로 스팀을 분사하게 된다.
상기 스팀공급장치(200)의 일측에서 물을 공급하는 급수 호스(220)는 외부 수도에서 물을 공급받을 수도 있으며, 후술할 카트리지 형태의 물공급원으로부터 물을 공급받을 수 있다. 상기 급수 호스(220)는 상기 스팀공급장치(200)의 위치의 변화에 용이하게 대응하기 위하여, 고무 튜브 등과 같은 유연한 재질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급수 호스(220)는 내부의 수압에 의하여, 급수 호스가 파열되는 경우, 파열부위에서, 물이 불규칙한 방향으로 분출하게 된다. 상기 컨트롤 패널(19)의 배면에는 각종 전자부품들이 장착된 기판 형태의 전장부(191)가 위치한다. 이러한, 전장부(191)는 각각의 전자부품들이 용접 등의 방법에 의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이미 기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전장부(191)로 물이 분출되어 합선을 막을 수 있는 방법이 필요하다. 본 발명에 따른 건조기는 상기 급수 호스(220)의 파열시, 상기 전장부(191)로 물튐을 방지하기 위하여, 물튐방지필름을 구비한다.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스팀공급장치(200)에 물을 공급하는 물공급원이 탈부착 가능하다. 즉, 물공급원이 탈부착이 가능한 카트리지 형태로 제공된다.
상술한 실시예에서와 같이, 물공급원이 수도꼭지일 수도 있지만, 이런 경우에는 설치가 복잡하다. 왜냐하면, 건조기에서는 통상 물을 사용하지 않으므로 수도꼭지를 물공급원으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이에 부대하는 각종 장치 등이 추가로 설치하는 것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물공급원이 상수도에 연결된 경우가 아닌, 착탈이 가능한 물공급원은 물을 수용하는 카트리지(300)를 포함하는 개념으로 이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카트리지(300)가 직접 외부로 착탈이 될 수도 있으며, 후술하는 드로워에 수용되고, 드로워 가이드에 지지되어 안내될 수도 있다. 따라서, 물공급원은 드로워 또는 드로워 가이드가 구비된 경우는 이를 모두 포함하는 개념으로 사용된 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탈부착 가능한 물공급원(Detachable Water Supply Source)을 사용하여, 상기 카트리지(300)를 분리하여 물을 공급하고, 상기 카르티지(300)를 포함하는 물공급원과 스팀공급장치(200)의 물공급 유로 즉 급수 호스(220)에 연결하면 편리하다.
그리고, 상기 물공급원과 상기 스팀공급장치(200)의 사이에는 펌프(400)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펌프(400)는 정역회전 가능하여, 스팀공급장치(200)로 물 공급 및 필요에 따라 스팀공급장치(200)의 잔수를 회수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펌프(400)를 사용하지 않고 물공급원과 스팀공급장치(200) 사이의 수주차를 이용하여 상기 스팀공급장치(200)에 물을 공급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러나, 통상 건조기의 각종 부품 등은 규격품이며 콤팩트하게 설계되므로 구조적 공간의 절대로 부족하다. 따라서, 종래의 건조기의 각종 부품의 크기를 변경하기 않으면 수주차를 이용한 급수가 사실상 불가능하다. 따라서, 소형의 펌프(400)를 사용하면, 종래의 건조기의 각종 부픔의 크기를 변경하기 않고도 스팀공급장치(200) 등을 설치할 수 있으므로 펌프(400)를 이용하는 것이 대단히 유용하다.
그리고, 스팀공급장치(200)의 잔수를 회수하는 이유는 스팀공급장치(200)를 오랫동안 사용하지 않으면 잔수에 의하여 히터가 손상되거나, 차후에 부패한 물이 사용될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스팀공급장치(200)에서 스팀을 배출하는 스팀 유로 즉 스팀 호스(230)에는 안전밸브(500)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탈부착 가능한 물공급원을 갖는 건조기의 전면부를 도시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즐(250)은 드럼에 열풍을 공급하는 개구부(42)에 인접하여 설치되어, 스팀이 드럼의 후면에서 전면으로 분사되게 하는 것이 도시되어 있다.
스팀이 드럼의 후면에서 전면으로 분사되면, 드럼의 내부에서 통상 공기는 리어 서포터(40)에 형성된 개구부(42)에서 유입되어 도어(104)의 아래에 있는 린트 덕트(미도시, 도 1 참조)로 빠져나가는 구조이므로, 공기의 유로가 대략 개구부(42)에서 린트 덕트가 된다. 따라서, 노즐(250)이 개구부(42)에 인접하여 설치되면, 분사된 스팀이 이러한 공기 유로를 따라 원할히 흐르므로 옷감에 골고루 묻게 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설명된 노즐(250)은 탈부착 가능한 물공급원을 가지는 건조기 이외에도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물공급원으로서 외부 수도꼭지가 사용되는 경우에도 적용 가능하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건조기 내부의 물공급원, 스팀발생장치 및 전장부 등의 위치 관계도이다.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와 달리,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물튐방지필름(821)은 탑 커버가 아닌 서포터 프레임(820)에 부착된다. 만일, 상기 물튐방지필 름(821)의 일단에 접착물질이 코팅된다면, 그 코팅부위를 상기 서포터 프레임(820)에 부착한다.
상기 서포터 프레임(820)에 상기 물튐방지필름(821)이 부착되는 위치는 상기 급수 호스(220)의 파열시, 상기 전장부(191)로 물튐을 방지하기 위한 위치이므로, 급수 호스와 상기 스팀공급장치(200)을 설치한 후, 상기 급수 호스의 파열이 예상되는 부분과 상기 전장부(191)의 위치를 고려한 후 부착한다.
상기 물튐방지필름(821)은 상기 펌프(400)와 상기 스팀공급장치(200)를 연결하는 급수 호스(220)의 파열을 대비하는 위치에 부착된다.
또한, 상기 급수 호스(220)는 상기 스팀공급장치(200)의 위치에 대응하여, 과도하게 휘어져 있다. 그러므로, 장기간 사용하는 경우, 파열되거나, 스팀공급장치(200)와의 결합부위가 분리되어, 물이 주변으로 분출할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 물튐방지필름(821)은 분출되는 물을 차단하여, 상기 전장부(191)에서의 합선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건조기의 물튐방지필름은 물공급원과 스팀공급장치 사이를 연결하는 배관들의 파열을 대비한다고 볼 수 있으므로, 물공급원이 착탈 가능한 카트리지 형태이건, 또는 외부에서 수도를 직접 연결하는 형태이든 적용이 가능한 기술이다.
물론, 물튐방지필름은 상기 서포터 프레임(820)이 아닌 드로워 가이드(710)에 설치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급수 호스(220)의 위치 등을 고려하였을 때, 상기 전장부(191) 방향으로의 물튐을 방지하기 위한 물튐방지필름을 부착하기 위한 최적의 위치가 상기 서포터 프레임(820)인 것이며, 건조기의 크기 등과 부품의 배치관계를 고려하여, 더 적합한 위치에 물튐을 방지하기 위한 물튐방지필름을 부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술되고 도시된 물튐방지필름의 부착위치는 물공급원과 스팀발생장치를 연결하는 급수 호스(220) 등의 위치와 휘어진 정도 등을 고려하여야 한다.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카트리지(300)를 드로워(700)에서 장착하는 경우에는, 카트리지(300)의 최소한 양측면 형상은 드로워(700)의 양측면 형상과 대응하여, 서로 긴밀히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카트리지(300)의 탈부착을 위하여 상기 카트리지(300)의 양측면에는 오목부(301)가 형성되어, 상기 오목부(301)를 이용하여 상기 카트리지(700)를 탈부착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시, 도 5을 참조하여, 카트리지(300)에 물을 공급하는 방식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사용자가 드로워(700)를 인출하면, 카트리지(300)도 같이 인출된다. 이 상태에서 드로워(700)에서 카트리지(300)를 탈거한다. 탈거된 상태의 카트리지(300)에 물공급구 예를 들어 제1필터(330)로 물을 공급하여, 상기 카트리지(300)에 물을 채운다. 물이 채워진 상태의 카트리지(300)를 다시 드로워(700)에 장착하고, 상기 드로워(700)를 밀어 넣으면 자동적으로 카트리지(300)와 접속구(480)가 겹합되어 카트리지(300)의 물이 펌프(400) 방향으로 개방된다.
건조기의 사용 완료 후에는 상술한 내용과 반대로 드로워(700)에서 카트리 지(300)를 탈거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카트리지(300)가 상부 하우징(320) 및 하부 하우징(310)으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탈거된 카트리지(300)를 청소하기가 용이하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살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6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전장부로의 물튐을 방지하는 물튐방지필름은 상기 컨트롤 패널(19)의 배면에 부착될 수도 있다.
상기 전장부(191)는 상기 컨트롤 패널(19)의 배면에 위치하므로, 상기 전장부를 덮는 보호막 형식으로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장부(191)를 완전히 차단하도록 상기 물튐방지필름(1911)을 부착할 수도 있으나, 전장부(191)의 전장부품의 수리 교환 등이 필요한 경우를 대비하여, 상기 전장부(191)의 상부를 접착부위로 하여 아래로 물튐방지필름(1911)을 부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물튐방지필름(1911)은 접착물질에 의하여 부착되는 유연성을 갖는 박판으로 구성되므로, 상기 전장부(191) 상부에 부착하고 건조기의 드럼 등을 장착하면, 다른 부품의 설치위치를 간섭하지 않고 물튐방지필름(1911)은 절곡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드럼의 상부에 상기 물튐방지필름(1911)의 하단이 접하여 들어올려지더라도, 급수 호스(220)의 파열에 의한 물튐은 상기 물튐방지필름(1911)의 경사를 따라서 아래 방향으로 흘러내리므로 상기 전장부(191)에 도달하지 않아 합선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도 2, 도 5와 도 6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각각의 물튐방지필름은 그 부착 위치가 다르다. 그러나, 공통적인 발명의 사상은 상기 전장부(191)로 물튐을 방지할 수 있도록, 최적의 위치를 선정하여 물튐방지필름을 부착하는 것에 의하여 전장부 등에서의 합선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는 점이다.
물론, 더 확고한 방법으로 전장부(191)로의 물튐을 방지할 수 있는 다른 방법이 존재할 수도 있으나, 비용의 증가를 최소화하는 방법으로서의 본 발명의 특징이 있다고 할 수 있다.
본 명세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이하에서 서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변형된 실시가 기본적으로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의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면 모두 본 발명의 기술적 범주에 포함된다고 보아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건조기의 일실시예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건조기의 측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건조기의 물공급원과 스팀공급장치의 연결관계를 도시한다.
도 4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탈부착 가능한 물공급원을 갖는 건조기의 전면부를 도시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건조기의 다른 실시예 내부의 물공급원, 스팀발생장치 및 전장부 등의 위치 관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건조기의 다른 실시예 내부의 물공급원, 스팀발생장치 및 전장부 등의 위치 관계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하우징 20 : 드럼
70 : 모터 80 : 배기 덕트
90 : 열풍 히터 200 : 스팀발생기
300 : 물공급원(카트리지) 710 : 드로워가이드
820 : 서포터 프레임 171, 821, 1911 : 물튐방지필름

Claims (8)

  1. 외형을 이루는 하우징 내에 장착되며, 선택적으로 회전가능한 드럼;
    상기 드럼에 고온의 스팀을 공급하는 스팀공급장치;
    상기 스팀공급장치에서 물을 공급하는 물공급원;
    상기 하우징 내부에 구비된 전장부품이 장착된 전장부와 연결된 컨트롤패널; 및,
    상기 물공급원에서 상기 전장부로 물튐을 방지하기 위하여 부착된 물튐방지필름;을 포함하는 건조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물튐방지필름은 유연한 플라스틱 재질로 구성되며, 상기 물튐방지필름의 부착은 그 일단에 코팅된 접착물질에 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물공급원과 상기 스팀공급장치는 튜브 형태의 급수 호스에 의하여 연결되며, 상기 물튐방지필름은 상기 전장부와 상기 급수 호스 사이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물튐방지필름은 드럼 상부에 장착된 프레임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물튐방지필름은 상기 하우징을 구성하는 탑 커버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
  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물튐방지필름은 상기 전장부를 덮도록 상기 컨트롤패널의 배면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물튐방지필름은 접착물질이 코팅된 부분이 상기 전장부 상부에 부착되어, 상기 물튐방지필름이 상기 전장부를 덮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물튐방지필름이 부착되는 프레임은 상기 드럼 상부에 구비되며, 상기 물공급원 또는 상기 스팀공급장치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장착되는 프레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
KR1020080000782A 2007-11-16 2008-01-03 건조기 KR1009989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0782A KR100998909B1 (ko) 2008-01-03 2008-01-03 건조기
DE102008056383.8A DE102008056383B4 (de) 2007-11-16 2008-11-10 Dampf-Trocknungsguttrockner
US12/272,572 US20090133281A1 (en) 2007-11-16 2008-11-17 Steam laundry dryer
CN2008101782513A CN101435149B (zh) 2007-11-16 2008-11-17 蒸汽干衣机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0782A KR100998909B1 (ko) 2008-01-03 2008-01-03 건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75029A KR20090075029A (ko) 2009-07-08
KR100998909B1 true KR100998909B1 (ko) 2010-12-08

Family

ID=413322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00782A KR100998909B1 (ko) 2007-11-16 2008-01-03 건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98909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75029A (ko) 2009-07-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30838B2 (en) Laundry dryer
US8984691B2 (en) Laundry machine
US9657429B2 (en) Laundry machine
US8196439B2 (en) Laundry machine including a support module with a drawer based detachable water supply
KR101208532B1 (ko) 건조기
KR100640788B1 (ko) 스팀발생기를 구비한 건조기
US20090133281A1 (en) Steam laundry dryer
KR20090030901A (ko) 세탁장치
KR100740836B1 (ko) 스팀발생기를 구비한 건조기
KR100672439B1 (ko) 스팀발생기를 구비한 건조기
KR100640811B1 (ko) 건조기용 급수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0998909B1 (ko) 건조기
KR100833866B1 (ko) 스팀건조기
KR100833867B1 (ko) 스팀건조기
KR100983279B1 (ko) 건조기
KR101414623B1 (ko) 건조기
KR101342366B1 (ko) 스팀 건조기
KR100833868B1 (ko) 스팀건조기
KR100672438B1 (ko) 스팀발생기를 구비한 건조기
KR101008653B1 (ko) 건조기
KR101265610B1 (ko) 건조기
KR101422025B1 (ko) 건조기
KR100833864B1 (ko) 스팀건조기
KR101208533B1 (ko) 건조기
KR101208534B1 (ko) 건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4

Year of fee payment: 10